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355B1 - 중계기 확장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기 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355B1
KR100495355B1 KR10-2002-0051856A KR20020051856A KR100495355B1 KR 100495355 B1 KR100495355 B1 KR 100495355B1 KR 20020051856 A KR20020051856 A KR 20020051856A KR 100495355 B1 KR100495355 B1 KR 10049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base station
signal
divider
comb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286A (ko
Inventor
조한신
조형식
신형섭
장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5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3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결선을 용이하게 하며, 상호간의 입출력 신호를 분배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n 개의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1 신호 및 순방향 Tx2 신호를 결합하여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는 컴바이너, 상기 Tx 신호를 n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하는 Tx 디바이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0 컴바이너 및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1 컴바이너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중계기 확장 장치{Repeater extension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결선을 용이하게 하며, 상호간의 입출력 신호를 분배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영 지역에 대한 통화 품질 향상을 위해 중계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하향 RF 신호를 주중계기(Master)를 통해 부중계기(Slave)로 전송한 후 송출하고, 중계기로 수신된 상향 RF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음영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자체에 포함된 입출력 포트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기지국의 안테나단에 방향성 결합기를 설치하여 RF 신호를 추출하기도 한다. 중계기는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지국-중계기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하나의 옥내형 기지국 또는 옥외형 기지국(이하에서는 기지국 이라 총칭함)에 연결되는 중계기의 수는 해당 기지국 내의 음영 지역의 수, 기지국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가 기지국에 연결 가능하다. 중계기는 주 중계기(Master Repeater; 11-1 내지 11-n)와 부 중계기(Slave Repeater; 12-1 내지 12-n)로 구성되며, 주 중계기(11-1 내지 11-n)는 기지국(10)에 결합되며, 부 중계기(12-1 내지 12-n)는 주 중계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음영 지역에 위치한다. 모든 음영 지역이 비슷한 시기에 파악되어 필요한 중계기가 설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일반적으로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지속적인 통화 품질 테스트 및 고객의 요청에 따라 음영 지역 해소에 필요한 중계기가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기지국(10)에 주 중계기(11-1 내지 11-n)를 연결할 때마다 기지국-주 중계기간 기존 결선을 해체한 후 새로운 결선을 하거나, 기존 결선의 일부에 디바이더를 설치하여 새로운 중계기를 연결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중계기를 설치할 때마다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들의 운용을 중단하여야 하며, 또한, 새로운 접속점들이 생성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히 중계기를 기지국에 연결하는 것 자체에는 별 어려움이 없더라도, 실제로 상술한 기지국(10) 및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는 결선은 매우 복잡하며, 중계기의 수 및 중계기의 유형에 따라 수 십 가지의 결선 조합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지국을 설치 및 운용하는 기술자가 각 상황에 맞는 수 십 가지의 결선 조합을 일일이 설치하고 유지 보수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나,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각각 다른 시점에서도 용이하게 기지국에 연결할 수 있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중계기간 접속점을 단축하고, 중계기별 연결 경로를 일원화하고, 중계기의 고장 발생 확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중계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중계기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에 새로운 중계기를 연결할 때, 기존 중계기의 운용을 중단할 필요가 없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n 개의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1 신호 및 순방향 Tx2 신호를 결합하여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는 Tx 컴바이너, 상기 Tx 신호를 n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하는 Tx 디바이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0 컴바이너 및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1 컴바이너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n 개의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1 디바이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2 디바이더, 상기 제1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 및 상기 제2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 상기 제1 컴바이너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n 