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909B1 -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909B1
KR100490909B1 KR10-2002-0044746A KR20020044746A KR100490909B1 KR 100490909 B1 KR100490909 B1 KR 100490909B1 KR 20020044746 A KR20020044746 A KR 20020044746A KR 100490909 B1 KR100490909 B1 KR 10049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optical fiber
time window
sample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691A (ko
Inventor
김인수
김요희
박재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4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9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 G08B13/18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using light guide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여부뿐만 아니라 감지된 물체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구별이 가능한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방법은, 광섬유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감지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변화된 디지털 신호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 방식으로 일정 크기의 일정 크기의 타임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면서 타임 윈도우 내의 샘플 데이터를 모두 합산하여 그 합산 값에 따라서 침입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침입물체 구분방법은, 상기한 침입감지 방법에 의하여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당 타임 윈도우 내의 모든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FFT 변환된 데이터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회수에 근거하여 침입물체를 구분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Intrusion sensing and intrusion object discriminating method using an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 감시용 시스템에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방식으로 감지신호를 받아들여 시간영역에서 하나의 윈도우 내에서의 신호들의 진폭(파워; power) 크기를 통해 침입의 유무를 감지하고, 해당 위도우 내의 신호들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주파수 성분에서의 크기의 변화(양의 기울기)의 횟수에 따라 침입물체(사람과 차량)를 구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섬유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감시용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하게 침입만을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침입한 물체가 어떠한 종류인지는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시 시스템에서 침입 물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침입여부 뿐만 아니라 감지된 물체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구별이 가능한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방법은, 광섬유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감지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변화된 디지털 신호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 방식으로 일정 크기의 타임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면서 타임 윈도우 내의 샘플 데이터를 모두 합산하여 그 합산 값에 따라서 침입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물체 구분방법은, 상기한 침입감지 방법에 의하여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타임 윈도우 내의 모든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FFT 변환된 데이터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회수에 근거하여 침입물체를 구분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3단계는, 타임윈도우를 1샘플 데이터씩 이동시키면서 소정 개수의 타임윈도우에 대하여 모든 샘플 데이터의 합산 값을 구하는 제 3-1단계와; 상기 제 3-1단계에서 구해진 합산 값들과 상기 제 2단계에서 구한 합산값 중에서 최대 값을 선택하는 제 3-2단계와; 상기 선택된 최대 값에 대응하는 타임 윈도우 내의 모든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FFT를 행하는 제 3-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 회수가 소정치 보다 크면 상기 침입물체가 차량으로 구분하고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침입물체를 사람으로 구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에 침입물체가 감지되면, 이에 따른 광신호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것을 신호처리하여, 침입여부 및 침입물체를 구별한다. 