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05B1 -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 Google Patents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05B1
KR100489005B1 KR10-2002-0063975A KR20020063975A KR100489005B1 KR 100489005 B1 KR100489005 B1 KR 100489005B1 KR 20020063975 A KR20020063975 A KR 20020063975A KR 100489005 B1 KR100489005 B1 KR 10048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ischarge
dispenser
plat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5211A (en
Inventor
장원석
김공열
Original Assignee
사니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니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니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05B1/en
Publication of KR2004003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분말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간편하게 분말형태의 음료를 온수 또는 냉수에 타서 마실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for an edible pow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enser in which a beverage in powder form can be drunk by drinking in hot or cold water.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갖추어진 배출버튼(30)과, 이 배출버튼(30)의 둘레에 갖추어지면서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로터리버튼(4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부의 분말통(20)안의 분말이 아래로 일정량이 공급되어 1차 체류가능하도록 하는 계량판(50)과, 이 계량판(50)의 상,하부면에 밀접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60)(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discharge button 3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otary button 40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button 30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powder,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in the powder container 20 at the bottom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close proximity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eighing plate 50 to allow the primary staying to b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제 2실시예로서,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 동작하도록 본체(10)의 일면에 구비된 배출버튼(200)과, 상기 배출버튼(200)의 외부둘레에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로터리버튼(40)과, 상기 배출버튼(200)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210)와, 이 연결부재(210)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축부재(220)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부(230)가 연장ㆍ형성되면서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플레이트(240)와, 이 플레이트(240)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판(250)과, 상기 플레이트(240)의 회동시 회전축(241)을 매개로 탄지되도록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are operated to discharge the powder. The discharge button 200 provided on one surface, the rotary button 40 provided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powd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button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button 200 And a plate 240 which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receiving portion 230 is formed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fixed shaft member 2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plate 240. The measuring plate 25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pring 240 is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be carri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241 when the plate 240 is rotated.

또한, 제 3실시예로서,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 동작하도록 본체(10)의 일면에 구비된 배출버튼(400)과, 상기 배출버튼(400)의 외부둘레에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로터리버튼(40)과, 상기 배출버튼(400)의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계량판(250)의 일측에 자리잡은 접점부(410)와, 이 접점부(410)에 의해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솔레노이드(420)와, 이 솔레노이드(420)의 작동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레이트(4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In addition, as a third embodiment, the main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operate to discharge the powder Discharge button 400 and the rotary button 40 provided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powd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button 400, and the measurement plate 250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of the discharge button 400 A contact portion 410 located at one side of the, a solenoid 420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by the contact portion 410, and the plate 430 connected to be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420 It is a structur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간편하게 각종 분말형태의 음료재료를 간편하게 구비하여 필요시 원하는 양만큼 배출시켜 온수에 타서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simply provided with a variety of powdered beverage material to be discharged by the desired amount if necessary to be burned in hot water.

Description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Dispenser for Disposable Edible Powder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본 발명은 식용분말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등의 일측에 구비하여 간편하게 버튼을 눌러 원하는 양만큼 내용물을 배출시켜 물과 혼합하여 음료수로 마실 수 있도록 한 식용분말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ble powde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enser for an edible powder,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water purifier and the like, and simply discharges the contents by a desired amount by pressing a button to be mixed with water and drinkable with a drink. .

일반적으로, 식용분말이라 함은 에컨대, 커피, 프림, 설탕 등의 고체상태의 분말을 의미하고, 이것을 물에 타는 경우 녹게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general, the edible powder means a powder in a solid state, such as coffee, prim, sugar, etc., and means that it melts when it is burned in water.

이러한 향태의 식용분말은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예컨대, 커피한잔을 마시기 위해서, 커피분말, 프림, 설탕을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꺼내어 컵에 혼합한 다음, 온수를 타서 저은 다음 마시는 것이다.This edible powder consists of small grains. For example, in order to drink a cup of coffee, coffee powder, prim, and sugar are stored in a container of a certain size, taken out if necessary, mixed in a cup, and then hot water Will drink next.

그런데, 최근에와서 일반 사무실에서는 통상적으로 정수기가 비치되어 정화된 물을 수시로 마시게되며, 이러한 정수기는 이미 널리 보급되어 필수품처럼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항상 사무실의 일정장소에 비치되어 사용되는데, 만일 커피등의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커피, 프림, 설탕을 담은 용기를 마련하여 각각의 용기로부터 적당량의 내용물을 꺼내어 컵에 넣고, 온수를 부어 휘저어 혼합시킨 다음 마시게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온수는 정수기의 온수밸브를 작동시켜 공급받아 사용하게되는 것이다.By the way, in recent years, the general office is usually equipped with a water purifier to drink purified water from time to time, these water purifiers are already widely spread and become like necessities. Therefore, it is always kept in a certain place of the office, and if you want to drink a drink, such as coffee, prepare a container containing coffee, prim, sugar, take an appropriate amount of contents from each container and put it in a cup, Pour, stir, mix and drink. However, in this process, the hot water is supplied by using the hot water valve of the water purifier.

하지만, 커피 등과 같은 분말은 일일이 별도 보관된 용기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게 되므로, 특히 일반가정에서는 용기를 어디에 두었는지도 잘 모르게되는 경우도 있고, 더욱이 적당량을 배합하는 것도 쉽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powders, such as coffee, are taken out from a container separately stored daily, in particular, in a general home, it may be difficult to know where the container is pla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ix an appropriate amount.

또한, 일반 업소에서는 이렇게 별도 보관된 용기를 비치하여 고객에게 서비스하기가 어려워, 소형 커피공급기를 비치하여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경우가 있다. 이 소형 커피공급기는 일반 커피자동판매기처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버튼을 누르면 컵이 낙하하고, 그 다음에 배합된 커피음료가 배출되어 이용 고객이 마실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rvice a customer in a general store with such a separately stored container, there is a case to serve a customer with a small coffee feeder. This small coffee dispenser, like a normal coffee vending machine, selects the desired menu and presses a button, the cup falls, and then the blended coffee drink is discharged and the customer can drink it.

그러나, 이러한 커피자동판매기는 비용이 고가이고, 다른 대체음료를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se coffee vending machines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supply other alternative drink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일반 가정이나 업소에 비치하여 커피(설탕,프림 포함)음료 또는 기타 여러가지 분말형태의 내용물을 물과 함께 배합하여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한 식용분말용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so that coffee (sugar, cream, etc.) beverage or other various powdered contents can be combined with water in a general home or business so as to be easily drunk.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 dispenser for an edible pow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갖추어진 배출버튼과, 이 배출버튼의 둘레에 갖추어지면서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로터리버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부의 분말통안의 분말이 아래로 일정량이 공급되어 1차 체류가능하도록 하는 계량판과, 이 계량판의 상,하부면에 밀접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owder passag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discharge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owder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button Rotary button for adjusting the, and the measuring plate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the powder in the upper powder container is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to be able to stay first, and close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asuring plate and rotat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s provided as possible.

또한, 상기 로터리버튼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계량판에 1차 공급되는 분말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분말공급 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구조이다.In addition, it is a structure equipped with a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owder supplied to the first weighing plate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button.

