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91B1 -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91B1
KR100497491B1 KR10-2003-0007279A KR20030007279A KR100497491B1 KR 100497491 B1 KR100497491 B1 KR 100497491B1 KR 20030007279 A KR20030007279 A KR 20030007279A KR 100497491 B1 KR100497491 B1 KR 10049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adius
photosensitive member
roller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04033A (en
Inventor
박근용
박우용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B03154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265251C/en
Priority to US10/610,797 priority patent/US7113730B2/en
Priority to JP2003270757A priority patent/JP3883526B2/en
Publication of KR2004000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는 현상롤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변반경부, 및 메터링 롤러의 양 단부에 현상롤러의 가변반경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정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롤러의 양단부와 메터링 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가변반경부와 정합부가 설치되어 압축 접촉하므로, 현상시 현상롤러 및 감광체에 현상제 랩어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veloper wrap-around apparatus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radius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a match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ariable radius por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at both ends of the metering roller. Equipp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able radius portion and the mating portion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both ends of the metering roller, respectively,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eloper wraparound from being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during development.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본 발명은 고 농도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시 현상롤러와 감광체에 현상제 랩어라운드(wraparound)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high concentration liquid develo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or preventing developer wraparound from being formed on a developing roller and a photosensitive member during development. Relates to a wraparound preventing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 벨트 또는 감광 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현상제로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 지며, 습식의 경우에는 휘발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섞여있는 액체 현상제가 현상제로 사용된다. In general,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orms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a photosensitive medium such as a photosensitive belt or photosensitive drum,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a developer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and transfers the image onto a recording sheet to obtain a desired image. Th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s classified into wet and dry according to the type of developer used. In the wet type, a liquid developer in which powder toner is mixed with a volatile liquid carrier is used as a developer.

이러한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약 0.5-5㎛ 이하의 입자 사이즈를 갖는 토너를 사용함으로, 정전잠상의 현상시 분말 상태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프린터 보다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점차 그 이용이 증가 하고 있다.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such a liquid developer uses a toner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0.5-5 μm or less, so that an image of higher quality than a dry printer using a powdered toner can be obtained when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 addition, the damage caused by harmful toner dust can be prevented,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3% solid 이하의 저 농도( density)의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적정한 화상농도를 얻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적정한 화상농도를 얻기 위해서는 현상장치의 현상영역 까지 충분한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한 복잡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ink delivery system)이 요구 되며, 이로 인해 현상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Howeve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generally use low density liquid developers of 3% solids or less to achieve an appropriate image density.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image density, a complicated ink delivery system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a sufficient liquid developer to the developing reg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volume and complexity of the developing apparatus. It has a disadvantage.

또한, 현상후 토너입자의 변화에 따른 현상제 보충시 적정한 화상농도를 얻기 위하여, 액체 현상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장치도 요구된다.In additi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 developer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image concentration upon replenishment of the develop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ner particles after development.

그러므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가 대형화 또는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공급장치를 없애거나 단순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 solid 이하의 저 농도의 액체 현상제 대신, 3% solid 이상의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를 적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simplify the developer feeder in order to prevent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rom being enlarged or complicated, and therefore, 3% instead of the liquid developer of 3% solid or less, which is generally used. The use of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liquid developer above solids is increasing.

도 1을 참조하면,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general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liquid developer is shown schematically.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11), 대전 롤러(12), 현상 장치(13), 감광벨트와 같은 무한궤도상으로 이동하는 전사벨트(10), 전사벨트(10)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순환시키는 1차 및 2차 롤러(21, 22), 화상을 전사벨트(10)에 전사하는 제 1 전사 롤러(8), 화상을 기록지(P)에 전사하는 제 2 전사 롤러(23),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롤러(25), 및 전사벨트(10)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크리닝 블레이드(51)를 구비하며, 이러한 프린터의 구성부분들은 상호 작용하여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기록지(P)위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This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moves on tracks such as photosensitive bodies 9, such as OPC drums (organic photoconductive drums), laser scanning units 11, charging rollers 12, developing devices 13, and photosensitive belts. The transfer belt 10,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ers 21 and 22 for circulating the transfer belt 10 along the path on the caterpillar, the first transfer roller 8 for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transfer belt 10, And a second transfer roller 23 for transferring the image onto the recording paper P, a fixing roller 25 for fixing the image, and a cleaning blade 51 for removing the image remaining on the transfer belt 10. The components of the printer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equentially perform an image forming process such as charging, exposing, developing, transferring, fixing, and the like to form a desired image on the recording paper P. FIG.

