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814B1 - Drop play equipment - Google Patents

Drop play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814B1
KR100490814B1 KR10-1998-0701513A KR19980701513A KR100490814B1 KR 100490814 B1 KR100490814 B1 KR 100490814B1 KR 19980701513 A KR19980701513 A KR 19980701513A KR 100490814 B1 KR100490814 B1 KR 10049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tower
illusion
lift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4277A (en
Inventor
히로시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ublication of KR1999004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8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2031/002Free-fall

Abstract

장치 자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정도의 낙하 스릴을 맛볼 수 있는 낙하 유희 장치가 제공된다.Although the height of the apparatus itself is suppressed low, the fall play apparatus which can taste the thrill of the fall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is provided.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석(22)에 착좌한 유희자(P)에게 고도에 대한 감각적인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착각 발생 수단(51)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fall play apparatus for dropping the seat supported by lifting, 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51 which makes the playful person P seated on the said seat 22 cause a sensory illusion about an altitude is provided.

Description

낙하 유희 장치Drop play equipment

본 발명은 유희자를 태워 상승한 후 자유 낙하시켜 스릴을 맛보는 낙하 유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p play apparatus that rides up a dancer and freely falls to taste the thrill.

낙하 유희 장치는 유희자를 태운 캐빈을 상승시킨 후, 자유 낙하시켜 그 때의 낙하 스릴을 맛보는 것이므로, 낙하를 시작하는 위치가 높으면 높은 만큼 공포감도 크고 흥분을 고조시킨다.Since the drop play device raises the cabin carrying the play player, free falls and tastes the thrill of the fall, the higher the position where the drop starts, the higher the fear and the greater the excitement.

그래서 종래에는 상당히 높은 지주 또는 탑을 세워, 실제로 상당한 높이까지 유희자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ast, a considerably high prop or tower is erected so as to actually lift the player to a considerable height.

따라서 넓은 지붕에 높게 치솟도록 지주 또는 탑을 구축하게 되고, 따라서 설치 장소도 자연히 한정되게 되었다.Therefore, the struts or towers are constructed so as to soar high on the wide roof, and therefore the installation place is naturally limited.

특히 옥내에서의 설치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결국 설치 대수는 적었다.In particular, installation indoors was almost impossible, so the number of installations was small.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유희 장치의 건물내에서 본 외관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external view seen in the building of the fall 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2는 상기 건물 및 낙하 유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drop play apparatus.

도3은 그 낙하 유희 장치의 탑의 지상층의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ground layer of the tower of the drop play apparatus.

도4는 탑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wer.

도5는 유희자가 캐빈 내로부터 전방의 TV모니터를 보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player is watching a TV monitor in front of the cabin.

도6은 유희자가 캐빈 내로부터 전방의 점멸 라이트를 보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dancer sees a blinking light in front of the cabin.

도7은 유희자가 캐빈 내로부터 전방의 창을 들여다 보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playman looks into the window in front of the cabi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장치 본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정도의 낙하 스릴을 맛볼 수가 있는 낙하 유희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fall play apparatus which can taste the thrill of fall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although the height of the apparatus main body is suppressed 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캐빈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 내의 유희자에게 고도에 대한 감각적인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착각 발생 수단을 구비한 낙하 유희 장치가 되도록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p play apparatus for dropping a cabin supported to be liftable, the drop play apparatus having an illusion generating means for causing a playful person in the cabin to cause a sensory illusion of height. It was made.

착각 발생 수단이 캐빈 내의 유희자에게 고도에 대한 감각적인 착각을 일으키게 하여, 장치 자체가 낮아도 유희자는 상당 정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되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종래와 같은 정도의 낙하 스릴을 맛볼 수가 있다.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causes a sensational illusion of altitude to the passengers in the cabin, and even if the device itself is low, the guest may cause the illusion that the player falls from a considerably high position, and can enjoy the same thrill as before. .

따라서 장치의 설치 장소에 대해서 한정되는 일이 적고, 설치 대수의 증대를 도모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apparatus is rarely limited,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can be increased.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 승강하는 캐빈 전방에 상하 방향에 걸쳐 다수 설치된 발광기와, 상기 복수의 발광기를 상하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 제어 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낙하 유희 장치로 해도 좋다.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may be a drop 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a cabin to be lifted and a flashing control means for sequentially flash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ers in a vertical direction.

