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604B1 - 기능성 모니터 - Google Patents

기능성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604B1
KR100490604B1 KR10-2002-0065473A KR20020065473A KR100490604B1 KR 100490604 B1 KR100490604 B1 KR 100490604B1 KR 20020065473 A KR20020065473 A KR 20020065473A KR 100490604 B1 KR100490604 B1 KR 10049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serial
monitor
port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433A (ko
Inventor
신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02-006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6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리얼 케이블(Serial Cable)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가 다수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는 직렬 포트가 2개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의 주변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USB 데이터 신호와 직렬 데이터 신호를 상호 변환하고, USB 허브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모니터를 USB 직렬 변환 장치와 한몸으로 구현함으로써, 대부분 모니터 근처에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기기들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모니터{Monitor}
본 발명은 기능성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리얼 케이블(Serial Cable)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가 다수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컴퓨터 시스템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컴퓨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컴퓨터 사용자는 모니터 근처에 위치하게 되며,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대부분의 주변 기기들 또한 모니터 주위에 위치한다.
한편, POS(Point of Sale) 시스템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은 프린터, 모뎀, 스캐너, 모니터, 키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주변 기기들이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주변 기기들은 주로 직렬 케이블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들은 직렬 포트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과 일대일로 직접 연결되는 데,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는 2개의 직렬 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POS 시스템이나 POS로 쓰이는 PC 시스템과 같이 동시에 여러 개의 주변 기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주변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에 USB 직렬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들을 USB 포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USB 직렬 케이블(USB to Serial Cable)을 사용하여 USB 직렬 변환 장치를 연결하고 새롭게 생성된 가상 직렬 포트에 하나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주변 기기들을 동시에 연결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다수의 USB 포트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USB 포트에 하나의 주변 기기가 연결된다.
따라서 세 개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USB포트가 필요하며, 다시 세 개의 USB 직렬 변환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USB 포트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면, 컴퓨터 시스템은 플러그 엔 플레이(Plug and Play) 방식에 따라 해당 가상 포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포트를 각각의 주변기기들이 사용 할 수 있게 되는 데,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껐다 다시 켜거나, USB 포트를 다시 연결하게 되면 컴포트(comport)의 값이 변화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3번 포트에는 프린터, 4번 포트에는 스캐너, 5번 포트에는 모니터, 6번 포트에는 모뎀과 같이 컴포트 값이 정해져 있다고 가정했을 때,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껐다 다시 켜면 3번 포트는 스캐너, 4번 포트는 포스터, 5번 포트는 모니터, 6번 포트는 모뎀과 같이 컴포트 값이 변화될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새로운 가상포트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직렬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직렬 데이터 신호를 USB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USB 허브를 통해 USB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가 다수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모니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USB 포트를 통해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여, 컴포트 값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는, 배면에 다수의 직렬 포트와 USB 포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직렬 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주변 기기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 간을 인터페이스해 주는 USB 직렬 변환 장치와;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 상단에 정면을 향해 탑재되어 있는 모니터부와;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니터부가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유지되도록 상기 모니터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 상기 모니터부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는 그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판 또는 제 2 지지판 중 어느 하나의 중간에 회동 힌지되고, 상기 제 1 지지판 또는 제 2 지지판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지지대의 타단이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타단을 상기 복수의 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모니터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모니터부의 경사 이동을 가능케 함과 아울러 소정 위치에서 저지시키기 위한 경사 조절부와; 상기 경사 조절부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부의 자체 무게로 인해 상기 모니터부가 저절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셀프 록킹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의 상단에 탑재되면서 측면에 상기 모니터부의 경사 운동 궤적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안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모니터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브라켓과; 상기 안내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동 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모니터부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 체결에 의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을 고정 브라켓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조절 스크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셀프 록킹부는, 상기 안내 장공과 동심의 원호 상으로 복수개의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멍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구멍에 탄발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는 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가동 브라켓의 중간에 중공의 튜브를 설치하고, 상기 튜브 내에 상기 스프링 및 볼이 장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다수의 직렬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 기기들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와; 각각의 직렬 포트와 일대일 대응 연결 설치되어 해당 직렬 포트로부터 전달받은 직렬 데이터 신호를 USB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USB 데이터 신호를 직렬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직렬 포트로 전달하는 USB 직렬 변환부와; 상기 USB 직렬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 신호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여 해당 USB 직렬 변환부로 전달하는 USB 허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는, 배면에 직렬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수의 직렬 포트와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하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USB 직렬 변환 장치(200)와, USB 직렬 변환 장치(200) 상단에 정면을 향해 탑재되어 있는 모니터부(100)와, USB 직렬 변환 장치(200) 상단에 구비되어 모니터부(100)가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유지되도록 모니터부(100)의 후방을 지지하는 삼각대(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삼각대(300)는 USB 직렬 변환 장치(200)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면에 다수의 요홈(315)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지지판(310)과, 모니터부(100)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지지판(320)과, 일단이 제 2 지지판(320)의 중간에 회동 힌지되고, 타단이 제 1 지지판(310)의 상단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요홈(31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모니터부(100)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대(3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지지판(310)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USB 직렬 변환 장치(200) 상단면에 직접 요홈(3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와 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다.
