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465B1 -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465B1
KR100493465B1 KR1020040063747A KR20040063747A KR100493465B1 KR 100493465 B1 KR100493465 B1 KR 100493465B1 KR 1020040063747 A KR1020040063747 A KR 1020040063747A KR 20040063747 A KR20040063747 A KR 20040063747A KR 100493465 B1 KR100493465 B1 KR 10049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102004006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65B1/en
Priority to KR1020077003316A priority patent/KR20070100681A/en
Priority to PCT/KR2005/002229 priority patent/WO2006085702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충전 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주변상황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the object of which is to automatically capture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charging to store the data.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영상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출력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이 출력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키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영상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 image controller which stores / manag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image database; An RF module for receiving a preset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And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controller to store the captured image data by driving the photographing unit when receiving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output by the RF module.

따라서 외부로부터 소정의 RF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인 경우로 판단하면서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시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어 차량 설치 시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onl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signal from the outside, or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ile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mode is received when the RF signal is received. In addition, since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separately when an event occurs, there is an effect of acting as a black box when installing a vehicl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충전장치를 통해 충전 시 주변상황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during charg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오늘 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정지 및 동영상을 촬영 저장하며,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s tod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cameras, and technologies for capturing and storing still images and videos through the camera and outputting them to the outside are being disclosed.

이러한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의 용량만큼 촬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an capture an image by selecting a camera photographing mode, and can store photographing data as much as a memory capa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상기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키패드를 조작하여 촬영명령을 입력하여야만 촬영을 할 수 있으며, 메모리 용량만큼의 촬영 후에는 기존의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하여야만 추가로 촬영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하지 못하고 단순 촬영만을 수행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the keypad in order to perform shooting, and the shooting command can be taken. After shooting as much as the memory capacity, the existing captured image data must be deleted. There is a drawback that can be taken additionally. For this reason, only simple shooting was performed without supporting various types of shooting mode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소정의 RF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촬영모드를 수행하며 이를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자동으로 촬영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which automatically performs a photographing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predetermined RF signal and automatically photographs and stores the surrounding situ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충전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operates by charging the battery and receiving power through a charging devic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영상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출력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이 출력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키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영상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 image controller which stores / manag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image database; An RF module for receiving a preset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And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controller to store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dr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output from the RF modu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은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300)를 갖추고 있다. 또한, 충전장치(300)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배터리와 접속되는 다수의 접점(S1 내지 S3)과,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었을 때 온 되는 스위치(SW)가 마련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pable of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harging device 300 for charging a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quipped)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S1 to S3)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witch (SW) that is turned 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충전장치(300)의 스위치(SW)가 온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가 동작하여 거치신호를 발생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switch SW of the charging device 300 is turned on, and accordingly, RF gen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The unit 310 operates to generate a stationary signal.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거치신호를 수신하고 배터리는 충전장치(300)의 접점(S1 내지 S3)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mounting signal and the battery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contacts S1 to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RF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perform photographing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from the outside or may perform photographing only in the charging mode when the RF signal is received. It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제어부(120)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핫키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이동통신망과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60)와, 외부로부터의 송신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RF모듈(162)을 포함한다. 상기 핫키는 별도로 마련되는 "키"이거나 또는 단축키가 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162)의 안테나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측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12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 hot key for generating an event, and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 user.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RF module 162 for processing a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hotkey can be a separate "key" or a hotkey. The antenna of the RF module 162 may be preferably mounted on the battery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30)와, 상기 촬영부(13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영상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영상제어부(17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한다.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 manages the image capture unit 130 for capturing an image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unit 130 in the image database 180 as an image or a video. The image controller 170 and a memory 140 for storing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은 배터리 전압을 감시하여 현재 전압상태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충전여부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메인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충전관리부(19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onitors the battery voltage and transmits the current voltage state to the main controller 120, but also monitors whether the charge is provided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 190).

