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518B1 - Splint for supporting ankle - Google Patents

Splint for supporting an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518B1
KR100495518B1 KR10-2002-0020675A KR20020020675A KR100495518B1 KR 100495518 B1 KR100495518 B1 KR 100495518B1 KR 20020020675 A KR20020020675 A KR 20020020675A KR 100495518 B1 KR100495518 B1 KR 10049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wall
splint
strap
astraga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90113A (en
Inventor
윤형순
공득민
고동준
편도기
최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ublication of KR2002009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5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적 치료 효과를 가진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kle support splints with functional therapeutic effects.

상기 부목은 피부와 접촉하는 면을 최소화시킨 하드한 플라스틱으로 발목 전체를 지지하면서 인체 공학적인 굴곡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The splint is a hard plastic with minimal contact with the skin while supporting the entire ankle while increasing the holding force with the plastic with ergonomic flexion.

외벽은 비대칭적인 양쪽 복사뼈 모양ㆍ위치를 고려하여 굴곡모양의 차별을 주어 착용감 향상 및 치료 효과를 증대시킨다.The outer wall considers the asymmetrical bilateral bone shape and location to give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bend, thereby improving the fit and increasing the treatment effect.

고정을 위한 스트랩은 2종류를 사용하는데 발목 상층부 고정과 발바닥 하층부 고정은 무탄력 스트랩을 사용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염좌의 재발 가능성을 줄이고 복사뼈 주위를 감싸며 고정하는 중간부 스트랩은 탄력밴드를 사용하여 메모리 폼의 마사지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 are two types of straps for fixing: the upper ankle and the bottom of the sole are elastic straps to improve fixation, reduce the possibility of sprain recurrence and wrap around the ankle. It helps maintain the fixing force while increasing the massage effect of the memory foam.

상층부 스트랩은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한방향으로 둘러 고정하는 방식의 단점인 외벽 지지부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strap prevents rotation of the outer wall suppor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method of fixing in one direction by pulling in both directions and fixing it, thereby enabling a more firm fixing.

또한, 상층부 스트랩을 걸어주는 링은 회전이 가능하여 각기 다른 발목의 굵기와 굴곡에 맞추어 적절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ing that hangs the upper straps can be rotated so that they can be fixed at appropriate angles to match the thickness and curvature of the different ankles.

하층부 스트랩의 한쪽은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외벽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기 다른 발크기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of the lower strap is fixed with rivets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e inside the outer wall so that it can be adjusted to fit different foot sizes.

중간부의 플라스틱 파트에는 발목 염좌시 손상되는 복사뼈 주위와 좌우 하단의 인대부분을 고정ㆍ치유할 수 있는 기능적인 모양인 유(U)자형 패드 또는 에어백을 부착한다. The plastic part of the middle part is attached with a U-shaped pad or airbag, which is a functional shape that can fix and heal the ligaments around the ankle bone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that are damaged during sprained ankle.

상기 유(U)자형 패드나 내부 폼 패드는 평면적 고정이 아닌 3차원적 고정으로 피부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면서 인체 굴곡에 적합하게 모델링성을 부여하며 부종치료와 기능적인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재질의 메모리 폼으로 되어 있다. The U-shaped pad or inner foam pad is made of polyurethane material to provide modeling to fit the human body flexion while minimizing the skin contact surface by the three-dimensional fixation rather than planar fixation, and to provide edema treatment and functional massage effect. Memory form.

Description

발목 지지용 부목{Splint for supporting ankle} Splint for supporting ankles

본 발명은 운동 및 의학적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뼈 주위를 효과적으로 감싸주면서 보호할 수 있는 복사뼈 안착수단 예를 들면, 유(U)자형 패드나 에어백,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함에 따라 착용시의 편의를 줄 수 있는 스트랩 수단 등을 채용한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함으로써, 발목 염좌 예방과 동시에 염좌 발생시 부종치료 및 기능적 치료,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환자가 활동시에 발목의 내반ㆍ외반 염좌를 방지하며 족배ㆍ족저 굴곡을 자유로이 허용하도록 하여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고 예방, 보호, 경감, 재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support splint that can be used for athletic and medical purposes, and more particularly, ankle restraining means, such as a U-shaped pad or an airbag, which can effectively protect and surround the ankle bone. By providing an ankle support splint that employs strap means to provide convenience when worn by pulling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kle sprains, edema treatment, function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when sprains occur. The ankle support splint prevents varus and valgus sprains of the ankle during the activity and freely allows foot and foot plantar flexion to be cured at the same time as the activity and improves the functions of prevention, protection, relief and rehabilitation. will be.

흔히 발목을 삐었다고 얘기하는 염좌는 발목 관절의 뼈와 뼈를 이어주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Sprains, which are often said to have sprained ankles, are an extension or breaking of the ligaments that connect the bones of the ankle joint.

이렇게 발목 인대의 손상을 받았을 경우 그 부분을 고정시켜 주어야 통증을 없애고 치료 효과를 줄 수 있다.If the ankle ligament is damaged, it should be fixed to remove the pain and give a therapeutic effect.

하지만, 염좌나 골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지 부목에 의지하면서 근육을 약간씩 움직여 준다면 대부분의 염좌나 근염좌를 포함한 많은 손상들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치유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prains or fractures, if you move your muscles slightly while relying on the support splint, many of the injuries, including most sprains and muscle sprains, can be healed faster and more effectively.

또한, 측방 지지를 해주면서 마사지 효과를 해줌으로 발목 손상시 생긴 연부조직의 부종을 없애주어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빠른 치유 효과를 줄 수 있다. In addition, by lateral support while giving a massage effect to eliminate the swelling of soft tissue caused by ankle damage can reduce pain and inflammation and can give a quick healing effect.

전통적인 고정방법인 석고나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붕대 등으로 고정하는 것은 골격근의 근위축을 가져올 수 있고, 건과 인대의 불규칙적인 재생 가능성이 있으며, 통증, 근력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Fixing with a bandage coated with gypsum or a hydrocurable polyurethane resin, which is a conventional fixation method, can cause skeletal muscle atrophy, irregular regeneration of tendons and ligaments, and pain and muscle strength. There is this.

다양한 발목 지지용 부목은 의학 및 운동분야에서 효과적으로 발목 지지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왔다. Various ankle support splints have been improved for effective ankle support in medicine and athletics.

이러한 부목의 중요한 특성은 환자나 착용자의 발목에 제공되는 안정성, 착용감, 기능적 고정성 및 지지 부목의 강도, 내구성 등이다.Important features of these splints are the stability, fit, functional fixation and strength of the support splint, durability, etc., provided to the ankle of the patient or wearer.

