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542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542B1
KR100504542B1 KR10-2003-0018840A KR20030018840A KR100504542B1 KR 100504542 B1 KR100504542 B1 KR 100504542B1 KR 20030018840 A KR20030018840 A KR 20030018840A KR 100504542 B1 KR100504542 B1 KR 10050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wire
liquid crystal
guide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048A (ko
Inventor
장은석
손승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5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와이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액정패널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서포터 메인과, 상기 서포터 메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램프의 양단에 끼워져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램프 홀더를 통해 바텀 커버 상부로 인출되어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램프 와이어와; 상기 바텀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램프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가지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램프(Lamp)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 와이어(lamp wire)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CD)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CRT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나 전계방출표시장치(FED:Field Emission Display)와 함께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특수하게 표면처리된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위의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문자가 표시되는 액정 패널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표시내용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램프 등의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한 쌍의 기판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패널(10)과, 상기 액정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정패널(10)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0)의 상부에는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를 케이싱하는 탑 케이스(7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포터 메인(support main)(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의 하부에는 백라이트를 보호하고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바텀 커버(Bottom Cover)(40)가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 메인(30)은 보통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바텀 커버(40)는 플라스틱에 비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 즉 알류미늄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는 광을 조사하는 램프(62)와, 상기 램프(62)의 양단에 끼워져 램프(62)를 보호하는 램프홀더(64) 및 도광판(52)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백라이트의 구성요소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광판(52)은 상기 램프(62)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62)로부터 조사된 광을 면광으로 바꾸어 액정패널(10)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52)의 하부에는 반사판(50)이 배치되어 액정패널(10)의 반대쪽으로 새어나오는 빛을 도광판(52)으로 반사시켜 주게되며, 상기 램프(62)에는 입광면을 제외한 영역에 램프 반사판(66)이 배치되어 램프(62)에서 나온 빛을 도광판(52)으로 반사시켜 준다.
또한, 상기 도광판(52)의 상부에는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시트등의 광학 시트(54)가 차례로 위치한다. 이중, 확산시트(diffuser sheet)는 도광판(52)으로 나온 빛을 산란시켜 균일한 빛이 발산되도록 하며, 프리즘 시트(prism sheet)는 상기 확산시트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시트에서 확산시킨 빛을 집광시켜 주게 되고, 보호시트(protector sheet)는 상기 프리즘 시트 상부에서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고 들어온 빛을 산란시켜 균일한 빛을 발산시킨다.
여기서, 소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도광판(52)의 측면에 하나의 램프(62)가 설치되지만,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될수록 충분한 휘도를 얻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52)의 측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램프들(62)이 설치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램프(62)의 양단부에는 외부 전원(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각 램프 와이어(62a)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램프 와이어(62a)들은 램프 홀더(64)의 끝단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램프 와이어(62a)의 인출을 위해 램프 홀더(64)에 형성된 인출구의 수는 램프 와이어(62a)의 개수 즉, 설치되는 램프(62)의 개수와 같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구는 램프 홀더(64)를 관통하여 중앙에 형성된 제 1홀(hole)과, 램프 홀더(64)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 1홀과 연결되는 제 2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홀은 램프 홀더(64)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 2홀은 측면에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인출구를 형성하는 홀들은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며 결국, 상기 인출구를 형성하는 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램프 와이어(62a) 역시 방향이 90도 꺽여 제 2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 홀더(64)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램프 와이어(62a)는 서포터 메인(30)과 바텀 커버(40)를 지나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 메인(30)에는 램프 와이어(62a)의 고정을 위해 고리(30a)가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램프 와이어(62a)는 먼저 고리(30a)에 걸리고 난 후에 바텀 커버(40)의 상부로 인출되게 된다.
또한, 램프 와이어(62a)를 고리(30a)에 걸어준 후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작업 도중 램프 와이어(62a)가 고리(30a)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리(30a) 외측에 사각의 고무(90)를 삽입하여 준다.
상기 고무(90)는 램프 와이어(62a)를 고리(30a)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램프 와이어(62a)를 보호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외부로 인출되는 램프 와이어의 고정을 위해 서포터 메인에 고리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를 실현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와이어를 고리에 걸어 주는 구조이므로, 램프 와이어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램프 와이어를 한 가닥 씩 각각 고리에 걸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와이어를 고리에 걸어준 후에도 램프 와이어가 고리를 이탈할 우려가 있어 고리 외측에 사각의 고무를 별도로 삽입하여 램프 와이어가 고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액정표시장치의 수리나 점검을 위한 분해시에 작업을 곤란하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램프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제공하여 작업성과 외력에 따른 불량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리 구조를 개선한 와이어 가이드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측면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박형화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액정패널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서포터 메인과; 상기 서포터 메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램프의 양단에 끼워져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램프 홀더를 통해 바텀 커버 상부로 인출되어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램프 와이어와; 상기 바텀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램프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가지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홀더(164), 서포터 메인(130), 바텀 커버(140), 탑 케이스(170), 와이어 가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 메인(130)은 한 쌍의 기판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패널(미도시)과 액정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액정패널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미도시)를 수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140)는 서포터 메인(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램프를 보호하고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탑 케이스(170)는 바텀 커버(140)와 결합되어 서포터 메인(130)을 감싸고 있다.
한편,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는 램프와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램프 와이어(162a)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램프의 양단에는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 홀더(164)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램프 와이어(16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홀더(16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램프 홀더(164)에는 램프 와이어(162a)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홀더에 형성된 인출구의 수는 램프 와이어(162a)의 개수 즉, 설치되는 램프의 개수와 같도록 형성된다. 특히, 액정표시장치가 고화질, 대형화됨에 따라 램프의 개수도 증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인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램프 홀더(164)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램프 와이어(162a)는 와이어 가이드(200)와 결합된 후 바텀 커버(140)의 상부로 인출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는 바텀 커버(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램프 홀더(164)를 통해 인출된 램프 와이어(162a)와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의 상면에는 램프 와이어(162a)의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 홀더(164)의 인출구로 빠져 나오는 램프 와이어(162a)는 차례대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 와이어(162a)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램프 와이어(162a) 역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는 램프 와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램프 와이어(162a)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와이드 가이드(200)의 형성위치 및 방향에 따라 램프 와이어(162a)의 진행 방향도 정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홈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추고 있어, 삽입된 램프 와이어(162a)가 외부 충격이나 작업중에 가이드홈을 이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된 램프 와이어(162a)가 빠져 나오는 가이드홈의 끝단 상부에는 고정용 테이프(210)가 부착되어 램프 와이어(162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램프 와이어(162a)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고정돌기(200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돌기(200a)는 가이드홀의 상부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있는 램프 와이어(162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00a)는 외부 충격등으로 부터 램프 와이어(162a)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재질인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외 에도, 상기 가이드홀에 덮개(미도시)를 설치하는 등의 램프 와이어(162a)의 이탈을 막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 역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 가이드(200)는 중앙부에 상기 램프 와이어(162a)가 삽입되는 적어도 1이상의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램프 와이어(162a)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와이어 가이드가 램프 와이어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서포터 메인의 측면 공간에 형성된 고리가 필요 없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 공간을 더 줄일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기존 고리 구조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을 가져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램프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에 의해 램프 와이어가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서포터 메인 140 : 바텀 커버
162a : 램프 와이어 164 : 램프 홀더
170 : 탑 케이스 200 : 와이어 가이드
200a : 고정돌기 210 : 고정용 테이프