또한, 상기 분말공급 조절수단은 계량판에 형성된 통공의 개방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대편과, 이 밀대편의 회전축에 설치되면서 밀대편이 이동될때 압축되도록 마련된 탄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In addition, the powder supply control means is a slide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as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etering plate, a push piece piec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r and has a separate axis of rotation and rotatable; It i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tangji spring tha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push rod pieces and is compressed when the push rod pieces are moved.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분말통안의 분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있고, 상부에는 분말통과 결합되는 연통관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owder in the powder container,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tube coupled to the powder container.

상기 계량판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는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The first and second plate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asuring plat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installed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계량판은 상기 제 1,2플레이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면에 호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을 통해 결합부재가 제 1,2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measuring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rc-shaped guide hole is formed on one sid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nd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to be.

또한, 상기 계량판의 일측에는 다른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other discharge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easuring plate.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통공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position of the first plate.

한편, 상기 배출버튼은 그 안쪽에 스프링이 탄지되어있고, 상기 제 1,2플레이트 및 계량판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안에 별도의 연결핀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button is a structure in which a spring is supported therein, and a separate connecting pin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nd the measuring plate.

또한, 상기 로터리버튼의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범위내에서 반원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semicircula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within a partial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은 배출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축부재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부가 연장ㆍ형성되면서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회동시 회전중심축을 매개로 탄지되도록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button, a plate that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being formed to extend and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ed shaft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Another technical feature is a structure comprising a measuring plate and a spring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rotation center axis during the rotation of the plate.

상기 계량판의 내부 일측 공간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밀대편과, 이 밀대편의 일단에 결합핀과 결합되어 있으면서 계량판의 통공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가 갖추어진 구조이다,The inner one side space portion of the measur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ush rod piece rotatably provided around a rotation axis, and a slider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through hole of the weighing plate while being coupled with a coupling pin at one end of the push rod piece. to be,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밀대편의 회동시 압축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탄지돠어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has a spring to be compress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sh rod pieces,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부는 바닥면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의 일단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 protrusion is formed on one end of the locking jaw,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increases toward one side.

또한,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는 돌출편이 연장ㆍ형성되고, 계량판의 일측에는 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rotruding piece extends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stopp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easuring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디스펜서의 전체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갖추어진 배출버튼(30)과, 이 배출버튼(30)의 둘레에 갖추어지면서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로터리버튼(4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부의 분말통(20)안의 분말이 아래로 일정량이 공급되어 1차 체류가능하도록 하는 계량판(50)과, 이 계량판(50)의 상,하부면에 밀접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60)(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n a coupled state.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discharge button 3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otary button 4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powder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button 30,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wder in the powder container 20 down And a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which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close proximity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eighing plate 50 to supply the first staying unit. Structure.

상기 본체(10)는 상기 분말통(20)안에 저장된 분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1)이 형성되어있고, 상부에는 분말통(20)과 결합되는 연통관(12)이 형성되어 있다. 분말통(20)과 연통관(12)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외에도 끼움식으로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배면에는 정수기(미도시)의 측면등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정수기의 측면에 상기 걸이구(13)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것은 통상적인 구조에 불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1 for discharging the powder stored in the powder container 20,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tube 12 coupled to the powder container (20). Coupling of the powder container 20 and the communication tube 12 is detachably coupled by screwing, as shown in Figure 2, in addition to this can be combined by fitting.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hook 13 to be fitted to the side of the water purifier (not shown). The hanger 13 is configured to be hooked to the sid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is is only a general structure, so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will be omitted.

상기 배출버튼(30)은 그 안쪽에 스프링(31)이 탄지되어있고, 상기 제 1,2플레이트(60)(70) 및 계량판(5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54)(62)(72)안에 별도의 연결핀(32)이 구비되어 있다. The discharge button 30 is a spring 31 is carried therein, the through holes 5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and the measuring plate 50 ( 62 and 72, a separate connecting pin 32 is provided.

도 4는 상기 연결핀(32)을 끼울 수 있도록 배출버튼(30)으로부터 연장ㆍ형성된 연결부재(33)가 도시되어있다. 이 연결부재(33)의 단부에 상기 연결핀(32)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있다. 4 shows a connecting member 33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button 30 so as to fit the connecting pin 32. An insertion hole 3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3 to allow the connection pin 32 to be inserted.

상기 계량판(5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60)(70)는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9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asuring plate 5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90 installed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60)의 일측면에는 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6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60.

또한, 상기 계량판(50)은 상기 제 1,2플레이트(60)(70)가 회전축(9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면에 호형의 가이드공(5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52)을 통해 결합부재(100)가 제 1,2플레이트(60)(7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결합부재(100)의 축상단에는 제 1플레이트(60)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의 스프링(101)이 탄지되어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계량판(50)의 일측위치에 두께방향으로 일정 깊이 및 면적을 가지는 공간부(55)가 마련되어 상기 밀대편(83)이 공간부(55)에 자리잡게 된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plate 50 is formed with an arc-shaped guide hole 52 on one sid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ar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90, and the guide hole ( 52, the coupling member 100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At the shaft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100, the spring 101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60 is held and pressed. In addition, a space part 55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area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easuring plate 50 so that the push piece 83 is positioned in the space part 55.

또한, 계량판(50)의 일측에는 다른 배출공(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공(53)을 통해 분말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1플레이트(60)와 계량판(50)간에 잔류하는 분말의 일부를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discharge hole 5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easurement plate 50. It is to discharge a part of the powder remaining between the first plate 60 and the measuring plate 50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powd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53).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70)는 상기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통공(7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70 has a through hole 71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position of the first plate 60.

또한, 상기 계량판(50)의 안쪽에는 상기 로터리버튼(4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계량판(50)에 1차 공급되는 분말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분말공급 조절수단(80)이 갖추어져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weighing plate 50 is provided with a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80 to rotate the rotary button 40 to rotate the amount of powder primarily supplied to the weighing plate 50.

상기 분말공급 조절수단(80)은 계량판(50)에 형성된 통공(51)의 개방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통공(51)에 삽입되는 슬라이더(81)와, 이 슬라이더(8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결합축(82)을 가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대편(83)과, 이 밀대편(83)의 회전축(84)에 설치되면서 밀대편(83)이 이동될때 압축되도록 마련된 탄지스프링(85)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80 is a slider 8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 so as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51 formed in the weighing plate 5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r 81. And a push rod 83 provided to be rotatable while having a separate coupling shaft 82 and a push rod 83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84 of the push rod 83 and compressed when the push rod 83 is moved. It consists of 85.

또한, 상기 스프링(85)은 밀대편(83)의 일측면에 형성된 공간부(83a)에 회전축(84)을 경유하여 설치되어 밀대편(83)을 탄지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85 is provided on the space portion 83a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 piece 83 via the rotation shaft 84 to hold the push piece 83.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버튼(40)의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범위내에서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41)의 형태는 반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버튼(40)의 안쪽에는 일정공간을 두고 절단면(42)을 가지는 환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환턱(43)은 배출버튼(30)의 안쪽에 연장ㆍ형성된 연결부재(33)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the projection 41 is formed in a partial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rotrusion 4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 round 43 is formed inside the rotary button 40 with a cut surface 42 at a predetermined space. The round bar 43 is caught by the connecting member 33 extending and formed inside the discharge button 30.