다만, USB 직렬 변환 장치(200) 상단에 구비되어 모니터부(100)가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유지되도록 모니터부(100)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대(400)는, 모니터부(200)의 경사 이동을 가능케 함과 아울러 소정의 위치에서 저지시키기 위한 경사 조절부(410)와, 경사 조절부(410)가 해제된 상태에서도 모니터부(200)의 자체 무게로 인해 모니터부(200)가 저절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셀프 록킹부(4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사 조절부(410)는 USB 직렬 변환 장치(200)의 상단에 탑재되면서 측면에 모니터부(100)의 경사 운동 궤적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안내 장공(42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420)과, 모니터부(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고정 브라켓(420)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브라켓(430)과, 고정 브라켓(420)의 안내 장공(423)을 통과하여 가동 브라켓(43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가동 브라켓(430)의 이동을 안내하여 모니터부(200)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 체결에 의하여 가동 브라켓(430)을 고정 브라켓(42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조절 스크류(4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내 장공(423)은 고정 브라켓(4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경우, 조절 스크류(440) 반대측의 안내 장공(423)에는 가동 브라켓(430)으로부터 돌출된 안내축(425)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셀프 록킹부(450)는 고정 브라켓(420)에 그의 안내 장공(423)과 동심의 원호상으로 복수개의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멍(427)과, 스프링(455)의 탄발력에 의하여 가동 브라켓(430)으로부터 고정 브라켓(420)의 구멍(427)에 탄발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는 볼(457)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동 브라켓(430)의 중간에는 중공의 튜브(453)를 설치하고, 이 중공의 튜브(453) 내에 스프링(455) 및 볼(457)을 장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부(100)를 USB 직렬 변환 장치(200)와 한몸으로 구현함으로써, 대부분 모니터 근처에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기기들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모니터부(100)는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서의 USB 직렬 변환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도로,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여 직렬 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주변 기기와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USB 포트에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500) 사이를 인터페이스해 주는 USB 직렬 변환 장치(200)는, USB 인터페이스부(220)와, USB 허브(230)와, USB 직렬 변환부(240)와, 직렬 인터페이스부(250), 전원 공급부(2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USB 인터페이스부(220)는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USB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50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USB 허브(230)는 USB 직렬 변환부(240)를 통해 다수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500)으로 전달하고, 컴퓨터 시스템(500)으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USB 직렬 변환부(240)는 각각의 직렬 포트(=Comport)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연결되어 있는 직렬 포트로부터 인가받은 직렬 데이터 신호를 USB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USB 허브(230)로 전달하고, USB 허브(230)로부터 인가받은 USB 데이터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여 연결되어 있는 직렬 포트로 전달한다.
직렬 인터페이스부(250)는 직렬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각의 직렬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모니터부(100)와 USB 직렬 변환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정 직렬 포트에 주변 기기가 연결 접속되면 컴포트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유휴한 컴포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유휴한 컴포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직렬 포트에 검색된 컴포트 값을 할당 설정하게 된다.
이후, 소정 직렬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 기기로부터 직렬 데이터가 전송되면, 직렬 인터페이스부(250)는 해당 직렬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직렬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 직렬 데이터를 해당 직렬 포트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는 USB 직렬 변환부(240)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렬 인터페이스부(2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직렬 포트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인가받은 USB 직렬 변환부(240)은 인가받은 직렬 데이터를 USB 데이터로 변환한 후, USB 허브(230)로 전달하고, USB 직렬 변환부(240)로부터 USB 데이터를 전달받은 USB 허브(230)는 USB 직렬 변환부(240)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USB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한편, USB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500)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USB 인터페이스부(220)는 USB 포트를 통해 인가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USB 허브(230)로 전달한다.
USB 허브(230)는 USB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인가받은 USB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주변 기기가 연결되는 직렬 포트에 대응 설치되어 있는 USB 직렬 변환부(240)로 USB 데이터를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 허브(230)로부터 USB 데이터를 전달받은 USB 직렬 변환부(240)는 USB 허브(230)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 후, 연결되어 있는 직렬 포트를 통해 해당 주변 기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모니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모니터에 따르면, USB 데이터 신호와 직렬 데이터 신호를 상호 변환하고, USB 허브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주변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를 USB 직렬 변환 장치와 한몸으로 구현함으로써, 대부분 모니터 근처에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기기들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USB 포트를 통해 다수의 주변 기기들을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컴포트 값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모니터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서의 USB 직렬 변환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모니터, 200. USB 직렬 변환 장치, 205. 직렬 포트,
210. USB 포트, 220. USB 인터페이스부, 230. USB 허브,
240. USB 직렬 변환부, 250. 직렬 인터페이스부, 300. 삼각대,
310. 제 1 지지판, 320. 제 2 지지판, 330. 지지대,
400. 지지대, 410. 경사 조절부, 420. 고정 브라켓,
423. 안내 장공, 425. 안내축, 427. 구멍,
430. 가동 브라켓, 440. 조절 스크류, 450. 셀프 록킹부,
453. 튜브, 455. 스프링, 457. 볼,
500. 컴퓨터 시스템

