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514B1 -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514B1
KR100498514B1 KR1020050024831A KR20050024831A KR100498514B1 KR 100498514 B1 KR100498514 B1 KR 100498514B1 KR 1020050024831 A KR1020050024831 A KR 1020050024831A KR 20050024831 A KR20050024831 A KR 20050024831A KR 100498514 B1 KR100498514 B1 KR 10049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frame
mixing box
air mixing
mold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05002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은, 중간프레임의 양 말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중간프레임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의 같거나 작은 크기의 벽체로 구성되며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 벽체의 외면에는 중앙에 제1너트공이 형성된 요홈이 구성되고, 이 요홈의 내면에는 제1너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둔덕이 구성되는 하부몸체, 및 이 하부몸체 상부에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중간프레임의 양 선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중간프레임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며, 에어믹싱박스 내부 방향에는 “ㄴ”자로 단턱져 몰드바의 대응 접지면을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구성되고,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에는 중앙부에 2개의 제2너트공이 형성된 육면체형의 고정바디가 구성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중간프레임 말단에 하부몸체가 삽입된 후 체결공을 통과하여 제1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중간프레임에 고정되고, 몰드바의 연결공을 통과하여 제2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몰드바의 중단을 고정시키는 어뎁터가 더 구성되며; 중간프레임은 그 외주면이 “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Air mixing box frames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분포를 실내의 사람 혹은 물품에 대해 그 목적에 맞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데 사용하는 장치인 공기조화기용 에어믹싱박스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보일러, 냉동기 등의 열원장치, 공기냉각기 및 가열기, 온도조절기, 에어필터 등의 공기 조화장치, 파이프, 덕트, 팬 등의 열수송계와 이들을 조정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믹싱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에어믹싱박스(Air mixing box)는 내부에 에어필터(2)와 열교환기(3)와 송풍팬(4)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며, 에어믹싱박스의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는 에어필터(2)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고, 열교환기(3)를 거쳐 적정온도로 유지되어, 송풍팬(4)에 강제 송풍되어서 덕트(미도시) 등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용 에어믹싱박스(1)는 다수의 차단판(5)들이 몰드바(1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보통 몰드바(10) 양측에 차단판(5)을 맞대고 이들을 나사등을 체결하여 조립한다.
먼저, 이와 같은 에어믹싱박스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본 발명 출원 이전에 고안하여 실용신안으로 출원하고 등록유지 결정을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184574호(명칭: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구조, 2000.03.23)에 잘 기재가 되어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184574호에 기재된 에어믹싱박스는, 몰드바(10)의 대각 방향의 두 모서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구멍(13)과 상기 가이드구멍(13) 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가이드구멍(13)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연결구멍(14)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2)가 구비되고, 상기 두 결합부(12) 사이의 내측 한 모서리부에는 끼움홈(15a)을 가지는 두 돌출편(15)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몰드바(10)와; 몰드바(10)의 끼움홈(15a)에 결합되는 패킹(30)과; 상기 결합부(12)의 가이드구멍(13) 내에 위치되는 너트(23)와 상기 몰드바(10)의 양측에 위치된 측면판의 외측 단부를 눌러 지지 하도록 상기 결합부(12)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밀착판(21)과 상기 밀착판(21)을 통과하여 너트(23)에 체결되는 볼트(22)로 이루어져, 상기 차단판(5)을 돌출편(15)에 밀착 지지하는 체결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는 상기 에어믹싱박스(1)의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몰드바(10)의 내측의 겉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얼룩이나 곰팡이 등이 생기기 쉬워 에어믹싱박스(1) 내부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아니라 구조체의 부식이나 파손이 생길 위험이 있어 성능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몰드바(10)에 내측 모서리부에 직교하는 돌출편(15)은 차단판(5)과 밀착 지지되지만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고, 상기 몰드바(10)와 차단판(5)이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됨으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침입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열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67638호(명칭: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구조, 2002.03.09)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76341호(명칭:공기조화기용 에어믹싱박스, 2002.05.18)에 기재된 중간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프레임(40)은 몰드바 사이에서 설치되고, 절곡되어 돌출된 외향날개(41)와, 상기 외향날개(4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향날개(41)에는 차단판을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는 몰드바에 고정되기 위한 나조공(43)이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씩 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간프레임(40)에서는 상기 외향날개(41)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단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중간프레임(40)이 휠 염려가 있으며, 상기 몸체부(42)와 상기 외향날개(41)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단판과 중간프레임(40)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중간프레임(40)에 상기 나조공(43)이 천공되어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상기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67638호(명칭: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구조, 2002.03.09)를 개량한 개량출원으로서, 프레임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 효과에 의해 프레임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간프레임의 양 끝단부에 어댑터를 장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차단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며, 몰드바와 중간프레임 체결의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은, 외부공기를 차단 및 