본 발명과 유사한 기존의 발목 지지용 부목들은 손상된 인대 부위를 집중적으로 마사지 해주는 효과나 발목 전체의 완벽한 고정률이 미흡하여 착용시 발목에서 이탈하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ankle support splints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disadvantage of deviating from the ankle when worn due to insufficient effect of intensively massaging the damaged ligament site or a perfect fixation ratio of the entire ankle.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280,489호, 제4,628,945호 등에서는 부목의 내측으로 에어백 수단을 제공하여 마사지 효과와 부종 감소 효과를 도모하고 있으나, 부목으로 받쳐지는 전체 면적에 걸쳐 에어백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실질적인 환부를 의미하는 복사뼈 주위만을 완벽하게 고정하거나 마사지하는 효과를 기대하는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For example, US Pat. Nos. 4,280,489, 4,628,945, etc. provide an airbag means to the inside of the splint to achieve a massage effect and reduce edema, but the airbag means are disposed over the entire area supported by the splint. As a result, there is a lack of expectation of the effect of perfectly fixing or massaging only the area around the astragalus.

또한, 미국 특허 제5,389,065호에서는 복사뼈 주위를 중간부 스트랩로 감아줄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제공하고 있으나, 중간부 스트랩를 감아주는 방식에서 볼 때 중간부 스트랩의 탄력으로 전거비인대와 복사뼈 부위 인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측면에서는 기능적으로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U.S. Patent No. 5,389,065 provides a form that can be wound around the ankle with a middle strap.However, in the manner of winding the middle strap, the ligament ligament and the ankle ligament are simultaneously stretched by the elasticity of the middle strap. In terms of fixing, there is a functional limitation.

이와 같이, 발목 지지용 부목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착용자의 발목 주위에서 편안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필요한 부위만을 기능적으로 고정하고 마사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 대부분의 발목 지지용 부목들은 필요로하는 특정 부위만을 효과적으로 집중 보호한다거나 착용시 간편성을 추구한다거나 하는 측면 등에서는 여러 개선의 소지를 갖고 있다. As such, an important support for the ankle support splint is to comfortably and firmly secure around the ankle of the wearer, and to functionally fix and massage only the necessary areas. Most existing ankle support splints are required In terms of effectively focusing only on the part or pursuing simplicity when wearing it, there are various improve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과 결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kle support splint that is impro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disadvantages and defects.

본 발명의 발목 지지용 부목은 크게 외벽, 상층부 스트랩, 중간부 스트랩, 하층부 스트랩, 유(U)자형 패드 및 에어백, 내부 폼 패드 및 네오프렌 등을 포함한다. The ankle support spli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outer wall, upper strap, middle strap, lower strap, U-shaped pad and airbag, inner foam pad and neoprene.

외벽은 양쪽 복사뼈의 위치에 맞게 적합한 굴곡을 갖으며 착용감 및 고정력 향상과 필요한 부분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하여 발목 상층부와 복사뼈 부분의 외벽 두께가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플렉시블한 물성을 갖는 넓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The outer wall has a bend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both ankles and a wider extended part with flexible properties as the outer wall thickness of the upper ankles and the ankles moves away from the central axis for improved fit and fixation and selective fixation of the necessary parts. It includes.

외벽의 길이와 폭은 지지가능한 최소한의 형태로 하여 피부 접촉을 줄이고 경량화하면서 최대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uter wall should be the minimum supportable shape to reduce the skin contact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skin so as to exhibit the maximum supporting force.

스트랩(Strap)은 적합하고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3부분으로 나누어 바깥쪽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The strap is fixed to the outer outer wall in three parts for proper and stable fixation.

각각의 스트랩은 고정시 적당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Each strap is designed to be able to rotate around a fixed point in order to be able to fix it at an appropriate angle.

상층부 스트랩은 바깥쪽 외벽에 회전이 가능하게 양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발목에 착용시 안쪽 외벽에 양쪽의 스트랩을 걸어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고정하기 쉽고 종전과 같이 한방향으로 고정함으로 인해 외벽이 돌아가거나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단점을 개선하면서 적당한 각도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포함한다. The upper strap is fix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it can be rotated on the outer outer wall, and when worn on the ankle, it is easy to be fixed by the wearer by hanging both straps on the inner outer wall and pulling it in both directions. This includes designing to enable a firm fixation at an appropriate angle, thereby improving the disadvantage that the outer wall is rotated or displaced.

중간부 스트랩은 중간부 스트랩를 사용하여 가장 손상되기 쉬운 인대가 분포되어 있는 부분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전거비인대(Ligament talofibulare anterius)를 완벽하게 감싸는 동시에 에어백이 위치한 복사뼈 부위의 외벽 밖으로 한바퀴 돌아 감싸면서 고정하여 손상받은 부분에 무리가 없도록 하고, 활동시 외벽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도 막고 활동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The mid-strap uses the mid-strap to cover and secure the area of the ligament that is most susceptible to ligament. Wrap it around and fix it so that there is no damage to the damaged part, and prevent the outer wall from moving out of place during the activity and help improve the activity.

하층부 스트랩은 발바닥 부분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발에 맞도록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일론제의 접착천(Velcro)를 포함한다. The lower strap includes a nylon Velcro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fit feet of various sizes through the sole portion.

각각의 스트랩은 소프트한 폴리에스터 재질을 사용하여 피부 접촉시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재질적 특성은 본 발명의 경량화 및 최소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Each strap uses a soft polyester material to give a soft feel upon skin contact, and this material property allows for light weight and minimiz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의 스트랩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나일론제의 접착천을 이용한 접착방식을 사용하며, 접착천의 위치 또한 다양한 크기에 맞도록 접합한 위치에 배치된다. Each strap uses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cloth made of nylon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he position of the adhesive cloth is also disposed at the bonded position to fit various sizes.

복사뼈 주위 인대의 기능적 고정과 마사지 효과를 주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연질 필름에 에어를 주입한 에어백을 사용하였고, 그 모양은 "U"자형으로 한다. As a means to provide a functional fixation and massage effect of the ligament around the astragalus, an air bag injecting air into the soft film was used, and the shape was "U" shaped.

양쪽 복사뼈의 위치가 비대칭적인 것에 맞도록 적합한 위치에 부착시킨다. Attach the astragalus in a suitable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astragalus fits the asymmetric one.

에어백은 피부 접촉시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인대 및 복사뼈 주위 근육의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위하여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다. The airbag has an embossed shape to minimize interference during skin contact and to provide a functional massage effect on the ligaments and the muscles around the astragalus.

에어백 내부의 에어는 활동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사뼈가 외벽에 닿는 것을 막고, 기능적으로 마사지를 적절히 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에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The air inside the airbag prevents the astragalus from contacting the outer wall by the force applied during the activity and ensures that the proper amount of air is filled in order to properly massage the function.

에어백의 상하 필름물성을 차별화하여 상층은 마사지 효과를 높이고 하층은 부착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By differentiating the upper and lower film properties of the airbag, the upper layer enhances the massage effect and the lower layer increases the fixing force when attached.

