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223B1 -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223B1
KR100499223B1 KR10-2003-0013388A KR20030013388A KR100499223B1 KR 100499223 B1 KR100499223 B1 KR 100499223B1 KR 20030013388 A KR20030013388 A KR 20030013388A KR 100499223 B1 KR100499223 B1 KR 100499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axial
overloa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442A (ko
Inventor
이희현
Original Assignee
이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현 filed Critical 이희현
Priority to KR10-2003-00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2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1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combined with shock-absorb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및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 방해없이도, 정확하게 차량의 축중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총 중량을 측정할 수 있어, 과적차량여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과적차량의 차량번호, 통과시간과 같은 과적차량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동 전송할 수 있어, 과적차량단속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이 절감되고, 도로 및 교량과 같은 도로구조물의 손상예방 및 안전성이 확보되며, 도로포장층 하부에 매립되며, 도로통과차량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전단변형센서가 설치된 차량축중측정수단; 및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에 연결되어 통과차량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전기신호값을 축중파형으로 표시하고, 상기 축중파형의 높이를 차량의 축중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및 과적차량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 과적차량 식별방법{Axle weight measuring apparatus, vehicle weight measuring method and overweighted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및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에 방해없이도, 정확하게 차량의 축중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총 중량을 측정할 수 있어, 과적차량여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과적차량의 차량번호, 통과시간과 같은 과적차량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동 전송할 수 있어, 과적차량단속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이 절감되고, 도로 및 교량과 같은 도로구조물의 손상예방 및 안전성이 확보되는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 중량측정 방법 및 과적차량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과적차량 식별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차량중량을 측정하는 기술의 경우 이동식 또는 고정식 차량중량 측정장치가 있는 바,
이동식 차량중량 측정장치(100a)의 경우, 도1a와 같이 취급의 간편성은 있으나, 과적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을 인도해야 하는 등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고속주행하는 차량을 유도, 정차시킬 때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 문제 및 과적여부를 식별하는데 직,간접으로 과도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식 차량중량 측정장치(100b)의 경우, 1998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003529호(발명의 명칭:도로의 과적차량 방지를 위한 계량장치)의 도1b와 같이, 차량의 바퀴가 직접 접하는 플레이트에 부착된 로드셀(101b)에 컨트롤박스(102b) 및 디스플레이스장치(103b)를 설치하여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고, 과적차량 여부를 식별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데 차량을 상기 플레이트가 설치된 곳을 서서히 진입시켜 플레이트가 설치된 곳에 정차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로드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능유지가 어려워 오차발생 가능성이 커져, 실제 차량중량 측정치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레이트에 차량의 바퀴가 정확히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차량의 중량 결과값에 상당한 오차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과적차량 식별을 위해 별도의 과적차량 식별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관리 인력이 별도로 요구되며,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과적차량 식별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진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과적상태의 차량에 대한 여러 벌금 등과 같은 제재조치를 위한 시간적, 비용적 소모가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1997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4960호(발명의 명칭:과적차량 측정용 고정식 축중기의 다중 축중 검출방법)와 같이, 차량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과적차량측정시스템으로의 진입로 전, 후에 로드셀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한 차량중량의 값을 더한 후, 둘로 나눔으로서 차량의 진입속도에 의한 중량 측정치의 오차를 줄이고자 하는 방법도 이미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과적차량측정 시스템으로 접근해야 하므로 차량 운행에 방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 및 다수개의 로드셀을 이용한다 할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로드셀의 성능저하에 의한 오차발생 문제점은 여전히 남는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이든 저속이든 주행하는 차량의 운행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과적차량을 식별하기 위해 차량을 별도의 장소로 유도할 필요가 없어, 매우 신속한 과적차량 식별이 가능하며, 나아가 정확하게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과적차량의 경우에는 그에 대한 정보(차량중량, 번호판 및 통과시간 등)를 영상시스템으로 전송시킴으로서 도로 및 교량보호를 위한 과적차량의 식별 및 단속에 의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정확한 차량중량의 측정이 가능한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및 과적차량식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도로통과차량(400)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도로포장층 아래에 전단변형센서가 형성된 차량축중측정장치(200)를 설치하고,차량이 상기 차량축중측정장치 위를 주행하면, 차량축중측정을 위한 신뢰성있는 결과치(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에 의한 축중파형)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차량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서 보다 합리적인 과적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2 내지 도6을 기준으로 차량축중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중량측정방법 및 과적차량식별방법을 살펴본다.