점멸 제어 수단이 상하 방향에 걸쳐 다수 설치된 발광기를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 캐빈 내의 이 발광기의 점멸을 보고 있는 유희자는 실제는 멈춰 있어도 마치 자신이 상승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또 역으로 발광기가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면, 실제는 멈춰 있어도 낙하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할 수가 있다.If the flashing control means flashes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layer who sees the flashing of this light emitter in the cabin causes an illusion as if he is rising even though it is actually stopped. If the light emitters are sequentially flashed upwards, the illusion may fall as if they were actually stopped.

상기 점멸 제어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과 동시에 또 역방향으로 상기 발광기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로 하는 것으로, 실제 캐빈과 함께 유희자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발광기를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 상승 속도가 실제보다 빠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역으로 실제 하강하고 있는 경우에 발광기가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면, 실제의 낙하 속도보다도 빠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할 수가 있다.The flashing control means is a drop play device which sequentially flashes the light emitter in the reverse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bin. When the light emitter sequentially flashes downward when the player is rising together with the actual cabin, If the speed of light causes an illusion that seems to be faster than the actual one, and if the light emitters sequentially flash upward in the case of actually descending, the illusion that is faster than the actual fall speed can be caused.

또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 승강하는 캐빈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상하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낙하 유희 장치여도 좋다.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may be a drop play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ody moving up and down in front of a cabin to be moved up and down and a drive control means for moving the movable body up and down in one direction.

구동 제어 수단이 이동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캐빈 내의 유희자는 눈 앞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보고, 실제는 멈춰 있어도 마치 자신이 상승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역으로 이동체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실제는 멈춰 있어도 낙하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할 수가 있다.When the drive control means moves the moving body downward, the playful person in the cabin sees the moving body moving downwards in front of the eyes, causing an illusion that it is as if it is rising even if it is actually stopped. When moved, it can cause the illusion of falling even if it is actually stopped.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과 동시에 또 역방향으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로 함으로써, 실제 캐빈과 함께 유희자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이동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승 속도가 실제보다 빠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역으로 실제 하강하고 있는 경우에 이동체가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실제 낙하 속도보다도 빠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할 수가 있다.The drive control means is a drop play apparatus which moves the movable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bin, so that the moving speed is faster than the actual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the player is rising together with the actual cabin. If the moving object is moved upward in the case where the same illusion is caused, and the conversely actually descends, the illusion that is faster than the actual falling speed can be caused.

또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 공간을 측벽으로 외계로부터 차단하고, 캐빈 전방의 측벽에 있어서의 소정 높이 위치에 창을 형성하고, 상기 창은 캐빈에 내 유희자의 시계를 규제하여 하계의 일부를 보이지 않도록 구성한 낙하 유희 장치로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blocks the lifting space of the cabin from the outside by a side wall, forms a window at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on the side wall in front of the cabin, and the window regulates a participant's clock in the cabin to be part of the summer. It is good also as a fall play apparatus comprised so that it might not show.

캐빈 내의 유희자는 외계로부터 차단된 승강 공간이 상승되어 정확한 고도 감각을 잡기 어렵게 하고, 그 후 소정 높이에 형성된 창으로부터 외계를 볼 수 있게 하면, 하계의 일부를 보이지 않게 시계를 규제하여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수가 있다.When a passenger in the cabin lifts the lift space blocked from the outer space,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correct altitude sense, and then making it possible to view the outer space from a window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art of the summer is restricted so that the clock is not visible so that it is in a very high position. It can be mistaken.

상기 캐빈의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탑을 건물내에 세워 설치하고, 상기 탑의 정상부를 건물의 천정으로 감춘 낙하 유희 장치로 함으로써, 이 낙하 유희 장치에 탑승하기 전에 유희자가 탑을 올려다 보면, 건물의 천정에서 정상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탑은 천정을 꿰뚫고 나가 높이 치솟아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이 착각을 한 채로 탑승하여 캐빈에 탑승시켜 상승시켜지면, 실제는 높지 않아도 상당히 높은 곳까지 상승한 것 같은 감각에 휩싸인다.When the tower which forms the hoisting space of the cabin is erected and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top of the tower is a drop play device hidden by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n the player looks up the tower before boarding the fall play device, the ceiling of the building Because the top is not visible from the tower, the tower penetrates the ceiling and creates an illusion that it is soaring high. Is wrapped in.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7에 도시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s shown in FIG.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유희 장치(10)의 외관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drop 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낙하 유희 장치(10)는 건물(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관은 탑(11)을 구성하고 있다.This drop play apparatus 10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building 1, and the external appearance comprises the tower 11. As shown in FIG.

