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81B1 -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681B1
KR100497681B1 KR10-2003-0004364A KR20030004364A KR100497681B1 KR 100497681 B1 KR100497681 B1 KR 100497681B1 KR 20030004364 A KR20030004364 A KR 20030004364A KR 100497681 B1 KR100497681 B1 KR 10049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rt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321A (ko
Inventor
정월기
김재식
김형관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6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04H15/405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flexible and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을 이용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기지국과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기지국의 라운드 트립 지연 데이터를 전송받고, 각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라운드 트립 데이터를 수집하여 거리 단위의 값으로 정재하고, 정재된 라운드 트립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 호 분포를 지도 상에 매칭하는 한편, 기지국 설정 정보 및 라운드 트립 지연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 호 분포를 상기 지도 상에 매칭한다.
이와 같은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망 설계자가 기지국의 통신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라운드 트립 지연의 정재 및 분석에 의해 호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Optimization of Network Plan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망 설계 최적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MA 이동통신 망에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이하, RTD 라 함)을 이용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 또는 호 분산을 위한 광 중계기의 개설 위치 설정 방법으로 대표되는 이동통신망 최적화를 위하여 현재에는 망 설계자가 품질측정 자료나 전파전달에 대한 오랜 경험을 토대로 기지국의 개설 위치를 선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의 최적화를 위하여 기지국 커버리지 분석, 기지국의 섹터 및 채널별 호 분포 측정 과정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섹터별 호의 양 및 핸드오프 트래픽 측정, 필드 품질 측정, 측정 데이터의 표시 및 분석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측정된 데이터를 IDA(Integrated Data Analysis)를 통해 분석하고 NMS(Network Management System)상의 섹터별 호의 수화 핸드오프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지국의 용량 및 효율을 분석한다. IDA는 CDMA 시스템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와 지리정보 시스템의 시간/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조합하여 단말기 및 기지국의 성능을 분석하고 망 설계를 최적화하며, NMS는 망의 상태, 경보 및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여 망 관리 파라미터 및 통계 데이터를 계산한다.
최근에는 RANO(Radio Access Network Optimizer), CellPLAN과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 및 호 분포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RANO는 CDMA 네트워크의 성능저하를 감지할 뿐 아니라 그 원인을 찾아내어 해결방안을 제시해 주는 최적화 시스템으로, CDMA망의 교환국 및 기지국간 데이터를 실시간 자동 분석하여 최상의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주기적으로 관리하여 무선망의 성능저하 발생시 그 원인을 자동으로 파악해 운영자에게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CellPLAN은 무선 인터넷 플랫폼과 CDMA 무선망 설계 및 분석 시스템으로서, 정밀한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해 빠르고 정확한 예측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인 기지국의 위치 선정, 안테나 방향 및 송신출력/통화품질 분석을 통한 최적의 무선망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현재에는 기지국 커버리지의 충분한 분석 및 호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RANO, CellPLAN등 분석 도구 및 프로세스가 추가되어야 하며, IDA와 NMS와 같은 측정장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통신 품질도(Q-factor), 채널 사용율, 무선 링크의 분석, 트래픽 경향, 단말기 수신전력(Rx Power),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 중 파일럿 채널신호의 비(Ec/Io), 데이터 스루풋, CAI(Common Air Interface) 분석 등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RANO 및 CellPLAN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호 분포 분석이 평면적이고, 품질도(Q-factor), 채널 사용율, 무선 링크의 분석, 트래픽 경향의 분석이 통계 위주의 분석에 그치고 있으며, 무선망 환경 및 품질을 예측에 의해 분석하기 때문에 정확한 기지국 커버리지 및 호 분포 분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망 최적화 기술은 호 단위 이외의 종합적 분석이 어렵고,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속도 차이로 인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또한, NMS 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호 분포를 측정하고 있지만 호 단위 이외의 종합적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거리별 호 분포를 확인할 수 없으며, 핸드오프 얼랑(Erlang)을 활용한 중첩율 측정시에도 섹터별 중첩율 분석은 불가능하다. 아울러, EmDM(Enhanced mobile Diagnostic Monitor) 필드 측정을 통한 기지국 커버리지 분석을 위하여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서, 얼랑이란 호량의 단위로, 임의의 시간에 임의의 회선군을 관측하였을 때 사용중의 호의 양을 의미한다.