차량축중측정장치
상기 차량축중측정장치(200)는 도로포장층(300) 하부에 매립되며, 도로통과 차량(400)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전단변형센서(500)가 설치된 차량축중측정수단(210); 및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에 연결되어 도로통과차량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전기신호값을 축중파형으로 표시하고, 상기 축중파형의 높이를 차량의 축중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차량축중표시수단(220);을 포함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200)가 도로포장층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통과차량(400)이 진입하는 경우를 평면도로서 도시한 것이고, 도2b는 특히 차량축중측정장치(200)가 도로포장층(300)단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축중측정수단(210)은 도2b와 같이 도로포장층(300) 바로 하부면에 접하여 설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로포장층(3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도로포장층 위로 주행하는 도로통과차량(400)의 축중이 도로포장층(300)을 통하여 차량축중측정수단(210)에 전달되면,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포장층 바로 하부면 또는 시공상 등의 이유로 도로포장층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축중이 최대한 빨리 차량축중측정수단에 전달될 수 있도록 도로포장층 바로 하부면에 설치한다.
신설되는 도로포장층의 경우에는 미리 소정의 위치(도로, 교량 등)에 설치한 후 도로포장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기존 도로포장층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도로포장층 굴착을 통해 차량축중측정수단을 설치하고 다시 굴착된 도로포장층을 보수하는 작업을 하면, 기존 및 신설 도로포장층에 얼마든지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2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로포장층은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콘크리트포장, 개질아스팔트포장, 나아가 다져진 쇄석,자갈 및 흙과 같이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형성된 포장층인 경우 모두가 포함된다고 할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도로포장층(300)의 역할은
첫째로는 과적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도로포장층에 가해지는 하중은 윤중에 해당하기 때문에,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거나, 충격에 의한 영향을 받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로포장층(300)은 차량의 윤중을 측정하되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량축중측정장치가 매립되는 층의 역할을 하고, 나아가 차량축중측정수단(2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둘째로는 도로포장층이 어떠한 성질을 가지든 차량축중을 전달하는 중간매개체 역할을 하기때문에, 도로포장층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차량축중의 전달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도로포장층의 상태는 반드시 체크되어 차량축중의 측정결과를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에의 도로포장층은 차량의 종류 및 도로포장층의 두께 등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항상 현장여건에 따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곧 보다 정확한 차량중량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설되는 도로포장층의 경우에는 아예 상기 영향을 알고 있는 재료로서 차량축중측정수단이 매립되는 부위의 도로포장층을 형성시키거나,
기존 도로포장층의 경우에도 도로포장층을 굴착하고 차량축중측정수단을 설치한 후, 기존 도로포장층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영향을 알고 있는 재료를 이용하게 되면 이러한 영향은 충분히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영향이 감안된 차량중량 측정이 가능하게된다.
특히, 기존 도로포장을 보수하거나 오버레이할때, 도로포장층의 두께가 기존의 두께보다 커지는 경우가 발생하게되는데, 도로포장 보수, 보강작업에 의한 도로포장층의 두께 변화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미리 도로포장층에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200)를 설치할 때, 도로포장층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30)을 도2b와 같이 설치하여, 차후 도로포장층의 두께가 변하는 경우 그 두께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두께의 변화에 대한 보완 즉, 전단변형센서의 감응도 조절, 보정값 입력 등을 통해 측정치의 정확한 측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도로포장의 노후화로 인해 도로포장층의 두께가 작아졌을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통상 외부면에 눈금을 표시한 것 또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차량축중측정수단(210)는 도2b와 같이, 차량의 윤중에 의해 침하되지 않도록 되도록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전단변형센서(500)가 부착되는 센서수용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형상인 레일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축중측정수단(210) 위로부터 차량의 윤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윤중에 의해 휘어질 수 있어 결국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휨 현상에 의해 상기 전단변형센서(500)가 영향받지 않도록 전단변형센서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면이 아닌 레일부재의 중립축(C.L.)이 형성되는 위치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득이하게 중립축이 형성되는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어려울 때는 적절한 위치에 부착하고 레일부재의 휨현상에 의한 영향치를 고려하여 차량의 중량을 보정할 수 있다.
