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638B1 - A develop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develop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638B1
KR100495638B1 KR10-2002-0034917A KR20020034917A KR100495638B1 KR 100495638 B1 KR100495638 B1 KR 100495638B1 KR 20020034917 A KR20020034917 A KR 20020034917A KR 100495638 B1 KR100495638 B1 KR 10049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oller
developer
developing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3071A (en
Inventor
쇼지스스무
박박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바이포
티 앤드 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바이포, 티 앤드 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바이포
Publication of KR2003009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6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Brush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현상 롤러로의 토너 공급을 장기적으로 원활하게 행하여, 고화질이 얻어지도록 한다.Toner supply to the developing roller is smoothly performed for a long time, so that high quality can be obtained.

감광 드럼(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潛像)에 대해, 현상 장치(30)는 형상 롤러(33)로부터 비자성-성분계의 토너(32)를 공급하여 현상을 행한다. 토너(32)는 토너 용기(31) 내에서 공급 롤러(34)로부터 현상 롤러(33)에, 양으로 대전된 상태에서 공급된다. 현상 롤러(33) 및 공급 롤러(34)에는 직류 전원(35, 36)으로부터 양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공급 롤러(34)는 심재(41)의 외주 표면에 다수의 도전성을 가지는 사재(絲材)(40)가 심어 설치되어 있고, 사재(40)의 선단에서 현상 롤러(33)의 표면에 접촉한다.For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21, the developing apparatus 30 supplies by developing the non-magnetic-based toner 32 from the shape roller 33. The toner 32 is supplied from the supply roller 34 to the developing roller 33 in the toner container 31 in a positively charged state. A positive DC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nd the supply roller 34 from the DC power sources 35 and 36. The feed roller 34 has a plurality of conductive yarns 40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and contacts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3 at the tip of the yarn material 40. .

Description

현상 장치{A DEVELOPING APPARATUS}Developing apparatus {A 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을 위해,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화시키는 현상 장치, 특히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에 관련한 부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for supplying and developing a develop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 forming an image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particularly to a part related to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a developer to a developer carrying member.

종래로부터, 전자 사진 방식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사진기, 프린터, 인쇄기 및 팩스밀리 장치 등에서는, 토너라고 불리우는 분말 형상의 건식 현상제를 이용하여, 상 담지체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현상화시키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cameras, printers, printers, fax milling apparatuses, and the like, which form images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develop and develop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n image carrier using a dry powder developer called a toner. I'm making it.

도 14는,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1)의 표면에는, 광 도전성 절연체층이 형성되어, 통상은 전기 절연성을 나타내며, 광이 조사되는 부분이 도전성을 도시하게 된다. 감광 드럼(1)은 회전 방향(1a)으로 회전하여, 그 표면을 대전 상태로 하기 때문에, 감광 드럼(1)의 외주면을 향해 대전기(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1a)에 관해, 대전기(2)의 하류측에는 현상 장치(3)가 배치된다. 현상 장치(3)의 하류측에서는, 기록 용지(4)가 감광 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기록 용지(4)를 끼워 감광 드럼(1)의 반대측에는, 전사기(5)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1a)에 관해, 기록 용지(4)와의 접촉부의 하류측에서, 대전기(2)의 증류측에는, 청소기(6)가 배치된다. 기록 용지(4)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한 후, 정착 장치(7)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7)에는 가열 롤러(8) 및 가압 롤러(9)가 설치되어, 기록용지(4)를 끼워 가압하여, 가열한다.1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image forming apparatus. The photoconductive insulator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which is an image carrier, and usually shows electrical insulation, and the part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shows electroconductivity. Since the photosensitive drum 1 rotates in the rotation direction 1a and makes the surface into a charged state, the charger 2 is provided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The developing apparatus 3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charger 2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1a.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 the recording paper 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The transfer machine 5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with the recording sheet 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leaner 6 is disposed on the distillation side of the charger 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recording sheet 4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1a. The recording sheet 4 is conveyed to the fixing device 7 after contacting with the photosensitive drum 1. The fixing device 7 is provided with a heating roller 8 and a pressure roller 9, presses the recording paper 4, and heats it.

전자 사진 방식의 반전 현상에서는, 먼저 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1)의 외주면이 대전기(2)에 의해 동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 드럼(1)의 외주면에 광 조사(10)가 행해지면, 광 조사(10)를 받은 부분이 도전성을 가지게 되어 전하가 소실하고, 광 조사(10)를 받지 않은 부분은 대전 상태를 계속하므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장치는 대전한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의 대전 극성을 감광 드럼(1)의 대전 극성과 동일하게 해 두면, 토너는 광 조사(10)에 의해 전하가 소실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토너에 의한 현상이 행해진다. 전사기(5)는 토너의 대전과 반대의 극성으로 코로나 방전을 행하여, 감광 드럼(1)의 외주면상의 토너를 기록 용지(4)상에 전사시키는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토너에는, 결착 수지가 포함되며, 정착기(7)의 가열 가압에 의해 용융하여, 기록 용지(4)상에 전사된 토너를 고착시킨다.In the inversion phenomenon of the electrophotographic method, fir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as the image bearing member is similarly charged by the charger 2. When light irradiation 10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rged photosensitive drum 1, the portion that receives the light irradiation 10 becomes conductive and loses electric charge, and the portion that does not receive the light irradiation 10 undergoes a charged state. As a result,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The developing apparatus supplies charged toner. When the charging polarity of the toner is made equal to the charging polarity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the toner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portion where the charge is lost by the light irradiation 10, and development by the toner is performed. The transfer machine 5 performs corona discharge with a polarity opposite to charging of the tone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transferring the ton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onto the recording paper 4. The toner contains a binder resin, which is melted by heat and pressure of the fixing unit 7 to fix the toner transferred onto the recording paper 4.

