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923B1 -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 Google Patents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923B1
KR100495923B1 KR10-2002-0084250A KR20020084250A KR100495923B1 KR 100495923 B1 KR100495923 B1 KR 100495923B1 KR 20020084250 A KR20020084250 A KR 20020084250A KR 100495923 B1 KR100495923 B1 KR 10049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foreign matter
sand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7499A (en
Inventor
이종구
하점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to KR10-2002-008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923B1/en
Publication of KR2004005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9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비중차로 부유시켜 선별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좌우로 수조내부의 물에 적절한 파동을 형성하여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비중에 의해 부유하여 손쉽게 선별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골재에서 모래와 자갈이 선별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gravity sorter which selects by floating a foreign matter mixed in aggregate with specific gravity,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n appropriate wave in the water inside the tank in up, down, left, and righ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is suspended by specific gravity. It is related to a floating gravity sorter that allows sand and gravel to be sorted at the same time while allowing easy sorting.

그 구성은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비중차로 부유시켜 선별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있어서; 양단으로 골재투입구와 자갈배출구를 갖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측 내부로 구비되는 이물질포집부와; 상기 이물질포집부의 하부로 상기 수조의 내부에 자갈을 걸러서 모래를 통과시키도록 장착되는 메시망과; 상기 메시망의 하부로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좌우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좌우파동형성부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상하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하파동형성부와; 상기 좌우파동형성부의 하부로 상기 메시망을 통과한 모래가 포집되는 모래포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Its configuration is in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for selecting and floating by float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with specific gravity; A water tank having an aggregate inlet and a gravel outlet at both ends; A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A mesh network mounted to pass sand by filtering gravel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under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under the mesh network;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arts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from side to side to form waves; A vertical wave forming part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up and down to form a wave;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is composed of a sand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sand passing through the mesh network.

상기와 같은 부유비중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골재에 섞여 있는 미세한 이물질까지 완전하게 제거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모래와 자갈의 선별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골재의 품질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By providing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ompletely remove even fin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easy to use, easy to select the sand and gravel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aggregate.

Description

부유비중선별기{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본 발명은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비중차로 부유시켜 선별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좌우로 수조내부의 물에 적절한 파동을 형성하여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비중에 의해 부유하여 손쉽게 선별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골재에서 모래와 자갈이 선별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gravity sorter which selects by floating a foreign matter mixed in aggregate with specific gravity,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n appropriate wave in the water inside the tank in up, down, left, and righ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is suspended by specific gravity. It is related to a floating gravity sorter that allows sand and gravel to be sorted at the same time while allowing easy sorting.

일반적으로 부유비중선별기는 물에 의한 비중차에 의해 골재보다 비교적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is widely used as a device for sor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are relatively lighter than aggregates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caused by water.

이와 같은 부유비중선별기는 물에 적절한 파동이 형성되지 않아 투입되는 골재의 사이에 섞여 있는 미세한 이물질을 완전하게 걸러내어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floating gravity sorter does not form an appropriate wave in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fine foreign matter mixed between the aggregates to be injected.

상기와 같이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골재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부실한 시공에 근본적인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By not completel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as described above, the quality of the aggregate is deteriorated, thereby there is a problem that is a fundamental factor in poor construction.

그리고, 적절한 파동을 형성하기 위해 부유비중선별기를 복잡한 구성으로 제작하게 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사용이 불편하며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ating gravity selector is manufactured in a complicated configuration to form an appropriate wa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the use is inconvenient, and a frequent failure occu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그 목적은 상하좌우로 수조내부의 물에 적절한 파동을 형성하여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비중에 의해 부유하여 손쉽게 선별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골재에서 모래와 자갈이 선별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oating gravity sorter to form a suitable wave in the water in the tank up and down, left and right so that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aggregates can be easily sorted by floating due to specific gr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된 이물질이 원활히 포집되고 배출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gravity separator for allowing the suspended foreign matter to be collected and discharg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좌우파동과 상하파동이 손쉽게 형성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gravity classifier that allows easy formation of left and right waves and up and down waves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위의 감지에 의해 골재의 배출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하는 부유비중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gravity separator to proper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aggregate by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비중차로 부유시켜 선별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있어서; 양단으로 골재투입구와 자갈배출구를 갖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측 내부로 구비되는 이물질포집부와; 상기 이물질포집부의 하부로 상기 수조의 내부에 자갈을 걸러서 모래를 통과시키도록 장착되는 메시망과; 상기 메시망의 하부로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좌우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좌우파동형성부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상하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하파동형성부와; 상기 좌우파동형성부의 하부로 상기 메시망을 통과한 모래가 포집되는 모래포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gravity separator for selecting by float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with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 water tank having an aggregate inlet and a gravel outlet at both ends; A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A mesh network mounted to pass sand by filtering gravel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under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under the mesh network;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arts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from side to side to form waves; A vertical wave forming part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up and down to form a wa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and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sand passing through the mesh network to the lower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또한, 상기 이물질포집부는, 이물질이 월류되는 수평물넘이턱과, 상기 수평물넘이턱과 일체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진 경사이동부와, 상기 경사이동부의 일단으로 수조의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the foreign matter flows inclined, the inclined movement portion inclin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flows down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and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to one end of the inclined movemen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수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물공급배관과, 상기 물공급배관에 하향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horizontally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passage to the inside and the water supply pipe downward.

