KR100507267B1 - 레저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레저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267B1
KR100507267B1 KR1020040025128A KR20040025128A KR100507267B1 KR 100507267 B1 KR100507267 B1 KR 100507267B1 KR 1020040025128 A KR1020040025128 A KR 1020040025128A KR 20040025128 A KR20040025128 A KR 20040025128A KR 100507267 B1 KR100507267 B1 KR 10050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fastening
fastened
plate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이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훈 filed Critical 이주훈
Priority to KR102004002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267B1/ko
Priority to PCT/KR2004/002432 priority patent/WO20050276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2003/007Sport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2003/008Travell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레저용 캐리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품 캐리어는, 멜빵이 부착된 등판, 상기 등판과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며 스키 또는 스노보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고정판,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이 상호 대향되는 부위면 상에 스키 또는 스노보드용 부츠 또는 인라인스케이트를 수납 및 고정하는 수납부재 및 네트형 포켓을 구비하는 부츠수납부,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 중 상기 수납부재와 대향되는 부위면에 파스너 등의 개폐부재가 장착된 레저용품 수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단일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키, 스노보드 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한 이동성, 구성의 간이화, 향상된 내구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종래 기술에서 제기되었던 안전사고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저용 캐리어{Knapsack type Carrier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키 및 스노보드용품, 인라인스케이트 등에 이르는 레저용품을 용이하게 수납함은 물론, 이동성, 편의성, 내구성을 증진시킨 레저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03년 9월 22일자 “국내특허출원번호 제65627호” “다기능 스키 및 스노보드 캐리어”(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빵(11)이 구비된 등판(10), 고정판(20), 상기 고정판(20)에 스키장비 및 스노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시키는 장착수단(30), 상기 등판(10)과 고정판(20) 사이에 펼침, 접철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 설치된 접철식 보관주머니(40), 상기 등판(10)과 고정판(20)을 유동 없이 일체로 결속시키는 복수의 바인딩수단(50), 상기 접철식 보관주머니(40)의 펼침시 주머니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관주머니 고정밴드(60)로 구성되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장착수단(30)은 보강판(21)의 상측에 밴드고리(31)가 설치되고 상기 밴드고리(31)에 스키 및 스노보드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고정밴드(32)가 끼움 설치되는 한편, 등판(10)의 하측 양단에는 스키 및 스노보드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고정밴드(33)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바인딩수단(50)은 등판(10)과 고정판(20) 사이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상부 바인딩밴드(51)가 설치되고, 상기 등판(10)과 고정판(20) 사이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부 바인딩밴드(52)가 설치되며;
부츠 고정밴드(16) 및 상,하부 고정밴드(32, 33), 상부 바인딩밴드(51), 측면부 바인딩밴드(52), 보관주머니 고정밴드(60)는 버클(15)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 및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부 바인딩밴드(51)와 측면부 바인딩밴드(52)의 버클(15)을 분리하여 고정판(20)을 등판(10)으로부터 이격시켜 도 2에서와 같이 부츠(2)의 바닥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부츠 고정밴드(16)를 이용하여 부츠(2)를 고정시킨 후, 각각의 상부 바인딩밴드(51)와 측면부 바인딩밴드(52)의 버클(15)을 결합하여 등판(10)과 고정판(20)을 유동없이 결속시키고, 스키(3)의 바닥면이 마주하도록 밀착시킨 상태로 상부 고정밴드(32)를 이용하여 스키(3)의 바인더(4) 하부를 받쳐주도록 지지하고, 하부 고정밴드(33)를 이용하여 스키(3)의 하부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작동원리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같은 구성적 폐단이 발생하였다.
