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822B1 -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 Google Patents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822B1
KR100502822B1 KR10-2003-0057856A KR20030057856A KR100502822B1 KR 100502822 B1 KR100502822 B1 KR 100502822B1 KR 20030057856 A KR20030057856 A KR 20030057856A KR 100502822 B1 KR100502822 B1 KR 10050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lignment
finisher
support
pa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0143A (en
Inventor
김태홍
김도훈
민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3-005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822B1/en
Publication of KR2005002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1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8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에 장착되는 용지를 정렬하고 적재하는 기능을 갖는 피니셔에 관한 것으로, 배지롤러에서 배출된 용지의 상면 및 측면을 정렬 시키되, 그 정렬상태가 양호하게 하며, 이동가능한 스테이플 유니트를 구비하여, 스테이플의 형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스택커 트레이의 왕복 운동만으로 배출된 용지의 소정 매수의 용지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용지 배출 및 정렬을 수행하는 피니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의 피니셔의 배지롤러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용지가 안착되는 용지 받침대; 상기 용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그 용지 받침대에 안착된 용지의 상하면 정렬을 위한 상하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그에 안착된 용지의 측면을 정렬 시키는 측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 전방, 즉, 안착된 용지의 배출방향 하측에 위치되는 스택커 트레이; 배출된 용지가 소정매수의 용지 단위로 형성되면 상기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로 이동시키는 이젝터 수단; 및 상기 이젝터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각 용지 단위 들을 수평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게 용지 배출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용지 받침대를 오프셋(offset)시키는 오프셋 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er having a function of aligning and stacking paper mounted on a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ying machine and a printer, align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pap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roller, and making the alignment state good. Provided with a movable staple unit, it is possible to set the shape of the staples in various ways, and to provide a finisher for performing paper discharge and alignment that can easily distinguish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discharged only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acker tray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per support which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roller of the finisher of the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ier printer is discharged seat; An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paper support for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seated on the paper support; Side alignment means provided on the paper support to align the side of the paper seated thereon; A stacker tray located in front of the paper support, i.e., under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ated paper; Ejector means for moving the paper unit to a stacker tray when the discharged pa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And offset means for offsetting the paper support at right angles to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so as to distinguish each paper unit discharged by the ejector me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Provide the finisher provided.

Description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Finisher with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본 발명은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에 장착되는 용지를 정렬하고 적재하는 피니셔에 관한 것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지를 적재하는 하나의 스택커 트레이상에 정렬된 복수매의 용지가 흐트러지지 않는 상태로 적재 가능하도록 하는 용지 후처리 적재장치인 피니셔(finish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er for aligning and stacking paper mounted on a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y machine and a printer, wherein a plurality of sheets arranged on a stacker tray for loading paper while moving up and down are not disturb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er, which is a paper post-processing stacking device that enables stacking in an unattended state.

일반적으로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의 스택커 트레이로 배출되는 후처리 과정에는 용지를 적재하는 과정 중에 용지를 정렬하는 기능과 스테플링 그리고 복수매의 용지 단위를 구분하여 주는 오프셋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In general, the post-processing process discharged to a stacker tray of a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y machine and a printer includes a function of aligning the paper during stacking, stapling, and an offset process of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paper units. have.

종래기술에 따른 용지 후처리시의 용지 적재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매의 용지 단위를 흐트러짐 없이 정렬하는 용지적재수단(1); 수납된 소정매수의 용지단위를 배출하는 이젝팅수단(2); 용지의 단위를 스테플링 할 수 있는 스테이플 수단(3)이 각각 장착되어 용지의 후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이다.In the paper post-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aper stacking device includes paper stacking means (1) for alig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without disturbing, as shown in FIG. Ejecting means (2)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Staple means (3) capable of stapling a sheet of paper is mounted to perform a post-processing function of the paper, respectively.

