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766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766B1
KR100491766B1 KR10-2002-0014581A KR20020014581A KR100491766B1 KR 100491766 B1 KR100491766 B1 KR 100491766B1 KR 20020014581 A KR20020014581 A KR 20020014581A KR 100491766 B1 KR100491766 B1 KR 10049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tank
water
drainage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4412A (en
Inventor
카미도조노토시로
아키야마신이치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7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플로우트에 물이 들어와도 간단히 배출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Even if water enters a float, it can discharge easily, and makes it a subjec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배수탱크(33)의 축공(A,B)에 플로우트(35)의 회전축(35a,35b)을 삽입하여, 상기 플로우트(35)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회전축(35b)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8)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우트(35)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연장부(38)가 맞닿는 접촉부(39)를 상기 축공(B)의 근방에 설치하여,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였다.Extension parts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35b by inserting the rotary shafts 35a and 35b of the float 35 into the shaft holes A and B of the drain tank 33 to enable the float 35 to rotate. 38 is formed, and when the float 35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contact portion 39 which the extension portion 38 abuts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haft hole B, whereby the float 35 The rotation was regulat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배수탱크에 장착되는 플로우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regulating the rotation of a float mounted in a drain tank.

종래, 이 종류의 공기조화기로서, 특개평9-269140호 공보(F24F1/0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플로우트의 회전축을 배수탱크의 축공에 삽입하고, 증발기로 제습된 제습수가 배수탱크에 떨어져서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플로우트는 축공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로우트의 위치를 검지하여 배수탱크의 만수상태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as an air conditioner of this kind,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69140 (F24F1 / 02), a dehumidifier dehumidified by an evaporator by inserting a rotary shaft of a float having an upper surface into a shaft hole of a drain tank. When the water level drops to the drain tank and the water level increases, the float rotates upward with the support of the shaft hole,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full state of the drain tank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loat.

그러나, 상술한 구성이라면, 플로우트의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가령, 배수탱크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본체에 사람이 부딪쳤을 때나, 배수탱크를 본체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냈을 때 등에, 수면이 흔들려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물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고, 물이 들어와 버리면 플로우트는 수몰되어, 배수탱크의 만수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물을 배출할 필요가 있었다. 배수탱크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침입한 물을 배수시킬 경우, 배수탱크를 기울여도, 플로우트는 축공을 지지점으로 수면에 뜬 상태 그대로 회전하기 때문에,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는, 플로우트 속의 물이 배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배수탱크를 잡고, 다른 손으로 플로우트를 밀어 플로우트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배수탱크를 기울여 플로우트의 물을 배출시킬 필요가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is opened, for example, when a person hits the main body while the water is accumulated in the drain tank, or when the drain tank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by a large force, the upper surface is shaken. Since water may enter from an opening part, and when water enters, the float will be submerged and it will not be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full state of the drainage tan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is water. When removing the drain tank from the main body and draining the invasive water, even if the drain tank is tilted, the float rotates as it floats on the surface with the shaft hole as the support point, so the water in the float is discharged only by tilting the drain tank. The user has to hold the drainage tank with one hand and push the float with the other hand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float while tilting the drainage tank to drain the float water. there was.

본 발명은, 플로우트로 물이 들어와도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good ease of use that can be easily discharged even when water enters a float.

본 발명은, 본체에 흡기구와 배출구를 형성하고, 본체 내에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및 송풍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과, 상기 증발기로 제습된 제습수를 저수하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이 배수탱크에, 상면 개구의 플로우트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탱크의 수위에 의해 상기 플로우트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플로우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ing cycle including an air inlet and an outlet in a main body, a compressor cycle comprising a compressor, an evaporator, a condenser, a blower, and the like, and a drain tank for storing dehumidified wate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Regulating means for forming a shaft hole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float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is inserted, enabling the float to rotate by the level of the drainage tank, and regulating the rotation of the float when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로 냉각 제습된 후, 응축기로 데워져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에 부착된 수분은 상기 배수탱크에 저수되며, 수위가 증가하면 상기 플로우트는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가령, 상기 배수탱크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사람이 부딪쳤을 때나,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냈을 때 등에, 수면이 흔들려 상기 플로우트의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했을 경우, 이 침입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규제수단에 의해,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ir sucked from the intake port is cooled and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and then warmed by the condenser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t the same time, the moisture attached to the evaporator is stored in the drainage tank. The float rotates upwards. Then, for example, when a person hits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water is accumulated in the drain tank, or when the drain tank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with great force, the water surface is shaken and water enters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In this case, the drainage tank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in order to discharge the infiltrated water, and when the drainage tank is tilted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oat prevents the float. Since the abnormal rotation cannot be performed, the float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which penetrated the said float only by inclining the said drainage tank, and the convenience of use improves.

또,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축공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연장부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플로우트의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접촉부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로 침입한 물을 배수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Moreover, since the extension part extended from the said rotating shaft is formed, and the said restri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aid shaft hole, and it is a contact part which abuts with the said extension part, when the said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aid float In the case of discharging the water penetrating from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the drainage tank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when the drainage tank is tilted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extensio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The float is no longer able to rotate, and the float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rain the water which invaded into the said float only by inclining the said drainage tank, and the convenience of use improves.