현상 장치(3)는 토너 용기(11) 내에서 토너(12)를 저장한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에 이용되는 건식 현상제인 토너에는, 비자성-성분계, 자성-성분계, 이성분계 등이 있다. 비자성-성분계의 토너(12)에서는, 토너 용기(11)의 출구에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3)를 설치하고, 현상 롤러(13)의 외주면에 토너(12)를 부착시켜, 감광 드럼(1)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시킨다. 토너 용기(11) 내의 토너(12)를 현상 롤러(13)의 외주면상에 효율좋게 부착시키기 위해, 토너 용기(11) 내의 공급 롤러(14)가 설치된다. 공급 롤러(14)는 현상 롤러(13)에 접촉하면서, 토너 용기(11) 내의 토너를 교반하여, 현상 롤러(13)쪽으로 이동시킨다. 토너(12)는 교반시의 상호간의 마찰 등으로, 예컨대 음의 극성으로 대전한다. 토너(12)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현상 롤러(13) 및 공급 롤러(14)에는, 금속의 도전체에 비교하면, 전기 저항이 높은 상태에서의 도전성이 부여되어, 직류 전원(15, 16)에 의해 음극성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각각 부여되어 있다. 직류 바이어스 전압의 절대값은 공급 롤러(14)의 쪽이 현상 롤러(13)와 동전위 또는 높아지도록 설정된다. 현상 롤러(13)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의 극성은 감광 드럼(1)의 대전 극성과 동일하다.The developing apparatus 3 stores the toner 12 in the toner container 11. Toners that are dry developers used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ation include nonmagnetic-based, magnetic-based, bicomponent, and the like. In the non-magnetic toner 12, a developing roller 13 as a developer carry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toner container 11, and the toner 12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 is in direct contact. In order to efficiently attach the toner 12 in the toner container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3, a supply roller 14 in the toner container 11 is provided. The feed roller 14 agitates the toner in the toner container 11 and moves it toward the developing roller 13 while contacting the developing roller 13. The toner 12 is charged with negative polarity, for example, by mutual friction during stirring. 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toner 12, the developing roller 13 and the supply roller 14 are provided with conductivity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high, as compared with a metal conductor, so that the DC power supply 15 , 16) are respectively given a negative DC bias voltage. The absolute value of the DC bias voltage is set so that the side of the supply roller 14 is coincident with or higher than the developing roller 13. The polarity of the DC bias voltage of the developing roller 13 is the same as the charging polarity of the photosensitive drum 1.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자성-성분계의 토너(12)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3)에서는, 현상 롤러(13)에 공급 롤러(14)를 통해 토너 용기(11) 내의 토너(12)를 공급하고 있다. 현상 롤러(13)에 대한 토너(12)의 공급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으면, 현상되는 화상의 불량을 초래한다. 종래의 공급 롤러(14)는 예컨대 고무 등의 표층을 가지지만, 초기부터 장기적으로 안정된 현상 롤러(13)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곤란하다. 이 때문에, 장기적으로 고화질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현상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In the developing apparatus 3 using the nonmagnetic-based toner 12 as shown in FIG. 14, the toner 12 in the toner container 11 is transferred to the developing roller 13 through the supply roller 14. Supply. If the supply of the toner 12 to the developing roller 13 is not performed properly, it causes a defective image to be developed. The conventional feed roller 14 has a surface layer, such as rubber | gum, for example,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with the developing roller 13 which is stable from an initial stage in the long term.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a develop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orming high quality images in the long term.

본 발명의 목적은, 상 담지체로의 토너 공급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 초기부터 장기적으로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toner to an image carrier and maintaining high quality in the long term from the beginning.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을 위해, 비자성-성분계의 현상제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 a non-magnetic developer for forming an image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 supply roller for feeding the developer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In

공급 롤러는,Feed rollers,

롤 형상의 심재와,Roll-shaped core,

심재의 외주 표면에 심어 설치되며, 선단이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이다.It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and is a develo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includes one or more yarns in contact with the developer carrier.

본 발명에 따르면, 비자성-성분계의 현상제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을 위해, 현상제 담지체상으로의 현상제의 공급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하여, 초기부터 장기적으로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급 롤러를 실현할 수 있다. 소정의 표면 거칠기나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상에, 공급 롤러는 현상제를 공급한다. 공급 롤러는 롤 형상의 심재의 외주 표면에 다수의 사재가 심어 설치되며, 사재의 표면이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므로,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와의 사이의 전계, 및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와의 고속비, 닙(nip) 폭(잠식량) 등의 조건이 적절하면, 공급 롤러로부터 현상제가 현상 담지체에 공급되고, 공급된 현상제는 소정의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소정의 현상제층 두께로 규제되며,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제는 현상 영역에서, 소정의 전계에서 정전 잠상 담지체의 현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in which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is developed in a non-magnetic developer, an image defect caused by supply of a developer onto a developer carrier can be prevented, and from the beginning to a long term. A supply roller capable of maintaining high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urface roughness or a predetermined hardness, the supply roller supplies the developer. The feed roller is formed by planting a plurality of yar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shaped core material, and since the surface of the yarns contacts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ier,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feed roller, and the developer carrier If conditions such as a high speed ratio between the retardation member and the supply roller, nip width (erosion amount), and the like are appropriate, the develope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developing carrier, and the supplied developer is supplied by a predetermined developer regulating member. The developer, which is regulated by a predetermined developer layer thickness, and whose layer thickness is regulated,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bear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electric field in the developing region.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재는 정전 식모법에 의해 상기 심재의 외주 표면에 식모되어 있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by the electrostatic weaving method,

이 사재의 길이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gth of this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0.5mm or more and 3mm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재는 정전 식모법에 의해 심재의 외주 표면에 식모되어 있고, 사재의 길이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이고, 사재의 길이가 길어지면, 정전 식모법으로 심어 설치되는 사재의 밀도가 감소하고, 사재의 길이가 짧아지면, 정전 식모법으로 심어 설치되는 사재의 밀도가 증가하므로, 사재의 길이로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by the electrostatic weaving method, and the length of the yarn is in the range of 0.5 mm or more and 3 mm or less. When the density decreases and the length of the yarn is shortened, the density of the yarn to be planted and installed by the electrostatic seedling method increases, so that the density can be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yarn.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재는 단실 데시텍스가 1데시텍스 이상이고, 10데시텍스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yar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yarn decitex is more than 1 decitex, the range of less than 10 decitex.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재의 단실 데시텍스의 범위를 1데시텍스 이상이고, 10데시텍스 이하로 하여, 적절한 접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single yarn decitex of the yarn is 1 decitex or more and 10 decitex or less, so that an appropriate contact state can be obtained.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재는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심재와 전기 도통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conductivity and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the cor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재는 도전성을 가지고, 심재와도 전기 도통성을 가지므로, 사재와 접촉하는 현상제에 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conductiv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also with the core, so that electric charge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er in contact with the yarn.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재는 단실 저항값이 105Ω/㎝ 이상이고, 1012Ω/㎝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thread resistance value is 10 5 Ω / cm or more, 10 12 Ω / cm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재의 단실 저항값이 105Ω/㎝ 이상이고, 1012Ω/㎝ 이하의 범위이므로, 사재와 접촉하는 현상제에 적절한 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gle yarn resistance value of the yarn is 10 5 Ω / cm or more and 10 12 Ω / cm or less, appropriate charge can be given to the developer in contact with the yarn.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사재는 복합 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arn produced by the composite spinn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재는 복합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므로, 도전성 등을 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yarn is manufactured by the composite spinning metho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impart conductivity or the like.