에어백의 "U"자형 모양으로 돌출된 복사뼈 부분을 피하여 복사뼈 좌우 하단의 인대 부분만을 기능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It avoids the "U" shaped protruding astragalus of the airbag so that only the ligaments at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astragalus can be fixed functionally.

즉, 인대의 분포가 없는 복사뼈 중심과 복사뼈 상부는 공간을 줄여 에어백이 발목에 밀착되는 효율을 높이고, 이와 동시에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주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astragalus and the upper part of the astragalus without the distribution of ligaments reduces the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irbag close to the ankle, and at the same time to give a functional massage effect.

에어백의 크기와 부착위치는 표준화하여 다양한 복사뼈의 크기, 위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Airbag sizes and attachment locations include those that are standardized and design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size and location of the astragalus.

복사뼈 주위 인대의 기능적 고정과 마사지 효과를 주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 유(U)자형 패드를 사용한다. U-shaped pads are used as another means of functional fixation and massage of the ligaments around the astragalus.

유(U)자형 패드는 복사뼈 주위 인대의 기능적인 고정과 마사지 효과를 주기 위해 폴리우레탄 재질의 메모리 폼을 사용하였고, 그 모양은 "U"자형으로 한다. U-shaped pad uses polyurethane memory foam to give functional fixation and massage effect of ligament around ankle. The shape is "U" shaped.

유(U)자형 패드는 양쪽 내,외부의 복사뼈 위치가 다름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복사뼈가 유(U)자형 패드의 가운데에 오도록 하여 평면적인 고정이 아닌 3차원적 고정으로 복사뼈 좌,우,하단의 인대 부분만을 기능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shaped pad allows the astragalus to be fixed at the proper 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astragalus, and the astragalus is in the center of the U-shaped pad so that the astragalus can be fixed in three dimensions instead of flat. Only the left, right and lower ligaments should be functionally fixed.

즉, 인대의 분포가 없는 복사뼈 중심과 복사뼈 상부는 공간을 줄여 유(U)자형 패드가 발목에 밀착되는 효율을 높이고, 이와 동시에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주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astragalus and the upper part of the astragalus without the distribution of ligaments reduces the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shaped p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functional massage effect.

유(U)자형 패드의 크기와 부착위치는 표준화하여 다양한 복사뼈의 크기, 위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The size and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haped pad includes those that are standardized and design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sizes and positions of the astragalus.

유(U)자형 패드가 부착된 내부 폼 부재는 부드러운 나이렉스 나일론 재질로 감싸도록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하며 장기 착용시 폼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The inner foam member with a U-shaped pad is wrapped in soft Nylex nylon for a comfortable fit and prevents the foam from wearing over long periods of time.

본 발명의 장점은 기능적 모양의 유(U)자형 패드나 에어백을 이용한 선택적 고정을 통하여 마사지 효과를 주며, 자유로운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provides a massage effect through selective fixation using a U-shaped pad or airbag of a functional shape, and it is possible to heal freely and simultaneously.

다른 기술적 장점은 착용자가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방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advantage is that the wearer is easily removable and has a solid and stable fixing method.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o explain fur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1A and 1B show an embodiment of ankle support spli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부목(10)은 2개의 외벽(11a,11b) 및 에어백(12a,12b), 상층부 스트랩(13) 및 하층부 스트랩(14), 중간의 중간부 스트랩(15), 상층부 연결고리(16) 및 하층부 연결고리(17), 내면의 네오프렌(18a,18b), 다수의 접착천(19a∼19f)을 포함한다.The splint 10 has two outer walls 11a and 11b and airbags 12a and 12b, an upper strap 13 and a lower strap 14, a middle strap 15, an upper hook 16 and The lower connection ring 17 includes inner neoprene 18a and 18b and a plurality of adhesive fabrics 19a to 19f.

상기 부목(10)은 양쪽이 비대칭이며 왼쪽 발과 오른쪽 발에 각각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lint 10 is asymmetrical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re separated so as to be easy to wear respectively.

상기 외벽(11a,11b)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되, 길이방향의 폭중앙을 따라서는 다소 두껍게 하고 상부와 중간부에서 양편으로 넓어지는 연장부분은 그 두께를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하여 플렉시블하고 탄성을 갖도록 한다. The outer walls 11a and 11b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strength, but are made thicker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tended portions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to both sides are flexible by gradually thinning their thickness. Make it elastic.

상기 연장부분은 그 얇은 두께를 통한 플렉시블한 탄성을 이용하여 착용시 적절히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목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bent when worn by using a flexible elasticity through its thin thickness can improve the fit of the ankle.

상기 외벽(11a,11b)의 내측에는 외벽(11a,11b)에 비해 좀더 넓은 면적으로 각각의 네오프렌(18a,18b)을 부착하여 피부 접촉부위의 쿠션 역할을 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The neoprene 18a, 18b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11a, 11b) in a wider area than the outer wall (11a, 11b) to act as a cushion for the skin contact area and improve the fixing force.

발의 안쪽과 바깥쪽 복사뼈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쪽 외벽(11a)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 즉 에어백의 부착을 위한 넓은 부분의 위치를 바깥쪽 외벽(11b)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의 위치보다 약간 앞ㆍ위쪽에 오게 한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inner and outer astragalus of the foot is differen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outer wall 11a, that is, the wide portion for attaching the airbag,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outer wall 11b. Make it slightly ahead and up.

따라서, 상기 연장부분을 이용하여 부착 지지되는 각각의 에어백(12a,12b)도 안쪽의 것이 바깥쪽의 것보다 앞ㆍ위쪽에 올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spective airbags 12a and 12b attached and supported by the extension portion may also come in front and above the inner one.

상기 외벽(11a,11b)의 바깥면은 각각의 스트랩(13,14)을 잡아주고 걸기 위한 금속링과 플라스틱 시트로 된 2개의 상층부 연결고리(16)와 1개의 하층부 연결고리(17)를 포함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s 11a and 11b includes two upper linkages 16 and one lower linkage 17 of metal rings and plastic sheets for holding and hanging the respective straps 13 and 14. do.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는 스트랩을 걸기 위한 것이고, 바깥쪽 외벽(11b)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는 스트랩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link on the inner outer wall 11a is for hanging the strap, and the upper link on the outer outer wall 11b is for holding the strap.

상기 외벽(11a,11b)의 바깥면은 각각의 리벳(21)을 이용하여 부착 지지되는 상층부 스트랩(13) 및 하층부 스트랩(14)과 중간부 스트랩(15)를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스트랩(13,14)과 중간부 스트랩(15), 그리고 안쪽의 외벽(11a)은 스트랩 서로 간의 접착을 위한 접착천(19a∼19f)을 포함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s 11a and 11b includes an upper strap 13 and a lower strap 14 and a middle strap 15 which are attached and supported using respective rivets 21, and each strap ( 13 and 14, the middle strap 15, and the inner outer wall 11a include adhesive cloths 19a to 19f for adhering the straps to each other.