여기에서 디지털 출력장치가 고속화되고, 용지의 후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점차 짧아지면서 용지의 정렬성이 나빠지거나 소정매수의 용지단위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지간의 마찰로 인하여 용지의 선단부 정렬성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피니셔의 기본 스테플링 위치가 차츰 다위치화되면서 일정한 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이젝팅 수단의 적용이 불가능해지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Here, the digital output device becomes faster, the time required for post-processing of paper becomes shorter and the alignment of the paper becomes worse or the alignment of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becomes worse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papers in the process of eject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There is a problem that results. In addition, as the basic stapling position of the existing finisher is gradually multi-positione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ejecting means for reciprocating a certain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된 용지를 용지 받침대에 수납하여 그 상면 및 측면을 정렬 시키되, 그 정렬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상기 정렬된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가 흐트러짐 없이 스택커 트레이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discharged paper is stored in the paper support to align the top and side, but the alignment state is good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align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isher that can be loaded into a stacker tray without distractions.

또한, 이동가능한 스테이플 유니트가 스테플링 작업을 수행하기위해 이동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스테이플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수납된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배출하는 이젝팅 수단의 얼라인바가 회전하여 용지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피니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lso, even if the movable staple unit moves to perform the stapling operation and the stapl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y position, the alignment bar of the ejec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stored therein can be rotated to discharge the paper.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 finisher.

또한,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가 이젝터 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용지 받침대의 왕복 운동만으로 간단히 배출된 용지의 소정 단위의 용지를 구분할 수 있는 용지 배출 및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 유니트를 구비하는 피니셔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 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unit for simultaneously discharging and offsetting a paper that can separate the predetermined unit of paper of the discharged paper simply by reciprocating the paper support whil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ejector means.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의 피니셔의 배지롤러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용지가 안착되는 용지 받침대; 상기 용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그 용지 받침대에 안착된 용지의 상하면 정렬을 위한 상하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그에 안착된 용지의 측면을 정렬 시키는 측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 전방, 즉, 안착된 용지의 배출방향 하측에 위치되는 스택커 트레이; 배출된 용지가 소정매수의 용지 단위로 형성되면 상기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로 이동시키는 이젝터 수단; 및 상기 이젝터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각 용지 단위 들을 수평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게 용지 배출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용지 받침대를 오프셋(offset)시키는 오프셋 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roller of the finisher of the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ier printer paper sheet is discharged seated; An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paper support for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seated on the paper support; Side alignment means provided on the paper support to align the side of the paper seated thereon; A stacker tray located in front of the paper support, i.e., under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ated paper; Ejector means for moving the paper unit to a stacker tray when the discharged pa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And offset means for offsetting the paper support at right angles to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so as to distinguish each paper unit discharged by the ejector me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Provide the finisher provided.

상기 상하면 정렬수단은 인쇄장치의 용지 배출구에 위치되는 상면 정렬 패들롤러; 및 상기 용지 받침대에 장착되어 용지의 상하면의 기준이 되는 얼라인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may include an upper alignment paddle roller positioned at a paper discharge port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an alignment bar mounted on the paper support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또한, 상기 상면 정렬 패들롤러는 용지 배출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고무와 같이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정렬 패들롤러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여 용지를 상기 얼라인바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정렬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when the paper discharge; It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rubber, it may include an alignment paddle that is attached to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to rotate together to provide a friction force to move the paper toward the alignment bar.

상기 측면 정렬 수단은 측면기준브라켓 및 용지 받침대의 타측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안착된 용지를 상기 측면기준브라켓 측으로 이동시키는 조깅바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alignment means may include a jog bar for moving the seated paper toward the side reference bracket while moving from side to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reference bracket and the paper support.

상기 이젝터 수단은 상기 얼라인바를 스택커 트레이측으로 이동시키키 위한 이젝팅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얼라인바가 일단에 고정되는 이젝팅 타이밍 벨트를 매개로 회전하는 종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jector means comprises: an ejecting motor for moving the alignment bar to the stacker tray side; A driving roller rotating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a driven roller that rotates through the ejection timing belt in which the alignment bar is fixed at one end.