상기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충전중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는데, 상기 충전관리부(190)가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충전중이라고 판단되고, 상기 RF모듈(162)로부터 충전장치 거치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메인제어부(120)는 촬영부(130)를 구동시키며 이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harge manag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according to the battery voltage and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controller 120. The charge manager 19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is currently being charged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r 190. When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162, the main controller 120 may drive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control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re photographed image data input therefro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제어부(120)로 제공하는 GPS부(151)와, 충격 등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감지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진동감지부(152)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차량의 충전장치에 거치된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 파손 또는 차량 충돌 등의 진동을 검출하고, 가정용 충전장치에 거치되었을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파손충격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기기 파손 또는 차량충돌 등을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and provides a GPS unit 151 for providing data on a current posi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a vib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vibration such as an impact. 152 may be further included.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detects vibrations such as damage or colli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of the vehicle. When mounted on a household charging device, the damage sho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be detected. That is, by detecting a signal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t is possible to detect a device damage or a vehicle crash.

또한 상기한 영상데이터베이스(180)는 전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81)와, 상기 진동감지부(152)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182)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base 180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81 storing all image data and a correspond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image controller 170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from the vibration detector 152. A second storage unit 182 for storing data is provided.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모듈(162)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촬영부(130)를 통해 현재 외부 상태를 촬영하고 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소정의 블랙박스 동작을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ceives a current external state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162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he camera performs a predetermined black box operation of capturing and storing / managing photographing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즉, RF모듈(162)은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전장치 거치신호가 수신되면 영상녹화를 위한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어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개시 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제어부(120)는 상기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개시한다. That is, the RF module 162 transmits a signal for recording video to the main controller 120 when a predetermined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charging manager 190 currently charg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300 is charged to the device 300, the charging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shooting (image or video).

한편, 영상제어부(170)는 촬영부(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촬영데이터 저장 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in the image database 180. When the photographing data is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180, the image database 180 is controlled by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successiv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photographed data stored first and storing photographed data thereafter.

이때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영상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하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data in a first-in first-out manner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when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image data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벤트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로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이 감지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이며, 둘째로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핫키 입력이 되는 경우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vent is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nd meets a preset condition. Second, the event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is is the case when a hotkey is input.

먼저, 진동감지부(152)를 통하는 경우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 인 경우등을 이벤트 발생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First, when passing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nd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eyond a preset time. In this case,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set as an event generating condition, and the setting may be changed by the user.

이때에는 상기 충격 또는 진동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 시, 제1저장부(181)로부터 상기 조건에 따른 신호가 검출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a predetermined time earlier than the current time when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onditi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Extracts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resent time, or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stopped,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It can be changed by the user.

한편, 입력부(110)를 이용할 경우에는, 입력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핫키 또는 단축키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한다. 이에 따라, 키 입력에 따른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 시, 제1저장부(181)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핫키 또는 단축키를 통한 이벤트 해제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input unit 110, when a predetermined hot key or shortcut key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t is recognized as an event occurrence. Accordingly,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ccording to the key input is detec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a predetermined time earlier than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is generat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The video data is extracted from the video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resent time, or from the video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to the event release time through a hotkey or a hotke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then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182. It is stored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충전장치에 거치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이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된다고 판단되면 충전종료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제어부(120)는 상기 충전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을 중단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detect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urrent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charging end signal and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shoo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모듈(162)을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RF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shooting or receives the RF signal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F module 162. You can also take pictures only in the charging mod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충전장치 거치/충전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A process of carrying / charging the charg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충전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통상 배터리(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장착되어 충전장치(300)에 거치됨으로써 충전이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battery 200 is charged by being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충전장치(300)의 스위치(SW)가 온(ON) 되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가 동작하여 소정의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switch SW of the charging device 300 is turned on, and accordingly, the RF generator 310 of the charging device 300 operates to operate. Generates the charging device of the charging device.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RF모듈(162)을 통해 수신하고 배터리(200)는 충전장치(300)의 접점(S1 내지 S3;도 1참조)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In this reg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through the RF module 162 and the battery 2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contacts S1 to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see FIG. 1). Charging is done.

