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350B1 - Webbing Winding Device - Google Patents

Webbing Win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350B1
KR100487350B1 KR10-1998-0005239A KR19980005239A KR100487350B1 KR 100487350 B1 KR100487350 B1 KR 100487350B1 KR 19980005239 A KR19980005239 A KR 19980005239A KR 100487350 B1 KR100487350 B1 KR 10048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spool
drum
end sid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3972A (en
Inventor
스미카즈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9004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웨빙에 대한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웨빙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을 작게 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bbing take-up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during the force limiter operation without reducing the tensile force on the webbing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그 구성으로서, 스풀(18)의 일단측의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드럼(64)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급감속시에 드럼(64)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에 물린다.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압력부(112)는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의 위치를 누르므로 파단부(72)는 파단되지 않아 드럼(64)은 스풀을 웨빙(20)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웨빙(20)에 소정치 이상의 인출력이 작용하면 결합편(76)의 선단부분이 압력편(114)의 선단에 눌리어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결합편(76)이 파단부(72)에서 파단되어 포스리미터의 작동이 계속됨으로써 토션바(24)가 뒤틀림 변형된다.As the configuration,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on one end side of the spool 18 is disposed on the drum 6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rum 64 is bitten by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t the time of sudden deceleration. Since the pressure part 112 of the drive plate 80 presses the positio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76, the break part 72 is not broken so that the drum 64 moves the spool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Rotate When the output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cts on the webbing 20, the tip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76 is pressed against the tip of the pressure piece 114, so that a large bending moment acts, so that the coupling piece 76 is broken (72). The torsion bar 24 is twisted and deformed by breaking at and continuing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Description

웨빙 권취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감속시에 웨빙을 팽팽하게 하는 프리텐셔너와 웨빙에 소정치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포스리미터(force limitter)를 갖춘 웨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tensioner that tightens the webbing during rapid deceleration of a vehicle, and a webbing take-up device having a force limiter such that a tensile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oes not act on the webbing.

차량에 부착되는 웨빙 권취장치에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큰 감속도가 작용하는 때에 웨빙을 감아 팽팽하게 하여 장착자(裝着者)를 꽉 구속하는 프리텐셔너를 갖춘 것이 있다(일본국 특개평4-92748호 공보 등을 참조). 도15에는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를 갖춘 웨빙 권취장치(300)가 나타나 있다.Some webbing take-up devices attached to a vehicle include a pretensioner that winds and tightens the webbing to tightly restrain the wearer when a large deceler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vehic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92748). See, e.g., Japanese call. 15 shows a webbing take-up device 300 with such a pretensioner.

한편 웨빙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포스리미터를 갖춘 웨빙 권취장치가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webbing take-up device with a force limiter for preventing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ebbing from becoming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has been proposed.