또, 본 발명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공급 롤러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wer sourc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supply roller, respectively,

현상제 담지체로의 인가 전압과 공급 롤러로의 인가 전압과의 차를, 0V 이상 350V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supply roller is in the range of 0V to 350V.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에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여, 인가 전압의 차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하므로, 안정되게 현상제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ltage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supply roller, the difference in the applied voltage is kept in a constant range, and the supply of the developer can be continued stably.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공급 롤러와 접촉하는 부분이 이동하여 상기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ply roller is moved to perform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공급 롤러를 현상제 담지체가 이동하는 속도에 대해, 상기 사재의 선단의 부분의 속도비가 0.5배 이상 2.0배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feed roller so that the speed ratio of the portion of the tip of the yarn is in the range of 0.5 to 2.0 times with respect to the speed at which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moves.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와의 접촉 부분에서, 현상제 담지체가 이동하는 속도에 대해, 공급 롤러의 사재의 선단 부분의 속도비가 0.5배 이상이고, 2.0배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회전 기구로 공급 롤러를 회전 구동하므로, 속도비에 의해서도 현상제의 공급 상태를 조정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feed roller, the speed ratio of the tip portion of the yarn material of the feed roller is 0.5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speed at which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moves. Since the feed roller is driven to rotate by the rotating mechanism, the supply state of the developer can be adjusted even by the speed ratio, and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 롤러는 상기 사재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밀어넣어지는 삽입량이, 현상제 담지체에 대해 -0.1mm 이상이고 0.7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amount push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ier of the yarn material is -0.1mm or more and 0.7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ier.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현상 롤러의 사재는 -0.1mm 이상이고 0.7mm 이하의 범위에서 밀어넣어지므로, 현상제 담지체로의 현상제의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nding material of the developing roller is pushed in the range of -0.1 mm or more and 0.7 mm or less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the develop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인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20)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다. 현상 담지체상인 감광 드럼(21)의 외주면의 표면은 대전기(22)에 의해 양극성으로 동일하게 대전된다. 광 조사 시스템(23)에 의해 대전 잠상이 형성된 후, 현상 장치(30)에 의해 현상된다. 정전 잠상의 형성은 감광 드럼(21)의 외주면 표면으로의 광 조사 시스템(23)에 의한 광 조사로 행한다. 광 조사 시스템(23)은 레이저 광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하여 조사하거나, 복사 원고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광학적으로 도입하거나 하여 광 조사를 행한다.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20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including a developing apparatus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21, which is on the development bearing member, is similarly charged by the polarizer 22 by the polarizer. After the latent charging image is formed by the light irradiation system 23, the developing device 30 is developed. Formation of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performed by light irradiation by the light irradiation system 23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21. The light irradiation system 23 modulates light from a light source such as laser light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irradiates light by optically introducing reflected light from the surface of a radiant document.

현상 장치(30)는 토너 용기(31)에 건식 비자성-성분계의 토너(32)를 저장하고, 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롤러(33)를 통해 감광 드럼(21)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33)는 도전성을 가지고, 감광 드럼(21) 외주면보다도 연질이고, 탄발성을 가지는 고무계의 재료로 형성된다. 토너 용기(31) 내에는 토너(32)를 교반하여 양극성으로 대전시켜, 현상 롤러(33)에 공급하는 공급 롤러(34)도 설치된다. 현상 롤러(33) 및 공급 롤러(34)에는 직류 전원(35, 36)으로부터 각각 양극성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 롤러(33)의 외주면상에 부착하는 토너(32)의 층 두께는 블레이드(37)에 의해 얇게 규제된다. 블레이드(37)는 도전성을 가지는 경질의 고무계 재료로 이루어지고, 직류 전원(38)에 의해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급 롤러(34)에서는 다수의 사재(40)가 심재(41)의 외주 표면에 심어 설치된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 stores the dry nonmagnetic-based toner 32 in the toner container 31 and supplies it to the photosensitive drum 21 through the developing roller 33 which is a developer carrying member. The developing roller 33 is conductive, is soft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21, and is formed of a rubber-based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the toner container 31, there is also provided a supply roller 34 which stirs the toner 32 to positively charge and supplies it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 bipolar DC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nd the supply roller 34 from the DC power sources 35 and 36, respectively. The layer thickness of the toner 32 adhe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3 is thinly restricted by the blade 37. The blade 37 is made of a hard rubber-based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 bias voltage is applied by the DC power supply 38. In the supply roller 34 of this embodiment, many yarns 40 are planted and install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As shown in FIG.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급 롤러(34)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는 정면 단면에서 본 상태, 도 2(b)는 측면 단면에서 본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심재(41)는 철 등의 금속제의 롤러에서 도전성을 가지고, 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심재(41)의 표면에는 정전 식모법으로 형성하는 사재(40)의 식모층이 형성된다. 식모층은 접착제(42)에서 다수의 사재(40)의 기단측이 심재(41)의 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된다.FIG.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eed roller 34 shown in FIG. Fig. 2 (a)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front cross section, and Fig. 2 (b)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side cross section. The core 41 is supported so as to be conductive in a roller made of metal such as iron and to be rotatable at both ends.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the hair-growth layer of the yarn 40 formed by the electrostatic hair-flation method is formed. The seedling layer is formed by adhering the proximal ends of the plurality of yarns 40 to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in the adhesive agent 42.

도 3은 정전 식모법으로 사재(40)의 식모층을 형성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예컨대, 심재(41)의 주위에 방사 형상의 전계를 발생시켜 두고, 일정한 길이로 가지런히 자른 사재(40)를 흡착시키면, 전계를 따라 심재(41)의 주위에 방사 형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심재(41)의 표면에 접착제(42)를 도포해 두면, 흡착한 사재(40)를 심재(41)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어, 식모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3 shows the principle of forming the hair-growing layer of the yarn 40 by the electrostatic weaving method. For example, when a radial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re material 41, and the yarn 40 which has been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adsorbed, it can be attached radially around the core material 41 along the electric field. When the adhesive agent 42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the adsorbed yarn material 40 can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and a seedling layer can be formed easily.

즉, 소정의 길이로 커트된 사재(40)를 이용하여, 롤러 형상의 심재(41)의 외주 표면에, 심재(41)를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정전 식모법에 의해 사재(40)를 식모한다. 사재(40)는 전기 절연성 또는 전기 도전성의 어떤 소재이어도 심재(41)에 대해 식모가 가능하고, 심재(41)와의 접착에는 절연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사재(41)와 심재(41)와의 접착을 행한다. 또, 접착재로서는 수성의 아크릴계 에멀젼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스계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도전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은 페이스트 등의 도전 물질을 접착제에 혼입해 둔다.That is, by using the yarn 40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yarn 40 is planted by the electrostatic planting method while rotating the core 41 around the ax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shaped core 41. do. The yarn 40 can be planted with respect to the core 41 by any material of electrical insulation o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yarn 41 and the core 41 are bonded to the core 41 by using an insulating adhesive or a conductive adhesive. Bond with. As the adhesive, an aqueous acrylic emulsion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or a polyester hot melt adhesive can be used. In order to have conductivity,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silver paste are mixed in the adhesive.