우선, 고정판(20)이 등판(10)과 상방체결 하방 전개되는 체결구성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스키 등의 장비가 상기 고정판(20)에 장착되었을 시에 하중이 편향되어 후방 처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시 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캐리어(1)를 착용하였을 시에 착용자의 피로감을 증가시켰으며, 보행 장해 등을 유발함은 물론, 중력에 반하는 체결구성을 가짐에 따라 바인딩수단(50)의 개수가 많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구성적 폐단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바인딩수단(50)을 구성하는 다수의 버클(15)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했던 바, 보다 고가의 버클(15)이 요구되었음을 잘 알 수 있다. 더불어, 종래 기술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력 등이 인가됨에 따라 버클(15)이 분리될 시에는 스키 등의 장비를 장착한 상태의 고정판(20)이 후방 낙하되어 후방에 위치하는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더불어, 보다 많은 수의 바인딩수단(50)이 요구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부츠(2)의 체결방식에 따른 구성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가 장착될 시에는 실질적으로 부츠 고정밴드(16)의 장력조절여하에 따라 그 체결결속력이 유지되나, 상기 부츠 고정밴드(16)는 부츠(2)의 특정부위만을 바인딩 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그 결속력에 있어서도 견고한 체결을 이룰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부츠(2) 장착과정이 비교적 복잡하게 이루어짐을 잘 알 수 있는 데, 상술하면 부츠(2)의 바닥면을 상호 맞닿도록 설정하는 단계; 이를 부츠 고정밴드(16)가 장착된 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부츠 고정밴드(16)에 부착된 버클(15)을 체결한 후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등을 거치게 되므로 신속히 부츠를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더불어, 스키(3)를 고정판(20) 상에 장착 고정함에 따른 구성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20) 상에 장착되는 스키(3)는 바닥면이 마주하도록 밀착되어 상면이 측방을 향하고 스키의 측면이 전후방으로 정렬됨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고정되는 스키 특히 스키 측면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리어(1)의 착용자가 후방 슬립시에 장착된 스키 측면으로 인하여 두부 등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람에게도 부상을 입힐 수 있다는 등의 안전사고의 개연성이 내재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간이화된 구성을 가지며, 고른 하중의 분산작용에 따라 착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부츠 등을 보다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구성이어야 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더불어 복수의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장착이 가능한 레저용 캐리어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기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등판과, 상기 등판의 상단부가 하방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의 체결구성을 가짐으로서, 고정판이 등판으로부터 상방전개/하방체결됨에 따라 고정판 상에 장착된 동계장비의 고른 하중 분산 및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판의 후방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저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판과 고정판의 상호 대향되는 부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가 체결된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의 양측면 소정부위에 체결되는 네트형 포켓과, 상기 수납부재의 말단부와 상기 수납부재가 체결된 등판 또는 고정판의 소정부위에는 각각 상호 체결/분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부츠수납부를 구비하여 부츠 또는 인라인스케이트 또는 운동화 등의 일상화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레저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바닥면이 고정판 상에 안치 가능한 구성의 레저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스키 및/또는 스노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저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각도를 변위시켜 고정판 상에 장착시킬 수 있는 레저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레저용 캐리어의 구성으로서는,
멜빵이 부착된 등판; 내피, 하드 플레이트, 외피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등판의 상방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면부위에 스키 또는 스노보드를 체결하는 고정수단; 상기 등판과 상기 고정판이 상호 맞닿는 각 말단부위에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체결부재;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상방과 일측면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 소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등판 중 상기 고정판과 상호 대향되는 면의 하단부위가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상방 및 상기 등판의 상방 소정부위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등판의 양측단에 스키 또는 스노보드용 부츠, 인라인스케이트를 선택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네트형 포켓으로 이루어진 부츠수납부; 및,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글, 장갑 등의 레저용품을 수용하는 레저용품 수납부를;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에, 상기 레저용품 수납부는,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 중 상기 수납부재와 인접하는 부위면에 체결되며 파스너, 벨크로테이프, 투터치 벨트, 똑딱단추로부터 선택되는 개폐부재가 장착된 소정 면적을 갖는 마감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밴드의 양말단에 체결부재가 장착된 바이딩부재와, 상기 고정판 전면에 입설되어 상기 밴드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공을 갖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말단, 타측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의 내경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U형 고리부와, 상기 통공과 나사체결 되는 볼트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U형 고리부의 양말단 또는 볼트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는, U형상으로서 외경 소정부위가 확대 연장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외주면 상에 튜브 또는 코팅층이 구성된 U형 고리부로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고정판의 외피 상에 지지되며, 양말단부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의 내피와 압착 고정체결 되기도 하며,