그런데 도15에 나타내는 웨빙 권취장치(300)에서는 차량의 급감속시에 드럼(310)이 와이어(318)에 죄어져 협지부(312)가 프리텐션용 샤프트부(308)를 협지하여 드럼(310)이 스풀(306)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와이어(318)가 최대한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와이어(318)의 장력 때문에 그 이상 스풀(306)을 웨빙(304)의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웨빙 권취장치(300)에 상술한 포스리미터를 단지 부착하였다는 것만으로는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304)의 인장을 해제하여 토션바를 충분히 뒤틀림 변형시킬 수 없다.However, in the webbing take-up device 300 shown in FIG. 15, the drum 310 is clamped to the wire 318 at the time of rapi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lamping portion 312 clamps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308 so that the drum 31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pool 306, it is impossible to rotate the spool 306 further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webbing 304 due to the tension of the wire 318 in the state that the wire 318 is pulled out to the maximum. Do. Therefore, simply attaching the above-described force limiter to the webbing take-up device 300 does not release the tension of the webbing 304 by the pretensioner to sufficiently deform the torsion bar.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와이어(318)가 최대한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실린더(324)내의 피스톤(도시 생략)으로부터 프리텐션용 샤프트부(308)에 이르는 부재의 일부(예를 들어 와이어(318)나 드럼(310))에 웨빙(304)에 작용하는 소정치 이상의 인장력을 받아 파단되는 파단부분을 형성하고, 이 파단부분의 파단에 의하여 스풀(306)을 프리텐셔너로부터 독립시켜 웨빙(304) 인출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파단부분은 프리텐셔너 작동시에는 파단되지 않고 포스리미터 작동시에는 파단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웨빙에 대한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의 작동시 웨빙에 가해지는 인장하중(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304)의 인장력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해제하중)만을 작게 할 수는 없다.In order to solve such an unreasonable point, for example, a part of the member (for example, from the piston (not shown) in the cylinder 324 to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308 in the state in which the wire 318 is pulled out to the maximum (for example) A breakage part is formed in the wire 318 or the drum 310 under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at acts on the webbing 304, and the breakage of the breakage part 306 is independent of the pretensioner. 304 It is contemplat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extraction direction. However, this break must be configured so that it does not break during pretensioner operation, but breaks during force limiter operation, so that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during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without reducing the tension on the webbing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 The release load necessary to release the tension of the webbing 304 by the pretensioner cannot be reduced only.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프리텐셔너 작동시에 웨빙에 대한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의 작동시 웨빙에 가해지는 인장력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is fa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webbing take-up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without reducing the tensile force on the webbing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청구항1의 발명에서는, 웨빙이 감겨지는 스풀과, 차량의 급감속시에 상기 스풀에 상기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풀에 의하여 변형되어 웨빙의 장력 증대를 방지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와,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웨빙 궈취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스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회전부재에 의하여 하단측 근방이 눌려지고, 연결부재가 상기 스풀의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지는 결합편을 갖춘 프리텐셔너와,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변형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편의 상기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진 경우에 이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spool in which the webbing is wound, an energy absorbing member deformed by the spool when a rotational force acts on the spool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during the sudden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prevents an increase in the tension of the webbing; A rotation member that rotates in the webbing hook direction when the decele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pool when the decele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connect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sid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and the lower end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of the spool, A pretensioner having a joining piece to which the portion on the tip side is pressed, and an energy absorbing portion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s deformed and has a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rotation stop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by the pretensioner when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hen the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by the rotary member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coupling piece. It features.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고 있지 않는 차량의 통상 주행 상태에서는 프리텐셔너는 스풀을 구속하지 않는다.The pretensioner does not restrain the spool in the normal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eceleration of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oes not work.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회전부재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연결부재가 스풀에 연결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이 결합편으로부터 연결부재를 통하여 스풀에 전달되어 웨빙이 스풀에 감겨지므로 웨빙은 장착자를 꽉 구속한다.When the deceleration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acts, the rotating member rotates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also connected to the spool. In this wa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transmitted from the joining piece to the spool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webbing is wound on the spool, so that the webbing tightly restrains the mounter.

다음에 웨빙이 인출방향으로 당겨지면 이 인장력이 스풀로부터 에너지 흡수부재에 전해진다. 에너지 흡수부재 변형 등의 에너지 흡수작용으로 웨빙 장착자으로의 장착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포스리미터의 움직임이 시작된다. 이에 저항하여 웨빙이 더욱 당겨져 연결부재가 스풀의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회전부재에 의하여 눌러진다. 이 때 회전부재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결합편의 하단측 근방이 회전부재에 의하여 눌려지고 있다)보다도 큰 휨 모멘트가 결합편에 작용한다. 해제부는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므로, 스풀은 프리텐셔너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에너지 흡수가 더 계속되고 포스리미터의 동작이 속행되어 웨빙 장착자으로의 장착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지 않는다.Next, when the webbing is pulled in the drawing direction, this tensil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pool to the energy absorbing member. An energy absorbing action such as deformation of the energy absorbing member starts the movement of the force limiter so that the mounting force to the webbing wearer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In response to this, when the webbing is further pulled out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of the spool, the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rather tha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At this time, a greater bending moment acts on the engaging piece than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Since the release portion releases the rotational determination in the webbing withdrawal direction by the pretension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withdrawal direction, the spool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pretensioner. Therefore, in this state, energy absorption continues and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is continued so that the attachment force to the webbing wearer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이와 같이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변형된 경우에는, 결합편의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져 결합편에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여 해제부가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지만, 프리텐셔너 작동시에는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이 눌려져 해제부는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지 않으므로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인장하중만을 작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nergy absorbing member is deformed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a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rather than in the vicinity of the joining piece, and a large bending moment acts on the joining piece so that the release portion releases the rotational stop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by the pretensioner In the pretensioner operatio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is pressed, and the release portion does not release the rotation stop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so that the tensile load during the force limiter operation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tension force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또한 해제부로는 스풀을 프리텐셔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소성 변형부재, 탄성 변형부재, 파단부재, 클러치, 마찰판 등이 있다.The release part may be any one that allows the spool to rotate relative to the pretensioner. Examples of the release part include a plastic deformation member, an elastic deformation member, a breaking member, a clutch, and a friction plate.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가, 상기 결합편의 하단측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이 눌러졌을 때에는 파단되지 않고,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러졌을 때에는 파단되는 강도를 지니게 되는 파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2, in the invention of claim 1, when the release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portion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the release portion is not broken, and the tip side is closer than the lower end side vicinity. When the part of the press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eaking portion having a breaking strength.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여 회전부재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는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을 누르므로 이 하단측 부분에 형성된 파단부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는 작게 되어 실질적으로 전단력만이 작용한다. 파단부는 이 압력에 의한 전단력만으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이므로 파단되는 일없이 결합편이 회전부재에 눌려 연결부재가 회전한다. 연결부재가 스풀에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웨빙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연결부재를 통하여 스풀에 전달되므로 스풀이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웨빙이 감겨진다.When the rotational member rotates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by a deceleration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otational member presses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fracture portion formed in this lower end portion is small. Substantially only the shear force is applied. The breaking portion is a strength that does not break only by the shear force by this pressure, so that the joining piec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out breaking and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pool so that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pool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spool rotates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to wind the webbing.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변형하는 경우에 이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연결부재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가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를 누른다. 이 때문에 파단부에는 하단측 근방이 눌려진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한다(전단력도 작용한다), 파단부는 이 압력에 의한 휨 모멘트로 파단되는 강도로 되어 있으므로 파단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스풀이 프리텐셔너로부터 분리되므로 스풀은 프리텐셔너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energy absorbing member deforms due to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under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the rotary member presses the portion on the tip side rather tha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For this reason, a larger bending moment acts (a shearing force also acts) to a fracture | rupture par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wer end side was pressed, and since a fracture part is an intensity | strength broken by the bending moment by this pressure, it fractures. By doing so, the spool is separated from the pretensioner, so that the spool can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pretensioner.