또한, 상기 좌우파동형성부는, 수조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과, 상기 통공에 대응되는 수조의 하면으로 각각 부착되는 원형의 고무플랜지와, 상기 고무플랜지의 하면으로 부착되고 하단으로 모래배출공을 갖는 원뿔수조와, 다수의 상기 원뿔수조의 외부 둘레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일측으로 맞닿아 구비되고 모터로 구동되어는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a circular rubber flang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flange and sand discharge hole to the bottom Conical water tank having 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ounting plate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the cone water tank, and a cam provid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driven by a motor.

또한, 상기 상하파동형성부는, 수조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구획판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과, 상기 구획공간의 상부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주입기와, 상기 배관의 분지관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공간에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wave forming unit, a partition space formed by a partition plate vertically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tank, and an air injecto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space and piped to inject air there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scharge valve is moun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pipe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injected into the partition space.

또한, 상기 모래포집부는, 좌우파동형성부를 둘러싸도록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 좌우파동형성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설치판과, 상기 좌우파동형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판에 형성되는 모래낙하공과, 상기 모래낙하공의 하면으로 장착되고 경사진 모래배출수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and collecting unit, a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so as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an installation plate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in the interior of the pedestal, and the mount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Sand dropping hole is formed i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nd discharged water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and dropping hole.

또한, 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수조에 상측에 구비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자갈배출구로 배출되는 자갈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자갈배출구에 설치되는 게이트로 구성되는 배출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is composed of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nk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and a gate installed in the gravel discharge port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gravel discharged to the gravel discharge por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unit is provided.

또한, 상기 장착판과 설치판의 사이에 다수의 스프링이 장착되어 원뿔수조의 좌우이동이 탄성복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one tank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restore.

또한, 상기 수위감지부는, 수조의 내부로 구비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에 장착되어 수조의 외부로 구비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고정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힌지결합된 연결링크 및 지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및 지지링크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조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the float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tank, the support rod is mounted to the float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the fixed body for fixing the support rod, the connecting link hinged to the fixed body and the support The link and the connecting link and the support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which is hing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부유비중선별기는 수조(10)의 내부로 이물질포집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포집부(20)의 하부에 메시망(30)이 구비되며, 상기 메시망(30)의 하부로 물공급부(40)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부(40)의 하부로 좌우파동형성부(50)가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부(40)의 일측으로 상하파동형성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의 하부로 모래포집부(70)가 구비되며, 수조(10)의 내외로 배출조절부(8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Floating gravity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the mesh net 3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the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sh network 30 The supply unit 40 is installed,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is provid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40, the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4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wave forming unit (not shown), The sand collecting unit 70 is provided below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and the discharge control unit 80 is provided in and out of the water tank 10.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수조(10)는 양단으로 골재투입구(11)와 자갈배출구(1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골재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는 상기 수조(10)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자갈과 모래를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ed configuration, the water tank 10 is composed of the aggregate inlet 11 and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is provided at both ends, the aggregate is introduced through the aggregate inlet 11 is the interior of the tank (10)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and the gravel and sand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또한, 상기 이물질포집부(20)는 수조(10)의 내부 상측으로 수평물넘이턱(21)과 경사이동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이동부(22)의 끝으로 이물질배출구(미도시)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is formed horizontally over the jaw 21 and the inclined moving portion 22 integr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not shown) to the end of the inclined moving portion 22 It is formed and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이물질포집부(20)는 수조(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물의 파동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파동으로 수평물넘이턱(21)을 넘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이동부(22)를 통해 상기 수조(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is the water tank through the inclined moving part 22 formed by the wave of water formed inside the water tank 10, the foreign matter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s inclined beyond the horizontal water fall chin 21 by the wave. It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10).

