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256B1 - Static control wrist strap - Google Patents

Static control wrist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256B1
KR100507256B1 KR10-1998-0710678A KR19980710678A KR100507256B1 KR 100507256 B1 KR100507256 B1 KR 100507256B1 KR 19980710678 A KR19980710678 A KR 19980710678A KR 100507256 B1 KR100507256 B1 KR 10050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rap
tether
conductive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2258A (en
Inventor
브라이언 엠. 콕스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to KR10-1998-071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256B1/en
Publication of KR2000002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25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4Leading-off electric charges, e.g. by ear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전 제어 손목 밴드(10)는, 제1 폴리머 절연층과 이 제1 층과 일체로 성형되는 제2 도전층(14)을 갖는 스트랩(12)과, 제2 층과 도전성 테더의 상호 접속을 위한 접촉 수단(22)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 치수에 맞도록 스트랩의 유효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접지 경로를 부단히 감시하는 장치를 제공하도록 제3 도전층(24)이 포함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테더와의 연결을 위해 도전층의 일부를 통해 스냅이 통과하는 통상의 아일릿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도전층(14) 상에 외삽 성형되거나, 도전층이 절연층에 시트 또는 관 형상으로 폴리머 동시 성형, 동시 압출 또는 삽입 성형된다. 테더는 가요성 보강 부재를 둘러싸는 도전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접지 코드를 포함하고, 이 보강 부재는 금속선, 금박이 감긴 폴리아미드 섬유사, 금속 피복된 섬유일 수 있다. 테더의 도전층은 도전성 필러가 포함된 가요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요성 폴리머 절연층이 도전층을 둘러싼다. 테더는 사용 중에 여분의 길이부가 남지 않도록 코일로 형성되기도 한다.The electrostatic control wristban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p 12 having a first polymer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14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layer, and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conductive tether. Contact means 22 for connection and means for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ap to fit the wrist or ankle dimensions of the user. The third conductive layer 24 can be included to provide a device that constantly monitors the ground path. The contact means may comprise a conventional eyelet through which a snap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for connection with the tether. The insulating layer is extrapolated onto the conductive layer 14, or the conductive layer is co-molded, co-extruded or insert molded into a sheet or tubular shape to the insulating layer. The tether includes a ground cord, which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layer surrounding the flexible reinforcing member, which may be a metal wire, gold foil wound polyamide fiber yarn, metal coated fiber. The conductive layer of the tether may be composed of a flexible elastomer containing a conductive filler, with the flexible polymer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conductive layer. The tether may be formed into a coil so that no extra length is left during use.

Description

정전 제어 손목 스트랩{STATIC CONTROL WRIST STRAP}Power Control Wrist Straps {STATIC CONTROL WRIST STRAP}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특히 주로 폴리머이고 성형 공정을 통해 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는 정전 제어 손목 밴드 및 도전성 (접지) 테더(teth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devices for preventing electrostatic discharge, in particular electrostatically controlled wristbands and conductive (ground) tethers which are primarily polymer and are form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device through the molding process.