물론, 현재에도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시간 지연을 나타내는 RTD를 이용하고 있지만 RTD는 칩 단위의 값이기 때문이 분석이 어렵고 순간적으로 다량의 호가 발생하는 경우 누적 분석이 불가능하며, 망 설계자가 망의 분석 과정 및 결과, 망의 최적화 설계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알아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및 문제점을 결국 망 최적화를 위한 기지국 커버리지 분석 및 호 분포 분석의 한계를 가져오며(넓은 고지, 도서지역 등에서 정확한 측정 불가), 부정확한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을 이설하는 경우 서비스 품질 저하에 따른 고객 불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망의 상태 분석 결과 및 설계 과정을 도식화하여 통신망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간의 시간 지연값인 RTD 데이터를 정재하고, 정재된 RTD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지국 커버리지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선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 또는 호 분산을 위한 광 중계기의 적정한 설치 장소를 선택하도록 하고, 기지국 또는 광 중계기의 이설시에도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망의 망 설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시간 지연을 칩 단위로 계산한 값인 RTD를 이용한다. RTD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지연을 1/8칩 단위로 계산한 값으로, 발신 및 착신시에는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측정하며, 핸드오프시에는 기지국에서 1/8칩 단위로 측정한다. 즉, RTD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모든 지연값 즉, 기지국 자체의 지연값(DB1), 에어에서의 송신 지연값(DA1), 단말기의 수신 지연값(DM1), 단말기의 송신 지연값(DM2), 에어에서의 수신 지연값(DA2) 및 기지국의 수신 지연값(DB2)을 모두 합산하여 칩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이와 같이, RTD는 칩 단위의 값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정재(Refiner)하여 거리 단위의 값으로 나타낸다. 정재된 RTD값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기지국과 단말기의 거리 = ((RTD칩/8칩 * 2) - 보정값))*초당 전파속도
여기에서, 보정값은 기지국 무선 유니트의 지연값을 나타내며, 초당 전파속도는 통상 244m/s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신설 및 이설, 호 분산을 위한 광 중계기의 신설 및 이설 등에 적용되나,이하에서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을 통신망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기지국(20)은 일정 서비스 영역(100) 내에 포함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1 ~ 10-n)가 이동통신망(30)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20)의 커버리지 및 호 분포 등과 같은 망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분석 대상 지역의 지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컴퓨터(40)를 통해 기지국(20)으로부터 RTD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컴퓨터(40)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Netterm, Hyper terminal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호 제어 프로세서(BTS Control Processor; BCP)에 접속하여 호 처리 블록을 모니터링한 후 필요한 RTD를 수집한다.
이동통신망의 성능, 용량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컴퓨터(40)를 통하여 칩 단위의 RTD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정재(Refiner)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원시 RTD 데이터는 칩 단위의 값이기 때문에 분석이 어렵고 순간적으로 다량의 호가 발생하는 경우 누적분석이 불가능하지만, 이를 정재하여 거리 단위의 값으로 환산하면 채널별, 섹터별 호 종류별로 호의 거리로 환산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RTD 데이터의 정재시에는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RTD 데이터를 정재하고 난 후에는 호의 분포를 지도상에 매칭하여 망 설계자에게 제시하여 줌으로써 이동통신망의 분석과정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망 설계자는 정재된 RTD 데이터를 이용한 호 분포도에 의해 망의 현재 특성, 성능, 용량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신설, 이설에 따른 망 성능 변화를 관측할 수 있다. 즉,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이 RTD 데이터를 수집, 정재 및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망 설계자가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하는 기지국 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데이터베이스화한 RTD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지국의 위치에 따른 망 특성, 성능, 용량 변화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I/O 인터페이스(501),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503), RTD 데이터 정재부(505),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509), 데이터 포맷 처리부(511), 매칭 처리부(513), 그래프 처리부(515), 제어부(520), 메모리(530) 및 데이터베이스(540)를 구비하며, 데이터베이스(540)는 맵 DB(541), RTD 정보 DB(543) 및 분석결과 DB(545)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501)는 기지국(20)으로부터 RTD 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퓨터(40)와의 통신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부분으로 제어부(520), 메모리(530)와 함께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또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분석 대상 지역의 지도 정보를 맵 DB(541)에 보유하고 있다.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503)는 컴퓨터(40)로부터 전송되는 기지국별 RTD 데이터 중 유용한 RTD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기지국(20)이 커버리지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100) 내에서 기지국(20)과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1~10-n) 간의 각 RTD 값을 측정하여 RTD 정보 DB(543)에 저장한다. RTD 값은 기지국 자체의 지연값(DB1), 에어에서의 송신 지연값(DA1), 단말기의 수신 지연값(DM1), 단말기의 송신 지연값(DM2), 에어에서의 수신 지연값(DA2) 및 기지국의 수신 지연값(DB2)을 모두 합산하여 칩 단위로 환산한 값으로, 이 상태에서 RTD 값은 칩 단위의 값이다.