또한, 상기 메시망(30)은 수조(10)의 내부로 설치되어 골재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 중에 자갈을 남기고 모래를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esh network 30 serves to filter the san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10 while leaving the gravel in the aggregate introduced through the aggregate inlet 11 is installed into the water tank (10).

또한, 상기 물공급부(40)는 메시망(30)의 하부로 수조(10)의 내부에 물공급배관(41)이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배관(41)에 하향으로 분사노즐(42)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4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41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sh network 30, the injection nozzle 42 downward in the water supply pipe 41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40)는 상수원 등과 연결되는 물공급배관(41)을 통해 수조(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물공급배관(41)에 설치된 분사노즐(42)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활성화되면서 모래의 하향이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배관(41)에 의해 수조(1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자갈과 함께 수조(10)의 내부로 투입된 비교적 가벼운 이물질을 비중차에 의해 부유시키면서 이 이물질과 함께 수평물넘이턱(21)을 넘어 이물질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즉,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수조(10)의 내부로 계속하여 공급되는 물은 가벼운 이물질을 부유시키면서 이 부유된 이물질과 함께 수평물넘이턱(21)를 넘어 상기 수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Here, the water supply unit 40 serves to supply water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41 connected to a water source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an injection nozzle 42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41. As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is activated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and is made smoothly, the water supplied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by the water supply pipe 41 is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together with the gravel. While the relatively light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not shown)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over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21. That is,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40) The water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beyond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21 together with the suspended foreign matter while floating the light foreign matter.

또한,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는 수조(10)의 하면으로 다수의 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51)의 하면으로 고무플랜지(52)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플랜지(52)의 하면으로 원뿔수조(53)가 장착되고, 상기 원뿔수조(53)의 하부 끝으로 모래배출공(54)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원뿔수조(53)의 둘레로 끼움되는 장착판(55)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판(55)의 일측으로 캠(56)이 모터(57)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장착판(55)의 하면으로 다수의 스프링(58)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the rubber flange 5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s 51, the rubber flange 52 Conical water tank 53 is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e sand discharge hole 5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e water tank 53, the mounting plate 55 is fitted around the plurality of cone water tank 53 ) Is provided, the cam 56 is driven by the motor 57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55, and a plurality of springs 58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55.

여기서,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는 모터(57)의 작동으로 캠(56)이 회전되면서 원뿔수조(53)가 고무플랜지(52)에 의해 좌우로 요동되어 수조(10)의 물이 좌우로 흔들리고 파동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수조(10)의 하부로 수중에서 낙하하여 모래배출공(54)으로 배출되는 모래가 보다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is the cam 56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57, the conical water tank 53 is swung left and right by the rubber flange 52, the water of the water tank 10 is left and right While shaking to form a wave and at the same time to drop in the water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to be discharged to the sand discharge hole 54 more smoothly.

그리고, 상기 스프링(58)은 원뿔수조(53)의 좌우이동에 탄성복원력을 주어 물의 파동 형성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spring 58 is to giv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one tank 53 to double the wave formation of water.

또한, 상기 모래포집부(70)는 수조(10)의 하부로 설치되는 받침대(71)에 설치판(72)이 장착되고, 상기 설치판(72)에 모래배출공(54)에 대응되는 부위에 모래낙하공(73)이 형성되며, 상기 모래낙하공(73)에 모래배출수로(74)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and collecting unit 70 is a mounting plate 72 is mounted to the pedestal 71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and discharge hole 54 on the mounting plate 72 A sand dropping hole 73 is formed in the sand dropping hole 73, and a sand discharge channel 74 is mounted on the sand dropping hole 73.

여기서, 상기 모래포집부(70)는 메시망(30)을 통과하여 수조(10)의 하부로 수중에 낙하하는 모래가 모래배출공(54)을 통해 상기 수조(10)의 외부로 하향 배출되면 경사지게 구비되는 모래배출수로(74)를 따라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when the sand collecting unit 70 is passed through the mesh network 30, the sand falling in the water below the water tank 10 is discharged downwar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sand discharge hole (54). It is to be collected along the sand discharge channel 74 provided to be inclined.

