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01B1 - 밀봉형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밀봉형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01B1
KR100502601B1 KR10-2002-0033935A KR20020033935A KR100502601B1 KR 100502601 B1 KR100502601 B1 KR 100502601B1 KR 20020033935 A KR20020033935 A KR 20020033935A KR 100502601 B1 KR100502601 B1 KR 10050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filtrate
roll filt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967A (ko
Inventor
우에끼마사따까
Original Assignee
우에탁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탁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탁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Landscapes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피여과액을 장기간에 걸쳐서 효율 좋게 여과할 수 있고, 양호하게 소취할 수 있는 밀봉형 여과 장치를 제공한다.
바닥부(2a)에 유입구(3)와 유출구(4)를 가지고, 상단이 착탈 가능한 덮개(5)로 밀봉되는 케이스(1) 내에, 중심 관통 구멍(6a)을 갖도록 시트형의 여과재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롤 필터(6)를, 외주면이 케이스 내주에 접하도록 수용한다. 하단(7a)을 유입구(3)에 접속하고, 상단(7b)을 중심 관통 구멍(6a)으로부터 돌출시켜 압송되어 오는 피여과액을 분출하는 분출관(7)을 케이스 중심에 부착한다. 덮개(5)의 내면에 볼트(18)을 통해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충돌판(9)을 부착하여, 분출되는 피여과액을 충돌에 의해서 롤 필터의 상단면(6b)으로 대략 균등하게 분산시킨다. 충돌판(8)에 부착봉(9)을 통해 환형의 고정판(10)을 부착하고, 고정판(10)에서 중심 관통 구멍의 상단을 막아, 롤 필터를 고정한다. 롤 필터의 하면(6c)과 바닥부(2a) 사이에 소취 필터(12)를 부착한다.

Description

밀봉형 여과장치{Hermetic Type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용 후의 절삭유, 튀김 기름, 양어수, 발효 후의 주류 원료 및 흙탕물, 빗물 등의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효율 좋고 양호하게 여과하는 밀봉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여과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10783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여과 장치는, 대체적으로 전용 필터를 수용한 압력솥의 상부 측방의 유입구로부터 피여과 액체를 도입하고, 필터를 통해서 먼지나 이물질 입자가 여과되여 얻어진 액체를, 압력솥의 하부의 유출구로부터 취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엔진 오일의 여과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엘리멘트(element) 필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여과 장치에서는, 엘리멘트 필터 방식을 채용하여, 필터의 한 면에 매분 40 cc/cm2 정도의 일정 유량으로 피여과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산화한 튀김 가루나 먼지 등의 여과해서 얻어진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 입자가, 필터의 한 면에 치우쳐 모여, 사용 개시로부터 단기간 경과 후에 필터가 눈 막힘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여과액을 필터의 유입측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피여과액을 장기간에 걸쳐 효율 좋게 여과할 수 있는 밀봉형 여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는, 피여과액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바닥부에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케이스 내를 밀봉하는 덮개와, 시트형의 여과재를 중심으로 관통 구멍을 갖도록 귄취해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상기 케이스의 내주에 접하여 이 케이스에 수용되는 롤필터와, 하단을 상기 유입구에 접속하고, 상단을 상기 롤 필터의 관통 구멍의 상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케이스 내에 부착하고, 압송되어 오는 피여과액을 분출하는 분출관과, 상기 덮개의 내면에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고, 분출되는 피여과액을 충돌에 의해서 상기 롤 필터의 상단면에 대략 균등히 분산시키는 충돌판과, 이 충돌판에 부착 부재를 통해 간격을 두어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분출관에 삽통되고, 또한 상기 롤필터를 고정하는 환형의 고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형 여과 장치에서는, 바닥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고, 상단이 착탈 가능한 덮개로 밀봉된 케이스 내에, 시트형의 여과재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롤 필터가 수용되고, 하단을 상기 유입구에 접속한 분출관의 상단이, 상기 롤필터의 중심 관통 구멍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고, 분출관의 상단의 상측에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된 충돌판이 배치되어, 이 충돌판에 부착된 부재를 통해 부착된 환형의 고정판이, 분출관의 상단을 둘러쌈과 동시에 롤 필터의 상단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압송되어 온 피여과액은, 분출관의 상단으로부터 충돌판을 향해 분출되고, 이 충돌판에 충돌하여 하방의 롤 필터의 상단부면을 향해 대략 균등히 분산된다. 분산된 피여과액은, 롤 필터 내를 축 방향 하방으로 흐르게 함에 따라, 포함되는 먼지나 이물질 입자가 여과되어 얻어지고, 롤 필터의 하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바닥부의 유출구를 지나서, 청정한 액으로 되어 유출된다.