배터리(200)는 플러스 전극이 되는 노드 N1과 그라운드 전극이 되는 노드 N3로 접속되고, 상기 노드 N1 및 N3는 충전장치(300)의 노드 S1 및 S3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노드 N2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저항 R1이 접속되고, 상기 노드 N2는 충전장치(300)의 노드 S2와 접속된다. 상기 S2와 S1사이에는 저항 RL이 접속된다. The battery 200 is connected to a node N1 serving a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ode N3 serving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nodes N1 and N3 are connected to nodes S1 and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to receive power. In addition, a resistor R1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round, and the node N2 is connected to the node S2 of the charging device 300. A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S2 and S1.

상기한 구성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N1, N2 및 N3는 S1, S2 및 S3와 각각 접속되며, 배터리(200)는 N1을 통하여 공급되는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N2의 전압은 충전장치(300) 출력전압(VS1) × {R1/(R1+RL)}이 된다. 이때 상기 VS1은 노드 S1의 출력전압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N1, N2 and N3 are connected to S1, S2 and S3, respectively, the battery 200 is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N1 Charging is performed by the output power of 300. At this time, the voltage of N2 becomes the charging device 300 output voltage VS1 × {R1 / (R1 + RL)}. At this time, VS1 is an output voltage of node S1.

즉,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N2의 전압은 충전장치 출력전압(VS1) × {R1/(R1+RL)}이 되고 그 값에 따라 현재 배터리(200)가 충전장치(300)를 통하여 충전됨을 인지하게 되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서 분리되면 상기 N2의 전압은 0'V'가 된다.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of N2 becomes the charging device output voltage VS1 × {R1 / (R1 + RL)} and accordingly the current battery 200 It is recogniz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charg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of N2 becomes 0'V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술한 충전장치(300) 거치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이외에도 충전관리부(190)가 N2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으로 충전장치(300)의 거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device 300 is mounted by detecting the voltage of N2 in addition to the method for receiving the charging signal of the charging device 300 described above. It can be as shown in the graph shown in FIG.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배터리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5A and 5B are graphs for explaining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배터리(200)의 현재 전압이 V1인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충전장치(300)에 거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배터리(200)에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배터리(200)로 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 충전이 개시된다(T1).Referring to FIG. 5A,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the current voltage V1 of the battery 2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battery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harg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200 to start charging the battery (T1).

이때 배터리(200)의 전압을 감시하는 충전관리부(190)는 T1의 시간에서 현재 배터리(200)의 전압(V1)이 그보다 높은 소정전압(V2)으로 상승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전압이 상승됨을 감지하게 되면 현재 배터리(200)가 충전됨을 인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monito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may recognize that the voltage V1 of the current battery 200 rises to a predetermined voltage V2 higher than the current at the time T1, and the voltage rises. If it is detected that the current battery 200 is charged.

그리고 충전관리부(190)는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고,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개시한다. 이때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촬영데이터 저장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arging manager 190 transmits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a photographing mode.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when storing photographing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successiv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photographed data stored first and storing photographed data thereafter.

또한, 충전이 개시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200)의 전압은 배터리(200)의 충전이 완료되는 전압(V3)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배터리(200)의 전압이 충전완료전압(V3)이 되는 시점(T3)이 되면 충전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200)에는 충전완료전압(V3)보다 높은 전압인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압(V4)이 그대로 인가되고, 충전관리부(190)는 상기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압(V4)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메인제어부(120)는 상기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계속 유지시킨다.In addition, as time passes after the charging is started, as the charging is performe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continuously increases to the voltage V3 at which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00 is completed.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reaches a time point T3 at which the charging completion voltage V3 is reached, charging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output voltage V4 of the charging device 300 that is higher than the charging completion voltage V3 is applied to the battery 200 as it is, an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outputs the output voltage V4 of the charging device 300. ).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o maintain the current shooting mode.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서 분리되면 충전장치(300)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200)의 전압 V4는 V3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충전관리부(190)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강하(V4 -> V3)를 검출하고 충전이 중지되었음을 판단하며,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since no voltage is a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V4 of the battery 200 is lowered to V3. Accordingly,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the drop of the battery voltage (V4-> V3) and determines that charging is stoppe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이에 따라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중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photographing mode.

전술한 도 5a는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는 시점까지를 설명한 것으로, 충전도중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충전장치(300)와 분리할 경우, 즉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종료할 경우는 도 5b와 같다.FIG. 5A illustrates the time until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during the charging, that is, when the charging is termin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is not completed, FIG. Same as 5b.