도 2의 공급 롤러(34)로서 사용할 때는, 사재(40)는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이 필요한 경우, 식모층을 구성하는 사재(40)는 예컨대 나일론계의 섬유나 아크릴계의 섬유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 롤러(34)를 사용할 때에는, 그 둘레 속도와 현상 롤러(33)의 둘레 속도와의 속도비(θ)=0.5∼2.0으로 해 둔다. 사재(40)에 도전성이 필요해도 도전성의 실과 전기 절연성의 실을 조합하여, 비율을 변경하여 도전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When using as the supply roller 34 of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yarn 40 has electroconductivity. When electroconductivity is needed, the yarn 40 which comprises a tufted layer can be used, for example, giving electroconductivity to nylon fiber or acrylic fiber. When using such a feed roller 34, the speed ratio (theta) = 0.5-2.0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and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developing roller 33 is set. Although electroconductivity is required for the material 40, electroconductivity can also be adjusted by changing a ratio by combining electroconductive yarn and an electrically insulating yarn.

도 4 및 도 5는 도전성을 가지는 사재(40)로서 사용가능한 도전성 섬유의 예를 도시한다. 제조사의 명칭은 메이커명으로 약칭한다. 도표 중에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섬유를 나타낸다. 「Ny」는 나일론계 섬유를 나타낸다. 「An」는 아크릴계 섬유를 나타낸다. 「R」는 레이온계 섬유를 나타낸다. 「Ar」는 방향족 아민계 섬유를 나타낸다. 「G」는 글래스계 섬유를 나타낸다. 「CB」는 카본 블랙을 나타낸다. 「M」은 금속간 화합물을 나타낸다. 「FY」는 장섬유를 나타낸다. 「SF」는 단섬유를 나타낸다. 섬유도의 분모는 필라멘트수를 나타낸다.4 and 5 show examples of conductive fibers that can be used as the yarn 40 having conductivity.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is abbreviated as the manufacturer's name. In the diagram, "PET" represent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Ny" represents a nylon fiber. "An" represents an acrylic fiber. "R" represents a rayon-based fiber. "Ar" represents an aromatic amine fiber. "G" represents a glass type fiber. "CB" represents carbon black. "M" represents an intermetallic compound. "FY" represents long fiber. "SF" represents short fiber. The denominator of the fiber degree represents the number of filaments.

또, 복합 방사는 콘쥬게이트 방사라고도 불리우며, 두 종류 이상의 다른 물성의 폴리머를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동시에 방사하여, 각각의 특성을 살린 섬유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사의 방법이다. 또, 혼입 방사는 방사 단계에서 특정한 물질을 혼입하는 방시법으로, 도전 섬유를 제작하는 경우, 카본 블랙 등의 도전제를 혼입할 수 있다. 분산 타입은, 소재 중에 도전제를 분산시켜 방사한 것이다.In addition, composite spinning is also called conjugate spinning, and is a method of spinning aimed at producing two or more kinds of polymers of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one hole at the same time to make fibers utilizing their respective properties. In addition, mixing spinning is a method of mixing a specific material in the spinning step, and when producing a conductive fiber, a conductive agent such as carbon black can be mixed. The dispersion type is obtained by dispersing a conductive agent in a material and spinning it.

본 실시형태의 사재(40)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메가Ⅲ」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능 섬유(24)는 한 종류만 이용할 수도 있고, 또 다수 종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표 1은 상품명 「메가Ⅲ-N」을 소재(40)로 사용했을 때의 물리적 특성의 예를 도시한다.As the yarn material 40 of this embodiment, "mega III" shown in FIG. 5 can be used suitably. Only one type of functional fiber 24 may be used, or many types may be used. 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physical properties when the trade name "MegaIII-N" is used as the material 40.

[표 1]TABLE 1

타입 type 실의 성질The nature of the thread 전기 저항값Ω/㎝ Electric resistance value Ω / cm 열수 수축100℃×30분 % Hydrothermal shrinkage 100 ℃ × 30 minutes% 건조 수축180℃×20분 % Dry shrinkage 180 ℃ x 20 minutes% 섬유도 dtex Fiber dtex 강도cn/dtex  Strength of cn / dtex 신장도 % Elongation% T-1T-1 125.9125.9 1.781.78 64.964.9 2.5×106 2.5 × 10 6 10.910.9 9.29.2 T-2T-2 129.8129.8 1.621.62 58.758.7 1.4×106 1.4 × 10 6 6.86.8 6.16.1

도 6은 표 1에 도시하는 타입 T-2를 사재(40)로서 사용할 때의 단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나일론(6)을 재료로 하는 심 섬유(43)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도전성 탄소 미립자에 의한 도전재(44)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 방사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전 식모법을 이용할 때에는 표면이 도전성으로 내부가 전기 절연성의 섬유인 쪽이 비상하기 쉽다. FIG. 6: shows typically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t the time of using the type T-2 shown in Table 1 as the yarn 40. As shown in FIG. A layer of the conductive material 44 made of conductive carbon fine particles is formed around the core fiber 43 made of nylon 6. Such a structure can be formed by a composite spinning metho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using the electrostatic tufting method shown in FIG. 2, it is easy to fly that the surface is electroconductive and the inside is an electrically insulating fiber.