또한, 상기 오프셋 수단은 오프셋팅 모터; 상기 오프셋팅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 받침대를 오프셋 시키는 기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ffset means includes an offsetting mot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ear mechanism driven by the offsetting motor to offset the paper support.

또한, 상기 이젝터 수단이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로 배출시키기 전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jector means further comprises staple means for stapling the paper units before discharg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to the stacker tray.

상기 스테이플 수단은 상기 얼라인바의 고정을 해제하여 회전시키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얼라인바의 위치로 이동하여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얼라인바는 스테이플 유니트가 이동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회전되는 것이다.The staple means may include an idle roller which releases and rotates the alignment bar; And a staple unit moving to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to staple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That is, the alignment bar is rotated so that the staple un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staple unit.

이하, 도2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과 배출을 수행하는 피니셔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finisher for performing the sheet alignment and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과 배출을 수행하는 피니셔의 용지 받침부(140)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상기 용지 받침부(140)의 측면도이며, 도4는 상기 용지 받침부(140)가 인쇄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paper support portion 140 of the finisher for performing paper alignment and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aper support portion 140, Figure 4 is It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per support 140 is installed in the printing apparatus.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니셔의 배지롤러(10)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용지(151)가 안착되는 용지 받침대(140); 상기 용지 받침대(14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그 용지 받침대(140)에 안착된 용지의 상하면을 정렬하는 상하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140) 상에 구비되어 그에 안착된 용지의 측면을 정렬 시키는 측면 정렬수단; 상기 용지 받침대(140)의 전방, 즉, 용지의 배출 방향 하측에 위치되는 스택커 트레이(20); 배출된 용지가 소정매수의 단위로 형성되면 상기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20)로 이동시키는 이젝터 수단; 및 이젝터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각 용지 단위들을 구분할 수 있게 오프셋(offset)시키는 오프셋 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 유니트를 구비하는 피니셔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put roller 10 of the finisher paper sheet 140 to be discharged is seated 140;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support 140 to alig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seated on the paper support 140; Side alignment means provided on the paper support 140 to align the side of the paper seated thereon; A stacker tray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paper support 140, ie, below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Ejector means for moving the paper unit to the stacker tray 20 when the discharged paper is form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And a paper support unit which simultaneously performs paper discharge and offsetting, including offset means for offsetting each paper unit discharged by the ejector means so as to distinguish the paper units.

상기 상하면 정렬수단은 용지 배출구에 위치되는 상면 정렬 패들롤러(30); 및 상기 용지 받침대(140)에 장착되어 용지의 상하면의 기준이 되는 얼라인바(50)를 포함한다. 즉, 배출되는 용지를 상면 정렬 패들롤러(30)가 회전하면서 용지를 상기 얼라인바(50) 측으로 계속적으로 밀게되어 용지의 상면이 상기 얼라인바(50)에 접촉하게 하여 배출 용지의 상면을 정렬시키게 된다. The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includes an upper alignment paddle roller 30 positioned at the paper discharge port; And an alignment bar 50 mounted on the paper support 140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That is, the paper is discharged to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30 is rotated to continuously push the paper toward the alignment bar 50 side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paper in contact with the alignment bar 50 to align the top surface of the discharge paper do.

상기 상면 정렬 패들은 고무와 같이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정렬 패들롤러(30)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상기 얼라인바(5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찰력을 가지고있다. 즉, 상기 패들이 배출된 용지를 얼라인바(50) 측으로 밀어 배출된 모든 용지의 상면이 얼라인바(50)에 정렬되게 하는 것이다.The top alignment paddle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has a friction force to move the paper toward the alignment bar 50 by rotating about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30 axis. That is, the paddle discharged paper is pushed toward the alignment bar 5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all the discharged paper is aligned with the alignment bar 50.