또한, 로터리버튼(40)의 테두리부 안쪽면 2곳에 걸림턱(44)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ㆍ형성되고, 상기 로터리버튼(40)의 둘레에는 원형을 이루는 프레임(45)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45)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46)에는 상기 로터리버튼(40)의 걸림턱(44)이 각각 걸려서 걸림홈(46)의 형성범위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jaw 44 is protruded and formed at two inner side surfaces of the edge of the rotary button 40 facing each other, a circular frame 45 is formed around the rotary button 40, The frame 45 i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46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locking grooves 46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s 44 of the rotary button 40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locking grooves 46.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3 (a), another embodiment is shown.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배출버튼(200)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210)와, 이 연결부재(210)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축부재(220)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부(230)가 연장ㆍ형성되면서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플레이트(240)와, 이 플레이트(240)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판(250)과, 상기 플레이트(240)의 회동시 회전축(241)을 매개로 탄지되도록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회전축(241)은 플레이트(240) 및 계량판(25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Connection member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button 200 to discharge the powder and the receiving portion 230 to accommodate the fixed shaft member 2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One side of the plate 240 extended and form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easuring plate 25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240, and the rotating shaft 241 when the plate 240 rotates. It is a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260 provided in. The rotating shaft 241 is installed through the plate 240 and the metering plate 250.

상기 배출버튼(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버튼(200)을 누른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201)이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버튼(200)의 외부둘레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로터리버튼(40)이 자리잡고 있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pring 201 is press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2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 rotary button 4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button 200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powd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부재(220)는 연결부재(210)와 연결되면서 간격을 가지고 있는 연결편(221)과, 이 연결편(221)을 관통하여 갖추어진 원통관(222)과, 이 원통관(222)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원통관(222)의 내부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핀(223)과, 이 지지핀(223)의 승강운동시 신축성을 주도록 상기 원통관(222)의 내부에 갖추어진 스프링(224)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As shown in FIG. 14,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with a connecting piece 221 having a gap therebetween, and a cylindrical tube 222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piece 22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the support pin 223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to be slidably movable, and to give elasticity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support pin 223 It i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spring 224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tube 222.

또한, 상기 계량판(250)의 내부 일측 공간부(251)에는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밀대편(280)과, 이 밀대편(280)의 일단에 결합핀(290)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면서 계량판(250)의 통공(252)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300)가 갖추어진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one side space portion 251 of the measuring plate 250 is provided with a push rod piece 280 rotatably around the rotating shaft 270, the coupling pin 290 at one end of the push rod piece 28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lider 300 which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tering plate 250,

또한, 상기 회전축(270)에는 밀대편(280)의 회동시 압축되도록 하는 스프링(310)이 탄지되어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70 is supported by a spring 310 to be compress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sh rod piece 280,

또한, 상기 플레이트(240)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부(230)는 바닥면 일측에 걸림턱(231)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231)의 일단에 돌출부(232)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33)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230 formed at one side of the plate 240 has a locking step 231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 protrusion 2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ing step 231, and toward one side. It has an inclined surface 233 that rises.

또한, 상기 수용부(230)의 일단에는 돌출편(234)이 연장ㆍ형성되고, 계량판(250)의 상면 일단 및 소정위치에는 저지턱(253)(2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rotruding piece 234 extends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230, and stoppages 253 and 254 are formed at one end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25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스프링(260)의 일단은 플레이트(240)의 일측에 돌출ㆍ형성된 돌기(242)에 의해 탄지되어 있고, 타단은 계량판(250)의 저지턱(255)에 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pring 260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42 protruding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240,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topper 255 of the measuring plate 250.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분말을 공급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or stop the powder by rotating the plate using a solenoid bar,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as follows.

기본적인 구성은 제 2실시예와 동일ㆍ유사하지만, 배출버튼(400)의 누름에 따라 접촉되는 접점부(410)와, 이 접점부(410)에 의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도록 계량판(25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된 솔레노이드(420)와, 이 솔레노이드(420)의 작동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레이트(4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contact portion 4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ess of the discharge button 400, and the measuring plate 250 is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by the contact portion 410. The solenoid 4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and the structure consists of a plate 430 connected to be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420.

상기 플레이트(430)와 솔레노이드(420)와의 연결구조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30)로부터 절곡형성된 연장편(431)과, 이 연장편(431)에 핀(432)을 통해 솔레노이드(420)의 축(421)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장편(431)에는 장공(433)이 형성되어 플레이트(430)의 회전시 핀(432)이 장공(433)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late 430 and the solenoid 420 is an extension piece 431 bent from the plate 430, and the pin 432 on the extension piece 431,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to the shaft 421 of the solenoid 420 through. At this time, a long hole 433 is formed in the extension piece 431 to allow the pin 432 to move in the long hole 433 when the plate 430 rotates.

상기 연장편(431)은 도면에는 잘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곡형성되어 계량판(25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nsion piece 431 is bent and is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measurement plate 2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플레이트(430)의 회동에 의해 계량판(250)의 통공(252)이 개방되면, 솔레노이드(420)가 플레이트(430)와의 접촉으로 오프되도록 소정위치에 접점스위치(440)가 구비되어 플레이트(430)가 스프링(260)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When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tering plate 250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plate 430, the contact switch 44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solenoid 420 is turned off by contact with the plate 430. 4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26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분말통(20)안에 원하는 분말 예컨대, 커피, 프림, 설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개의 디스펜서가 1셋트를 이루어 구성된다. 이 경우, 각 분말통(20)안에 커피, 프림, 설탕 전용으로 저장하면 된다. 이런 다음, 일반 가정이나, 업소에 비치된 정수기의 측면에 걸이구(13)를 통해 걸어서 고정시킨 다음, 식음을 하고자 할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버튼(30)을 눌러 분말통(20)안의 내용물을 받치고 있는 컵(미도시)안에 배출시킨 다음, 정수기로부터 뜨거운 물을 받아 저어서 마시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the desired powder, for example, coffee, prim, and sugar in the powder container 20, three dispensers are configured by one set.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tore only coffee, a prim, and sugar in each powder container 20. Then, fixed by walking through the hook (13) on the side of the water purifier provided in a general home or business, and when you want to eat and drink, as shown in Figure 1, by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30) 20) After discharging the contents in the cup (not shown) holding the contents, and then drink hot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and stir.

한편, 배출량은 배출버튼(30)의 외주면에 구비된 로터리버튼(40)을 적절히 회전시켜 대소를 구분하여 설정하면 원하는 양만큼의 내용물을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discharge can be received by the desired amount of content if the rotary button 40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button 30 is set appropriately by classifying the case.