전단변형센서(500)는 상기 센서수용부(212)에 부착되어, 전달되는 차량의 윤중(정확하게는 차량축중측정장치 위를 지나가는 바퀴의 축중)에 의해 센서수용부가 전단변형되는 경우, 센서수용부와 함께 전단변형되고, 이러한 전단변형량은 상부 도로포장층의 영향을 제외한다면, 전달되는 윤중이외에는 외부로부터 영향받을 소지가 적기때문에 상당히 신뢰성있는 측정치가 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단변형량은 일정한 수단에 의하여 전기신호값으로 변환되고, 최종적으로 축중파형높이만 측정되면 자동적으로 차량중량이 측정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표시수단에 의해서 측정된다.
즉, 도4와 같이 전단변형센서(strain gauge)가 차량축중에 의하여 전단변형되면, 그 전단변형량은 전단변형증폭장치(dynamic strain amplifer)에 의해 전기신호값(전압의 크기 등)으로 변환되고, 이러한 전기신호값은 미리 결정된 발생 전기신호값과 차량축중과의 관계(선형회귀식 등)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시간 및 축중의 좌표축상에서 축중파형으로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에 상기 전단파형의 높이만 측정하면 여러 외부환경적 요소에 크게 영향받지 않은 차량축중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3a는 차량축중측정수단(210)의 센서수용부(212)에 설치된 전단변형센서(500)를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상기 전단변형센서의 내부결선도의 구체예이다.
통상 전단변형센서(500)는 센서수용부(212)에 다수가 설치되는데, 굳이 차량축중에 있어 오차가 허용치 이내라면 불필요하게 많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수용부의 전체길이(L)의 절반(L/2)을 기준으로 양 센서수용부에 통상적이라면 적어도 차량축중의 하나가 통과하기 마련이므로, 엑스자 형상으로 전단변형센서(500a,500b)를 2곳의 위치에 부착시키되(4-strain gauge method) 중립축으로부터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부착시킨다.
중립축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은 곧 최대 전단변형량을 얻을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노이즈가 적어 비교적 깨끗한 결과치가 얻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결과치의 노이즈가 심한 경우에는 디지털 필터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변형센서는 도3b와 같이 직렬로 내부 배선되어 엑스자 형상으로 설치된 전단변형센서 각각의 전단변형량이 합산된다. 즉 하나의 센서수용부에는 통과하는 하나의 차량축중을 축중에 의한 전단변형량을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차량축중이 계산될 수 있게 된다.
엑스자 형상의 전단변형센서는 도3a와 같이 센서수용부의 중간을 기준으로 양쪽에 2개씩 설치될 수 가 있으며, 현장여건(도로차선의 폭, 도로포장층의 성상 및 유지관리상태 등)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센서수용부의 양 단부로부터 차량축중이 도2a에 차량축중측정장치를 통과하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x,y로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거리 x 또는 y의 거리에 따라 전단변형센서가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정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차량의 축중이 차량축중측정장치 위를 지나가는 부위는 대개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것이 통상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L/2 이내), 만약 차량축중이 전단변형센서가 가장 약하게 반응하는 위치를 지나갈 때와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위치를 지나갈 때와의 측정치의 오차발생이 큰 경우에는 차량중량의 측정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축중의 오차발생여부, 정확한 측정값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대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도로포장층의 두께뿐만 아니라 일정차량 축중이 차량축중측정장치 위를 지나가는 부위에서의 차량축중 오차를 측정치에 미리 반영시키기 위해, 미리 차량축중측정수단의 양 단부로부터 차량 축중이 지나가는 부위까지의 최소, 최대값 이내에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하여 상기 각 거리에 따른 축중파형을 조사하여 미리 중량환산표를 이용하게 된다.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측정방법.
상기 차량중량측정방법은 도로포장층에 상기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축중측정수단(210) 위를 통과하는 차량축중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적신호값을 축중파형의 높이에 의하여 차량의 축중을 표시하여 최종적인 차량중량을 측정(도4의 차량축중표시수단 참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기술처럼 단순한 로드셀을 2개 설치하여, 측정된 로드셀 측정치의 절반값을 차량중량으로 선택하는 것과 비교하여 외부요인에 대한 영향의 계량화에 의한 측정치에 변형값을 보완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차량중량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량축중표시수단(220)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 도4이다. 즉, 차량축중측정수단(210)에 연결되어 전단변형센서(strain gauge)의 합산된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전압, volt)으로 변환, 증폭시키고(전단변형증폭장치, dynamic strain amplifier apparatus),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해 디지털 필터링장치(digital filtering device)를 경유한 전기신호값이 최종적인 축중파형(time vs load)으로 변경되고, 최종적으로 측정된 데이타 값이 저장, 송신된다.