먼저 광신호의 변화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계속적으로 샘플링하여 일정 시간동안(Time window)에 샘플링된 신호들의 크기를 합산하여 문턱값 이상이 되면 침입 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유효신호(침입신호)가 완벽히 포함할 수 있도록 샘플 데이터 진폭의 합산값이 최대가 될 때 타임 윈도우(Time Window)의 위치를 잡는다. 그리고 이때의 샘플링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샘플링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는 횟수를 세어, 그 횟수가 일정한 문턱값 이상이 되면 감지 물체를 차량으로 판단하고, 문턱값 이하이면 감지 물체를 사람으로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구별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구별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시 시스템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해당 감시 영역의 경계 부위에 매설 또는 장설되어 광 경로 매체 및 센서 역할을 하는 광섬유(110); 코히어런트(coherent)한 광 신호를 발생시켜 그 발생된 광을 상기 광섬유(110)의 일단(111)을 통해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발생부(120); 상기 광섬유(110)를 통해 순방향 전송되어 그 광섬유(110)의 타단(112)을 통해 출사되는 광 신호를 상기 전송방향의 역방향 즉, 상기 광섬유(110)의 일단(111)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110)의 상기 타단(112) 출사면에 반사면이 접하도록 설치된 반사수단으로서의 고 반사 광섬유 거울(130); 상기 광섬유(110)의 일단(111)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광섬유(100) 내로 순방향 전송되는 광 신호는 그대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섬유 거울(130)에 의해 반사되어 역방향 전송되는 광신호는 보조 광섬유(150)측으로 분기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 커플러 또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로 구성된 광 분기부(140); 상기 광 분기부(140)에 의해 분기된 역방향 광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 매체 및/또는 센서 역할을 하는 보조 광섬유(150); 상기 광원발생부(120)와 상기 광 분기부(140) 사이의 상기 광섬유(110)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역방향 광 신호의 진행을 차단하는 광 아이솔레이터(Isolator)(160); 상기 보조 광섬유(150)의 종단부(151)를 통해 출사된 광 신호를 필터링하는 공간필터(170); 상기 보조 광섬유(150)의 종단부(151)를 통해 출사되어 상기 공간필터(170)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 수신부(180); 상기 광수신부(18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아날로그신호처리부(190); 상기 아날로그신호처리부(19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200);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200)의 출력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침입자가 사람인지 또는 차량인지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판별해내는 중앙처리장치(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신호처리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210)에는 이 중앙처리장치(210)의 제어하에 침입 감지 결과 및 침입물체의 구별결과(사람 또는 차량)를, LED(240)를 통하여 표시하기 위한 LED구동부(220)와, 스피커(250)를 통하여 발음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10)에는 인터페이스(260)를 통하여 상용의 퍼스널 컴퓨터(270)가 연결되어, 침입 감지 결과 및 침입물체의 구별결과(사람 또는 차량)가 모니터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감지결과 및 구별결과가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더욱이, 상기 중앙처리장치(210)의 기능을 상용 컴퓨터에서 수행하도록 하여도 되며, 이 경우에는 구성요소들(210,220,230,240,250)을 제거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200)의 출력이 인터페이스(260)를 통해서 퍼스널컴퓨터(270)에 입력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광원발생부(120)는 레이저다이오드(121)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21)를 구동하여 코히어런트한 광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이저다이오드(LD) 구동부(122)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21)의 안정된 동작을 유지하기 위한 레이저다이오드(LD) 안정화 회로부(1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 수광부(180)는 레이저 광 신호를 수광하는 하나 이상의 포토다이오드(PD)(181)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LD구동부(122)에 의해 구동된 레이저다이오드(121)로부터 코히어런트한 빛이 상기 광섬유(110)의 일단(111)을 통해 입사된다. 그 광섬유(110)에 입사된 빛은 광 아이솔레이트(160)와 광커플러(140)를 차례로 거쳐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광섬유(110)를 통과하여 순방향 전송되고, 상기 순방향 전송된 빛은 상기 광섬유(110)의 끝 단면에 있는 고 반사율의 광섬유 거울(130)의 반사면을 만나 그곳에서 대부분의 빛이 상기 입사한 방향에 역방향으로 반사된다. 상기 반사된 빛은 다시 상기 광섬유(110)를 통해 역방향 진행하여 상기 광 커플러(140)에 도달된 후, 상기 광 커플러(140)에 의해 상기 보조 광섬유(150)측으로 분기 전달된다. 상기 보조 광섬유(150)의 종단부(151)에 도달된 광 신호는 출사되어 상기 공간필터부(170)를 통과한 후 상기 광 수신부(180)의 포토다이오드(181)에 의해 수광 검출된다.