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하는 제3 디바이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0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디바이더로 출력하는 제2 컴바이너 및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1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2 디바이더로 출력하는 제3 컴바이너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첨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적용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 확장 장치(100)는 안테나 단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를 통해 기지국(10)과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사이에 결합된다. 기지국(10)이 복수의 FA 섹터를 갖는 경우, 각 FA 섹터의 안테나에 각각 방향성 결합기가 설치되며, 설치된 각 방향성 결합기들은 모두 중계기 확장 장치(100)에 결합된다. 여기서, 기지국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는 -40dB 양방향성 결합기(Dual Directional Coupl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0)이 Tx 출력 포트 및 Rx 입력 포트를 구비한 경우에 중계기 확장 장치(100)는 별도의 방향성 결합기를 통하지 않고 Tx 출력 포트 및 Rx 입력 포트를 통해 기지국(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입력 받아 분기한 후 결합된 주 중계기(11-1 내지 11-n)로 출력한다. 또한, 주 중계기(11-1 내지 11-n)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출력한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들은 중계기 확장 장치(100)에 의해 분기되어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각 주 중계기(11-1 내지 11-n)에 결합된 부 중계기(12-1 내지 12-n)로 전송하고, 부 중계기(12-1 내지 12-n)로부터 전송된 역방향 Rx 신호를 중계기 확장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모듈화하여 하나의 유닛에 적층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과 도4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는 하나의 FA 섹터를 갖는 옥내형 기지국을 위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는 적어도 2 이상의 FA 섹터를 갖는 옥외형 기지국을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 확장 장치(100)는 Tx 컴바이너, Tx 디바이더, Rx0 컴바이너 및 Rx1 컴바이너를 포함한다.
Tx 컴바이너(102)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1 신호 및 순방향 Tx2 신호를 결합하여 순방향 Tx 신호를 Tx 디바이더(104)로 출력한다. Tx 컴바이너(102)는 2개의 입력 포트와 하나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2개의 입력 포트는 기지국(10)에 연결되며, 출력 포트는 Tx 디바이더(104)에 연결된다. Tx 컴바이너(102)로 입력되는 Tx 신호는 1840MHz 내지 1860MHz 대역을 이용하며, 입력 신호의 레벨은 10dBm 이하이다.
Tx 디바이더(104)는 Tx 컴바이너(102)로부터 출력된 Tx 신호를 n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한다. Tx 디바이더(104)는 하나의 입력 포트와 n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n 개의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Tx 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n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순방향 삽입 손실 즉, Tx 컴바이너(102) 및 Tx 디바이더(104)로 구성된 순방향 링크에 의한 삽입 손실은 11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방향 삽입 손실은 기지국-중계기 확장 장치간 케이블, 중계기 확장 장치-주 중계기간 케이블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중계기 확장 장치(100) 설치 후 주 중계기의 이득이 조절되어야 한다.
Rx0 컴바이너(106)는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결합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Rx0 컴바이너(106)로 입력되는 Rx0 신호의 대역은 1750MHz 내지 1770MHz 이다. Rx0 컴바이너(106)는 하나의 출력 포트와 n 개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며, n 개의 입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Rx 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n 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x1 컴바이너(108)는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결합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Rx1 컴바이너(108)로 입력되는 Rx0 신호의 대역은 1750MHz 내지 1770MHz 이다. Rx1 컴바이너(108)는 하나의 출력 포트와 n 개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며, n 개의 입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Rx 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n 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된 Tx 출력 포트, Rx0 입력 포트 및 Rx1 입력 포트로 구성된 n 개의 연결 포트 쌍을 통해 중계기 확장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포트들은 서로 20dB 이상으로 절연(isolated)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역방향 삽입 손실 즉, Rx0 컴바이너(106) 및 Rx1 컴바이너(108)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 의한 삽입 손실은 각각 8.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방향 삽입 손실은 기지국-중계기 확장 장치간 케이블, 중계기 확장 장치-주 중계기간 케이블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중계기 확장 장치(100) 설치 후 중계기의 감쇄율(attenuation)이 조절되어야 한다. 중계기의 감쇄율 조절은 부 중계기의 감쇄율을 조절함으로서 이루어진다.