또,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배수탱크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플로우트의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배수탱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Further, the restricting means is formed in the float and is a contact portion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ainage tank when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water penetrating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is discharged. And separating the drainage tank from the main body and tilting the drainage tank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abuts the drainage tank so that the float cannot rotate any more. , The float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invaded into the float by simply tilting the drainage tan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배수탱크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플로우트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플로우트의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접촉부에 접함으로써,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수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restricting means is formed in the drainage tank, and when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oat, so that when the water invaded from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float And separating the drainage tank from the main body and tilting the drainage tank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o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float cannot rotate any further, and The float is inclined with the drain tank. Therefore, a user can drain the water which invaded the said float only by inclining the said drainage tank, and the convenience of use improves.

또,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를 넘는 기울기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가령, 상기 플로우트의 위치에 의해 상기 배수탱크의 물의 양을 검지시킬 경우,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로 회전되었을 때를 상기 배수탱크의 만수상태로 설정해두면,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보다도 낮은 위치, 즉, 만수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규제수단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배수탱크에 제습수를 많이 저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gula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 is regulated at an inclination exceeding a horizontal position, so that,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water in the drain tank is detected by the position of the float, the float may be rotated to a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time is set to the full state of the drainage tank, rotation of the float is not restricted by the regulating means until the float reaches a position lower than the horizontal position, that is, the full state. Can store a lot of dehumidifying water.

또, 상기 배수탱크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는, 상기 축공을 끼고서상기 플로우트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축공을 지점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간단히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the drain tank, and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loat with the shaft hole, so that the user grabs the gripping portion by hand and tilts the drain tank. The float can simply rotat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hol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서, 제습기를 예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a dehumid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제습기의 일부 절결본체 정면도, 도 2는 동 제습기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3은 동 제습기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동 제습기의 배수탱크의 평면도, 도 5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要部)단면도, 도 6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7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8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partially cut-out body of a dehumidifier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the dehumidifier, FIG. 3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FIG. 4 is a plan view of a drain tank of the dehumidifier,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and Fig. 8 is a use of the dehumidifier. Main part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tate.

1은, 실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 본체로, 이 본체(1)의 외면은, 합성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2)와 리어 케이스(3)와 바닥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dehumidifier main body which dehumidifies indoor air, and the outer surface of this main body 1 is comprised from the front case 2, the rear case 3, and the bottom plate 4 made of synthetic resin.

5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본체(1)의 후면에 형성된 격자상의 흡기구로, 이 흡기구(5)의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필터(6)가 장착되어 있다.5 is a lattice inle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rough which air in the room is sucked, and a removable filter 6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inlet 5.

7은, 상기 본체(1)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로, 상기 흡기구(5)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1) 내에서 제습, 가열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출구이다.7 is an exhaust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is an outlet for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sucked from the intake port 5 into the main body 1 and discharging it to the room.

8은, 상기 본체(1)의 상기 배출구(7)보다도 배면측에 형성된 격자상의 보조 배기구로, 이 보조 배기구(8)로부터도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8 is a grid-shaped auxiliary exhaust por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 so that dehumidifi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exhaust port 8 as well.

9는, 제 1루버(10)와 제 2루버(11)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구(7)의 상면측을 개폐하는 제 1풍향변경체로, 이 제 1풍향변경체(9)는, 상기 제 1루버(10)와 제 2루버(11)의 양단에 형성된 지지축(12, 13)을 상기 배기구(7)의 원주 가장자리의 축공(도시생략)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루버(10)의 일방측의 지지축(12)에는 암(14)이 장착되고, 상기 제 2루버(11)의 일방측의 지지축(13)에는, 토오크 리미터(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암(15)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암(14, 15)의 선단은 링크레버(16)의 양단에 형성된 축(16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9 is the 1st wind direction changer which consists of the 1st louver 10 and the 2nd louver 11,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aid exhaust port 7, This 1st wind direction changer 9 is a said 1st wind direction changer. The support shafts 12 and 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uver 10 and the second louver 11 are rotatab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haft holes (not shown) at the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exhaust port 7. An arm 14 is attached to the support shaft 12 on one side of the first louver 10, and a torque limiter (not shown) on the support shaft 13 on the one side of the second louver 11. The arm 15 is mounted through the (). The ends of these arms 14 and 15 are connected by shafts 16a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k lever 16.

17은, 상기 암(15)과 반대측의 상기 배기구(7)의 원주 가장자리에 장착된 스테핑모터로, 상기 제 2루버(11)의 타방측의 지지축(13)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테핑모터(17)의 회전·역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루버(1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루버(10)가 상기 링크레버(16)를 개재하여 연동하여 회전한다.17 is a stepping motor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exhaust port 7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rm 15, and a drive shaf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13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ouver 11. By the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epping motor 17, the second louver 11 rotates, and the first louver 10 interlocks with the link lever 16 to rotate.

18은, 상기 배기구(7)의 정면측을 개폐하는 제 2풍향변경체로, 이 제 2풍향변경체(18)는, 양단에 형성된 지지축(18a)이 상기 배기구(7)의 좌우 원주 가장자리의 정면측에 축지지되어 있다.18 is a second wind direction change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ide of the exhaust port 7, wherein the support shafts 18a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wind direction changer 18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exhaust port 7. It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ront side.

