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62B1 -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62B1
KR100503062B1 KR10-2002-0032521A KR20020032521A KR100503062B1 KR 100503062 B1 KR100503062 B1 KR 100503062B1 KR 20020032521 A KR20020032521 A KR 20020032521A KR 100503062 B1 KR100503062 B1 KR 10050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evices
key button
remote controll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019A (ko
Inventor
김준환
임진호
반영환
진영규
원소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전자기기를 단일의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을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의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리모트 콘트롤러를 설계함으로써, 키 버튼 입력 전에 제어할 기기를 선택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되며, 또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키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사용 패턴 특성 상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효율적이 기능에 대하여 한번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하여 복수의 기기를 공통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Universal remote controller of multiple units and design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전자기기를 단일의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제어 기기의 하나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는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가전기기, 사무용 기기 등을 근접한 원격지에서 무선 제어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여러 개의 기기를 무선 제어하는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는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 키 버튼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로 복수의 기기 중에서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기 선택 키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기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키 명령을 입력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기능 키 입력 전에 기기 선택 키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동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상응하는 키 버튼을 입력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의도한 기기는 동작되지 않으며, 또한 다른 기기에 의도하지 않은 키 명령을 입력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를 물리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키 조작없이 복수의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기에서 사용 패턴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는 키 버튼 없이 상기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및 상기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들을 키 매트릭스 사양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 전기적으로 배치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버튼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독출된 키 버튼 코드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복수의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설계 방법은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 장치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기기에서 사용 패턴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들을 분류하고, 각 키 버튼에 상응하는 코드 값들을 할당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및 상기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들을 키 매트릭스 사양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 전기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는 제어부(101), 메모리(102), 키 입력부(103) 및 송신부(10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기기로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Set-top Box)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수의 기기가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메모리(102)에는 복수의 기기에서 사용 패턴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들이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일 예로서, 튜너를 내장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기기와 방송 채널 수신 및 음향 출력에 대한 전반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세톱 박스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를 분류할 수 있다.
우선,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의 사용 패턴을 통해 보면, 각 기기 별로 필요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튜너 내장형 TV가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세톱 박스와 연결되어야 하고, 그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의 전원 온/오프, 화면(Picture) 조정에 대한 기능 설정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은 세톱 박스를 통해 조정된다.
즉, 세톱 박스에서는 세톱 박스 자체의 전원 온/오프, 채널 설정에 대한 기능(채널 +/-, 자동 채널 기억 기능, 채널 추가/삭제 기능 등), 사운드 조정에 대한 기능(볼륨 +/-, 뮤트(Mute), 사운드 모드, 사용자 모드 등) 등을 포함하는 마스터 기기로서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전원 온/오프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으로 사용 패턴 상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의 전원을 함께 켜거나 또는 끄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로 전원 온/오프 키 버튼 코드를 할당한다.
그리고, 화면(Picture) 조정에 대한 기능 설정을 위한 키 버튼 코드들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들을 할당한다.
다음으로, 채널 설정에 대한 기능 및 사운드 조정에 대한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키 버튼 코드들은 세톱 박스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들을 할당한다.
키 입력부(103)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를 선택하는 키 버튼 없이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및 각각의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들을 키 매트릭스 사양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배치하고, 사용자의 키 버튼의 입력 시에 입력된 키 버튼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역할을 실행한다.
제어부(101)는 키 입력부(103)로부터 사용자 키 버튼 입력에 따라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정보를 인식하여, 입력되는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버튼 코드를 메모리(102)에서 독출한다.
그러면, 송신부(104)는 제어부(104)에서 독출한 키 버튼 코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일 예로서, 적외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키 버튼 코드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 버튼이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가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에 해당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세톱 박스가 함께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를 생성시킨다.
물론,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키 버튼이 화면(Picture) 조정에 대한 기능 설정에 관련된 키 버튼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만이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를 생성시키고, 채널 설정에 대한 기능 및 사운드 조정에 대한 기능에 관련된 키 버튼인 경우에는 세톱 박스만이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를 생성시키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201)의 키 버튼 중에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전원 온/오프 키 버튼(B1)이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장치A; 202) 및 세톱 박스(장치B; 203)에서 함께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K1)를 생성시키고, 화면(Picture) 조정에 대한 기능 설정에 관련된 버튼(일 예로서, 밝기 조정 버튼; B3)이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202)만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K3)를 생성시키고, 채널 설정에 대한 기능 및 사운드 조정에 관련된 버튼(일 예로서, 채널 + ;B2)이 입력된 경우에는 세톱 박스(203)만 인식할 수 있는 키 버튼 코드(K2)를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의 흐름도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를 받는 복수 기기의 기능들에 대한 사용 패턴을 분석한 후에,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에 관한 키 버튼들을 분류한다(단계301).
다음으로, 각각의 장치별로 개별적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기능들에 관한 키 버튼들을 분류한다(단계302).
그런 후에,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에 관한 키 버튼에 대해서는 복수의 기기에서 함께 인식할 수 있는 키 코드를 할당하고, 장치별로 개별적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기능들에 관한 키 버튼들에 대해서는 키 버튼별로 해당 기기만 인식할 수 있는 키 코드를 할당한다(단계303).
다음으로, 할당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에 관한 키 버튼 코드와 장치별로 개별적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키 버튼 코드 값들을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304).
이와 같이 할당된 키 버튼 코드 값들을 키 입력부(103)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키 버튼에 따라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2)로부터 입력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 버튼 코드 값을 독출하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E2P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을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의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리모트 콘트롤러를 설계함으로써, 키 버튼 입력 전에 제어할 기기를 선택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되며, 또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키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사용 패턴 특성 상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효율적이 기능에 대하여 한번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하여 복수의 기기를 공통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설계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4)