또한, 상기 배출조절부(80)는 수조(10)의 상부로 수위감지부(81)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감지부(81)의 감지에 따라 자갈배출구(12)에 설치되는 게이트(82)가 적절히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ontrol unit 8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8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the gate 82 is installed in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1).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properly.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부(81)는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로트(83)와, 상기 플로트(83)에 장착되는 지지봉(84)과, 상기 지지봉(84)의 끝으로 장작되는 고정몸체(85)와, 상기 고정몸체(85)의 일측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86) 및 지지링크(87)와, 상기 연결링크(86) 및 지지링크(87)의 타단이 힌지결합되고 수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체(88)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81 is a float 83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a support rod 84 mounted on the float 83, and fixed to be mounted to an end of the support rod 84. Body 85, the connecting link 86 and the support link 87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body 85,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86 and the support link 87 is hinged and the water tank It consists of the support body 88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10).

여기서, 상기 배출조절부(80)는 수조(10)의 내부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83)가 상하이동되고, 상기 플로트(83)의 상하이동을 위치센서(S)가 감지한 후에 상기 플로트(83)의 상하이동에 대응되도록 게이트(82)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M)를 구동시켜 상기 플로트(83)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게이트(82)가 회전되어 자갈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자갈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즉, 상기 수조(10)의 내부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플로트(83)의 상하이동을 위치센서(S)가 감지한 후에 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M)에 의해 게이트(82)가 회전되면서 자갈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discharge control unit 80 is moved to the float 83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and after the position sensor (S) detects the shangdong of the float (83) the float ( The gate 82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anghai dong of the float 83 by driving the motor M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ate 82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nghai dong of the 83 and discharged through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That is,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gravel. That is, after the position sensor S detects the shank-dong of the float 83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10, the motor M accor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gate (82) by the motor (M)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gravel.

이와 같이 상기 배출조절부(80)에 의해 자갈의 배출량이 조절됨으로써,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이물질의 포집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such,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gravel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80,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collection of foreign matter is made more precise.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will be described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ing gravity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부유비중선별기는 수조(10)의 내부로 그 상부에 이물질포집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포집부(20)의 하부로 메시망(30)이 장착되며, 상기 이물질포집부(20)와 메시망(30)의 일측 상기 수조(10)의 내부로 상하파동형성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좌우파동형성부(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Floating gravity sort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is installed, the mesh net 30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And one side of the mesh network 3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wave forming unit 60 in the inside of the tank 10,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is provi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10).

그리고, 상기 상하파동형성부(60)는 이물질포집부(20)와 메시망(30)의 일측 수조(10)의 내부로 구획판(6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획공간(61)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공간(61)의 상부로 배관(64)이 연결되어 상기 구획공간(6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63)가 구비되며, 상기 배관(64)에 분지관(66)이 설치되고, 상기 분지관(66)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65)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wave forming unit 60 has a partition plate 62 installed vertically into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and one side tank 10 of the mesh network 30 to form a partition space 61. And, the pipe 64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space 61 is provided with an air injector 63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mpartment space 61, the branch pipe 66 in the pipe 64 This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 discharge valve 65 for discharging air to the branch pipe (66).

여기서, 상기 상하파동형성부(60)는 수조(10)의 내부로 물이 채워진 다음에 공기주입기(63)로 구획공간(61)에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공기를 분지관(66)을 통해 배출밸브(65)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상기 수조(10)의 내부의 수위가 상하로 반복 이동하여 상하 파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vertical wave forming unit 60 is filled with water into the water tank 10, and t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61 by the air injector 63, the injected air to the branch pipe 66 By repeatedly discharging to the discharge valve 65 through,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10 is repeatedly moved up and down to form a vertical wave.

따라서, 본 부유비중선별기는 좌우파동과 상하파동이 동시에 일어나 수조(10)의 내부의 물에 적절한 파동이 일어남으로써, 골재에 섞여 있는 미세한 이물질까지 완전하게 걸러져 제거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is the right and left waves and the up and down waves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 proper wave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to completely filter out the fin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loating gravity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좌우로 파동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ves are formed from side to side;

도 3b는 상하로 파동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ves are formed up and down.