19는, 일단측을 상기 본체(1) 상면의 대략 중앙으로 축 지지되는 세웠다 눕혔다 할 수 있는 반송용 손잡이로, 이 손잡이(19)를 상기 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손으로 쥐고서 상기 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9)는, 눕혔을 때에 손잡이 수납요부(凹部)(20)에 수납되고, 상기 본체(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외관을 손상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19 is a conveyance handle which can be erected and laid on one end side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by holding the handle 19 by hand. ) Can be moved. When the said handle 19 is laid down, it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accommodating recess 20, and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said main body 1, and it does not damage an external appearance.

21은,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는 경계판으로, 상기 본체(1)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고 있다. 이 경계판(21)의 바닥면에는 배수공(22)이 형성되어 있다.21 is a boundary plate provided in the said main body 1, and divides the said main body 1 into upper part and lower part. A drain hole 2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undary plate 21.

23은, 상기 흡기구(5)로부터 상기 배기구(7)를 향하는 송풍로로, 이 송풍로(23)에는, 증발기(24), 응축기(25),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sirocco fan)(27)으로 이루어지는 송풍기(28)가, 상기 본체(1)의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열을 이루면서 그 순서로 순차 배설되어 있다. 23 is a blower path from the inlet port 5 to the exhaust port 7, in which the blower 23 rotates by driving the evaporator 24, the condenser 25, and the motor 26. The blower 28 which consists of a (sirocco fan) 27 arrange | positions in that order, forming a r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said main body 1, and is arranged in order.

29는, 상기 시로코팬(27)을 에워싸도록 장착된 팬 케이싱(fan casing)이다.29 is a fan casing mounted to surround the sirocco fan 27.

30은, 상기 모터(26)가 장착되는 팬가이드로, 이 팬가이드(30)는, 상기 경계판(21)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1)의 상방에 고정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상기 송풍기(28)와 연통되는 연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30 is a fan guide on which the motor 26 is mounted. The fan guide 30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oundary plate 21, is fixed above the main body 1, and at the center thereof, A communication hole 31 communicating with the blower 28 is formed.

32는, 상기 바닥판(4)과 상기 경계판(2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경계판(21)의 하부 공간을 앞뒤로 구획하는 구획판이다. 이 구획판(32)에 의해 구획된 배면측의 공간에는, 상기 증발기(24)나 상기 응축기(25) 등과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상기 증발기(24)나 상기 응축기(25) 등을 개재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32 is a partiti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4 and the boundary plate 21 to partition the lower space of the boundary plate 21 back and forth. In the space on the rear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32, a refrigeration cycle is constituted together with the evaporator 24, the condenser 25 and the like, and the evaporator 24, the condenser 25 and the like are interposed. The compressor (not shown) which circulates a refrigerant | coolant is arrange | positioned.

33은, 상기 증발기(24)에서 생긴 결로수가 고이는 배수탱크로, 이 배수탱크(33)는, 상기 구획판(32)에 의해 구획된 정면측의 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이 배수탱크(33) 전면의 대략 중앙에는, 사용자가 상기 배수탱크(33)에 고인 수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창(34)이 설치되어 있다.33 is a drainage tank wher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4 accumulates, and the drainage tank 33 is housed in a space on the front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32 so as to be detachable. In a substantially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ain tank 33, a transparent window 34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water accumulated in the drain tank 33.

35는, 마그넷(36)이 장착되고, 상면이 개구된 플로우트로, 이 플로우트(35)는, 양단에 형성된 한쪽의 회전축(35a)은 상기 배수탱크(33) 우측 상방의 축공(A)에 삽입되고, 다른쪽의 회전축(35b)은, 상기 배수탱크(33)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지판(37)의 축공(B)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탱크(33)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플로우트(35)는, 상기 축공(A,B)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다른쪽의 상기 회전축(35b)으로부터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8)가 형성되어, 상기 플로우트(35)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35 is a float in which a magnet 36 is mount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In this float 35, one rotation shaft 35a formed at both ends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A above the right side of the drain tank 33. The other rotating shaft 35b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haft hole B of the holding plate 37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tank 33.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aid drainage tank 33 rises, the said float 35 will rotate upwards using the said axial hole A and B as a support point. And the extending part 38 extended below is formed from the said other rotating shaft 35b, and it rotates in cooperation with the said float 35. As shown in FIG.

39는, 상기 축공(B)의 근방에 형성된 규제수단, 즉, 접촉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상기 연장부(38)가 상기 접촉부(39)에 맞닿아서, 그 이후의 회전을 규제한다.39 is a restricting mean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haft hole B, that is, a contact por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float 35 rotates to a position exceeding a horizontal plane, the extension portion 38 causes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39, the subsequent rotation is regulated.

40은, 상기 축공(A,B)을 끼고서 상기 플로우트(35)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파지부로, 상기 배수탱크(33)에 고인 물을 배출할 때에, 상기 파지부(40)를 손잡이로 쥠으로써, 간단히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3)는, 수평면의 위치에서 상기 축공(A,B)을 지지점과 평형인 상태로 회전하고, 또 기울이면 상기 연장부(38)가 상기 접촉부(39)에 맞닿아서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플로우트(35)는,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40 denotes a grip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loat 35 with the shaft holes A and B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grip portion 40 is gripped when discharging water accumulated in the drain tank 33. The drainage tank 33 is simply tilted by turning to. When the drain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3 rotates the shaft holes A and B in a state parallel to the supporting point at a position of a horizontal plane. The float 35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 tank 33 because the float 35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39 so that it cannot be rotated further.

