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187B1 - Belt-shaped grinding tool - Google Patents

Belt-shaped grind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187B1
KR100494187B1 KR10-2003-0036969A KR20030036969A KR100494187B1 KR 100494187 B1 KR100494187 B1 KR 100494187B1 KR 20030036969 A KR20030036969 A KR 20030036969A KR 100494187 B1 KR100494187 B1 KR 10049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belt
ai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1349A (en
Inventor
미키야도시오
기시가츠노부
오야마쇼코
Original Assignee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1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2Accessories for producing a reciprocation of the grinding belt normal to its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벨트의 회전방향, 연삭벨트의 구동, 정지를 1개의 에어밸브로 실시할 수 있는 벨트식 연삭공구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type grinding tool that can perfor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the driving and stopping of the grinding belt with one air valve,

하우징에 진퇴 자유롭게 부착한 텐션바의 선단에 부설한 종동풀리와 하우징내에 부착한 에어모터에 부설한 구동풀리의 사이에 무단의 연삭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삭벨트를 상기 에어모터로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한 벨트식 연삭공구이며, 상기 벨트식 연삭공구의 하우징에 상기 에어모터로의 급배기를 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를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에어모터를 회전 또는 정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전진시킨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에어모터의 회전을 정전 또는 역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ndless grinding belt is installed tightly between the driven pulley attached to the tip of the tension bar freely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drive pulley attached to the air motor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grinding belt is rotated by the air motor. It is a belt-type grinding tool that can be installed, the valve of the belt-type grinding tool to the air motor supply and exhaust to the air motor is installed, the air motor can be rotated or stopped by advancing or retracting the valv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peration to the right or left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is advanced to stop or reverse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Description

벨트식 연삭공구{BELT-SHAPED GRINDING TOOL}Belt Grinding Tools {BELT-SHAPED GRINDING TOOL}

본 발명은 한쌍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에 의하여 긴장시켜서 팽팽하게 설치된 무단연삭벨트를 구비한 벨트식 연삭공구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연삭벨트의 회전방향, 연삭벨트의 구동, 정지를 1개의 밸브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전환할 수 있으며,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의 작업자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불합리 없이 연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벨트식 연삭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type grinding tool having an endless grinding belt which is tensioned by a pair of driven pulleys and a driving pulley, and in particular, one valve is operated to rotate the grinding belt, to drive and stop the grinding be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type grinding tool that can be simply switched and that the grinding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irrationality in either right- or left-handed workers.

종래 공지의 벨트식 연삭공구의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있어서, “101”은 그립, “102”는 그립과 일체의 원동기(에어모터), “103”은 구동롤러(구동풀리), “104”는 스프링을 내장하는 아암, “105”는 해당 스프링에 가압되는 텐션로드(텐션바), “106”은 해당 로드에 부착된 종동롤러(종동풀리)(107)의 지지아암, “108”은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린 연삭벨트, “109”는 슈, “110”은 벨트커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벨트식 연삭공구에서는 오른손으로 그립을 쥐고, 원동기(102)를 구동하여 연삭벨트(108)를 회전시키면서 도시하지 않는 피연삭물의 표면에 벨트를 얹어서 피연삭물의 표면을 연삭한다.Referring to Fig. 9,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ly known belt-type grinding tool will be described. In the drawing, “101” is a grip, “102” is a gripper and an integral prime mover (air motor), and “103” is a driving roller (driving). Pulley), “104” is an arm with a built-in spring, “105” is a tension rod (tension bar) pressurized to the spring, and “106” is a support arm of a driven roller (driven pulley) 107 attached to the rod. "108" is a grinding belt clamped tightly between a driving roller and a driven roller, "109" is a shoe, and "110" is a belt cover. In the belt-type grinding too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rip is held by the right hand, the prime mover 102 is driven to rotate the grinding belt 108, and the belt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not shown) to grind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트식 연삭공구는 통상 오른손잡이의 작업자에 맞추어서 그립과 연삭벨트의 위치관계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왼손잡이의 작업자가 이 연삭공구를 사용한 경우 그 사용형태가 부자연한 상태로 된다. 즉 왼손잡이의 작업자는 잘 쓰는 쪽의 왼손으로 그립을 쥐고 연삭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시에 벨트위치가 왼손보다도 더욱 좌측으로 되어 연삭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 벨트식 연삭공구의 그립을 180도 회전시켜서(도면의 상태에 있어서, 그립이 바로 앞이 되어 연삭벨트가 도면의 위에 오는 상태) 왼손으로 그립을 쥐고 작업을 실시하려 하면 연삭벨트와 그립의 부착각도나 위치관계에서 연삭벨트를 연삭부위에 얹었을 때의 자세가 부자연하게 되어 작업을 하기 어렵다. 또 종래의 벨트식 연삭공구에서는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이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희망하는 회전방향으로 선택할 수 없어서 유용성이 나쁘다. 또한 연삭벨트가 끊어지거나 마모하여 연삭벨트를 교환하는 경우, 이 벨트식 연삭공구에서는 손으로 텐션로드를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밀어넣어 둘 필요가 있어서 벨트교환작업을 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elt-type grinding tool as described above usually set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 and the grinding belt in accordance with the right-handed worker, so that the use of the grinding tool by the left-handed worker becomes unnatural. That is, the left-handed worker performs the grinding work by holding the grip with the left hand of the well-used side, and thus the belt position becomes more left than the left hand, so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the grinding work. In addition, if the grip of the belt-type grinding tool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state of the drawing, the grip is directly in front of the drawing belt and the grinding belt is on the top of the drawing), the grinding belt and the grip are attached when the grip is carried out with the left hand. It is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posture becomes unnatural when the grinding belt is placed on the grinding part at an angle or positional relationship.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belt type grinding tool, sinc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is constant, the operator cannot select the desired rotational direction, which is poor in usability. In addition, when the grinding belt is replaced due to breakage or wear of the grinding belt, the belt grinding tool needs to push the tension rod against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spring by hand, thus making it difficult to replace the belt. .

그래서 본 발명은 1개의 밸브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에어모터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삭벨트교환시에는 텐션바를 고정할 수 있는 록기구를 채용한 벨트식 연삭공구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형의 벨트식 연삭공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벨트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텐션풀리를 갖는 오프셋블래킷의 위치를 상하로 용이하게 갈아 붙일 수 있는 벨트식 연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l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by simply operating one valve, and can stop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t any position, and can also fix the tension bar when replacing the grinding bel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lt-type grinding tool employing a lock mechanism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elt-type grinding tool.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lt grinding tool that can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offset bracket having a tension pulley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belt.