2 이상의 FA 섹터를 갖는 옥외형 기지국의 경우에는 각 섹터에 대응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모듈화(이하에서는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 이라 함)하여 2 이상의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을 하나의 유닛(이하에서는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 라 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3개의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을 구비한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의 내부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Tx 디바이더(104a 내지 104c)는 하나의 입력 포트와 n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n 개의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Tx 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n은 4 이하이고, 순방향 삽입 손실은 10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Rx0 컴바이너(106a 내지 106c) 및 Rx1 컴바이너(108a 내지 108c)는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 및 Rx1 신호를 결합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n 은 4 이하이고, 역방향 삽입 손실은 7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과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은 섹터별로 연결되며,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별로 연결 포트 쌍이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의 외부에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모듈화하여 하나의 유닛에 적층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를 기지국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더의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는 하나의 FA 섹터를 갖는 옥내형 기지국을 위한 것이며, 도 6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는 적어도 2 이상의 FA 섹터를 갖는 옥외형 기지국을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기 확장 장치(100)는 제1 디바이더, 제2 디바이더, 제3 디바이더, 제1 컴바이너, 제2 컴바이너 및 제3 컴바이너를 포함한다.제1 디바이더(122)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 신호를 제1 컴바이너(126)로 출력하고, 제2 컴바이너(130)에 의해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출력한다. 제1 디바이더(122)로 입력되는 순방향 Tx 신호는 1840MHz 내지 1860MHz 대역을 이용하고, 역방향 Rx0 신호는 1750MHz 내지 1770MHz 대역을 이용하며, 입력 신호의 레벨은 10dBm 이하이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가 Tx/Rx0 일체형인 경우, 제1 디바이더(122)는 제1 컴바이너(126)에 의해 입력된 Rx0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디바이더(124)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 신호를 제1 컴바이너(126)로 출력하고, 제3 컴바이너(132)에 의해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출력한다. 제2 디바이더(124)로 입력되는 순방향 Tx 신호는 1840MHz 내지 1860MHz 대역을 이용하고, 역방향 Rx1 신호는 1750MHz 내지 1770MHz 대역을 이용하며, 입력 신호의 레벨은 10dBm 이하이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가 Tx/Rx0 일체형인 경우, 제2 디바이더(122)는 제1 컴바이너(126)에 의해 입력된 Rx0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더(122) 및 제2 디바이더(124)는 도 7에 도시된 3 way 디바이더(140a, 140b)를 통해 기지국과 결합되며, 실제로, 3 way 디바이더(140a, 140b)는 하나의 단자가 테스트용으로 이용되며, 보통의 경우에는 터미네이트(terminated)된 4 way 디바이더이다.
제1 컴바이너(126)는 제1 디바이더(122) 및 제2 디바이더(124)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결합하여 제3 디바이더(128)로 출력한다. 제3 디바이더(128)는 제1 컴바이너(126)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n 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결합된 n 개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로 출력한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가 Tx/Rx0 일체형인 경우, 제3 디바이더(128)는 컴바이너로 동작하며,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제1 컴바이너(126)로 출력한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가 Tx/Rx0 일체형인 경우, 제1 컴바이너(126)는 디바이더로 동작하며, 제3 디바이더(128)로부터 출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2 개의 역방향 Rx0 신호로 분기하여 제1 디바이더(122) 및 제2 디바이더(124)로 출력한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순방향 삽입 손실 즉, 제1 및 제2 디바이더(122, 124), 제1 컴바이너(126) 및 제3 디바이더(128)로 구성된 순방향 링크에 의한 삽입 손실은 14±0.5 dB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방향 삽입 손실은 기지국-중계기 확장 장치간 케이블, 중계기 확장 장치-주 중계기간 케이블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중계기 확장 장치(100) 설치 후 주 중계기의 이득이 조절되어야 한다.