일반적으로, 칼라 프린터의 경우, 칼라인쇄를 위해 4개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11)와, 4가지의 칼라, 즉 블랙(black), 옐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를 갖는 3-40 solid %의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48)를 각각 분리하여 담고 있는 4개의 현상장치(13)를 포함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lor printer, four laser scanning units 11 for color printing and three with four colors: black, yellow, cyan, magenta It includes four developer units 13 each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liquid developer 48 of -40 soli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현상장치(13)는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48)를 저장하는 저장부(6), 감광체(9) 하부에 위치한 현상 롤러(7), 현상롤러(7) 하부에 설치되고 액체 현상제(48)에 전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deposit) 롤러(14), 디포지트 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여 더 많은 양의 토너가 현상롤러(7)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 solid)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하는 메터링(metering) 롤러(15), 및 현상롤러(7)를 크리닝하는 크리닝 롤러(16)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each developing device 13 includes a storage unit 6 for storing a high concentration of liquid developer 48, a developing roller 7 located under the photosensitive member 9, and a developing roller ( 7) The development roller 14 is formed by a deposit roller 14 and a deposit roller 14 which ar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and apply electric force to the liquid developer 48 to form a charging develop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7. 7)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harging developer layer formed in FIG. 7 so that a larger amount of toner adheres to the developing roller 7, while regulating the charging developer layer to a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toner amount or concentration (% solid), the developing roller A metering roller 15 for supplying a nip between the 7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9 and a cleaning roller 16 for cleaning the developing roller 7 are provided.

디포지트 롤러(14)와 메터링 롤러(15)는 3-40 solid %의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48), 또는 사용중 변화되는 액체 현상제(48)의 농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토너 량 또는 농도의 현상제층을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deposit roller 14 and the metering roller 15 have a constant toner amount or concentration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 developer 48 at a high concentration of 3-40 solid%, or the liquid developer 48 changed during use. To the nip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7 and the photoconductor 9.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인쇄 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감광체(9)에는 대전 롤러(12)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11)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디포지트 롤러(14)와 메터링 롤러(15)에 의해 저장부(6)의 액체 현상제(48)로부터 현상 롤러(7)에 형성된 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First, as a print command is applied, the photosensitive member 9 is formed with a charge layer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printed by the charging roller 12 and the laser scanning unit 11, that i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The toner of the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toner amount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 7 from the liquid developer 48 of the storage portion 6 by the deposit roller 14 and the metering roller 15 is attached to the toner image. Is formed.

이 때, 액체 현상제(48)는 디포지트 롤러(14)의 전기력에 의해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으로 형성되고, 메터링 롤러(15)에 의해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서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으로 현상롤러(7)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iquid developer 48 is formed as a charging develop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7 by the electric force of the deposit roller 14,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oner is applied while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y the metering roller 15. It is formed in the developing roller 7 by the developer layer which has.

현상장치(13)에 의해 감광체(9)에 현상된 화상은 전사벨트(10)의 내측에 위치한 제 1 전사 롤러(8)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감광체(9)로부터 전사벨트(10)로 1차 전사된다. 전사벨트(10)에 전사된 화상은 전사벨트(10)가 1차 및 2차 롤러(21, 22)에 의해 회전 함에 따라 제 2 전사 롤러(23)까지 이동하여 제 2 전사롤러(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기록지(P)에 2차 전사된다. The image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9 by the developing device 13 is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9 to the transfer belt 10 by the voltage and pressure of the first transfer roller 8 located inside the transfer belt 10. The car is transferred. The imag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belt 10 moves up to the second transfer roller 23 as the transfer belt 10 is rotat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ers 21 and 22, so that the transfer of the second transfer roller 23 is performed. The secondary paper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P by the voltage and the pressure.

기록지(P)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 롤러(25)와 정착 백업롤러(26)에 의해 기록지(P)에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The image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P is fixed to the recording paper P by the fixing roller 25 and the fixing backup roller 26 to finally form a desired image.