특히, 상층부 연결고리(16)를 이용하여 바깥쪽 외벽(11b)에 부착 지지되는 상층부 스트랩(13)은 양쪽 대칭형으로 되어 있어서 고정시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16)에 동시에 걸려지면서 양방향으로 조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pper strap 13 attached to the outer outer wall 11b by using the upper link ring 16 is bilaterally symmetrical, so that it is simultaneously hung on the upper link ring 16 on the inner outer wall 11a when fixed. Can be tightened bidirectionally.

스트랩(13,14)을 위한 상하층부 연결고리(16,17)는 금속링을 잡고 있는 플라스틱 시트가 1개의 리벳(21)에 의해 고정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것은 발목의 굴곡에 따라 스트랩의 용이한 결착을 가능하게 해준다.The upper and lower tie hooks 16 and 17 for the straps 13 and 14 can be freely rotated since the plastic sheet holding the metal ring is fixed by one rivet 21, which is dependent on the flexion of the ankle. It allows easy attachment.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의 각 내측에 부착되는 에어백(12a,12b)의 고정은 회전 방지를 위해 적어도 2개의 리벳(21)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상층부 연결고리(16) 및 하층부 연결고리(17)의 금속링을 잡아주는 플라스틱 시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시 편하도록 하기 위해 1개의 리벳(21)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Fixing of the airbags 12a and 12b attached to each inn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outer walls 11a and 11b is fixed by using at least two rivets 21 to prevent rotation, and the upper layer connecting ring 16 and the lower layer. The plastic sheet holding the metal ring of the connecting ring 17 is fixed by using one rivet 21 in order to allow rotation and to be comfortable.

스트랩(13,14)의 고정을 위한 상하층부 연결고리(16,17)의 링은 금속링으로 하되, 착용시 가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한다. Rings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rings 16 and 17 for fixing the straps 13 and 14 are made of metal rings, but have a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force applied when worn.

상층부 스트랩(13)의 끝은 모두 접착천(19a)을 부착하고, 그 스트랩(13)을 안쪽 외벽(11a)에 고정된 상층부 연결고리(16)에 걸어 당겨 상층부 스트랩(13)의 끝에 있는 접착천(19a)이 닿는 위치에도 접착천(19b)을 부착시킨다. The ends of the upper straps 13 are all attached with an adhesive cloth 19a, and the straps 13 are attached to the upper hooks 16 secured to the inner outer wall 11a, and the adhesives at the ends of the upper straps 13 are attached. The adhesive cloth 19b is also attach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loth 19a touches.

중간부의 중간부 스트랩(15) 역시 끝에 접착천(19e)을 부착하고, 사선으로 감아올려 복사뼈를 돌아서 고정될 위치에도 접착천(19f)을 부착시킨다. The middle strap 15 of the middle portion also attaches the adhesive fabric 19e to the end, and is wound up diagonally to attach the adhesive fabric 19f to the position to be fixed by turning the astragalus.

하층부 스트랩(14)의 끝은 접착천(19d)을 부착하고, 그것이 고정될 위치인 바깥쪽 외벽(11b)의 하단에 접착천(19c)을 부착시킨다.The end of the lower strap 14 attaches the adhesive fabric 19d and attaches the adhesive fabric 19c to the bottom of the outer outer wall 11b where it is to be fixed.

각각의 접착천(19a∼19f)은 적당히 여유있는 길이로 하여 발크기가 다른 사람이라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Each of the adhesive fabrics 19a to 19f has an adequate length so that even a person with a different size can be fixed.

각각의 스트랩(13,14)은 소프트한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착용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하며, 무탄력 스트랩을 사용한다. Each of the straps 13 and 14 uses soft polyester to give a soft feeling when worn, and uses a non-elastic strap.

상기 중간부 스트랩(15)는 복사뼈를 감싸 고정하고 전거비인대 부분까지 고정이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한다. The middle strap 15 is wrapped around the astragalus and fixed to have a proper elasticity enough to be fixed to the ligament ligament portion.

즉, 중간부 스트랩(15)인 탄력밴드와 무탄력 스트랩(13,14)의 적절한 혼합 고정을 통해 발목 지지효과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층부와 발바닥 부위는 견고한 고정력을 위해 무탄력 스트랩(13,14)을 적용하고, 에어백(12a,12b)이 위치하는 중간부는 에어백(12a,12b)의 기능을 살리면서 적절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중간부 스트랩(15)으로 탄력밴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nkle support effect through the proper mixing and fixing of the elastic band, the elastic strap (15) and the non-elastic straps (13, 14), the upper layer and the sole portion has a non-elastic force for a firm fixing force Applying the straps 13 and 14, the middle portion where the airbags 12a and 12b are positioned applies an elastic band to the middle strap 15 so that it can be properly flow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airbags 12a and 12b. It is preferable.

또한,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은 소정의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일직선의 길이로 제작하여도 기능적으로 전혀 문제는 없지만, 발목의 굴곡이나 발의 좌우 복사뼈 위치에 맞게 적절한 굴곡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outer walls (11a, 11b) is not a problem at all functionally produced even in a straight length in order to have a predetermined support forc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roper flexion according to the ankle flexion or the left and right ankle position of the foot Do.

즉, 복사뼈를 감싸게 되는 중간의 연장부분을 바깥쪽으로 약간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복사뼈를 포함하는 그 주위를 충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middle extension portion that surrounds the astragalus to protrude slightly concave outward so that it can sufficiently surround the astratum including the astragalu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a,12b)의 상층 시트(22)는 마사지 효과와 피부 접촉부 최소화를 위하여 엠보싱 형태를 하고 있으며, 하층 시트(20)는 외벽(11a,11b)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 모양을 유지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upper sheet 22 of the airbags 12a and 12b has an embossed shape for a massage effect and minimizes skin contact, and the lower layer sheet 20 adheres well to the outer walls 11a and 11b. Maintain a flat shape to ensure that