RTD 데이터 정재부(505)는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503)에서 측정한 칩 단위의 RTD 값을 참조하여 채널별, 섹터별, 호 종류별 호 분포 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RTD 정보 DB(543)에 저장한다.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는 사용자(망 설계자)가 기지국을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하는 기지국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대화창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기지국명, 위도, 경도, 섹터, 보정치, 섹터별 방향, 최대 커버리지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안테나 지향방향의 경우 방위각 및 방위각을 중심으로 한 분석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값은 분석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509)는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지국 정보 및 RTD 정보 DB(543)에 저장된 정재된 RTD 값을 참조하여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하는 기지국에 대한 커버리지, 호 분포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를 분석 결과 DB(545)에 저장한다.
데이터 포맷 처리부(511)는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509)에서 사용된 기지국 설정 정보의 데이터 형태를 변환하는 부분으로서, 기지국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분석 결과 DB(545)에 저장하며, 차후에 참조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매칭 처리부(513)는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509)의 현재 기지국 상태 분석 결과 또는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에 의해 입력된 기지국 설정 정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맵 DB(541)으로부터 추출한 해당 지역의 지도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지국별 호 분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래프 처리부(515)는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기지국의 특성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컴퓨터(40)에 구비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컴퓨터(40)에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망 설계 최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 및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은 분석 대상 지역의 지도 정보를 다양한 축적별로 맵 DB(541)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기지국(20)의 커버리지 및 호 분포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기지국(20)이 관할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100) 내의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1~10-n)와 관련된 RTD 정보를 기지국별로 일정기간 수집해야 한다(S101). RTD 정보의 수집은 기지국(20)에 접속된 컴퓨터(40)에서 원격 접속 프로그램(Netterm, Hyper terminal 등)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컴퓨터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RTD 데이터를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의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503)로 전송한다.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503)는 컴퓨터(40)로부터 수신한 RTD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RTD 데이터를 선택하고 기지국(20)과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n) 간의 모든 구간에 대한 지연값을 합산하여 칩 단위의 RTD 값을 측정한 후 RTD 정보 데이터베이스(543)에 저장한다. 이후, RTD 데이터 정재부(505)는 RTD 정보 DB(543)에 저장된 칩 단위의 RTD 데이터를 정재하여 거리 단위로 환산한 후 RTD 정보 DB(543)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RTD 데이터를 정재하여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에서의 호 분포도 등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환경을 요구하면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50)의 매칭 처리부(513) 또는 그래프 처리부(515)는 기 가설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한 호 분포도를 맵 상에 나타내거나 그래프로 변환하여 나타내어 준다.
한편, RTD 데이터를 정재하여 저장해 둔 이후, 사용자(망 설계자)가 기지국을 신설 또는 이설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정보 설정부(507)는 사용자로부터 기지국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10). 여기에서, 기지국 설정 정보는 기지국명, 위도, 경도, 섹터, 보정치, 섹터별 방향, 최대 커버리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안테나 지향방향의 경우 방위각 및 방위각을 중심으로 한 분석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509)는 RTD 정보 DB(543)에 저장된 정재된 RTD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지국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생성 정보를 분석한 후(S105), 그 결과를 분석 결과 DB(545)에 저장한다. 분석 결과 DB(545)에 저장된 분석 결과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매칭 처리부(513)에서 맵 DB(54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지도상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하거나(S107), 그래프 처리부(515)에 의해 그래프 형식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108).