본 발명은 1개의 밸브를 전진시켜서 더욱 회전시키는 것으로 에어의 흐름을 전환하여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을 정전(正轉) 또는 역전(逆轉)시킬 수 있으며, 또 밸브를 후퇴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에어의 흐름을 차단하여 연삭벨트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벨트연삭공구에서는 연삭공구 자체의 방향을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에 맞추어서 상하 역방향으로 해도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성이 좋다. 따라서 특히 왼손잡이의 작업자이어도 오른손잡이의 작업자와 같은 사용감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연삭벨트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텐션바를 밀어넣어서 그 상태를 록하는 것만으로 텐션바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서 연삭벨트교환의 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can be changed by moving one valve forward to further rotate the electrostatic or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and the air flow simply by retracting the valve. It is design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belt by blocking the. For this reason, in this belt grinding tool,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grinding tool itself is set to the left-handed or the right-hande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can be freely selected, which is very useful. Therefore, even a left-handed worker can work in the same sense of use as a right-handed worker. When the grinding belt needs to be replaced, the tension bar can be fixed simply by pushing in the tension bar and locking the state so that the grinding belt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해결수단은,Technical solution employ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하우징에 진퇴 자유롭게 부착한 텐션바의 선단에 부설한 종동풀리와 하우징내에 부착한 에어모터에 부설한 구동풀리에 무단의 연삭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삭벨트를 상기 에어모터로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한 벨트식 연삭공구이며, 상기 벨트식 연삭공구의 하우징에 상기 에어모터로의 급배기를 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를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에어모터를 회전 또는 정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전진시킨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에어모터의 회전을 정전 또는 역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An endless grinding belt can be tightly installed on the driven pulley attached to the tip of the tension bar freely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drive pulley attached to the air motor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grinding belt can be rotated by the air motor. It is a belt-type grinding tool, and the valve of the belt-type grinding tool is provided for the supply and exhaust of the air motor, the air motor can be rotated or stopped by advancing or retracting the valve, It is a belt 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peration to the right or left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is advanced to electrostatically or reverse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또 상기 밸브는 에어의 급기통로와 에어의 배기통로를 형성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회전불능, 슬라이딩 자유롭게 부착한 밸브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밸브본체측에 형성한 급기통로를 에어원에 연통하는 환상의 홈과, 환상의 홈의 양측에는 에어원을 차단하는 시일링과, 상기 밸브본체의 축방향에 형성한 가이드홈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돌기를 형성하고, 밸브링을 밸브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서 전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환상의 홈을 통하여 상기 급기통로가 에어원과 연통하고, 이 상태에서 밸브링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돌기를 통하여 밸브본체도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한 급기통로를 하우징내에 부착한 에어모터의 급배기구멍에 연통하고, 에어모터를 정전 또는 역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The valve is composed of a valve body formed with an air supply passage and an air exhaust passage of the air, and a valve ring freely rotatable and slidably attached to the valve body, and formed on the valve body sid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ring. An annular groove for communicating the air supply passage to the air source, a sealing ring for blocking the air source on both sides of the annular groove, and a projection for sliding freely fitting in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The air supply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air source through the annular groove by advancing the r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valve body, and in this state, the valve body also interlocks through the projection by rotating the valve ring to the right or left side. And the air supply passage formed in the valve body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 exhaust hole of the air motor attached in the housing. A belt-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o a power failure or inversion.

또 상기 밸브링의 일단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대향하는 하우징의 단부내주면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에 상기 스토퍼가 지날 수 있는 통과부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링은 상기 스토퍼가 통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만 밸브링의 전진이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밸브링은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스토퍼가 상기 경사면을 넘어서 밸브링을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An end of the valve ring is provided with a stopper made of an elastic body, and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te housing, and a pass portion through which the stopper can pass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advance the valve ring only when the stopper is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assage, and the valve ring allows the stopper to retract the valve ring over the inclined surface at any position. Grinding tool.

또 상기 하우징의 단부내주면에는 상기 통과부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링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housing is a belt 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a ring member having the passag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is attached.

또 상기 텐션바에는 텐션바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텐션바를 록할 수 있는 록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The tension bar is a belt 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that can lock the tension bar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bar is pushed in.

또 상기 하우징의 구동풀리근처측에는 텐션풀리를 갖는 오프셋블래킷이 하우징에 위치를 바꾸어서 착탈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다.In addition, an offset bracket having a tension pulley near the drive pulley of the housing is a belt type grinding tool,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by changing its posi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벨트식 연삭공구의 평면도, 도 2는 동 측면도, 도 3은 도 2 중 A-A단면도, 도 4(가)∼(다)는 텐션바의 록기구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도, 도 5는 에어모터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6(가), (나)는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링 및 밸브본체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밸브본체의 도면이며, (가)는 평면도, (나), (다)는 단면도, (라)는 측면도, 도 8(가)∼(다)는 밸브의 작동설명도이며, 실린더의 단면과 밸브본체에 의한 급기, 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IG. 1 is a top view of the belt type grinding tool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FIG. 2 is the same side view, FIG. 3 is AA sectional drawing of FIG. 2, FIG. (A) to (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of the tension bar,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motor portion, and FIG. 6 (a) and (b) are the valve rings and the valve body constituting the valve. Fig. 7 is a view of the valve body, (a) is a plan view, (b) and (c) is a cross-sectional view, (d) is a side view, and Figs. It is explanatory drawing and is an exploded view which shows the state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by the cross section of a cylinder and a valve main body.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벨트식 연삭공구(이하 연삭공구라 한다)는 연삭벨트를 홀딩하는 텐션기구(T),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팽팽하게 설치된 연삭벨트(B), 연삭벨트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에어모터(A)를 내장한 그립(G), 에어모터(A)로 에어를 급기하는 동시에, 에어모터(A)로부터의 배기를 실시하는 밸브(V)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립(G)에 부착한 밸브(V)를 조작하는 것으로 에어모터(A)의 회전을 정전 또는 역전시켜서 연삭벨트를 작업자의 바로 앞방향 또는 앞쪽방향으로 회전을 선택하여 피연삭물의 표면을 연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로 나누어서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belt-type grinding to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ind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nsion mechanism (T) for holding a grinding belt, a grinding belt (B) tightly installed on a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nd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nding belt. Grip (G) with built-in air motor (A), valve (V)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motor (A) and exhausting from the air motor (A), and the like (G) By operating the valve (V) attached to the valve,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 can be reversed or reversed, and the grinding belt can be selected to rotate in the forward or forward direction of the operator to grind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t i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each component.

[텐션기구][Tension mechanism]

도 2, 도 3에 있어서, “1”은 텐션바이며, 그 선단에는 종동풀리(2)를 회전 자유롭게 홀딩하는 풀리홀딩부재(3)가 부착되어 있다. 풀리홀딩부재(3)는 텐션바(1)의 선단에 축(4)에 의해 도 3 중 상하(화살표)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동각을 조정하기 위한 나사(5), 조정나사(6) 및 스프링(7)이 양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조정나사(6)를 스프링(7)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비틀어넣거나 또는 느슨하게 함으로써 풀리홀딩부재(3)는 축(4)을 지점으로 하여 각도가 조정되고, 이에 따라 연삭벨트(B)를 텐션바(1)의 센터상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나사(5)로 풀리홀딩부재(3)가 조정된 각도로 고정된다.2 and 3, "1" is a tension bar, and a pulley holding member 3 for rotatably holding the driven pulley 2 is attached to the tip thereof. The pulley holding member 3 is freely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tension bar 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row) in FIG. 3 by the shaft 4, and the screw 5 for adjusting the swing angle is adjusted. The screw 6 and the spring 7 are provided between them.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ngle of the pulley holding member 3 is adjusted with the shaft 4 as the point by twisting or loosening the adjusting screw 6 against the elastic bearing force of the spring 7 in FIG. The grinding belt B can thus be positioned on the center of the tension bar 1. At this time, the pulley holding member 3 is fixed at an adjusted angle with the screw 5.