건물(1)은 돔형의 지붕(2)으로 덮여져 있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1)내에서 탑(11)을 보면, 탑(11)은 지붕(2)을 꿰뚫고 나가 정상이 보이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building 1 is covered with a dome-shaped roof 2, and as shown in FIG. 1, when the tower 11 is seen in the building 1, the tower 11 penetrates the roof 2 and the top thereof becomes the top. Invisible configuration.

따라서 이 탑(11)을 올려다 본 사람은 이 탑(11)이 지붕(2)을 꿰뚫고 나가 상당히 높게 치솟아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지만, 실제는 지붕(2)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다.Therefore, the person who looked up to the tower 11 caused the illusion that the tower 11 penetrated the roof 2 and soared considerably higher, but in reality, i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oof 2.

탑(11)의 지상층은 전방으로 길게 나와 있고, 그 정면에 2개의 입장구(12, 12)가 좌우로 늘어서 있고, 지상층으로부터 상방의 탑(11) 정면에는 멀티 모니터(13)가 설치되어 있고, 또 그 상방의 좌우에 개폐 자유로운 셔터(14, 14)를 거쳐 창(15, 15)이 설치되어 있다.The ground floor of the tower 11 extends long forward, and two entrances 12 and 12 are arranged on the front and left, and the multi-monitor 13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ower 11 above the ground floor. Moreover, the windows 15 and 15 are provided through the shutters 14 and 14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1) 안은 1층 플로어(3) 상에 탑(11)이 서 있고, 그 탑(11)의 전방에 2층 플로어(4), 3층 플로어(5)가 베란다와 같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in the building 1, the tower 11 stands on the first floor 3, and the second floor 4 and the third floor 5 are located in front of the tower 11. It protrudes like a veranda.

그 낙하 유희 장치(10)에 참가하는 유희자(P)는 그 탑(11)을 올려다 보아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당히 높은 탑이라고 착각한 상태에서 입장구(12)로부터 입장한다.The dancer P participating in the drop play apparatus 10 enters the entrance 11 from the entrance 11 while looking up at the tower 11 and mistaking that it is a considerably high tower as described above.

도3은 탑(11) 지상층의 평면도이고, 2개의 입장구(12, 12)로부터 통로(16, 16)를 지나 탑승실(17, 17)이 있고, 탑승실(17, 17)의 끝에 도어(18, 18)를 거쳐 탑(11)의 세로로 긴 공간인 연직 승강로(20, 20)가 형성되어 있다.3 is a plan view of the ground floor of the tower 11, passing through the passages 16 and 16 from the two entrances 12 and 12, with the cabins 17 and 17, and the doors at the ends of the cabins 17 and 17; Vertical hoistways 20 and 20 which are vertically long spaces of the tower 11 are formed via 18 and 18. As shown in FIG.

그 연직 승강로(20, 20)에 각각 유희자(P)가 탑승하는 캐빈(21, 21)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Cabins 21 and 21 in which the playful person P board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hoisting paths 20 and 20, respectively.

캐빈(21)은 전방면의 출입구측을 개구한 상자형을 하고 있고, 내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전후 2열의 벤치 시트(22)가 후방의 벤치 시트(22)를 높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cabin 21 has a box shape which opens the entrance and exit side of the front face, and inside and behind, the bench seats 22 of the front and rear two rows raise the bench seat 22 high.