이상에서 설명한 망 설계 최적화 방법은 CD와 같은 모든 가능한 기록매체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20)과 접속되어 기지국(20)의 RTD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컴퓨터에서 실행하거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TD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RTD 데이터를 정재한 후, 기지국 서비스 영역 내의 호 분포를 지도상에 매칭한 결과 및 이를 섹터별, 채널별로 그래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의 좌측 지도에서 예를 들어, 무등산에 설치된 기지국(*)은 1-섹터 기지국이며, 섹터 내의 점들은 활성화된 호를 나타낸다. 우측 상단의 그래프는 기지국의 거리별 호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본 실시예의 기지국은 1-섹터 기지국이므로 알파-호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다. 우측 하단의 그래프는 기지국의 각 채널에서 거리에 따른 호 분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접하는 기지국에 대한 호 분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분석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에서 지도 데이터를 제외하고 호의 분포만을 투명 출력하여 지도에 중첩하여 나타내고, 이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번화한 지역의 경우 지도 데이터베이스가 정확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도 5에서, 기지국은 남내동(▲) 및 순천남정(▼)에 존재하며 알파, 베타, 감마로 섹터를 나누어 관리하는 기지국으로, 순천남정 기지국(▼)의 감마 영역에는 1.5Km 이내에 전체 호의 55%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기지국 간의 서비스 영역이 지역 A 및 B에서 과다하게 중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두 기지국의 채널 자원이 낭비되고, 이는 채널 증설로 이어져 비용투자를 야기하게 되며, 상호 기지국간 전파간섭이 증가하여 무선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채널 용량을 검토할 때, 섹터비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는 한 기지국의 섹터 중에 가장 호가 많은 섹터가 기지국 전체 발생호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를 계산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섹터로 호가 집중되면 채널 자원이 부족하게 되고, 이는 기지국 관점에서는 전체 서비스 영역에 대한 주파수 증설을 야기하므로 비용부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접한 기지국 영역에서 이러한 과다 섹터가 발생하게 되면 기지국 상호간의 전파간섭 증가로 통화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도 5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섹터비의 불균형과 중첩율의 과다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섹터비 개선(기지국 호분산)이나 중첩율 개선을 위한 대상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이설에 따른 호 분포 예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현재 무등산에 가설되어 있는 기지국(*)을 이설하기 전에 호의 주요 분포 지역을 분석하므로써 기지국 이설 후에도 가입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역 D 및 E에 호의 다수의 호가 밀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위치로부터 기지국(*)을 이설한 후에도 영역 D, E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영역 F는 홀이 발생한 지역 즉, 호의 발생이 거의 없는 지역으로 기지국 이설시 이러한 영역에 대해서는 큰 고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커버리지에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분포도, 채널 사용율 등 이동통신망의 사용 상태를 RTD 데이터를 이용하여 맵 상에 나타냄으로써 망 설계자가 망의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호 분산을 위한 광 중계기의 신설 및 이설시 실제로 기지국 또는 광 중계기를 신설하거나 이설하기 전 신설 또는 이설 결과에 따른 망 사용 상태를 미리 시뮬레이션하여 호 분산 필요지역, 호 미발생 지역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 저하 및 망 설계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을 통신망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망 설계 최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TD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별 호 분포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신설에 따른 호 분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10-n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30 : 이동통신망 40 : 컴퓨터
50 :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100 : 서비스 영역
501 : I/O 인터페이스 503 :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
505 : RTD 데이터 정재부 507 : 기지국 정보 설정부
509 : 기지국 설정정보 분석부 511 : 데이터 포맷 처리부
513 : 매칭 처리부 515 : 그래프 처리부
520 : 제어부 530 : 메모리
540 : 데이터베이스 541 : 맵 데이터베이스
543 : RTD 정보 데이터베이스 545 :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이통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라운드 트립 지연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각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라운드 트립 데이터를 수집하여 거리 단위의 값으로 정재하고, 상기 정재된 라운드 트립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 호 분포를 상기 지도 상에 매칭하는 한편, 상기 기지국 설정 정보 및 라운드 트립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 호 분석 결과를 상기 지도 상에 매칭하기 위한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제어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를 다수의 축적 단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컴퓨터 및 사용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I/O 인터페이스;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라운드 트립 지연(RTD)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과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각 RTD 값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
    상기 RTD 데이터 수집 및 측정부에서 측정한 칩 단위의 RTD 값을 거리 단위의 값으로 정재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RTD 정재부;
    상기 사용자가 기지국을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하는 기지국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기지국 정보 설정부; 및
    상기 기지국 정보 설정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지국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재된 RTD 값을 참조하여 신설 또는 이설하고자 하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환경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기지국 생성정보 분석부;