종래로부터 식모 기술을 이용하여 식모 롤러가 제작되고 있지만, 도전성 등의 기능성을 갖는 소재가 적고, 사용 방법이 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복합 방사법으로 제조되고 있는 도전성 섬유에 있어서는, 섬유의 표면에서 전기 절연부와 도전부가 명확하게 나뉘어서 하나의 섬유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정전기적으로 섬유의 표면에 전계가 형성되어, 전계에 의한 부착력이 커진다. 또 섬유 표면에서의 절연부의 노출이 커서, 전하가 달아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착력의 증대와 전하의 잔류에 따라서 클로깅 등이 발생하기 쉬워, 클로깅 방사의 대응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 표면의 전계를 경감하기 위해서, 절연성의 섬유에 대해서, 도전성 코팅재로 코팅을 실시한 후, 식모에 이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도전성 코팅재의 사용은 마모로 박리가 생기기 때문에, 장수명을 요구하는 장치에서는 유효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전계에서 섬유를 비상시켜서 롤러에 식모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섬유 자체의 전기 특성 및 단면 형상에도 영향을 받아, 전기 저항값이 너무 낮으면 비상하기 어렵게 되어 식모 밀도가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Conventionally, although the hair-growing roller is produced using the hair-growing technique, there are few materials which have functionality, such as electroconductivity, and the usage method is limited. For example, in the conductive fiber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composite spinning method, the electrical insulation part and the electroconductive part are clearly divided on the surface of a fiber, and it turns into one fiber. In such a structur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electrostatically, and the adhesion force by the electric field becomes large. Moreover, exposure of the insulator part on the fiber surface is large, and electric charge is hard to escape. In accordance with such an increase in adhesion force and residual charge, clogging is likely to occur, and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clogging radiation. Moreover, in order to reduce the electric field of a surface, after apply | coating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material about insulating fiber, it is also used for hair transplantation. However, since the use of this conductive coating material causes peeling due to abrasion, it is not effective in an apparatus requiring long life, and improvement is necessary. In addition, when weaving fibers on the rollers by flying the fibers in an electric field,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bers themselves are also affected, and when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escap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edling density decreases. have.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섬유 자체로부터의 개량으로서, 복합 방사에 의해 표면에 노출하는 부분을 도전체로 구성하고 있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섬유로, 절연부가 노출하고 있는 비율이 50% 이하인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섬유의 저항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카본 블랙을 섬유 중에 균일하게 분산 또는 혼입한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저저항의 섬유에서도 비상하기 쉽도록 섬유 표면에 처리를 행하여 식모 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처리로서 얇은 피막을 섬유 표면 상에 형성하는 경우, 피막 형성 후의 식모를 행하고, 후 처리에서 피막을 떨어뜨려서 식모 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is a fiber as shown in Table 1 which comprises the part which exposes to the surface by complex spinning as an improvement from the fiber itself by the conductor, and the ratio which an insulation part exposes. This fiber of 50% or less is used. A fiber obtained by uniformly dispersing or mixing carbon black in the fiber may be used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ber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Even in low-resistance fibers, the fiber surface can be treated to stabilize the seedling density. When forming a thin film as a process on a fiber surface, it can carry out the hair transplant after film formation, and can reduce a film | membrane density by post-processing, and can stabilize a hair-growing density.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급 롤러(34)는 표면이 사재(40)에 의해서 구성되고, 사재(40)에 도전성이 있으면, 심재(41)의 소재는 금속 뿐만 아니라, 도전성의 수지나 종이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사재(40)의 길이는 0.5㎜ 이상이고, 3㎜ 이하인 범위로 할 수 있다. 사재(40)에 의한 식모층의 특성으로서 섬유가 길어지면 단위 면적의 식모 레벨이 성글게 되고, 짧아지면 조밀하게 되는 경향을 갖고 있다. 이 이유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전 식모법을 채용하면, 전기적으로 섬유를 날리기 때문이다. 심재(41)의 외주 표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사재(40)의 섬유가 부착하는 것은 전계가 가장 강해지는 섬유 상태에서의 부착의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사재(40)의 섬유가 길어지면, 전계에 의한 이동시에 섬유가 엉키기 쉽게 되고, 수직으로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밀도가 저하한다. 예를 들면, 토너 공급 롤러에 대한 현재에서의 종래로부터의 평가 결과로서, 길이가 2㎜ 전후가 되면, 수직 섬유 밀도의 저하에 의해 토너 공급성이 저하하기 시작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섬유의 길이가 3㎜가 되면, 섬유끼리의 엉킴으로 성긴 상태가 되어 식모층 자체가 틈이 생겨 보이는 것 같은 레벨의 식모가 되어, 거의 토너(32)의 공급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섬유의 길이가 0.5㎜보다도 작아지면, 역으로 식모층이 너무 조밀하게 되어 표면이 단단해진 상태가 되어 탄성을 얻기 어렵고, 토크가 상승하거나, 또는 기기 정밀도에 대한 여유가 없어져 버린다.In addition, if the surface of the feed roller 34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yarn 40, and the yarn 40 is electroconductive, the material of the core material 41 will not only be a metal but also any of conductive resin and paper. It may consist of one. The length of the yarn material 40 is 0.5 mm or more and can be made into the range which is 3 mm or less. As a property of the tufted layer by the yarn 40, when the fiber is long, the tuft level of the unit area becomes slender, and when it is short, it tends to be dens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electrostatic tufting method as shown in Fig. 3 is adopted, the fibers are blown electrically. The fibers of the yarn 40 adhere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41 because they have a tendency of adhesion in the fiber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is the strongest. When the fiber of the yarn 40 is lengthened, the fiber tends to be entangled during movement by the electric field, becomes difficult to adhere vertically, and the density decreases.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conventional evaluation of the toner supply roller, when the length is about 2 mm, it is found that the toner supplyability starts to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the vertical fiber density. When the length of the fiber becomes 3 mm, the fibers become coarse in the form of entanglement between the fibers, and the tufting layer itself becomes a tuft of a level that seems to have a gap, so that the toner 32 cannot be supplied almost. If the length of the fiber is smaller than 0.5 mm, conversely, the tufted layer becomes too dense and the surface becomes hard to obtain elasticity, and the torque rises or the margin for device precision is lost.

사재(40)의 단실 저항값은 105Ω/㎝∼1012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저항값에 대해서는 1012Ω/㎝보다도 커지면, 사재(40)에 전하가 남아서 토너(32)가 부착하기 쉽게 되고, 클로깅 및 토크가 상승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또 저항값이 너무 크면 마찰 대전이 일어나기 쉽게 되고, 토너(32)의 대전량이 상승하며, 또한 사재(40)로의 부착력이 증가하여 막히기 쉽게 된다. 그리고, 공급 롤러(34) 자체의 절연성이 높아져서 전계에 의한 토너의 공급이 어렵게 된다. 또, 저저항값이 되면, 형상 롤러로의 인가 전압(현상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에, 너무 낮은 저항값도 문제가 된다.The single thread resistance value of the yarn 4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5 Ω / cm to 10 12 Ω / cm.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larger than 10 12 Ω / cm, electric charges remain in the yarn 40, and the toner 32 easily adheres, and clogging and torque tend to increase. If the resistance value is too large, frictional charging is likely to occur, the amount of charge of the toner 32 is increased, and the adhesion force to the yarn 40 is increased, which leads to clogging. Then, the insulating property of the feed roller 34 itself becomes high, making it difficult to supply toner by an electric field. In addition,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low,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roller (development bias) is affected, so that too low resistance value is also a problem.

사재(40)의 단실 데시텍스는 1데시텍스∼10데시텍스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데시텍스값은 단위 길이당 섬유의 중량인 텍스값(tex : g/㎞)의 1/10이고, 데시텍스값이 커지면 선직경도 굵어지고, 강성이 강하고, 현상 롤러(33)로의 줄기 형상의 필밍을 발생하기 쉽게 되어 화상 결점이 생기기 쉽게 된다. 또, 데시텍스값이 작아지면, 선직경이 가늘어지고, 공급 롤러(34)에 의한 현상 롤러(33)상의 토너(32)의 리셋 효과가 적어지며, 현상 롤러 주기의 얼룩인 현상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재질에 맞는 선직경 및 현상 롤러로의 잠식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e single yarn decitex of the yarn 4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decitex to 10 decitex. The decitex value is 1/10 of the tex value (tex: g / km), which is the weight of the fiber per unit length, and the larger the decitex value, the larger the linear diameter, the rigidity, and the shape of the stem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re. It is easy to produce peeling, and it is easy to produce an image defect. In addition, when the decitex value is reduced, the linear diameter becomes thinner, and the reset effect of the toner 32 on the developing roller 33 by the supply roller 34 is reduced, and the developing ghost phenomenon, which is a stain of the developing roller period, is generated. It becomes easy to do i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line diameter suitable for the material and the amount of encroachment by the developing roller.