분출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압력으로 분출되는 피여과액이, 상방의 충돌판에 충돌하여, 롤필터의 상단면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먼지가 롤 필터의 특정 개소에 집중되어 단기간에 눈 막힘을 일으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피여과액을 장기간에 걸쳐 효율 좋게 여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롤 필터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원판형의 소취 필터가 부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롤 필터의 하면과 케이스 바닥면 사이에 소취 필터가 부착되어 있어서, 롤 필터에서 여과된 피여과액을 효과적으로 소취할 수 있기 때문에, 롤 필터에 소취제를 함침시킨 경우에 비하여, 사용 후의 식용유 등의 피여과액을 한층 강력히 소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분사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맞물리게 하는 한편, 하단 외주에 나사를 가지는 연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취 필터는, 상기 연결관 하단의 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와,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는 구멍을 대략 중앙에 가지고, 상기 고정판과의 사이에 상기 롤 필터를 끼워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관의 상단이 고정판의 하면에 끼워 맞춤되고, 연결관의 하단이 소취 필터의 대략 중앙의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연결관의 하단의 나사가 소취 필터의 나사에 나사 결합하고, 고정판와 소취 필터 사이에 롤 필터가 끼워져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덮개의 내측에 충돌판을 통해 부착된 고정판을 케이스에 장착하고 케이스로부터 취출할 때에, 연결관을 통해 소취 필터 및 롤 필터를 상기 고정판과 함께 장착하여,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롤 필터 및 소취 필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피여과액의 온도나 분출 압력에 의해서 롤 필터가 케이스에 밀착한 경우라도,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와, 상기 유입구에 토출관을 접속한 펌프와, 피여과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및 피여과액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피여과액이 이상한 고온 또는 고압이 되었을 때,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 시스템에서는, 1개 또는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분출관으로, 펌프에 의해서 피여과액이 압송되고, 이 피여과액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온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 검출되어, 이들 센서의 검출 신호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한치와 비교되고, 비교 결과가 이상한 고온 또는 고압이면, 제어 장치가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펌프를 정지시킨다. 즉, 롤 필터의 눈 막힘이나 그 밖의 원인으로, 피여과액이 이상한 고온 또는 고압이 된 경우, 경보로 이상을 안 사용자는, 즉시 대책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 시스템이 강제 정지되기 때문에,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밀봉 여과 장치를 1개의 제어 장치로 집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밀봉형 여과 장치(1)은, 피여과액의 유입구(3), 유출구(4)를 바닥부(2a)의 각각 중앙, 주변에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상단(2b)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케이스 내를 밀봉하는 덮개(5)와, 시트형의 여과재를 중심 관통 구멍(6a)을 갖도록 권취하여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케이스의 내주에 접하여 이 케이스(1)에 수용된 롤 필터[6, 도5의 (A)참조]와, 하단(7a)을. 상기 유입구(3)에 접속하고, 상단(7b)을 상기 중심 관통 구멍(6a)의 상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케이스(1)의 중심축 상에 연장시켜 분출관(7)을 구비한다.
또, 롤 필터(6)의 재료로는, 목재 펄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나 이것에 적절한 비율로 합성 섬유를 혼입한 것을 이용하지만, 피여과액에 따라서 재생지, 헌 종이, 화장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롤 필터는 제조 비용을 삭감해야 하는 일반적인 JIS 규격의 치수를 채용하여, 조밀한 권취에 의해서 감아 올린다.