도 5b를 참조하면, 배터리(200)의 현재 전압이 V1인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충전장치(300)에 거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배터리(200)에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배터리(200)로 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 충전이 개시된다(T1).Referring to FIG. 5B,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the current voltage V1 of the battery 2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battery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harg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200 to start charging the battery (T1).

배터리(200)의 전압을 감시하는 충전관리부(190)는 T1의 시간에서 현재 배터리(200)의 전압(V1)이 그보다 높은 소정전압(V2)으로 상승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전압이 상승됨을 감지하고 그 값에 따라 현재 배터리(200)가 충전장치를 통하여 충전됨을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관리부(190)는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고,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개시한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ha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may recognize that the voltage V1 of the current battery 200 rises to a predetermined voltage V2 higher than the current at the time T1, and the voltage is increased. It detects and recognizes that the current battery 200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value. The charging manager 190 transmits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a photographing mode.

또한, 충전이 개시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200)의 전압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전압(V3)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In addition, as time passes after the charging is started, as the charging is performe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continuously increases to the voltage V3 at which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이때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전압(V5)인 시점 T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장치(300)에서 분리되면 충전이 중단되는데, 충전장치(300)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200)의 전압 V5는 V5'로 낮아진다. At this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t the time T2 at which the charging is not completed, the battery is stopped because the voltage is not a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V5 of is lowered to V5 '.

이에 따라 충전관리부(190)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강하(V5 -> V5')를 검출하고 충전이 중지되었음을 판단하며,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중지한다.Accordingly, the charge manager 190 detects the drop of the battery voltage (V5-> V5 '), determines that charging is stoppe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photographing mode.

전술한 도 5a 및 5b에서는 충전관리부(190)가 배터리(200) 충전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의 전압을 측정하고, 충전여부의 판단은 메인제어부(120)가 수행할 수도 있다.In FIGS. 5A and 5B, the charge manager 190 determines charging of the battery 2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However, the charge manager 19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The main controller 120 may measure and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전장치(300)에 푸시 온되는 스위치(SW)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나, 이러한 감지수단을 푸시 온타입 스위치에 국한하지 않고 근거리 감지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etected through the switch SW push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but the sens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push-on type switch but detects the short range. Of course, the sensor can be appl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과정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6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는 스위치(SW)가 온 되는지를 판단하고(S10),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RF발생부(310)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발생시킨다(S20). Referring to FIG. 6, the RF generator 310 of the charging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SW is turned on (S10),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turned on, the RF generator 310 generates a preset RF signal. (S20).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RF모듈(162)은 RF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30),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S40).Meanwhile, the RF module 16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received (S3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received, transmits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S40).

메인제어부(120)는 상기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여부를 판단한 후 영상촬영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하에서 실시 예별로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charging device stationary signal,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then performs an image photographing process.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120)는 RF모듈(162)을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RF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the recording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F module 162 or when receiving the RF signal in the charging mod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only in one cas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latt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은 RF모듈(162)을 통하여 RF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10). 단계 S110에서 RF 신호가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100)의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200) 전압을 검출(S120)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130). Referring to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RF module 162 (S1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RF signal is detect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200 voltage (S12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is performed, and accordingly the main control unit 120 To send.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r 19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being charged (S130).

단계 S130에서 충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111).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shooting mode (S111).

그러나 단계 S13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충전중이라고 판단되면 영상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단계 S140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141).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harging,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on) (S14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141).

촬영부(130)가 구동되면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제어부(170)로 전송한다.Wh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image controller 170.

이에 영상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150). 단계 S150에서 영상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다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150). In operation S150,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other position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it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제어부(170)는 영상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160). 이때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촬영데이터 저장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저장용량 초과시에는 먼저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in the image database 180 (S160).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when storing photographing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successiv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photographed data stored first and storing photographed data thereafter.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충전장치(300)가 분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한다.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and the charging device 300 is divid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The main controller 120 ends the shooting mod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모듈(162)을 통하여 RF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단계 S210에서 RF 신호가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100)의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 전압을 검출(S220)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메인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230). Referring to FIG. 8,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RF module 162 (S2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0 that the RF signal is detected,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voltage (S220), determines whether it is charg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r 19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being charged (S230).