정전기장의 존재뿐 아니라 정전기 방전은 민감한 전자 (고체 상태) 부품에 치명적일 수 있다. 최신 반도체와 집적 회로는 이와 같은 정전기 형성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및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도구로는 과도한 정전하를 배출해 내도록 설계된 도전성 접지 테더가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는 미국 특허 제4,677,521호, 제5,018,044호 및 제5,184,274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resence of electrostatic fields, electrostatic discharges can be fatal to sensitive electronic (solid state) components. Modern semiconductors and integrated circuits can be degraded or damaged by such static buildup. Common tools used to control electrostatic discharge and formation include conductive ground tethers designed to dissipate excessive static charge. A general discussion of such a device can be found in US Pat. Nos. 4,677,521, 5,018,044 and 5,184,274.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손목 밴드와 테더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치의 단가를 높인다. 이러한 장치는 특정 용도에는 유용한 특징이 있지만, 안전성 및 효과적인 접지라는 가장 기본적인 과제를 고려하였을 때는 비교적 고가이다. 미국 특허 제3,857,397호와 제4,698,724호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다 저렴하고 간단한 밴드가 설계되었는데, 이들 설계는 몇 가지 고유의 제한점을 갖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두 가지 설계는 일체형 손목 밴드/테더인데, 이것은 테더를 손목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설계와는 달리, 장치의 테더 부분이 파손되면 손목 밴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역으로 손목 밴드가 파손되면 테더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작업장 밖으로 나가기를 원할 때에는 손목 밴드를 완전히 벗어버리거나, 테더 부분을 매달고 다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두 설계는 모두 (미국 특허 제5,018,044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도체 시스템(dual conductor system)의 용도에도 적절하지 못하다. 마지막으로, 손목 밴드의 유효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57,397호의 후크/루프형 고정 스트립 또는 제4,698,724호의 접착층과 같이, 밴드에 별도로 부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별도의 부착 공정은 제조 비용을 높이지만, 충분한 도전성을 갖도록 피부에 적절히 접촉하면서 혈액 순환을 저해하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너무 조이지 않게 장치가 적당히 조절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제한점을 극복하면서 내구성이 있고 저렴하고 부품수가 적은 손목 밴드를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용하다.The wrist band and tether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hereby increasing the unit cost of the device. While these devices have useful features for certain applications, they are relatively expensive given the most basic challenges of safety and effective grounding. Cheaper and simpler bands, such as those shown in US Pat. Nos. 3,857,397 and 4,698,724, are designed, which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some inherent limitations. For example, the two designs described above are integral wristbands / tethers, which, unlike designs that releasably connect the tethers to the wristbands, may cause the wristband to no longer be used if the tether portion of the device is broken, On the contrary, if the wrist band is broken, the tether can no longer be used, and it also means that when the user wants to leave the workplace, the wrist band must be completely removed or the tether part is suspended. Both of these designs are also unsuitable for the use of dual conductor systems (as shown in US Pat. No. 5,018,044). Finally, the means for adjusting the effective size of the wrist band must be attached separately to the band, such as, for example, a hook / loop-type fixing strip of US Pat. No. 3,857,397 or an adhesive layer of No. 4,698,724. This separate attachment proces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bu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device can be properly adjusted so as not to be too tight so as not to disturb or distract blood circulation while properly contacting the skin to have sufficient conductivity. Therefore, it is desirable and useful to devise a wristband that is durable, inexpensive and has fewer parts while overcoming the above limitation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잘 이해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정전 제어 손목 밴드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electrostatic control wrist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of a wris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정전 제어 손목 밴드의 이중 도체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도2와 유사한 다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nufacturing process similar to FIG. 2 except for a double conductor embodiment of an electrostatic control wristband. FIG.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의 폐루프 실시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osed loop embodiment of the wris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폐루프 손목 밴드의 이중 도체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도4와 유사한 다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nufacturing process similar to FIG. 4 except for the double conductor embodiment of the closed loop wrist band. FIG.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접지 코드의 층상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ground cord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일단부에 커넥터를 갖는 테더형으로 만들어진, 도6의 접지 코드의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cord of FIG. 6, made tethered with connectors at one end; FIG.

도8은 본 발명의 정전 제어 손목 밴드의 다른 조절 수단의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djusting means of the electrostatic control wrist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정전 제어 힐(heel) 스트랩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static control heel strap that may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대체로 제1 폴리머 절연층과 이 제1 층에 일체로 성형되는 제2 도전층을 갖는 스트랩과, 제2 층을 도전성 테더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 수단과, 사용자의 팔 혹은 다리의 치수에 맞도록 스트랩의 유효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정전 제어 손목 밴드를 제공한다. 이중 도체형 손목 밴드는 제1 층과 또한 일체로 성형되는 제3 도전층과, 이 제3 층을 제2 도전 테더와 상호 접속시키는 제1 접촉 수단으로부터 전기 절연된 제2 접촉 수단을 구비하여, 미국 특허 제5,057,9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밴드 또는 테더가 계속적인 접지 상태를 제공하는데 실패하였을 때 경보로써 착용자에게 알리도록 접지 경로를 부단히 감시하는 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조절 수단은 상기 스트랩의 단부에 부착되는 버클을 포함하거나, 또는 손목 스트랩은 스트랩에 일련의 주름이 있는 폐루프형 탄성 스트랩을 마련함으로써 자체 조절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제2 층의 일부분을 통과하는 통상의 아일릿(eyelet)과 테더에 연결되는 스냅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접촉 수단은 테더 잭을 수용하도록 스트랩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층으로 형성되는 내표면을 갖는 구멍으로 간단히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strap having a first polymer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integrally molded to the first layer, contact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second layer to the conductive tether, and a user's arm or leg An electrostatically controlled wristband is provided that includes means for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ap to fit the dimensions. The dual conductor-type wrist band includes a third conductive layer that is also integrally molded with the first layer and second contact mean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contact means interconnecting the third layer with the second conductive tether, As disclosed in US Pat. No. 5,057,965,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device that constantly monitors the ground path to alert the wearer as an alarm when the band or tether fails to provide a continuous ground state. The adjusting means may comprise a buckle attached to the end of the strap, or the wrist strap may be self-adjusting by providing a closed looped elastic strap with a series of pleats in the strap. The contact means comprises a conventional eyelet passing through a portion of the second layer and a snap portion connected to the tether, or the contact means is formed on the strap to receive the tether jack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is formed of a conductive layer. It can simply be provided as a hole having a.

