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815B1 -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815B1
KR100499815B1 KR20030018157A KR20030018157A KR100499815B1 KR 100499815 B1 KR100499815 B1 KR 100499815B1 KR 20030018157 A KR20030018157 A KR 20030018157A KR 20030018157 A KR20030018157 A KR 20030018157A KR 100499815 B1 KR100499815 B1 KR 10049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lient
user
central server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624A (ko
Inventor
정수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네트
Priority to KR2003001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8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램을 이루게 되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삭제를 통해 관리하며 또한 변경이력 및 버전 관리를 하고 테스트 및 다운로드를 통해 컴포넌트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중앙 서버에 컴포넌트 공유 관리 도구를 설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 PC는 컴포넌트 검색, 다운로드, 등록 및 수정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해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컴포넌트를 테스트, 평가, 결과 보고서 작성을 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검증된 컴포넌트를 등록시켜 컴포넌트 품질관리를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중앙 서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 의해 운영되어 컴포넌트의 관리(등록, 수정, 삭제), 변경관리, 버그리포트, 테스트, 컴포넌트 검색 및 사용자 관리 기능을 통하여 컴포넌트 재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mponent sharing and managing system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램을 이루게 되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삭제를 통해 관리하며 또한 변경이력 및 버전 관리를 하고 테스트 및 다운로드를 통해 컴포넌트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포넌트'(componen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루는 하나의 독립된 실행 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오브젝트(object), 모듈(module), 클래스(class)라는 종래의 개념보다 한층 진화되어 프로그래머 측면에서 최종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실행 단위를 지칭하는 개념을 뜻하게 되었다.
윈도우즈가 주 운영체제로 소개된 이래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의 도입으로 종래의 시퀀셜 프로그래밍(sequential programming)이 사라지고 프로그램이 특정 기능에 따라 오브젝트 모듈별로 분리화되면서 컴포넌트는 하나의 프로그램 구성을 이루는 실행 단위로서 독립적 기능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들은 특정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시스템을 구현할 때, 사용자와의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를 위해 소스 코드를 전부 프로그램밍 할 필요없이 이미 검증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링킹(linking)만 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PC 상에서 실행 exe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을 배경으로 로그인 및 입력창의 표시를 하나의 컴포넌트로 구성하면, 프로그래머는 이미지 파일, 로그인 입력창의 속성만을 바꿈에 따라 전자상거래, 홈 뱅킹, 사무 관리 프로그램 등에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입력 표시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밖에도 컴포넌트는 얼마든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는 이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 언어, 개발 툴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된 컴포넌트라도 함께 묶음으로서 실행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컴포넌트 관리 시스템(1)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존의 시스템은 컴포넌트 재사용(reuse)을 위한 저장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프로그래머들이 되며, 공유 컴포넌트 자원들은 사용 프로세스(P1)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컴포넌트 관리도구로부터 검색되며 조건에 맞는지 평가되고 다운로드를 통해 사용 여부가 결정된다. 생성 프로세스(P2)에서는 선택된 컴포넌트를 이용 새로운 컴포넌트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컴포넌트는 관리 프로세스(P3) 상에서 관리자에 의해 테스트되고 문서화를 거쳐 검토된 후 컴포넌트 관리도구에 수용될 것인지 아니면 거부될 것인지 결정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컴포넌트 관리 시스템(1)은 재사용의 측면에서 컴포넌트의 저장소 기능이나 컴포넌트 유통 측면에서의 저장소 및 관리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컴포넌트 공유를 위해 사용자와의 접점에 있는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검색 기능이나 사용 우선순위에 의한 단순한 추천 정도에 그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상세하게,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컴포넌트를 선택하게 하는 정보제공기능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컴포넌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사용자의 이용율 또는 평가순위만을 제공하고, 간단한 키워드 검색 정도만을 제공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분류 항목에 의한 컴포넌트의 그룹핑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기능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컴포넌트의 기능을 제대로 선택할 수 없었으며 컴포넌트의 활용과 관련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어 컴포넌트 재사용이 둔화되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은, 컴포넌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용자를 대상으로 컴포넌트를 공유할 수 있는 회사 조직 내의 시스템 또는 전자 상거래를 통한 유료화 사이트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은, 컴포넌트의 관리(등록, 수정, 삭제), 변경관리, 버그리포트, 테스트, 컴포넌트 검색 및 사용자 관리를 통하여 컴포넌트 재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컴포넌트의 검색, 등록, 수정 및 다운로드 요청을 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등록한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요청 사항을 처리하고, 컴포넌트의 테스트 및 등록여부를 판단 관리하는 관리자 클라이언트 PC; 및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컴포넌트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며 소정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며 저장된 컴포넌트를 관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중앙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중앙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공유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중앙 서버에 접속하여 컴포넌트의 검색기능을 통해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중앙 서버는 요청된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신된 컴포넌트를 이용하고, 상기 중앙 서버로 새로운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요청을 하는 제 2단계;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등록, 수정 요청한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신규 컴포넌트의 추가, 기존 컴포넌트의 수정을 통해 기등록 또는 신규 등록되는 컴포넌트를 테스트하여 버그 리포트를 작성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로부터의 컴포넌트 등록, 수정, 삭제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부에 저장된 컴포넌트의 변경관리 및 버전관리를 함으로써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가 상기 중앙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공유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중앙 서버에 컴포넌트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를 중개하고, 컴포넌트 공유 방법에 따라 컴포넌트의 관리(등록, 수정, 삭제), 변경관리, 버그리포트, 테스트, 컴포넌트 검색 및 사용자 관리를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컴포넌트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종래의 환경에서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처리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사용자 클라이언트 PC의 처리 순서도이고, 도 6은 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의 처리 순서도이고, 도 7은 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중앙 서버의 개락적 기능도이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환경에서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다. 종래의 시스템(1)은 단지 컴포넌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환경이었다.