여기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discharge process of the pow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 1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과정][Discharge process of pow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버튼(30)을 누르면 배출버튼(30)의 안쪽에 탄지된 스프링(31)이 압축되고, 이어서 배출버튼(30)의 일단에 계량판(50), 제 1플레이트(60) 및 제 2플레이트(70)를 관통하여 구비된 연결핀(32)이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핀(32)이 각 플레이트(60)(70)의 관통공(62)(72) 및 계량판(50)의 관통공(54)에 삽입되어 있어 배출버튼(30)의 누름에 따라 연결핀(32)이 계량판(50)의 도면상 횡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54)의 형성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in the same state as in FIG. 5, when the discharge button 30 is pressed, the spring 31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discharge button 30 is compressed, and then the measuring plat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button 30. (50), the connecting pins 32 provided through the first plate 60 and the second plate 70 are coupled, and the connecting pins 32 are through-holes of the plates 60 and 70, respectively. (62) and 72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4 of the measuring plate 50 so that the connecting pin 32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drawing of the measuring plate 50 as the discharge button 30 is pressed. The linear movement of the ball 54 is made.

그에따라 계량판(5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플레이트(60) 및 제 2플레이트(70)의 관통공(62)(72)을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출버튼(30)의 직선이동에 따라 밀리면서 일단에 갖추어진 회전축(9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계량판(50)의 일단 위치에는 호형의 가이드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52)을 통과함은 물론, 제 1,2플레이트(60)(70)를 관통하여 구비된 결합부재(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공(52)을 따라 회전이동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레이트(60)가 도면상 상부로 회전이동한 상태가 된다.Accordingly, in the fixed state of the weighing plate 50, the through holes 62 and 72 of the first plate 60 and the second plate 7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aight line of the discharge button 30 is formed. As it is pushed along with the movement, it rotates about a rotation shaft 90 provided at one end. At this time, an arc-shaped guide hole 5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easuring plate 50,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52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member 100 is rotated along the guide hole 52, as shown in Figure 5, the first plate 60 is rotated to the top in the drawing state.

그러면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61)과 계량판(50)의 통공(51)이 일치되어있다가 제 1플레이트(60)의 회전이동에 따라 계량판(50)의 통공(51) 상부가 막히게된다.Then, the through hole 61 of the first plate 60 and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tering plate 50 coincide with each other, but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tering plate 5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plate 60. Get stuck.

이 상태에서는 상부에서 낙하하던 분말통(20)안의 분말이 계량판(50)의 통공(51)이 회전이동된 제 1플레이트(60)에 의해 막힘에 따라 더 이상 분말이 내려오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되고, 계량판(50)의 통공(51)의 범위내에 분말이 잔류하게 된다. In this state, as the powder in the powder container 20 falling from the top is blocked by the first plate 60 in which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asuring plate 50 is rotated, the powder cannot stop any further and stops. The powder remains in the range of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asuring plate 50.

이때, 상기 계량판(50)의 하부면에 구비된 제 2플레이트(70)도 제 1플레이트(60)의 회전과 동시에 가이드공(52)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이동하게 되는데,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플레이트(70)의 통공(71)은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61)의 형성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제 1플레이트(60)가 회전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동하면서 다른 위치의 통공(71)이 계량판(50)의 통공(51)과 일치되게 된다. 즉, 개방이되어 통공(51)안에 잔류한 분말이 제 2플레이트(70)의 통공(71)을 통해 하향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late 7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50 is also rotated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hole 52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plate 60, Figure 9 (a) As shown in (b), the through hole 71 of the second plate 70 is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61 of the first plate 60 so that the first plate 60 is formed. As the rotary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rotary movement, the through-holes 71 at different positions coincide with the through-holes 51 of the measuring plate 50. In other words, the powder is opened and the powder remaining in the through hole 51 moves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71 of the second plate 70.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11)을 통해 하향이동되어 결국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배출공(11)의 아래에는 컵(미도시)을 받치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 After that, as shown in Figure 3, it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 formed in the lower e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course, the discharge hole 11 is to be supported by a cup (not shown) below. .

[제 1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량 조절][Control of Discharge of Powder According to First Embodiment]

한편, 배출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로터리버튼(40)을 조작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powder discharged, the rotary button 40 may be operated.

즉, 로터리버튼(40)의 안쪽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범위내에서 돌기(41)가 형성되어 있어 돌기(41)의 돌출높이와 이에 맞닿는 분말공급조절수단(8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게된다.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as shown in Figure 7, the projection 41 is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projection 41 and the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80 in contact with it It is possible to adjus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버튼(4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리버튼(40)의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돌기(41)와 밀대편(83)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촉부위가 돌기(41)의 돌출높이가 제일 높은 중앙쪽으로 이동하게되면 그만큼 밀리게되므로, 밀대편(83)이 회전축(8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밀대편(83)의 하단부는 계량판(50)의 두께방향을 통과하여 통공(51)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되, 결합축(82)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더(81)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어 밀대편(83)이 회전축(84)을 중심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밀려 이동하게되면, 그와 반대로 밀대편(83)의 하단부는 좌측으로 밀려 이동하게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rotary button 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protrusions 41 and the pushing pieces 8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are formed. When the contact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center wher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41 of the protrusion 41 is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the push piece 83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84. Then, the lower end of the push piece 83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51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asuring plate 50, the slider 81 is slidably moved through the coupling shaft 82. When the push piece 83 is inserted and is pushed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7 around the rotational shaft 84, the lower end of the push piece 83 is pushed to the left to move.

상기 밀대편(83)의 이동시에는 회전축(84)을 경유하여 탄지스프링(85)이 설치되어 있어 밀대편(83)의 회전이동에 따라 압축된다.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push piece 83, a tangy spring 85 is installed via the rotation shaft 84, and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 piece 83.

상기 밀대편(83)이 공간부(55)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결합축(82)과 함께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81)가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하게되므로, 그만큼 계량판(50)의 통공(51)이 넓어져 보다 많은 양의 분말이 하향공급될 수 있다. As the pusher piece 83 moves in the space 55, the slider 81 coupled with the coupling shaft 82 simultaneously moves to the left side, so that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asuring plate 50 is moved. This widens the larger amount of powder that can be fed down.

한편, 배출량을 적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로터리버튼(40)을 회전시키면 돌기(41)의 상사점의 낮은 높이를 가지는 하사점으로 이동하게되고, 그 감소된 높이만큼 지지해주지 못하므로 이를 압축되어있던 탄지스프링(85)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상기 밀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축(84)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게된다. 그러면, 밀대편(83)의 하단부에 결합된 슬라이더(81)는 우측으로 이동하게되어 계량판(50)의 통공(51)의 개방범위를 줄이게되어 결국 상부에 위치한 분말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말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ducing emissions, when the rotary button 4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operation, it moves to the bottom dead center having a lower height of the top dead center of the projection 41 and cannot support the reduced height. Therefore, it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al axis 8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ushed direction agai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85, which has been compressed. Then, the slider 8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piece 83 is moved to the right to reduce the opening range of the through hole 51 of the weighing plate 50 and is eventually supplied from the powder container 20 located at the top. The amount of powder is reduced.