손목 밴드는, 도전층이 폴리머인 경우 도전층 상에 절연층을 외삽 성형(overmolding)하거나, 절연층과 동시 압출(coextrusion), 동시 성형 또는 삽입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시트 형상으로 동시 압출되거나 관형 부재로 동시 압출되어, 폐루프 손목 밴드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The wrist band may be manufactured by overmolding the insulating layer on the conductive layer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a polymer, or by coextrusion, co-molding or insert molding with the insulating layer. The layers may be co-extruded into a sheet shape or co-extruded into a tubular member to provide a closed loop wrist band embodiment.

또한, 새로운 접지 코드(grounding cord)가 제공되는데, 이 코드의 테더는 가요성 보강 부재와, 이 보강 부재를 둘러싸는 도전층과, 금속 피복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꼬인 구리선 또는 절연성 폴리아미드 섬유사 둘레에 금박이 감기거나 금속 피복된 섬유이다. 도전층은 도전성 필러가 포함된 가요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고, 절연층은 이 도전층을 둘러싸고, 절연층도 가요성 폴리머로 구성된다. 테더의 소정 단부에 위치한 도전층은 특정 커넥터형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시 여분의 길이부가 남지 않도록 테더의 일부를 코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new grounding cord is also provided, the tether of which consists of a flexible reinforcing member, a conductive layer surrounding the reinforcing member, and a metal sheath, the reinforcing member being twisted copper wire or insulating polyamide. A gold foil or metal-clad fiber around a fiber yarn. The conductive layer is composed of a flexible elastomer containing a conductive filler, the insulating layer surrounds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s also composed of a flexible polymer. A conductive layer located at a predetermined end of the tether is formed to attach to a particular connector type. It is desirable to form part of the tether into a coil so that no extra length is left in use.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특히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전 제어 손목 밴드의 일실시예(10)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손목 밴드(10)는, 전기 도전층(14)과 일체로 성형되는, 전기 절연성 가요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 스트랩(12)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세히 논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전층(14)은 예를 들어, 외삽 성형, 동시 성형, 삽입 성형 또는 동시 압출에 의해 스트랩(12)에 영구 부착된다. 스트랩(12)은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E.I. duPont de Nemours)로부터 입수 가능한 내구성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인 하이트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 밴드의 색상 지정을 위해 색소가 추가될 수 있다. 도전층(14)은 금속 재료일 수 있지만, 손목 밴드(10)의 착용자에게 형성된 정전기를 일소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1×106 Ω/sq 미만의 표면 저항)이도록 도전성 필러가 포함된 폴리머 재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재료로는 입자 특성 및 크기에 따라 15 내지 40 중량%의 도전성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하이트렐이 적절하다.Referring now to the drawings, and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FIG. 1, one embodiment 10 of an electrostatic control wrist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general, wrist band 10 is comprised of strap 12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flexible polym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molded with electrical conductive layer 14. As discussed in detail below, the conductive layer 14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strap 12 by, for example, extrapolation, co-molding, insert molding or co-extrusion. Strap 12 is this. childre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Hytrel, a durable thermoplastic elastomer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 available from EI duPont de Nemours. Pigments may be added to color the wristband. The conductive layer 14 may be a metal material, but includes a conductive filler to be at least partially conductive (surface resistance less than 1 × 10 6 Ω / sq) to dissipate the static electricity formed in the wearer of the wristband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polymer material. As the material, Hytrel including 15 to 40% by weight of conductive carbon powder is suitable depending on particle characteristics and size.