41은, 상기 본체(1)의 정면측 상방에 설치된 조작부로, 이 조작부(41)의 좌측에는, 상기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를 표시하는 만수표시 램프(42)가 설치되고, 대략 중앙에는 운전시의 습도나 온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3)가 설치되며, 우측에는, 상기 본체(1)를 운전, 정지하기 위한 운전스위치(44)가 설치되어 있다.41 is an operation part provided above the front side of the said main body 1, The water level display lamp 42 which displays the water level state of the said drainage tank 33 is provided in the left side of this operation part 41, and is substantially centered. The display unit 43 which displays humidity, temperature, etc. at the time of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operation switch 44 for operating and stopping the said main body 1 is provided in the right side.

45는, 상기 조작부(41)의 좌측에 설치된 모드 절환스위치로, 상기 제 1풍향변경체(9)를 전방측으로 회전시키는 전방 토출모드와, 상방측으로 회전시키는 스폿 토출모드와, 완전폐쇄상태에서 완전개방상태 사이를 회전시키는 와이드 토출모드와, 상기 제 1풍향변경체(9)의 회전의 정지를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45 is a mode changeover switch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part 41, and is a front discharge mode for rotating the first wind direction changer 9 to the front side, a spot discharge mode for rotating upwards, and complete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The wide discharge mode for rotating between the open states and the stop of rotation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hanging body 9 are switched.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조작부(41)의 전원스위치(44)를 누르면, 제 1풍향변경체(9)가 회전하여, 배기구(7)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모터(26)가 구동하여 시로코팬(27)이 회전하고, 실내의 공기가 흡기구(5)로부터 필터(6)를 개재하여 본체(1) 내부로 흡입되고, 필터(6)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 후, 증발기(24)에 접촉하여 냉각 제습된다. 제습 후의 차가운 공기는 응축기(24)로 가열되고 송풍기(28)를 통과하여 따뜻한 공기가 된다. 그리고, 이 제습된 따뜻한 공기는 배기구(7)로 보내지고, 제 1풍향변경체(9)와 제 2풍향변경체(18)에 의해 풍향은 변경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중의 습기가 제거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를 세탁물에 닿게 하면 단시간에 건조할 수 있다.First, when the power switch 44 of the operation part 41 is pressed, the 1st wind direction change body 9 will rotate, and the exhaust port 7 will be in an open state from the closed state. Then, the motor 26 is driven to rotate the sirocco fan 27, and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 from the intake port 5 via the filter 6, and dust is caused by the filter 6. After is removed, the evaporator 24 is contacted to cool and dehumidify. The cold air after dehumidification is heated by the condenser 24 and passes through the blower 28 to become warm air. The dehumidified warm air is sent to the exhaust port 7, and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by the first wind direction changing body 9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changing body 18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As a result, moisture in the indoor air is removed, and when the discharged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undry, it can be dried in a short time.

또, 제 2풍향변경체(18)와, 모드전환 스위치(45)에 의한 제 1풍향변경체(9)의 위치에 의해, 본체(1)의 정면측 하방으로부터 후면 경사 상방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2nd wind direction changing body 18 and the 1st wind direction changing body 9 by the mode changeover switch 45, it spreads over the wide range from the front side downward of the main body 1 to the rear inclination upward. The dehumidified air can be discharged.

그리고, 증발기(24)를 통과함에 따라, 실내공기에 의해 제거된 수분은 배수공(22)을 통과하여 배수탱크(33)에 흘러내리고,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플로우트(35)가 축공(A,B)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플로우트(35)가 수평면 위치에 올 때까지 수위가 상승하면, 마그넷(36)이 경계판(21)보다 멀어지므로, 마그넷(36)의 자장을 검지하는 센서(도시생략)가 자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고, 이 때를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로 판단하여, 본체(1)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조작부(41)에 설치된 만수램프(42)가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Then, as i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4, the water removed by the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drain hole 22 to the drain tank 33, when the water level rises, the float 35 is the shaft hole (A, Rotate upward with B) as the support point. When the water level rises until the float 35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magnet 36 moves away from the boundary plate 21, so that the sensor (not shown) which detect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36 does not detect the magnetic field.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age tank 33 is in full water, and the water supply lamp 42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41 is turned 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 and inform the user. .

사용자는, 만수램프(42)의 점등을 보고,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파지부(40)를 손으로 잡고 탱크(33)를 기울여 물을 배출하고, 다시 본체(1)내에 배수탱크(33)를 장착하면 플로우트(35)가 아래로 내려간 상태이므로, 마그넷(36)은 센서에 근접하며, 마그넷(36)의 자장을 센서가 검지하여, 만수상태가 해소되었다고 판단하고, 다시 제습동작이 개시된다.The user sees the lighting of the full water lamp 42 and separates the drainage tank 33 from the main body 1. When holding the gripper 40 by hand, the tank 33 is inclined to discharge water, and when the drain tank 33 is mounted in the main body 1 again, the float 35 is in a downward state, and thus the magnet 36 ) Is close to the sensor, the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36, determines that the water level has been eliminated, and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is started again.