물론, 계량판(50)의 통공(51)의 형성범위는 어느정도 여유공간이 있으나, 그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61)의 형성범위는 일정하다. 따라서, 첨부된 예시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61)과 계량판(50)의 통공(51)이 일치할때의 개방범위가 일정하게되기때문에, 이를 상기 슬라이더(81)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개방범위를 증감시켜 분말의 배출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Of course, the forming range of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asuring plate 50 has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but the forming range of the through hole 61 of the first plate 60 positioned thereon is constant. Therefore, as shown in FIG. 7, since the opening range when the through hole 61 of the first plate 60 and the through hole 51 of the measurement plate 5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opening range becomes constant. The slider 81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pen range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powder is controlled.

또한, 도 1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버튼(4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리버튼(40)의 환턱(43)의 절단면(42)이 배출버튼(30)의 연결부재(33)에 맞닿게되어 회동범위가 제한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버튼(40)의 안쪽 둘레면에 2개의 걸림턱(44)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고, 프레임(45)이 결합되면서 이 프레임(45)의 걸림홈(46)에 상기 걸림턱(44)이 걸려있어 로터리버튼(40)의 회전시 걸림턱(44)이 상기 걸림홈(46)의 범위내에서 이동하게 되어 제한되므로, 이러한 제한된 범위내에서 대/중/소로 구분하여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12, when the rotary button 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cut surface 42 of the round projection 43 of the rotary button 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button 30.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member 33 is limited in the range of rota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two engaging jaw 4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is locat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s the frame 45 is coupled, the locking jaw 44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46 of the frame 45 so that the locking jaw 44 rotates when the rotary button 40 is in the range of the locking groove 46. Since it is limited to move withi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powder divided into large / medium / small within this limited range.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과정 및 배출량 조절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rocess and the discharge control process of the pow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2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과정] [Discharge process of pow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먼저 배출버튼(200)을 누르면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201)이 압축되면서 배출버튼(200)과 연결된 연결부재(210)가 도면상 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210)에는 고정축부재(220)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 고정축부재(220)가 플레이트(240)의 수용부(230)안에 삽입된 상태로 있다. 이 수용부(230)안에 삽입된 고정축부재(220)가 연결부재(210)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데, 수용부(230)안에는 걸림턱(2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231)의 일단에는 돌출부(232)가 형성되어 있어 밀려서 이동하는 고정축부재(220)의 지지핀(223)이 상기 걸림턱(231)과 맞닿게되면서 밀리는 힘을 받을때, 구비된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하향되게 회전하려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에따라 플레이트(240)가 아랫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스프링(260)을 압축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수용부(230)안에서의 고정축부재(220)의 위치는 일측 모서리부에 위치하게되어 수용부(230)안의 걸림턱(231) 및 돌출부(232)를 벗어난 상태가 된다. First, when the discharge button 200 is pressed, the connection member 210 connected to the discharge button 200 is moved to the right while the spring 201 provided therein is compress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member 220,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30 of the plate 240. The fixed shaft member 22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30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n the receiving portion 230, a locking jaw 231 is formed, and the locking jaw ( One end of the 231 is formed with a projection 232, when the support pin 223 of the fixed shaft member 220 to be pushed to move while being pushed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jaw 231, the rotary shaft 241 provided It acts as a force to rotate downward with respect to). Accordingly, the plate 240 is in a state of compressing the spring 260 while rotat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n, the position of the fixed shaft member 220 in the receiving portion 230 is located in one corner portion is in a state deviating from the locking step 231 and the protrusion 232 in the receiving portion 230.

또한, 플레이트(240)의 수용부(230)의 일측면에는 돌출편(234)이 연장ㆍ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240)가 회전함에따라 상기 돌출편(234)도 회전이동하여 계량판(25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저지턱(253)에 맞닿아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고 걸리게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piece 234 is extend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30 of the plate 240. As the plate 240 rotates, the protruding piece 234 also rotates to move the measuring plate 250.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5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no longer progressed is caught.

이렇게 플레이트(240)가 이동된 상태가 되면, 계량판(250)의 통공(252)이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상부에 있던 분말이 개방된 통공(252)안으로 진입하여 아랫쪽으로 떨어지게된다. When the plate 240 is moved in this way, since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tering plate 250 is in an open state, the powder in the upper portion enters into the open through hole 252 and falls downward.

여기서, 도 15 및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30)안에서 위치이동한 고정축부재(220)는 걸림턱(231) 및 돌출부(232)로부터 벗어날때까지는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 지점을 지나는 순간 계속된 배출버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연결부재(210)를 매개로하여 힘을 전달받으므로, 수용부(230)안에서 위치이동하여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이동한다. 이때, 고정축부재(220)의 원통관(222)의 내부에는 스프링(224)이 갖추어져 있고, 그 아래에 지지핀(223)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도 16(b)에서와 같은 위치에서 이동할때, 수용부(230)의 바닥면이 이동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33)을 가지고 있어 그 만큼 지지핀(223)이 스프링(224)을 압축하여 원통관(222)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240)는 고정축부재(220)의 지지핀(223)이 도 16(c)에서와 같은 위치(경사면의 최고높은 지점)에서 회전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60)의 반발력을 받아 다시 원위치로 회전이동하여 복귀하여 개방되어 있던 계량판(250)의 통공(252)을 막는다. 이렇게 통공(252)이 막히므로, 상부에서 공급되던 분말도 플레이트(240)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계량판(250)의 통공(252)을 통과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로 있게된다. Her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5 and 16 (a), as shown in Figure 16 (b),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mo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30, the locking step 231 ) And the projection 232 is moved horizontally, and the moment i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210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button (200) continued passing through this point, the receiving portion 230 16), the position is moved, as shown in Figure 16.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of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spring 224, the support pin below When the 223 is slidably coupled and moves in the same position as in FIG. 16 (b), the support pin 223 has an inclined surface 233 that increase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30 moves. The spring 224 is compressed to move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and as shown in FIG. In the position as shown, the plate 240 is a spring (the support pin 223 of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compress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at the position as shown in Fig. 16 (c) (highest point of the inclined surface) ( Receiving the repulsive force of 260 to mov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o return to block the through-hole 252 of the open measuring plate 250. Thus, the through-hole 252 is blocked, so that the powder supplied from the upper to the plate 240 It is blocked and no long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tering plate 250 and remains stationary.

이때, 누르고 있던 배출버튼(200)을 놓으면,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01)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최고높은 경사면 위치에 있던 고정축부재(220)의 지지핀(223)은 수평이동한 후, 걸림턱(231)을 넘는 순간 압축된 스프링(224)의 반발력에 의해 지지핀(223)이 원통관(222)의 내부로부터 노출되어 수용부(230)의 바닥면에 닿게된다. 이러므로써, 수용부(230)안에 있던 고정축부재(220)도 원위치로 복귀된다. At this time, when the discharge button 200 held down is released,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01 that has been compressed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in 223 of the fixed shaft member 220 at the highest inclined surface position. ) Is moved horizontally, the support pin 223 is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224 compressed at the moment beyond the locking step 23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30 To reach. Thus, the fixed shaft member 220 in the receiving portion 230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제 2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량 조절과정] [Emission Control Process of Powder According to Second Embodiment]

도 17(a)(b)(c)에 단계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터리버튼(40)을 회전시키면 되는바, 로터리버튼(40)을 회전시키면, 로터리버튼(40)의 둘레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환턱(43)이 회전이동하면서 밀대편(280)을 만나게된다. 그러면 환턱(43)의 돌출높이만큼 밀대편(280)이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게되고, 그에따라 밀대편(280)의 일단에 결합핀(290)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더(300)가 계량판(250)의 통공(252)내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step (a), (b) and (c) of FIG. 17, when the emission of the powder is to be adjusted, the rotary button 40 may be rot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rotating, the semi-circular annular projection 43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rotates to meet the pushing piece 280. Then, the push piece 28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270 by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43, and accordingly, the slider 300 coupled to one end of the push piece 280 by the coupling pin 290. Is moved to the left side in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asuring plate 250.