도전층(14)은 스트랩(12)을 따라 두꺼운 부분(16)에 위치된다. 전기 도전성 아일릿(18)은 도전층(14) 내에 형성된 구멍과 스트랩(12)의 두꺼운 부분(16) 내에 형성된 구멍(20)을 관통하여, 손목 밴드(10)를 접지 테더와 상호 접속시키는데 사용되는 수형 스냅부(22)에 부착된다. 다양한 치수의 스냅(예를 들어, 4 ㎜, 5 ㎜, 7 ㎜ 또는 10 ㎜)이 이같이 스트랩(12)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랩(12)의 두꺼운 부분(16)에는 스냅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아일릿과 스냅은 손목 스트랩 내에 성형될 수도 있다. 청정실 용도를 위해 추가의 층(24)이 탄소 함유층 상에 위치되는 도전성, 친수성 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같은 중요한 적용예에 있어서는, 먼지(입자 또는 섬유) 또는 기체의 방출이 적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14 is located in the thick portion 16 along the strap 12.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yelets 18 pass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14 and holes 20 formed in the thick portion 16 of the strap 12 to be used to interconnect the wristband 10 with a ground tether. It is attached to the male snap portion 22. Snaps of various dimensions (eg, 4 mm, 5 mm, 7 mm or 10 mm) can thus be attached to strap 12. The thick portion 16 of the strap 12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 23 for receiving a snap. Optionally, the eyelets and snaps may be molded into the wrist strap. Additional layers 24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hydrophilic membranes positioned on the carbon containing layer for clean room applications. In this important application, materials with low release of dust (particles or fibers) or gases can be used.

여러 형상부가 스트랩(12)에 성형된다. 손목 밴드의 길이 조정을 위해, 한 쌍의 소형 스터드(26) 및 대형 스터드(28) 등의 보유 핀 또는 스터드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이들 각각은 타단부에 형성된 대응 구멍(30 및 32)에 각기 결합된다. 이들은 길이를 불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므로, 신장 가능한 링크(34)와 같은 경감부를 구성함으로써 추가의 여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터드 상부 위치에서 스트랩(12)의 타단부를 보유하도록 제1 레일(36)이 스터드(26, 28) 근방에 마련되어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스트랩의 여분의 길이부를 보유하기 위해서 제2 레일(38)이 마련된다. 타단부(40)는 레일(36, 38) 아래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테이퍼링 될 수 있다. 스트랩의 가요성을 증진시켜서 스트랩이 사용자의 손목 둘레에 잘 맞게 하기 위해, 리브 또는 홈(42)과 같은 다른 경감부를 스트랩을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Several features are molded to the strap 12.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rist band, a retaining pin or stud such as a pair of small studs 26 and a large stud 28 is formed at one end, each of which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holes 30 and 32 formed at the other end. Each combined. They allow for discontinuous adjustment of the length, so that additional relief may be provided by constructing a relief, such as stretchable link 34. The first rail 36 is provided near the studs 26 and 28 to hold the other end of the strap 12 in the stud upper position to form an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rail 38 to retain the extra length of the strap. ) Is provided. The other end 40 may be tapered to facilitate insertion under the rails 36, 38. Other reliefs, such as ribs or grooves 42, may be formed along the strap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the strap so that the strap fits nicely around the user's wrist.

전술한 설계는 몇 가지 장점을 갖는다. 접지 손목 스트랩의 기본적인 특성을 모두 제공하는 것 외에도, 손목 밴드(10)가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치수로 모든 사람의 피부에 적절히 접촉하는 상태로 편하게 맞는다. 특히, 4개의 부품[스트랩(12), 도전층(14), 아일릿(18), 스냅(22)]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조 비용이 낮다. 또한, 제조 공정 중에 색소를 바꿈으로써, 적절한 색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후에 논의하게 될 바와 같이, 손목 밴드는 일체식의 스트랩과 도전층을 간단히 제조하고 추가 부품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외삽 성형 또는 동시 압출 공정을 통해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다.The above design has several advantages. In addition to providing all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 ground wrist strap, the wrist band 10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to fit comfortably in proper contact with everyone's skin in one dimension. In particular,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when four components (strap 12, conductive layer 14, eyelet 18, snap 22) are used. Moreover, by changing a pigment | dye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appropriate color can be selected easily. As will be discussed later, wristbands can be made relatively easily through an extrapolation or coextrusion process that allows for simple fabrication of integral straps and conductive layers and rapid assembly of additional component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의 다른 실시예(44)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손목 밴드(44)는 더 넓은 절연 폴리머 재료의 시트 상에 도전성 (탄소 함유) 재료의 시트를 외삽 성형하고, 개별 손목 밴드(44)가 형성될 수 있는 일체형 시트(46)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시트(46) 제조의 제1 단계에서는, 손목 밴드(44)의 스트랩부(48)의 경계선을 한정하도록 시트 내에 라인이 절단될 수 있고, 스트랩의 두꺼운 부분을 통해 구멍이 펀칭된다. 다음 조립 단계에서는, 아일릿(50)과 스냅(52)이 부착된다. 최종 단계에서는, 버클(54)이 스트랩(48)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홈 또는 오목부(56)가 버클(54)의 부착부와 정합하도록 스트랩(48)의 상기 단부에 형성된다. 이 스트랩 단부(48)는 버클(54)을 통과할 수 있도록 테이퍼링된 리드부(58)를 갖는데, 리드부(58)는 버클의 부착 후에 절단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44 of the wris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rist band 44 is constructed by extrapolating a sheet of conductive (carbon containing) material on a sheet of wider insulating polymer material and forming an integral sheet 46 on which individual wrist bands 44 can be formed. In the first step of manufacturing the seat 46, a line may be cut in the sheet to define the boundary of the strap portion 48 of the wrist band 44, and a hole is punched through the thick portion of the strap. In the next assembly step, the eyelet 50 and the snap 52 are attached. In the final step, buckle 54 is attached to one end of strap 48. A groove or recess 56 is formed in the end of the strap 48 to mate with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buckle 54. This strap end 48 has a tapered lead portion 58 that can pass through the buckle 54, which is cut after attachment of the buckle.