단계 S230에서 충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211).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0 that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shooting mode (S211).

그러나 단계 S230에서 충전중이라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영상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40). 단계 S240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241).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0 that the charging i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20,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on) (S24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241).

촬영부(130)가 구동되면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에 영상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250). 단계 S250에서 영상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다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image controller 170.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250). In operation S250,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may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other position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it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제어부(170)는 영상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저장한다(S260). 이때,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촬영데이터 저장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의 저장용량 초과시에는 먼저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controller 180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S260).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to be stored in the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when storing the photographing data.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continuous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photographed data stored first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data thereafter.

한편, 메인제어부(12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270). 단계 S270에서 상기 이벤트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로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며, 둘째로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핫키 입력이 되는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S270). In step S270, the even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ly,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nd secondly, a hot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단계 S270에서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현재 진동감지부(152)를 통해서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S280). 이때 상기 조건은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이상인 경우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계 S270에서 핫키 등을 통하여 이벤트 입력이 될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80을 생략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70 that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ing unit 152,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current vibration sensing unit 152 meets a preset condition (S280). In this case, the condition may be a case in which a signal due to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a case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You can also change the setting. However, when an event is input through a hotkey or the like in step S270, step S280 may be omitted.

단계 S280에서 조건에 부합된다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제어부(170)는 현재 제1저장부(181)에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한다(S29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80 that the condition is met,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data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at meets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S290).

상기 단계 S290에서 조건은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이벤트 조건이 해제된 시점, 즉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 또는 입력부를 통한 이벤트 해제 입력이 있는 시점까지의 영상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In step S290, the condition is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urrent time, or when the event condition is released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by a preset time, that is, It may be image data up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stopped or the event releas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hich is also changeable by the user.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충전관리부(190) 또는 RF모듈(162)을 통해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S211)한다.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by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or the RF module 162,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and then the main controller 120 ends the photographing mode (S211).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과정에서는 충전관리부(190)가 배터리(200) 충전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20)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의 전압만을 측정하고, 충전여부의 판단은 메인제어부(120)가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 manager 19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200 is charged and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controller 120, but the charge manager 190 only us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The main controller 120 may measure and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차량에 설치된 충전장치(300)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충전모드에서 자동적으로 외부 상황을 촬영하고, 이벤트 발생시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하므로 차량주행에 따른 현재 상황을 촬영/저장하는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차량용 충전장치(300)에서 분리하는 것만으로 현재 촬영모드를 자동적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just by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charging device 300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utomatically photographs the external situation in the charging mode, when the event occurs Since data is separately stored and managed, it can play a role of a black box that captures / stores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vehicle. In addition, the current photographing mode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just by remo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vehicle charging device 3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소정의 RF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인 경우로 판단하면서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시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어 차량 설치 시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take a picture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signal from the outside or to automatically take a picture while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mode when receiving the RF signal. There are advantages to it. In addition, since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separately when an event occurs, there is an effect of acting as a black box when installing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moun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충전장치의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충전장치의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압그래프이다.4 is a voltage graph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5A and 5B are graphs for describing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입력부 120:메인제어부110: input unit 120: main control unit

130:촬영부 140: 메모리130: recording unit 140: memory

151:GPS부 161:무선통신부151: GPS unit 161: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2:RF모듈 170:영상제어부162: RF module 170: image control unit

180:영상데이터베이스 190:충전관리부 180: image database 190: charge management unit

200:배터리 300:충전장치200: battery 300: charging device

Claims (11)