연직 승강로(20)의 좌우 내벽에는 연직 방향으로 지향한 가이드 레일(25)이 2개씩 부설되어 있고, 한 쪽 캐빈(21)의 좌우 측벽에는 차륜 유닛(23)이 전후 좌우로 상하 2개씩 돌출 설치되어 있고, 차륜 유닛(23)의 복수 차륜이 상기 가이드 레일(25)을 끼우도록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캐빈(21)의 승강을 안정되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Two guide rails 25 orie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vertical hoistway 20, and the wheel units 23 protrude two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one cabin 21. A plurality of wheels of the wheel unit 23 are fitted so as to be rotatable so as to sandwich the guide rail 25,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bin 21 is guided stably.

또 연직 승강로(20) 좌우 내벽의 전후방 가이드 레일(25, 25) 사이에, 상하에 걸쳐 복수의 브레이크 슈(26)가 좌우 대향하여 설치되어, 대향하는 브레이크 슈(26, 26)를 서로 가깝게 하여 캐빈(21)의 브레이크 휜(27)에 미끄럼 접촉하여 좌우로부터 끼우는 것으로 제동을 걸고, 브레이크 슈(26, 26)를 서로 분리하는 것으로 캐빈(21)을 해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rake shoes 2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25 and 25 of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vertical hoistway 20 so that the opposite brake shoes 26 and 26 are close to each other. The brake 21 is released by sliding contact with the brake wheel 27 of the cabin 21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brake shoes 26 and 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lease the cabin 21.

캐빈(21)의 상벽 상면에는 좌우 한쌍의 훅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 훅 본체(28)가 설치되어 있다.A hook main body 28 is provided on the upper wall upper surface of the cabin 21 so that a pair of left and right hooks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each other.

이 캐빈(21)보다 위에 인상(引上) 트럭(3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인상 트럭(30)도 상기 가이드 레일(25)에 차륜 유닛(31)의 차륜이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상하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The lifting truck 30 is installed above the cabin 21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is possible, and the wheel of the wheel unit 31 is also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5 so that the lifting truck 30 can be elevated. It is adjusted to guide up and down.

연직 승강로(20)의 최상부에 수평하게 가설된 가로 보(40)에는 모터(41) 및 권취 드럼(42)이 설치되어 있고, 모터(41)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 드럼(42)에 와이어 로프(43)가 권취되어 있고, 그 일단이 하방으로 수직 하향하여 인상 트럭(30)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The horizontal beam 40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most part of the vertical hoistway 20 is provided with a motor 41 and a winding drum 42, and a wire rope () is attached to the winding drum 42 rotated by the motor 41. 43 is wound, and one end thereof is fixed downward to the lifting truck 30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따라서 인상 트럭(30)은 와이어 로프(43)에 매달려, 모터(41)의 구동으로 권취 드럼(42)이 와이어로프(43)를 권취하면 상승하고, 역으로 풀면 하강한다.Therefore, the lifting truck 30 hangs on the wire rope 43 and ascends when the winding drum 42 winds up the wire rope 43 by the drive of the motor 41, and descends when the winding drum 42 unwinds.

이 인상 트럭(30)에는 캐빈(21)의 상기 훅 본체(28)에 대응하여 훅 받침 앤빌(32)이 수직 설치되어 있어, 정지중의 캐빈(21)에 인상 트럭(30)이 하강하여 오면, 자동적으로 훅 받침 앤빌(32)이 훅 본체(28) 한쌍의 훅을 열어 그 턱 부분에 결합하여 로크되어 연결되므로, 이후 캐빈(21)은 인상 트럭(30)과 함께 승강할 수가 있다.The hook support anvil 32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raising truck 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ok main body 28 of the cabin 21. When the lifting truck 30 descends to the stationary cabin 21, Since the hook support anvil 32 automatically opens a pair of hooks of the hook body 28 to be coupled to the jaw portion and is locked and connected, the cabin 21 can then be elevated together with the lifting truck 30.

상기 연직 승강로(20) 최상부의 가로 보(40)에는 인상 트럭(30)을 최상승점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44)와 연결 해방 실린더(45)가 수직 설치되어 있고, 인상 트럭(30)을 캐빈(21)과 함께 소정의 최상승 위치에 정지시킬 수가 있고, 이 상태에서 연결 해방 실린더(45)를 구동하면 상기 훅 본체(28)의 로크를 분리하여 한쌍의 훅을 닫아 훅 받침 앤빌(32)의 연결을 해제하고, 캐빈(21)을 낙하시킬 수가 있다.The horizontal beam 40 at the top of the vertical hoistway 20 is vertically provided with a positioning member 44 and a connection release cylinder 45 for positioning the lifting truck 30 at the highest lifting point. Can be stopped together with the cabin 21 at a predetermined uppermost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release cylinder 45 is driven in this state, the lock of the hook main body 28 is removed, and the pair of hooks are closed to close the hook support anvil 32 ) Can be released and the cabin 21 can be dropped.