    를 구비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는 기지국명, 위도, 경도, 섹터, 보정치, 섹터별 방향, 최대 커버리지, 방위각 및 방위각을 중심으로 한 분석각을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정보 설정부에서 설정된 기지국 설정 정보의 데이터 형태를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기 존재하는 기지국에 대한 분석 결과 또는 신설 예정 기지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해당 지역의 지도에 매칭하기 위한 매칭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기 존재하는 기지국에 대한 분석 결과 또는 신설 예정 기지국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변환하기 위한 그래프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상기 매칭 처리부 및 그래프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에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10. 이통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망 설계 최적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내의 지도 정보를 다수의 축적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라운드 트립 지연(RTD) 데이터를 지정된 기간동안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모든 구간에 대한 지연값을 합산하여 칩 단위의 RTD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칩 단위의 RTD 데이터를 정재하여 거리 단위로 환산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분석하고자 함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정보에 따른 호 분포도 거리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지도 상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데이터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 접속되는 컴퓨터를 통해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기 가설된 기지국 또는 신설/이설 대상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신설/이설 대상 기지국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지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는 기지국명, 위도, 경도, 섹터, 보정치, 섹터별 방향, 최대 커버리지, 방위각 및 방위각을 중심으로 한 분석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지도상에 매칭하는 단계 및 그 이후에 상기 분석 결과를 그래프 형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방법.
  16. 이통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내의 지도 정보를 다수의 축적별로 저장하는 기능;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라운드 트립 지연(RTD) 데이터를 지정된 기간동안 수집하는 기능;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모든 구간에 대한 지연값을 합산하여 칩 단위의 RTD 값을 측정하는 기능;
    상기 칩 단위의 RTD 데이터를 정재하여 거리 단위로 환산하는 기능; 및
    사용자가 기지국의 통신 환경을 분석하고자 함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정보에 따른 호 분포도 거리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지도 상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기능;
    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04364A 2003-01-22 2003-01-22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049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364A KR100497681B1 (ko) 2003-01-22 2003-01-22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364A KR100497681B1 (ko) 2003-01-22 2003-01-22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21A KR20040067321A (ko) 2004-07-30
KR100497681B1 true KR100497681B1 (ko) 2005-07-01

Family

ID=373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364A KR100497681B1 (ko) 2003-01-22 2003-01-22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31B1 (ko) * 2006-01-02 2007-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별 트래픽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885936B1 (ko) * 2007-07-25 2009-0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을설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21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23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carrier to interference matrix based on subscriber calls
US7280803B2 (en) Monitoring network performance using individual cell phone location and performance information
US5023900A (en) Cellular radiotelephone diagnostic system
US8718022B2 (en)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917804B2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特定の地理的領域についてのカバレージを決定する方法
US6157838A (en) Parallel optimization of wireless networks
RU2466510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зоны отсутствия приема
JP6982719B2 (ja) オーバーシュートセルの自動識別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4586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ilot coverages
CN101529947A (zh) 为盲切换选择目标小区
US20030186693A1 (en) Estimating traffic distribu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02030136A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ying accuracy of interference analysi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2014426B (zh) 一种基于测量报告的衡量载干比的方法
KR100497681B1 (ko) Cdma 이동통신망에서 망 설계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이를 위한 기록 매체
EP1305964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mobile telephony networks
US81556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signal when an additional data line between a packet-switched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should be installed
KR102595556B1 (ko) 지역별 통신 품질 상태를 판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29755B2 (ja) 情報収集方法、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移動無線端末
US79035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signal indicating that an additional sector-carrier should be installed in a wireless coverage area, or that a sector-carrier in the wireless coverage area should be optimized
KR100456306B1 (ko) 기지국 위치 설정 시스템
KR20060074277A (ko) 중계기 호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6367255A (zh) 一种基于lte模组优选移动网络的方法和装置
JP5261535B2 (ja) 情報収集方法、移動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199901496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suring traffic intensity in a digital mobile radio telepho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