상기 U형 고리부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지며, 상기 일측말단이 상기 타측말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격자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말단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된 체결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체결단과 상응하는 소정부위가 관통된 회동공, 상기 회동공을 구심점으로 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취되는 안내공, 상기 안내공의 소정부위가 상기 U형 고리의 외경만큼 연장 절취된 복수의 지지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단과 회동가능하게 나사체결 되는 볼트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부재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에 요철에 상응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맞닿는 요부가 리베팅 체결 또는 재봉성형 또는 볼트 너트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판과 체결 고정되기도 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내피 및 상기 수납부재의 외피 상에 고정 체결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는, 횡측방 또는 상하측방으로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개선단부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 상에는 각각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기도 하며,
상기 덮개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면이 상호 접철 및 전개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덮개부 각각의 전개선단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판의 상하 양측단에는 각각 밴드가 체결되며, 상기 밴드에는 상기 고정판의 양단이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에, 상기 고정판은, 소정형상으로 측방 연장되어 상기 고정판의 전면을 향해 접철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일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부위에 밴드 또는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하기도 하며,
상기 고정판의 상기 체결부재와 상응하는 중앙부위면 상에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과 타측면 상에 장착된 체결부재와 동시 체결될 수 있도록 설정된 또 다른 체결부재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에,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다리를 갖는 웅편과, 상기 탄성다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요홈을 구비하는 웅편으로 이루어진 투터치 버클로 구현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면,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웅편과, 상기 웅편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는 하나의 몸체에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웅편이 동시 체결 가능한 자편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상기 바인딩부재의 체결부재는 상기 웅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편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기도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또 다른 레저용 캐리어의 구성으로서는,
일측면 상에 멜빵이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상에 소정간격 입설되어 스키의 소정부위를 파지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하방 면적에 상기 부츠 또는 인라인스케이트를 수용하기 위해 체결되는 네트형 포켓; 상기 고정판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고정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후크형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에,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덮개부는, 강화 플라스틱,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편의상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10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부츠(5)가 장착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스키(1)가 장착된 정면도, 도 8은 도 4의 요부"A"를 확대 절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레저용 캐리어(100)는, 등판(110)과, 상기 등판(110)의 상방이 연장되어 소정부위에 손잡이(190)가 형성된 접철부(115)와, 상기 접철부(115)와 연결된 고정판(130)과, 상기 등판(110) 배면에 형성된 멜빵(111), 등판(110) 전면에 구성되는 레저용품 수납부(180) 및 부츠수납부(140)와, 고정판(130)의 전면에 구성되는 고정수단(150) 및, 상기 등판(110)과 고정판(130)의 각 말단에 장착되는 체결부재(120)를 포함하는 개략적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레저용품 수납부(18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마감부재(182)가 상기 등판(110)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등판(110)간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82)의 상방과 측방이 전부 또는 일부 개방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파스너(181), 벨크로테이프, 투터치 벨트, 똑딱단추로 구현되는 개폐부재가 상기 마감부재(182)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된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182)의 전면에는 전술한 부츠수납부(140)가 위치하게 되는 바, 상기 등판(110)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갖는 면상체의 수납부재(141)가 상기 등판(110)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등판(110)의 전방으로 접철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110)의 하단면과 일체로 체결된다.