충전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operates by charging the battery and receiving power through a charging devic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the image data;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영상제어부와;An image controller which stores / manag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image database;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출력하는 RF모듈과;An RF module for receiving a preset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상기 RF모듈이 출력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키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영상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nd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controller to store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dr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charging device deferred signal output from the RF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attery voltag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이 출력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영상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The main controller receives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output from the RF module and determines the charging state from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to control the image control unit to store the shooting data photographed by the shooting unit in the charged st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전장치는;The charging device is;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는 다수의 접점과;A plurality of contacts connected to the battery; 미리 설정된 상기 RF신호를 발생시키는 RF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nd a RF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RF signal set in adva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었다고 감지될 때 상기 RF발생부가 RF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nd the RF generator generates an RF signal when it is sens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through the sensing mean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될 때 푸시 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The sensing mean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witch that is pushed 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제어부는 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초과시에는 먼저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The image control unit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excee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first-in first-out control to delete the previously stored photographing data and to store the data to be photographed la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배터리의 플러스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N1와, 그라운드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 N3 및 상기 노드 N3와의 사이에 측정 저항(R1)이 접속되는 노드 N2를 포함하고;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node N1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of a battery, a node N3 connected to a ground electrode, and a node N2 connected to a measurement resistor R1 between the node N3;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노드 N1 및 노드 N3와 각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의 전압이 출력되는 노드S1 및 그라운드 노드인 노드 S3와, 상기 노드 S1과의 사이에 로드저항(RL)이 접속되는 노드 S2를 포함하고;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node N1 and the node N3,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S1 and the node S3, which is the ground node and the node S1 to which the voltage of the charging device is output, to supply power. Node S2;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측정저항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The charging management unit detects the voltage of the measurement resist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충전관리부는 상기 노드 N2의 전압인 측정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충전장치에 거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과 충전장치는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며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제어부로 출력하며;The charging managemen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asurement resistance, which is the voltage of the node N2, is detected, and when the voltage is not det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harging device are separate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충전장치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촬영데이터저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nd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o stop recording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is disconnected or the RF signal is not receiv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hock or vibration; 상기 영상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진동감지부로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고;The image databas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ntire image data,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서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며;The main controller stores, in the second storage unit,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when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ing unit meets a preset condition;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미리 설정된 조건은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The preset condition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is any one of a case in which a signal due to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신호가 검출된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data meeting a preset condition may b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preset time than a time when a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ing unit, Or one of image data from a previous image data to a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stopped by a preset time than the current ti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부는 이벤트 발생입력을 위한 핫키를 더 포함하고;The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hot key for an event occurrence input; 상기 영상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로 이벤트 발생 입력이 발생 하였을 때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고;The image databas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ntire image data,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 data when an event occurrence input is generated to the input unit;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부 키 입력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한 해제 이벤트가 입력되는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1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When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time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occurs, or in advance of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occurs And extracting, from the first storage unit, any one of the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to the time when the release event through the input unit is input for the set time, and storing the extracted image data in the second storage unit.
KR1020040063747A 2004-07-12 2004-08-13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93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747A KR100493465B1 (en) 2004-08-13 2004-08-13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077003316A KR20070100681A (en) 2004-07-12 2005-07-11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PCT/KR2005/002229 WO2006085702A1 (en) 2004-07-12 2005-07-11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747A KR100493465B1 (en) 2004-08-13 2004-08-13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465B1 true KR100493465B1 (en) 2005-06-07

Family

ID=3730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47A KR100493465B1 (en) 2004-07-12 2004-08-13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12A (en) * 2013-07-04 2015-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12A (en) * 2013-07-04 2015-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55457B1 (en) 2013-07-04 2019-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5391B2 (en) External accessories and systems attached to electronic equipment
CN111526289B (en) Shoo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279813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powering mode switching method, device
KR20070100681A (en)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93465B1 (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90466B2 (en) Method of auto-retracting lens of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JP6425413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00052157A (en) Black box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state by the same
CN103312948A (en) Camera device and vibration dust removal method thereof
KR20070058585A (en)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8960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7322437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502724B1 (en) Cellular phone comprising an auto photographing operation
KR100754998B1 (en) Portable image recording system
KR100502723B1 (en) Cellular phone
CN112135098A (en) Low-power-consumption video recor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04120204A (en) Digital camera
KR100781212B1 (en) Portable image recording system
KR20140147570A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WO2014115547A1 (en) Electronic device
JP7322422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218596B (en) Dynamic photograph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100686519B1 (en) Cradle assembly for cellular phone and control method
KR102429360B1 (en) Camera using primary cells
KR100643519B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camera cellular phon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