또, 상기 밀봉형 여과 장치(1)는, 덮개(5)의 내면 중앙에 나사로 붙인 볼트의 선단에 고정되어, 분출관의 상단(7b)으로부터 분출되는 피여과액을 충돌에 의해서 롤 필터(6)의 상단면(6b)에 대략 균등히 분산시키는 충돌판(8)과, 이 충돌판(8)에 부착봉(9)을 통해 간격을 두어 부착됨과 동시에, 중심 구멍(10a)으로 상기 분출관(7)의 상단(7b)을 삽통하고, 하부 외주(10b)를 상기 롤 필터(6)의 안 코어(11)에 맞물리게 하여, 대직경의 플랜지부(10c)를 롤 필터의 상단면(6b)에 접촉시켜 롤 필터(6)의 상단을 고정하는 환형의 고정판(10)과, 롤 필터(6)의 하단면(6c)과 케이스(2)의 저면 사이에 부착된 원판형의 소취 필터(12)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5)는, 도4의 상면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 중앙에 T 자형의 손잡이(13)가 돌출 부착되고, 외주가 케이스의 상단 외주의 모따기부(2c)와 일체로 된 가로 V 자형의 쐐기를 형성하는 모떼기부(5a)로 되어 있고, 상기 쐐기는, 한쪽 단이 힌지(15)로 연결되어, 타단이 나사 볼트(16)로 체결되는 1쌍의 반원환으로 이루어지는 클램프(14, 도4참조)에 의해서 외측으로부터 체결되고, O 링(19)을 통해 케이스(1)에 밀착시켜서 소위 압력솥 구조를 이룬다.
하단에 충돌판(8)을 고정한 볼트(17)는, 상기 손잡이(13)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여, 덮개(5)의 내면측에 나사 결합된 멈춤 너트(18)를 일단 느슨하게 하여, 회전에 의해 진퇴시킴으로써, 충돌판(8) 및 고정판(10)을 롤 필터로 높이에 따라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판(10)의 중심 구멍(10a)의 내면, 플랜지부(10c)의 하단면, 이것에 인접하는 하부 외주면에는, O 링(20)을 장착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덮개(5)로 케이스(1)를 밀봉했을 때, 고정판(10)이, 롤 필터의 중심 관통 구멍(6a) 및 분출관(7)의 외주를 액체 기밀로 밀봉하여, 피여과액이 중심 관통 구멍(6a)으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롤 필터(6)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덮개(5)를 벗겼을 때의 롤 필터(6)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소취 필터(12)는, 스테인레스강제 금속망을 원판형의 바구니로 형성하여, 이 바구니 내에 활성 백토, 활성탄, 도르마린 등의 작은 덩어리나 분말을 충전하여 이루어지고, 롤 필터(6)의 고정 시에 고정판(10)으로부터 작용하는 압하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취 필터(12)의 외측에는, 케이스(1)의 내면으로부터 약간의 간극을 두어 상하면이 개방된 칸막이 원통(21)을, 그 상단연이 롤 필터(6)의 하면(6c)으로 파고들도록 배치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 롤 필터(6)의 외주와 케이스(1)의 내주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통해 유출구(4)로 향하는 미여과된 피여과액의 흐름을 저지하고 있다.
분출관(7)의 하단(7a)은, 유입구(3)를 액체 기밀 상태로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하단(7a)에 니플(22)을 통해 펌프(24)의 토출관(25)이 접속되어, 펌프(24)는 스트레이너(26)로부터 흡입관(23)을 지나서 취입된 피여과액을, 1 kgf/cm2 정도의 압력에서 분출관(7)으로 도면의 화살표와 같이 압송한다.
상기 구성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작용에 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펌프(24)를 기동하면, 도시하지 않은 탱크의 피여과액이, 스트레이너(26) 및 흡입관(23)을 지나서 취입되고, 도1의 화살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관(25)을 지나서 분출관(7)으로 압송된다. 압송되어 온 피여과액은, 케이스(1)의 중심축 상으로 연장되는 분출관(7)의 상단(7b)으로부터 분출되어, 상방의 충돌판(8)에 부딪혀 방사상으로 하측을 향하고, 롤 필터(6)의 상단면(6b)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된다. 분산된 피여과액은, 롤 필터(6) 내를 흘러내려, 함유되는 먼지나 이물질 입자가 흘러내림과 함께 롤 필터(6)로 여과되어 얻어지고, 롤 필터의 하단면(6c)으로부터 청정한 액으로 되어 유출된다.
분출되는 피여과액이, 충돌판(8)에 의해서 롤 필터 상단면(6b)으로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롤 필터(6) 내를 구석구석까지 유하하기 때문에, 종래의 여과 장치와 같이 먼지나 이물질 입자가 필터의 특정 개소에 집중되여 단기간에 눈 막힘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피여과액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 좋게 여과할 수가 있다.