전사벨트(10)에 전사된 화상이 기록지(P)에 전사된 후, 전사벨트(10)는 1 차 및 2차 롤러(21, 22)에 의해 계속 회전하여 1차 롤러(21)의 측면에서 전사벨트(10)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크리닝 블레이드(51)까지 이동하며, 여기에서 전사벨트(10)의 표면에 잔존하는 현상제 찌꺼기(통상 기록지로 100% 전사되지 않고 90 - 98%만 전사됨)는 다음 화상인쇄를 위해 크리닝 블레이드(51)에 의해 전사벨트(10)로부터 제거되어 폐현상제 저장부(52)에 회수된다. After the imag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belt 10 is transferred onto the recording paper P, the transfer belt 10 is continuously rotat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ers 21 and 22 so as to be on the side of the primary roller 21. It moves to the cleaning blade 51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mage forming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10, where the developer residue (normally not 100%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90-98%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10). Only transferred) is removed from the transfer belt 10 by the cleaning blade 51 and recovered to the waste developer storage 52 for the next image printing.

잔존 현상제 찌꺼기가 제거된 전사벨트(10)는 다시 감광체(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11) 및 현상장치(13)를 통해 다음 화상의 정전잠상 형성 및 현상을 진행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The transfer belt 10 from which the residual developer residue has been removed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o proceed wit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ext image through the photosensitive member 9, the laser scanning unit 11,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13 again. Repeat.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린터는,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포지트 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 7', 7")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 토너량 또는 농도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만들어 주는 메터링 롤러(15, 15', 15")의 표면은 현상롤러(7, 7', 7")의 표면과 평행하게 맞닿아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rint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uses a charging developer layer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s 7, 7 ′, 7 ″ by the deposit roller 14, as shown in FIGS. 3A, 3B, and 3C. The surface of the metering rollers 15, 15 ', 15 ", which is made of a developer layer having a certain toner amount or concentra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metering rollers 15, 15', 15" abuts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s 7, 7, 7 ', 7 ". .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포지트 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메터링 롤러(15)가 현상롤러(7)와 닙을 형성하면서 회전하여 일정한 토너농도의 현상제층으로 규제할 때 메터링 롤러(15)의 양측 표면쪽으로 밀려지는 액체 현상제(48)는 이미 현상롤러(7)와 메터링 롤러(15) 사이의 닙에 의해 일정한 농도로 규제된 현상제층이 위치한 현상롤러(7)의 표면(17)과 메터링 롤러(15)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고이거나, 심할 경우 현상롤러(7)를 통하여 감광체(9)로 전이되어 랩어라운드(18)를 형성함으로써, 설계된 량 또는 농도 이상의 토너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으로 공급되어진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metering roller 15 rotates while forming the nip with the developing roller 7 while the charging developer layer is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 7 by the deposit roller 14. The liquid developer 48, which is pushed toward both surfaces of the metering roller 15 when regulated by a developer layer of a constant toner concentration, is already fixed by a nip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7 and the metering roller 15.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surface 17 of the developing roller 7 and the metering roller 15 where the developer layer is regulated, or, if severe, transfers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9 through the developing roller 7 and wraps. By forming the around 18, a toner of a designed amount or concentration or more is partially or wholly supplied to the nip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7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9.