종동풀리(2)와는 반대측의 텐션바(1)의 단부는 하우징(8)에 설치한 긴 구멍(8c)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으며, 긴 구멍(8c)의 선단에는 통부재(9)가 하우징(8)에 대하여 나사(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통부재(9)에는 텐션바(1)의 축심과 평행하게 노치부(11)(도 3 중 상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부(11)내에 텐션바(1)에 부착한 핀(12)이 삽입되고, 이 핀(12)에 의하여 텐션바(1)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end of the tension bar 1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riven pulley 2 is inserted freely in the long hole 8c provided in the housing 8, and the tube member 9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long hole 8c. It is fixed by the screw 10 with respect to (8). Moreover, the notch part 11 (upper and lower in FIG. 3) is formed in the cylinder member 9 in parallel with the axis center of the tension bar 1, and the pin attached to the tension bar 1 in this notch part 11 ( 12) is inserted, and the pin 12 prevents the tension bar 1 from rotating around the shaft center.

도 3, 도 4에 있어서, 하우징(8)의 긴 구멍(8c)에 삽입된 텐션바(1)의 일단(도면 중 우측)에는 소직경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직경부(13a)와 대직경부(13b)의 단차부에는 원주홈(14)이 형성되고, 또 텐션바(1)의 단부에는 복수의 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바(1)의 도면 중 우측단부에는 스프링받침부재(16)가 배치되고, 그 스프링받침부재(16)와 하우징(8)의 사이에는 텐션스프링(17)이 배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8)에는 도 4(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의 푸쉬버튼(18)이 배치되고, 이 푸쉬버튼(18)을 관통하여 텐션바(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푸쉬버튼(18)은 스프링(19)에 의하여 도면 중 아래쪽으로 탄성지지되어 있으며, 연삭벨트(B)를 붙인 사용상태인 때에는 도 4(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션바(1)의 소직경부(13a)에 맞닿는 상태로 되어 있다.3 and 4, a small diameter portion 13a is formed at one end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tension bar 1 inserted into the long hole 8c of the housing 8, and this small diameter portion 13a is formed. The circumferential groove 14 is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3b,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tension bar 1. In addition, a spring support member 16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tension bar 1, and a tension spring 17 is dispos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member 16 and the housing 8.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an L-shaped push button 18 is disposed in the housing 8, and a tension bar 1 is disposed through the push button 18. As shown in Figs. The push button 18 is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19, and when the grinding belt B is in use,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tension bar 1 as shown in Fig. 4 (b). It is in the state of contacting 13a.

상기 구성에 의해 연삭벨트(B)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텐션바(1)를 텐션스프링(17)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밀어넣어 가면 상기 소직경부(13a)와 대직경부(13b)의 단차부에 형성된 상기 원주홈(14)이 푸쉬버튼(18)의 위치에 왔을 때에 푸쉬버튼(18)이 스프링(19)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원주홈(14)내에 떨어지고(도 4(가) 참조), 텐션바(1)의 움직임을 록시킨 상태에서 연삭벨트(B)를 교환한다. 또 작업 중에 연삭벨트(B)가 절단된 경우에는 텐션스프링(17)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도 4(나)의 상태로부터 텐션바(1)가 도면 중 왼쪽으로 튀어나가려고 하는데, 텐션바(1)의 단부에 설치한 복수의 돌기(15)가 푸쉬버튼(18)에 걸리기 때문에(도 4(다) 참조) 텐션바(1)의 튀어나옴이 방지된다. 또한 교환한 연삭벨트(B)를 팽팽하게 설치한 상태(도 4(나)의 상태)로 되돌리는 데는 푸쉬버튼(18)을 스프링(19)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밀어넣으면 푸쉬버튼(18)이 상기 원주홈(14)으로부터 벗어나서 텐션바가 도면 중 왼쪽으로 슬라이딩하고, 도 4(나)의 상태로 복귀한다.In the case of replacing the grinding belt B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ension bar 1 is pushed against the elastic bea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7 so that the stepped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3a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13b is moved. When the formed circumferential groove 14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18, the push button 18 falls into the circumferential groove 14 by the elastic bearing force of the spring 19 (see Fig. 4 (a)), and the tension Replace the grinding belt (B) while locking the movement of the bar (1). In addition, when the grinding belt (B) is cut during operation, the tension bar (1) tries to pop out to the left in the draw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B)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7), the tension bar (1) Sin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5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ok is caught by the push button 18 (see FIG. 4 (C)), the tension bar 1 is prevented from popping out. In addition, the push button 18 is pushed against the elastic bearing force of the spring 19 to return the replaced grinding belt B to the state in which the replaced grinding belt B is tightened (Fig. 4 (b)). The tension bar slid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from the circumferential groove 14, and returns to the state of FIG.

도 2에 있어서, 하우징(8)에는 연삭벨트(B)와 텐션바(1)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서 피가공물(도시하지 않음)의 곡면을 연삭가공하기 위한 텐션풀리(2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오프셋블래킷(21)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오프셋블래킷(21)은 텐션풀리(20)측이 コ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コ자형의 양측면의 플레이트(21a, 21b)를 하우징(8)의 가이드홈(22)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신장되어 있고, 하우징(8)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2에서는 오프셋블래킷(21)이 도면 중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하우징(8)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오프셋블래킷(21)은 도 2 중 아래쪽으로 빼내고, 하우징(8)으로부터 떼어내며, 텐션풀리(20)를 상측으로 하여 다시 오프셋블래킷(21)을 하우징(8)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끼워넣을 수 있다(이 경우는 왼손잡이의 작업자가 연삭공구를 180도 반전하여 사용한다). 또한 오프셋블래킷(21)의 양측플레이트(21a, 21b)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3, 23)를 설치하고, 하우징(8)측에 끼워맞춤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해 두는 것으로 오프셋블래킷(21)을 끼워넣고, 상기 돌기(23)를 하우징(8)측의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것으로 오프셋블래킷(21)의 하우징(8)으로의 위치결정과 오프셋블래킷(21)의 하우징(8)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락방지를 위한 돌기(23)나 끼워맞춤오목부를 오프셋블래킷(21) 또는 하우징(8)의 어느 쪽에 설치하는지는 설계시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In Fig. 2, the housing 8 is provided with a space between the grinding belt B and the tension bar 1 to freely rotate the tension pulley 20 for grind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workpiece (not shown). The supported offset bracket 21 is attached. The offset bracket 21 has a U-shape on the tension pulley 20 sid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22 of the housing 8 on both sides of the U-shaped plates 21a and 21b. It is extended and can be attached to the housing 8 (in FIG. 2, the offset bracket 21 is fitted to the housing 8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the figure). This offset bracket 21 is pulled downward in FIG. 2, removed from the housing 8, and the offset bracket 21 is moved upwar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8 again with the tension pulley 20 upward. (In this case, the left-handed worker reverses the grinding tool 180 degrees.) In addition, the projections 23 and 23 protruding inward are provided on both side plates 21a and 21b of the offset bracket 21, and the fitting recess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housing 8 side to offset them. Positioning of the offset bracket 21 into the housing 8 and positioning of the offset bracket 21 by fitting the bracket 21 and fitting the protrusion 23 into the recessed portion on the housing 8 side. Falling out of the housing 8 can be prevented. Either of the offset bracket 21 or the housing 8 for mounting the projection 23 or the fitting recess for preventing such fallout can be freely set at design time.