또한, 복수의 O 링(20)을 가진 고정판(10)을, 볼트(17)의 진퇴에 의해서 위치 조정하고, 덮개(5)에 의한 케이스(1)의 밀봉에 있어서 롤 필터(6)의 중심 코어(11) 및 분출관(7)에 끼워 맞춤하여, 압하력에 견디는 소취 필터(12)를 끼워서 케이스 바닥부(2a)로 압박하여, 중심 코어(11)의 상단 개구를 밀봉하기 때문에, 분출관(7)으로부터 분출되는 피여과액이 중심 코어(11)의 내부로 새어 들어오는 일이 없고, 사용시의 롤 필터(6)의 변형이 방지되고, 그 뿐만 아니라, 소취 필터(12)의 외측에 배치한 칸막이 원통(21)의 상단연이, 롤 필터의 하단면(6c)으로 파고 들어가서, 롤 필터의 외주와 케이스(1)의 내주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간극을 통과하는 미여과액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유출구(4)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하지 않은 청정한 액이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
롤 필터의 하단면(6c)로부터 흘러나오는 청정한 액체는, 계속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취 필터(12)로 들어가서, 바구니에 충전된 기능성 협잡물인 활성 백토, 활성탄, 토르마린에 의해서 소취되어, 이상한 악취가 없는 액으로 되어 유출구(4)로부터 유출된다. 상기 소취 필터(12)는, 롤 필터에 소취제를 함침시킨 종래 예와 달리, 롤 필터(6)와는 별개 전용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용 오일이나 양어물 등 피여과액의 용도에 맞게 소취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예에 비해서 보다 강력하게 피여과액을 소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소취 필터(12)는, 오일 가스나 오일 중 성분의 변화나 가열에 의한 산화로 냄새가 발생하기 쉬운 튀김 기름에 대해서 이용하면 적합하다.
피여과액이, 튀김 기름 등과 같이 100 내지 150 °C 로 비교적 고온인 경우, 충돌판(8)에 의해서, 분출하는 피여과액이 직접 케이스(1)에 부딪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돌판(8)이 방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케이스(1)에 닿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는다.
또, 분출관(7)에 소직경관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롤 필터의 횡단 면적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 효율을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2는, 도1의 롤 필터(6)보다도 짧은 롤 필터(27)를 이용한 도1과 마찬가지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롤 필터(27)는, 도5의(B)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코어(28)의 주위에 셀룰로오스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권취하여 이루어지고, 케이스(1) 내의 칸막이 원통(21)에 높이 조정을 위해 얹혀진 원통형의 다이 시트(29)에 걸친 다수의 물 제거 구멍을 갖는 지지 원판(30)에 얹어 놓아 수용된다. 칸막이 원통(21)의 상단연은, 도1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다이 시트(29)의 하단면으로 파고들어가고, 상기 지지 원판(30)의 외주의 입연부는, 롤 필터(27)의 하면으로 파고들어가서, 케이스 내주와 롤 필터 외주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유하하는 미여과 액의 유출을 막도록 하고 있다. 다이 시트(29)의 높이는, 덮개(5)로 케이스(1)가 밀봉될 때, 고정판(10)이 중심 코어(28)의 상단 개구에 밀봉 끼워 맞춤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밀봉형 여과 장치도, 롤 필터(27)가 짧은 점을 제외하고는 도1의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1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고,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도3은, 도1의 롤 필터(6)의 중심 코어(11)를 없앤 롤 필터(31)를 이용한 도1과 마찬가지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롤 필터(31)는, 도5의(C)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관(7)에 꼭 맞게 끼워 맞춰 넣은 내경의 중심 관통 구멍(31a)을 갖도록 셀룰로오스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권취하여 붙여서 만들어지고, 케이스(1) 내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다. 고정판(32)은, 도1, 도2의 고정판(10)과 달리 짧고, 중심 구멍(32a)의 내주와 하단면(32b)에 각각 O 링(20)을 끼워 맞춤하여, 덮개(5)에 의한 케이스(1)의 밀봉 시에, 고정판(32)이 롤 필터의 상단면(31b)의 중앙을 억압하도록 하여 분출관(7)의 외주와 롤 필터(31)의 중심 관통 구멍(31a)의 내주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에 미여과액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밀봉형 여과장치도, 롤 필터(31)가 중심 코어가 없는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의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 밀봉형 여과 장치에서는, 롤 필터(31)의 중심 관통 구멍(31a)이 분출관(7)에 끼워 맞춤하여 있기 때문에, 도1, 도2의 실시 형태에 비해 롤 필터의 횡단면적을 늘링 수 있고, 여과 효율을 한층 올릴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여과의 대상이 액체인 경우에 관해서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밀봉 여과 장치는, 배기 가스를 포함하는 습윤한 공기의 정화 처리에도 이용할 수 있다.