제2 컴바이너(130)는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제1 디바이더(122)로 출력한다. 제3 컴바이너(132)는 주 중계기(11-1 내지 11-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제2 디바이더(124)로 출력한다. 제2 컴바이너(130) 및 제3 컴바이너(132)는 n 개의 입력 포트를 통해 n 개의 기지국과 결합되며, 하나의 출력 포트를 통해 각각 제1 디바이더(122) 및 제2 디바이더(124)에 결합된다. 제2 컴바이너(130) 및 제3 컴바이너(132)로 입력되는 역방향 Rx0 신호 및 Rx1 신호의 대역은 1750MHz 내지 1770MHz 이다.
주 중계기(11-1 내지 11-n)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된 Tx 출력 포트, Rx0 입력 포트 및 Rx1 입력 포트로 구성된 n 개의 연결 포트 쌍을 통해 중계기 확장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포트들은 서로 20dB 이상으로 절연(isolated)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 확장 장치(100)의 역방향 삽입 손실 즉, 제2 및 제3 컴바이너(130, 132) 및 제1 및 제2 디바이더(122, 124)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 의한 삽입 손실은 11 ±0.5 dB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방향 삽입 손실은 기지국-중계기 확장 장치간 케이블, 중계기 확장 장치-주 중계기간 케이블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중계기 확장 장치(100) 설치 후 중계기의 감쇄율(attenuation)이 조절되어야 한다. 중계기의 감쇄율 조절은 부 중계기의 감쇄율을 조절함으로서 이루어진다.
2 이상의 FA 섹터를 갖는 옥외형 기지국의 경우에는 각 섹터에 대응하는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을 하나의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3개의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을 구비한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의 내부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3 디바이더 (128a 내지 128c)는 하나의 입력 포트와 n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n 개의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중계기(11-1 내지 11-n)의 Tx 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n은 4 이하이고, 순방향 삽입 손실은 13.5 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컴바이너(130a 내지 130c) 및 제3 컴바이너(132a 내지 132c)는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 및 Rx1 신호를 결합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n 은 4 이하이고, 역방향 삽입 손실은 10.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과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은 섹터별로 연결되며, 각 섹터 중계기 확장 모듈별로 연결 포트 쌍이 다중 섹터 중계기 확장 장치의 외부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과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어 기지국과 주 중계기 사이의 결선을 용이하게 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해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각각 다른 시점에서도 용이하게 기지국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에 의하면, 기지국-중계기간 접속점이 단축되고, 중계기별 연결 경로를 일원화되고, 중계기의 고장 발생 확률이 대폭 감소되며, 중계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에 의하면, 기지국에 새로운 중계기를 연결할 때, 기존 중계기의 운용을 중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지국-중계기간의 결선 관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적용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모듈화하여 하나의 유닛에 적층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모듈화하여 하나의 유닛에 적층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를 기지국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더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기지국 연결 포트 및 주 중계기 연결 포트를 도시한 도면.

Claims (7)

  1. 기지국과 n 개의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Tx1 신호 및 순방향 Tx2 신호를 결합하여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는 Tx 컴바이너;
    상기 Tx 신호를 n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하는 Tx 디바이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0 컴바이너; 및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Rx1 컴바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n은 5 이하인 중계기 확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확장 장치는 하나의 Tx 디바이더 출력 포트, 하나의 Rx0 컴바이너 입력 포트 및 하나의 Rx1 컴바이너 입력 포트로 구성된 n 개의 연결 단자쌍을 통해 각 중계기와 연결되는 구성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FA 섹터를 갖는 기지국과 각 섹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중계기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FA 섹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중계기 확장 장치가 모듈화되어 하나의 유닛에 실장된 중계기 확장 장치.