[에어모터][Air motor]

에어모터는 종래의 연삭공구와 똑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에어가 공급되면 모터내의 블레이드를 갖는 로터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서 구동풀리를 통하여 연삭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air moto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grinding tool, and when air is supplied, the rotor having the blades in the motor rotates, thereby rotating the grinding belt through the driving pulley.

도 5에 있어서, 에어모터(A)는 하우징(8)내에 부착한 내경이 편심한 실린더(24)와, 그 실린더(24)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한 블레이드(25a)를 갖는 로터(25)와, 실린더(24)의 양측으로부터 로터(25)를 끼워넣는 플레이트(24c, 24d)에 의하여 구성되고, 로터(25)의 양단의 축(26)은 플레이트(24c, 24d)에 설치된 축받침(27)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25)의 한쪽측(도면에서는 아래쪽측)축(27)의 단부에는 구동풀리(28)가 너트(2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구동풀리(28)와 상기한 텐션바(1)의 선단에 설치한 종동풀리(2) 및 텐션풀리(20)에 무단의 연삭벨트(B)가 부착된다(도 1 참조).In FIG. 5, the air motor A includes a rotor 24 having an inner diameter eccentrically attached to the housing 8, a blade 25a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cylinder 24, and It is comprised by the plates 24c and 24d which insert the rotor 25 from both sides of the cylinder 24, The shaft 26 of the both ends of the rotor 25 is the bearing 27 provided in the plates 24c and 24d. It is axially supported by. The drive pulley 28 is fixed to the end of one side of the rotor 25 (lower side in the figure) by the nut 29, and the drive pulley 28 and the tension bar 1 described above. An endless grinding belt B is attached to the driven pulley 2 and the tension pulley 20 installed at the tip of the head (see Fig. 1).

실린더(24)에는 에어를 급기, 배기하는 구멍(24a, 24b)(후술하는 밸브기구 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실린더(24)의 외주와 하우징(8)의 사이에는 에어를 배기하기 위한 유로(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측의 하우징(8)의 벽에는 이 에어모터(A)에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기 위한 2군데의 구멍(8a, 8a)(후술하는 도 8 참조)과, 상기 유로(30)와 연통하는 배기구멍(31, 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2군데의 구멍(8a, 8a)에 대향하여 후술하는 밸브(V)의 밸브본체(33)가 배치된다. 이 에어모터(A)에서는 밸브(V)를 조작하면 에어모터(A)내에 에어가 공급되고, 로터(25)를 회전시킨다. 실린더(24)내에 공급된 에어는 블레이드(25a)를 갖는 로터(25)를 회전한 후 유로(30)를 통하여 배기구멍(31)과 배기되는 측의 구멍(8a)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구동풀리(28)의 외측(도 5 중 아래쪽측)에는 연삭벨트(B) 교환 등을 위해 떼어낼 수 있는 커버(32)가 나사(32A)(도 3 참조)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The cylinder 24 is provided with holes 24a and 24b (described in detail in the valve mechanism described later) for supplying and exhausting air,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24 and the housing 8. A flow path 30 for evacuating is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8 on the opposite side, two holes 8a and 8a (see FIG. 8 to be described later) for supplying or exhausting air to the air motor A are connected to the flow path 30. The exhaust holes 31 and 31 are formed, and the valve main body 33 of the valve V mentioned later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se two holes 8a and 8a. In this air motor A, when the valve V is operated, air is supplied to the air motor A, and the rotor 25 is rotated. The air supplied in the cylinder 24 rotates the rotor 25 having the blades 25a,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from the exhaust hole 31 and the hole 8a on the side of the exhaust through the flow path 30. It is. In addition, a cover 32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drive pulley 28 (lower side in FIG. 5) for replacing the grinding belt B or the like is detachably attached by a screw 32A (see FIG. 3). .

[밸브기구][Valve Mechanism]

도 6, 도 7, 도 8에 있어서 밸브(V)는 상기한 에어모터(A)로 에어를 급기, 배기하기 위한 것이며, 밸브본체(33)와 밸브링(34)으로 구성되고, 밸브링(34)은 밸브본체(33)의 외주에 상대회전 불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밸브링(34)을 밸브본체(33)상에서 전진시키면 에어를 밸브본체(33)를 통하여 에어모터(A)로 급기 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한 밸브링(34)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밸브본체(33)도 연동하여 회전하며, 밸브본체(33)로부터 에어를 에어모터(A)로 급기할 수 있게 된다(상세구성은 후술한다).In FIG. 6, FIG. 7, FIG. 8, the valve V is for supplying and exhausting air to the above-described air motor A, and is composed of a valve body 33 and a valve ring 34, and the valve ring ( 34 is not rotatable relativ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3 and is attached freely sliding.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valve ring 34 is advanced on the valve body 33, air is supplied to the air motor A through the valve body 33, and the valve ring 34 is advanced. When rotated, the valve main body 33 also rotate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whereby air can be supplied from the valve main body 33 to the air moto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밸브본체(33)는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본체(33)의 일단이 고정링(35) 및 링너트(36)에 의해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하우징(8)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본체(33)의 중앙부에는 제 1 급기통로(37), 제 2 급기통로(38)가 형성되고, 각 급기통로(37, 38)에는 밸브본체(33)의 외주에 연통하는 연통구멍(39, 4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급기통로(38)는 그 출구주위에 시일링(4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시일링(41)을 통하여 급배기용의 2개의 구멍(8a)(도 8의 우측전개도 참조)을 갖는 하우징(8)의 면과 맞닿아 있다(도 6 참조). 도 6에서는 하우징(8)의 위절반에 급배기구멍(8a)을, 또 아래절반부분에 배기구멍(31)을 도시시키고 있다.The valve main body 33 has the shape shown in FIG. 7, and as shown in FIG. 6, one end of the valve main body 33 is freely rotated about the shaft center by the fixing ring 35 and the ring nut 36. It is fixed to (8).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37 and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body 33, and the communication holes 39 communicate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3 in each of the air supply passages 37 and 38. , 40) are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has a seal ring 41 around the outlet, and through the seal ring 41, two holes 8a (see the right-side development diagram in Fig. 8) for supply / exhaust air are also provided. I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ousing 8 which has it (refer FIG. 6). In Fig. 6, the upper and lower air supply holes 8a are shown in the upper half of the housing 8, and the exhaust hole 31 is shown in the lower half.

