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660B1 -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660B1
KR100494660B1 KR1020040065924A KR20040065924A KR100494660B1 KR 100494660 B1 KR100494660 B1 KR 100494660B1 KR 1020040065924 A KR1020040065924 A KR 1020040065924A KR 20040065924 A KR20040065924 A KR 20040065924A KR 100494660 B1 KR100494660 B1 KR 10049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nt
lottery
parking
applic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승익
Original Assignee
(주) 디지털 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지털 파이 filed Critical (주) 디지털 파이
Priority to KR102004006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영 및 일반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주차구획에 대한 신청을 받고, 인터넷을 통해 신청자의 신청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된 신청자에 대한 신청자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동일 우선 순위자에 대해 거주지와 신청한 주차구획까지의 거리 및 거주기간 차량 종류에 따라 가산점수를 계산하여 주차구획을 추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PARKING AREA LOTTERY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공영 및 일반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획 신청자에 대한 신청자 정보 및 지리적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얻고 얻어진 정보에 따른 주차구획을 추첨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국민 1인당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 GNP)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의 자동차수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1가구당 1대꼴로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부족하게 되었다. 이런 주차공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자동차 주차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사람들 간의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서 국가에서는 주택가의 일반도로에 주차구획(이하 "일반 주차장"이라 함)을 지정하고 공영 주차장 등을 지어 국민들에게 주차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 주차장을 배정받기 위해서는 구청에 신청자가 자신의 신상정보와 차량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상기 신청서가 접수되면 구청의 해당 직원이 직접 상기 신청서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거주 년 수 등에 의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동일 우선 순위자들 중 추첨을 하여 주차구획을 할당한다. 그리고 공영주차장은 신청자들 중 체납하지 않은 신청자를 선착순에 따라 주차구획을 할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구획 추점 시 구청 등의 직원이 직접 신청자가 제출한 제출 서류를 검토하여 주차구획을 할당함으로써 주차구획을 할당하는데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고 검토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청 등의 직원, 즉 사람에 의해 신청자에 대한 정보를 검토하고 주차구획을 할당함으로써 신청자들에게 주차구획 할당에 대한 투명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망을 통해 신청자 정보 및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된 정보에 따라 주차구획을 추점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망을 통해 신청자 정보 및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동일 우선순위 내에서 이전 추첨 정보에 따라 추첨을 수행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망을 통해 신청자 정보 및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동일 우선순위 내에서 이전 추첨 정보와, 거리를 지도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하여 상기 신청자 정보의 거주지 주소와 신청자가 신청한 주차구획까지의 계산된 거리에 따라 주차구획을 추첨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에 있어서, 신청자의 거주지 정보와 주차구획 정보와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신청자 정보를 상기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신청자 컴퓨터와, 등록된 차량들에 대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와, 거주자 정보를 저장하는 거주자 관리 서버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신청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 및 거주지 정보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서버와 거주자 관리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신청자에 대해 상기 신청자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신청자의 거주지 정보와 주차구획 정보와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신청자 정보를 상기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신청자 컴퓨터와, 등록된 차량들에 대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서버와, 거주자 정보를 저장하는 거주자 관리 서버와, 수치지형도와 지번도에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서버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신청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거주자 정보를 상기 거주자 관리 서버의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의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신청자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동일 우선순위 신청자들에 대한 난수를 할당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구비하는 주차구획 시스템에서의 주차구획 추첨 방법에 있어서, 신청자가 상기 신청자 컴퓨터를 통해 주차구획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주차구획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에 대한 상기 거주자 관리 서버의 거주자 정보와 차량 관리 서버의 차량 정보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거주자 정보 및 차량 정보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 및 차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구획 신청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과정과, 검증된 신청자에 대해 상기 주차구획 신청정보에 따른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동일 우선순위 신청자 별로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난수에 의해 추첨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주차구획 사용 신청을 하고, 신청시 요구되는 신청자 정보에 대한 검증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검증된 신청자의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원단위 또는 분기단위 등과 같이 일정 주기 단위로 추첨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 신청자측 개인용 컴퓨터(20), 구청 등에 있는 차량 관리 서버(40) 및 거주자 관리 서버(50)와 지도 정보 서버(30)와 상기 구성들을 상호 연결하는 인터넷망(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20)는 신청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 가입 정보 또는 주차구획 신청정보 등을 인터넷망(60)으로 전송한다.