상기 도 3으로 부유비중선별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tate of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is as follows.

수조(10)의 골재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는 메시망(30)에 모래가 통과되면서 자갈만이 자갈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메시망(30)을 통과한 모래는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낙하하여 원뿔수조(53)의 모래배출공(54)을 통해 모래배출수로(74)로 떨어져 포집되는 것이다.Aggregate introduced through the aggregate inlet 11 of the water tank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gravel outlet 12 while only the gravel is passed through the sand mesh mesh 30, the sand passed through the mesh network 30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is collected to fall into the sand discharge channel 74 through the sand discharge hole 54 of the cone tank 53.

이때,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원뿔수조(53)가 모터(57)로 구동되는 캠(56)과 고무플랜지(52)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조(10)의 내부로 물공급배관(41)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좌우로 흔들어 파동을 일으키면서 동시에 모래배출공(54)으로 모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ical water tank 53 installed below the water tank 10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cam 56 and the rubber flange 52 driven by the motor 57 to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0. Shaking the water supplied by the supply pipe 41 to the left and right to cause a wave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at the sand is discharged smoothly to the sand discharge hole (54).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좌우파동이 형성되는 중에 공기주입기(63)에 의해 구획공간(61)에 공기가 주입되고, 주입된 공기가 배출밸브(65)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수조(10)의 내부로 충진된 물이 상하로 파동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ir is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61 by the air injector 63 while the left and right wave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jected air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valve 65, thereby into the water tank 10. Filled water will cause a wave up and down.

이와 같이 상기 수조(10)의 내부로 충진된 물에 상하좌우로 파동이 형성됨으로써,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흔들려 물위에 뜨게 되고, 이렇게 부유된 이물질이 수평물넘이턱(21)을 넘어 경사이동부(22)를 지나 이물질배출구(23)를 통해 수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As the wave is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water filled into the water tank 10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is shaken and floated on the water. 22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23).

이때, 상기 수조(10)의 내부로 설치되는 플로트(83)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플로트(83)의 이동을 위치센서가 감지한 후에 이 감지된 정보를 통해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갈배출구(12)에 설치되는 게이트(82)가 회전되어 수위에 따른 이물질의 포집과 자갈의 배출이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float 83 installed into the tank 10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after 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float 83 by controlling the motor through the detected information By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gate 82 installed in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is rotated so that the collection of foreign matter and the discharge of gravel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re properly controlled.

따라서, 본 부유비중선별기는 수조(10)의 물이 상하좌우로 흔들려 왕성하고 원활한 파동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완전히 이루어지고 자갈과 모래가 충분히 선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ating gravity separator is configured to shak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up, down, left and right to form a vigorous and smooth wave to comple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o sufficiently sort the gravel and sa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수조 내부의 물에 적절한 파동을 형성하여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비중에 의해 부유하여 손쉽게 선별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골재에서 모래와 자갈이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골재에 섞여 있는 미세한 이물질까지 완전하게 제거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모래와 자갈의 선별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골재의 품질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ppropriate wave in the water in the tank up, down, left and right so tha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is suspended by the specific gravity so that the sand and the gravel can be easily selected from the aggregate. It completely removes fin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aggregate, and is easy to use, and it is easy to sort sand and gravel, and the quality of aggregate is remarkab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부유된 이물질이 원활히 포집되고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손쉽게 이물질이 포집 및 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제작이 간단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suspended foreign matter to be collected and discharged smoothly, the foreign matter is easily collected and discharged easily in a simple structure, the production is simple, easy to use and easy to install has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좌우파동과 상하파동이 손쉽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물의 파동형성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imple structure to make the left and right waves and up and down waves easily formed, it is easy to use and easy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has the effect that the wave formation of wat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수위의 감지에 의해 골재의 배출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물질의 보다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aggregate appropriately by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a more precise and stable operation is achieved and more complete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ing gravity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ing gravity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비중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loating gravity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좌우로 파동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ves are formed from side to side;

도 3b는 상하로 파동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ves are formed up and dow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수조10: tank

11 : 골재투입구 12 : 자갈배출구   11: aggregate inlet 12: gravel outlet

20 : 이물질포집부20: foreign substance collecting unit

21 : 수평물넘이턱 22 : 경사이동부 23 : 이물질배출구   21: horizontal overflow jaw 22: inclined moving part 23: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30 : 메시망30: mesh network