또한, 에어백(12a,12b)은 하층 시트(20)의 중앙부분을 리벳(21)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시키고,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는 상층 시트(22)의 전체적인 형상을 "U"자형으로 하여 복사뼈 주위를 효율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irbags 12a and 12b are fixed by fasten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layer sheet 20 with the rivets 21, and the apical bone is formed by making the overall shape of the upper layer sheet 22 having an embossed shape as a "U" shape. Make sure you support your surroundings efficiently.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착용순서를 보여주고 있다.Figures 3a to 3d shows the wearing order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외벽(11a,11b)을 밀착시킨 다음, 안쪽 외벽(11a)에 있는 하층부 스트랩(14)의 접착천(19d)을 바깥쪽 외벽(11b)의 하단에 있는 접착천(19c)에 부착시켜 외벽(11a,11b)의 하단부를 서로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 3A, the outer walls 11a and 11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nkle, respectively, and then the adhesive fabric 19d of the lower strap 14 on the inner outer wall 11a is attached to the outer outer wall 11b. Attached to the adhesive cloth (19c) at the bottom of the) to secure the lower ends of the outer walls (11a, 11b) to each other.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b)에 있는 중간부 스트랩(15)으로 전거비인대 고정을 위해 우선 바깥쪽으로부터 사선으로 감아 올리고 그 후로 복사뼈가 위치되는 외벽(11a,11b)의 둘레를 한바퀴 감싼 다음, 그 끝의 접착천(19e)을 고정위치에 있는 접착천(19f)에 부착시킨다. As shown in FIG. 3B, the medial strap 15 in the outer outer wall 11b is first wound diagonally from the outside for fixation of the ligament ligament and then the outer wall 11a, 11b where the astragalus is located. After wrapping the circumference once, the end of the adhesive cloth 19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cloth 19f in the fixed position.

이때, 중간부 스트랩(15)이 제공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각각의 외벽(11a,11b)에 있는 "U"자형의 에어백(12a,12b)은 복사뼈 주위를 완전히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는 동시에 연장부분들은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휘어져 발목의 굴곡에 맞게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백(12a,12b)과 연장부분을 통한 마사지 효과와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 shaped airbags 12a and 12b in each of the outer walls 11a and 11b may be tightly wrapped around the ankle bone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provided by the middle strap 15,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nded portion. They can be bent by using their own elasticity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exion of the ankle, thereby obtaining a massage effect and a stable fit through the airbag (12a, 12b) and the extension.

도 3c 및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b)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상층부 스트랩(13)을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16)의 각 금속링에 건 다음, 양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하는 등의 문제없이 발목의 중심에 정확히 압착되고, 각 스트랩(13)의 끝에 있는 접착천(19a)을 고정위치에 있는 접착천(19b)에 각각 부착시키면 부목의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C and 3D, the upper straps 13 extending from the outer outer wall 11b to both sides are hooked to each metal ring of the upper connecting ring 16 on the inner outer wall 11a, and then in both directions. When pulled out, the inner and outer outer walls 11a and 11b are exactly pressed to the center of the ankle without problems such as returning to either side, and the adhesive cloth 19a at the end of each strap 13 is attached to the fixed position. Attaching to the fabric (19b), respectively, can complete the wearing of the splint.

한편, 도 4a 및 4b, 5a 및 5b, 6a 및 6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4a and 4b, 5a and 5b, 6a and 6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부목(110)은 2개의 외벽(111a,111b), 상층부 스트랩(113), 하층부 스트랩(114), 중간부 스트랩(115), 상층부 연결고리(116), 하층부 연결구멍(117), 내부 폼 패드(118a,118b), 유(U)자형 패드(112a,112b), 접착천(119a∼119b) 등을 포함한다. The splint 110 has two outer walls 111a and 111b, an upper strap 113, a lower strap 114, an intermediate strap 115, an upper hook 116, a lower hook hole 117, an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U-shaped pads 112a and 112b, adhesive cloths 119a to 119b, and the like.

상기 부목(110)은 양쪽이 비대칭이며 왼쪽 발과 오른쪽 발에 각각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plint 110 is asymmetrical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re separated to facilitate each wear.

상기 외벽(111a,111b)은 각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되, 길이방향의 폭중앙을 따라서는 다소 두껍게 하고 상층부와 중간부에서 양편으로 넓어지는 연장부분은 그 두께를 점차적으로 얇게 하여 플렉시블한 탄성을 갖도록 한다.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n angle, but are thickened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ed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upper and middle portions to both sides gradually become thinner, thereby providing flexible elasticity. To have.

상기 연장부분은 그 얇은 두께를 통한 플렉시블한 탄성을 이용하여 착용시 적절히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목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bent when worn by using a flexible elasticity through its thin thickness can improve the fit of the ankle.

상기 외벽(111a,111b)의 내측에는 외벽(111a,111b)에 비해 좀더 넓은 면적으로 각각의 내부 폼 패드(118a,118b)를 부착하여 피부 접촉부위의 쿠션역할을 하고 밀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Inside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the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are attached to a larger area than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to act as a cushion for the skin contact area and improve adhesion and fixation force.

내부 폼 패드(118a,118b)의 부착을 위한 수단으로 외벽(111a,111b)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외벽 내측 접착천(122a,122b)을 부착한다. As the means for attaching the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the outer wall inner adhesive cloths 122a and 122b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안쪽과 바깥쪽 외벽(111a,111b)은 소정의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일직선의 길이로 제작하여도 기능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발목의 굴곡이나 발의 좌우 복사뼈 위치에 맞게 적절한 굴곡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outer walls (111a, 111b), even if produced in a straight length in order to have a predetermined support force, there is no functional problem, but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roper flexion according to the ankle flexion or the left and right ankle position of the foot. .

즉, 복사뼈를 감싸게 되는 중간의 연장부분에 적절한 굴곡을 주어 복사뼈를 포함하는 그 주위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by giving an appropriate bend to the middle extension that surrounds the astragalus so that it can sufficiently wrap around the astragalus.

상기 외벽(111a,111b)은 각각의 스트랩(113,114)을 잡아주고 걸기 위한 금속링과 플라스틱 시트로 된 2개의 상층부 연결고리(116)와 1개의 하층부 연결구멍(117)을 포함하며, 외부 복사뼈 위치에는 일차적으로 탄력밴드, 즉 중간부 스트랩(115)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천이 부착되어 있다.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include two upper connection rings 116 and one lower connection hole 117 made of metal rings and plastic sheets for holding and hanging the straps 113 and 114, respectively. The first is attached to the elastic band, that is, the adhesive cloth for fixing the middle strap 115.

안쪽 외벽(111a)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116)는 상층부 스트랩(113)을 걸기 위한 것이고, 바깥쪽 외벽(111b)에 있는 리벳(121)은 스트랩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The upper hook 116 on the inner outer wall 111a is for hanging the upper strap 113, and the rivet 121 on the outer outer wall 111b is for holding the strap.

바깥쪽 외벽(111b)은 각각의 리벳(121)을 이용하여 부착 지지되는 상층부 스트랩(113), 하층부 스트랩(114), 중간부 스트랩(115) 및 1개의 하층부 연결구멍(117)을 포함한다. The outer outer wall 111b includes an upper strap 113, a lower strap 114, an intermediate strap 115, and one lower connection hole 117 attached and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ivets 121.