슬라이더(3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되면, 그만큼 계량판(250)의 통공(252)의 개방범위가 넓어지게되고, 이와 반대로 로터리버튼(40)을 돌리게되면, 압축된 스프링(31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되어 계량판(250)의 통공(252)의 개방범위가 좁아지게되어 그만큼 공급되는 분말의 양이 적어지는 것이다. When the slider 300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opening range of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asurement plate 250 is widened by the slider 300. On the contrary, when the rotary button 40 is turned,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310 is increas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by which the opening range of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tering plate 250 is narrowed so that the amount of powder supplied is reduced.

[제 3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과정] [Discharge process of pow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도 18(b)에서와 같이 배출버튼(400)을 누르면, 접점부(410)가 접촉되면서 솔레노이드(420)에 신호가 인가되어 작동하게되므로, 플레이트(430)의 절곡된 연장편(431)과 핀(432)을 통해 연결된 축(421)이 솔레노이드(420)안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플레이트(430)가 회동하여 계량판(250)의 통공(252)이 개방되어 통공(252)안에까지 들어있던 분말이 아래로 떨어지게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400 as shown in Figure 18 (a), as shown in Figure 18 (b), the contact portion 410 is in contact with the solenoid 420 Since the signal is applied and operated, the plate 430 rotates while the plate 430 rotates while the shaft 421 connected through the bent extension 431 and the pin 432 of the plate 430 is pulled into the solenoid 420. The through hole 252 of the 250 is opened so that the powder contained in the through hole 252 falls down.

이후, 다시 회동된 플레이트(430)가 솔레노이드(420)의 접점스위치(440)와 접촉되는 순간 솔레노이드(420)가 오프되어 다시 플레이트(430)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계량판(250)의 통공(252) 저면이 막히게되므로, 분말의 공급이 중단된다. Subsequently, the moment the solenoid 420 is turned off again when the plate 430 rotated again contacts the contact switch 440 of the solenoid 420, the plate 430 rotates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allowing the aperture 252 of the measuring plate 250 to rotate. ) As the bottom is blocked, the powder supply is stopped.

[제 3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배출량 조절과정][Emission Control Process of Powder According to Embodiment 3]

분말의 배출량 조절과정은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powder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하게 음료용 분말을 담아 적정량을 손쉽게 배출시켜 식음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having an effect such as easily containing a powder for drink and easily discharging an appropriate amount.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도면을 통해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배출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결합상태 종단면도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not pressing the eject butt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배출버튼을 누른 상태의 종 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from the state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버튼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버튼 및 로터리버튼의 중앙부위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of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button and the rotary butt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는 도 5의 상태로부터 배출버튼을 누른 상태의 평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state pressing the eject button from the state of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버튼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계량판의 통공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Figure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of the measuring plate is widened by rotating the rotary button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로터리버튼을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utton is rotated while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판의 상부에 갖추어지는 제 1플레이트의 평면도Figure 9 (a) is a plan view of a first plate provided on top of the weigh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판의 하부에 갖추어지는 제 2플레이트의 평면도Figure 9 (b) is a plan view of a second plat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eigh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버튼 및 이와 결합되는 프레임의 분리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button and a frame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버튼을 후면에서 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도 12(a)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A)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A line of FIG.

도 12(b)는 도 12(a)로부터 로터리버튼이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12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ry button rotated from FIG. 12 (a).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Figure 13 (a)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b)는 도 13(a)로부터 배출버튼을 눌렀을때의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Figure 13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pressing the eject button from Figure 13 (a)

도 13(c)는 배출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Figure 13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plate is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도 13(d)는 최종적으로 눌러졌던 배출버튼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된 상태의 평단면도Fig. 13 (d)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button which was finally pressed was retur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배출버튼 및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button and the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16(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배출버튼의 작동에 따라 고정축부재가 플레이트의 수용부안에서 위치이동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16 (a) (b) (c) is a step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shaft member is mov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butt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 의해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분말이 가장 적게 공급되도록 된 상태의 도면Figure 17 (a)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powder by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that the powder is supplied to the least

도 17(b)는 도 17(a)의 상태에서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가 약간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r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is slightly moved in the state of FIG.

도 17(c)는 도 17(b)의 상태에서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가 최대로 이동하여 가장 많이 배출되도록 된 상태의 도면FIG. 17 (c)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lider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is moved to the maximum to discharge the most in the state shown in FIG.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에서 본 단면도18 (a)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bottom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계량판의 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에서 본 단면도Figure 18 (b)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bottom showing the state that the through-hole of the metering plate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soleno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c)는 회동된 플레이트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오프되면서 다시 플레이트가 원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18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the solenoid is turned off by the rotated plate

도 18(d)는 분말을 배출시키기위해 누르고있던 배출버튼을 놓으므로써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ure 18 (d) is a view showing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by releasing the discharge button pressed to discharge the powd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0 : 본체10: main body

11 : 배출공11: discharge hole

12 : 연통관12: communicating tube

13 : 걸이구13: hanger

20 : 분말통20: powder container

30 : 배출버튼30: discharge button

31 : 스프링31: spring

32 : 연결핀32: connecting pin

33 : 연결부재33: connecting member

40 : 로터리버튼40: rotary button

41 : 돌기41: turning

42 : 절단면42: cutting surface

43 : 환턱43: round jaw

44 : 걸림턱44: jamming jaw

45 : 프레임45: frame

46 : 걸림홈46: hanging groove

50 : 계량판50: measuring plate

51 : 통공51: through

52 : 가이드공52: guide ball

53 : 배출공53: discharge hole

54 : 관통공54: through hole

55 : 공간부55: space part

60 : 제 1플레이트60: first plate

61 : 통공61: through

62 : 관통공62: through hole

70 : 제 2플레이트70: second plate

71 : 통공71: through

72 : 관통공72: through hole

80 : 분말공급조절수단80: powder supply control means

81 : 슬라이더81: slider

82 : 결합축82: coupling shaft

83 : 밀대편83: push rod

83a : 공간부83a: space part

84 : 회전축84: rotation axis

85 : 탄지스프링85: Tangier Spring

90 : 회전축90: axis of rotation

100 : 결합부재100: coupling member

101 : 스프링101: spring

200 : 배출버튼200: discharge button

201 : 스프링201: spring

210 : 연결부재210: connecting member

220 : 고정축부재220: fixed shaft member

221 : 연결편221: connecting piece

222 : 원통관222: cylinder tube

223 : 지지핀223: support pin

224 : 스프링224: spring

230 : 수용부230: receiver

231 : 걸림턱231: jamming jaw

232 : 돌출부232: protrusion

233 : 경사면233: slope

234 : 돌출편234: protrusion

240 : 플레이트240: plate

241 : 회전축241: axis of rotation

242 : 돌기242: projection

250 : 계량판250: measuring plate

251 : 공간부251: space

252 : 통공252: through

253,254,255 : 저지턱253,254,255: jersey

260 : 스프링260: spring

270 : 회전축270 rotation axis

280 : 밀대편280: push rod

290 : 결합핀290: coupling pin

300 : 슬라이더300: slider

310 : 스프링310: Spring

400 : 배출버튼400: eject button

410 : 접점부410: contact portion

420 : 솔레노이드420: solenoid

421 : 축421: axis

430 : 플레이트 430: Plate

431 : 연장편431 extension

432 : 핀432 pin

433 : 장공433: long

440 : 접점스위치440: contact switch

Claims (35)