연직 승강로(20)의 저부에는 공기 스프링(46)이 받침대(47)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되어 있어, 통상 캐빈(21)을 받침대(47)가 지지하고, 공기 스프링(46)이 소정 하강 위치에 캐빈(21)을 위치 결정하고, 만일 캐빈(21)에 낙하의 잔존 에너지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흡수 댐퍼로서 작용한다.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hoistway 20, an air spring 46 is installed to support the pedestal 47 from below, and the pedestal 47 supports the cabin 21, and the air spring 46 is a predetermined lowered position. The cabin 2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nd acts as an absorption damper if the remaining energy of falling in the cabin 21 is generated.

이렇게 승강하는 캐빈(21) 전방의 개구에 따른 연직 승강로(20)의 내면에는 2층 높이 위치에 5대의 TV 모니터(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의 3층 높이 위치에 점멸 라이트(1)가 상하 좌우로 6행 5열에 걸쳐 배열되어 있다.In this manner, five TV monitors 50 are installed at the second floor height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hoistway 20 along the opening in front of the cabin 21 that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flashing light 1 is positioned at the third floor height position thereon. Are arranged in six rows, five columns.

또 그 위의 4층 높이 위치에는 상기 창(15)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window 15 is provided in the 4th floor height position on it.

TV 모니터(50)에서는 각종 화상이 비춰져 탑승한 유희자(P)를 안내하고, 점멸 라이트(51)는 상하 일방향으로 차례대로 점멸이 행하여지도록 제어된다.In the TV monitor 50, various images are displayed to guide the passengers P on board, and the flashing light 51 is controlled so that the flashing light 51 is sequentially turned in one direction.

본 낙하 유희 장치(10)는 대강 이상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고, 이하 운전 순서를 설명한다.This drop play apparatus 10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 abnormally, and an operation procedure is demonstrated below.

먼저 입장구(12)로부터 통로(16)를 통과하여 탑승실(17)에 들어간 유희자(P)는 도어(18)가 열려 소정 하강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캐빈(21)로부터 내리는 유희자와 교대로 캐빈(21)에 들어가, 벤치 시트(22)에 착좌하고, 벤치 시트(22)의 전방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바를 허리까지 내리고, 비치한 헤드폰(52)을 머리에 쓴다.First, the player P who enters the boarding room 17 through the passageway 16 from the entrance 12 alternates with the player who comes down from the cabin 21 whose door 18 is opened and stops at a predetermined lowered position. It enters into the cabin 21, seats on the bench seat 22, lowers the safety ba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ench seat 22 so that it can rock, and puts the headphones 52 on the head.

헤드폰(52)으로부터는 입체적인 음장이 형성되는 음이 발생하고, 효과음이나 안내의 소리 등을 유희자(P)에게 들려준다.The headphones 52 generate a sound in which a three-dimensional sound field is formed, and the effector, the sound of the guidance, and the like are heard by the player P. FIG.

그리고 도어(18)가 닫히면, 캐빈(21) 안은 어두워지고, 유희자(P)는 헤드폰(52)의 음만을 듣게 되고, 그 동안에 인상 트럭(30)이 하강하여 훅 본체(28)에 훅 받침 앤빌(32)를 결합 로크하여 캐빈(21)과 연결한다.When the door 18 is closed, the cabin 21 becomes dark, and the player P hears only the sound of the headphones 52. During this time, the impression truck 30 descends and hooks the hook main body 28. The anvil 32 is coupled to the cabin 21 by a locking lock.

그리고 권취 드럼(42) 와이어로프(43)의 권취에 의하여 인상 트럭(30)을 거쳐 캐빈(21)을 상승시킨다.The cabin 21 is raised by the winding drum 42 and the wire rope 43 via the lifting truck 30.