또한, 각각의 스트랩(113,114,115)과 안쪽의 외벽(111a)은 스트랩 서로 간의 접착을 위한 접착천(119a∼119f)을 포함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straps 113, 114, and 115 and the inner outer wall 111a includes adhesive cloths 119a to 119f for adhering the straps to each other.

특히, 상층부 스트랩(113)은 안쪽 외벽(111a)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116)에 1, 2차적으로 걸리면서 양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pper strap 113 can be secured in both directions while being first and second fastened to the upper hook 116 in the inner outer wall (111a).

스트랩(113,114)을 양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리는 금속링을 잡고 있는 2개의 플라스틱 재질의 링 고정용 시트(120) 및 리벳(121)에 의해 고정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것은 발목의 굴곡에 따라 스트랩의 용이한 결착을 가능하게 해준다. The connecting ring for fixing the straps 113 and 114 in both directions is fixed by two plastic ring fixing seats 120 and rivets 121 holding metal rings, so that they can be rotated freely. This allows for easy attachment of the strap.

스트랩(113,114)의 고정을 위한 연결고리는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하되, 착용시 가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The hooks for fixing the straps 113 and 114 are made of metal and plastic, but have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forces applied when worn.

상층부 스트랩(113)의 끝은 접착천(119a)을 부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The upper end of the strap 113 is attached to the adhesive cloth (119a) to facilitate the detachable.

상하층부 스트랩(113,114)은 무탄력 스트랩을 사용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중간부 스트랩(115)은 탄력밴드를 사용하여 착용감, 활동성, 고정력을 높이도록 한다. The upper and lower layer straps 113 and 114 increase the fixing force by using a non-elastic strap, and the middle strap 115 uses the elastic band to increase the fit, activity, and fixing force.

상기 탄력밴드 역시 끝은 접착천(119e)을 부착하고, 안쪽 외벽(111a)의 외부 복사뼈 위치에 접착천을 부착하여 탄력밴드를 돌려 고정할 때, 1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또한 탄력밴드가 고정된 위치에도 접착천을 부착시켜 2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복사뼈를 돌아서 고정될 위치에도 접착천(119f)을 부착시킨다. The elastic band is also attached to the end of the adhesive cloth 119e, attached to the adhesive cloth at the outer astragalus position of the inner outer wall (111a) when the elastic band is fixed by rotating, so that the elastic band is fixed The adhesive cloth is also attached to the position so as to be secondarily fixed, and the adhesive cloth 119f is also attached to the position to be fixed by turning the astragalus.

상기 탄력밴드는 복사뼈를 감싸 고정하고 전거비인대 부분까지 고정이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한다. The elastic band is wrapped around the astragalus and fixed to have a proper elasticity to the extent that can be fixed to the ligament ligament.

하층부 스트랩(114)의 바닥면은 접착천(119d)을 부착하고, 그것이 고정될 위치인 안쪽 외벽(111a)의 내부 외벽 내측 접착천(122a)에 각기 발크기에 맞추어 부착시키도록 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rap 114 attaches the adhesive cloth 119d and attaches it to the inner outer wall inner adhesive cloth 122a of the inner outer wall 111a, which is the position where it is to be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each foot.

각각의 접착천(119a∼119f)은 적당히 여유있는 길이로 하여 발크기가 다른 사람이라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Each of the adhesive fabrics 119a to 119f has an adequate length so that even a person with a different size can be fixed.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발목 지지용 부목은 탄력밴드와 무탄력 스트랩의 적절한 혼합 고정을 통해 발목 지지효과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층부위는 견고한 고정력을 위해 무탄력 스트랩을 적용하고, 유(U)자형 패드(112a,112b)가 위치하는 중간부위는 유(U)자형 패드(112a,112b)의 기능을 살리면서 적절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탄력밴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kle support spli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ankle support effect by appropriately fixing the elastic band and the non-elastic strap, the upper layer is applied to the non-elastic strap for a firm fixing force, The middle portion where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are located is preferably applied with an elastic band so that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can be properly flow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내부 폼 패드(118a,118b) 및 유(U)자형 패드(112a,112b)는 부드럽고 접착천에 접착이 가능한 나이렉스 나일론 재질의 천으로 감싸서 착용감 향상 및 폼 패드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한다. The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and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are wrapped in a Nylex nylon fabric that can be bonded to a soft adhesive cloth to improve fit and prevent wear of the foam pad.

또한, 내부 폼 패드(118a,118b) 및 유(U)자형 패드(112a,112b)를 포함하는 패드 전체는 나이렉스 나일론 천으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더렵혀졌을 경우 따로 떼어내어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pad including the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and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is wrapped in a Nylex nylon cloth, the pads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and cleaned separately when they are dirty. Do it.

상기 내부 폼 패드와 유(U)자형 패드는 유(U)자형 패드를 내부 폼 패드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일체식으로 조합시킬 수 있으며, 또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The inner foam pad and the U-shaped pad may be integrally combined by attaching the U-shaped pad to the inner foam pad, or may be manufactured by a single injection molding method.

상기 유(U)자형 패드를 포함하는 내부 폼 패드는 나이렉스 나일론을 재봉 및 초음파 실링을 하여 감싸여질 수 있다. The inner foam pad including the U-shaped pad may be wrapped by sewing and ultrasonic sealing a nylon resin.

특히, 상기 유(U)자형 패드와 내부 폼 패드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메모리 폼 패드로 되어 있어서, 복사뼈의 돌출정도에 맞게 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복사뼈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haped pad and the inner foam pad is a memory foam pad made of polyurethane, so that i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astragalus, thereby supporting the astragalus more comfortably.

상기 내부 폼 패드(118a,118b) 및 유(U)자형 패드(112a,112b)는 평면적인 고정이 아닌 3차원적 고정으로 피부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면서 인체 굴곡에 적합하게 모델링성을 부여하며, 부종 치료와 기능적인 마사지효과를 줄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재질의 메모리 폼으로 되어 있다. The inner foam pads 118a and 118b and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provide modeling properties suitable for flexion of the body while minimizing skin contact surface by three-dimensional fixation rather than planar fixation. The memory foam is made of polyurethane to give a functional massage effect.

발의 안쪽과 바깥쪽 복사뼈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쪽 외벽(111a)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과 안쪽 내부 폼 패드 중간부의 유(U)자형 패드의 부착을 위한 연장부분의 위치를 바깥쪽 외벽(111b)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의 위치보다 약간 앞ㆍ위쪽에 오게 한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inner and outer astragalus of the foot is differen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for the attachment of the U-shaped pa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inner foam pad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inner outer foam pad 111a is determined. Slightly ahead and above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in the middle of the.

또한, 유(U)자형 패드(112a,112b)는 내부 폼 패드에 부착되어 형상을 "U"자형으로 하여 복사뼈 주위를 효율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U-shaped pads 112a and 112b are attached to the inner foam pads to form a “U” shape so as to efficiently support the area around the ankle bone.