통상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In a typical dispenser,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The main body 10 having a certain size,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갖추어진 배출버튼(30)과, Eject button 3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이 배출버튼(30)의 둘레에 갖추어지면서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로터리버튼(40)과, The rotary button 40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button 30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powder,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부의 분말통(20)안의 분말이 아래로 일정량이 공급되어 1차 체류가능하도록 하는 계량판(50)과, A metering plate 5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in the upper powder container 20 to the first stay, and 이 계량판(50)의 상,하부면에 밀접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60)(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plates (60, 70) are provided rotatably close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asuring plate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는 상기 분말통(20)안에 저장된 분말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1)이 형성되어있고, 상부에는 분말통(20)과 결합되는 연통관(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1 for discharging the powder stored in the powder container 20,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tube 12 is coupled to the powder container 20 is formed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분말통(20)과 연통관(12)은 나사결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powder container 20 and the communication tube 12 is edible powder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oupling is screw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분말통(20)과 연통관(12)은 끼움식으로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powder container 20 and the communication tube 12 is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combined by fitt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정수기의 측면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s a hook 13 to be fitted to the side of the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출버튼(30)은 그 안쪽에 스프링(31)이 탄지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discharge button 30 is a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31 is burnt on the insid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2플레이트(60)(70) 및 계량판(5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54)(62)(72)안에 별도의 연결핀(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Separate connecting pins 32 are provided in the through holes 54, 62, 7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70 and the metering plate 50.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연결핀(32)을 끼울 수 있도록 삽입공(34)이 형성되면서 배출버튼(30)으로부터 연장ㆍ형성된 연결부재(33)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34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pin 32 can be inserted, the connection member 33 is extended and formed from the discharge button (3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5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 1,2플레이트(60)(70)는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9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Disposable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asuring plate 5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90 installed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enser f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플레이트(60)의 일측면에는 통공(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through-hole 6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60, the edible powder dischar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50)은 상기 제 1,2플레이트(60)(70)가 회전축(9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면에 호형의 가이드공(5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52)을 통해 결합부재(100)가 제 1,2플레이트(60)(7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metering plate 50 has an arc-shaped guide hole 52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and 7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90, and the guide hole 52 is provided. Coupling member 1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 70 through the edible powder dischar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합부재(100)의 축상단에는 제 1플레이트(60)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의 스프링(101)이 탄지되어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101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60 is pressed and press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10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50)의 일측위치에 상기 밀대편(83)이 자리잡도록 두께방향으로 일정 깊이 및 면적을 가지는 공간부(5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portion 55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rea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push piece 83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easuring plate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50)의 일측에는 배출공(5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53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etering plate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플레이트(70)는 상기 제 1플레이트(60)의 통공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통공(7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second plate 70 is a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71 is form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position of the first plate (6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50)의 안쪽에는 상기 로터리버튼(4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계량판(50)에 1차 공급되는 분말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분말공급 조절수단(80)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inside of the metering plate 5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button 40 is provided with a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80 to adjust the amount of powder primarily supplied to the metering plate 50 Dispenser for edible powder.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분말공급 조절수단(80)은 계량판(50)에 형성된 통공(51)의 개방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통공(51)에 삽입되는 슬라이더(81)와, 이 슬라이더(8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축(82)을 가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대편(83)과, 이 밀대편(83)의 회전축(84)에 설치되면서 밀대편(83)이 이동될때 압축되도록 마련된 탄지스프링(8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powder supply adjusting means 80 is a slider 8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 so as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51 formed in the weighing plate 5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r 81. And a push rod 83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the coupling shaft 82 and a push spring 85 provided to be compressed when the push rod 83 is moved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84 of the push rod 83.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스프링(85)은 밀대편(83)의 일측면에 형성된 공간부(83a)에 회전축(84)을 경유하여 설치되어 밀대편(83)을 탄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spring (85)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83a)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 piece 83 via the rotary shaft 84, the edible powder dischar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holding the push piece 83.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터리버튼(40)의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범위내에서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button 40, the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41 is formed in a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돌기(4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protrusion 41 is a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터리버튼(40)의 안쪽에는 일정공간을 두고 절단면(42)을 가지면서 배출버튼(30)의 안쪽에 연장ㆍ형성된 연결부재(33)에 걸리도록 하는 환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Inside the rotary button 40 has a predetermined space and has a cutting surface 42 while having a cut surface 4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ischarge button 30 to extend the hook member 43 is formed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터리버튼(40)의 테두리부 안쪽면에 걸림턱(44)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ㆍ형성되고, 상기 로터리버튼(40)의 둘레에는 원형을 이루는 프레임(45)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45)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홈(46)이 형성되어 상기 로터리버튼(40)의 걸림턱(44)이 각각 걸려서 걸림홈(46)의 형성범위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locking jaw 44 protrudes and is form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rotary button 40, and a circular frame 45 is formed around the rotary button 40, and this frame is provided. 45, the locking grooves 4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locking jaw 44 of the rotary button 40 is caught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locking grooves 46.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통상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In a typical dispenser,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The main body 10 having a certain size,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 동작하도록 본체(10)의 일면에 구비된 배출버튼(200)과,And discharge button 2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operate to discharge the powder, 상기 배출버튼(200)의 외부둘레에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로터리버튼(40)과,Rotary button 40 and provided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powd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button 200, 상기 배출버튼(200)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210)와, A connection member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button 200; 이 연결부재(210)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축부재(220)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부(230)가 연장ㆍ형성되면서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플레이트(240)와, A plate 240 which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receiving portion 230 is extended and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ed shaft member 2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이 플레이트(240)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판(250)과, 상기 플레이트(240)의 회동시 회전축(241)을 매개로 탄지되도록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ering plate 25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240, and a spring 260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be carri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241 when the plate 240 is rotated. Dispenser for edible powder.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회전축(241)은 플레이트(240) 및 계량판(25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rotary shaft 241 is dispenser for discharging the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plate 240 and the metering plate 250. 제 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배출버튼(200)의 내부에는 배출버튼(200)을 누른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201)이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Dispensing edible powder dischar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discharge button 200, the spring 201 is press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pressing the discharge button 200. 제 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고정축부재(220)는 연결부재(210)와 연결되면서 간격을 가지고 있는 연결편(221)과, 이 연결편(221)을 관통하여 갖추어진 원통관(222)과, 이 원통관(222)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원통관(222)의 내부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핀(223)과, 이 지지핀(223)의 승강운동시 신축성을 주도록 상기 원통관(222)의 내부에 갖추어진 스프링(22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The fixed shaft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the connecting piece 221 having a gap, a cylindrical tube 222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piece 221 and the cylindrical tube 222 The support pin 223 coupled to the ins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side and slidably moved inside the cylindrical tube 222, an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222 to give elasticity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support pin 223 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ring (224) provided in. 제 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계량판(250)의 내부 일측 공간부(251)에는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밀대편(280)과, 이 밀대편(280)의 일단에 결합핀(290)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면서 계량판(250)의 통공(252)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300)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inner side space part 251 of the measuring plate 250 is provided with a push rod 280 rotatably around the rotating shaft 270, and a coupling pin 290 at one end of the push rod 280.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r 30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asuring plate 250 while being coupled. 제 2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회전축(270)에는 밀대편(280)의 회동시 압축되도록 하는 스프링(310)이 탄지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rotary shaft 270 is a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310 to be compressed when the push rod piece 280 is rotated. 제 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플레이트(240)의 일측에는 수용부(230)가 연장ㆍ형성되고, 이 수용부(230)의 바닥면 일측에 걸림턱(231)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231)의 일단에 돌출부(232)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An accommodating part 230 is extended and formed at one side of the plate 240, and a catching jaw 2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30, and a protrusion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tching jaw 231. 232 is formed, the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surface 233 which increases toward one side. 제 2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수용부(230)의 일단에는 돌출편(234)이 연장ㆍ형성되고, 계량판(250)의 상면 일단 및 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저지턱(253)(2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Protruding pieces 234 are extended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230, and stop ledges 253 and 254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etering plate 250 and at positions spaced therefrom.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스프링(260)의 일단은 플레이트(240)의 일측에 돌출ㆍ형성된 돌기(242)에 의해 탄지되어 있고, 타단은 계량판(250)의 저지턱(255)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One end of the spring 260 is supported by a protrusion 242 protruding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240,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topper 255 of the measuring plate 250 Powder dispenser. 통상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In a typical dispenser, 일정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The main body 10 having a certain size, 이 본체(10)의 상부에 갖추어진 분말통(20)과, The powder container 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 동작하도록 본체(10)의 일면에 구비된 배출버튼(400)과,And discharge button 40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operate to discharge the powder, 상기 배출버튼(400)의 외부둘레에 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로터리버튼(40)과,Rotary button 40 and provided to adjust the discharge of the powd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button 400, 상기 배출버튼(400)의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계량판(250)의 일측에 자리잡은 접점부(410)와, Contact portion 41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etering plate 250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of the discharge button 400, 이 접점부(410)에 의해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솔레노이드(420)와, The solenoid 420 which operates by receiving a signal by the contact portion 410, 이 솔레노이드(420)의 작동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레이트(430)와,Plate 430 connected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420, 이 플레이트(430)의 회전에 의해 솔레노이드(420)가 오프되도록 하는 접점스위치(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edible powder discharge comprising a contact switch 440 for turning off the solenoid 420 by the rotation of the plate 430. 제 3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계량판(250)의 내부 일측 공간부(251)에는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밀대편(280)과, 이 밀대편(280)의 일단에 결합핀(290)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면서 계량판(250)의 통공(252)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300)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inner side space part 251 of the measuring plate 250 is provided with a push rod 280 rotatably around the rotating shaft 270, and a coupling pin 290 at one end of the push rod 280. Dispenser for dispens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r 30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through hole 252 of the measuring plate 250 while being coupled.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상기 회전축(270)에는 밀대편(280)의 회동시 압축되도록 하는 스프링(310)이 탄지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The rotary shaft 270 is a dispenser for discharging edibl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310 to be compressed when the push rod piece 280 is rotated. 제 3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플레이트(430)에는 연장편(431)이 형성되고, 이 연장편(431)과 솔레노이드(420)의 축(421)이 핀(432)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An extension piece 431 is formed on the plate 430, and the extension piece 431 and the shaft 421 of the solenoid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432. .
KR10-2002-0063975A 2002-10-18 2002-10-18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KR100489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75A KR100489005B1 (en) 2002-10-18 2002-10-18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75A KR100489005B1 (en) 2002-10-18 2002-10-18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76U Division KR200302347Y1 (en) 2002-10-18 2002-10-18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11A KR20040035211A (en) 2004-04-29
KR100489005B1 true KR100489005B1 (en) 2005-05-17