유희자(P)는 먼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모니터(50)의 화상을 보게 되고, 헤드폰(52)의 음성과 함께 본 낙하 유희로의 안내 등을 행한다.The player P first sees the image of the TV monitor 50 as shown in Fig. 5, and guides the drop play with the sound of the headphone 52.

TV 모니터(50)를 통과하면 약간의 상승 가속도를 동반하여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멸 라이트(51)의 점멸이 눈에 들어온다.When passing through the TV monitor 50, the blinking of the flashing light 51 catches eyes as shown in FIG.

점멸 라이트(51)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기 때문에, 유희자(P)는 하방향으로 라이트가 이동하고 있는 것 같이 즉 자신이 실제의 상승 속도 이상으로 고속도로 상승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받는다.Since the flashing light 51 flashes sequentially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layer P is mistaken as if the light is moving downward, that is, the highway is rising above the actual ascending speed.

이렇게 하여 점멸 라이트(51)를 통과하면 일시 정지하고, 유희자(P) 전방의 셔터(14)가 열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15)을 통하여 유희자(P)는 하계를 볼 수가 있다.In this way, when passing through the flashing light 51, it pauses and the shutter 14 in front of the player P opens, and the player P sees the summer through the window 15 as shown in FIG. There is a number.

창(15)은 유희자(P)의 시계를 규제하고 있고, 하방향의 3층 플로어나 2층 플로어(4)의 베란다와 같이 돌출한 부분이 보이고, 1층 플로어(2)는 보이지 않거나 보이더라도 일부만이 보이고 있는 각층 플로어가 상당히 높은 층인 것 같은 착각을 받는다.The window 15 regulates the clock of the player P, and the protruding part is seen like the veranda of the lower third floor or the second floor 4, and the first floor 2 is not visible or visible. Even though only a few of the floors are visible, they are mistaken that they are quite high.

이미 유희자(P)는 입장전 탑(11)의 높이로의 착각이나 어두운 안에서의 상승의 체감 및 점멸 라이트(51)에 의한 상승 속도의 착각이 겹쳐져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창(15)으로부터 하계를 봤을 때의 착각도 크고, 실제보다도 상당히 높은 곳까지 상승하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Since the illusionist P has already stored the illusion to the height of the tower 11 before the entrance, the diminishing sensation of the rise in the dark, and the illusion of the ascent rate by the flashing light 51, the summer from the window 15 The illusion of seeing is big and feels to rise to considerably higher than reality.

여기에서 셔터(14)가 닫히고, 권취 드럼(42)의 역회전에 의하여 캐빈(21)을 한번에 3m 정도 낙하시키는 페인트 낙하를 행하여 공포를 부추기고, 다시 상승시켜 이번에는 연결 해방 실린더(45)를 구동하여 훅 본체(28)의 로크를 풀고 연결을 해제하고, 캐빈(21)을 자유 낙하시킨다.Here, the shutter 14 is closed, the paint fall which drops the cabin 21 about 3m at a time by 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drum 42 is made to incite fear, and raises again, and this time, the connection release cylinder 45 is raised. By driving, the lock of the hook main body 28 is released, a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 cabin 21 is freely dropped.

페인트 낙하는 권취 드럼(42)의 역회전에 의하여 일으키게 하는 것 외에, 연결 해방 실린더(45)의 구동에 의하여 훅 본체(28)의 로크를 풀어 연결을 해제하고 자유 낙하시켜서, 브레이크 슈(26)에 의하여 적당히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o causing the paint drop to be cause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drum 42, the lock of the hook main body 28 is released by the drive of the connection release cylinder 45 to release the connection and free fall, so that the brake shoe 26 It may be made to stop appropriately.

또 페인트 낙하는 복수회 실행하여도 좋다.The paint drop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자유 낙하에 의하여 점멸 라이트(51)를 통과할 때에는 점멸 라이트(51)를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하강 속도를 한층 더 빠른 것으로 착각시켜서, 점점 공포를 느끼게 하므로, 상당한 스릴과 흥분을 맛볼 수가 있다.When passing through the flashing light 51 by free fall, the flashing light 51 flashes in the upward direction in succession, and the lowering speed is mistaken as a higher speed. .