종래의 환경에서는 중앙에 위치한 컴포넌트 관리도구에 대하여 사용자들은 사용 프로세스(P1) 상에서 검색을 통해 컴포넌트를 다운로드 받았다. 다운로드된 컴포넌트는 사용자들로부터 이용되다가 생성 프로세스(P2) 상에서 새로 구성되어 신규 등록을 요청되었다. 관리 프로세스(P3)는 신규 등록 요청되는 컴포넌트가 관리자에 의해 테스트되어 컴포넌트 관리도구에 등록여부가 결정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1)에서는 단지 자원의 공유를 공동 저장소의 기능만을 제공할 뿐 실질적인 컴포넌트 자원의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 버전관리, 변경관리, 이력관리 사용자 관리 등 그 작업 효율면에서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2)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은 중앙 서버(10),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로 구성된다.
중앙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와 컴포넌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2)에는 공유 자원으로서 컴포넌트가 저장된다. 제어부(13)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제어 방법에 따라서 통신부(11) 및 저장부(12)를 제어하며 컴포넌트가 재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이 갖는 각종 기능 및 구성을 블록 개념화하여 도시한다.
통신부(1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의 웹서비스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이 웹서비스는 외부 케이스툴(case tool)이나 개발 툴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저장부(12)는 컴포넌트와 관련 파일들이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으로 데이터베이스, LDAP, 파일 시스템 등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저장부(12)에 접근하는 모듈은 레지스트리(registry)(15)를 통해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매체에 상관없이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저장부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레지스트리(15)는 물리적 저장소인 저장부(12)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컴포넌트 및 관련 파일들이 저장된 저장부(12)에 접근하기 위한 모듈은 반드시 레지스트리(15)를 통해야만 하기 때문에 저장부의 매체 특성에 관계없이 투명성 있는 접근을 허용한다.
프레임워크(13)는 본 발명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2)의 메인 코아로서 제어부(13)에 해당하며 각 구성이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제어 관리한다.
검색엔진(14)은 컴포넌트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검색엔진으로 검색 어댑터(16)를 통해 다양한 제품이 애드-인(add-in)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검색어댑터(16)는 다양한 검색엔진(14)을 애드-인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임의의 검색엔진이 애드-인 되더라도 검색엔진(14)을 사용하는 모듈에게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도 3의 중앙부에는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2)에서의 총 9개의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주요 기능들에 대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컴포넌트 관리 기능은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모듈로서 컴포넌트의 등록/수정/삭제를 담당하는 모듈이다. 등록되는 자료는 컴포넌트 실행파일과 스펙, 관련 산출물 등 컴포넌트와 관련되는 모든 것들이며 등록되는 자료는 레지스트리(15)를 통해 저장부(12)에 저장된다.
변경관리 기능은 등록된 컴포넌트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등록된 컴포넌트에 대한 변경요청과 이에 대한 승인 및 처리, 그리고 변경된 컴포넌트의 변경 내역과 변경요청자 등의 정보가 관리된다.
통계 기능은 컴포넌트와 사용자 등에 대한 통계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컴포넌트 등록 현황, 사용자별 다운로드 현황, 사용자별 업로드 현황, 컴포넌트별 버그 발생 현황, 버그별 처리 현황 등의 통계 정보가 제공된다.
버그리포트(bug report) 기능은 등록된 컴포넌트에 대한 버그를 보고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이다. 보고된 버그는 관리자의 승인에 의해 버그 수정 담당자 및 일정이 결정되고 통보된다. 오류로 승인된 버그는 변경요청으로 등록되어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수정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커뮤니티 기능은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컴포넌트 관리 시스템의 사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한 모듈로서 다양한 게시판을 제공한다.