상기 측면 정렬수단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측면기준브라켓(60) 및 용지 받침대(140)의 타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면서 안착된 용지를 상기 측면기준브라켓(60) 측으로 이동시키는 조깅바(40)를 구비하여 배출된 용지의 측면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jog bar 40 for moving the seated paper to the side reference bracket 60 side while moving left and r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side reference bracket 60 and the paper support 1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ide alignment means The side of the discharged paper can be aligned.

상기 이젝터 수단은 상기 얼라인바(50)를 스택커 트레이(20)측으로 이동시키키 위한 이젝팅 모터(100)와, 상기 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101) 및 상기 얼라인바(50)가 일단에 고정되는 이젝팅 타이밍 벨트(110)를 매개로 회전하는 종동롤러(102)를 구비하여, 얼라인바(50)의 이동에 의해 배출된 용지가 소정매수의 용지 단위로 형성된 후 스택커 트레이(20)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The ejector means may include an ejecting motor 100 for moving the alignment bar 50 toward the stacker tray 20, a driving roller 101 and an alignment bar rotating by driving the motor 100. 50 is provided with a driven roller 102 that rotates through the ejection timing belt 110 fixed at one end, and the paper discharged by the movement of the alignment bar 5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and then stacked. It may be to be transferred to the beaker tray 20.

상기 오프셋 수단은 상기 용지 받침대(14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오프셋팅 모터(130) 및 이와 치합되어 용지 받침대(140)를 이동시키는 기어박스 또는 기어의 배열과 같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택커 트레이(20)에 쌓인 이전의 용지 단위(160)와 현재 배출되어 이젝팅 될 용지 단위(150)를 구별하기 위하여, 용지 받침대(140)가 용지 단위(150)가 이젝팅 될 때마다 좌우로 왕복하여, 각 용지 묶음이 지그재그로 안착되어 각 용지 단위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The offset means may include an offsetting motor 130 for driving the paper support 140 to move from side to side and a mechanism such as a gearbox or an arrangement of gears engaged with the paper support 140 to move the paper support 140. have. That is, when the paper support 140 is ejected, the paper support 140 is ejected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evious paper unit 160 stacked on the stacker tray 20 and the paper unit 150 to be ejected and ejected. Each paper stack is seated in a zigzag pattern, and each paper unit can be distinguished from side to side.

상기 실시예에서, 이젝터 수단이 소정의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20)로 배출시키기 전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jector means may further include staple means for stapling the paper units before discharging the predetermined paper units to the stacker tray 20.

도6은 도5의 초기의 스테이플 유니트가 이동하여 임의의 위치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 하는 작업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7은 상기 스테이플 유니트가 도5 및 도6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라인바(50)가 용지 받침대(140)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stapling a paper unit at an arbitrary position by moving the initial staple unit of FIG. 5, and FIG. 7 is an alignment bar (not shown) to move the staple unit to the positions of FIGS. 5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aper base 140 is rotated and moved downward.

상기 스테이플 수단은 상기 얼라인바(50)의 고정을 해제하여 도7과 같이 회전시키는 아이들 롤러(120); 및 상기 얼라인바(50)의 위치로 이동하여 임의의 위치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유니트(80)를 포함한다.The staple means includes an idle roller 120 for releasing the alignment bar 50 to rotate as shown in FIG. 7; And a staple unit 80 moving to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50 and stapling the paper unit at an arbitrary position.

상기 스테이플 유니트(80)는 상기 아이들 롤러(120)의 구동에 의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스테이플 형태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도5 및 도6과 같이, 설정된 위치에 스테이플 유니트(80)이 이동하여 임의의 위치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 하는 것이다. The staple unit 80 may adjust its position by driving the idle roller 120, and the position may be moved according to a staple type set by a user.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taple unit 80 is moved to the set position to staple the paper unit at an arbitrary position.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셔에서 용지 받침대(140)의 왕복운동에 따라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들이 오프셋 되어 구분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9는 용지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are offset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aper support 140 in the fin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paper.