40 : 물공급부40: water supply unit

41 : 물공급배관 42 : 분사노즐   41: water supply pipe 42: injection nozzle

50 : 좌우파동형성부50: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art

51 : 통공 52 : 고무플랜지 53 : 원뿔수조   51: through hole 52: rubber flange 53: conical water tank

54 : 모래배출공 55 : 장착판 56 : 캠   54: sand discharge hole 55: mounting plate 56: cam

57 : 모터 58 : 스프링   57: motor 58: spring

60 : 상하파동형성부60: vertical wave forming part

61 : 구획공간 62 : 구획판 63 : 공기주입기   61: compartment space 62: partition plate 63: air injector

64 : 배관 65 : 배출밸브 66 : 분지관   64: piping 65: discharge valve 66: branch pipe

70 : 모래포집부70: sand collector

71 : 받침대 72 : 설치판 73 : 모래낙하공   71: pedestal 72: mounting plate 73: sand falling hole

74 : 모래배출수로   74: sand outlet

80 : 배출조절부80: discharge control unit

81 : 수위감지부 82 : 게이트 83 : 플로트   81: water level detection unit 82: gate 83: float

84 : 지지봉 85 : 고정몸체 86 : 연결링크   84: support rod 85: fixed body 86: connection link

87 : 지지링크 88 : 지지체   87: support link 88: support

Claims (9)

골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비중차로 부유시켜 선별하는 부유비중선별기에 있어서;In the floating gravity sorting machine for sorting by float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ggregate with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양단으로 골재투입구(11)와 자갈배출구(12)를 갖는 수조(10)와;A water tank 10 having an aggregate inlet 11 and a gravel outlet 12 at both ends; 상기 수조(10)의 상측 내부로 구비되는 이물질포집부(20)와; A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20 provid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상기 이물질포집부(20)의 하부로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자갈을 걸러서 모래를 통과시키도록 장착되는 메시망(30)과;A mesh network 30 mounted to pass sand by filtering gravel into the water tank 10 under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상기 메시망(30)의 하부로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공급부(40)와; A water supply unit 40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10 under the mesh network 30;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좌우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좌우파동형성부(50)와;Left and right wave forming parts 50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from side to side to form waves;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상하로 흔들어 파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하파동형성부(60)와;A vertical wave forming unit 60 provided to shake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up and down to form a wave;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의 하부로 상기 메시망(30)을 통과한 모래가 포집되는 모래포집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Floating gravity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and collecting unit 70, the sand passing through the mesh network 3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unit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물질포집부(20)는, 이물질이 월류되는 수평물넘이턱(21)과, 상기 수평물넘이턱(21)과 일체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진 경사이동부(22)와, 상기 경사이동부(22)의 일단으로 수조(10)의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20,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21, the foreign matter is overflowed, the inclined movement portion 22 and the inclined movement portion 22 inclined so that foreign matter flows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water overflow jaw 21 Float gravity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2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to one en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물공급부(40)는, 수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물공급배관(41)과, 상기 물공급배관(41)에 하향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water supply unit 40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pipe 41 penetrate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passage to the horizontal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2 mounted downward in the water supply pipe 41 Floating gravity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는, 수조(10)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51)과, 상기 통공(51)에 대응되는 수조(10)의 하면으로 각각 부착되는 원형의 고무플랜지(52)와, 상기 고무플랜지(52)의 하면으로 부착되고 하단으로 모래배출공(54)을 갖는 원뿔수조(53)와, 다수의 상기 원뿔수조(53)의 외부 둘레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판(55)과, 상기 장착판(55)의 일측으로 맞닿아 구비되고 모터(57)로 구동되어는 캠(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right and left wave forming unit 5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and a circular rubber flang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1 ( 52, a conical water tank 53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flange 52 and having a sand discharge hole 54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mounting plate into which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plurality of conical water tanks 53 are inserted and mounted. 55 and a cam (56) provid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55) and driven by a motor (5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상하파동형성부(60)는, 수조(10)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구획판(62)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61)과, 상기 구획공간(61)의 상부와 배관(64)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주입기(63)와, 상기 배관(64)의 분지관(66)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공간(61)에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밸브(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vertical wave forming unit 60 includes a partition space 61 formed by a partition plate 62 that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space 61, and a pipe 64. Is connected to the air injector 63 is provided to inject air therein, and is mounted in the branch pipe 66 of the pipe 64 is discharged to discharge the air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61 Float gravity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alve (6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모래포집부(70)는, 좌우파동형성부(50)를 둘러싸도록 수조(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71)와, 상기 받침대(71)의 내부로 좌우파동형성부(50)의 하부에 장착되는 설치판(72)과, 상기 좌우파동형성부(50)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판(72)에 형성되는 모래낙하공(73)과, 상기 모래낙하공(73)의 하면으로 장착되고 경사진 모래배출수로(7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sand collecting unit 70, the pedestal 71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50, the inside of the pedestal 71 of the right and left wave forming portion 50 Mounting plate 72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the sand drop hole 73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72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ave forming portion 50, and the bottom drop of the sand drop hole (73) Floating gravity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clined sand discharged water (7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수조(10)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수조(10)에 상측에 구비되는 수위감지부(81)와, 상기 수위감지부(81)의 감지에 따라 자갈배출구(12)로 배출되는 자갈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자갈배출구(12)에 설치되는 게이트(82)로 구성되는 배출조절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Discharge of the gravel discharged to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1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1 provided above the water tank 10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0 Floating gravity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control unit 80 is composed of a gate 82 is installed in the gravel discharge port 12 to adjust th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장착판(55)과 설치판(72)의 사이에 다수의 스프링(58)이 장착되어 원뿔수조(53)의 좌우이동이 탄성복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Floating gravity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prings (58) is mount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55 and the mounting plate 72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restor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one tank (53).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수위감지부(81)는, 수조(10)의 내부로 구비되는 플로트(83)와, 상기 플로트(83)에 장착되어 수조(10)의 외부로 구비되는 지지봉(84)과, 상기 지지봉(84)의 고정하는 고정몸체(85)와, 상기 고정몸체(85)에 힌지결합된 연결링크(86) 및 지지링크(87)와, 상기 연결링크(86) 및 지지링크(87)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조(10)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지지체(8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비중선별기.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81 includes a float 83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10, a support rod 84 attached to the float 83, and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10, and the support rod ( Fixing body 85 of the fixing 84, the connecting link 86 and the support link 87 hinged to the fixed body 85, the connecting link 86 and the support link 87 is hinged Float gravity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upport 8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10).
KR10-2002-0084250A 2002-12-26 2002-12-26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KR100495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50A KR100495923B1 (en) 2002-12-26 2002-12-26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50A KR100495923B1 (en) 2002-12-26 2002-12-26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99A KR20040057499A (en) 2004-07-02
KR100495923B1 true KR100495923B1 (en) 2005-06-16