Claims (8)

  1. USB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다수의 직렬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 기기들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직렬 포트와 일대일 대응 연결 설치되어 해당 직렬 포트로부터 전달받은 직렬 데이터 신호를 USB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거나 USB 데이터 신호를 직렬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직렬 포트로 전달하는 USB 직렬 변환부, 상기 USB 직렬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 신호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거나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USB 데이터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여 해당 USB 직렬 변환부로 전달하는 USB 허브로 이루어져, 상기 직렬 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주변 기기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 간을 인터페이스해 주는 USB 직렬 변환 장치와;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 상단에 정면을 향해 탑재되어 있는 모니터부와;
    상기 USB 직렬 변환 장치의 상단에 탑재되면서 측면에 상기 모니터부의 경사 운동 궤적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안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 상기 모니터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브라켓, 상기 안내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동 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모니터부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 체결에 의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을 고정 브라켓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조절 스크류로 이루어져, 상기 모니터부가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유지되도록 상기 모니터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모니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경사 조절부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부의 자체 무게로 인해 상기 모니터부가 저절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셀프 록킹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니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록킹부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안내 장공과 동심의 원호 상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에 복수개의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탄발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는 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니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브라켓의 중간에 중공의 튜브를 설치하고, 상기 튜브 내에 상기 스프링 및 볼이 장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니터.
  8. 삭제
KR10-2002-0065473A 2002-10-25 2002-10-25 기능성 모니터 KR10049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73A KR100490604B1 (ko) 2002-10-25 2002-10-25 기능성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73A KR100490604B1 (ko) 2002-10-25 2002-10-25 기능성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33A KR20040036433A (ko) 2004-04-30
KR100490604B1 true KR100490604B1 (ko) 2005-05-19

Family

ID=3733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473A KR100490604B1 (ko) 2002-10-25 2002-10-25 기능성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9501C (zh) * 2004-11-25 2008-01-02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Usb/ps2转接装置及其周边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526U (ja) * 1991-05-30 1992-12-08 株式会社東芝 デイスプレイ装置
JPH08152936A (ja) * 1994-11-28 1996-06-11 Ricoh Co Ltd 小型電子機器におけるチルト機構
KR19990039208U (ko) * 1998-04-07 1999-11-05 구자홍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조절 장치
KR20000038678A (ko) * 1998-12-08 2000-07-05 구자홍 유에스비를 이용한 통합형 멀티미디어 모니터
KR20000074848A (ko) * 1999-05-26 2000-12-15 윤종용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US6275375B1 (en) * 1997-01-10 2001-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stand with hub mou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526U (ja) * 1991-05-30 1992-12-08 株式会社東芝 デイスプレイ装置
JPH08152936A (ja) * 1994-11-28 1996-06-11 Ricoh Co Ltd 小型電子機器におけるチルト機構
US6275375B1 (en) * 1997-01-10 2001-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stand with hub mount
KR19990039208U (ko) * 1998-04-07 1999-11-05 구자홍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조절 장치
KR20000038678A (ko) * 1998-12-08 2000-07-05 구자홍 유에스비를 이용한 통합형 멀티미디어 모니터
KR20000074848A (ko) * 1999-05-26 2000-12-15 윤종용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33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094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adjustable insertion angle
US6963935B1 (en) Peripheral universal bus hub
US20060253639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target computers through portable computer
US7730243B2 (en) KVM switch system with a simplified external controller
US5727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peripherals of multiple formats and a single system bus
WO1998025352A2 (en) Port replicator for sharing peripherals
US20050216620A1 (en) KVM and USB peripheral switch
US20050273312A1 (en) Distriubte USB KVM switch
JPH11212671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5781405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y mounted infrared device with a pair of pegs fitting into a pair of holes
US20090177901A1 (en) Kvm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computer power
US6435904B1 (en) Multiple peripheral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peripheral devices to a host device
JP2002304238A (ja) 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制御された多数のプラグ
JP2003140811A (ja) 脱着可能な入力装置を有する電気機器
US7433987B2 (en) Computer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n industry standard computer to a proprietary backplane and its associated peripherals
KR100490604B1 (ko) 기능성 모니터
US200700836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eripher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of interface
US6823415B1 (en) All-in-one mobile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ed therewith
JP2000293274A (ja) 着脱可能な周辺機器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パネル装置および方法
US6662259B1 (en) Modularized universal serial bus hub
KR20120122372A (ko) 키보드와 마우스와 비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듀얼형 일체형 컴퓨터
KR100406675B1 (ko) 선택식 하드디스크 랙
US6463487B1 (en) Adjustable pointer controller with voltage thresholds control for conveying user inputs to a computer equipped with a user port or PS/2 port
US6263391B1 (en) Modular bus bridge
KR20110080404A (ko) 외장형 멀티 디바이스 베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