이와 같이,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으로 공급되는 설계된 량 또는 농도 이상의 토너는 화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화상이 기록지(P)에 전사된 후 감광체(9)의 표면에 잔류하여 크리닝 블레이드(51)에 의해 폐현상제 저장부(52)로 회수되는 현상제 찌꺼기의 양을 증가시켜, 현상제의 소모량을 불필요하게 증가 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toner above the designed amount or concentration supplied to the nip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7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9 not only causes the image quality to deteriorate, but also after the image is transferred onto the recording paper P, the photosensitive member ( The amount of developer residu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9) and recovered to the waste developer storage 52 by the cleaning blade 51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the developer unnecessari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현상시 현상롤러와 감광체에 현상제 랩어라운드(wraparound)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시 현상롤러의 단부가 메터링 롤러의 단부와는 접촉하여 현상제 랩어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반면, 감광체의 표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현상롤러의 단부와 메터링 롤러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한 현상제 랩어라운드가 현상롤러에서 감광체로 전이되지 않고 메터링 롤러로 회수되도록 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he developer wraparound (wraparound) o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during development, the end of the development roller during development While the developer wraparound is prevented from forming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ing roller, the developer wraparound generated between the end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end of the metering roller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for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that is recovered by a metering roller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a photosensitive memb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및 감광체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잠상에 따라 감광체에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도록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체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현상제 이송체는 감광체와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부분, 및 세로축을 따라 제 1 부분의 최소한 한 단부 너머로 뻗어있고 제 1 반경 보다 작은 제 2 반경들로 이루어지는 가변 반경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현상제 이송체와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현상제 이송체에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내의 토너입자의 양과 농도 중 최소한 하나를 규제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현상농도 규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eloper storage space for storing a liquid developer, a photosensitive member for forming a latent image, and a developer storage space for forming a visible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according to the latent image while rotating fac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mprising a developer conveying body for conveying a developer supplied from a photosensitive member,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having a first portion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first radius paralle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and along a longitudinal axis; A second portion having a variable radius extending beyond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consisting of second radii less than the first radius; And at least one developer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which is formed to have a shape to match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and regulates at least one of an amount and a concentration of toner particles in the liquid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A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s provided.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 이송체는 롤러 형태로 구성되며, 제 2 부분의 최소한 일부는 감광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현상제 이송체의 단부쪽으로 일정 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현상제 이송체는 제 2 부분의 최소한 일부가 톱니형으로 테이퍼된 형태, 볼록하게 테이퍼된 형태, 오목하게 테이퍼된 형태, 계단형으로 테이퍼된 형태, 항아리 형태로 굴곡된 형태, 및 최소한 2개 이상의 각도로 테이퍼된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된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ll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to be tapered at an angle toward the end of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so as not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member. Optionally, the developer carrier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tapered, convex tapered, concave tapered, stepped tapered, jar shaped, and at least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ller formed in one of two or more angles tapered form.

현상농도 규제롤러는 현상제 이송체의 제 2 부분과 압축 접촉하도록 현상제 이송체의 제 2 부분과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The developer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includes at least one end portion formed to have a shape to mate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in compressio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또, 현상제 이송체의 제 2 부분은 현상농도 규제롤러와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가변 반경의 제 2 반경에서 종료되며,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단부 부분은 액체 현상제를 현상농도 규제롤러로 회수하기 위하여 제 2 부분과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제 2 부분의 가변 반경의 제 2 반경과 대응하는 단부 부분의 제 3 반경과 동일한 반경, 제 3 반경 보다 작은 반경, 및 제 3 반경 보다 작은 가변 반경 중 하나를 갖도록 형성된 연장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ance body is terminated at the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is terminated, and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is a liquid developer with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The same radius as the third radius of th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of the second portion located at the point of terminating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for recovery, a radius smaller than the third radius, and smaller than the third radiu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xtended surface portion formed to have one of the variable radius.

또한,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단부 부분은 탄성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apparatus for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1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113)와 감광체(109)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a developing apparatus 113 and a photosensitive member 109 of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to which the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partially illustrated.

현상장치(113)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현상장치(13)와 같이,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음), 감광체(109) 하부에 위치한 현상 롤러(107), 현상롤러(107) 하부에 설치되고 액체 현상제에 전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107)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 롤러(도시하지 않음), 디포지트 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현상롤러(107)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여 더 많은 양의 토너가 현상롤러(107)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 양 또는 농도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107)와 감광체(109) 사이의 닙으로 공급하는 메터링 롤러(115), 및 현상롤러(107)를 크리닝하는 크리닝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As the developing apparatus 13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eveloping apparatus 113 includes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a high concentration of liquid developer, a developing roller 107 disposed under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A developing roller (not shown) and a developing roller (not shown) are provided below the developing roller 107 and apply electric force to the liquid developer to form a charging develop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107. The developer roller 107 is regulated by a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toner amount or concentration while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developer layer formed at 107 so that a larger amount of toner adheres to the developer roller 107. And a metering roller 115 for supplying to the nip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and a cleaning roller (not shown) for cleaning the developing roller 107.

디포지트 롤러와 메터링 롤러(115)는 3-40 solid %의 고 농도의 액체 현상제, 또는 사용중 변화되는 액체 현상제의 농도와 상관없이 일정량의 현상농도의 현상제층을 현상롤러(107)와 감광체(109) 사이의 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deposit roller and the metering roller 115 may be formed of the developer roller 107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 liquid developer of 3-40 solid%, or a certain amount of developer concentration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 developer changed during use. It serves to supply the nip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본 발명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100)는 현상롤러(107)와 메터링 롤러(115)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두개의 랩 어라운드 방지부(100a, 100b)로 구성된다.The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wrap-around prevention portions 100a and 100b install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and the metering roller 115.