사용자 관리 기능은 유효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시스템(2)이 회사 조직 내의 인프라 시스템 모델로 구축될 경우는 회사 사원이 되며, 전자 상거래 모델에서는 유료 사용자에 해당한다. 컴포넌트는 공유 자원으로서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에 권한을 가진 유효 사용자만이 컴포넌트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권한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에서의 개략적 처리 흐름을 도시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는 중앙 서버(10)의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된다. 이들 클라이언트 PC 들은 통합 개발 환경에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을 통해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으나 컴포넌트의 최종 승인은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만이 갖는다.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는 통신부(11)를 통해 중앙 서버(10)에 접속하여 원하는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이 때 검색 대상은 컴포넌트 스펙과 관련 산출물 등이 된다. 원하는 컴포넌트를 발견했을 경우 이를 다운로드 받거나 테스트 후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특히, 테스트는 다운로드를 받지 않고서 중앙 서버 상에서 제어부(13)의 제어하에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컴포넌트를 발견하지 못하면 원하는 컴포넌트 기능에 대해 신규 개발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는 컴포넌트를 사용하면서 발견되는 버그의 수정, 기능의 추가 또는 변경에 대한 요구를 할 수 있으며, 신규 컴포넌트의 개발 및 등록 요청을 할 수도 있다.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승인을 한다. 신규요청과 변경요청에 대해 관리자는 담당자와 일정을 할당하고 버그에 대한 승인 및 답변을 하며 등록요청된 컴포넌트에 대해 검토 과정을 거쳐 승인을 함으로써 저장부(12)에 등록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모든 요청 및 승인 과정은 기록으로 관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시스템(2)은 외부의 모델링 툴과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컴포넌트 유통 시스템을 플러그-인 형태로 추가하여 컴포넌트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즉 시스템(2)은 사내 인프라 시스템 모델로 구축하여 내부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모델로 구축하여 유료화 사업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 상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로그인 단계(S20)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는 중앙 서버(10)에 통신부(11)를 통해 접속한다. 컴포넌트 검색 단계(S21)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는 원하는 컴포넌트를 검색한다. 검색 OK 단계(S22)에서 원하는 컴포넌트가 검색이 되면 테스트 단계(S23)에서 중앙 서버(10) 상에서 컴포넌트의 실행을 테스트 한 후 다운로드 단계(S24)를 거쳐 검색된 컴포넌트를 다운로드 받는다. 만약 원하는 컴포넌트가 검색되지 않으면 등록 or 수정 요청 단계(S25)에서 원하는 컴포넌트의 등록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 상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관리자 클라이언트 PC 로그인 단계(S30)에서 관리자 클라이언트 PC(30)는 중앙 서버(10)에 통신부(11)를 통해 접속한다. 관리자는 등록 or 수정 요청 단계(S32)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로부터 컴포넌트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는지 검색한다. 요구 사항이 없는 경우는 그대로 종료하며,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컴포넌트를 수정하거나 신규로 생성한다. 그리고 테스트 단계(S33)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컴포넌트가 의도한 대로 동작되는지를 시험하고 리포트 작성 단계(S34)에서 테스트 결과 및 컴포넌트의 스펙 등 보고서를 작성한다. 리포트 작성 결과 등록에 이상이 없는 경우, 컴포넌트 등록 단계(S35)에서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컴포넌트 저장 단계(S36)에서 컴포넌트를 저장부(12)에 저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중앙 서버의 개락적 기능을 도시한다.
컴포넌트 검색기능(F1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PC(20)가 요청한 컴포넌트에 대해서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2)로부터 컴포넌트가 검색된다.
컴포넌트 테스트기능(F20)은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PC로 다운로드 받은 후 테스트 결과 불만족스러울 수도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 이전에 중앙 서버(10)에서 테스트를 거친 후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 이력의 관리 기능(F30)은 사용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공유된 자원의 재사용율을 높이도록 한다. 즉, 컴포넌트 사용 빈도, 사용자의 이용 사항 등의 사용 이력을 통해 컴포넌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경 이력의 관리기능(F40)은 컴포넌트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를 관리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자세히 안내를 알 수 있다.