이하,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과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4 to 9,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 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alignment and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주요 작용효과는 배지롤러(10)에서 한장씩 배출되는 용지를 용지받침대(140)에 안착시켜 용지 배출 방향 즉 용지의 상하 방향(세로방향) 및 용지 배출에 대한 직각 방향 즉 용지의 측면 방향(가로방향)으로 정렬을 수행하여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150)를 만들고, 형성된 용지 단위마다 구별이 될 수 있도록 용지 받침대(140)가 좌우로 이동하여 용지 단위를 지그재그로 스택커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t the paper discharged one by one from the discharge roller 10 to the paper support 140,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and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or the side direction of the paper By performing align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150 are formed, and the paper support 140 is moved left and right so as to be distinguished for each sheet of paper formed so that the paper units are seated on the stacker tray in a zigzag. To provide functionality.

이하, 용지를 배출하고 정렬한 후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만들어 이젝팅 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ejecting and aligning the paper and mak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to eject th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배지롤러(10)에서 배출된 용지는 용지 받침대(140)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면 정렬롤러(30)가 회전하여 정렬패들이 회전하여 용지를 상기 얼라인바(50)측으로 밀어 용지의 상면을 정렬한다. 용지의 상면이 정렬되면, 상기 조깅바(40)가 이동하여 상면이 정렬된 용지를 측면기준브라켓(60) 측으로 밀어 상기 측면기준브라켓(60)를 기준으로 용지가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용지의 상면 및 측면이 정렬된다.The pap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roller 10 is seated on the paper support 14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alignment roller 30 is rotated so that the alignment paddle rotates to align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by pushing the paper toward the alignment bar 50. When the top surface of the paper is aligned, the jogging bar 40 is moved to push the paper is aligned on the side reference bracket 60 side so that the paper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ide reference bracket 60, the top surface of the paper and The sides are aligned.

사용자가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에 설정하여 임의의 위치에 스테플링 작업을 입력하였다면, 상기 아이들 롤러에 의해 용지 받침대(140)에 고정되어 있던 얼라인바(50)의 고정이 해제되어 하측으로 이동하고 스테이플 유니트(80)가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150)의 상면에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동하여, 용지 단위(150)를 스테이플하게 된다. If the user inputs a stapling job at an arbitrary position by setting it to a digital output device such as a copy machine or a printer, the alignment bar 50 fixed to the paper support 140 is released by the idle roller to be lowered. The staple unit 80 moves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 units 150, thereby stapling the sheet units 150.

상기와 같이, 용지 단위(150)가 형성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팅 모터(100)가 타이밍 벨트(110)를 구동시켜, 얼라인바(50)가 이동하면서 상기 용지 단위(150)를 스택커 트레이(20)로 이동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per unit 150 is formed, as shown in FIG. 9, the ejecting motor 100 drives the timing belt 110 so that the alignment bar 50 moves while the paper unit 150 moves. Will be moved to the stacker tray 20.

