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20B1 -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20B1
KR100489020B1 KR10-2002-0036747A KR20020036747A KR100489020B1 KR 100489020 B1 KR100489020 B1 KR 100489020B1 KR 20020036747 A KR20020036747 A KR 20020036747A KR 100489020 B1 KR100489020 B1 KR 10048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vibration
water tank
fastened
diaphragm
vib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519A (ko
Inventor
정회승
최병철
조남형
김후영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학교법인주성학원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학교법인주성학원, 김상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Priority to KR10-2002-003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싱크조와 같은 수조의 하부에 설치하여 담수에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피세척물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조의 하부에 초음파 대역으로 진동하는 초음 파진동부가 진동판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진동판은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수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출호스와 체결되는 커넥터로 상기 진동판 및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Assembled In A Water Tank A Ultrasonic V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피세척물에 오염되어 있는 오물 및 이물질을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수조의 하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는 초음파진동부가 체결되며 상부에는 수조의 하부면이 밀착되는 진동판을 상기 초음파진동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케이스가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진동세척이 가능할 수 있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진동은 보통 약 20,000 Hz 이상의 진동파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산업계에서 공구나 공작물의 가공시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초경합금과 같은 고강도의 공업용 재료나 도자기, 유리, 수정 및 보석와 같은 경질취성 물질은 일반적인 기계적 가공기법으로는 가공이 어렵지만,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면 연마, 천공, 절단 등과 같은 다양한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기계부품이나 탄광에서의 세탄 과정에서도 이용하게 되며, 도금이나 용접 가공에도 이용되고 있는 등 그 활용범위가 산업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업계에 국한적으로 사용되던 초음파 진동은 피부 마사지기나, 가정용 세탁기 등과 같이 가정용품에도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는데, 이는 초음파 진동이 갖는 특성상 의류에 묻은 때나 피부에 형성되는 지질 등에 대해 분해능력이 있다는 것에 착안한 결과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가정용품에 대한 적용과 더불어 앞에서 언급된 기계부품의 세척과정에서 볼 수 있었던 세척능력에 대한 착안결과로서 싱크대의 싱크조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종래 초음파진동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주방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수조에 적용하기 위해 단순히 수조 하부에 진동자를 접착시키는 단순한 결합방식이 채택되어 있다.
아울러 주방에 설치되는 기존 수조의 두께가 약 1mm 이하 정도로 비교적 얇기 때문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한 세척을 장기적으로 행하다보면 그 결합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조에 대한 진동자의 결합부위 전체가 이탈되거나 국소적으로 이탈되어 결국 초음파 진동의 전달율 및 그에 따른 세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안정적으로 상기 수조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진동전달 구조의 지지부재의 마련이 시급하지만, 종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척장치에서는 어떠한 지지부재나 구조의 형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수조와 초음파진동자 사이에 진동판을 개재하고, 초음파진동자는 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동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초음파진동의 전달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전원인가 부분에 대한 물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여 격리시킬 수 있는 구조의 케이스가 진동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체결구를 형성하여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진동판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수조에서 상기 진동판 및 케이스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배출호수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에 대해 진동판 및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담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11)와, 상기 배수구(11)의 하부로 하향 연결되며, 일측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12a)이 형성되는 제 1배출호스(12)를 포함하는 수조(10);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설치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초음파진동부;
상부면은 상기 수조(10)의 저면에 부착되고,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스터드볼트(31)가 하향 고정되어 상기 초음파진동부가 체결되며, 중앙영역에 제 1관통구(30a)가 형성되는 진동판(30);
상기 초음파진동부를 포함하는 용기(51)와, 상기 용기(51)의 테두리에 영역에 형성되는 플랜지(52) 및 상기 플랜지(52)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구(52a)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51)의 저면 중앙에 제 2관통구(51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구(30a)에 대응하는 케이스(50);
상기 각 체결구(52a)에 높이방향을 따라 체결되면서 상기 진동판(30) 하부의 테두리 영역을 상단으로 지지하는 지지볼트(53);
상기 제 2관통구(51a)의 주변 영역을 상향 지지하여 상기 진동판(30)의 테두리 영역을 상기 각 지지볼트(53)가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관통구(30a,51a)를 연속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나사산(12a)에 형상적으로 대응 체결되는 커넥터(60); 및
상기 커넥터(60)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물이 배출시키는 제 2배출호스(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체결구(52a)에는 상기 지지볼트(53)가 높이방향을 따라 안측에 체결될 수 보강재(52b)가 더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진동부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20)에 포함되는 진동소자는 압전소자, 전왜소자 및 자왜소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초음파진동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장치는 수조(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원판형상의 진동판(30)에 2개의 초음파진동부를 설치하여 인가되는 전원으로 상기 수조(10) 내에 담수된 피세척물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진동장치(100)는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구(11) 및 상기 배수구(11)에 연결된 제 1배출호스(12)를 중심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진동장치(100)는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12a)에 대해 대응 체결되는 커넥터(60)로 상기 진동판(30) 및 케이스(50)를 고정하여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갖는데 있다.