차량죽중표시수단(220)은 별도로 도로포장층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차량축중측정장치(210)와 별도로 설치되며, 축중파형의 높이값은 결국 축중파형 데이타로서 별도의 저장장치에 기록되고, 상기 데이타는 과적차량의 식별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방법을 도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일단 차량의 축중이 본 발명의 차량중량측정장치의 어느 부위(도2a의 x,y참조 이때, x,y의 기준점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를 통과하는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차량축중을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작성하여 둔다(s10).
즉 도로포장층의 두께 및 상기 x,y에 따른 차량축중 중량환산표를 미리 작성한다. 따라서 실제 측정된 x,y 값에 의하여 환산된 차량축중중량의 크기는 정상적으로 차량이 운행된다면 상기 차량축중중량환산표의 범위 내에 들어올 것이며, 비 정상적으로 차량이 운행(차선을 침범한다거나 직선으로 주행하지 않는다든지 하는 경우)된다 할지라도 이를 고려하여 작성된 차량축중 중량환산표를 이용하면 충분히 차량주행에 영향없이도 차량축중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는, 실제 차량이 어느 부위의 차량축중측정장치 위를 통과하는 가를 나타내는 x,y 값을 측정한다(s20).
측정방법은 별도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측정치가 가장 큰 부위를 일정한 기준(센서수용부의 양 단부)점을 기준으로 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 x,y 측정값이 측정되면, 이값을 기준으로 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이 측정되고, 이 전단변형량은 도4의 시스템에 의하여 축중파형으로 변환되어 상기 축중파형의 높이에 의한 차량축중이 측정된다(s30).
차량축중이 측정되면, 상기 미리 작성된 중량환산표와 비교하여 측정된 차량중량이 허용오차이하인가를 판단하고, 만약 허용오차 이내이면, 측정된 차량축중 값이 그대로 차량축중으로 하고, 허용오차를 벗어나면 그 허용오차를 감안한 차량축중값으로 보정한다(s40).
축중중량보정값이 최종적으로 측정되면 상기 중량환산표를 기준으로하여 축중중량으로 환산하고, 차량중량측정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수만큼 상기 s20단계를 반복한다.
차량의 축수만큼 반복되어 차량의 중량이 최종적으로 측정되면 합산하여 차량중량을 알 수 있다(s50).
또한, 기존도로 및 신설도로포장에 있어 도로포장층의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s30단계에서 측정된 축중파형의 높이값이 일정치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축중 값이 허용오차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선 본 발명에서는 도로포장층의 두께변화를 미리 알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230)을 도로포장층에 미리 설치한 경우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측정된 도로포장층의 두께에 의한 영향치는 상기 s40단계에서 도4의 시스템내에 프로그램모듈에 의하여 반영될 수 있다. 높이측정수단에 의한 높이측정치는 높이측정수단에 별도의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도로포장층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한 과적차량식별방법.
상기 과적차량식별방법은 도로의 각 차선에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되,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차량축중장치를 설치하고(s60), 첫째 차량축중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이 허용통과축중의 25% 이상일 경우에는 둘째 차량 차량축중장치를 통과하는 과적차량의 중량을 차량중량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하고(s70), 상기 과적차량중량 측정값과 더불어 차량 축중장치의 앞에 설치된 영상수집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과적차량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과적차량을 식별하게된다.
도6은 과적차량식별방법의 시스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특정 위치(바람직하게는 도로의 직선부)에 각 차선 마다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200a,200b)을 설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앞, 뒤로 적어도 2개를 설치한다(s60).
앞에 설치된 차량축중측정장치(200a)는 차량축중측정장치에 진입하는 첫번때 차량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데, 통상 도로 및 교량의 경우 시방서상에 일정한 등급이 매겨져 있게 되며, 등급에 따라 차량의 허용통과하중이 정해져 있기 마련이다.