그런데, 배수탱크(33)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가령 잘못하여 본체(1)에 사람이 부딪쳤을 때나,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 내거나 하면, 수면이 흔들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물이 들어와 버리면, 플로우트(35)는 수몰되어,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를 정확히 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침입한 물을 배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water is accumulated in the drain tank 33, for example, when a person accidentally hits the main body 1, or when the drain tank 33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 with a large force, the water surface may shake. As shown in the drawing, water may infiltrate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When the water enters, the float 35 is submerged, so that the water full state of the drainage tank 33 cannot be detected accurately, so the user needs to discharge the invasive water.

이 물을 배수시킬 경우, 사용자는,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켜, 파지부(41)를 손으로 잡고 배수탱크(33)를 기울여 가면, 완만한 경사일 때까지, 플로우트(35)는 수평면의 위치에서 축공(A,B)을 지지점으로 평형상태로 회전하고 있지만, 경사가 급해지면 연장부(38)가 접촉부(39)에 맞닿아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수평면에서 균형을 이룬 플로우트(35)의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또한 배수탱크(33)를 횡방향이 될 때까지 기울이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도 횡방향이 되어, 칩입한 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When the water is drained, the user separates the drain tank 33 from the main body 1, holds the grip portion 41 by hand, and tilts the drain tank 33 until the slope is gentle. 35 rotates in a state of equilibrium with the axial holes A and B at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plane, but when the inclination becomes steep, the extension portion 38 abuts against the contact portion 39, as shown in FIG. The float 35 can no longer rotate, and the float 35 balanced in the horizontal plane is released and inclined with the drain tank 33. Therefore,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nd the drainage tank 33 is inclined until i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8,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lso has the horizontal direction. Thus, the infiltrated water can be completely discharged.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우트의 한쪽의 회전축은 배수탱크의 축공에 삽입하고, 타방의 회전축은 유지판의 축공에 삽입하여 축지지시켰지만, 유지판을 설치하지 않고, 배수탱크에 2개의 축공을 형성하여, 양단의 회전축을 이 축공에 삽입시켜도 상관없다.In this embodiment, one rotating shaft of the float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drain tank, and the other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retaining plate to support the shaft. However, two shaft holes are formed in the drain tank without installing the retaining plate. The rotary shafts at both ends may be inserted into this shaft hole.

이상과 같이, 상면 개구의 상기 플로우트(35)의 상기 회전축(35a,35b)을 상기 축공(A,B)에 삽입하고, 상기 회전축(35b)으로부터 연장설치하는 연장부(38)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축공(B) 근방에는 접촉부(39)를 형성했으므로, 가령 잘못하여 상기 본체(1)에 사람이 부딪쳤을 때나, 상기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냈을 때 등에, 수면이 흔들려 상기 플루우트(3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물이 침입했을 경우, 이 침입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탱크(33)를 상기 본체(1)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5)는, 상기 축공(A,B)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장부(38)가 상기 접촉부(39)와 맞닿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평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던 상기 플로우트(35)는,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지므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35)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shafts 35a and 35b of the float 35 in the upper surface opening ar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s A and B, and an extension portion 38 extending from the rotary shaft 35b is form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tact portion 39 is formed near the shaft hole B, for example, when a person accidentally hits the main body 1, when the drain tank 33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 with a large force, or the like. When the water is shaken and water intrudes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ute 35, the drain tank 33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to discharge the intruded water, and the drain tank 33 ), The float 35 rotates the shaft holes A and B to a point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38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39, so that the float 35 rotates further. You will not be able to. Therefore, since the float 35 which has been balanced in the horizontal plane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 tank 33 because the equilibrium state is released, the user can simply tilt the drain tank 33 to the float 35. Invasive water can be discharg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 상기 플로우트(35)는, 수평면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연장부(38)가 상기 접촉부(39)와 맞닿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의 위치로 회전되는 위치를 상기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보다도 낮은 위치, 즉, 만수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연장부(38)가 상기 접촉부(39)와 맞닿아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이 규제되는 일 없이, 상기 배수탱크(33)에 제습수를 많이 저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ince the said extended part 38 abuts the said contact part 39, when the said float 35 is rotated to the position over a horizontal plane, the said float 35 rotates to the position of a horizontal plane of the said drainage. Since the tank 33 can be set to the full water level, the extension part 38 abuts against the contact part 39 until the float 35 i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the full water level. It is possible to store a lot of dehumidifying water in the drain tank 33 without restricting the rotation of h).

또, 상기 배수탱크(33)에 상기 파지부(40)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40)를 상기 축공(A,B)을 끼고서 상기 플로우트(35)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40)를 손으로 잡고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5)는 상기 축공(A,B)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장부(38)를 간단히 상기 접촉부(39)에 접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gripping portion 40 in the drain tank 33, the gripping portion 4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float 35 by sandwiching the shaft holes (A, B), the user When the gripper 40 is held by the hand and the drainage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5 rotates the shaft holes A and B to the point, and the extension 38 is simply the contact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touch (39).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며, 또, 도면에 대해서는, 상태를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해, 일부의 구성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In addition, about the same structure as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Moreover, in order to make a state easy to understand about drawing, some structure is abbreviate |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제습기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use of the dehumidifier,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use of the dehumidifier, and FIG. This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46은, 상기 플로우트(35)의 하방에 형성된 규제수단, 즉, 접촉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46)가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맞닿아서, 그 이후의 회전을 규제한다.46 is a restricting means formed under the float 35, that is, a contact por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float 35 rotates to a position exceeding a horizontal plane, the contact portion 46 causes the drain tank.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33), the subsequent rotation is regulated.