이에, 상기 수납부재(141)의 양측단부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110)의 양측단에는 네트형 포켓(143)이 체결된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상기 네트형 포켓(143)은, 상기 수납부재(141)의 소정높이에서 이에 대응되는 상기 등판(110)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 체결되는 스트링(147)과 상기 스트링(147)과 일체로 구성된 망사형상의 네트(145)가 상기 수납부재(141)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110)의 양측단에서 하단면에 이르기까지 봉합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141)와 상기 등판(110)의 상방 양측단에는 각각 밴드(도면부호 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밴드의 각 말단에는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는 길이조절을 실시함에 따라 바인딩 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의 것이 사용되며, 상기 등판(110)과 상기 밴드(미도시) 사이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유격부재(113)가 체결되어 평상시에는 수납부재(141)와 등판(110)의 유격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가 네트형 포켓(143)에 부츠(5)가 삽입될 시에 상기 수납부재(141)와 등판(110)간의 유격이 확개됨은 물론, 하중에 의한 전방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네트형 포켓(143)은 상기 부츠(5)의 하방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6참조)
전술한 체결부재(120)는, 공지된 기술로서 탄성다리를 갖는 웅편(121)과, 상기 탄성다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요홈을 구비하는 자편(125)으로 이루어진 투터치 버클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130)과 수납부재(141)의 표면 상에는 소정형상의 야광라인(146)이 구성되어 야간 또는 악천후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30)의 전면에 구성되는 고정수단(150)의 구성으로서는, 지지공(154)을 갖는 지지부재(151)가 상기 고정판(130) 상의 상하단에 각기 하나씩 입설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지지공(154)에는, 밴드(161)와 상기 밴드(161)의 양단에 웅편(121)과 자편(125)이 각각 장착된 바인딩부재(160)가 개재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151)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U형 고리부로서, 그 체결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통공(153)이 형성된 U형 튜브체로 구현되어 그 양말단에 위치하는 통공(153)의 내경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단(155)이 상기 고정판(130)을 관통하고, 고정판(130)의 타측단에 볼트로 구현되는 체결수단(156)에 의해 상기 체결단(155)의 내경상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U형 고리부의 표면에 튜브 또는 코팅층(152)이 개재되거나 표면처리되어 마찰작용에 따른 동계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30)은, 내피(135), 하드 플레이트(133), 외피(131)가 적층 구성됨에 따라 스키 등의 동계장비를 상기 지지부재(151)가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드 플레이트(133)는 높은 경도와 작은 변형률을 가지며, 경량체인 통상의 알루미늄판, 강화플라스틱 등의 비철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저용 캐리어(100)는, 도 7에서와 같이 스키(1)를 구성하는 바인더(2)의 하단면을 전술한 지지부재(151)에 개재된 바이딩부재(160)의 체결에 의해 종래 기술과 같이 스키 등을 장착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도 9는 요부 "A"의 변형예시단면도로서, U형 고리부의 체결단(155)이 상기 고정판(130)의 외피(131)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술한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판(130)과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요부 "A"의 다른 변형예시단면도로서, U형 고리부의 외주면 상에 걸림턱(1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단(155)이 고정판(13)을 관통하여 내피(135) 상에서 프레스공정에 의해 압착 고정된 체결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요부 "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U형 고리부가 고정판(130) 상에서 소정각도로 가변위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U형 고리부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지며, 일측말단이 타측말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격자형상의 걸림부(158)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153)이 형성된 체결단(155)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판(130)의 하드 플레이트(133)는, 상기 체결단(155)과 상응하는 소정부위가 관통된 회동공(133a)과, 상기 회동공(133a)을 구심점으로 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취 구성된 안내공(133b)과, 상기 안내공(133b)의 소정부위가 상기 U형 고리부의 외경만큼 연장 절취된 복수의 지지공(133c)으로 구성되며, 그 체결구성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156)인 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공(133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단(155)과 회동가능하게 나사체결 된다.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걸림부(158)는, 상기 지지공(133c)의 배면 상에 걸려 지지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158)측의 고리부를 악력에 의해 가압하여 소정각도로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158)는 안내공(133b)를 따라 가이드 되어 다른 위치의 지지공(133c)에서 탄성복원 되어 고정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이러한 체결구성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U형 고리부를 상기 고정판(130) 상에서 자유로이 각도 변위를 실시하여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스키 등의 동계장비를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형예1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형예2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U형 고리부가 고정판(130) 상에 