이와 같이 회전부재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파단부의 파단을 회피하고, 연결부재가 스풀의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파단부를 파단시킴으로써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인장하중만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the fracture of the fracture part is avoided,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und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ool withdrawal direction of the spool, by breaking the fracture part, the tensile force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is not reduced. Only the tensile load during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can be reduced.

(실시예)(Example)

도1 ~ 도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웨빙 권취장치(10)가 나타나 있다.1-3 show the webbing retractor 10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웨빙 권취장치(10)는 차량(도시생략)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12)을 갖추고 있다. 프레임(12)에는 한쌍의 지지판(14, 16)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14, 16)의 사이에는 대략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축방향 양단에서 지름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스풀(1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18)에는 웨빙(20)의 일단이 고착되어 웨빙(20)이 감기도록 되어 있고, 도1 및 도2는 이와 같은 웨빙(20)이 스풀(18)에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3에는 웨빙(20)이 스풀(18)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webbing retractor 10 includes a frame 12 attached to a vehicle (not shown). In the frame 12, a pair of support plates 14 and 16 ar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support plates 14 and 16, the spool 18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flange protrude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both ends of an axial direction is arrange | positioned. One end of the webbing 20 is fixed to the spool 18 so that the webbing 20 is wound. FIG. 1 and FIG. 2 show a state in which such a webbing 20 is wound around the spool 18. 3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webbing 20 is pulled out of the spool 18.

스풀(18)의 내측에는 스풀(18)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토션부(22)가 배치되어 있다. 토션부(22)는 스풀(18)의 축방향 길이보다 약간 긴 원주형의 토션바(24)를 갖추고 있다. 토션바(24)는 금속 등의 소성변형(塑性變形)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소정치 이상의 뒤틀림 힘이 작용하면 소성변형하여 뒤틀린다.The torsion part 22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spool 18 coaxially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pool 18. The torsion portion 22 has a cylindrical torsion bar 24 which is slightly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spool 18. The torsion bar 24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such as metal, and plastic deformation and warp when a torsional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c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토션바(24)의 일단측에는 육각주 형상의 삽입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4A)는 토션부(22)를 구성하는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에 형성되어 있는 육각형의 삽입공(34)(도2 및 도3 참조)에 삽입되어 토션바(24)와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On one side of the torsion bar 24, an insertion portion 24A having a hexagonal column shape is formed. The insertion portion 24A is inserted into the hexagonal insertion hole 34 (see Figs. 2 and 3) formed in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constituting the torsion portion 22, and the torsion bar 24 and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is integrally rotated.

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협지부(28)와 피협지부(28)보다 지름이 작고 또한 피협지부(28)와 동축이며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기어부(30)(도2 및 도3 참조)를 갖추고 있다. 피협지부(28)의 외주에는 토션바(24)의 중심축 방향과 같은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어 끝이 예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32)(도1참조)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드럼(64)의 협지부(66, 68)가 피협지부(28)를 협지할 때에, 드럼(64)의 내면을 파고 들어가 드럼(64)의 공전(空轉)을 방지한다.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lamped portion 28 and the clamped portion 28, which is formed substantially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coaxiall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amped portion 28. (See FIG. 2 and FIG. 3).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amped portion 28, a plurality of projections 32 (see Fig. 1) whose ends are protruded at an acute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torsion bar 24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clamping portions 66 and 68 of the drum 6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inch the clamped portion 28, they penetrate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64 to prevent the drum 64 from revolving. do.