상기 구성에 의해,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사용자는,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떼어내어, 파지부(40)를 손으로 잡고 배수탱크(33)를 기울여가면, 완만한 경사일 때까지는, 플로우트(35)는 축공(A,B)을 지지점으로 수평면에서 평형을 이룬 상태로 회전하고 있지만, 경사가 급격해지면 접촉부(46)가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접하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수평면에서 평형을 이룬 플로우트(35)의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또 배수탱크(33)를 횡방향이 될 때까지 기울이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도 횡방향이 되어, 침입한 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discharging the water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the user detaches the drainage tank 33 from the main body 1, grasps the holding part 40 by hand, and the drainage tank ( 33, the float 35 is rotated in a state of equilibrium in the horizontal plane with the shaft holes A and B as a supporting point until the slope is gentle, but when the inclination becomes sharp, the contact portion 46 becomes the drain tank ( As shown in FIG. 11, the float 35 can no longer rotate, and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float 35 balanced in the horizontal plane is released, so that the float 35 and the drain tank 33 Tilted together Accordingly,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nd the drainage tank 33 is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lso has a horizontal direction. Thus, the intruded water can be completely discharged.

이상과 같이, 상면 개구의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축(35a,35b)을 상기 축공(A,B)에 삽입하고, 상기 플로우트(35)의 하방으로 상기 접촉부(46)를 형성했으므로, 가령, 잘못하여 상기 본체(1)에 사람이 부딪쳤을 때나, 상기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냈을 때 등에, 수면이 흔들려 상기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물이 침입했을 경우, 이 침입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탱크(33)를 상기 본체(1)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배출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접촉부(46)가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과 맞닿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평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던 상기 플로우트(35)는,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지므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35)에 침입한 물을 배수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rotating shaft 35a, 35b of the said float 35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was inserted in the said axial hole A, B, and the said contact part 46 was formed below the float 35, for example, When a person hits the main body 1 by mistake, when the drain tank 33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 with a large force, or the like, the water surface is shaken and water invades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35. In order to discharge the infiltrated water, the drainage tank 33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and when the drainage tank 33 is inclined, the contact portion 46 is formed in the drainage tank 33.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the float 35 can no longer rotate. Therefore, since the float 35 which has been balanced in the horizontal plane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 tank 33 because the equilibrium state is released, the user can simply tilt the drain tank 33 to the float 35. The invasive water can be drain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 상기 플로우트(35)는, 수평면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46)가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과 맞닿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 위치까지 회전되는 위치를 상기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보다도 낮은 위치, 즉, 만수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접촉부(46)가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맞닿아서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이 규제되는 일 없이, 상기 배수탱크(33)에 제습수를 많이 저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Moreover, when the said float 35 rotates to the position over a horizontal plane, since the said contact part 46 abut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aid drainage tank 33, the position where the said float 35 rotates to a horizontal plane position Since it can be set to the full state of the drain tank 33, the contact portion 46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in tank 33 until the float 35 is lower than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a large amount of dehumidification water can be stored in the drainage tank 33 without the rotation of the float 35 being restricted to abut.

또, 상기 배수탱크(33)에 상기 파지부(40)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40)를 상기 축공(A,B)을 끼고서 상기 플로우트(35)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40)를 잡고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5)는 상기 축공(A,B)을 지지점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장부(46)를 간단히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맞닿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gripping portion 40 in the drain tank 33, the gripping portion 4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float 35 by sandwiching the shaft holes (A, B), the user When the holding tank 40 is held and the drain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5 rotates the shaft holes A and B to a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extension part 46 is simply connected to the drain tan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ner wall surface of 33) can be abutt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며, 또, 도면에 대해서는 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의 구성을 생략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about the same structure as the 1st Example and 2nd Example mentioned abov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nd the structure is abbreviate | omitted in order to make a state easy to understand about drawing.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제습기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5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and FIG. This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ehumidifier.

47은,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형성된 규제수단, 즉, 접촉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상기 플로우트(35)가 상기 접촉부(47)에 맞닿아서, 그 이후의 회전을 규제한다.47 is a restriction mean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in tank 33, that is, a contact portio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loat 35 rotates to a position exceeding a horizontal plane, the float 35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7, the subsequent rotation is restricted.

상기 구성에 의해,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켜,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사용자는, 배수탱크(33)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켜, 파지부(40)를 손으로 잡고 배수탱크(33)를 기울여가면, 완만한 경사일 때까지는, 플로우트(35)는 축공(A,b)을 지지점으로 수평면에서 평형상태로 회전하고 있지만, 경사가 급격해지게 되면 플로우트(35)가 접촉부(47)와 맞닿으므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수평면에서 균형을 이룬 플로우트(35)의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또 배수탱크(33)를 횡방향이 될 때까지 기울이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35)의 상면 개구부도 횡방향이 되어, 침입한 물을 완전히 배수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ain tank 33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and the water penetrated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35 is discharged, the user separates the drain tank 33 from the main body 1. When the holding tank 40 is held by hand and the drainage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5 is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e support point with the shaft holes A and b until the slope is gentle. When the inclination becomes sharp, the float 35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47, so that the float 35 can no longer rotate as shown in FIG. 15, and the float 35 is balanced in the horizontal plane. Equilibrium is released and inclined with the drain tank 33. Accordingly,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nd the drainage tank 33 is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loat 35 also has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drain the invaded water completely.