다수개 입설된 구성으로서 복수의 스키 또는 스노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바인딩부재(160)를 생략하고 스키(1)가 장착 가능한 형태의 유형을 도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형예는 전술한 각도변형이 자유로운 회동형 U형 고리부를 통해 변형실시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200)의 정면도 및 요부“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90)가 캐리어(200)의 측면부위에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지지공(154)을 갖는 지지부재(151)를 예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캐리어(200)의 측면부위에 부가된 손잡이(190)는, 고정판(130), 등판(11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체결구성 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캐리어(200)를 이송할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는 특히, 안전요원이 스키장비 등이 수납된 캐리어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어 인명구난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151)의 구성으로서는, 요부"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로서 연속적인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철부(159)에 대응되는 내측부에 지지공(15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51)는 적절한 체결수단(156)에 의해 상기 고정판(130) 상에 입설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지지부재(151)가 섬유류로 구현되었을 시에는 재봉성형공정에 의해 상기 고정판(130)과 체결되며, 지지부재(151)가 플렉시블재 또는 일정한 경도를 갖는 하드재로 구성될 시에는 각각 리베팅체결 또는 볼트 너트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고정판(130) 상에 입설되는 체결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수의 지지공(154) 상에 바인딩부재(16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키장비 등에 국한 되지 아니한 다양한 용도로서 바인딩 하고자 하는 대상을 용이하게 바인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151)의 재질을 선택함에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3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300)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스키(1) 또는 스노보드(3)의 측면부(1b)가 캐리어(300)의 측방 또는 전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선택적 체결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스키 등의 동계장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함은 물론,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판(130)의 일측면에 상기 고정판(130)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면적을 갖는 덮개부(170)가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덮개부(170)의 전개 선단의 상하단에 각각 장력조절을 실시할 수 있는 밴드(도면부호 미도시)와 앞서 언급한 체결부재(120)의 일부로서, 웅편(121)이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상기 등판(125)과 상기 고정판(130)의 상하단에 상기 웅편(121)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자편(125)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밴드(도면부호 미도시)에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그 체결작용을 좀 더 살펴보면, 스키(1) 또는 스노보드(3)의 바닥면이 상기 고정판(13) 상에 안치되어 바인딩부재(160)의 체결 및 장력조절에 의해 견고히 체결된다. 이후, 상기 덮개부(170)에 구성된 웅편(121)이 상기 고정판(130)과 등판(110)에 구성된 자편(125)과 상호 체결된 이후 밴드의 장력조절을 실시함으로써, 동계장비의 유동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70)는, 전술한 고정판(130)의 내부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강화 플라스틱, 알루미늄재 등의 하드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미려한 외관의 표현이 가능하다.
도 1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동계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레저용 캐리어(300a)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덮개부(170, 170a, 170b)가 복수개 구비되어 병풍과 같이 상호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전면 상에 전술한 고정수단(15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전개 선단부의 상하단에 전술한 구성의 웅편(121a, 121b)이 장착된 밴드가 체결된다. 이에, 상기 등판(110)과 고정판(130)의 양측단의 상하방에는 하나의 몸체에 복수의 요홈(127a, 127b)이 형성된 자편(125)이 체결되는 바, 상기 덮개부(170)의 웅편(121a)은 상기 자편(125)의 요홈(127a)과 체결되고, 상기 덮개부(170b)의 웅편(121b)은 요홈(127b)과 체결된다. 도 16에는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덮개부(170a)의 전개선단부에도 웅편이 체결되어 이에 대응하는 고정판(130) 및 등판(110)에 체결된 자편(125)과 체결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70, 170a, 170b)의 선단간 및 상기 덮개부(170)와 고정판(130)간에는 소정 면적의 유격부(171)가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어 스키 등의 동계장비를 연속적으로 장착하였을 시에 덮개부와 덮개부간, 덮개부와 고정판 간에 소정의 유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복수의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명구조대의 구조 활동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제1 및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레저용 캐리어(300b)의 사시도로서, 고정수단(150)이 복수개 입설된 고정판(130)과 상기 고정수단(150)과 상호 대향되는 상기 등판(110)의 상단부 및 상기 고정판(130)의 하단부에 하나의 요홈이 형성된 자편(125)이 장착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수단(150)을 구성하는 바인딩부재(160a)는, 밴드의 양단에 웅편(121)이 체결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지지부재(151)와 바인딩부재(160a)만으로도 스키의 바닥면이 상기 고정판(130) 상에 안치되게 장착 가능하다.