기어부(30)의 외주에는 외측 기어 이(36)가 형성되어 있어 이 외측 기어 이(36)가 스풀(18)의 내주에 형성된 내측 기어 이(38)와 전둘레에 걸쳐 맞물려 스풀(18)과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토션바(24)는 그 일단측에서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를 통하여 스풀(18)과 일체로 회전한다.An outer gear tooth 3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ear part 30 so that the outer gear tooth 36 meshes with the inner gear tooth 38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pool 18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 spool 18. And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re integrally rotated. Accordingly, the torsion bar 24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pool 18 via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t one end thereof.

토션바(24)의 타단측(도1의 좌상측, 도2 및 도3의 우측)에는 토션부(22)를 구성하는 로크용 샤프트(40)가 배치되어 있다. 로크용 샤프트(4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육각형의 삽입공(44)이 일단측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에 숫나사(46)가 잘린 원통부(42)와 그 원통부(42)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삽입공(44)을 폐쇄함과 아울러 원통부(4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판(48) 및 이 원판(48)에서 개구리 다리 모양으로 돌출하는 피로크편(被lock片)(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공(44)에는 토션바(24)의 타단에 형성되는 육각주 모양의 삽입부(24B)가 삽입되어 토션바(24)와 로크용 샤프트(40)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도1에서는 이 삽입부(24B)가 삽입공(4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lock shaft 40 constituting the torsion portion 22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the upper left side in FIG. 1, the right side in FIGS. 2 and 3) of the torsion bar 24. The locking shaft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hexagonal insertion hole 44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t one end thereof,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2 having the male screw 46 cut off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he disk 48 formed on the other end and closing the insertion hole 44 and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and the fatigue piece protruding from the disk 48 in the shape of a frog leg. (50). The insertion hole 44 is inserted into the hexagonal column-shaped insertion portion 24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24 to rotate the torsion bar 24 and the lock shaft 40 integrally. In FIG. 1, this insertion part 24B is shown in the insertion hole 44 being inserted.

이와 같이 하여 토션바(24)의 삽입부(24B)가 삽입공(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풀(18)을 지지판(14, 16)의 사이에 배치하고 지지판(14)측으로부터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외측 기어 이(36)를 스풀(18)의 내측 기어 이(38)에 맞물림과 아울러 지지판(16)측으로부터 로크용 샤프트(40)와 일체가 된 토션바(24)를 스풀(18)의 내측으로 집어 넣어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바(24)가 스풀(18)내에서 스풀(18)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때에 원판(48)의 외주면중에 축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원통부(42)측이 스풀(18)의 내주면과 닿아 스풀(18)의 중심축과 토션바(24)의 중심축이 일치한 상태에서 토션부(22)가 위치를 잡는다. 또 원판(48)의 외주면중에 축방향 대략 중앙에서 피로크편(50)측이 회전할 수 있도록 링(52)을 통하여 프레임(12)의 지지판(16)에 지지된다. 또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기어부(30)중에 외측 기어 이(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후술하는 커버 드럼(58)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풀(18)은 프레임(12)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In this manner, the spool 18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s 14 and 16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portion 24B of the torsion bar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 and for pretension from the support plate 14 side. While engaging the outer gear teeth 36 of the shaft portion 26 with the inner gear teeth 38 of the spool 18, the torsion bar 24 integral with the lock shaft 40 from the support plate 16 side is removed. 2 and 3, the torsion bar 24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spool 18 in the spool 18.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ylindrical portion 42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18 at an approximately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48,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pool 18 and the central axis of the torsion bar 24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torsion part 22 is positioned. Moreover,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6 of the frame 12 via the ring 52 so that the fatigue piece 50 side may rotate in the substantially axial direction center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k 48. Moreover, the part in which the outer gear teeth 36 are not formed in the gear part 30 of the pre-tension shaft part 26 is supported so that it may rotate to the cover drum 58 mentioned later. In this way, the spool 18 is supported to rotate on the frame 12.