Family

ID=3735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250A KR100495923B1 (en) 2002-12-26 2002-12-26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9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7747A (en) * 2018-10-26 2019-01-01 贵州大学 A kind of rice species test water choo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99A (en)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50350U (en) A kind of agricultural seed dedusting removal of impurities seed selection device
US6672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 water
KR10151196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KR101435327B1 (en)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ridge and building
CN215613684U (en) Follow-on experiment detects raw and other materials washing screening test device that gathers materials
KR101759931B1 (en) Light filter type terraced filtering wetland
KR101938262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first run-off rain
CN109855930B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micro-plastics in soil
CN208925201U (en) Sesame automatic dust removing cleaning system
KR100495923B1 (en) Floating specific gravity sorter
KR101867931B1 (en) Continuous washing flot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device
CN206793264U (en) A kind of demagging chimney usin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dedusting silk screen
CN103480567B (en) Coarse aggregate separating device for cement concrete uniformity test
CN108499866A (en) A kind of high effective environmental protection multifunctional sorting screen
JP2000126537A (en) Adsorption or chemisorption device for gas constituent from gas flow and method therefor
KR20040068373A (en) Filter material Sorting apparatus
US5373946A (en) System for media separation of solid particles
KR20110131868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CN114380411B (en) Industrial wastewater's purification treatment equipment that becomes more meticulous
KR101830540B1 (en) Overall Processing Apparatus Of Concomitants And Sands
KR100705963B1 (en) A filter media sorting and recycling machine and the method of filter media sorting and recycling
CN212664167U (en) Engineering detects uses cement fineness sieving mechanism
US32467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ly diffusing mineral suspension fluid
JPH09164304A (en) Filter water purifier
KR200398486Y1 (en) A filter media sorting and recyc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