마지막은 브레이크 슈(26)가 브레이크 휜(27) 부분을 붙들어서 제동을 걸고, 받침대(47)로 받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이어서 공기 스프링(46)의 작동으로 약간 상승한 소정 위치 즉 최초로 출발한 높이 위치로 돌아가 플레이를 종료한다.Finally, the brake shoe 26 brakes by holding the brake pin 27 portion, stops in the state of being received by the pedestal 47, and then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first starting height slightly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pring 46. Return to position and end play.

이상과 같이 본 낙하 유희 장치(10)는 실제로 상승하는 고도는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유희자(P)는 각종의 연출 효과에 의하여 상당히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켜진 것 같은 착각을 받기 때문에, 낙하에 의하여 맛보는 스릴을 실제로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한 것과 같은 정도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altitude which actually rises is not so high, the play player P receives the illusion that it was raised to the considerably high position by various directing effects, and it tastes by falling. Is the same as thrill actually dropped from a high position.

본 낙하 유희 장치(10)는 종래와 같이 높지는 않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옥내에도 설치할 수가 있고, 설치 장소에 대해서 한정되는 경우가 적고, 설치 대수의 증대를 꾀할 수가 있다.Since this fall play apparatus 10 is not as high as conventionally, it can be installed indoors like this embodiment, it is rarely limited about an installation place, and the installation number can be increased.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탑(11)은 지상층에 서 있는 것 같이 하였지만, 지상층에 한정하지 않고 2층 이상의 적당한 층에 세워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tower 11 seemed to be standing in the ground floor, it can also make it easy to install it in the appropriate layer not less than a ground floor in two or more layers.

또 점멸 라이트(51) 부분에서는 캐빈(21)의 상승을 일단 정지하여, 점멸 라이트(51)를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만으로도 캐빈(21)에 탑승한 유희자(P)는 점멸에 의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는 라이트에 의하여, 자신이 상승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받는다.In the flashing light 51 portion, once the lift of the cabin 21 is stopped and the flashing light 51 is sequentially flashed downward, the playful person P boarding the cabin 21 stops blinking. The light that seems to be moving by is given the illusion that oneself is risin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점멸 라이트(51)에 의하여 승강 속도의 착각을 일으키게 하였지만, 그 외에 캐빈 전방을 이동체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캐빈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캐빈 내의 유희자는 승강 속도를 실제보다도 빠르게 착각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linking light 51 causes an illusion of the elevating speed, but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abin may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play in the cabi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bin. Is mistaken faster than it is.

본 발명은 유희자를 태워 상승한 후 자유 낙하시켜 스릴을 맛보는 낙하 유희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drop play apparatus that rides up a player and then free-falls to taste a thrill.

Claims (6)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캐빈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이며,It is a drop play device which drops the cabin suppor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상기 캐빈 내의 유희자에게 고도에 대한 감각적인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착각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 승강하는 캐빈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상하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And an illusion generating means for causing a sensational illusion about a height in the cabin within the cabin, wherein 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includes a movable body moving up and down in front of the cabin to be lifted, and a driving control for moving the movable body in one vertical direction. An apparatus for dropping play comprising the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과 동시에 또 역방향으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The drop 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control means moves the movable body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 공간을 측벽으로 외계로부터 차단하고, 캐빈 전방의 측벽에 있어서의 소정 높이 위치에 창을 형성하고, 상기 창은 캐빈 내의 유희자의 시계를 규제하여 하계의 일부를 보이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2. 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blocks the lifting space of the cabin from the outside by side walls, and forms a window at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on the side wall in front of the cabin, and the window regulates a playman's clock in the cabin. Fal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so as not to see a portion of the sum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탑을 건물 내에 세워 설치하고,According to claim 1, The tower which forms the lifting space of the cabin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상기 탑의 정상부를 건물의 천정으로 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And a top part of the tower covered by a ceiling of a building. 건물 내에 세워 설치되고 내부에 종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탑을 갖고, 종방향 공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캐빈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희 장치에 있어서,In the drop play apparatus which has a towe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has a tower which forms a sp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nd drops the cabin suppor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in a longitudinal space, 캐빈 내의 유희자에게 고도에 대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착각 발생 수단이 마련되고,There is a means of generating illusions that causes illusionants in cabins to be mistaken for altitude, 상기 착각 발생 수단은,The illusion generating means, 상기 종방향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하는 캐빈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기와,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space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cabin moving vertically; 상기 발광기를 일방향으로 차례로 점멸시키는 점멸 제어 수단을 갖고,It has a flashing control means for flashing the light emitter in one direction in turn, 상기 탑의 소정의 높이 부분에는 상기 캐빈의 전방에 대향하도록 창이 형성되고,A predetermined height portion of the tower is formed with a window facing the front of the cabin, 상기 창은 건물의 하단을 포함하는 탑의 외측의 일부를 캐빈 내의 유희자에게 보여주지 않도록 시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유희자에게 고도에 대한 착각을 일으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And the window is configured to regulate the clock so as not to show a part of the outside of the tower including the bottom of the building to the participant in the cabin, causing the participant to be mistaken for altitu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빈의 승강과 동시에 또 역방향으로 상기 발광기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유희 장치.The drop 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means flashes the light emitters sequentially in the reverse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bin.
KR10-1998-0701513A 1996-06-28 1997-06-19 Drop play equipment KR1004908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0195A JPH1015249A (en) 1996-06-28 1996-06-28 Falling game device
JP96-170195 1996-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277A KR19990044277A (en) 1999-06-25
KR100490814B1 true KR100490814B1 (en) 2005-09-30