이상과 같이, 상기 개구의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축(35a,35b)을 축공(A,B)에 삽입하고, 상기 배수탱크(33)의 내벽면에 접촉부(47)를 형성했으므로, 가령, 잘못하여 상기 본체(1)에 사람이 부딪혔을 때나, 상기 배수탱크(33)를 상기 본체(1)로부터 큰 힘으로 떼어냈을 때 등에, 수면이 흔들려 상기 플로우트(35)의 상면개구부로부터 물이 침입했을 경우, 이 침입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상기 배수탱크(33)를 상기 본체(1)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5)가 상기 접촉부(47)와 맞닿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평면에서 평형을 이루고 있던 상기 플로우트(35)는, 평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탱크(33)와 함께 기울어지므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35)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rotation shaft 35a, 35b of the said float 35 of the said opening was inserted in the shaft hole A, B, and the contact part 47 was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aid drainage tank 33, for example, When a person hits the main body 1 by mistake or when the drainage tank 33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 with a large force, the water surface is shaken and water has invaded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35. In this case, the drainage tank 33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 in order to drain the infiltrated water, and when the drainage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7. As it touches, the float 35 can no longer rotate. Therefore, since the float 35 which has been equilibrated in the horizontal plane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33, the user can only tilt the drainage tank 33 to the float 35. Invasive water can be discharg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 상기 플로우트(35)는, 수평면을 넘는 기울기까지 회전되는 위치에서 상기 플로우트(35)를 상기 접촉부(47)와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의 위치로 회전되는 위치를 상기 배수탱크(33)의 만수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우트(35)가 수평면보다도 낮은 위치, 즉, 만수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플로우트(35)가 상기 접촉부(47)에 맞닿아서 상기 플로우트(35)의 회전이 규제되는 일 없이, 상기 배수탱크(33)에 제습수를 많이 저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loat 35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47 with the float 35 at a position that is rotated to an inclination exceeding a horizontal plane, whereby the float 35 is rotated to a horizontal plane position. Since the tank 33 can be set to a full water level, the float 35 abuts against the contact portion 47 until the float 35 i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the full water level. It is possible to store a lot of dehumidifying water in the drain tank 33 without restricting the rotation of h).

또, 상기 배출탱크(33)에 상기 파지부(40)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40)를 상기 축공(A,B)을 끼고서 상기 플로우트(35)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40)를 잡고 상기 배수탱크(33)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35)는 상기 축공(A,B)을 지지점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로우트(35)를 간단히 상기 접촉부(47)와 맞닿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gripping portion 40 in the discharge tank 33, the gripping portion 40 is formed in a position relative to the float 35 by sandwiching the shaft holes (A, B), the user When the holding tank 40 is held and the drain tank 33 is tilted, the float 35 rotates the shaft holes A and B to a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float 35 is simply the contact portion 47. It is effective that we can come in contact with.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배수탱크에, 상면 개구의 플로우트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우트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플로우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상기 플로우트의 상면 개구부분으로부터 침입한 물을 배출시킬 경우,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규제수단에 의해,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후의 회전이 규제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ft hole in which a rotating shaft of a float of an upper surface opening is inserted is formed in a drain tank, and the float is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drain tank, and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is time, since a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rotation of the float is provided, when discharging the water invaded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float, the drainage tank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drainage tank is tilted up to, the float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means thereafter, and the float is tilt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invaded into the float by only tilting the drainage tank with one han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축공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연장부와 맞닿는 접촉부로 했으므로,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에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연장부가 상기 접촉부에 맞닿아서,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and the restricting means is provided near the shaft hole, and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eparating the drainage tank from the main body and tilting the drainage tank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auses the extension to contact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float cannot rotate further;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that has invaded the float by simply tilting the drainage tan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르면,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배수탱크와 맞닿는 접속부로 하였으므로,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배수탱크에 맞닿아서,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icting means is formed in the float, and when the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estricting means is a connecting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ainage tank, thereby separating the drainage tank from the main body, If the drainage tank is tilted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comes in contact with the drainage tank so that the float cannot rotate any more, and the float is inclined with the drainage tank. .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that has invaded the float by simply tilting the drainage tan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르면,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배수탱크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플로우트와 맞닿는 접촉부로 하였으므로, 상기 배수탱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접촉부에 맞닿아서, 상기 플로우트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로우트는, 상기 배수탱크와 함께 기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상기 플로우트에 침입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icting means is formed in the drainage tank, and when the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egulating means is a contact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at, thereby separating the drainage tank from the main body, If the drainage tank is tilted until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oat abuts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float cannot rotate any more, and the float is tilted with the drainage tank.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that has invaded the float by simply tilting the drainage tan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르면,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를 넘는 기울기로 규제되므로, 가령, 상기 플로우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수탱크의 수량을 검지시킬 경우,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로 회전되었을 때를 상기 배수탱크의 만수상태로 설정해 두면,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보다도 낮은 위치, 즉, 만수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규제수단에 의해 구동이 규제되는 일 없이, 상기 배수탱크에 제습수를 많이 저수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ulating means is that the float is regulated by the inclination beyond the horizontal position,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e quantity of the drainage tank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 the float rotates to the horizontal position Is set to a full state of the drainage tank, the float is not controlled by the regulating means until the float reaches a position lower than a horizontal position, that is, a full state. Dehumidifying water can be stored a lot.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르면, 상기 배수탱크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는, 상기 축공을 끼고서 상기 플로우트와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상기 배수탱크를 기울이면, 상기 플로우트를 상기 축공을 지점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claim 6,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the drainage tank, and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float with the shaft hole, so that the user holds the gripping portion by hand to hold the drainage tank. When til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at can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제습기의 일부 절결 본체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artially cut-out main body of the dehumidifier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제습기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2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the dehumidifier.