또 밸브본체(33)에는 밸브본체(33)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핀(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핀(42)이 하우징측에 형성한 오목부(8b)내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밸브본체(33)는 도 8의 뉴트럴의 위치로부터 핀(42)이 오목부(8b)의 좌우의 벽에 닿기까지 상기 오목부(8b)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 제 1 급기통로(37)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용 호스접속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본체(33)에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통로(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기통로(43)는 급기용 호스접속부(52)의 외주에 형성한 배기통로(53)(도 6 참조)에 연통되고, 에어를 배기호스(54)를 통하여 외기로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valve body 33 is provided with the pin 42 which regul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valve body 33, and this pin 42 is inserted in the recessed part 8b formed in the housing side. For this reason, the valve main body 33 can move in the recessed part 8b from the position of the neutral of FIG. 8 until the pin 42 contacts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recessed part 8b. Moreover, as shown in FIG. 6, the 1st air supply path 37 is provided with the hose connection part 52 for air supply. 6 and 7, an exhaust passage 43 is formed in the valve body 33, and the exhaust passage 43 is an exhaust passage 5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ir supply hose connecting portion 52. (Refer FIG. 6),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hose 54.

밸브본체(33)의 외주에는 밸브링(34)이 회전 불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즉 밸브본체(33)의 외주에는 축방향으로 가이드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45)내에 밸브링(34)의 내주에 형성한 돌기(46)가 끼워맞추어지고, 양자가 상대적으로 회전 불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밸브링(34)의 내주에는 상기 밸브본체(33)의 연통구멍(39, 40)끼리를 연통하는 환상의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홈(47)의 양측은 밸브본체(33)의 외주면과 하우징(8)의 내주면을 시일하는 시일링(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쪽의 시일링(48)은 밸브링(43)을 후퇴시켰을 때에 연통구멍(39)과 연통구멍(40)의 사이에 배치하여 에어모터(A)로의 에어의 급기를 정지한다.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3, the valve ring 34 is not rotatable and is slidably arranged. That is, the guide groove 45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3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46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ring 34 fits in the guide groove 45, and both It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incapable of rotation. Further, an annular groove 47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ring 34 to communicate the communication holes 39 and 40 of the valve body 33 with each other. Both sides of the groove 47 are provided with a sealing ring 48 for sea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body 3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8. The one seal ring 48 is disposed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 39 and the communication hole 40 when the valve ring 43 is retracted to stop the air supply to the air motor A.

또 밸브링(34)에는 적어도 1군데에 스프링재로 구성되는 스토퍼(49)가 내외직경방향으로 탄성출발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대향하는 하우징(8)측에는 그 스토퍼(49)가 지날 수 있는 통과부(50a)와 진입을 저지하는 계단부(50b)와 경사면(51)을 갖는 밸브스토퍼링(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통과부(50a)는 밸브스토퍼링(50)의 일부를 노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밸브스토퍼링(5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사면(51)을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밸브링(34)은 상기 스토퍼(49)가 밸브스토퍼링(50)에 설치한 통과부(50a)를 지날 때만 도 6(가)의 상태로부터 도 6(나)의 상태로 전진시킬 수 있으며, 또 밸브링(34)은 하우징(8)에 대하여 어느 회전각도의 위치로부터도 스토퍼(49)를 변형시켜서 후퇴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위치에서 밸브링을 전진시키려고 하면 계단부(50b)에 스토퍼(49)가 맞닿아서 밸브링(34)의 전진을 저지한다. 본 예에서는 계단부(50b)를 형성하고 있는데, 단순한 단부이어도 좋다.In addition, at least one stopper 49 made of spring material is fixed to the valve ring 34 so as to elastically start in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directions, and the stopper 49 can pass through the housing 8 on the opposite side. The valve stopper ring 50 which has the part 50a, the step part 50b which prevents entry, and the inclined surface 51 is provided. In this example, the passage part 50a notches a part of the valve stopper ring 50, and is comprised. This valve stopper ring 50 has the shape which has the inclined surface 51 which protrudes inward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valve ring 34 can be advanced from the state of FIG. 6 (a) to the state of FIG. 6 (b) only when the stopper 49 passes through the passage portion 50a provided in the valve stopper ring 50. In addition, the valve ring 34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opper 49 can be deformed and retracted from a position at any rotational ang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8. When the valve ring is to be advanced at another position, the stopper 49 abuts against the step portion 50b to prevent the valve ring 34 from moving forward. Although the step part 50b is formed in this example, a simple end part may be sufficient.