상기 시방서에 의하면 차량의 앞바퀴 중량은 뒷바퀴 중량의 25%라고 규정되어 있으며, 중차량의 경우 대부분 축수가 2축 이상이고, 대부분의 과적차량인가의 여부는 뒷바퀴의 축중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도로 등의 허용통과하중이 정해진 경우, 이 허용통과하중의 25%는 차량축중측정장치에 진입차량의 첫번째 축중과 비교되어 만약 상기 기준% 이하인 경우 더이상의 차량축중을 고려할 하등의 이유가 없고, 만약 상기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진입차량의 전체중량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이때는 두번째 차량축중측정장치(200b)로 진입하는 차량의 모든 축중을 상술한 차량중량방법에 의하여 합산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합산된 차량중량측정값은 도로 및 교량의 허용통과하중과 비교되고, 만약 허용통과하중보다 차량중량측정값이 크게되면, 통과차량은 과적차량이 되고, 이러한 과적차량을 단속하기 위해서 우회시키는 방법 또는 과적된 화물을 덜어내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한, 벌금형 등의 간접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밖에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통과차량이 과적차량인가 여부에 대한 차량정보를 도6의 차량축중표시수단(220) 및 차량축중측정수단(200a,200b) 앞에 설치된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영상수집장치(600)를 이용하여 채집하여, 원하는 장소(도로관리사무소 또는 관할 부서)에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차량정보는 속도위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량번호판, 차량 통과위치, 시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주행하는 차량을 별도의 장소로 인도, 유도하기 위한 인원,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량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차량중량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수단 역시 외부영향요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최대한 외부영향을 받지 않고, 설사 받는다 할 지라도 차량중량의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매우 정확한 차량중량측정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과적차량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도로 및 교량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예방적수단을 제공한다.
도1a는 종래의 이동식 차량중량측정장치이며,
도1b는 종래의 고정식 차량중량측정장치이며,
도2a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가 도로포장층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통과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며,
도2b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가 도로포장층 단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3a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수단에 전단변형센서가 부착된 상태의 세부상세도이며,
도3b는 본 발명의 전단변형센서의 내부결선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차량축중표시수단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체예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차량중량측정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이용한 과적차량 식별시스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200:차량축중측정장치 210:차량축중측정수단
220:차량축중표시수단 230:높이측정수단
300:도로포장층 400:도로통과차량
500:전단변형센서 600:영상수집장치

Claims (9)

  1. 도로포장층 하부에 매립되며, 도로 통과차량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전단변형센서가 설치된 차량축중측정수단; 및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에 연결되어 통과차량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전기신호값을 축중파형으로 표시하고, 상기 축중파형의 높이를 차량의 축중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차량축중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은 차량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침하방지를 위한 지지부 위에 전단변형센서가 부착되는 센서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변형센서는 차량축중측정수단의 중립축 선상에 45도 각을 이루며, 엑스자 형상으로 다수가 부착되고, 각각의 전단변형센서는 직렬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축중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용부의 길이는 한 차선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센서수용부에 설치되는 엑스자 형상의 전단변형센서는 센서수용부의 절반 길이에 적어도 2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축중 측정장치.
  7. 도로 포장층에 제1항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축중측정수단 위를 통과하는 차량축중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적신호값을 축중파형의 높이에 의하여 차량의 축중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으로부터 차량축중측정수단 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까지의 각 축중거리에 대한 축중파형높이별 축중환산표를 작성하고,
    실제 차량이 차량축중수단을 위를 지날때의 축중거리에 의한 축중파형높이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축중환산표에 의해 실제 축중을 계산하고, 차량의 총 축중을 합산하여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측정방법.
  8. 도로 포장층에 제1항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축중측정수단 위를 통과하는 차량축중에 의한 전단변형센서의 전단변형량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적신호값을 축중파형의 높이에 의하여 차량의 축중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축중측정수단의 한쪽 단부로부터 차량축중측정수단 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까지의 각 축중거리에 대한 축중파형높이별 축중환산표를 작성하고,
    도로포장층의 높이측정수단에 의하여 도로포장층의 높이에 변동이 있을 경우 상기 축중환산표를 변경된 도로포장층의 높이에 따른 축중환산표로 보정하고,
    실제 차량이 차량축중수단을 위를 지날때의 축중거리에 의한 축중파형높이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축중환산표에 의해 실제 축중을 계산하고, 차량의 총 축중을 합산하여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중량측정방법.