차량 관리 서버(40)는 차량 소지자들에 대한 인적사항 및 차량 종류, 배기량 및 차량 번호 등의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Database: 42)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변동 사항들을 관리한다. 거주자 관리 서버(50)는 구청 등의 단위로 해당 구청에 살고 있는 거주자의 주소 및 가족 사항, 출생일 및 사망일 등과 같은 거주자 정보들 저장하고 있는 거주자 데이터베이스(51)를 구비하고, 상기 거주자 정보의 변동 사항을 관리한다. 지도정보 서버(30)는 전국 또는 특정 지역에 대한 지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치 지형도 데이터베이스(32)와 지번도를 저장하는 지번도 데이터베이스(31)을 구비한다. 상기 지도정보 서버(30)는 인터넷망(60)을 통해 특정 지번의 지도를 요구해 올 경우 상기 지번에 대한 지형 데이터와 지번 데이터를 결합한 지도 데이터를 요구한 측으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인터넷망(60)을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20)로부터 수신되는 신청자의 회원 가입 정보 및 주차구획 신청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차량 관리 서버(40) 및 거주자 관리 서버(50)의 차량 정보 및 거주자 정보 요구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20)로부터 수신된 신청자 및 회원 정보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검증된 신청자들에 대한 신청정보(또는 내역)에 따라 추첨을 수행한다. 상기 추첨을 수행하기 위한 추첨방법에는 다음의 4가지 방법에 의해 추첨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추첨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일예로, 상기 추첨 우선순위는 이하의 표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표1은 일 예이며, 우선 순위는 다른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순위 대상자
1순위 거주자이며 장애인 및 동거가족, 국가유공자
2순위 거주자이며 승용차 자율요일제 참가자
3순위 그 외 거주자
4순위 사업자 및 근무자
5순위 기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표1과 같은 우선순위 테이블에 의해 신청자들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이를 상기 각 신청자들의 신청내역에 결정된 우선순위를 기록한다. 상기 우선순위가 기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추첨을 수행한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동일 우선순위를 갖는 신청자들에 대해서 상기 지도정보 서버(30)로부터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와 해당 주차구획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와 신청한 주차구획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점수를 해당 신청자에게 할당한다. 또한, 신청자 정보의 거주기간 및 이전 주차구획 추첨에서의 탈락 횟수 등에 따라 가산점수를 할당한다. 상기 할당된 가산점수들을 더하고, 더해진 누진 가산점수에 의해 추첨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항목 배점 기준 점수
거주기간 36개월 이상 20점
12개월~36개월 미만 17점
12개월 미만 14점
집과 주차구획 간의 거리 100미터 미만 20점
100미터~200미터 미만 17점
200미터 이상 14점
탈락자의 탈락회수 매회 탈락시 3점 가산(예 1회 탈락시 3점 가산, 2회 탈락시 6점 가산)
자동차 배기량 800cc 미만 20점
800cc 이상 17점
상기 표3은 거주기간 및 집과 주차구획 간의 거리 및 주차구획 추첨 탈락횟수 및 자동차 배기량 등에 따른 가산점수 부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상기 신청자들 각각에 난수를 생성하여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난수를 이용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것이다.