원통부(42)의 숫나사(46)에는 대략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의 일부가 잘림과 아울러 내측에 암나사가 잘린 반환링(半環ring)(54)이 맞추어져 있다. 토션부(22)가 스풀(18)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반환링(54)의 원주방향의 단면(54A)은 스풀(18)의 내주에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편(56)(도2 및 도3 참조)에 닿고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반환링(54)은 숫나사(46)의 일단측(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측, 도2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나 로크용 샤프트(40)에 대하여 스풀(18)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반환링(54)도 스풀(18)과 함께 회전하여 타단측(원판(48)측, 도3에 나타내는 위치)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반환링(54)이 원판(48)에 닿아 멈추어져 로크용 샤프트(40)에 대한 스풀(18)의 회전도 정지된다.The male thread 46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and a return ring 54 in which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ut off and a female screw is cut inside is fitted. In the state where the torsion portion 22 is disposed inside the spool 18, the circumferential end face 54A of the return ring 54 protru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8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pool 18. It touches the protrusion piece 56 (refer FIG. 2 and FIG. 3). In the normal state, the return ring 54 is at one end side of the male thread 46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side, the position shown in FIG. 2), but the spool 18 is relative to the lock shaft 40. Rotation, the return ring 54 also rotates with the spool 18 and moves to the other end side (the disk 48 side, the position shown in FIG. 3). This movement is stopped by the return ring 54 touching the disc 48 and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with respect to the lock shaft 40 is also stopped.

지지판(16)의 외측(스풀(18)이 배치되는 위치와 반대측, 도2 및 도3의 우측)에는 관성로크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성로크기구는 웨빙 권취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거나 웨빙(20)이 급속하게 인출되는 경우에 토션부(22)가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피로크편(50)을 로크하나 웨빙(20)의 권취방향으로는 피로크편(50)을 로크하지 않는다.An inertial lock mechanism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6 (the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spool 18 is arranged, the right side of Figs. 2 and 3). This inertial lock mechanism rotates the torsion portion 22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webbing 20 when a deceleration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cts on the vehicle to which the webbing retractor 10 is attached or when the webbing 20 is rapidly drawn out. The fatigue piece 50 is locked so that it is suppressed, but the fatigue piece 50 is not lock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한편, 지지판(14)의 외측(도2 및 도3의 좌측)에는 토션바(24)의 회전축에서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계단 모양으로 지름이 넓어지는 수용부(60, 62)를 갖는 커버 드럼(58)이 고정되어 있다. 지름이 작은 쪽의 수용부(60)(지지판(14)에 가까운 측)에는 후술하는 와이어(94)가 감겨지는 드럼(64)이 토션바(24)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4 (left side of Figs. 2 and 3) of the cover drum having a receiving portion (60, 62) in diameter in a step shape toward the radially outward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torsion bar 24 ( 58) is fixed. The drum 64 to which the wire 94 mentioned later is wound is arrange |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torsion bar 24 in the accommodating part 60 (side close to the support plate 14) of the smaller diameter.

드럼(64)은 로크용 샤프트(40)나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보다도 부드러운 금속(한 예로서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드럼(64)은 도4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반환(半環) 모양의 협지부(66, 68)가 대향하여 대략 원통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협지부(66, 68)의 원주방향의 양단에 대응하는 부분이 서로 협지부(66, 68)와 일체로 형성된 대략 S자 형상의 압축부(7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통상은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4)이 수용부(60)(도2 및 도3 참조)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협지부(66, 68)의 내면과 피협지부(28)의 돌기(32) 선단과는 소정의 작은 간격이 생기므로 드럼(64)은 수용부(60) 내에서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와 분리되어 있으나, 협지부(66, 68)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압축부(70)(도4 참조)가 압축변형되어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66, 68)가 서로 접근하면 협지부(66, 68)는 피협지부(28)를 협지하게 된다. 드럼(64)은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보다도 부드러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32)가 협지부(66, 68)의 내면을 파고 들어간다. 이 때문에 드럼(64)과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The drum 64 is made of a metal (for example, aluminum, etc.) that is softer than the lock shaft 40 or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Moreover, as shown in detail in FIG. 4, the drum 6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gripping parts 66 and 68 of a substantially return shape may oppose, and compris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ylinder, and the gripping parts 66 and 68 in this state.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bstantially S-shaped compression part 7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amping parts 66 and 68. Usually, as shown in FIG. 5 (A),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ing portions 66 and 68 and the clamped portion 28 of the drum 64 are arranged in the housing portion 60 (see FIGS. 2 and 3). The drum 64 is separated from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in the receiving portion 60 because a predetermined small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protrusion 32 is generated, but the clamping portions 66 and 68 approach each other. Direction, the compression section 70 (see FIG. 4) compresses and deforms so that the clamping sections 66, 68 approac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A. (28) is interposed. Since the drum 64 is made of a metal softer than the shaft portion 26 for pretension, the projection 32 penetrates the inner surfaces of the clamping portions 66 and 68. For this reason, the drum 64 and the pre-tension shaft part 26 are united and rotate.