유사한 공정 및 설계가 도3에 도시되었다. 유일한 차이점은 절연층이 2개의 도전층 상에 외삽 성형되는 것인데, 여기서 2개의 도전층은 약간 분리되어 있어, 완성된 손목 밴드(60)에서는 2개의 개별적인 도전부(62, 64)가 스트랩의 내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2개의 스냅(66, 68)이 스트랩 상의 각 아일릿에 부착되어 2개의 도전부(62, 64)와 각기 접촉한다. 이렇게 하면 이중 도체 손목 밴드(60)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이중 도체 감시 시스템(dual conductor monitoring system)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Similar processes and designs are shown in FIG.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insulating layer is extrapolated on the two conductive layers, where the two conductive layers are slightly separated, so that in the finished wristband 60 two separate conductive portions 62, 64 are formed in the strap. It is formed along the surface. Two snaps 66, 68 are attached to each eyelet on the strap to make contact with the two conductive portions 62, 64, respectively. This allows dual conductor wrist band 60 to be used with dual conductor monitoring systems known in the art.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루프 손목 밴드의 다른 실시예(70)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2와 도3의 공정에서와 같이, 손목 밴드(70)는 절연층에 이미 일체로 형성된 도전층을 갖는 넓은 재료로부터 스트랩을 절단하여 만들어지는데, 도4에 있어서는 손목 밴드가 시트가 아닌 관형 부재(72)로부터 형성되어 손목 밴드(70)가 폐루프가 되기 때문에, 손목 스트랩의 단부를 부착시키기 위한 버클 또는 다른 요소가 필요 없다. 관형 부재(72)는 도전층(74)을 절연 폴리머 재료와 함께 동시 압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압출 공정 중에, 접지 테더의 단부에 있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멍(76)이 스트랩 내의 두꺼운 부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멍(76)은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층으로 형성되는 내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멍(76)을 형성하는 것은 장치의 비용을 더 낮추는데, 그 이유는 다른 부품(즉, 아일릿과 스냅)을 추가하지 않고도 테더를 상호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손목 밴드(70)는 절곡부 또는 주름부(78)를 갖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버클 등의 추가 조절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자체 조절식, 즉 만족스러운 피부 접촉 상태를 달성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손목 주위에 신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주름부(78) 대신에, 일련의 소형 횡방향 절단부가 스트랩 부분에 형성되어 자체 조절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4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70 of a closed loop wris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rocess of Figures 2 and 3, the wristband 70 is made by cutting the strap from a wide material having a conductive layer already integrally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In Figure 4, the wristband is a tubular member, not a sheet. Since it is formed from 72 and the wristband 70 becomes a closed loop, there is no need for a buckle or other element to attach the end of the wrist strap. The tubular member 72 can be formed by coextrusion of the conductive layer 74 with an insulating polymeric material.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holes 76 may be formed in thick portions within the strap to receive plugs at the ends of the ground tether. The hole 76 has an inner surface whose at least part is formed of a conductive layer. Forming holes 76 in this manner further lowers the cost of the device because the tether can be interconnected without adding other components (ie, eyelets and snaps). Wrist band 7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bends or creases 78 to allow for self-adjustment, i.e. satisfactory skin contact,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adjustment elements such as buckles, around wrists of various sizes. It can be stretched and fixed in the Instead of the pleats 78, a series of small transverse cuts may be formed in the strap portion to provide self adjustment.