Family

ID=3733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75A KR100489005B1 (en) 2002-10-18 2002-10-18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00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885U (en) * 1978-06-30 1980-01-16
JPS5591621U (en) * 1978-12-19 1980-06-25
KR880003108U (en) * 1986-07-14 1988-04-11 대우전자주식회사 Vending machine powder raw material container
JPH03271892A (en) * 1990-03-20 1991-12-03 Kubota Corp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30015652U (en) * 1991-12-05 1993-07-28 대우전자 주식회사 Raw material supply device of vending machine
KR20010008136A (en) * 2000-11-10 2001-02-05 김정환 Article choice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885U (en) * 1978-06-30 1980-01-16
JPS5591621U (en) * 1978-12-19 1980-06-25
KR880003108U (en) * 1986-07-14 1988-04-11 대우전자주식회사 Vending machine powder raw material container
JPH03271892A (en) * 1990-03-20 1991-12-03 Kubota Corp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30015652U (en) * 1991-12-05 1993-07-28 대우전자 주식회사 Raw material supply device of vending machine
KR20010008136A (en) * 2000-11-10 2001-02-05 김정환 Article choice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11A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701B1 (en) Improved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US7731063B2 (en) Dry product dispenser with portion control
CA2180125C (en) Condiment dispenser
US6145705A (en) Dry condiment dispensing system
US7228993B2 (en) Food seasoning quantitative dispenser
US4266695A (en) Sugar dispenser
JP2014527944A (en) Beverage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chute of the powder container
EP0205935A1 (en) Combination condiment grinder and dispenser
US20080302817A1 (en) Lid dispenser
US7588062B1 (en) Candy powder dispensing apparatus
KR200302347Y1 (en)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KR100489005B1 (en)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US8042581B2 (en) Valve assembly for powder dispenser
EP1254621B1 (en) Direct sugar dispensing system in automatic hot beverage vending machines.
EP0583956B1 (en) A tablet dispenser
US5381925A (en) Stirrer/straw dispenser
JP2008056477A (en)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feeding method and device
EP3638986B1 (en) Manually-operated granular substance dispenser
AU2011224013A1 (en) Dispenser producing beverages from powder
US5657802A (en) One touch opening plug for aquarium fish food containers
JP2002263011A (en) Spice mill
KR200331667Y1 (en) A Dispenser for Discharge Powder for Food
JPS6010508Y2 (en) Feeding device for tea leaves, etc.
US6324965B1 (en) Bypass mechanism for bulk ingredient beverage dispenser
KR200304954Y1 (en) Discharge adjust apparatus for instant cof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