이 때 이전 용지 단위와 이젝팅되고 있는 용지 단위들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 단위의 용지가 완성되면 이 용지의 단위는 이젝팅 수단이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20)에 안착하게 하는데 이 용지 단위(150)가 스택커 트레이로 배출되기 직전에 상기 오프셋 모터(130)가 구동되어 용지 받침대(140)를 소정 거리만큼 측면으로 이동시킨후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150)를 배출시키면 이전에 안착되었던 용지 단위(160)와 이젝팅 되는 용지 단위(150)가 용지 받침대(140)의 이동거리 만큼 엇갈려 안착된다. 또한, 다음 용지 단위를 이젝팅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프셋팅 모터(130)는 이전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용지 받침대(140)를 이동시켜 용지 단위들이 지그재그로 엇갈려 안착시킬 수 있어서 각 용지 단위를 구분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evious paper unit and the paper unit being ejected. In this case, when a unit of paper is completed, the unit of paper causes the ejecting means to seat the paper unit in the stacker tray 20, the offset immediately before the paper unit 150 is discharged to the stacker tray. When the motor 130 is driven to move the paper support 140 to the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discharg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150, the paper unit 150 ejected from the previously seated paper unit 160 Are staggere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paper support 140. In addition, in the case of ejecting the next paper unit, the offsetting motor 130 may move the paper support 1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moving direction so that the paper units may be staggered and staggered to separate each paper unit. Can b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를 배출하면서, 용지의 상면 및 측면을 동시에 정렬 시킬 수 있으며, 그 정렬의 상태가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ign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paper at the same time while discharging the paper, which has the effect that the state of the alignment is good.

또한, 소정 매수로 형성된 복수매의 용지 단위를 지그재그로 안착시킬 수 있어서, 각 용지 단위들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 작업도 단순히 용지 받침대의 왕복 운동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can be seated in a zigzag, the sheets of paper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is sor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by reciprocating the paper support.

또한, 스테이플의 위치의 설정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위치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tting of the positions of the staples can be varied, there is another effect of stapling the paper units at arbitrary positions.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매의 용지의 적재기능이 있는 피니셔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finisher having a stacking function of a plurality of she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 유니트를 구비하는 피니셔의 용지받침부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a paper support portion of the 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uni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상기 용지 받침부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aper receiving portion.

도4는 상기 용지 받침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per support is installed.

도5 및 도6은 스테이플 유니트의 초기 위치 및 소정 매수의 용지를 스테이플 하기 위한 작업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5 and 6 are plan views show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ple unit and the working position for stapl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도7은 상기 스테이플 유니트가 도5 및 도6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라인바가 용지 받침대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bar is rotated to move below the paper support so that the staple unit can move to the position of Figures 5 and 6.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피니셔의 용지 받침대의 좌우 왕복운동에 따라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들이 오프셋 되어 구분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are offset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aper support of the fin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용지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pap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피니셔의 배지롤러 20 : 스택커 트레이(stacker tray)10: Finisher discharge roller 20: Stacker tray (stacker tray)

30 : 정렬 패들롤러 40 : 조깅바(jogging bar)30: alignment paddle roller 40: jogging bar

50 : 얼라인바(align bar) 60 : 측면기준브라켓50: alignment bar 60: side reference bracket

80 : 스테이플 유니트 100 : 이젝팅 모터80: staple unit 100: ejecting motor

110 : 타이밍 벨트 120 : 아이들 롤러110: timing belt 120: idle roller

130 : 오프셋팅 모터 140 : 용지 받침대130: offsetting motor 140: paper support

150 :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 151 : 배출 진행 중인 용지150: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151: paper in progress

160 : 기 배출된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160: paper unit of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discharged

Claims (8)