각각의 랩 어라운드 방지부(100a, 100b), 예를 들면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랩어라운드 방지부(100a)는 현상시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109)와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 1 반경(R1)을 갖는 현상 롤러(107)의 원통 표면(122)의 우측 단부 너머로 뻗어있고 감광체(109)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반경 (R1)보다 작은 제 2 반경들(R21-R2N)로 이루어지는 가변 반경(R 2)을 가지는 가변반경부(108a); 및 현상롤러(107)의 가변반경부(108a)와 압축 접촉하도록 현상롤러(107)의 가변반경부(108a)와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메터링 롤러(115)의 상응하는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정합부(116a)를 구비한다.Each of the wrap around prevention parts 100a and 100b, for example, the wrap around prevention part 100a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5,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to prevent wraparound from occurring during development. Second radiuses R that are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R 1 so as to extend beyond the right end of the cylindrical surface 122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with a constant first radius R 1 and do not contact the photoreceptor 109. A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having a variable radius R 2 composed of 21 -R 2N ; And a mating portion formed at a corresponding right end of the metering roller 115 to have a form that matches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so as to be in compression contact with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116a.

본 실시예에서, 가변반경부(108a)는 감광체(109)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부쪽으로 갈수록 원주면에서 축(107a)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을 갖는 테이퍼 형태로 구성되고, 정합부(116a)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과 반대 형상의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를 갖는 역 테이퍼 형태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8a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axis 107a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end so as not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The mating portion 116a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verse taper having a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8a and an inverted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9a of opposite shape.

정합부(116a)의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은 가변반경부(108a)의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과 접촉이 종료하는 지점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121a)을 갖는다. The inverted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9a of the mating portion 116a has an extended surface 121a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point where contact with the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8a of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ends.

연장면(121a)은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이 가변반경부(108a)의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과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가변 반경(R2)의 제 2 반경(R2N)과 대응하는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의 제 3 반경(R3)과 동일한 반경, 제 3 반경(R3) 보다 작은 반경, 또는 제 3 반경(R3) 보다 작은 가변 반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ding surface 121a is a second radius R 2N of the variable radius R 2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inverted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9a terminates contact with the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8a of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 and formed to have a small variable-radius than the third radius (R 3) with the same radius, the smaller radius than the third radius (R 3), or a third radius (R 3) of the corresponding inverse truncated to a conical tapered surface (119a) It is desirable to.

연장면(121a)은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과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 사이에서 소량의 랩 어라운드(117)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랩 어라운드(117)가 감광체(109) 쪽으로 전이되지 않고 메터링 롤러(115)쪽으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ended surface 121a does not transfer the generated wrap around 117 toward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even if a small amount of wrap around 117 occurs between the inverted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9a and the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 118a. It serves to recover toward the metering roller 115.

정합부(116a)는 현상롤러(107)의 가변반경부(108a)와 접촉하여 랩어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접촉 압력을 부가하도록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ching portion 116a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add a contact pressure sufficient to contact the variable radius portion 108a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to prevent the wraparound from being formed.

정합부(116a)는 메터링 롤러(115)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115a)에 끼워져 있다. The matching portion 116a is fitted to the step 115a formed at the end of the metering roller 115.

정합부(116a)를 메터링 롤러(115)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링형 스토퍼(120a)는 정합부(116a)가 단턱(115a)에 끼워진 후 억지 끼워맞춤 또는 나사식으로 메터링 롤러(115)의 단부에 고정된다. In order to fix the mating portion 116a to the end of the metering roller 115, the ring-shaped stopper 120a has an interference fit or screw type metering roller 115 after the mating portion 116a is fitted to the step 115a. Is fixed to the end of the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랩어라운드 방지부(100b)는 위에서 설명한 랩어라운드 방지부(100a)의 구성과 동일하다. The wraparound prevention part 100b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wraparound prevention part 100a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100)의 작용을 도 5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100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인쇄 명령이 내려지면, 현상장치(113)의 저장부내에 담겨 있는 액체 현상제는 디포지트 롤러의 전기력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현상롤러(107)에 대전 현상제층으로 형성된 다음, 메터링 롤러(115)에 의해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서 일정한 토너 양을 갖는 현상제층으로 현상롤러(107)에 형성된다. First, when a printing command is given, the liquid developer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developing apparatus 113 is formed as a charging develop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107 rotating at a constant speed by the electric force of the deposit roller, and then metering.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y the roller 115 and is formed in the developing roller 107 as a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toner amount.