협지부(66)의 축방향 일단측의 단면(66A)에는, 원주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는 대략 평판형의 결합편(76)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76)의 선단측에는 결합편(76)보다도 광폭(廣幅)임과 아울러 두께가 두꺼운 부분(76B)이 형성되어 보강되어 있다. 또한 결합편(76)의 하단측 부분은 파단부(72)로 되어 있다. 결합편의 선단(두꺼운 부분(76B)) 또는 그 근방에 드럼(64)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이 파단부(72)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를 받아 파단된다. 파단부(72)의 파단으로 결합편(76)이 드럼(6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에 반하여 파단부(72) 하단측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드럼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치 이상의 힘이 가해져도 이 때에 파단부(72)가 받는 휨 모멘트는 결합편(76)의 선단(두꺼운 부분(76B)) 또는 그 근방에 힘이 가해진 경우보다도 작다. 그리고 이 휨 모멘트로는 파단부(72)가 파단되지 않도록 파단부(72)는 소정의 강도를 지니고 있다.On the end surface 66A of the axial end one side of the clamping part 66, the engaging plate 76 of the substantially flat form toward radially outer side from the substantially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protruded. On the tip side of the joining piece 76, a portion 76B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joining piece 76 and having a thickness is formed and reinforced. Moreover, the lower end side part of the engaging piece 76 is set as the fracture | rupture part 72. As shown in FIG. When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um 64 to or near the tip (thick portion 76B) of the joining piece, the fracture portion 72 is broken under a bending moment. The breaking piece 72 breaks the engagement piece 76 from the drum 64. On the other hand, even if a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um at a posi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breaker 72, the bending moment received by the breaker 72 at this time is the tip (thick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76. 76B)) or smaller than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vicinity thereof. The breaking portion 72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so that the breaking portion 72 does not break with this bending moment.

결합부(76)의 보다 더 선단에는 위치결정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68)의 축방향 일단측 단면(66)에는 위치결정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10)의 부착상태에서 후술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수용 오목부(106, 108)에 위치결정돌기(73, 74)가 수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드럼(64)이 커버 드럼(58)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A positioning protrusion 73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ortion 76. Moreover, the positioning projection 74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66 of the axial direction end part of the clamping part 68.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A, the positioning projections 73 and 74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recesses 106 and 108 of the drive plate 80 described later in the attached state of the webbing take-up device 10. As shown in Figs. In this way, the drum 64 is position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ver drum 58.

협지부(66, 68)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78)가 형성되어 협지부(66, 68)가 보강되고 있다.Flange 78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in the other end side of the clamping part 66, 68, and the clamping part 66, 68 is reinforced.

커버 드럼(58)의 외측(지지판(14)의 반대측, 도2 및 도3의 좌측)에는 대략 원판 모양의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배치되어, 커버 드럼(58)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59)에 외주 3개소에서 포위되어 토션바(24)와 동축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5(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중앙에는 드럼(64)이 삽입되는 삽입공(82)이 형성되어 있어, 드럼(64)이 삽입되면 협지부(66)의 단면(66A) 및 협지부(68)의 단면(68A)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닿아 드럼(64)이 축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drum 58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plate 14, the left side of Figs. 2 and 3), a substantially disk-shaped drive plate 80 is disposed, and ribs 59 protruding from the cover drum 58 are formed. It is enclosed in three outer peripheries, and it can also rotate coaxially with the torsion bar 24. As shown in Fig. 5A, an insertion hole 82 into which the drum 64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ive plate 80. When the drum 64 is inserted, the end face 66A of the clamping portion 66 is formed. ) And end face 68A of clamping portion 68 contact drive plate 80 so that drum 64 is positioned in the axial direction.

삽입공(82)에는 지름방향 외측을 따라서 점차로 폭이 넓어지는 대략 부채모양의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10)에 결합편(76)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10)에는 드럼(64)에 대하여 커버드럼(58)이 상대적으로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파단부(72)의 근방)을 누르는 압력부(112)가 형성되어 있다.The insertion hole 82 is formed with a substantially fan-shaped accommodating portion 110 that gradually widens along the radially outer side. The coupling piece 76 is accommodated in this accommodation part 110. In addition, when the cover drum 58 rotates relative to the drum 64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um 64,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near the breakage portion 72) of the engaging piece 76. The part 112 is formed.