상기 광 수신부(180)의 포토다이오드(181)에 의해 수광된 광 신호는 전치증폭부(미도시)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아날로그신호처리부(190)에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200)에서 예를 들면 10kHz의 속도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210)에서 침입을 감지하고 그 침입물체가 사람인지 또는 차량인지를 구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LD 안정화 회로부(123)는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21)로부터의 출력을 감시하여 항상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21)로부터 일정한 파장 및 크기의 빛이 출력 되도록한다. 상기 광 아이솔레이터(160)는 상기 거울(130)에서 반사되어 역방향으로 전송되는 빛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21)측으로 궤환(feedback)되는 것을 막아 준다. 상기 광섬유(110) 및 상기 보조 광섬유(150)를 감쌀 수 있는 동관 등과 같은 외부보호재를 사용한 상기 차폐부(24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21)와 접한 상기 광섬유(110)의 일부분, 상기 수광부(180)의 포토다이오드(181)와 접한 상기 보조 광섬유(150)의 일부분, 및 건물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감시지역이 아닌 부분들을 외부 압력이나 진동에 의한 신호가 상기 광섬유(110,15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광섬유(110)는 감시지역 여건에 따라 수cm에서 수십cm 깊이로 침입자를 감시하고자 하는 곳의 지하에 매설하거나 울타리에 설치하며 침입자의 침입시 그 진동 또는 압력에 의하여 광섬유(110)가 눌러지게 되면 그 광섬유(110) 내부의 벽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거나 직진하는 빛의 위상을 변화시키게 되어 스페클 패턴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상기 수광부(180)의 포토다이오드(181)를 통해 수광되는 수광량이 변화되고, 그 변화되는 수광 신호는 상기 아날로그신호처리부(190)에서 증폭되어 아날로그/디지털변화부(200)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210)에 입력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의 구별(사람 또는 차량) 결과를, LED구동부(220)를 제어하여 LED(240)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스피커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스피커(250)를 통해서 발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상기 감지 결과 및 구별결과를 인터페이스(260)를 통해서 퍼스널컴퓨터(270)에 전달하고, 상기 퍼스널컴퓨터(270)에서는 상기 감지 결과 및 구별결과를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구별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도 2에 도시한 흐름도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고 그 침입물체가 사람인지 또는 차량인지를 구별하게 된다.
즉, 침입(또는 감지)발생의 유무 및 물체의 구별은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sliding time window)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에서 수행된다.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 방식은 윈도우 창을 일정 크기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하는 방법으로 알고리즘에 사용된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의 크기는 침입(또는 감지) 발생 후 측정된 신호를 완전히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한다.
따라서, 먼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200)에서 예를 들면 10kHz의 속도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타임 윈도우 크기에 대응하는 샘플링 개수를 n개로 설정한다. 그리고, n개의 샘플들의 진폭(파워) 크기를 슬라이딩하면서 더하기 위하여 합산 시작 샘플인 i번째 샘플을 1번째 샘플링된 샘플로 설정하고 합산 종료 샘플인 N번째 샘플을 n번째 샘플로 설정한다(단계 S1).
그후, i번째 샘플 데이터부터 N번째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n개의 샘플로 설정된 타임윈도우에서 이들 샘플데이터의 크기를 합산한다(단계 S2~S3).
이어, 상기 타임윈도우 내의 합산된 샘플데이터들의 합산 값(Psum)을 침입(또는 감지) 신호 문턱값(threshold, Pth)과 비교한다(단계 S4).
만약 샘플 데이터의 합산 값(Psum)이 Pth보다 크면 침입(또는 감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가 침입(또는 감지)신호를 완전히 포함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해 합산 시작 샘플인 i번째 샘플을 (i+1)번째 샘플링된 샘플로 설정하고 합산 종료 샘플인 N번째 샘플을 (N+1)번째 샘플로 설정하여 타임윈도우를 1샘플만큼씩 슬라이딩하면서 t개의 타임윈도우에 대하여 각각의 타임 윈도우 내의 샘플링 신호들의 크기 값을 더하여 각 타임윈도우의 샘플데이터 합산 값(Psum_1,Psum_2,...,Psum_t)을 구한다(단계 S5~S9).
그후, 상기 구한 각 타임윈도우의 샘플 데이터의 합산 값들(Psum,Psum_1,Psum_2,...,Psum_t) 중에서 최대 값을 선택한다(단계 S10).