네 번째 방법은 상기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방법들을 조합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 일 예로 설명되는 방법은 상기 네 번째 방법에 의해 추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 번째 방법 중 첫 번째 방법에 의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두 번째 방법에 의해 상기 결정된 동일 우선순위 신청자의 신청내역들에 가산점을 할당하여 동일 우선순위내 부(SUB)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두 번째 방법에 의해서도 우선순위가 결정되지 않으면 상기 세 번째 방법에 의해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번호 신청한구획번호 집과주차구획간의거리 장애여부 국가유공자 거주형태 1차순위 전입점수 거리점수 이전탈락점수 경차점수 자율요일제점수 점수합계 난수입력
서울x가xxxx 680-01-01 10.1151m n n 거주자 2 17 20 3 17 3 60 0.17...
서울x가xxxx 680-02-03 120.1154m n n 거주자 2 17 17 3 17 3 57 0.71...
bb라bbbb 680-02-03 83.0125m n n 거주자 2 14 20 0 20 3 57 0.02...
서울y나yyyy 680-01-01 y n 근무자 3 0.15..
서울y나yyyy 680-02-02 y n 근무자 3 0.14..
서울y나yyyy 680-03-30 y n 근무자 3 0.99..
서울z다zzzz 540-01-02 210.1123m n y 거주자 1 0.75..
경기t라tttt 540-01-02 n n 사업자 3 0.74..
gg가gggg 540-01-02 34.2333m n n 거주자 2 20 20 0 20 0 60 0.12..
상기 표 3은 추첨에 들어가기 직전의 추첨 DB 테이블 구조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1. 거주자이면서 장애자와 국가유공자는 우선배정을 해주기 때문에 점수를 넣지 않고, 2. 사업자와 근무자의 경우 대부분이 구가 무작위 추첨이기 때문에 점수를 넣지 않으며, 3.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동일 순위내의 당첨 여부 결정을 위하여 상기 지도 좌표 정보 서버(30)로부터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와 해당 주차구획을 포함하는 지도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와 신청한 주차구획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점수를 해당 신청자에게 할당 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 외에도 신청자 정보의 거주기간 및 이전 주차 구획 추첨에서의 탈락횟수에 따른 가산 점수를 부과하여 동일 순위 내에서의 순위를 결정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도 동일 순위가 발생할 시에는 신청내역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여 난수 값의 정렬에 의하여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공정성을 높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원 DB(13)는 인터넷망(60)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구획 DB(14)는 상기 인터넷망(60)을 통해 주차구획을 신청한 신청자들에 대한 신청자 정보를 저장한다. 차량 DB(12)는 상기 주차구획 신청자들에 대해 상기 도면 1의 차량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저장한다. 이전 추첨자 DB(15)는 이전에 주차구획 사용을 신청했던 신청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에는 신청자의 탈락횟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추첨 DB(16)는 구획 신청자들에 대한 검증 및 우선순위 할당 그리고 가산점수가 부가된 상태의 신청자 정보를 저장한다. 지도정보 DB(58)는 상기 지도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8)는 인터넷망(6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Interface) 한다. 입력부(57)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관리자에 의한 추첨 개시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타이머에 의한 일정 주기 단위로 추첨 개시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57)는 상기 관리자 또는 일정 주기 단위로 신청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신청자 정보 갱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1)는 주차구획 추첨을 위한 정보 데이터들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주차구획 추첨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는 구획 주차구획 신청자에 대해 상기 인터넷망(60)을 통한 검증을 수행한 신청자 정보를 구획 신청자 DB(14)에 저장한다. 우선순위 할당부(56)는 상기 표1과 같은 우선순위 결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1)의 제어를 받아 상기 구획 신청자 DB(14)에 저장되어 있는 검증된 신청자들에 대해 상기 우선순위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거리 계산부(5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지도 정보 DB(58)에 저장되어 있는 주차구획 신청자들 각각의 주소와 신청한 주차구획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신청자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와 거리가 계산되면 구획 신청자 DB(14)에 저장되어 있는 신청자 정보의 거주기간 및 이전 추첨자 DB(15)에 저장되어 있는 탈락회수 및 차량 DB(12)에 저장되어 있는 차랑의 배기량 정보에 따라 가산점수를 부과하여 추첨 DB(16)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가산점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산점수에 따라 당첨확률을 조절할 수 도 있다. 일정 기간 내에 신청한 모든 신청자들에 대해 검증 및 우선순위 할당 및 가산점수가 부가되면 데이터 처리부(11)는 신청자들의 수만큼 난수를 발생하여 신청자들 각각에게 할당하여 상기 추첨 DB(16)에 저장한다.