상기 스토퍼(49)가 스토퍼링(50)에 설치한 통과부(50a)를 지날 수 있는 상태에서 밸브링(34)을 전진시키면 밸브링(34)의 내주에 설치한 한쪽의 시일링(48)이 통과구멍(40)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환상의 홈(47)이 밸브본체(33)측의 연통구멍(39)과 연통구멍(40)에 걸치도록 위치하여 제 1 급기통로(37), 제 2 급기통로(38)를 연통한다(도 6(나) 참조). 이 상태에서 밸브링(34)을 회전하면 밸브본체(33)는 상기 핀(42)이 하우징(8)에 형성한 오목부(8b)의 벽에 닿기까지 회전하고, 밸브본체(33)에 형성한 제 2 급기통로(38)가 하우징(8)에 형성한 급기, 배기용의 구멍(8a)의 한쪽에 연통하며, 다른쪽의 급기, 배기용의 구멍(8a)이 밸브본체(33)에 형성한 배기통로(43)와 연통하여 에어모터(A)를 회전할 수 있다(도 8 참조). 에어모터(A)의 회전시에는 에어모터(A)로부터의 배기는 실린더(24)와 하우징(8)의 사이에 형성한 유로(30)(도 5 참조) 및 하우징(8)에 형성한 배기용의 구멍(31), 또한 밸브본체(33)에 형성한 배기통로(43)를 지나서 배기호스(54)를 통하여 외기로 방출된다. 또 에어모터(A)의 회전 중에 밸브링(34)을 후퇴시키면 스토퍼(49)가 탄성변형하여 밸브스프링(50)의 경사면(51)을 넘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밸브링(34)의 내주에 설치한 한쪽의 시일링(48)이 연통구멍(39)과 연통구멍(4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급기통로(37), 제 2 급기통로(38)의 연통상태가 차단되고, 에어모터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When the stopper 49 advances the valve ring 34 in a state where it can pass through the passage part 50a provided in the stopper ring 50, one seal ring 48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ring 34 is provided. Located in front of the passage hole 40, the annular groove 47 is positioned so as to span the communication hole 39 and the communication hole 40 on the valve body 33 side, so that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37,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communicates with it (see Fig. 6 (b)). When the valve ring 34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valve body 33 rotates until the pin 42 contacts the wall of the recess 8b formed in the housing 8, and is formed on the valve body 33. On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communicates with one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holes 8a formed in the housing 8, and the other air supply and exhaust holes 8a are connected to the valve body 33. The air motor A can be rota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ormed exhaust passage 43 (see FIG. 8).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air motor A, the exhaust from the air motor A is exhausted from the flow path 30 (see FIG. 5) formed between the cylinder 24 and the housing 8 and the housing 8.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se 54 through the exhaust passage 43 formed in the dragon hole 31 and the valve body 33. When the valve ring 34 is retrac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 the stopper 49 elastically deforms and moves over the inclined surface 51 of the valve spring 50. As a result, one of the seal rings 48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ring 34 is positioned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 39 and the communication hole 40 so that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37 and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are located. )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and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can be stopped.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V)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내경이 편심한 실린더(2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블레이드(25a)를 갖는 로터(25)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급배기용의 2개의 구멍(24a)과 배기용의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4)의 외주에 배치되는 하우징(8)에는 실린더(24)의 급배기용의 구멍(24a)에 대응하여 상기한 구멍(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8)에 시일링(41)을 통하여 앞서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본체(33)가 배치된다(도 5, 도 6 참조). 이 때문에 밸브링(34)을 전진시키고, 그 상태에서 밸브링(34)을 통하여 밸브본체(33)를 회전시키면 제 2 급기통로(38)와 하우징(8)에 형성한 한쪽측의 구멍(8a) 및 실린더(24)에 형성한 한쪽측의 구멍(24a)을 통하여 에어가 실린더(24)내에 급기되고, 블레이드(25a)를 통하여 로터(25)를 회전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 이 때 에어모터(A)로부터 배기되는 에어는 한쪽은 실린더(24)의 배기용의 구멍(24b)으로부터 실린더(24)와 하우징(8)의 사이에 형성한 통로(30)에 들어가고, 배기용의 구멍(31)을 지나서 밸브본체(33)에 설치한 배기통로(43)에 도달하며, 다른쪽은 배기용의 다른쪽의 구멍(24a)으로부터 급배기용의 다른쪽의 구멍(8a)을 지나서 배기통로(43)에 도달하고, 양 에어는 배기호스(54)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8, the cylinder 24 having an internal diameter eccentrically disposed to face the valve V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rotor 25 having a blade 25a therein. Two holes 24a and an exhaust hole 24b are formed. The housing 8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24 is formed with the above-mentioned hole 8a corresponding to the hole 24a for supply / exhaust of the cylinder 24, and the housing 8 has a sealing ring ( Through 41), a valve body 33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isposed (see FIGS. 5 and 6). For this reason, when the valve body 34 is advanced and the valve body 33 is rotated through the valve ring 34 in this state, one side hole 8a formed in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and the housing 8 is formed. ) And air are supplied into the cylinder 24 through the hole 24a of one side formed in the cylinder 24, and the rotor 25 can be rotated through the blade 25a (refer FIG. 8). At this time, one of the air exhausted from the air motor A enters the passage 30 formed between the cylinder 24 and the housing 8 from the hole 24b for exhausting the cylinder 24, and exhausts the air. The exhaust passage 43 provided in the valve body 33 is passed through the hole 31 for the dragon, and the other side is the other hole 8a for the supply / exhaust from the other hole 24a for the exhaust. The exhaust passage 43 is reached through the air passage, and bot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hose 54.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삭공구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too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있어서, 밸브링(34)을 회전시켜서 밸브링(34)에 설치한 스토퍼(49)를 하우징(8)에 설치한 밸브스토퍼링(50)의 통과부(50a)에 맞추어서 전진시키면 밸브링(34)의 내주에 설치한 시일링(48)의 한쪽이 연통구멍(4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홈(47)이 연통구멍(39)과 연통구멍(40)에 걸쳐져서 제 1 급기통로(37)와 제 2 급기통로(38)를 연통한다. 이 때는 에어가 에어모터(A)에 공급되지 않는 뉴트럴(도 8(나))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밸브링(34)을 회전시키면 밸브본체(33)도 연동하여 회전하고, 밸브본체(33)의 선단에 설치한 핀(42)이 하우징(8)에 형성한 오목부(8b)의 벽에 닿기까지 이동하면(도 8(가)의 상태) 제 2 급기통로(38)가 하우징(8)에 형성한 급배기용의 한쪽측의 구멍(8a)에 연통하여 에어모터(A)를 회전하고, 에어모터(A)의 회전에 의해 연삭벨트(B)가 회전하여 연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밸브링(34)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밸브링(34)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밸브본체(33)도 역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밸브본체(33)에 설치한 핀(42)이 하우징(8)측에 형성한 반대측의 오목부(8b)의 벽에 닿기까지 회전하고(도 8(다)의 상태), 제 2 급기통로(38)가 하우징(8)에 형성한 상기 급배기용의 구멍(8a)과는 반대측의 구멍(8a)에 연통하여 에어모터(A)를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에어모터(A)를 역전하여 연삭벨트(B)를 역회전할 수 있다.In FIG. 3, when the valve ring 34 is rotated and the stopper 49 provided on the valve ring 34 is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portion 50a of the valve stopper ring 50 provided on the housing 8, the valve One side of the seal ring 48 provid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ng 34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mmunication hole 40, and the groove 47 is interposed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 39 and the communication hole 40 so as to be the first. The air supply passage 37 and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ir is in a state of neutral (Fig. 8 (b)) in which air is not supplied to the air motor (A). When the valve ring 34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valve main body 33 also rotate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in 42 provided at the tip of the valve main body 33 of the concave portion 8b formed in the housing 8. When it moves to reach a wall (FIG. 8 (a)), the 2nd air supply path 38 will communicate with the hole 8a of the one side for air supply and exhaust which the housing 8 formed, and the air motor A will be opened. It rotates, the grinding belt B rotates by rotation of the air motor A, and gri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valve ring 34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ring 34 is advanced, the valve body 33 also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pin 42 provided in the valve body 33 is The air supply and exhaust that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38 is formed in the housing 8 while rotating until reaching the wall of the recess 8b on the opposite side formed on the housing 8 side (Fig. 8 (C)). The air motor A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above by communicating with the hole 8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ragon hole 8a, and the air belt A can be reversed to reversely rotate the grinding belt B. .

연삭작업을 끝내게 하는 데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밸브링(34)을 후퇴시키면 스토퍼(49)가 변형하여 밸브스토퍼링(50)의 경사면(51)을 넘고, 밸브링(34)의 내주에 형성한 홈(47)을 끼워서 설치한 시일링(48)의 한쪽이 연통구멍(39)과 연통구멍(4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를 차단해서 에어모터(A)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To finish the grinding operation, when the valve ring 34 is retracted in the state as it is, the stopper 49 deforms to exceed the inclined surface 51 of the valve stopper ring 50,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ring 34. One of the sealing rings 48 fitted with the 47 is positioned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 39 and the communication hole 40 to block the ai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 FIG.

또 연삭벨트(B)를 교환할 때에는 에어모터(A)의 회전을 정지하고, 부착나사(32A)를 조작하여 커버(32)를 벗기며, 또한 텐션바(1)를 텐션스프링(17)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밀어넣어 가면 텐션바(1)에 형성한 원주홈(14)이 푸쉬버튼(18)의 위치에 왔을 때에 푸쉬버튼(18)이 스프링(19)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원주홈(14)내에 떨어지고, 환언하면 스프링(19)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푸쉬버튼(18)이 바깥쪽으로 밀어내어져서(도 4(가) 참조) 텐션바(1)의 움직임을 록하며, 이 상태에서 연삭벨트(B)를 교환할 수 있다.When replacing the grinding belt (B),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 is stopped, the mounting screw (32A) is removed to remove the cover (32), and the tension bar (1) of the tension spring (17). When the circumferential groove 14 formed in the tension bar 1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18 when pushed against the elastic support force, the push button 18 is circumferential groove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spring 19). 14), in other words, the push button 18 is pushed outward by the elastic bearing force of the spring 19 (see Fig. 4 (a)) to lock the movement of the tension bar 1, grinding in this state The belt B can be replaced.