버전 관리 기능(F50)은 컴포넌트의 모듈간의 인터페이스 및 호환성을 유지시켜 궁극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버전 관리 기능은 변경 이력의 관리기능(F40)과 마찬가지로 컴포넌트의 업그레이드 정보를 상세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버그 리포트 기능(F60)은 컴포넌트가 제대로 수행되는지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함으로써 컴포넌트 이용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공유된 컴포넌트 자원의 품질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중앙 서버에 컴포넌트 공유 관리 도구를 설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 PC는 컴포넌트 검색, 다운로드, 등록 및 수정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해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컴포넌트를 테스트, 평가, 결과 보고서 작성을 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검증된 컴포넌트를 등록시켜 컴포넌트 품질관리를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중앙 서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 의해 운영되어 컴포넌트의 관리(등록, 수정, 삭제), 변경관리, 버그리포트, 테스트, 컴포넌트 검색 및 사용자 관리 기능을 통하여 컴포넌트 재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환경에서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처리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사용자 클라이언트 PC의 처리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의 처리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에서의 중앙 서버의 개락적 기능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종래 시스템 P1 : 사용 프로세스
P2 : 생성 프로세스 P3 : 관리 프로세스
2 : 본 시스템 10 : 중앙 서버
11 : 통신부 12 : 저장부
13 : 제어부 14 : 검색엔진
15 : 레지스트리 16 : 검색어댑터
20 :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30 : 관리자 클라이언트 PC

Claims (3)

  1.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컴포넌트의 검색, 등록, 수정 및 다운로드 요청을 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등록한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요청 사항을 처리하고, 컴포넌트의 테스트 및 등록여부를 판단 관리하는 관리자 클라이언트 PC; 및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컴포넌트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며 소정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며 저장된 컴포넌트를 관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중앙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중앙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공유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2.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의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중앙 서버에 접속하여 컴포넌트의 검색기능을 통해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중앙 서버는 요청된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신된 컴포넌트를 이용하고, 상기 중앙 서버로 새로운 컴포넌트의 등록, 수정 요청을 하는 제 2단계;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등록, 수정 요청한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신규 컴포넌트의 추가, 기존 컴포넌트의 수정을 통해 기등록 또는 신규 등록되는 컴포넌트를 테스트하여 버그 리포트를 작성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로부터의 컴포넌트 등록, 수정, 삭제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부에 저장된 컴포넌트의 변경관리 및 버전관리를 함으로써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 PC가 상기 중앙 서버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공유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가 검색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 서버에서 테스트를 거친 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되는 제 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공유 관리 방법.
KR20030018157A 2003-03-24 2003-03-24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9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8157A KR100499815B1 (ko) 2003-03-24 2003-03-24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8157A KR100499815B1 (ko) 2003-03-24 2003-03-24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24A KR20040083624A (ko) 2004-10-06
KR100499815B1 true KR100499815B1 (ko) 2005-07-07

Family

ID=3736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8157A KR100499815B1 (ko) 2003-03-24 2003-03-24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285A2 (en) * 2007-10-11 2009-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oadable device component
US8301644B2 (en) 2007-10-11 2012-10-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oadable device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46B1 (ko) * 2010-06-08 2012-01-18 엔에이치엔(주) 버스를 이용한 컴포넌트 추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285A2 (en) * 2007-10-11 2009-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oadable device component
WO2009048285A3 (en) * 2007-10-11 2009-07-16 Korea Electronics Telecomm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oadable device component
US8301644B2 (en) 2007-10-11 2012-10-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oadable device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24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972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rastructure and middleware provisioning
US10713251B2 (en) Pushing data to a plurality of devices in an on-demand service environment
US9413850B2 (en) Dynamic definition for concurrent computing environments
Agrawal et al. Policy-based management of networked computing systems
US9552401B2 (en) ETL tool interface for remote mainframes
US8151256B2 (en) Platform independent registry framework
CA2457440C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ystem
US8396846B2 (en) Database trigger mod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114861B2 (en) Expandable ad hoc domain specific query for system management
US20080244557A1 (e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anagement software using the same
CN101384995A (zh) 应用服务器中的管理自动化
US9459859B2 (en) Template derivation for configuration object management
Cabral et al. MySQL administrator's bible
KR20040101538A (ko) 컴퓨터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99815B1 (ko) 컴포넌트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888937B2 (en) Domain specific provider contracts for core data services
Carrizo et al. Using Liberty for DevOps, Continuous Delivery, and Deployment
US200502620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ult dataset generation in a javascript environment
Dawes et al. OCA: Oracle 10g Administration I Study Guide (1Z0-042)
KR20230091748A (ko) 다중 서버에서 응용 작업 실행 및 관리를 위한 분산 워크플로우 장치 및 방법
Chang The 64-bit. NET e-portal applications for e-Learning and e-Science
WO2023078875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resources
CN117349891A (zh) 一种基于Mybatis的动态数据权限控制方法、设备及介质
GB2388214A (en) Updating a monitoring agent using a structured document
Aguado Sanchez Automated tools and techniques for distributed Grid Software: Development of the testbed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