이 때, 메터링 롤러(115)의 양측 표면쪽으로 밀리면서 회전하는 액체 현상제는 가변반경부(108a, 108b)와 정합부(116a, 116b)의 탄성 압축 접촉에 의해, 현상롤러(107)의 양단부를 따라 현상롤러(107)와 메터링 롤러(115) 사이의 닙을 통과하여 현상롤러(107)의 원통 표면(122)에 형성된 현상제층 상으로 흘러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된다. At this time, the liquid developer that rotates while pushing toward both surfaces of the metering roller 115 is formed by the elastic compression contact between the variable radius portions 108a and 108b and the matching portions 116a and 116b. Passing through the nip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07 and the metering roller 115 along both ends is blocked from flowing onto the developer layer form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122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또한, 이 때, 일부 현상제가 현상롤러(107)의 양단에서 소량의 랩어라운드(117)을 형성하더라도, 현상롤러(107)의 양단에 형성된 가변반경부(108a, 108b)가 감광체(109)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8a, 118b)을 가짐과 아울러 정합부(116a, 116b)의 역 절두 원추형 테이퍼면(119a, 119b)이 발생된 랩어라운드(117)를 메터링 롤러(115)쪽으로 회수하는 연장면(121a, 121b)을 가짐으로, 랩어라운드(117)는 감광체(109)로 전이되지 않고 메터링 롤러(115)쪽으로 회수된다. At this time, even if some of the developer forms a small amount of wrap around 117 at both ends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the variable radius portions 108a and 108b formed at both ends of the developing roller 107 are expos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The metering roller 115 has a wraparound 117 having the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s 118a and 118b which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verse truncated conical tapered surfaces 119a and 119b of the mating portions 116a and 116b. By having the extension surfaces 121a and 121b to be recovered, the wraparound 117 is recovered toward the metering roller 115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이와 같이, 디포지트 롤러와 메터링 롤러(115)에 의해 일정한 농도의 현상제층이 형성되는 동안, 감광체(109)에는 대전 롤러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In this manner, while the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concentration is formed by the deposit roller and the metering roller 115,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is formed wit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inted by the charging roller and the laser scanning unit.

그 후, 일정한 농도의 현상제층을 형성한 현상롤러(107)가 정전잠상을 형성한 감광체(109)와 서로 마주하면서 회전하면, 현상롤러(107)에 형성된 현상제층은 감광체(109)와 현상롤러(107)에 인가된 전압의 차, 정전력 등에 의해 감광체(109)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Thereafter, when the developing roller 107 having the developer layer having a constant concentration rotates while fac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o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the developer layer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 107 is expos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109 and the developing roller. Due to the difference in voltage applied to 107,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the image is moved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conductor 109 and developed into a toner image.

이 후, 토너 화상은 도 1 에 도시한 프터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전사, 정착 등의 순차적인 화상형성 과정을 통해 기록지 위에 원하는 화상으로 형성되고, 토너 화상을 전사한 전사벨트에 잔류하는 현상제 찌거기는 크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되어 폐현상제 저장부로 회수된다. Thereafter, the toner image is formed into a desired image on the recording paper through a sequential image forming process such as transfer and fixing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inter shown in FIG. 1, and the developer residue remaining on the transfer belt to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Is removed by the cleaning blade and returned to the waste developer reservoir.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100)의 랩어라운드 방지부의 변형예들(좌측 랩어라운드 방지부만 도시함)이 예시되어 있다.6A to 6G, variations of the wraparound prevention part of the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left wraparound prevention part is illustrated) are illustrated.