본건 발명자의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부터, 1.5데니어(1.67데시텍스)에서는 섬유 길이가 0.7㎜ 내지 1.5㎜가 사용가능한 영역인 것이 판명되어 있다. 7데니어(7.78데시텍스)에서는 섬유 길이가 1.2㎜ 내지 2.0㎜ 전후까지가 사용 가능 영역인 것이 판명되어 있다. 또, 잠식량으로서, -0.1mm∼0.7mm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도 판명되고 있다. 마이너스 부호가 붙여져 있는 것은, 사재(40)의 선단이 현상 롤러(33)의 표면에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From the past experiences of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in 1.5 denier (1.67 decitex), a fiber length of 0.7 mm to 1.5 mm can be used. In 7 denier (7.78 decitex), it turns out that the fiber length is 1.2 mm-2.0 mm front and back. 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range of -0.1mm-0.7mm is preferable as an amount of erosion. The minus sign means that the tip of the yarn 40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3.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로서의 공급 롤러(34)와, 종래의 스폰지 롤러를, 스폰지 롤러에서 현저한 감광체상의 흐림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에 대해 비교하여 도시한다. 공급 롤러(34)로서는, 직경 15.7mm, 사재(40)로서는 3d(데니어)이고, 길이 1.2mm, 심재(41)는 스테인레스강(SUS)을 사용하고, 저항값으로서 107Ω가 얻어진다. 식모 롤러는 스폰지 롤러에 비교하여 감광체상의 흐림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7 compares the supply roller 34 as the hair-grow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ponge roller in comparison with the transition of the number of copies of the blur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on the sponge roller. As the supply roller 34, diameter 15.7 mm, the yarn 40 is 3d (denier), the length 1.2 mm, the core 41 is made of stainless steel (SUS), and 10 7 Ω is obtained as the resistance value. It can be seen that the hauling roller improves the blur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as compared to the sponge roller.

도 8은 모두 검은 「베타 검정」영역을 인자할 때에, 선단부와 후단부와의 농도차의 추이를 공급 롤러(34)와 스폰지 롤러에서 비교하여 도시한다. 식모 롤러(34)가 안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급 롤러(34)는 8000매의 인자 후에도, 표면 상태의 열화는 없고, 저항값도 107Ω대를 유지하여 큰 변화는 없다.8 shows the comparison of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leading end and the rear end in the supply roller 34 and the sponge roller when printing the black "beta black" region. It can be seen that the tuft roller 34 is stabilized. Even after the printing of 8000 sheets, the feeding roller 34 has no deterioration in the surface state, and the resistance value is also maintained at 10 7 ?

도 9는 감광체가 흐림 농도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를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서 도시한다. 잠식량이 -(마이너스)인 것은, 사재(40)의 표면이 현상 롤러(33)의 표면과는 분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Fig. 9 shows, as a parameter, the amount of encroachment (mm) of the feed roller 34 to the developing roller 33, which is a tuft roller,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as a parameter for the number of copies of the cloudy concentration. When the encroachment amount is-(minus), the surface of the yarn material 40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3.

도 10 내지 도 12는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서 각종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1000매 인자 후에서의 감광체상 흐림 농도를 나타내고, 도 11 및 도 12는 공급 롤러(34)의 추종성을 「베타 검정」선단부와 후단부에서 화상 농도와, 그 농도차에 대해 각각 도시한다.10 to 12 show various characteristics as parameters by the amount of encroachment (mm) of the feed roller 34, which is a tuft roller,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shown in FIG. Fig. 10 shows the photoconductor blur density after 1000 sheets of printing, and Figs. 11 and 12 show the followability of the supply roller 34 with respect to the image density at the "beta black" leading end and the rear end, respectively, and the density difference thereof. do.

도 13은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베타 검정」선단부와의 농도차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를 나타낸다.FIG. 13: shows the transition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sheets of the density difference with a "beta test" front end using the amount of erosion (mm) of the feed roller 34 which is a tuft roller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a parameter.

도 12 등에서, 초기에서는 -0.4mm의 잠식량, 즉 사재(40)의 선단이 현상 롤러(33)에 비접촉하여, 0.4mm 떨어져도 토너가 추종하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그러나, 러닝을 계속해 가면, 비접촉의 경우는 토너의 추종성이 저하하여, 화상 선단부에서는 소정의 농도가 얻어져도, 후단에서는 그 농도를 유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비접촉은 0.1mm 정도에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In Fig. 12 and the like, it has been found that the toner follows the developing roller 33 at an initial stage of the enveloping amount of -0.4 mm, i.e., the non-contacting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33. However, if the running is continued, the followability of the toner decreases in the case of non-contact, and even if a predetermined density is obtained at the image leading end, the density cannot be maintained at the rear e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to stay at about 0.1 mm for a non-contact.

잠식량은 0.35mm 정도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즉, 0∼0.35mm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0.35mm가 중심이라고 생각되면, 0.7mm 정도까지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고 추정된다.A good result is obtained in about 0.35 mm of erosion amount. In other words, when a good result is obtained at 0 to 0.35 mm, and 0.35 mm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it is estimated that a good result is obtained up to about 0.7 mm.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건식 비자성-성분계의 토너(32)는 예컨대 특개평 9-1016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결착 수지로서 환 형상 구조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토너는, 결착 수지, 착색제 및 전하 조정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결착 수지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1∼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초산 비닐계 수지, 초산 비닐계 공중합 수지, 스틸렌 아크릴 수지 및 그 외의 아크릴계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의 수지를 0∼99 중량부를 포함한다. 환 형상 구조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카르복시기, 수산기 및 아민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작용기를 가지고, 아이오노머 또는 디엔류에 의해 가교된 구조를 가진다.As the dry nonmagnetic-based toner 32 used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having a cyclic structure can be used as the binder resin,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01631. The toner disclosed in this publication contains a binder resin, a colorant, and a charge adjuster as main components. The binder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ster resins, epoxy resins, polyolefin resins, vinyl acetate resins,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s, styrene acrylic resins and other acrylic resins, based on 1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t contains 0-99 weight part of resin. The polyolefin resin having a cyclic structure has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carboxyl groups, hydroxyl groups and amine groups, and has a structure crosslinked by ionomers or dienes.