또한 수용부(110)의 선단부분에는, 위치결정돌기(73)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공(82)에 대하여 수용부(110)와 축으로 대칭한 위치에는 위치결정돌기(74)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accommodating recess 106 which accommodates the positioning protrusion 73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t a position axially symmetrical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hole 82, a receiving recess 108 for receiving the positioning projection 74 is formed.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는 와이어(94)의 일단이 부착되는 몸체가 삽입되어 고착되는 고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고착부(84)에 일단이 고착되는 와이어(94)는 드럼(64)의 주위에 여러 번(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의 2회) 감겨지고 타단측이 프레임(12)에 설치되는 실린더(86)내의 피스톤(88)(도5(A) 참조)에 감겨져 실린더(86)의 외부에 고착되어 있다. 웨빙 권취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는 것을 센서(도시생략)가 감지하면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베이스 카트리지(90)내의 가스 제너레이터(도시생략)가 작동하여 도6(B), 도7(B) 및 도8(B) 및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88)을 급속하게 실린더(86) 안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피스톤(88)의 이동에 의하여 와이어(94)가 급속도로 당겨져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회전력을 작용시킨다.The drive plate 80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84 into which a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94 is attached is inserted and fixed. The wire 94,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84, is wound several times (almost twice in this embodiment) around the drum 64, and in the cylinder 86 in which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the frame 12. It is wound around the piston 88 (refer FIG. 5 (A)), and is fixed to the exterior of the cylinder 86. As shown in FIG. When a sensor (not shown) detects that a deceleration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vehicle to which the webbing retractor 10 is attached, a gas generator (not shown) in the base cartridge 90 installed in the frame 12 operates. As shown in Figs. 6B, 7B and 8B and 9B, the piston 88 is rapidly moved into the cylinder 86. As shown in Figs.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88, the wire 94 is rapidly drawn to exert a rotational force on the drive plate 80.

도1 및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으로부터는 커버 드럼(58)을 관통하여 세어핀(92)이 돌출되어 있어, 이 세어핀(92)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01)와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통상은 웨빙(20)의 권취방향(도5(A)의 화살표A 방향)으로 드라이브 플레이트(80)는 회전하지 않으나 와이어(94)가 급속하게 실린더(86)내로 당겨져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소정치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세어핀(92)이 오목부(101)로 눌려져 파단되어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회전한다.As shown in Figs. 1 and 5 (A), the safety pins 92 protrude from the frame 12 through the cover drum 58, and the safety pins 92 are formed on the drive plate 80. In general, the drive plate 80 does not rotate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5 (A)), but the wire 94 is rapidly When pulled into the 86 and a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cts on the drive plate 80, the shear pin 92 is pressed by the recess 101 to break and the drive plate 80 rotates.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외측에는 대략 고리모양의 스톱퍼 플레이트(96)가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 플레이트(96)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 부재에 의하여 토션바와 동축으로 또한 토션바(24)의 중심축(J)(도1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2 및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이 스톱퍼 플레이트(96) 및 후술하는 커버 플레이트(102)를 생략하고 있다.) 스톱퍼 플레이트(96)에서는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선단부분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꺽여진 이동돌기(98)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돌기(98)의 선단은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원호모양으로 잘려나간 긴홈(100)내에 위치하여 스톱퍼 플레이트(96)와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이동돌기(98)가 긴홈(100)내를 이동한다. 긴홈(100)의 중심각은 약 150 ˚로 설정되어 있어 스톱퍼 플레이트(96)와 드라이브 플레이트(80)는 약 150 ˚ 상대회전을 한다.An outer ring shape stopper plate 96 is disposed outside the drive plate 80. The stopper plate 96 is supported by the positioning member (not shown) so as to be able to rotate coaxially with the torsion bar and about the central axis J (see Fig. 1) of the torsion bar 24. (In addition, this stopper plate 96 and the cover plate 102 which are mentioned later are abbreviate | omitted in FIG. 2 and FIG. 3 for the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n the stopper plate 96, it extends toward a radially outer side and a tip part is a drive. The moving projection 98 bent at a right angle toward the plate 80 side is formed.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protrusion 98 is located in the long groove 100 cut in an ar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ive plate 80 and moves by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topper plate 96 and the drive plate 80. 98 moves in the long groove 100. The center angle of the long groove 100 is set to about 150 degrees so that the stopper plate 96 and the drive plate 80 rotate about 150 degrees relative.