또 작업 중에 연삭벨트(B)가 절단된 경우에는 텐션스프링(17)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텐션바(1)가 도면 중 왼쪽으로 튀어나오는데, 텐션바(1)의 단부에 설치한 돌기(15)가 푸쉬버튼(18)의 일단에 맞닿기 때문에 하우징(8)으로부터 텐션바(1)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inding belt B is cut during operation, the tension bar 1 protrud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due to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7. The projection 15 provided at the end of the tension bar 1 is provided. Touches one end of the pushbutton 1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nsion bar 1 from protruding from the housing 8.

또 왼손잡이의 작업자가 에어식 연삭공구를 통상상태(연삭벨트(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8)의 하측에 부착한 오프셋블래킷(21)을 상측으로 갈아끼우고, 연삭공구를 180도 반전시켜서 밸브링(34)을 전진시키며, 또한 밸브링(3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업상황에 따라서 연삭가루의 비산방향을, 밸브링(34)을 통하여 밸브본체(33)를 정, 역회전시켜서 연삭벨트(B)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 작업을 종료 또는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링(34)을 후퇴하는 것만으로 에어모터(A)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블래킷(21)을 부착한 경우에는 곡면연삭을 할 수 있고, 오프셋블래킷을 떼어냄으로써 평면연삭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left-handed worker uses the air grinding tool in the normal state (the grinding belt B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offset bracket 21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8 is changed upward. Then, the grinding tool is inverted by 180 degrees to advance the valve ring 34 and also rotate the valve ring 34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the direction of grinding of the grinding powder can be reverse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valve body 33 through the valve ring 34 to switc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B. In addition, when the work is finished or stopped, the rotation of the air motor A can be stopped simply by retracting the valve ring 34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ffset bracket 21 is attached, curved grinding can be performed, and plane grinding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offset bracket.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밸브링, 밸브본체, 하우징에 형성하는 에어의 통로는 상기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통로이면 여러 가지 통로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오프셋블래킷을 고정하는 수단도 나사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passage of the air formed in the valve ring, the valve body, and the housing | casing can be made into various passage shapes as long as the passage which can achieve the above-mentioned function. As the means for fixing the offset bracket, various forms such as screws can be adopted. In addition, the said embodiment is only an illustration and 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or main characteristic of this invention, It should not interpret it limitedly.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밸브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연삭벨트의 회전, 정지를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의 작업자이어도 같은 감각으로 연삭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연삭벨트의 회전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연삭가루의 비산방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또 벨트교환시에는 텐션바를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록기구를 채용했기 때문에 연삭벨트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텐션풀리를 갖는 오프셋블래킷을 착탈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곡면이어도 용이하게 연삭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nding belt can be rotated and stopped only by operating one valve,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can be freely selected. Grinding can be done with a sense. In addition,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rinding belt, the scattering direction of the grinding powder can be select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belt is replaced, the locking mechanism that can easily fix the tension bar is adopted, thereby making it easy to replace the grinding belt. In addition, since the offset bracket having the tension pulley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eely, excellent effects such as being easy to grind even a curved surface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벨트식 연삭공구의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of the belt type grinding tool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도 2는 동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same;

도 3은 동 평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plane.

도 4의 (가)∼(다)는 록기구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도.4A to 4C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도 5는 에어모터부분의 확대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motor portion.

도 6의 (가), (나)는 밸브링 및 밸브본체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6 (a) and 6 (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ring and the valve body.

도 7의 밸브본체의 (가)는 평면도, (나), (다)는 단면도, (라)는 측면도.(A) is a top view, (b), (c) is sectional drawing, (d) is a side view of the valve body of FIG.

도 8의 (가)∼(다)는 밸브의 작동설명도이며, 실린더의 단면과 밸브본체에 의한 급기, 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8 (a) to (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valve, and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by the cross section of the cylinder and the valve body;

도 9는 종래의 벨트식 연삭공구이다.9 is a conventional belt type grinding too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텐션바 2: 종동풀리1: tension bar 2: driven pulley

3: 풀리홀딩부재 4, 26: 축3: pulley holding member 4, 26: shaft

5, 10: 나사 6: 조정나사5, 10: screw 6: adjusting screw

7, 19: 스프링 8: 하우징7, 19: spring 8: housing

8c: 긴 구멍 9: 통부재8c: long hole 9: tube member

11: 노치부 12, 42: 핀11: notch 12, 42: pin

13: 소직경부 14: 원주홈13: Small diameter 14: Wonju groove

15, 23, 46: 돌기 16: 스프링받침부재15, 23, 46: protrusion 16: spring bearing member

17: 텐션스프링 18: 푸쉬버튼17: tension spring 18: push button

20: 텐션풀리 21: 오프셋블래킷20: tension pulley 21: offset bracket

22, 45: 가이드홈 24: 실린더22, 45: guide groove 24: cylinder

25: 날개바퀴 26: 축25: wheel 26: shaft

27: 축받침 28: 구동풀리27: bearing 28: drive pulley

29: 너트 30: 유로29: nut 30: euro

31, 39, 40: 구멍 32: 커버31, 39, 40: hole 32: cover

33: 밸브본체 34: 밸브링33: valve body 34: valve ring

35: 고정링 36: 링너트35: retaining ring 36: ring nut

37: 제 1 급기통로 38: 제 2 급기통로37: first air supply passage 38: second air supply passage

41, 48: 시일링 43, 53: 배기통로41, 48: sealing 43, 53: exhaust passage

47: 홈 49: 스토퍼47: home 49: stopper

50: 스토퍼링 50a: 통과부50: stopper ring 50a: passage part

50b: 계단부 51: 경사면50b: step 51: slope

Claims (7)