그 체결원리를 살펴보면,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바닥면을 고정판(130) 상에 안치시킨다. 이후, 바인딩부재(160a)의 양단에 장착된 웅편(121)을 각각 상기 등판(110)과 고정판(130)의 양단 상하방에 구성된 자편(125)과 체결시키며, 바인딩부재(160a)의 밴드를 장력조절 실시함으로써 체결 완료되는 것으로, 구성물을 최소화하면서도 스키를 보다 안전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4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400)의 정면도, 도 19는 제4실시예에 스노보드가 장착된 사용상태예시정면도, 도 20은 제4실시예에 스키가 장착된 사용상태예시정면도로서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바닥면이 고정판(13) 상에 안치될 수 있도록 체결 구성된 레저용 캐리어(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살펴보면, 레저용 캐리어(400)의 고정판(130)은, 좌측상단측면과 우측하단측면 상에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며 그 내부에 쿠션부재를 함유하는 소정형상과 면적을 갖는 파지부(163)가 위치한다. 상기 파지부(163)의 선단에는, 각각 웅편(121a)과 자편(125)이 체결되며, 좌측하단측면과 우측상단측면 상에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밴드(161)에 웅편(121a)과 자편(125a)이 각각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정판(130) 상에는, 스키체결구(165)가 전술한 바 있는 체결수단(156)에 의해 상기 고정판(130) 상에 입설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상기 스키체결구(165)는, 소정길이의 밴드(161)와 상기 웅편(121a)과 대향되는 상기 밴드(161)의 일단에는 자편(125b)이 장착되며, 상기 자편(125a)과 대향되는 상기 밴드(161)의 타단에는 웅편(121b)이 장착되어 있다.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도 19에서와 같이 스노보드(3)를 장착할 시에는, 파지부(163)가 접철되어 웅편(121a)과 자편(125a)을 체결시킨후, 밴드(161)의 장력조절을 실시하여 바인더(2)의 하방을 지지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도 20에서와 같이 스키(1)를 장착할 시에는, 스키체결구(165)의 자편(125b)과 웅편(121b)은 각각 파지부(163)측 웅편(121a)과 고정판(130)의 타측단에 형성된 자편(125a)과 각각 체결되어 밴드(161)의 장력조절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며, 상기와 같이 바인더(2)의 하방을 밴드가 지지하는 방식으로 스키(1)를 고정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파지부(163)는, 스키(1) 또는 스노보드(3)의 일부위를 파지하게 되는 바, 스키 또는 스노보드와 상호 맞닿는 상기 파지부(163)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현되는 마찰부재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고정판(130)의 내피(135)와 수납부재(141) 상에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체결부재(151)를 입설시킴에 따라 고정판(130)을 등판(110)으로부터 상방 전개한 상태에서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장착이 가능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판(130)의 내피(135)와 수납판(141) 상에 스키 등이 체결됨에 따라 착용자가 후방슬립 되어도 고정판(130)이 완충작용을 실시하게 되는 바,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전술한 구성의 레저용 캐리어는, 등판(110)을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이를 보다 상술하면, 일측면 상에 멜빵(111)이 부착되는 고정판(130); 상기 고정판(130)의 타측면 상에 소정간격 입설되어 스키의 소정부위를 파지 고정하는 고정수단(150); 상기 고정판(130)의 타측면 하방 면적에 상기 부츠(5) 또는 인라인스케이트를 수용하기 위해 체결되는 네트형 포켓(143); 상기 고정판(13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고정판(130)의 타측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후크형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덮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130) 및/또는 상기 덮개부는, 하드재인 강화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후크형 개폐부재는, 힌지축과, 핸들과, 후크가 구성되어 상기 핸들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덮개부와 고정판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지된 기술로서, 보통 스테인리스 김치통, 도시락통 등에 적용되어 용기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유형의 후크형 개폐부재와 동일한 체결방식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크형 개폐부재는, 상기한 핸들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덮개부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상호 보완적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조합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는, 하중의 분산이 용이하게 설계 구성되어, 착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구성부품을 최소화하는 한편, 부츠 또는 인라인스케이트 또는 운동화 등의 일상화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수단에 의해 다수의 스키 및/또는 스노보드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인명구조요원 등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스키 등의 체결형태가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인정되며, 아울러,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각도를 변위시켜 장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보다 넓어졌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키 및 스노보드 캐리어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부츠와 스키가 각각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부츠가 장착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스키가 장착된 정면도.