  4. 기지국과 n 개의 주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1 디바이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1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2 디바이더;
    상기 제1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 및 상기 제2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
    상기 제1 컴바이너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n 개의 Tx 신호로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로 출력하는 제3 디바이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0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디바이더로 출력하는 제2 컴바이너; 및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1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2 디바이더로 출력하는 제3 컴바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n은 5 이하인 중계기 확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중계기가 Tx/Rx0 일체형인 경우,
    상기 제3 디바이더는 상기 n 개의 주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상기 제1 컴바이너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컴바이너는 상기 역방향 Rx0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디바이더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디바이더는 상기 분기되어 입력된 역방향 Rx0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확장 장치는 하나의 Tx 디바이더 출력 포트, 하나의 Rx0 컴바이너 입력 포트 및 하나의 Rx1 컴바이너 입력 포트로 구성된 n 개의 연결 포트 쌍을 통해 각 중계기와 연결되는 구성되는 중계기 확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FA 섹터를 갖는 기지국과 각 섹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중계기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FA 섹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중계기 확장 장치가 모듈화되어 하나의 유닛에 실장된 중계기 확장 장치.
KR10-2002-0051856A 2002-08-30 2002-08-30 중계기 확장 장치 KR10049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56A KR100495355B1 (ko) 2002-08-30 2002-08-30 중계기 확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56A KR100495355B1 (ko) 2002-08-30 2002-08-30 중계기 확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86A KR20040020286A (ko) 2004-03-09
KR100495355B1 true KR100495355B1 (ko) 2005-06-14

Family

ID=3732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856A KR100495355B1 (ko) 2002-08-30 2002-08-30 중계기 확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08B1 (ko) * 2011-04-18 2013-02-22 주식회사 네이버스 다중 중계기 시스템의 연결형 기지국 신호 분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97A (ko) * 2000-10-19 2001-01-05 이진섭 Cdma 디지털 다중화 통신시스템
KR20020017785A (ko) * 2000-08-31 2002-03-07 조정남 광중계기용 결합 및 분배 장치
KR20020094535A (ko) * 2001-06-12 2002-12-18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옥내용 광 중계 시스템
KR20030035867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변 섹터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90450A (ko) * 2002-05-23 2003-11-28 (주)하이게인안테나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785A (ko) * 2000-08-31 2002-03-07 조정남 광중계기용 결합 및 분배 장치
KR20010000797A (ko) * 2000-10-19 2001-01-05 이진섭 Cdma 디지털 다중화 통신시스템
KR20020094535A (ko) * 2001-06-12 2002-12-18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옥내용 광 중계 시스템
KR20030035867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변 섹터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90450A (ko) * 2002-05-23 2003-11-28 (주)하이게인안테나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86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184B1 (ko) 서비스범위 확장을 위한 광중계 시스템
US5854986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evice coupling distribution of antennas to plurality of transceivers
EP0664940B1 (en) Rf repeaters for time division duplex cordless telephone system
JP41247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7263293B2 (en) Indoor wireless voice and data distribution system
KR101031619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KR20000075941A (ko) 셀룰라 통신 시스템
KR100930046B1 (ko) 광 중계 시스템
KR19990016371A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EP2086244B1 (en) Signal comb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having different system, same band and antenna sharing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B2347319A (en)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KR100375143B1 (ko) 모듈러,분산형무선장치구조및동일한안테나를사용하는이중반송파접속장치
KR100495355B1 (ko) 중계기 확장 장치
US6424634B1 (en) Wireless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0495356B1 (ko) 중계기 확장 장치
JP3366315B2 (ja) 無線基地局試験装置
KR20000066634A (ko) 이동통신 공용 기지국 시스템
KR20000051543A (ko) 선택적 이중경로 수신기를 이용한 기지국
KR100551166B1 (ko) 다중 채널 기지국의 채널별 이중화 대전력 증폭기를 공유하는장치
KR100257187B1 (ko) 디지탈 이동통신에 있어서 다중 경로 상호간섭 제거장치
KR100285963B1 (ko) 음영지역용기지국
CN117896003A (zh) 一种用于gsm-r多载波联合技术的数字光纤直放站
CN117676607A (zh) 无线通信室内覆盖系统
KR20030021970A (ko) 고층 건물형 무선통신망 중계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