  9. 도로의 각 차선에 제1항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되,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차량축중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첫째 차량축중측정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이 허용통과축중의 25% 이상일 경우에는 둘째 차량 차량축중측정장치를 통과하는 과적차량의 중량을 제7항 또는 제8항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상기 차량의 중량 측정값과 더불어 차량 축중측정장치의 앞에 설치된 영상수집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과적차량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과적차량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 식별방법.
KR10-2003-0013388A 2003-03-04 2003-03-04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KR100499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388A KR100499223B1 (ko) 2003-03-04 2003-03-04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388A KR100499223B1 (ko) 2003-03-04 2003-03-04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656U Division KR200315830Y1 (ko) 2003-03-06 2003-03-06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과적차량 식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442A KR20040078442A (ko) 2004-09-10
KR100499223B1 true KR100499223B1 (ko) 2005-07-01

Family

ID=3736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388A KR100499223B1 (ko) 2003-03-04 2003-03-04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54B1 (ko) * 2011-09-30 2012-01-17 씨티씨 주식회사 교량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519564A (zh) * 2012-01-05 2012-06-27 郑州恒科实业有限公司 一种防止重心调整式异常行车的秤台
KR20160068458A (ko) * 2014-12-05 2016-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률 측정을 이용한 임의 지점의 하중 추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34B1 (ko) * 2009-06-24 2010-10-06 (주)뉴컨스텍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101327987B1 (ko) * 2012-02-28 2013-11-13 주식회사 에스아이엠티 자동계측기능을 내장한 이동식 축중기용 센서패드 시스템
KR102108320B1 (ko) * 2019-10-02 2020-05-29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축중기 시스템에서 축하중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 산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축중기 중량 보정 시스템
CN111222394A (zh) * 2019-10-16 2020-06-02 北京文安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渣土车超载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102162736B1 (ko) * 2020-04-22 2020-10-07 (주)유디엔에스 과적 단속을 위한 차량 중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77656B1 (ko) * 2020-05-06 2020-11-11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제한 차량 단속 시스템의 적재불량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54B1 (ko) * 2011-09-30 2012-01-17 씨티씨 주식회사 교량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519564A (zh) * 2012-01-05 2012-06-27 郑州恒科实业有限公司 一种防止重心调整式异常行车的秤台
KR20160068458A (ko) * 2014-12-05 2016-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률 측정을 이용한 임의 지점의 하중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645546B1 (ko) 2014-12-05 2016-08-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률 측정을 이용한 임의 지점의 하중 추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442A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9307B2 (en) Safety inspection apparatus for bridge using expansion joint with load cell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105854B1 (ko) 교량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acob et al. Improving truck safety: Potential of weigh-in-motion technology
JP6086486B2 (ja) 通過車両重量解析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499223B1 (ko)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방법 및과적차량 식별방법
KR101231791B1 (ko) 강교량 수직보강재의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Faruk et al. Traffic volume and load data measurement using a portable weigh in motion system: A case study
EP345882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n infrastructural element
KR20060102581A (ko) 교량 및 노반의 상태평가를 위한 하중재하/측정 자동화시스템
US10203241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Carey et al. Direct field measurement of the dynamic amplification in a bridge
CN110132512A (zh) 一种基于主梁刚度衰减规律的桥梁结构监测评估方法
Gajda et al. Design and accuracy assessment of the multi-sensor weigh-in-motion system
JP3574850B2 (ja) 橋梁上を走行する車両の軸重測定方法
KR20080016116A (ko) 교량의 내하력 산정 기법
Zhang et al. Evaluating weigh-in-motion sensing technology for traffic data collection
Chajes Using diagnostic load tests for accurate load rating of typical bridges
KR200315830Y1 (ko) 차량축중 측정장치를 이용한 과적차량 식별시스템
Walubita et al. Portable WIM systems: Comparison of sensor installation methods for site-specific traffic data measurements
Huang Field test and rating of Arlington curved-steel box-girder bridge: Jacksonville, Florida
Žnidarič Heavy-duty vehicle weight restrictions in the EU
Gillham et al. Field Test of a Shear Force Measurement Technique Using Fiber Optic Sensing under Variable Speed Truck Loading
KR102085800B1 (ko) 차량 중량측정기용 피트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Pimentel et al. Load tests on bridges
Hag-Elsafi et al. Load testing for bridge rating: Dean’s Mill over Hannacrois Cre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