상기 수조(10)는 일반 가정에서의 싱크대 싱크조와 같이 배출호스(12)가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11)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원형의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수조(10)의 저면으로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수조(10)에 담수된 피세척물에 초음파를 가하는 진동판(3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30)은 상기 수조(10)의 저면에 대응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배수구(11)에 연결된 제 1배출호스(12)의 일측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배출호스(12)에 대해 수직한 부위인 중앙에는 제 1관통구(30a)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링 타입을 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진동판(30)의 저면으로는 제 1관통구(30a)의 근접한 부위에 결합되는 2개의 스터드볼트(31)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스팟용접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터드볼트(31)에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초음파진동하는 초음파진동부의 상부가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진동부는 외부의 전원으로 부터 소정 주파수 범위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는 구동회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진동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진동소자(21)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서 체결로 압박하여 이루어지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20)(이하 BLT라 약칭함)이다.
이러한 상기 BLT(20)는 상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암나사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BLT(20)의 암나사 형성부위에는 상기 진동판(30)의 하부에 스팟용접으로 하향 고정된 스터드볼트(31)가 체결된다.
이 때 상기 각 BLT(20)에는 전극판(22)이 구비되어 있어 구동회로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회로부(40)는 상기 BLT(2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전극판(22)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상기 진동소자(21)로부터 초음파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진동판(30)을 통해 수조(10)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진동소자(21)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초음파 대역으로 진동할 수 있는데, 압전소자, 전왜소자 및 자왜소자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압전소자를 일실시예로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50)는 상기 진동판(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10)에 대해 진동판(30)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판(30) 하부를 감싸 BLT(20)를 포함하는 용기(51)와, 상기 진동판(30)의 테두리 영역을 지지하는 플랜지(5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51)는 상기 진동판(30)의 하부에 체결되는 BLT(20)를 포함하여 감싸고 있으며, 상기 진동판(30)의 제 1관통구(30a)와 일맥 상통하도록 중앙부위에는 제 2관통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관통구(51a)는 상기 진동판(30)의 제 1관통구(30a)와 더불어 상기 제 1배출호스(12)가 하부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지름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다
이 때 상기 플랜지(52)는 상기 진동판(30)의 저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51)의 테두리부분이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써, 연장형성 방향으로 4개의 체결구(52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각 체결구(52a)로 하향 체결되는 지지볼트(53)의 상단이 상기 진동판(30)의 테두리 저면을 압박하여 상기 수조(10)에 대해 진동판(30)을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배출호스(12)는 상기 제 1관통구(30a) 및 제 2관통구(51a)를 통해 상기 케이스(50)의 하부로 소정돌출되는 나사산(12a)에 커넥터(60)가 대응 체결된다.
상기에서의 커넥터(60)는 일측으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배출호스(61)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나사산(12a)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60)는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나사산(12a)과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50)의 하부를 압박시키고 상기 케이스(50)에 지지되는 진동판(30)을 더불어 고정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진동장치(100)에서 수조(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케이스(50)에는 플랜지(52)를 따라 다수개의 체결구(52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구(52a)의 내부에는 보강재(52b)가 덧대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52b)는 상기 플랜지(52)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며, 지지볼트(5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덧대어진 보강재(52b)는 상기 체결구(52a)에 지지볼트(53)를 체결되면서 상기 진동판(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에 비해 축하중 및 비틀림 하중과 같이 각축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강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장기적 발생에 대해 지지볼트(53)의 지지기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상기 초음파진동장치(100)에서, 상기 진동판(30)의 하부에 체결되는 BLT(20)의 갯수 및 스터디볼트(31)의 갯수는 수조(10)의 규모나 피세척 대상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52b)는 상기 플랜지(52)의 체결구(52a)에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에 의하면, 수조에 접착되는 진동판을 케이스에 대한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압박정도를 달리하여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조에서 상기 진동판 및 케이스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배출호수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에 대해 진동판 및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전달의 안정화를 통해 수조에 담겨지는 피세척물의 세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초보자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초음파진동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조 11:배수구