도 7a 내지 7e에서는 위의 구현예에서 제공하고 있는 발목 지지용 부목(110)의 착용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7a to 7e show the wearing order of the ankle support splint 110 provided in the above embodiment.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1b)에 고정되어 있는 하층부 스트랩(114)을 안쪽 외벽(111a)의 하층부 연결구멍(117)을 통해 삽입하여 각기 발크기에 맞게 조절한 후, 그 내측의 외벽 내측 접착천(122a)에 부착시켜 외벽(111a,111b)의 하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발목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외벽(111a),(111b)을 밀착시킨다. As shown in Figure 7a and 7b, after inserting the lower strap 114 is fixed to the outer outer wall (111b)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hole 117 of the inner outer wall (111a) to adjust to each size The bottom wall of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is fixed by attaching the inner wall inner adhesive cloth 122a to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s 111a and 111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nkle, respectively.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1b)에 있는 중간부 스트랩(115), 즉 탄력밴드로 복사뼈가 위치되는 외벽(111a,111b)의 둘레를 한바퀴 감싼 다음, 그 끝의 접착천(119e)을 고정위치에 있는 접착천(119f)에 부착시킨다. As shown in Fig. 7c, the middle strap 115 of the outer outer wall (111b), that is, wrap around the outer wall (111a, 111b) where the astragalus is located with an elastic band, and then the adhesive fabric at the end ( 119e) to the adhesive cloth 119f in the fixed position.

이때, 탄력밴드가 제공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각각의 외벽의 안쪽에 있는 유(U)자형 패드는 복사뼈 주위를 완전히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는 동시에 연장부분들은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약간씩 휘어져 발목의 굴곡에 맞게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U)자형 패드와 연장부분을 통한 마사지 효과와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haped pad on the inside of each outer wall by the elastic support provided by the elastic band can be tightly wrapped around the ankle bone,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nsion part is slightly bent using its own elastic flexion of the an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sage effect and stable fit through the U-shaped pad and the extension part can be obtained.

도 7d 및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1b)에 고정되어 있는 상층부 스트랩(113)을 안쪽 외벽(111a)의 뒷쪽에 있는 상층부 연결고리(116)의 금속링에 건 다음, 반대방향으로 한바퀴 돌려 나머지 상층부 연결고리(116)의 금속링에 걸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려 잡아당기면 안쪽과 바깥쪽 외벽(111a,111b)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하는 등의 문제없이 발목의 중심에 정확히 압착되고, 상층부 스트랩(113)의 끝에 있는 접착천(119a)을 스트랩 접착면에 부착시키면 부목의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D and 7E, the upper strap 113 secured to the outer outer wall 111b is fastened to the metal ring of the upper link ring 116 at the rear of the inner outer wall 111a, and then in the opposite direction. If you turn one turn to the metal ring of the remaining upper hook 116 and pull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the inner and outer outer walls (111a, 111b) is exactly pressed to the center of the ankle without problems such as returning to either side When the adhesive cloth 119a at the end of the upper strap 113 is attached to the strap adhesive surface, the wearing of the splint may be comple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뼈 주위를 효과적으로 감싸주면서 보호할 수 있는 복사뼈 안착수단으로 메모리 폼 재질의 유(U)자형 패드가 부착된 내부 폼 패드 수단 및 에어백 수단,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함에 따라 착용시의 편의를 줄 수 있는 스트랩 수단, 착용감과 활동성이 좋고 고정력을 높이며 전체적으로 제품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탄력밴드 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함으로써, 선택적 고정을 통해 마사지 효과를 주어 자유로운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착용자가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가 활동시에 발목의 내반ㆍ외반 염좌를 방지하며 족배ㆍ족저 굴곡을 자유로이 허용하도록 하여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고 예방, 보호, 경감, 재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foam pad means and airbag means attached to the U-shaped pad of the memory foam material as the astragalus seating means that can effectively protect and protect around the astragalus when worn by pulling in both directions Massage through selective fixation by providing ankle support splints that include strap means to provide convenience, elastic band means to enhance fit and activity, increase fastening force, and prevent the product from falling out of the overall pos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al freely and at the same time as it is effective,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wearer can easily detach and maintain a stable and stable fixation. To allow for free foot and foot flex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can heal and enhance the capabilities of prevention, protection, mitigation and rehabilitation.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일 구현예에서 복사뼈 안착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tragalus seating means in one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일 구현예에 대한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a to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for one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도 4a 및 4b의 결합 사시도5A and 5B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FIGS. 4A and 4B

도 6a 및 6b는 도 4a 및 4b와 도 5a 및 5b를 결합한 다음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6A and 6B are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the expanded state after combining FIGS. 4A and 4B and FIGS. 5A and 5B;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7a to 7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부목 11a,11b : 외벽10: splint 11a, 11b: outer wall

12a,12b : 에어백 13 : 상층부 스트랩12a, 12b: air bag 13: upper strap

14 : 하층부 스트랩 15 : 중간부 스트랩14: lower part strap 15: middle part strap

16 : 상층부 연결고리 17 : 하층부 연결고리16: upper connection ring 17: lower connection ring

18a,18b : 네오프렌 19a∼19f : 접착천18a, 18b neoprene 19a-19f adhesive cloth

20 : 하층 시트 21 : 리벳20: lower layer sheet 21: rivet

22 : 상층 시트 22: upper layer sheet

110 : 부목 111a,111b : 외벽110: splint 111a, 111b: outer wall

112a,112b : 유(U)자형 패드 113 : 상층부 스트랩112a and 112b: U-shaped pad 113: Upper strap

114 : 하층부 스트랩 115 : 중간부 스트랩114: lower strap 115: middle strap

116 : 상층부 연결고리 117 : 하층부 연결구멍116: upper connection ring 117: lower connection hole

118a,118b : 내부 폼 패드 119a∼119f : 접착천118a, 118b: internal foam pads 119a-119f: adhesive cloth

120 : 링 고정용 시트 121 : 리벳120: ring fixing sheet 121: rivet

122a,122b : 외벽 내측 접착천122a, 122b: outer wall inner adhesive cloth

Claims (11)