변형예들의 랩어라운드 방지부(100b', 100b", 100b"', 100b"", 100b""', 100b""")는 가변반경부(108b', 108b", 108b"', 108b"", 108b""', 108b""")와 정합부(116b', 116b", 116b"', 116b"", 116b""', 116b""")가 랩어라운드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 톱니 또는 물결무늬형으로 테이퍼된 형태(도 6a), 볼록하게 테이퍼된 형태(도 6b), 오목하게 테이퍼된 형태(도 6c), 계단형으로 테이퍼된 형태(도 6d), 항아리 형태로 굴곡된 형태(도 6e), 및 2개의 각도로 테이퍼된 형태(도 6f)로 압축 접촉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에 관련하여 설명한 랩어라운드 방지부(100b)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변형예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raparound prevention parts 100b ', 100b ", 100b"', 100b "", 100b "" ', and 100b "" "of the variants have variable radius parts 108b', 108b", 108b "'and 108b" ". , 108b "" ', 108b "" ") and mating portions 116b', 116b", 116b "', 116b" ", 116b" "', 116b" "") are sawtooth or Tapered form (Fig. 6a), convex tapered form (Fig. 6b), concave tapered form (Fig. 6c), stepped tapered form (Fig. 6d), bent form ( 6E), and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wraparound prevention portion 100b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5, except that it is configured for compression contact in two angles in tapered form (FIG. 6F).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description of these modifications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는 현상롤러의 양단부와 메터링 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가변반경부 및 정합부를 서로 압축 접촉하도록 설치하여 현상시 현상롤러와 감광체에 현상제 랩어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wrap-around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at both ends of the metering roller such that the variable radius portion and the mating portion are compressed to contact each other. This prevents the developer wraparound from form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ypical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와 감광체를 예시하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eveloping device and a photosensitive member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hown in FIG. 1;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의 현상롤러와 메터링 롤러의 설치예들을 예시하는 개략도.3A, 3B, and 3C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metering roller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현상롤러와 메터링 롤러의 설치예에서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wraparound occurs in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metering roller shown in FIG. 3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가 적용된 현상장치와 감광체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of a developing apparatus and a photosensitive member to which a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및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의 랩어라운드 방지부의 변형예들을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6A, 6B, 6C, 6D, 6E, and 6F are partial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modifications of the wraparound prevention portion of the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7, 107: 현상 롤러 8, 23: 전 롤러7, 107: developing roller 8, 23: pre roller

9, 109: 감광체 10: 전사벨트9, 109: photosensitive member 10: transfer belt

1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3, 113: 현상 장치11: laser scanning unit 13, 113: developing device

14: 디포지트 롤러 15, 115: 메터링 롤러14: deposit roller 15, 115: metering roller

16: 크리닝 롤러 25: 정착 롤러16: cleaning roller 25: fixing roller

48: 현상제 48: developer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랩어라운드 방지부100a, 100b, 100b ', 100b ", 100b"', 100b "", 100b "" ', 100b "" ": Wrap-Around Protection

108a, 108b, 108b', 108b", 108b"', 108b"", 108b""', 108b""": 가변반경부108a, 108b, 108b ', 108b ", 108b"', 108b "", 108b "" ', 108b "" ": Variable radius

116a, 116b, 116b', 116b", 116b"', 116b"", 116b""', 116b""": 정합부116a, 116b, 116b ', 116b ", 116b"', 116b "", 116b "" ', 116b "" ": matching part

121a, 121b, 121b', 121b", 121b"', 121b"", 121b""', 121b""": 연장면 121a, 121b, 121b ', 121b ", 121b"', 121b "", 121b "" ', 121b "" ": extended surface