도6은, 도1 내지 도3의 밀봉형 여과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이다.
이 여과 시스템은, 밀봉형 여과 장치(1)와, 이 장치의 분출관(7)에 피여과액을 압송하는 펌프의 토출관(25)에 설치된 온도 센서(34) 및 압력 센서(35)와, 제어 회로(3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회로(33)는, 온도 및 압력 센서(34 및 35)로부터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센서 증폭기(36)와, 이 센서 증폭기(36)의 출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7)와, 상한 온도나 상한 압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41)와, 피여과액의 온도나 압력이 이상한 때에 경보나 빛을 발하는 온도 및 압력 경보기(39 및 40)와, 상기 A/D 변환기(3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나타내는 피여과기의 온도 및 압력을,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상한 온도 및 상한 압력과 비교하여, 전자가 후자를 넘고 있을 때에 온도 또는 압력 경보기(39 또는 4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펌프(24)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38)와, 외부 접속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변 인터페이스(43)와, 이 주변 인터페이스(43) 및 키보드(41)와 컴퓨터(38)와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외부 컨트롤러(42)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펌프(24)에 의해서 공급되는 피여과액이, 밀봉형 여과 장치(1)에서 여과되고 있을 때, 롤 필터(6)의 눈 막힘이나 다른 원인으로 토출관(25) 내의 피여과액의 온도 또는 압력이, 키보드(41)로 설정된 상한치를 넘으면, 센서 증폭기(36)와 A/D 변환기(37)를 통해 입력되는 검출 신호와 상기 상한치를 비교하고 있는 컴퓨터(38)는, 이상 고온 또는 이상 고압으로 판단하여, 온도 경보기(39) 또는 압력 경보기(40)를 작동시켜, 펌프(24)를 긴급 정지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도 경보기(39) 또는 압력 경보기(40)가 발하는 경보로 이상을 안 사용자는, 즉시 여과 시스템의 불량 개소를 점검하여, 대책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펌프(24)의 긴급 정지에 의해서 운전 속행에 의한 사고 등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컴퓨터(38)가 단일의 밀봉형 여과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컴퓨터(38)는,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에 부착된 온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마찬가지로 이상한 밀봉형 여과 장치의 경보기를 작동시켜, 펌프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를 1개의 컴퓨터로 집중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호텔에 있어서 폐수나 자동차 수리 공장에 있어서 엔진 오일 등 다량의 피여과액을 항상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용하면 적합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이 밀봉형 여과 장치는, 고정판(10)과 소취 필터(12)를 연결관(44)으로 연결한 점을 제외하고 도1의 밀봉형 여과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어서, 도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연결관(44)은, 분사관(7)보다도 대직경으로, 이 분사관(7)을 둘러싸도록 동심으로 배치되어, 상단(44a)이 고정판(10) 바닥면의 중앙 구멍(10c)에 끼워 맞춤되는 한편, 하단 외주에 수나사[44b, 도8의 (A)참조]를 가진다. 소취 필터(12)는, 상기 연결관(44)의 수나사(44b)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2a)를 내주에 가지는 대직경의 구멍과, 이 구멍의 하방에 늘어서 있고 분출관(7)이 조밀하게 삽입 통과되는 소직경의 구멍[12b, 도8의 (A)참조]을 중앙에 가진다.
상기 구성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작용을 도8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5)의 내면에 볼트(17), 충돌판(8) 및 부착봉(9)을 통해 부착되고 고정판(10)의 바닥면의 중앙 구멍(10d)에,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44)의 상단(44a)을 끼워 맞춤해 넣고, 이 연결관(44)의 하단으로부터 롤 펌프(6)를 삽입하여,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펌프(6)의 중심 코어(11)를 고정판(10)의 하부 외주(10b)에 끼워 맞춤시키고, 롤 필터(6)의 상단면(6b)을 고정판(10)의 플랜지부(1Oc)에 접촉시킨 후, 롤 필터(6)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수나사(44b)를, 소취 필터(12)의 중앙 구멍의 암나사(12a)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고,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0)과 소취 필터(12)의 사이에 롤 필터(6)를 끼워서 보유 지지하여, 덮개(5), 롤 필터(6) 및 소취 필터(12)를 일체화한다.