이는 타임윈도우의의 크기는 일정하기 때문에 침입(또는 감지) 발생 후 타임윈도우내의 샘플데이터의 합산 값이 최대 값을 가질 때 윈도우는 침입(또는 감지)신호를 완전히 포함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시간영역에서 사람과 차량의 감지 신호는 속도와 외형적 특성으로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사람은 한 개의 큰 파형을 가지고 차량은 두 개의 큰 파형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시간영역에서 본 이러한 외관적 특성들은 두 신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판단요소로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신호의 모양은 일정치 않으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제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이어, 상기 선택된 최대값에 대응하는 타임 윈도우 내에 있는 모든 샘플 데이터에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단계 S11), 시간영역에서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사람과 차량의 신호들의 특성을 찾고 판단요소로 사용한다.
도 5는 FFT를 취한 후에 주파수 영역에서 본 사람과 차량의 신호이며, 이들 도면을 통해 도 2의 알고리즘의 핵심인 두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차량의 신호는 사람의 신호에 비해 양의 기울기 변화(i번째의 샘플링 신호의 크기와 i+1번째 샘플링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i+1번째 신호의 크기가 클 때는 양의 기울기 변화) 횟수가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를 FFT 수행후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에서 양의 기울기 횟수를 카운트하고(단계 S11'), 그 기울기 변화 횟수(STN)가 기울기 변화 횟수 문턱값(STNth)(예를 들면 4회)과 비교하여 크면 침입자가 차량이고 문턱값 보다 횟수가 적으면 사람으로 판단한다(단계 S12~S14).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입자가 사람인 경우에는 타임윈도우 내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에서 양의 기울기는 A 지점에서 1회 나타나는 반면, 침입자가 차량인 경우에는 양의 기울기는 B1~B11 지점에서 많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4에서 샘플 데이터의 합산 값(Psum)이 Pth보다 작으면 침입(또는 감지)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5에서 합산 시작 샘플인 i번째 샘플을 (i+1)번째 샘플링된 샘플로 설정하고 합산 종료 샘플인 N번째 샘플을 (N+1)번째 샘플로 설정하여 타임윈도우를 1샘플만큼씩 슬라이딩한 후, 상기한 단계 S2 내지 S4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침입감시뿐만 아니라 다른 응용분야로서 예를 들면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실수로 사람이 감지선을 밟더라도 판단 시스템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차량이 감지될 때만 판단 시스템에 신호가 전달되는 등 산업상의 이용분야를 확대하여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침입(또는 감지)물체의 유무뿐만 아니라 침입(또는 감지)물체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구별이 됨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무인경비 시스템의 침입감시 시스템,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차량의 코스 이탈 감지 및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사람의 부주의에 의한 코스 이탈 센서의 감지에 의한 오류 등을 방지하면서 차량의 코스 이탈만 감지하는 시스템, 출입문에서의 발(foot) 스위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감지한 시간영역에서의 사람의 감지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감지한 시간영역에서의 차량의 감지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감지 파형을 FFT 변환후 주파수영역에서의 사람과 차량의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감지신호의 주파수영역에서 사람과 차량의 기울기 변화회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광섬유 120 : 광원발생부
121 : 레이저다이오드 122 : 레이저다이오드 구동부
123 : 레이저다이오드 안정화 회로부
130 : 반사 거울 140 : 광 분기부
160 : 광 아이솔레이터 170 : 공간필터
180 : 광 수신부 181 : 포토다이오드
190 : 아날로그신호처리부 200 :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210 : 중앙처리장치

Claims (4)

  1. 광섬유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감지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 방식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타임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면서 각 타임 윈도우 별로 샘플 데이터를 모두 합산하는 제 2단계; 및
    그 합산 값에 따라서 침입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규정된 방법에 의하여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각 타임윈도우 별로 샘플 데이터가 모두 합산된 값 중에서 최대 값을 갖는 타임 윈도우를 선택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선택된 최대 값에 대응하는 타임 윈도우 내의 모든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행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FFT 변환된 데이터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회수에 근거하여 침입물체를 구분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는 상기 카운트 회수가 소정치 보다 크면 상기 침입물체가 차량으로 구분하고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침입물체를 사람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KR10-2002-0044746A 2002-07-29 2002-07-29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KR10049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46A KR100490909B1 (ko) 2002-07-29 2002-07-29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46A KR100490909B1 (ko) 2002-07-29 2002-07-29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91A KR20040011691A (ko) 2004-02-11