Family

ID=159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513A KR100490814B1 (en) 1996-06-28 1997-06-19 Drop play equip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015249A (en)
KR (1) KR100490814B1 (en)
CN (1) CN1133475C (en)
AU (1) AU716077B2 (en)
WO (1) WO19980002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1305B (en) * 2002-05-22 2003-11-25 Qsel Quantum Solar Energy Linz Post-treatment method for photovoltaic cell using thermal treatment at temperature abov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lectron donor
JP2002166059A (en) 2000-12-01 2002-06-11 Sega Corp Vehicle game device
KR20030075119A (en) * 2002-03-16 2003-09-22 장용승 A horizontal rocket launcher
US7028542B2 (en) * 2004-07-30 2006-04-18 Metni N Alan Reduced drag cable for use in wind tunnels and other locations
WO2008138232A1 (en) 2007-05-14 2008-11-20 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 Ltd. Pyrrolo-nitrogenous heterocyclic derivatives, the preparation and the pharmaceutical use thereof
NL2027619B1 (en) 2021-02-23 2022-09-19 Vekoma Rides Eng B V Amusement system for showing an event in a scene roo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9395A (en) * 1991-04-09 1992-10-30 Mitsubishi Heavy Ind Ltd Ascending and descen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90397A (en) 1998-01-21
AU716077B2 (en) 2000-02-17
WO1998000212A1 (en) 1998-01-08
CN1196684A (en) 1998-10-21
CN1133475C (en) 2004-01-07
JPH1015249A (en) 1998-01-20
KR19990044277A (en)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236B2 (en) Flying arrangement
EP1833585B1 (en) Amusement park attraction
US5192247A (en) Ride attraction
US5964666A (en) Falling amusement ride
KR101032877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KR100490814B1 (en) Drop play equipment
WO2005076738A2 (en) Mass rescue and evacuation system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US5833544A (en) Film and live action theater
US20070137928A1 (en) Multistory building fast escape and rescue device using a body that slides through a pressurized tube
US5556340A (en) Amusement ride assembly with rotating tube synchronized with an image
KR101200375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KR101923538B1 (en) A mobile safety experience vehicle equipped with a step-lift integrated device
US6074307A (en) Set transformation effect
JPH01313082A (en) Elevator
US817577A (en) Theatrical scenic apparatus.
KR102448734B1 (en) IoT based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0789096B1 (en) A tower having the slewing head equipped with the riding and flying apparatus
KR102135978B1 (en) Practice training apparatus of descent-controlled escape device
CN115217361A (en) Ferris tower
KR102629387B1 (en) Inclined elevator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entrance doors and location of machine room without restriction
JP3135933U (en) Automatic door with decorative tank function
JPS62100387A (en) Elevator
JP2543104Y2 (en) Elevating play equipment
JP2557507B2 (en) Observatio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