이와 같은 결착 수지를 가지는 토너는, 결착제로서, 카본 블랙, 디아조 옐로, 프탈로시아닌 블루, 퀴나크리돈, 카민6B, 모노아조 레드, 페릴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하 조정제로서는, 니그로신 염료, 지방산 변성 니그로신 염료, 금속 함유 니그로신 염료, 금속 함유 지방산 변성 니그로신 염료, 3, 5-디-tert-부틸살리실산의 크롬 착체, 사급 암모늄염, 트리페닐메탄 염료, 아조크롬 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the toner having such a binder resin, carbon black, diazo yellow, phthalocyanine blue, quinacridone, carmine 6B, monoazo red, peryle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binder. Examples of charge control agents include nigrosine dyes, fatty acid-modified nigrosine dyes, metal-containing nigrosine dyes, metal-containing fatty acid-modified nigrosine dyes, chromium complexes of 3,5-di-tert-butylsalicylic acid, quaternary ammonium salts, triphenylmethane dyes, Azochrome complex etc. can be used.

또, 토너로서는 예컨대 특개평 9-438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 왁스를 기능 부여제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α-올레핀의 단중합체, α-올레핀끼리의 공중합체 및 α-올레핀과 시클로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올레핀 왁스를 기능 부여제로서 포함시킴으로써, 정착성, 오프셋 방지성, 히트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대된다.As the toner, for example, a low molecular weight polyolefin wax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9-43891 may be included as a functioning agent. By including olefin waxes selected from homopolymers of α-olefins, copolymers of α-olefins and copolymers of α-olefins and cycloolefins as functioning agents, fixability, offset prevention properties, and heat responsiveness are improved. It is expected to let.

또, 환 형상 폴리올레핀 수지를 결착 수지로 포함하는 토너에는, 예컨대 특개 2000-2845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능성 부여제로서 아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고급 지방산 및 그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금속 비누, 부분 켄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족 알콜, 폴리올레핀 왁스, 파라핀 왁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왁스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Toners containing a cyclic polyolefin resin as a binder resin include, for example, amine waxes, carnauba waxes, higher fatty acids and esters thereof, and higher fatty acid metals as functional imparting agent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84528. It may also comprise at least one kind of wax selected from soaps, partially kenned higher fatty acid esters, higher aliphatic alcohols, polyolefin waxes, paraffin waxes.

또, 토너(32)는 결착 수지로서 환 형상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환 형상 롤러(33)에는 외주면상에 부착하는 토너(32)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블레이드(3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 형상 올레핀 수지를 결착 수지로서 포함하는 토너(32)를 현상 롤러(33)의 외주면상에 블레이드(37)로 규제하는 두께로 부착시켜, 현상 롤러(33)로부터 감광 드럼(21)으로 원활하게 이행시켜, 현상을 행할 수 있다.The toner 32 includes a cyclic olefin resin as a binder resin, and the blade roller 33 is provided with a blade 37 for regulating the layer thickness of the toner 32 attach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done. A toner 32 containing a cyclic olefin resin as a binder resin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3 to a thickness regulated by the blade 37, and smoothly from the developing roller 33 to the photosensitive drum 21. It can make a transition and develo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 롤러는 롤 형상의 심재의 외주 표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사재가 심어 설치되고, 사재의 표면이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므로,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와의 사이의 전계, 및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와의 속도비, 닙 폭(잠식량) 등의 조건이 적절하면, 공급 롤러로부터 현상제가 현상 담지체에 공급되고, 공급된 현상제는 소정의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소정의 현상제층 두께로 규제되고,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제는 현상 영역에서, 소정의 전계로 정전 잠상 담지체의 현상에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eed roller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yarns ar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shaped core material, the surface of the yarn contact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ier,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supply roller If conditions such as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developer, the speed ratio between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supply roller, the nip width (erosion amount), and the like are appropriate, the develope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supplied developer The developer having a predetermined developer layer thickness regulat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mber and whose layer thickness is regulated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bear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electric field in the developing reg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재의 길이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이고, 사재의 길이가 길어지면 정전 식모법으로 심어 설치된 사재의 밀도가 감소하고, 사재의 길이가 짧아지면 정전 식모법으로 심어 설치되는 사재의 밀도가 증가하므로, 사재의 길이로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yarn is in the range of 0.5mm or more and 3mm or less, and if the length of the yarn is longer, the density of the yarn installed by planting by the electrostatic seedling method is reduced, and when the length of the yarn is shortened, it is planted by the electrostatic seedling method. Since the density of the yarn increases, the density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yarn.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재의 단실 데시텍스를 적절한 접촉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범위로 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ingle yarn decitex of a yarn can be made into the range which can obtain an appropriate contact stat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재는 도전성을 가지고 심재와도 전기 도통성을 가지므로, 공급 롤러로부터 사재와 접촉하는 현상제에 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yarn has electro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the core, it is possible to apply electric charges to the developer in contact with the yarn from the supply roller.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재의 단실 저항값이 105Ω/㎝ 이상이고, 1012Ω/㎝ 이하의 범위이므로, 공급 롤러로부터 사재와 접촉하는 현상제에 적절한 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gle yarn resistance value of the yarn is in the range of 10 5 Ω / cm or more and 10 12 Ω / cm or less, appropriate charge can be given to the developer in contact with the yarn from the supply roller.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재는 복합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므로, 도전성이나 기계적 성질 등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yarn is manufactured by the composite spinning method, electroconductivity, a mechanical property, etc. can be provided suitably.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의 차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하여, 안정되게 현상제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supply roller in a constant range and to continue supplying the developer stably.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와 공급 롤러의 접촉 부분의 속도비를 0.5배 이상이고, 2.0배 이하의 범위로 유지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peed ratio of the contact part of a developer carrying body and a feed roller is 0.5 times or more, and can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2.0 times or less, and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롤러의 사재는 -0.1mm 이상이고 0.7mm 이하의 범위에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밀어 넣어져, 현상제 담지체로의 현상제의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of the developing roller is pushed onto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ier in a range of -0.1 mm or more and 0.7 mm or less, so that the develop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developer carr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인 현상 장치(3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0)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화한 단면도,1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20 including a developing apparatus 30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공급 롤러(30)의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2a and 2b are schematic front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eed roller 30 of FIG.

도 3은 도 2의 공급 롤러(30)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ly roller 30 of FIG.

도 4는 도 2의 공급 롤러(30)에 사재(40)로서 사용가능한 도전성 섬유의 예를 도시한 도표,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ductive fibers usable as yarn 40 in the feed roller 30 of FIG.

도 5는 도 2의 공급 롤러(30)에 사재(40)로서 사용가능한 도전성 섬유의 예를 도시한 도표,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ductive fibers usable as yarn 40 in the feed roller 30 of FIG.