도 8은, 도 4의 요부"A"를 확대 절개한 내부 구성도.
도 9는, 요부 "A"의 변형예시단면도.
도 10은, 요부 "A"의 다른 변형예시단면도.
도 11은, 요부 "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형예1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형예2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의 정면도 및 요부 "B"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1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제1 및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캐리어의 정면도.
도 19는, 제4실시예에 스노보드가 장착된 사용상태예시정면도.
도 20은, 제4실시예에 스키가 장착된 사용상태예시정면도.
도 21은,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 : 스키 1a : 스키측면
1b : 스키상면 2 : 바인더
3 : 스노보드 5 : 부츠
100, 200, 300, 300a, 300b, 400, 500 : 레저용 캐리어
110 : 등판 111 : 멜빵
113, 171 : 유격부재 115 : 접철부
120 : 체결부재 121 : 웅편
123 : 탄성다리 125 : 자편
127 : 요홈
130 : 고정판 131 : 외피
133 : 하드 플레이트 133a : 회동공
133b : 안내공 133c : 고정공
135 : 내피 136, 146 : 야광라인
140 : 부츠수납부 141 : 수납부재
143 : 네트형 포켓 145 : 네트
147 : 스트링
150 : 고정수단 151 : 지지부재
152 : 코팅층 153 : 통공
154 : 지지공 155 : 체결단
156 : 체결수단 157 : 걸림턱
158 : 걸림부 159 : 철부
160 : 바인딩부재 161 : 밴드
163 : 파지부 165 : 스키체결구
170, 170a, 170b : 덮개부 180 : 레저용품 수납부
181 : 파스너 182 : 마감부재
190 : 손잡이

Claims (18)

  1. 멜빵이 부착된 등판;
    내피, 하드 플레이트, 외피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등판의 상방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면부위에 스키 또는 스노보드를 체결하는 고정수단;
    상기 등판과 상기 고정판이 상호 맞닿는 각 말단부위에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체결부재;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상방과 일측면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
    소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등판 중 상기 고정판과 상호 대향되는 면의 하단부위가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상방 및 상기 등판의 상방 소정부위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등판의 양측단에 스키, 스노보드용 부츠 또는 인라인스케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수납하기 위한 네트형포켓으로 이루어진 부츠수납부; 및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글, 장갑 등의 레저용품을 수용하는 레저용품 수납부를; 포함하는 레저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용품 수납부는,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 중 상기 수납부재와 인접하는 부위면에 체결되며 파스너, 벨크로테이프, 투터치 벨트 또는 똑딱단추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상태로 된 개폐부재가 장착된 소정 면적을 갖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밴드의 양말단에 체결부재가 장착된 바이딩부재와,
    상기 고정판 전면에 입설되어 상기 밴드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공을 갖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말단, 타측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의 내경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U형 고리부와,
    상기 통공과 나사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U형 고리부의 양말단 또는 볼트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U형상으로서 외경 소정부위가 확대 연장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표면상에 튜브 또는 코팅층이 구성된 U형 고리부로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고정판의 외피 상에 지지되며, 양말단부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의 내피와 압착 고정체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형 고리부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지며, 상기 일측말단이 상기 타측말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격자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말단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된 체결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체결단과 상응하는 소정부위가 관통된 회동공,
    상기 회동공을 구심점으로 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절취되는 안내공,
    상기 안내공의 소정부위가 상기 U형 고리의 외경만큼 연장 절취된 복수의 지지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단과 회동가능하게 나사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에 요철에 상응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맞닿는 요부가 리베팅 체결 또는 재봉성형 또는 볼트 너트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판과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내피 및 상기 수납부재의 외피 상에 고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는,