하우징에 진퇴 자유롭게 부착한 텐션바의 선단에 부설한 종동풀리와,A driven pulley attached to the tip of the tension bar freely attached 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내에 부착한 에어모터에 부설한 구동풀리에 무단의 연삭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삭벨트를 상기 에어모터로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한 벨트식 연삭공구이며, A belt-type grinding tool in which an endless grinding belt is installed in a driving pulley attached to an air motor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rotary belt can be driven by the air motor. 상기 벨트식 연삭공구의 하우징에 상기 에어모터로의 급배기를 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A valve for supplying / exhausting air to the air motor is installed in a housing of the belt type grinding tool, 상기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자유롭게 고정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상대 회전불능하며 슬라이딩 자유롭게 부착되는 밸브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모터에 에어를 급기 또는 배기하며, The valve is composed of a valve body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and a valve ring that is relatively rotatable and slidably attached to the valve body to supply or exhaust air to the air motor, 상기 밸브링을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모터를 회전 또는 정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밸브링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밸브링을 상기 밸브본체와 일체로 하여 오른 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조작해서 상기 에어모터의 회전을 정전 또는 역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The air motor can be rotated or stopped by advancing or retracting the valve ring, and the valve ring is rotated to the right or left by integrating the valve ring with the valve body in the state where the valve ring is advanced. Belt-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power to reverse or reverse. 하우징에 진퇴 자유롭게 부착한 텐션바의 선단에 부설한 종동풀리와,A driven pulley attached to the tip of the tension bar freely attached 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내에 부착한 에어모터에 부설한 구동풀리에 무단의 연삭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삭벨트를 상기 에어모터로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한 벨트식 연삭공구이며, A belt-type grinding tool in which an endless grinding belt is installed in a driving pulley attached to an air motor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rotary belt can be driven by the air motor. 상기 벨트식 연삭공구의 하우징에 상기 에어모터로의 급배기를 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A valve for supplying / exhausting air to the air motor is installed in a housing of the belt type grinding tool, 상기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자유롭게 고정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상대 회전불능하며 슬라이딩 자유롭게 부착되는 밸브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본체에는 에어의 급기통로와 에어의 배기통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밸브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밸브본체측에 형성한 상기 급기통로를 에어원에 연통하는 환상의 홈과, 상기 환상의 홈의 양측에는 에어원을 차단하는 시일링과, 상기 밸브본체의 축방향에 형성한 가이드홈 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링을 상기 밸브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서 전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환상의 홈을 통하여 상기 급기통로가 에어원과 연통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밸브링을 오른 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돌기를 통하여 상기 밸브본체도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한 상기 급기통로를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급배기의 구멍을 통하여 하우징 내에 부착한 상기 에어모터의 급배기구멍에 연통하고, 상기 에어모터를 정전 또는 역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The valve is composed of a valve body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and a valve ring that is relatively rotatable and slidably attached to the valve body, wherein the valve body forms an air supply passage and an air exhaust passag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ring has an annular groove for communicating the air supply passage formed on the valve body side to an air source, a sealing ring for blocking an air source on both sides of the annular groove, and an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Forming a projection to be freely fitted in the guide groove formed, and advancing the valve r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valve body so that the air supply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air source through the annular groove. Rotating the valve ring to the right or left side by interlocking the valve body through the projection The air supply passage formed in the valve body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 exhaust hole of the air motor attached in the housing through the air supply / exhaust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air motor can be electrostatically reversed. Belt 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밸브링의 일단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대향하는 하우징의 단부내주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에 상기 스토퍼가 지날 수 있는 통과부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링은 상기 스토퍼가 통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만 밸브링의 전진이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밸브링은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스토퍼가 상기 경사면을 넘어서 밸브링을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A stopper made of an elastic body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valve ring, and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te housing, and a pass portion through which the stopper can pass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alve ring is It is possible to advance the valve ring only when the stopper is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assage, and the valve ring allows the stopper to retract the valve ring over the inclined surface at any position. too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우징의 단부내주면에는 상기 통과부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링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And a ring member having the passag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hous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텐션바에는 텐션바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텐션바를 록할 수 있는 록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The tension bar has a belt type grind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for locking the tension bar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bar is pushed.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하우징의 구동풀리근처측에는 텐션풀리를 갖는 오프셋블래킷이 하우징에 위치를 바꾸어서 착탈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A belt type grinding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ffset bracket having a tension pulley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by changing a position on the hou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하우징의 구동풀리근처측에는 텐션풀리를 갖는 오프셋블래킷이 하우징에 위치를 바꾸어서 착탈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연삭공구.A belt type grinding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ffset bracket having a tension pulley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by changing a position on the housing.
KR10-2003-0036969A 2002-07-30 2003-06-10 Belt-shaped grinding tool KR1004941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0567 2002-07-30
JP2002220567A JP3711095B2 (en) 2002-07-30 2002-07-30 Belt grind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49A KR20040011349A (en) 2004-02-05
KR100494187B1 true KR100494187B1 (en) 2005-06-10

Family

ID=3188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969A KR100494187B1 (en) 2002-07-30 2003-06-10 Belt-shaped grinding tool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11095B2 (en)
KR (1) KR100494187B1 (en)
CN (1) CN1291814C (en)
HK (1) HK1059910A1 (en)
TW (1) TWI23695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393B2 (en) * 2005-01-21 2008-09-24 日東工器株式会社 Belt grinding tool
JP4847363B2 (en) * 2007-02-09 2011-12-28 日東工器株式会社 Endless belt grinding tool
JP4912976B2 (en) * 2007-07-31 2012-04-11 日東工器株式会社 Pneumatic tool
JP5148297B2 (en) * 2008-01-10 2013-02-20 株式会社マキタ Marnoco
US9266211B2 (en) * 2012-05-25 2016-02-23 Shirok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welded member
JP6200660B2 (en) 2013-02-28 2017-09-20 日東工器株式会社 Belt grinding tool
TWI617390B (en) * 2016-03-11 2018-03-11 日東工器股份有限公司 Belt grinding tool
JP6568997B2 (en) 2016-03-11 2019-08-28 日東工器株式会社 Belt grinding tool
CN110785266B (en) * 2017-06-23 2022-10-04 日东工器株式会社 Pneumatic tool
CN107825255A (en) * 2017-09-30 2018-03-23 和县科嘉阀门铸造有限公司 A kind of valve interior wall sanding apparatus
JP6781844B2 (en) * 2018-04-27 2020-11-04 日東工器株式会社 Belt type grinding tool
TWI688450B (en) * 2019-04-30 2020-03-21 大里興業有限公司 Handheld belt grinding machine
CN112775794B (en) * 2019-11-11 2023-07-25 株式会社牧田 Belt sander
CN113118906A (en) * 2020-05-29 2021-07-16 山东哈德斯特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Steel rail welding seam polishing system
WO2021258132A1 (en) * 2020-06-23 2021-12-30 White International Pty Ltd Apparatus for finishing a work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11095B2 (en) 2005-10-26
KR20040011349A (en) 2004-02-05
CN1291814C (en) 2006-12-27
JP2004058216A (en) 2004-02-26
TWI236950B (en) 2005-08-01
CN1476960A (en) 2004-02-25
TW200402347A (en) 2004-02-16
HK1059910A1 (en)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187B1 (en) Belt-shaped grinding tool
US20140299345A1 (en) Hand-held tools and components thereof
US5888031A (en) Drilling device
US7677325B2 (en) Pneumatic tool
WO2017036403A1 (en) Hand-held tool and clamping device thereof
CN106715832B (en) Pneumatic vane motor and the pneumatic tool for having pneumatic vane motor
JP2004223706A (en) Hand holding type power tool
CN105936032A (en) Reversing mechanism for a power tool
CN111132803A (en) Hand-held power tool
US20070197152A1 (en) Powered paint removal tool
JPH09103959A (en) Protective hood for angle grinder
US6916235B2 (en) Hand-held endless belt abrading machine
JPH11207730A (en) Portable cutter
US6668463B2 (en) Grout removing tool
EP3593950B1 (en) Work tool
US5678292A (en) Hand-held machine for sanding having swash plate oscillation means
JPH08144701A (en) Air motor
US3988076A (en) Rotary vane machine with spring-biased vanes
TWI677411B (en) Pneumatic tools
KR100385144B1 (en) Air motor
KR101379952B1 (en) Air grinder
KR200299217Y1 (en) A grinder with drilling function
US3512307A (en) Portable sanding machine improvements
US20220228653A1 (en) Adjustable Stroke Device With Cam
JP2517035Y2 (en) Handheld tool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