도 6은 도 2의 사재(40)의 모식적인 단면도,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yarn 40 of FIG.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로서의 공급 롤러(34)와, 종래의 스폰지 롤러를, 스폰지 롤러에서 현저한 감광체상의 흐림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에 대해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Fig. 7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supply roller 34 as the hair-grow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ponge roller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the number of copies of the blur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in the sponge roller,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로서의 공급 롤러(34)와, 종래의 스폰지 롤러를 동일하게 검은 「베타 검정」영역을 인자할 때에, 선단부와 후단부의 농도차의 추이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Fig. 8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transition of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when the supply roller 34 as the hair-feed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ponge roller are printed with the same black "beta black" region. ,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로서의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감광체 흐림 농도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Fig. 9 is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number of prints of the photoconductor blur density, with the amount of erosion (mm) of the supply roller 34 as the hair-feed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a parameter;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1000매 인자 후에서의 감광체상 흐림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photoconductor blur concentration after 1000 sheets of printing, with the amount of erosion (mm) of the feeding roller 34, which is the tuft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a parameter.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공급 롤러(34)의 추종성을, 「베타 검정」선단부와 후단부에서의 화상 농도에서 도시한 그래프,Fig. 11 shows the followability of the feed roller 34 as the parameter of the erosion amount (mm) of the feed roller 34, which is the tuft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a parameter. Graph plotting image density at,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공급 롤러(34)의 추종성을, 「베타 검정」선단부와 후단부에서의 농도차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Fig. 12 shows the followability of the feed roller 34 as the parameter of the erosion amount (mm) of the feed roller 34, which is the tuft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developing roller 33 as a parameter. Graph showing concentration difference in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모 롤러인 공급 롤러(34)의 현상 롤러(33)로의 잠식량(mm)을 파라미터로 하여, 「베타 검정」선단부와의 농도차의 인자 매수에 대한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FIG. 13: shows the transition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sheets of the density difference with the "beta black" tip part as a parameter by the amount of erosion (mm) of the feed roller 34 which is a tuft roller to the developing roller 33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One Graph,

도 14는 종래로부터의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간략화한 단면도이다.14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by a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meth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화상 형성 장치20: image forming apparatus

21 : 감광 드럼21: photosensitive drum

22 : 대전기22: charger

30 : 현상 장치 30: developing device

31 : 토너 용기31: toner container

32 : 토너32: toner

33 : 현상 롤러33: developing roller

34 : 공급 롤러34: feed roller

35, 36, 38 : 직류 전원35, 36, 38: DC power

37 : 블레이드37: blade

40 : 사재40: private

41 : 심재41: heartwood

42 : 접착제42: adhesive

43 : 심 섬유43: seam fiber

44 : 도전재44: conductive material

49 : 교류 전원49: AC power

Claims (9)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을 위해, 비자성-성분계의 현상제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A develop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 a non-magnetic developer for forming an image by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and a feeding roller for feeding the developer to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공급 롤러는,Feed rollers, 롤러 형상의 심재와,Roller-shaped core material, 심재의 외주 표면에 심어 설치되어, 선단이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재를 포함하고,It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the tip includes one or more yarns in contact with the developer carrier, 상기 사재는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심재와 전기 도통성을 가지며,The sand material has conductivity, and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the core material, 상기 사재는 단실 저항값이 105Ω/㎝ 이상이고, 1012Ω/㎝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yarn material has a single thread resistance value of 10 5 Ω / cm or more and a range of 10 12 Ω / c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재는 정전 식모법에 의해 상기 심재의 외주 표면에 식모되어 있고,The yarn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by an electrostatic weaving method, 이 사재의 길이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length of this yarn is in the range of 0.5 mm or more and 3 m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재는 단계 데시텍스가 1데시텍스 이상이고, 10데시텍스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yarn has a step decitex of 1 decitex or more, and the develo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0 decitex or l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재는 복합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는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nd said yarn is a yarn produced by a composite spinn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공급 롤러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power sourc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developer carrier and the supply roller, respectively, 현상제 담지체로의 인가 전압과 공급 롤러로의 인가 전압의 차를 0V 이상 350V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 develo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ifference between an applied voltage to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n applied voltage to a supply roller is in a range of 0V to 350V.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공급 롤러와 접촉하는 부분이 이동하여 상기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In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ply roller is moved to perform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공급 롤러를 현상제 담지체가 이동하는 속도에 대해, 상기 사재의 선단의 부분의 속도비가 0.5배 이상이고 2.0배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nd a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feed roller such that the speed ratio of the portion of the tip of the yarn is in the range of 0.5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speed at which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mov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급 롤러는 상기 사재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밀어 넣어지는 삽입량이, 현상제 담지체에 대해 -0.1mm 이상이고, 0.7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nd the feed roller has an insertion amount in which the yarn is pushed onto the surface of the developer carrier, in a range of -0.1 mm or more and 0.7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ier.
KR10-2002-0034917A 2002-05-29 2002-06-21 A developing apparatus KR1004956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5691 2002-05-29
JP2002155691A JP2003345120A (en) 2002-05-29 2002-05-29 Develo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071A KR20030093071A (en) 2003-12-06
KR100495638B1 true KR100495638B1 (en) 2005-06-14

Family

ID=2977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917A KR100495638B1 (en) 2002-05-29 2002-06-21 A develop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345120A (en)
KR (1) KR1004956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63B1 (en) * 2008-04-28 2008-10-09 해성태프론 주식회사 Separation roller of process copy machine
JP5765877B2 (en) * 2009-04-20 2015-08-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Conductive core-sheath composite acrylic fiber for brush
JP4939616B2 (en) * 2010-01-29 2012-05-30 株式会社沖データ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746A (en) * 1992-09-22 1994-04-15 Mita Ind Co Ltd Developing device
JPH10123821A (en) * 1996-10-22 1998-05-15 T & M Kk Supply roller and developing device
JPH10133468A (en) * 1996-10-28 1998-05-22 Murata Mach Ltd Developing unit
KR19980024548U (en)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Feed roller device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JP2000235302A (en) * 1999-02-15 2000-08-29 Oki Data Corp Develop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746A (en) * 1992-09-22 1994-04-15 Mita Ind Co Ltd Developing device
JPH10123821A (en) * 1996-10-22 1998-05-15 T & M Kk Supply roller and developing device
JPH10133468A (en) * 1996-10-28 1998-05-22 Murata Mach Ltd Developing unit
KR19980024548U (en)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Feed roller device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JP2000235302A (en) * 1999-02-15 2000-08-29 Oki Data Corp Develo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45120A (en) 2003-12-03
KR20030093071A (en)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2813B1 (e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apparatus
US537157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removing counter charged toner from the charging means
EP0939349B1 (en) Developing apparatus using one-component toner
US4956677A (en) Clean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95638B1 (en) A developing apparatus
US64966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mage bearing member and electrification means with changeable peripheral speed difference therebetween
JP50629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3801173B2 (en) Contact charg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65433B2 (en) Supply roller and developing device
JP36366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69725939T2 (en) Charger and imaging device
JP200507784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939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7293008A (en) Image forming method
JP201108103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8688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H041560Y2 (en)
JPS58102967A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6632216B2 (en) Image forming device
US8737888B2 (en)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H0473789B2 (en)
CN201378254Y (en) Developing unit
JPS5850547A (en) Developing method
JP2000351231A (en) Developing device
JP2002268327A (en)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123

Effective date: 200710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221

Effective date: 20080428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16

Effective date: 2008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