다음에, 일체화된 롤 필터(6)와 소취 필터(12)를 케이스(2)의 상단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케이스(2) 내의 중앙으로 돌출하는 분출관(7)을 소취 필터(12)의 소직경 구멍(12b)과 고정판(10)의 중심 구멍(10)을 통해서 케이스(2)의 상단 개구를 덮개(5)와 클램프(14)로 밀봉하면, 롤 필터(6)과 소취 필터(12)의 장착이 종료된다(도7 참조). 따라서, 이 밀봉형 여과 장치는, 롤 필터(6)와 소취 필터(12)를 덮개(5)의 장착과 동시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롤 필터(6)를 눈 막힘에 의한 교체 등으로 제거할 필요가 생긴 경우, 클램프(14)를 빼서, 손잡이(13)에 의해서 덮개(5)를 끌어올린다. 그렇게 하면, 덮개(5)와 일체화된 롤 필터(6) 및 소취 필터(12)도 함께 끌어올려지고, 케이스(2)의 상방으로 뽑혀진다. 따라서, 가동 중에 피여과액의 고온 또는 높은 분출 압력에 의해서 롤 필터(6)가 케이스(2)에 밀착한 경우라도, 롤 필터(6)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관(44)의 하단 외주에 수나사(44b)를, 소취 필터(12)의 중앙에 암나사(12b)를 각각 부착하였지만, 연결관에 암나사를, 소취 필터에 수나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는, 바닥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고, 상단이 착탈 가능한 덮개로 밀봉된 케이스 내에, 시트형의 여과재을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롤 필터를 수용하여, 하단을 상기 유입구에 접속한 분출관의 상단을, 상기 롤 필터의 중심 관통 구멍의 상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분출관 상단의 상방에, 상기 덮개의 내면에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된 충돌판을 배치하고, 이 충돌판에 부착 부재를 통해 환형의 고정판을 부착하여, 이 고정판으로 분출관의 상단을 둘러쌈과 동시에 롤 필터의 상단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여과액을 충돌판에 충돌시켜 롤 필터의 상단면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먼지가 롤 필터의 특정 개소에 집중되어 단기간에 눈 막힘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피여과액을 장기간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롤 필터의 하면과 케이스 바닥면 사이에 소취 필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롤 필터에서 여과된 피여과액을 효과적으로 소취할 수 있으므로, 롤 필터에 소취제를 함침시킨 경우에 비하여, 사용 후의 식용 오일 등의 피여과액을 한층 강력히 소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서는, 연결관의 상단이 고정판의 하면에 끼워 맞춤되고, 연결관의 하단이 소취 필터의 대략 중앙의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연결관 하단의 나사가 소취 필터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판와 소취 필터 사이에 롤 필터가 끼워져서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관을 통해 소취 필터 및 롤 필터를 상기 고정판과 함께 장착하여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롤 필터 및 소취 필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피여과액의 온도나 분출 압력에 의해서 롤 필터가 케이스에 밀착된 경우라도,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1개 또는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분출관에, 펌프에 의해서 피여과액이 압송되고, 이 피여과액의 온도 및 압력의 적어도 1개가 온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 검출되고, 이들 센서의 검출 신호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한치와 비교되어, 비교 결과가 이상한 고온 또는 고압이면, 제어 장치가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펌프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경보에서 이상을 안 사용자는 즉시 대책을 취할 수 있고, 여과 시스템이 강제 정지되기 때문에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밀봉 여과 장치를 1개의 제어 장치로 집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2는 롤 필터를 도1의 것보다 짧게 한 밀봉형 여과 장치의 종단면도.
도3은 도1의 롤 필터의 중심 코어를 없앤 롤 필터를 갖는 밀봉형 여과 장치의 종단면도.
도4는 도1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상면도.