도5는 도4와 유사하지만, 도3의 공정과 같이 개별 도전층(82, 84)을 갖도록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의 다른 이중 도체 실시예(80)를 도시한다. 또한, 도5는 도4의 플러그 수용 구멍(76) 대신에 상기 설계에 사용될 수 있는 스냅(86)을 도시한다.FIG. 5 shows another double conductor embodiment 80 of the wrist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FIG. 4 but formed to have separate conductive layers 82 and 84 as in the process of FIG. FIG. 5 also shows a snap 86 that may be used in the design instead of the plug receiving hole 76 of FIG.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손목 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접지 테더(90)를 도시한다. 테더(90)는 전술한 손목 밴드와 몇 가지 동일한 설계 특성, 즉 절연층과 동시 압출되는 도전층을 포함하고 주로 폴리머 구성을 갖는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테더(90)는 하이트렐과 같은 절연성 폴리머로 된 외층(92)과, 도전성 재료(탄소 함유 하이트렐이 바람직함)로 된 내층(94)을 갖는다. 탄소 함유량이 32 %일 때, 테더(90)로 만들어진 통상의 접지 코드(10'길이)는 약 2 ㏁의 저항을 갖는다. 도전층(94)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러한 형상이 필수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층들은 인장 필라멘트(tensile filament)를 사용하여 외삽 성형되거나 동시 압출될 수 있다. 도전층(94)의 중심 부근은 보강 부재,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또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로부터 입수 가능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인 케블라(Kevlar)로 된 보강 섬유(96)이다. 또한, 보강 부재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체 금속 와이어이거나, 폴리에스터 또는 노멕스(Nomex;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리아미드임) 섬유의 보강선 상에 권취되는 금박일 수도 있다.6 and 7, these figures show a new ground tether 90 that can be used with the wrist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ether 90 has some of the same design features as the wristbands described above, that is, a conductive layer that is coextruded with an insulating layer and mainly has a polymer configuration. Specifically, the tether 90 has an outer layer 92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such as Hytrel, and an inner layer 94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rbon-containing Hytrel is preferable). When the carbon content is 32%, a typical ground cord 10 'long made of tether 90 has a resistance of about 2 kΩ. Although the conductive layer 94 is shown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such a shape is not essential. The layers can be extrapolated or coextruded using tensile filaments. Near the center of the conductive layer 94 is a reinforcing member, preferably polyester or E. children. Reinforcing fibers 96 of Kevlar, an aromatic polyamide available from Dupont de Nemo.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olid metal wires or wound on reinforcement lines of polyester or Nomex (polyamide available from E. Dupont de Nemoa) fibers. It may be gold leaf.

도7은 테더(90)가 각 단부에 커넥터를 갖는 접지 코드로 제조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바나나형 플러그(98)가 요구되거나 바람직한 경우, 이러한 플러그는 바나나 플러그 상에 형성된 주름 튜브를 이용하여 테더(90)의 일단부에서 노출된 도전층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바나나 플러그도 폴리머로 성형되는 부품이다. 스냅(22)과 같은 스냅에 상호 접속이 필요한 경우, 테더(90)의 일단부에서 노출된 도전층은 금속 스냅(100)에 대한 폴리머의 열 스탬핑 또는 용접을 위해 납작한 단부로 구부려질 수 있다. 대신에 단부가 저항기에 접속되고 저항기가 금속 스냅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테더의 단부를 파지하는 프롱(prong)을 갖는 암형 스냅이 도전성 하이트렐로 성형될 수 있다. 단부 보강을 위해 외삽 성형된 절연체와 응력 저하 부츠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7 shows how tether 90 is made of a ground cord having connectors at each end. If a banana plug 98 is required or desired, such a plug can be attached directly to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at one end of the tether 90 using a pleated tube formed on the banana plug. Banana plugs are also polymer molded parts. If a snap, such as snap 22, is required for interconnection, the conductive layer exposed at one end of the tether 90 may be bent to a flat end for thermal stamping or welding of the polymer to the metal snap 100. Instead, the end may be connected to a resistor and the resistor may be connected to a metal snap. Alternatively, female snaps with prongs gripping the ends of the tether may be molded with conductive hytrel. Extrapolated insulators and stress relief boots can be used further for end reinforcement.