Claims (9)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및 상기 감광체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상기 잠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에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체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A developer storage space for storing a liquid developer, a photosensitive member for forming a latent image, and a developer supplied from the developer storage space to rotate to face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form a visible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according to the latent image; In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mprising a developer conveying body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상기 현상제 이송체는 상기 감광체와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부분, 및 세로축을 따라 상기 제 1 부분의 최소한 한 단부 너머로 뻗어있고 상기 제 1 반경 보다 작은 제 2 반경들로 이루어지는 가변 반경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substantially constant paralle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and second radii extending beyond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axis and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A second portion having a variable radius;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상기 제 2 부분과 압축 접촉하도록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상기 제 2 부분과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이송체에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내의 토너 입자의 양과 농도 중 최소한 하나를 규제하는 현상농도 규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And at least one end portion formed to have a shape to mate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ance to be in compressio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ance, the liquid development being supplied to the developer conveyance And a developer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for regulating at least one of an amount and a concentration of toner particles in the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는 롤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분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단부쪽으로 일정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claim 1, wherein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s formed in a roller sha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ortion is tapered at an angle toward an end portion so as not to contact the photosensitive member.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상기 단부 부분은 탄성재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ment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와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상기 가변 반경의 제 2 반경에서 종료되며;The second portion terminates at a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ends;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과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가변 반경의 상기 제 2 반경과 대응하는 상기 단부 부분의 제 3 반경과 동일한 반경, 상기 제 3 반경 보다 작은 반경, 및 상기 제 3 반경 보다 작은 가변 반경 중 하나를 갖도록 형성된 연장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has a radius equal to a third radius of th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of the second portion located at a point where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ends; And an extension surface portion formed to have one of a radius smaller than a third radius and a variable radius smaller than the third radius.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및 상기 감광체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상기 잠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에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체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A developer storage space for storing a liquid developer, a photosensitive member for forming a latent image, and a developer supplied from the developer storage space to rotate to face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form a visible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according to the latent image; In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mprising a developer conveying body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상기 현상제 이송체는 상기 감광체와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부분, 및 세로축을 따라 상기 제 1 부분의 최소한 한 단부 너머로 뻗어있고 상기 제 1 반경 보다 작은 제 2 반경들로 이루어지는 가변 반경을 가지며, 최소한 일부가 톱니형으로 테이퍼된 형태, 볼록하게 테이퍼된 형태, 오목하게 테이퍼된 형태, 계단형으로 테이퍼된 형태, 항아리 형태로 굴곡된 형태, 및 최소한 2개 이상의 각도로 테이퍼된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롤러 형태로 구성되며;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substantially constant paralle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and second radii extending beyond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axis and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Have a variable radius, at least partially tapered, convexly tapered, concave tapered, stepped tapered, jar-shaped, bent, and at least two angles tapered A roller form including a second portion formed in one of the forms;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 이송체에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내의 토너 입자의 양과 농도 중 최소한 하나를 규제하는 현상농도 규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And a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which is formed to have a form to match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and regulates at least one of an amount and a concentration of toner particles in the liquid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for photo printe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상기 제 2 부분과 압축 접촉하도록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상기 제 2 부분과 정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7. The developer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veloper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includes at least one end portion formed to have a shape to mate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in compressio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developer conveying body. A developer wrap-around device for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상기 단부 부분은 탄성재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ment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와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상기 가변 반경의 제 2 반경에서 종료되며;The second portion terminates at a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ends; 상기 현상농도 규제롤러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과 접촉을 종료하는 지점에 위치한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가변 반경의 상기 제 2 반경과 대응하는 상기 단부 부분의 제 3 반경과 동일한 반경, 상기 제 3 반경 보다 작은 반경, 및 상기 제 3 반경 보다 작은 가변 반경 중 하나를 갖도록 형성된 연장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랩어라운드 방지 장치. The end portion of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regulating roller has a radius equal to a third radius of th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us of the variable radius of the second portion located at a point where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ends; And an extension surface portion formed to have one of a radius smaller than a third radius and a variable radius smaller than the third radius.
KR10-2003-0007279A 2002-07-03 2003-02-05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KR100497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B031546013A CN1265251C (en) 2002-07-03 2003-07-02 Apparatus for preventing developer from flowing arourd in wetting electronic photographic printer
US10/610,797 US7113730B2 (en) 2002-07-03 2003-07-02 Apparatus for preventing developer wraparound i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3270757A JP3883526B2 (en) 2002-07-03 2003-07-03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71 2002-07-03
KR20020038471 2002-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33A KR20040004033A (en) 2004-01-13
KR100497491B1 true KR100497491B1 (en) 2005-07-01

Family

ID=3731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279A KR100497491B1 (en) 2002-07-03 2003-02-05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49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33A (en)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6155B2 (en) Cleaning device and wet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leaning device
KR10049749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JP200622080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3526B2 (en) Developer wraparound prevention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46532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eloper wraparound i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US20090016761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49986B1 (e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part for improving the transfer efficiency
KR100452548B1 (en) a development device andapparatus for cushioning contact shock and forming development nip therefor
JP51773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0619073B1 (en) Paper feeding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346682B1 (en) Printing unit for wet typ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4849214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47131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4636293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89554A (en) Liquid developing device
US6330408B1 (en) Transfer apparatus
JP2006072007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KR100512724B1 (en) Liquid developer and wet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03604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electrostatic and pressing transferring method
KR100477664B1 (en) Liquid image developing apparatus
KR20030069281A (en) Method for preventing flow pattern of wet typ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system adopting the same
JP45455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JP2009098284A (en) Lubricant applicat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57768A (en) Developing system
JP2005134848A (en) Lubricant coating applicat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