도5의 (A), (B) 및 (C)는 각각의 상기 롤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도1 내지 도3의 밀봉형 여과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
도7은 본 발명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8의 (A) 및 (B)는 도7의 밀봉형 여과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봉형 여과 장치
2 : 케이스
3 : 유입구
4 : 유출구
5 : 덮개
6 : 롤 필터
7 : 분출관
8 : 충돌판
10 : 고정판
11 : 중심 코어
12 : 소취 필터
12a : 암나사
12b : 소직경 구멍
14 : 클램프
17 : 볼트
24 : 펌프
25 : 토출관
33 : 제어 회로
34 : 온도 센서
35 : 압력 센서
38 : 컴퓨터
39 : 온도 경보기
40 : 압력 경보기
41 : 키보드

Claims (4)

  1. 피여과액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바닥부에 가지는 통형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케이스 내를 밀봉하는 덮개와,
    시트형의 여과재를 중심으로 관통 구멍을 갖도록 권취해서 이루어지고,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에 접하여 이 케이스에 수용되는 롤 필터와,
    하단을 상기 유입구에 접속하고, 상단을 상기 롤 필터의 관통 구멍의 상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케이스 내에 부착하어, 압송되어 오는 피여과액을 분출하는 분출관과,
    상기 덮개의 내면에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고, 분출되는 피여과액을 충돌에 의해서 상기 롤 필터의 상단면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충돌판과,
    이 충돌판에 부착 부재를 통해 간격을 두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분출관에 삽통되고, 또한 상기 롤 필터를 고정하는 환형의 고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필터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원판형의 소취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끼워 맞춤되는 한편, 하단 외주에 나사를 가지는 연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취 필터는, 상기 연결관 하단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와,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는 구멍을 중앙에 가지고,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 상기 롤 필터를 끼워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여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1개 또는 복수의 밀봉형 여과 장치와, 상기 유입구에 토출관을 접속한 펌프와, 피여과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및 피여과액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로 하여 피여과액이 이상한 고온 또는 고압이 되었을 때,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KR10-2002-0033935A 2001-06-19 2002-06-18 밀봉형 여과장치 KR100502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4846 2001-06-19
JPJP-P-2001-00184846 2001-06-19
JP2001394477A JP3748816B2 (ja) 2001-06-19 2001-12-26 密封型濾過装置
JPJP-P-2001-00394477 200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967A KR20020096967A (ko) 2002-12-31
KR100502601B1 true KR100502601B1 (ko) 2005-07-22

Family

ID=2661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935A KR100502601B1 (ko) 2001-06-19 2002-06-18 밀봉형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48816B2 (ko)
KR (1) KR100502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24B1 (ko) * 2009-06-29 2010-04-19 주식회사 생 조립형 섬유여재 여과기
CN114130091B (zh) * 2021-11-15 2023-05-05 东莞市瑞臻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油墨过滤固液分离设备
KR102473083B1 (ko) * 2022-06-24 2022-12-01 주식회사 미드니 수처리용 여과필터장치
CN115501670B (zh) * 2022-09-15 2023-06-16 长春职业技术学院 一种应用于啤酒生产过程中的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8816B2 (ja) 2006-02-22
JP2003071209A (ja) 2003-03-11
KR20020096967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675A (en)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hold-up in a filter assembly
CA1156938A (en) Filter assembly with jacked filter cannister
US5984109A (en) Filter assembly including a disposable coreless filter element
US5605625A (en) Filter assembly
KR101107442B1 (ko) 통기 필터 요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US6322697B1 (en) Oil filter assembly
US5951862A (en) Filter
US6187191B1 (en) Filter having an end flange with a downwardly-bent edge portion
US3773180A (en) Oil filter housing assembly
US5364528A (en) Filter apparatus including filter cartridges and an inpermeable film bag
US6319402B1 (en) Extended life dual full-flow and bypass filter
KR100502601B1 (ko) 밀봉형 여과장치
US6409919B1 (en) Reusable filter housing with replaceable, disposable filter cartridge
US20060131225A1 (en) Liquid filter
US5662800A (en) Oil/water purifying apparatus
GB20984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ering particles from a liquid
US4594161A (en) Reverse osmosis sealing means
US5595656A (en) Device for filtering agricultural water
EP0859147B1 (en) Filter arrangement
US5441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sealing filter element
CN110573228A (zh) 用于液体过滤的过滤元件
EP0774288B1 (en) Filter and filter element
CA2167975A1 (en) Modulating device equipped with a last chance filter for an ink jet printing head
JP2005144204A (ja) 密封型濾過装置
JP2004321843A (ja) 濾過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