또한, 도7은, 테더의 재료가 탄성 중합체인 경우, 사용시 여분의 테더 길이부를 최소화하기 위해, 테더(90)의 일부(102)를 맨드릴 상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고 가열후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코일 형상을 기억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절연층(92)은 내구성을 위해 듀로미터 경도가 더 큰 재료(45 내지 80 쇼어 D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도전층(94)의 듀로미터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쇼어 D의 범위). 섬유(96)는 0.08 ㎜ 내지 0.38 ㎜(0.003 인치 내지 0.015 인치)의 직경을 갖고, 도전층(94)은 약 1.78 ㎜(0.070 인치)의 외경을 가지며, 절연층(92)은 약 2.41 ㎜(0.095 인치)의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IG. 7 shows a coil shape by winding a portion 102 of the tether 90 into a coil shape on a mandrel and rapidly cooling after heating to minimize extra tether length in use when the material of the tether is an elastomer. It shows how to make me remember. The insulating layer 92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a higher durometer hardness (in the range of 45 to 80 Shore D) for durability (the durometer hardness of the conductive layer 94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to 50 Shore D ). Fiber 96 has a diameter of 0.08 mm to 0.38 mm (0.003 inch to 0.015 inch), conductive layer 94 has an outer diameter of about 1.78 mm (0.070 inch), and insulating layer 92 is about 2.41 mm ( 0.095 inch).

도8은 다양한 조절 수단을 갖는 정전 제어 손목 밴드(104)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힌지 버클(106)이 스트랩에 일체로 성형되고, 버클은 약간 호형인 제1 부분(108)과 약간 호형인 제2 부분(110)을 갖는데, 이 버클이 닫히는 경우, 제2 부분(110)은 제1 부분(108)에 겹쳐진다. 리빙 힌지(112)는 2개의 부분(108, 110)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부분(108)은 제2 부분(110)을 제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 핑거(114)를 갖는다. 2개의 부분(108, 110)의 정렬을 돕기 위해 범프(116)와 리지(118) 등의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부분(110)의 밑면에는 대응하는 구멍 또는 노치가 형성된다.8 shows another variant embodiment of the electrostatic control wrist band 104 with various adjustment means. Specifically, hinge buckle 106 is integrally molded to the strap, and the buckle has a slightly arced first portion 108 and a slightly arced second portion 110, when the buckle is closed, the second portion ( 110 overlaps the first portion 108. Living hinge 112 is formed between two portions 108, 110. The first portion 108 has a latch finger 114 for releasably securing the second portion 110 in place. Other members, such as bumps 116 and ridges 118, may be used to help align the two portions 108 and 110, with corresponding holes or notches formed in the underside of the second portion 110. FIG.