KR100490909B1 true KR100490909B1 (ko) 2005-05-24

Family

ID=3731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746A KR100490909B1 (ko) 2002-07-29 2002-07-29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4839B (zh) * 2015-04-27 2017-03-01 武汉世纪金桥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potdr光纤入侵识别算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75A (ko) * 1995-06-22 1997-01-28 변승봉 광파이버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장치
KR970002776A (ko) * 1995-06-01 1997-01-28 배윤 광섬유 이용한 다기능 진동쎈서 씨스템(光纖維 利用한 多機能 振動 Sensor Systems)
KR970022275A (ko) * 1995-10-09 1997-05-28 배윤 광섬유 이용한 시설물 안전감시 씨스템
KR100213800B1 (ko) * 1995-11-16 1999-08-02 예윤해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시스템
JP2000076560A (ja) * 1998-09-01 2000-03-14 Shimadzu Corp 侵入監視装置
KR20010027668A (ko) * 1999-09-15 2001-04-06 이우식 광섬유 센서를 통한 차량감지및 교통정보 수집원리
KR100367210B1 (ko) * 2000-07-20 2003-01-09 한국전기연구원 광 섬유를 이용한 침입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76A (ko) * 1995-06-01 1997-01-28 배윤 광섬유 이용한 다기능 진동쎈서 씨스템(光纖維 利用한 多機能 振動 Sensor Systems)
KR970002775A (ko) * 1995-06-22 1997-01-28 변승봉 광파이버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장치
KR0163243B1 (ko) * 1995-06-22 1999-03-20 변승봉 광파이버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장치
KR970022275A (ko) * 1995-10-09 1997-05-28 배윤 광섬유 이용한 시설물 안전감시 씨스템
KR100213800B1 (ko) * 1995-11-16 1999-08-02 예윤해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시스템
JP2000076560A (ja) * 1998-09-01 2000-03-14 Shimadzu Corp 侵入監視装置
KR20010027668A (ko) * 1999-09-15 2001-04-06 이우식 광섬유 센서를 통한 차량감지및 교통정보 수집원리
KR100367210B1 (ko) * 2000-07-20 2003-01-09 한국전기연구원 광 섬유를 이용한 침입 경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91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2621B (zh) 分布式光纤感测中的改进
US7744275B2 (en) Optical fiber temperature sensing device
EP0944813B1 (en) Distributed strain and temperature sensing system
CA2471803C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larisatio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for security applications
CN104574742B (zh) 一种基于φ‑otdr技术的光纤周界安防系统
KR100367210B1 (ko) 광 섬유를 이용한 침입 경보 장치
RU2009129150A (ru) Отказоустойчивое распределенное оптоволоконное обнаружение проникновения
EP3321905B1 (en) High sensitivity fiber optic based detection
GB2493959A (en) Distributed fibre-optic sensor wherein the detector is protected from high-intensity radiation
US20100097234A1 (en) Local Area Warning of Optical Fiber Intrusion
EP1132879B1 (en) Optical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mode coupling
KR101944282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198973A (ja) フェンス振動センサ装置
KR10049090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감지 및 침입물체 구별방법
JP2006508356A (ja) 液体内に存在する気泡を検出するための光検出器
JP7006773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及び解析方法
EP2144207A1 (en) Optical fiber anti-intrusion system
CN107399342B (zh) 一种铁路周界人为入侵确定方法、装置及系统
US5349458A (en) Method for detecting external influence on an optical cable
CN108286991A (zh) 基于瑞丽散射原理的光纤安防系统在校园中的应用
KR0163243B1 (ko) 광파이버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장치
KR100620868B1 (ko) 산사태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otdr 계측 시스템
EP1542185B1 (en) FSOC/radio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0363666B1 (ko) 복수의 광섬유로 상호 교차시켜 꼬아서 직조된 광섬유망을 이용한 광침입자 감지 시스템
US7502568B1 (en) Method of using low bandwidth sensor for measuring high frequency AC modulation amplitu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