입력부(57)로부터 주차구획 추첨 개시 명령이 입력하면 데이터 처리부(11)는 주차구획 추첨부(19)를 제어하여 주차구획 수만큼 난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난수가 할당된 신청자들에 대한 당첨 및 낙첨 정보를 웹 서버DB(17)에 저장한다.
상기 웹 서버DB(17)에 당첨정보가 저장되면 신청자는 개인용 컴퓨터(20)를 이용하여 인터넷망(6)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추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추첨이 종료되면 상기 신청자들에 대한 당첨 및 낙첨 정보를 이전 추첨자 DB(15)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획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람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사이트 서비스 이용을 위한 최초 접속 시 회원가입을 하여야 한다. 이때 거주자, 사업자, 근무자로 구분하여 회원가입을 하게 되며, 거주자는 집주소, 근무자와 사업자는 각각 근무지와 사업장 주소가 해당 구에 있어야만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는 상기 도2의 회원 DB(13)에 저장된다. 하지만 회원가입 시 입력하는 주소는 해당구에 속하는 임의의 주소를 입력해도 회원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후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검증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청자 정보 요청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도 3을 참조하면, 신청자가 개인용 컴퓨터(20)를 이용하여 201단계에서 주차구획 신청을 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203단계에서 거주자 관리 서버(50)로 상기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거주자 정보를 요청받은 거주자 관리 서버(50)는 205단계에서 상기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206단계에서 차량 관리 서버(40)로 상기 신청자에 대한 차량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신청자에 대한 차량 정보를 요청받은 차량 관리 서버(40)는 상기 신청자에 대한 차량 저보를 207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한다. 상기 203단계 및 206단계의 정보 요청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청자 주차구획 추첨 우선순위 할당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우선순위 할당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우선순위 할당은 데이터 처리부(11)의 제어를 받아 우선순위 할당부(56)에 의해 수행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01단계에서 구획 신청자 DB(14)에 저장된 신청자 정보를 읽고, 503단계에서 상기 읽은 신청자 정보가 검증된 신청자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신청자 정보가 검증된 정보인지의 판단은 검증이 완료된 신청자 정보에 검증여부를 나타내는 검증 플래그를 두고 상기 검증 플래그 값을 검사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정보가 검증된 신청자 정보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05단계로 진행하고, 검증된 신청자 정보가 아니면 507단계로 진행하여 차량 관리 서버(40) 및 거주자 관리 서버(50)로 신청자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신청자 정보 요구 후 509단계에서 신청자 정보가 수신되면 5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5단계에서 거주 정보가 검출되면 우선순위 할당부(11)는 511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거주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 거주자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해당 지역의 거주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2단계에서는 상기 신청자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검출하고, 521단계로 진행한다. 521단계에서 우선순위 할당부(11)는 상기 차량 정보의 차량 번호와 상기 차량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구청에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상기 신정자 정보의 차량이 해당 구청에 등록된 차량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27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된 차량이 아니면 5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3단계에서 우선순위 할당부(56)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청자가 체납자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신청자가 체납자가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제4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추첨 DB(16)에 저장한다. 그러나 체납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5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청자를 추첨에서 제외한다.
상기 527단계로 진행하는 우선순위 할당부(11)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청자 정보의 차량이 영업용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이 영업용 차량이면 54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청자가 체납자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체납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상기 55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청자를 추첨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체납자가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11)는 551단계로 진행하여 제5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추첨 DB(16)에 저장한다.