    횡측방 또는 상하측방으로 접철 가능하게 체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개선단부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 상에는 각각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면이 상호 접철 및 전개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덮개부 각각의 전개선단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판의 상하양측단에는 각각 밴드가 체결되며, 상기 밴드에는 상기 고정판의 양단이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소정형상으로 측방 연장되어 상기 고정판의 전면을 향해 접철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스키 또는 스노보드의 일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부위에 상기 밴드 또는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상기 체결부재와 상응하는 중앙부위면 상에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과 타측면 상에 장착된 체결부재와 동시 체결될 수 있도록 설정된 또 다른 체결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4.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다리를 갖는 웅편과, 상기 탄성다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요홈을 구비하는 웅편으로 이루어진 투터치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면,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웅편과,
    상기 웅편에 상응하는 상기 등판 또는 고정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는 하나의 몸체에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웅편이 동시 체결 가능한 자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6. 제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부재의 체결부재는 상기 웅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편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캐리어.
  17. 삭제
  18. 삭제
KR1020040025128A 2003-09-22 2004-04-12 레저용 캐리어 KR10050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28A KR100507267B1 (ko) 2004-04-12 2004-04-12 레저용 캐리어
PCT/KR2004/002432 WO2005027678A1 (en) 2003-09-22 2004-09-22 Knapsack type carrier for lei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28A KR100507267B1 (ko) 2004-04-12 2004-04-12 레저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267B1 true KR100507267B1 (ko) 2005-08-10

Family

ID=3730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128A KR100507267B1 (ko) 2003-09-22 2004-04-12 레저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36B1 (ko) 2005-04-01 2007-05-17 이주훈 분리형 레저용품 스키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36B1 (ko) 2005-04-01 2007-05-17 이주훈 분리형 레저용품 스키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332A (en) Pack with integrated ski and snowboard cuff system
JP3880695B2 (ja) 柔軟で、引張に強い方向転換手段を含むスポーツ靴
US4518107A (en) Carrier system for ski equipment
US6010051A (en) Apparatus for releasably carrying recreational equipment
US5152013A (en) Versatile tandem belt
US4120437A (en) Carrier for skis and ski poles
US5647522A (en) Load carrying system with friction-enhanced load carrying embrasure
US8499987B2 (en) Support element for a carry strap
US8998052B1 (en) Skateboard carrier strap with reflective stripe
US6832711B2 (en) Backpack
US20140014697A1 (en) Sports Equipment Carrying System
US9241557B2 (en) Snow sport bag
WO1993024032A1 (en) Ski carrier
US20160144266A1 (en) Harness and snowshoe frame
US20070114255A1 (en) Adjustable belt for carrying sporting equipment
JPH1080305A (ja) スポーツ靴用の可変断面を有する紐およびこの種の紐を備えたスポーツ靴
KR100507267B1 (ko) 레저용 캐리어
US5931270A (en) Briefcase handle and strap supports
KR100719236B1 (ko) 분리형 레저용품 스키캐리어
US4152002A (en) Ski boot carrier
WO2005027678A1 (en) Knapsack type carrier for leisure
US20110057004A1 (en) Sport Board Carrying Harness
US20090159629A1 (en) Rucksack which may be switched to a front position
US9656151B2 (en) Skin cleat
RU2612991C2 (ru) Темляк для лыжной палки или аналогичного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