12: 제 1배출호스 12a: 나사산
20: 란쥬반 진동자 21: 진동소자
22: 전극판 30: 진동판 30a: 제 1관통구 31: 스터드볼트
40: 구동회로부 50: 케이스
51: 용기 51a: 제 2관통구
52: 플랜지 52a: 체결구
52b: 보강재 53: 지지볼트
60: 커넥터 61: 제 2배출호스
100: 진동장치

Claims (4)

  1. 담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11)와, 상기 배수구(11)의 하부로 하향 연결되며, 일측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12a)이 형성되는 제 1배출호스(12)를 포함하는 수조(10);
    상기 수조(10)의 하부로 설치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초음파진동부;
    상부면은 상기 수조(10)의 저면에 부착되고,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스터드볼트(31)가 하향 고정되어 상기 초음파진동부가 체결되며, 중앙영역에 제 1관통구(30a)가 형성되는 진동판(30);
    상기 초음파진동부를 포함하는 용기(51)와, 상기 용기(51)의 테두리에 영역에 형성되는 플랜지(52) 및 상기 플랜지(52)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구(52a)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51)의 저면 중앙에 제 2관통구(51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구(30a)에 대응하는 케이스(50);
    상기 각 체결구(52a)에 높이방향을 따라 체결되면서 상기 진동판(30) 하부의 테두리 영역을 상단으로 지지하는 지지볼트(53);
    상기 제 2관통구(51a)의 주변 영역을 상향 지지하여 상기 진동판(30)의 테두리 영역을 상기 각 지지볼트(53)가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관통구(30a,51a)를 연속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제 1배출호스(12)의 나사산(12a)에 형상적으로 대응 체결되는 커넥터(60); 및
    상기 커넥터(60)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물이 배출시키는 제 2배출호스(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체결구(52a)에는 상기 지지볼트(53)가 높이방향을 따라 안측에 체결될 수 보강재(52b)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진동부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20)에 포함되는 진동소자는 압전소자, 전왜소자 및 자왜소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KR10-2002-0036747A 2002-06-28 2002-06-28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KR10048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747A KR100489020B1 (ko) 2002-06-28 2002-06-28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747A KR100489020B1 (ko) 2002-06-28 2002-06-28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19A KR20040001519A (ko) 2004-01-07
KR100489020B1 true KR100489020B1 (ko) 2005-05-17

Family

ID=3731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747A KR100489020B1 (ko) 2002-06-28 2002-06-28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0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81A (ja) * 1996-07-17 1998-02-03 Dan Kagaku:Kk 下降整流式洗浄槽
JPH1052669A (ja) * 1996-05-22 1998-02-24 Daishinku Co 超音波振動子ユニットおよび超音波洗浄装置および投げ込み型超音波洗浄装置
JP2000049130A (ja) * 1998-07-27 2000-02-18 Memc Kk シリコンウエハの洗浄装置及び同装置を使用した洗浄方法
KR200258378Y1 (ko) * 2001-09-28 2002-01-18 강기훈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초음파 진동장치
KR20030097234A (ko) * 2002-06-20 2003-12-31 학교법인주성학원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669A (ja) * 1996-05-22 1998-02-24 Daishinku Co 超音波振動子ユニットおよび超音波洗浄装置および投げ込み型超音波洗浄装置
JPH1032181A (ja) * 1996-07-17 1998-02-03 Dan Kagaku:Kk 下降整流式洗浄槽
JP2000049130A (ja) * 1998-07-27 2000-02-18 Memc Kk シリコンウエハの洗浄装置及び同装置を使用した洗浄方法
KR200258378Y1 (ko) * 2001-09-28 2002-01-18 강기훈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초음파 진동장치
KR20030097234A (ko) * 2002-06-20 2003-12-31 학교법인주성학원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19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344B1 (ko) 초음파세척기
CA2645933C (en) Megasonic processing apparatus with frequency sweeping of thickness mode transducers
AU669475B2 (en) Device for causing an untuned structure to vibrate ultrasonically
US20070283985A1 (en) Ultrasonic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Multiple Frequency Transducers
US9610617B2 (en) Megasonic multifrequency apparatus with matched transducer
US6085764A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60024752A (ko) 초음파세척기용 초음파 발생구조
KR102282608B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KR100489020B1 (ko)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KR100473785B1 (ko) 수조에 체결되는 초음파진동장치
KR100521474B1 (ko) 수조에 체결되는 주방용 초음파진동장치
JP7231914B1 (ja) 場所をとらない携帯可能超音波洗浄機及びこれを用いる洗浄方法
KR102145223B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GB2143724A (en) Sink with ultrasonic cleaning equipment
JP2008086898A (ja) 超音波洗浄装置
KR100473786B1 (ko) 수조에 체결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20100023180A (ko) 초음파 진동장치
JPH0160311B2 (ko)
KR200313467Y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척장치
KR200289849Y1 (ko) 수조에 체결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CN219594516U (zh) 一种超声波清洗机
KR200304421Y1 (ko) 수조에 부착되는 초음파진동부의 지지장치
KR102110160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0202884B1 (ko) 초음파장치를 지닌 세탁기
KR200183765Y1 (ko) 초음파 세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