상기 527단계에서 상기 신청자의 차량이 영업용 차량이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29단계에서 1가구 1차량만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1가구 1차량 등록자가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11)는 상기 523단계로 진행하여 체납자인지를 판단하고 체납자가 아니면 제4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526단계에서 추첨 DB(16)에 저장한다.
반면, 529단계에서 1가구 1차량 등록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31단계로 진행하여 할인 및 배정 우선 순위자인지를 판단한다. 할인 및 배정 우선 순위자는 국가 유공자 및 장애인 및 그 가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할인 및 배정 우선 순위자가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45단계로 진행하여 체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체납자가 아니면 547단계에서 제3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526단계에서 추첨 DB(16)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531단계의 판단 결과 할인 및 배정 우선 순위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37단계로 진행하여 승용차 자율 요일제 참가자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신청자가 승용차 자율 요일제 참가자이면 우선순위 할당부(56)는 541단계로 진행하여 체납자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체납자가 아니면 543단계에서 제1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526단계에서 추첨 DB(16)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54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체납자이면 55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청자를 추첨에서 제외한다.
상기 57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승용차 자율 요일제 참가자가 아니면 우선순위 할당부(11)는 539단계로 진행하여 제2순위 우선자로 등록하고 526단계에서 추첨 DB(16)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청자 가산점수 부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하 도5를 참조하여 가산점수 부가 방법을 설명한다.
데이터 처리부(11)는 601단계에서 추첨 DB(16)로부터 신청자 정보를 읽고, 603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신청자 정보의 주소와 지도 정보 DB(58)로부터 상기 주소 및 신청 주차구획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읽어 거리 계산부(55)로 출력한다. 거리 계산부(55)는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의 주차구획의 좌표와 신청자 주소의 좌표를 계산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좌표가 계산되면 거리 계산부(55)는 605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주소 좌표와 구획좌표에 의해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로부터 주차구획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거리계산부(55)로부터 신청자의 거주지 주소로부터 주차구획 간의 거리를 입력받고 607단계에서 상기 거리에 따른 거리 점수를 부여한다.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 점수는 표1과 같이 줄 수도 있고, -6점/미터 단위로 줄 수도 있다.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점수가 부과된 후 데이터 처리부(11)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추첨자 DB(15)에서 상기 신청자의 이전 추첨 자료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이전 추엄자 DB(15)에 상기 신청자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데이터 처리부(11)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상기 신청자가 낙첨된 적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낙첨된 적이 없으면 데이터 처리부(11)는 617단계로 진행하고 낙첨된 적이 있으면 613단계로 진행한다. 613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신청자에게 탈락 횟수 당 점수를 부여하고 617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1회 탈락당 3점 등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617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11)는 주차구획 신청자들의 수만큼 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난수들 중 하나를 상기 신청자에게 할당한 후 619단계에서 신청자 정보를 추첨 DB(16)에 저장한다. 상기 신청자 정보에는 우선순위 및 가산점수 및 난수값이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1)는 입력부(57)로부터 추첨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주차구획 추첨부(19)로 추첨을 시작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주차구획 추첨부(19)는 701단계에서 공영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대해 추첨을 수행한다. 상기 추첨은 상기 주차구획 수만큼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를 갖는 신청자를 당첨자로 간주한다. 상기 공영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대한 추첨이 종료되면 주차구획 추첨부(19)는 703단계에서 상기 추첨 결과를 추첨 완료 DB(59)에 저장한다. 상기 703단계 후 주차구획 추첨부(19)는 일반 주차구획 신청자 추첨을 수행한다. 상기 일반 주차구획 추첨 또한 상기 공영 주차장 추첨과 동일하다. 상기 일반 주차구획 추첨 후 707단계에서 공영 주차장 중 후순위 신청자를 추첨한다.(어떤 경우에 추첨하는지요? 일반구획이 남아 있을 경우 하는 건지요?) 상기 추첨이 완료되면 주차구획 추첨부(19)는 데이터 처리부(11)를 통해 추첨 완료 DB(59)에 저장하고 상기 추첨 완료 DB(59)에 저장된 추첨 정보들을 711단계에서 웹 서버 DB(17)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구획 추점 시 인터넷을 통해 주차구획을 추첨함으로써 구청 등의 직원이 직접 신청자가 제출한 제출 서류를 검토하여 주차구획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인원으로 적은 시간을 투자하여 추첨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신청자 정보를 받음으로써 신청자가 구청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차구획을 신청한 신청자 정보들을 인터넷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주차구획 추첨에 대해 신청자에게 투명성 및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추첨에 적용 될 수 있는 배정기준을 구분지어 모듈화 함으로써 각 구청별 배정기준의 상이함 대처와 이미 시행하고 있던 구청내의 배정기준이 변하였을때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인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가 아닌 다른 추첨과정이 필요한 작업에서의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신청정보 및 추첨정보를 DB로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할시 최초 신청 이후 동일한 신청의 반복 작업 없이 검증과정부터 바로 시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듈화 방법과 DB저장방법을 이용한 체납자 자료 및 승용차 자율요일제 적용방법과 같이 추첨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지만, 결합함으로써 부수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정보 획득 절차를 타나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주차구획 추첨 순위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가산점 부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획 추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9)