피니셔의 배지롤러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용지가 안착되는 용지 받침대;A paper support on which the paper to be discharged is pla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put roller of the finisher; 상기 용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그 용지 받침대에 안착된 용지의 상하면 정렬을 위한 상하면 정렬수단; An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paper support for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seated on the paper support; 상기 용지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그에 안착된 용지의 측면을 정렬 시키는 측면 정렬수단; Side alignment means provided on the paper support to align the side of the paper seated thereon; 상기 용지 받침대 전방 하측에 위치되는 스택커 트레이; A stacker tray positioned below the paper support front; 배출된 용지가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로 형성되면 상기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로 이동시키는 이젝터 수단; 및 Ejector means for moving the paper unit to a stacker tray when the discharged pa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And 상기 이젝터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각 용지 단위 들을 수평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게 용지 배출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용지 받침대를 오프셋(offset)시키는 오프셋 수단Offset means for offsetting the paper support at right angles to the paper discharge direction so as to distinguish each paper unit discharged by the ejector me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을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하면 정렬수단은 인쇄장치의 용지 배출구에 위치되는 상면 정렬 패들롤러; 및 The upper and lower alignment means may include an upper alignment paddle roller positioned at a paper discharge port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상기 용지 받침대에 장착되어 용지의 상하면의 기준이 되는 얼라인바Alignment bar which is attached to the paper support and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를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면 정렬 패들롤러는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용지 배출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Rotation by the drive motor when the paper is discharged; 고무와 같이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정렬 패들롤러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여 용지를 상기 얼라인바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정렬패들을 포함하는 It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includes an alignment paddle attached to the top alignment paddle roller to rotate together to provide a friction force to move the paper toward the alignment bar.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with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상기 측면 정렬 수단은 The side alignment means 용지 기준브라켓 및 용지 받침대의 타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면서 안착된 용지를 상기 기준브라켓 측으로 이동시키는 조깅바를 구비하는And a jogging bar for moving the seated paper toward the reference bracket while moving from side to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paper reference bracket and the paper support.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with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젝터 수단은 The ejector means 상기 얼라인바를 스택커 트레이측으로 이동시키키 위한 이젝팅 모터; An ejecting motor for moving the alignment bar toward the stacker tray;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A driving roller rotating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상기 얼라인바가 일단에 고정되는 이젝팅 타이밍 벨트를 매개로 회전하는 종동롤러A driven roller that rotates through an ejecting timing belt in which the alignment bar is fixed at one end. 를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프셋 수단은 The offset means 오프셋팅 모터;Offsetting motor; 상기 오프셋팅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 받침대를 오프셋 시키는 기어 메커니즘A gear mechanism driven by the offsetting motor to offset the paper support 을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이젝터 수단이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스택커 트레이로 배출시키기 전에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수단을 더 구비하는 A staple means for stapling the paper units before the ejector means discharg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units to the stacker tray;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with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테이플 수단은 상기 얼라인바의 고정을 해제하여 회전시키는 아이들 롤러; 및 The staple means may include an idle roller which releases and rotates the alignment bar; And 상기 얼라인바의 위치로 이동하여 소정 매수의 용지 단위를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 유니트A staple unit which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and staples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of paper. 를 포함하는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 구비하는 피니셔.Finisher having a pap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per ejection and offsetting comprising a.
KR10-2003-0057856A 2003-08-21 2003-08-21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KR100502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56A KR100502822B1 (en) 2003-08-21 2003-08-21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56A KR100502822B1 (en) 2003-08-21 2003-08-21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143A KR20050020143A (en) 2005-03-04
KR100502822B1 true KR100502822B1 (en) 2005-07-22

Family

ID=3722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56A KR100502822B1 (en) 2003-08-21 2003-08-21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82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143A (en)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2518B2 (en) Paper stacking equipment
US7661669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7934714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H06191715A (en) Sheet after-treatment device
JP4184971B2 (en) Copier paper handling equipment
JP2008156124A (en) Paper processing apparatus
KR0135065B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02822B1 (en) Finisher with a paperbase enabling sheet offset and ejection
KR101805593B1 (en) Apparatus for aligning paper of finisher device
KR20110024562A (en) Bookbinding device and print medium fin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073505B2 (en) Paper post-processing device
JPH08217321A (en) Sheet after treatment device
JP3564192B2 (en) Paper post-processing equipment
JP3709233B2 (en) Paper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74048B2 (en) Paper post-processing equipment
JPH0748607Y2 (en) Sheet stacking device
JP3932048B2 (en) Paper post-processing device
JP2000086059A (en) Paper sheet alignment mechanism
KR100426600B1 (en) Stapler moving guide device
JP3355200B2 (en) Paper loading device
JP2010037041A (en) Sheet processor
US20130028698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3130605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JPH0585082A (en) Image formation postprocessor
JPH10250910A (en) Sheet post-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