밀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크기에 적합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이 고정장착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복수 개의 몰드바와; 상기 몰드바가 삽입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장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연결구와; 상기 몰드바 사이에 설치되어 몰드바나 몰드바 사이의 중단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 말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의 같거나 작은 크기의 벽체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 벽체의 외면에는 중앙에 제1너트공이 형성된 요홈이 구성되고, 상기 요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1너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둔덕이 구성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 선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믹싱박스 내부 방향에는 “ㄴ”자로 단턱져 상기 몰드바의 대응하는 접지면을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구성되고, 상기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에는 중앙부에 2개의 제2너트공이 형성된 육면체형의 고정바디가 구성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프레임 말단에 하부몸체가 삽입된 후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중간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몰드바의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몰드바의 중단을 고정시키는 어뎁터가 더 구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은 그 외주면이“”형상으로 구성되고, 외부 방향 돌출부를 제외한 상기 외주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 선단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분지된 밀착탄성편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몰드바 및 중간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몰드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중간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뎁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차단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몰드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은 몰드바(110)와 연결구(120)와 중간프레임(130)과 차단판(140)과 어뎁터(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몰드바(110)와 중간프레임(130)의 내부에는 단열재(160)가 충전된다.
상기 에어믹싱박스 프레임(100)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몰드바(110)의 일단은 상기 연결구(120)의 삽입부(1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몰드바(110)의“”형상의 접지면(111)은 탄성부재(113)에 의해 감싸여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3)의 양 선단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밀착탄성편(113a)이 더 부가되어 면 압착력이 증가되며, 기밀성이 향상된다.
상기 몰드바(110)가 상기 연결구(120)에 삽입된 후에 연결공(122)을 통과하여 결합공(113)에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구(121)는 코너에서 상기 몰드바(120)를 3 방향으로 연결시킨다.
외부공기를 차단 및 밀폐하는 상기 차단판(140)은 외부 패널(141)과 상기 외부 패널(141)에 내부에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는 단열판(145)과 상기 단열판(145)의 내부에 절곡된 내부패널(14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40)의 절곡된 면은 상기 몰드바(110)의 접지면(111)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관통구멍(141)을 통과해서 상기 몰드바(110)와 고정된다.
이하, 상기 몰드바(11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프레임(130)과 상기 중간프레임(130) 말단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판(14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어뎁터(1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한다.
도시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일 예로서의 중간프레임(13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는 단열재(160)가 충전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이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외주면은 탄성부재(133)에 의해 감싸여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3)의 양 선단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분지된 밀착탄성편(133a)이 더 부가되어 상기 차단판(140)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할때에 면 압착력이 증대된다.
종래의 중간프레임(40)은 절곡되어 돌출된 외향날개(41)와, 상기 외향날개(4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42)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상기 중간프레임(40)과 상기 외향날개(41)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단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중간프레임(40)이 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42)와 상기 외향날개(41)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단판과 중간프레임(40)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4참조).
반면에, 바람직한 일 예로서의 중간프레임(130)은“”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단판(140)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3)의 양 선단에는 밀착탄성편(133a)이 더 부가되어 면 압착력을 증대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있다. 부가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단열효과도 나타내므로 상기 에어믹싱박스(100) 내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뎁터(1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어뎁터(150)은, 상기 중간프레임(130)의 양 말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중간프레임(130)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의 같거나 작은 크기의 벽체(151)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 벽체(151)의 외면에는 중앙에 제1너트공(152)이 형성된 요홈(153)이 구성되고, 상기 요홈(153)의 내면에는 상기 제1너트공(152)에 체결되는 볼트(154)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둔덕(155)이 구성되는 하부몸체(156), 및 상기 하부몸체(156) 상부에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130)의 양 선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중간프레임(13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믹싱박스(100) 내부 방향에는 “ㄴ”자로 단턱져 상기 몰드바(110)의 대응하는 접지면(111)을 안착시키는 안착면(157)이 구성되고, 상기 에어믹싱박스(100) 외부 방향에는 중앙부에 2개의 제2너트공(158)이 형성된 육면체형의 고정바디가 구성되는 상부몸체(1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뎁터(150)는 상기 중간프레임(130) 말단에 하부몸체가 삽입된 후 체결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제1너트공(152)에 볼트(154)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중간프레임(130)에 고정되고, 상기 몰드바(110)의 연결공(미도시)을 통과하여 상기 제2너트공(158)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몰드바(110)의 중단을 고정시킨다.