  1. 인터넷 망과 연결되고, 복수의 주차구획 신청자들에 대해서 주차구획을 배정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속하는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변동 사항들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 서버;
    특정 지역의 거주자를 특정하기 위한 거주자 정보(거주지 정보를 포함한다)를 저장하는 거주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거주자 정보의 변동 사항을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 서버와;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요구에 따라 해당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도정보 서버; 및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신청자의 거주자 정보, 및 차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거주자 정보를 상기 거주자 관리 서버에 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 및 검증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저장된 차량 정보와 비교 및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신청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전에 정해진 방식에 따라 순위를 부여하고, 그리고 상기 부여된 순위들 중에서 사전에 정해진 순위에 속하는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주차구획을 추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신청자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동일한 신청자들에 대하여 상기 신청자의 거주자 정보와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차구획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지형 데이터를 상기 지도정보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지도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된 지도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신청자의 거주지로부터 주차구획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구획을 상기 신청자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검증된 신청자들을 사전에 정해진 순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추첨 데이터베이스;
    주차구획을 신청한 신청자들에 대한 상기 신청자 정보를 저장하는 구획 신청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신청자의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추첨된 신청자들에 대한 당첨 정보를 저장하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를 저장하는 거주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인터페이싱 하는 데이터 처리부;
    주차구획 신청 요구 정보 수신시 신청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거주자 정보를 상기 거주자 관리 서버의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고 상기 신청자 정보의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의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신청자 정보에 따라 순위를 할당하는 우선순위 할당부;
    상기 거주지 주소와 주차구획의 위치에 대한 수치 지형도와 지번도를 상기 지도정보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신청자 주소와 신청 주차구획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점수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 및
    상기 우선순위 할당부에서 할당된 순위별로 속하는 신청자들에 대해 상기 거리에 따른 가산점수를 반영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주차구획 추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구획 추첨부는 상기 동일 순위 신청자들 중에서 거리계산에 의하여 가산된 점수가 동일한 신청자들에게 난수를 할당하고 상기 난수에 의한 추첨을 수행하는 주차구획 추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전 신청자들에 대한 당첨 및 낙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전 신청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차구획 추첨부가 낙첨 횟수에 따른 가산점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가산점수를 반영하여 추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 정보가 거주기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6. 인터넷 망을 통하여 주차구획을 신청하는 복수의 신청자들에 대해서 상기 주차구획을 추첨하여 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속하는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특정 지역의 거주자를 특정하기 위한 거주자 정보(거주지 정보를 포함한다)를 저장하는 거주자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구축하여 서버를 통하여 관리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신청자로부터 신청자의 거주자 정보, 차량정보, 및 주차구획을 신청한다는 취지의 신청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구획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에 대한 거주자 정보와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거주자 정보와 차량 정보를 각각 요구하고;
    상기 거주자 정보 및 차량 정보의 요구에 응답하여 수신된 정보와 상기 신청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하고;
    검증된 신청자에 대해서 사전에 정해진 방식으로 순위를 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순위들 중에서 우선하는 순위에 대해 상기 주차구획을 추첨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정된 순위들 중에서 동일한 순위에 복수의 신청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동일한 순위에 속하는 신청자들 각각이 속하는 거주자 정보와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차구획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지형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에 요청하고,
    전송된 지도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신청자들 각각의 거주지로부터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차구획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차구획을 상기 신청자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거리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점수를 각각 부가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된 거리에 따라 부가된 점수가 동일한 신청자에 대하여 추첨탈락회수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점수를 상기 거리에 따라 부가된 점수에 각각 누진하여 상기 누진된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차구획을 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진된 점수가 동일한 신청자들에 대하여 난수를 각각 생성하여 할당하고 상기 난수에 의해 추첨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구획 추첨 방법.