도 3은 동 제습기의 측면 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humidifier.

도 4는 동 제습기의 배수탱크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drain tank of the dehumidifier.

도 5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6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7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8은 동 제습기의 상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commercial state of the dehumidifier.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제습기의 요부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dehumidifier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11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12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제습기의 요부 단면도이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dehumidifier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15는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 16은 동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dehumidifier in us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본체 5:흡기구1: Body 5: Intake

7:배기구 24:증발기7: Exhaust vent 24: Evaporator

25:응집기 28:송풍기25: Aggregator 28: Blower

33:배수탱크 35:플로우트33: drainage tank 35: float

A,B:축공 38:연장부A, B: Axis 38: Extension part

39,46,47:접촉부(규제수단) 40:파지부39, 46, 47: contact part (regulatory means) 40: gripping part

Claims (6)

본체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형성하고, 본체 내에 압축기, 증발기, 응집기 및 송풍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과, 상기 증발기로 제습된 제습수를 저수하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이 배수탱크에, 상면 개구의 플로우트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상기 배수탱크내에 저장된 물의 배수 조작시, 배수탱크의 경사에 따라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플로우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and includes a refrigeration cycle composed of a compressor, an evaporator, an agglomerator, a blower, and the like, and a drain tank for storing dehumidified wate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And a regulating mean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loat and regulating the rotation of the float when the float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drainage tank during the drainage operation of the water stored in the drainage tank.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축공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연장부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restricting means is a contact portion provided near the shaft hole and contacting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상기 배수탱크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said regulating means is a contact portion formed in said float and contacting said drainage tank when said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배수탱크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우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 상기 플로우트와 맞닿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said regulating means is a contact portion formed in said drain tank and contacting said float when said float rotat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플로우트가 수평위치를 넘는 기울기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regulating means is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 is regulated at an inclination exceeding a horizontal position.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수탱크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는, 상기 축공을 끼고서 상대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the drain tank, and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shaft hole.
KR10-2002-0014581A 2001-03-19 2002-03-18 Air conditioner KR1004917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8230A JP2002276994A (en) 2001-03-19 2001-03-19 Air conditioner
JPJP-P-2001-00078230 2001-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12A KR20020074412A (en) 2002-09-30
KR100491766B1 true KR100491766B1 (en) 2005-05-27

Family

ID=1893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81A KR100491766B1 (en) 2001-03-19 2002-03-18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76994A (en)
KR (1) KR100491766B1 (en)
CN (1) CN1176327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7695B2 (en) * 2005-06-30 2011-08-17 株式会社トヨトミ Air conditioner drain tank structure
CN101726058B (en) * 2009-11-20 2011-12-14 青岛海科节能工程技术有限公司 Integrated solution type dehumidifying air-conditioning device
CN103032939B (en) * 2011-09-30 2015-05-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Dehumidifier
JP5850000B2 (en) * 2013-07-02 2016-02-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Dehumidifier drain tank
CN115486761A (en) * 2021-06-17 2022-12-20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Base station of cleaning rob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9A (en) * 1991-06-24 1993-01-08 Brother Ind Ltd Mobile type air-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9A (en) * 1991-06-24 1993-01-08 Brother Ind Ltd Mobile type air-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12A (en) 2002-09-30
JP2002276994A (en) 2002-09-25
CN1375659A (en) 2002-10-23
CN1176327C (en)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US9920976B2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a dehumidifier
KR101158579B1 (en) A dehumidifier
KR101174529B1 (en) A dehumidifier
US9879878B2 (en) Dehumidifier
KR20060131112A (en) A dehumidifier
KR20060129677A (en) A dehumidifier
JP4975019B2 (en) Dehumidifier
JP5241935B2 (en) Dehumidifier
KR100491766B1 (en) Air conditioner
JP2004061042A (en) Air conditioner
KR100393840B1 (en) Air conditioner
JP2005265256A (en) Portable dehumidifier
JP4223199B2 (en) Dehumidifier
JP2001041493A (en) Air-conditioner
JP2000274731A (en) Dehumidifier
JP3370061B2 (en) Air conditioner
JP3370077B2 (en) Air conditioner
KR101153691B1 (en) A dehumidifier
KR100829190B1 (en) Dehumidifi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5098998A (en) Dehumidifier
JPH11248193A (en) Drain tank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is drain tank
JP2003279067A (en) Air-conditioner
JP2001065918A (en) Air-conditioner
JP2002295866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