도9는 본 발명이 손목 밴드와 유사한 정전 제어 장치, 특히 힐 스트랩(120)에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힐 스트랩(120)은, 전술한 손목 밴드와 유사한, 일체 성형된 도전층(124)을 갖는 전기 절연성 폴리머 주 스트랩부(122)를 포함한다. 그러나, 힐 스트랩(120)은 도전층(124)이 하방을 향하도록, 즉 지면이나 정전 제어 플로어 매트 등과 접촉하도록 착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전층(124)은 깔쭉깔쭉한 표면과 같은 미끄럼 방지면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스트랩(120)은 스트랩(120)이 착용자에게 고정되도록 발 또는 신발의 상측 호형부를 감싸는 전방 중첩부(126, 128)를 갖는다. 다른 부분(130)은 뒤꿈치의 후방측 둘레를 감싼다. 부분(130)은 다른 아일릿 또는 리벳(132)에 의해 포개진 형상으로 고정된다. 아일릿(132)은, 그 타단부가 다른 아일릿(136)에 부착되는 저항기(134)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그런 다음 아일릿(136)은 다른 도전성 스트립(138)을 스트랩(120)에 고정시킨다. 도전성 스트립(138)은 착용자의 발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있도록 착용자의 신발 내에 넣어진다.Figure 9 illustrates how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electrostatic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a heel strap 120, similar to a wrist band. Heel strap 120 includ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 main strap portion 122 having an integrally formed conductive layer 124, similar to the wrist band described above. However, the heel strap 120 is configured to be worn such that the conductive layer 124 faces downward, i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electrostatic control floor mat, or the like. The conductive layer 124 may be molded to have a non-slip surface, such as a jagged surface. Strap 120 has front overlaps 126 and 128 that wrap around the upper arc of the foot or shoe so that strap 120 is secured to the wearer. The other portion 130 wraps around the posterior side of the heel. Portion 130 is secured in a nested shape by another eyelet or rivet 132. The eyelet 132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resistor 134 whos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other eyelet 136. Eyelet 136 then secures another conductive strip 138 to strap 120. The conductive strip 138 is encased in the wearer's shoe so as to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설명이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description is not meant to be interpreted in a limiting sens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by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정전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static discharge, 탄성 재료로 형성된 제1 폴리머 절연층과, 상기 제1 층과 일체로 성형되는 제2 도전층을 갖는, 폐루프인 스트랩과,A strap that is a closed loop having a first polymer insulating lay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mol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layer; 상기 제2 층과 도전성 테더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 수단과,Contact means for interconnecting said second layer with a conductive tether,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의 치수에 맞도록 상기 스트랩의 유효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Means for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ap to fit the dimensions of the user's arm or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일체로 성형되는 제3 도전층과, 상기 제3 층과 제2 도전성 테더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접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ductive lay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ayer, and second contact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third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t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스트랩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said adjusting means comprises a buckle attached to one end of th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은 테더 잭을 수용하도록 스트랩 내에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층으로 형성되는 내표면을 갖는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means comprises a hole formed in the strap to receive a tether jack, the hole having an inner surface at least partially formed of a secon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은 제2 층의 일부를 통해 지나가는 도전성 아일릿을 포함하고, 상기 아일릿은 테더와 접속되도록 아일릿에 영구 부착된 스냅부를 갖는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means comprises a conductive eyelet passing through a portion of the second layer, the eyelet having a snap portion permanently attached to the eyelet to connect with the tether. 정전 제어 손목 밴드에 있어서,In the electrostatic control wrist band, 제1 폴리머 절연성 탄성 층과, 상기 제1층과 일체로 성형되는 제2 폴리머 도전층을 갖는 스트랩을 포함하며,A strap having a first polymer insulating elastic layer and a second polymer conductive layer integrally molded with the first layer,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스트랩이 자체 조절력을 갖도록 일련의 주름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랩은 테더 잭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멍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층으로 형성되는 내표면을 갖는 정전 제어 손목 밴드.The first and second layers form a closed loop and have a series of pleats to allow the strap to self-adjust, the strap further having a hole for receiving a tether jack, the hole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layer. An electrostatic control wrist band having an inner surface formed of a layer.
KR10-1998-0710678A 1996-06-28 1997-05-21 Static control wrist strap KR100507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678A KR100507256B1 (en) 1996-06-28 1997-05-21 Static control wrist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70,862 1996-06-28
US08/670,862 1996-06-28
KR10-1998-0710678A KR100507256B1 (en) 1996-06-28 1997-05-21 Static control wrist str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58A KR20000022258A (en) 2000-04-25
KR100507256B1 true KR100507256B1 (en) 2005-10-21

Family

ID=4367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678A KR100507256B1 (en) 1996-06-28 1997-05-21 Static control wrist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25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274A (en) * 1990-09-07 1993-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elastic static control wrist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274A (en) * 1990-09-07 1993-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elastic static control wrist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58A (en)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7729A (en) Electrically conductive wrist bracelet with removable clasping links and expansion band
KR100895297B1 (en) A multi channel electrode sensor apparatus for measuring a plurality of physiological signals
US4654748A (en) Conductive wrist band
US4398277A (en) Conductive elastomeric fabric and body strap
JP2003524869A (en) Sliding switch
EP0518560B1 (en) Protective sleev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otective sleeve to an object to be protected
US7040834B2 (en) Device for locking a flexible laminar element to a frame
US5018044A (en) Dual conductor wristband
DE2923244A1 (en) ELECTRICALLY HEATABLE MATTRESS
US20120121120A1 (en) Non-entangling electrical cables
US6107580A (en) Omnidirectional response cable switch
SE437915B (en) FENSE FOR ANIMALS
WO2012071300A2 (en) Improved head harness
GB2088151A (en) Electrical terminal
US20230274854A1 (en) Integrated circuits in cable
EP0185480A1 (en) Conductive continuous filament in a stretch fabric
KR100507256B1 (en) Static control wrist strap
EP0910431A1 (en) Static control wrist strap
KR20170048874A (en) An electrical wire of elasticity type
MXPA04008995A (en) Article for static charge dissipation.
US8698045B2 (en) Heating blanket
US5810617A (en) Jumper connector
MXPA98010575A (en) Bracelet tape for the control of stai loads
KR20160110797A (en) Plate he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222092A (en) Static control wrist 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