  1. 삭제
  2.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에서 사용 패턴에 따라서 적어도 전원 온/오프 기능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로 설계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로 설계된 키 버튼 코드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는 키 버튼 없이 상기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및 상기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들을 키 매트릭스 사양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 전기적으로 배치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버튼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독출된 키 버튼 코드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복수의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3.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 장치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기기에서 사용 패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의 코드와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코드들을 분류하고, 각 키 버튼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코드 값 또는 기기별로 독립적으로 인식하는 코드 값을 할당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 및 상기 독립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들을 키 매트릭스 사양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 전기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설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인식 가능한 키 버튼은 적어도 전원 온/오프 기능의 키 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설계 방법.
KR10-2002-0032521A 2002-06-11 2002-06-11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KR10050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521A KR100503062B1 (ko) 2002-06-11 2002-06-11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521A KR100503062B1 (ko) 2002-06-11 2002-06-11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019A KR20030095019A (ko) 2003-12-18
KR100503062B1 true KR100503062B1 (ko) 2005-07-25

Family

ID=3238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521A KR100503062B1 (ko) 2002-06-11 2002-06-11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74B1 (ko) * 2005-02-24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컨트롤러로 서로 다른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있는 홈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40015281A (ko) * 2010-12-28 2014-0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복수의 디스플레이 통합 제어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통합 입력 장치
CN114895954B (zh) * 2022-05-26 2024-02-13 广州安广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系统的代码修改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6795A (ja) * 1989-12-26 1991-08-28 Hitachi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60003473A (ko) * 1994-06-21 1996-01-26 김광호 원격제어장치의 매크로 기능 개선방법
JPH11113076A (ja) * 1997-10-02 1999-04-23 Nec Eng Ltd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制御方式
KR20020066633A (ko) * 2001-02-13 2002-08-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6795A (ja) * 1989-12-26 1991-08-28 Hitachi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60003473A (ko) * 1994-06-21 1996-01-26 김광호 원격제어장치의 매크로 기능 개선방법
JPH11113076A (ja) * 1997-10-02 1999-04-23 Nec Eng Ltd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制御方式
KR20020066633A (ko) * 2001-02-13 2002-08-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019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086A (en) Automated appliance control system
US63847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personal computer to control one or more devices
JP4715300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遠隔制御装置ならびに制御対象機器
CN100358309C (zh) 给网络中的设备分配名称的方法和电路装置
US20120295662A1 (en) Universal Remote
KR100722175B1 (ko) 한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전송
US20150194048A1 (en) Universal Remote
EP1052609B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reconfigurable remote controller
CN105323608A (zh) 电子装置、外部装置及控制对外部装置供电的方法
KR20120107214A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101080418B1 (ko)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03062B1 (ko) 복수 기기의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 및 설계 방법
CN105282659A (zh) 音箱的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具有控制装置的音箱
KR20080042203A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키 매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39550A (ko) 배치 인스트럭션 기반의 통합 리모트 제어 장치, 통합리모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691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ouped devices
US20040246382A1 (en) Wireless device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CN104579211A (zh) 一种音量控制方法及装置
JPH1134091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KR100298627B1 (ko) 개인용컴퓨터가 하나 이상의 기기들을 제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10128B1 (ko)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tv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632529A (zh) 一种基于Zigbee技术的控制方法及系统
KR20240027214A (ko) 복수의 그룹 제어 저장 또는 복수의 그룹 제어 수신부, 동작 순서(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KR20230129279A (ko) 수신부, 발신부에 제어코드 변경이 가능한 제어 모듈
KR102352926B1 (ko)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