KR1020040065924A 2004-08-20 2004-08-20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KR10049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924A KR100494660B1 (ko) 2004-08-20 2004-08-20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924A KR100494660B1 (ko) 2004-08-20 2004-08-20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660B1 true KR100494660B1 (ko) 2005-06-13

Family

ID=3730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924A KR100494660B1 (ko) 2004-08-20 2004-08-20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35B1 (ko) 2019-04-01 2020-08-03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활용한 추첨 방법
KR20200116434A (ko) 2020-07-28 2020-10-12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활용한 추첨 방법
KR20200145113A (ko) 2019-06-20 2020-12-30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분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35B1 (ko) 2019-04-01 2020-08-03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활용한 추첨 방법
KR20200145113A (ko) 2019-06-20 2020-12-30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분배 방법
KR20200116434A (ko) 2020-07-28 2020-10-12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활용한 추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chardson et al. Survey methods for transport planning
Nall The road to inequality: how the federal highway program polarized america and undermined cities
CN109074622A (zh) 确定运输服务路线的系统及方法
Ewing et al. Predicting transportation outcomes for LEED projects
Zacharias Non-motorized transportation in four Shanghai districts
Wang et al. How much is trust: The cost and benefit of ridesharing with friends
Hunter et al. Communities do ac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resource mobilization, and political action by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Næss et al. Which D's are the important ones? The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driving distance in Oslo and Stavanger
Warnes Transport infrastructure improvements and spatial sorting: Evidence from buenos aires
Bienzeisler et al. Development of an agent-based transport model for the city of hanover using empirical mobility data and data fusion
Hu et al. Analysis of shared parking demander’choice behavior based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KR100494660B1 (ko) 주차구획 추첨 시스템 및 방법
Zhao et al. FSUTMS mode choice modeling: factors affecting transit use and access
CN114202249B (zh) 社区生活圈公共服务设施空间供需平衡模型的构建方法
Kheirkhah et al. Elements and indicators of urban form: A meta-synthesis study
Cao et al. Transportation impact of transitways: A case study of Hiawatha light rail transit in Minneapolis
Khalik Al-Tae et al. Prediction analysis of trip production using cross-classification technique
Srivastava et al. Geo-spatial analysis of truck parking needs
Jelokhani-Niaraki et al. Participatory Assessment of urban land uses: a map-based voting approach
SOBHANI et al.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Parking Demand in Developing Cities
McCormack A chained-based exploration of work travel by residents of mixed land-use neighborhoods
Gujo Evaluation Of Urba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Transportation System Interaction In Hawassa City (A Case Study: Tabor Sub City)
Arhab et al. Toward Car Parking Wellbeing Index.
Vu et al. Economic impacts of access management
Korporaal Daily travel behaviour amongst residents in the north of the Netherlands: Assessing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psychosocial, and built environment f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