Claims (7)

  1.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액정패널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서포터 메인과;
    상기 서포터 메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램프의 양단에 끼워져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램프 홀더를 통해 바텀 커버 상부로 인출되어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램프 와이어와;
    상기 바텀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램프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가지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 상부에는 램프 와이어가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용 테이프가 부착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는 삽입된 램프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바텀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18840A 2003-03-26 2003-03-26 액정표시장치 KR10050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40A KR100504542B1 (ko) 2003-03-26 2003-03-26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40A KR100504542B1 (ko) 2003-03-26 2003-03-26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48A KR20040084048A (ko) 2004-10-06
KR100504542B1 true KR100504542B1 (ko) 2005-08-03

Family

ID=3736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40A KR100504542B1 (ko) 2003-03-26 2003-03-26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48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3195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lamp wires for backlight assembly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20060187374A1 (en) Backlight assembly
KR10064099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브라켓 구조
KR100595304B1 (ko) 액정표시장치(lcd)의 램프 와이어 고정구조체
KR20030054765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램프 와이어 설치구조체
KR20050113756A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10050454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57951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50020248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8357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107305A (ko) 액정표시장치
KR100595305B1 (ko) 백라이트용 램프 와이어의 설치구조
KR10122112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933450B1 (ko) 직하형 백라이트
KR1010144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2006000142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532865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US7593071B2 (en) Backlight module
KR101057778B1 (ko) 표시장치
KR10128527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12148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9486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6683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104692A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10102784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