복사뼈를 포함하는 수직방향으로 발목의 굴곡형상에 맞는 모양을 갖추고 있고 피부 접촉면을 최소화하면서 소정의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한 하드한 물성으로 발목을 좌우측에서 고정할 수 있는 외벽과, 각 외벽의 내측에 부착되며 발목 전체를 안전하게 인체 굴곡에 맞게 고정하고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내부 폼 패드와, 외벽상의 연결고리를 통해 지지되면서 외벽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각각 연결 고정하는 상하층부 무탄력 스트랩 및 복사뼈를 밀착하는 복사뼈 안착수단을 감싸면서 압착력을 제공하는 중간부 탄력 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 지지용 부목에 있어서, It has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ankle flexion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ankle bone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each outer wall to fix the ankl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hard properties to exert a predetermined support force while minimizing the skin contact surface. The inner ankle pad secures the entire ankle to fit the human body flexibly and gives a massage effect. In the ankle support splint comprising an intermediate elastic strap that provides a compressive force while wrapping the ankle seating means, 각 외벽의 내측에 부착되며 복사뼈 좌우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인대부분을 집중적으로 고정하고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복사뼈 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Ankle support splint,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each outer wall and the ankle support means for intensively fixing the ligaments distribut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and give a massage eff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발목 안쪽과 바깥쪽의 복사뼈 위치에 따라 그 굴곡정도와 위치가 다르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The splint for ankle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wall is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degree of flexion and posi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ankle bone inside and outside the ank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발목의 상층부와 복사뼈 주위에서 굴곡이 자유롭게 감싸며 고정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연장부분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The ankle support spli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wall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thin thickness to freely wrap and fix the bend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ankle and the ankle b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뼈 안착수단은 전체적인 외관이 복사뼈 주위의 좌우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인대부분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인대가 없는 상단은 공간을 주어 착용감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U"자형의 유(U)자형 패드 또는 에어백 중의 선택된 하나이며, 유(U)자형 패드 또는 에어백은 안쪽 외벽에 있는 유(U)자형 패드 또는 에어백이 바깥쪽 외벽에 있는 상기 유(U)자형 패드 또는 에어백보다 앞ㆍ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tragalus seating means can be fixed to the ligament portion of the overall appearance is distributed on the left and right lower end around the ankle, the upper end without the ligament "U" shaped to increase the fit and fastening force The U-shaped pad or airbag is one of the selected U-shaped pads or airbags, wherein the U-shaped pads or airbags on the inner outer wall are less than the U-shaped pads or airbags on the outer outer wall. Ankle support splin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front and ab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마사지 효과와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는 상층 시트와, 외벽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하층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5. The airbag of claim 4, wherein the airbag is formed of an upper layer sheet embossed to minimize massage effect and contact with the skin, and a lower layer sheet maintained flat in order to adhere to the outer wall. Splint for ankl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뼈 안착수단인 유(U)자형 패드와 내부 폼 패드는 접착천과의 탈부착이 가능한 나이렉스 나일론 천을 재봉 및 초음파 실링을 이용하여 일체식으로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haped pad and the inner foam pad, which are means for seating the astragalus, are integrally wrapped with a NEXEL nylon cloth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an adhesive cloth by sewing and ultrasonic sealing. Splint for ankle suppo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력 스트랩은 외벽의 상층부를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 스트랩인 탄력밴드는 양쪽 복사뼈 안착수단이 위치되는 부위의 둘레에 수평적,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착력을 제공하거나 전거비인대를 고정, 마사지하기 위해 사선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elastic strap is pulled in a manner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in both directions, the elastic straps of the intermediate straps are horizontally and elastically wrapped around the area where both astragalus seating means is located Ankle support spli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diagonally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or to fix and massage the ligament ligament.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력 스트랩은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The splint for ankle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or 8, wherein the non-elastic strap is fix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rotated by using a connecting ring fastened by rivets. 삭제delete
KR10-2002-0020675A 2001-05-25 2002-04-16 Splint for supporting ankle KR1004955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33 2001-05-25
KR1020010029133A KR20010070596A (en) 2001-05-25 2001-05-25 Splint for supporting ank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113A KR20020090113A (en) 2002-11-30
KR100495518B1 true KR100495518B1 (en) 2005-06-16

Family

ID=19709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33A KR20010070596A (en) 2001-05-25 2001-05-25 Splint for supporting ankle
KR10-2002-0020675A KR100495518B1 (en) 2001-05-25 2002-04-16 Splint for supporting ank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33A KR20010070596A (en) 2001-05-25 2001-05-25 Splint for supporting an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7059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60A (en) * 2002-10-30 2004-05-10 전태식 Bal - ring
CN113633045B (en) * 2021-08-23 2023-04-25 西安理工大学 Ankle protector capable of changing press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9156A1 (en) * 1987-05-29 1988-12-01 Royce Medical Company Orthopaedic gel pad method and apparatus
WO1990001911A1 (en) * 1988-08-17 1990-03-08 Royce Medical Company Orthopedic device having gel pad
JPH02182252A (en) * 1988-12-02 1990-07-16 Bauerfeind Gmbh & Co Splint for ankle joint
JPH03191955A (en) * 1989-09-07 1991-08-21 Active Ankle Syst Inc Brace for ankle
KR970020066A (en) * 1995-10-27 1997-05-28 미첼 큐, 테트로우 Ankle support
WO1999063915A1 (en) * 1998-06-12 1999-12-16 Gary Wilkerson Therapeutic ankle ortho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9156A1 (en) * 1987-05-29 1988-12-01 Royce Medical Company Orthopaedic gel pad method and apparatus
WO1990001911A1 (en) * 1988-08-17 1990-03-08 Royce Medical Company Orthopedic device having gel pad
JPH02182252A (en) * 1988-12-02 1990-07-16 Bauerfeind Gmbh & Co Splint for ankle joint
JPH03191955A (en) * 1989-09-07 1991-08-21 Active Ankle Syst Inc Brace for ankle
KR970020066A (en) * 1995-10-27 1997-05-28 미첼 큐, 테트로우 Ankle support
WO1999063915A1 (en) * 1998-06-12 1999-12-16 Gary Wilkerson Therapeutic ankle orth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596A (en) 2001-07-27
KR20020090113A (en)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7893A (en) Above-the-knee cast
US4590932A (en) Ankle-sprain edema-control boot assembly
US4505269A (en) Ankle splint
US5755679A (en) Apparatus for foot stabilizer
JP5415074B2 (en) Fracture brace
US6361514B1 (en) Universal ankle splint
US6506175B1 (en) Therapeutic bandage
EP2150214B1 (en) Orthopedic device
US5843010A (en) Heel and ankle appliance
US4057056A (en) Walking cast
US9265642B2 (en) Bootless ankle brace
US5031607A (en) Ankle brace
US5417647A (en) Support for behind the knee joint
US20050131324A1 (en) Boot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US5393303A (en) Attachment for leg and foot joint
KR20090092772A (en) Compression wrap
US4271605A (en) Flexible foot support
CA1312242C (en) Ankle splint
WO2006010213A1 (en) Plantar-flexion restraint device
WO2008079920A1 (en) Foot support device
ES2440277T3 (en) Musculoskeletal mobilization structures
US7364561B1 (en) Ankle brace with removable plate
US20130218061A1 (en) Apparatus for plantar fasciitis treatm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0037409A (en) Alkle outfit
KR100495518B1 (en) Splint for supporting an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