종래의 중간프레임(40)은 외향날개(41)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몰드바와 상기 중간프레임(40)의 체결시 상기 차단판(14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상기 외향날개(41)가 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접촉면에 있어서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외부공기가 내부로 쉽게 유입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어뎁터(150)를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 말단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상기 몰드바(110)의 접지면(111)에 안착되는 안착면(157)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중간프레임(13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어뎁터(150)의 상부몸체(159)에 제2너트공(158)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몰드바(110)과 상기 중간프레임(130)의 체결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몰드바의 또 다른 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전기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76341호의 몰드바를 도시하였는데, 이와 같은 형상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의 몰드바가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실이라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내부공기와 접촉하는 몰드바 및 중간프레임의 내면에 탄성부재를 부가하여 기밀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프레임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 효과에 의해 프레임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중간프레임의 양 끝단부에 어댑터를 장착하여 결합하고, 중간프레임의 외주면을 개방시키고 않고 연결시킴으로써 차단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어댑터를 장착함으로써, 몰드바와 중간프레임 체결의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용 몰드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구조를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
도 4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고정용 중간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몰드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중간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뎁터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차단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몰드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몰드바 113,133 ... 탄성부재
113a,133a ... 밀착탄성편 120 ... 연결구
130 ... 중간프레임 140 ... 차단판
150 ... 어뎁터 156 ... 하부몸체
159 ... 상부몸체 160 ... 단열재

Claims (1)

  1. 외부공기를 차단 및 밀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크기에 적합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이 고정장착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복수 개의 몰드바와; 상기 몰드바가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삽입부와 및, 상기 삽입부에 연장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연결구와; 상기 몰드바의 중단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 말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중간프레임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의 같거나 작은 크기 벽체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 벽체의 외면에 중앙에 제1너트공이 형성된 요홈이 구성되고, 상기 요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1너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둔덕이 구성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 선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고, 에어믹싱박스 내부 방향에는 “ㄴ”자로 단턱져 상기 몰드바의 대응 접지면을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구성되고, 에어믹싱박스 외부 방향에는 중앙부에 2개의 제2너트공이 형성된 육면체형의 고정바디가 구성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프레임 말단에 하부몸체가 삽입된 후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중간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몰드바의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너트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몰드바의 중단을 고정시키는 어뎁터가 더 구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은 그 외주면이“”형상으로 구성되고,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외주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 선단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분지된 밀착탄성편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KR1020050024831A 2005-03-25 2005-03-25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KR10049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31A KR100498514B1 (ko) 2005-03-25 2005-03-25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31A KR100498514B1 (ko) 2005-03-25 2005-03-25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514B1 true KR100498514B1 (ko) 2005-07-01

Family

ID=3730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831A KR100498514B1 (ko) 2005-03-25 2005-03-25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6147A (ja) * 2017-03-03 2018-09-20 クボタ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フレーム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6147A (ja) * 2017-03-03 2018-09-20 クボタ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フレーム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738B1 (en) Frame for forming a housing of a group of air-handling units
US9228754B2 (en) Cuboidal housing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of air-conditioning or ventilation system
KR100498514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믹싱박스 프레임
KR100895480B1 (ko) 전열교환기용 케이스
WO2001050067A2 (en) Air handler framework
KR100860369B1 (ko)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결로방지용 피브이시 프레임 구조
US4573328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ackaged terminal air controller to a plastic well sleeve
US4555983A (en) Apparatus for securing and sealing a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to a plastic wall sleeve
KR200276341Y1 (ko) 공기조화기용 에어믹싱박스
KR100953201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KR20100040602A (ko) 결로 방지를 위한 공조기의 복합 프레임
CN101998810B (zh) 散热装置
KR200328837Y1 (ko)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
KR101328648B1 (ko) 공조기용 프레임
JP3923940B2 (ja) エアハンドリングユニット(ahu)キャビネット用の断熱壁
KR100804605B1 (ko) 천장카세트 에어컨의 설치구조
KR200162318Y1 (ko) 공조기기의 캐비넷
JP3132356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0214038Y1 (ko)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
JP2001073501A (ja) パネル及びパネル取付構造
KR101367178B1 (ko)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CN210801563U (zh) 空调装置的室内机
US11491842B2 (en) Modular casing for rooftop air conditioner for bus
KR200456392Y1 (ko) 광고판 프레임
CN209129925U (zh) 一种便于拆卸的箱式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