스톱퍼 플레이트(96)에는 이동돌기(98)로부터 웨빙 권취방향 후방측(도5의 화살표 A방향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압력편(114)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편(114)은 대략 쐐기모양으로서 선단의 위치가 부착상태에서 결합편(76)의 선단에 측면으로부터 닿을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돌기(98)가 후술하는 스톱퍼 돌기(104)에 닿아 스톱퍼 플레이트(96)의 웨빙 인출방향(화살표 B방향)의 회전이 멈추어진 상태에서 웨빙 인출방향으로 드럼(64)이 더 회전하려고 하면 결합편(76)의 선단부분이 압력편(114)의 선단에 눌린다. 이렇게 됨으로써 결합편(76)의 파단부(72)에 전단력(剪斷力)이 가해져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여 결합편(76)이 파단부(72)에서 파단된다.The stopper plate 96 is formed with a pressure piece 114 protruding from the moving projection 98 toward the rear side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the arrow A direction side in FIG. 5). The pressure piece 11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wedge shap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ip can reach the tip of the coupling piece 76 from the side in the attached state. As shown in Fig. 7A, the moving projection 98 touches the stopper projection 104 described later and the drum (in the direction of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arrow B direction) of the stopper plate 96 is stopped)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hen 64 is about to rotate further, the tip of the coupling piece 76 is pressed against the tip of the pressure piece 114. As a result, a shear force is applied to the breakage portion 72 of the engagement piece 76, and a large bending moment acts to break the engagement piece 76 at the breakage portion 72.

스톱퍼 플레이트(96)의 외측에는 커버 플레이트(102)가 배치되어 있어 커버 드럼(58)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102)에 의하여 드럼(64), 드라이브 플레이트(80) 및 스톱퍼 플레이트(96)가 커버 드럼(58)의 수용부(60, 62)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된다.A cover plate 102 is disposed outside the stopper plate 96 and fixed to the cover drum 58. The drum plate 64, the drive plate 80, and the stopper plate 96 are held by the cover plates 102 in the receiving portions 60, 62 of the cover drum 58.

커버 플레이트(102)에서는 스톱퍼 플레이트(96)를 향하여 스톱퍼 돌기(104)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 돌기(104)는 이동돌기(98)에는 닿으나 긴홈(100)내에는 들어가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10)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고 있지 않는 때에는 스톱퍼 돌기(104)의 도면상에서의 우하측(웨빙(20)의 권취방향측)에 스톱퍼 플레이트(96)의 이동돌기(98)가 위치하고 또 그 우하측에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긴홈(100)의 일단벽(100A)이 위치하고 있다.In the cover plate 102, a stopper protrusion 104 protrudes toward the stopper plate 96. The stopper protrusion 104 is of a length which touches the moving protrusion 98 but does not enter the elongated groove 100. As shown in FIG. 5 (A), when the deceleration more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does not act on the webbing take-up device 10, the stopper is placed on the lower right side (the winding direction side of the webbing 20) on the stopper protrusion 104 in the drawing. The moving projection 98 of the plate 96 is located and the one end wall 100A of the elongate groove 100 of the drive plate 80 is located in the lower right side.

또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당겨져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웨빙 권취방향(도5(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력부(112)가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을 누르기 때문에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4)도 회전한다.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더 회전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4)의 회전은 압력편(114)이 스톱퍼 돌기(104)에 닿아 멈추어지는데, 이동돌기(98)가 긴홈(100) 안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스톱퍼 플레이트(96)가 더 회전한다. 그리고 와이어(94)가 피스톤(88)에 의하여 실린더(86)내로 당겨져 피스톤(88)이 실린더(86)내의 바닥에 닿아 와이어(94)의 당기기가 완료하여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회전이 멈춘다.In addition, when the wire 94 is pulled into the cylinder 86 and the drive plate 80 rotates in the webbing take-up direction (the arrow A direction in Fig. 5A), the pressure portion 112 is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76. Because of pressing, the drum 64 also rotates as shown in Fig. 8A. As the drive plate 80 further rotates, as shown in FIG. 9A, the rotation of the drum 64 stops when the pressure piece 114 touches the stopper protrusion 104, and the moving protrusion 98 has a long groove 100. ), The stopper plate 96 further rotates. Then, the wire 94 is pulled into the cylinder 86 by the piston 88 so that the piston 88 touches the bottom in the cylinder 86 so that the pulling of the wire 94 is completed and the rotation of the drive plate 80 stops.

이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는 회전 초기에서는 스톱퍼 플레이트(96)와 함께 약 360 ˚ 회전하고, 다음에 드라이브 플레이트(80)만 약 150 ˚ 회전하므로 회전시작에서 회전종료까지 약 510 ˚ 회전한다. 또 긴홈(100)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드라이브 플레이트(80)와 스톱퍼 플레이트(96)의 상대회전의 회전량을 바꾸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회전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회전 도중에서는 이동돌기(98)는 긴홈(100)내의 어떤 위치에 있어도 좋아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회전시작에서 회전종료까지 약 510 ˚ 회전하면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 plate 80 rotates about 360 ° with the stopper plate 96 at the beginning of rotation, and then rotates about 150 ° only with the drive plate 80, thus rotating about 510 ° from the start of rotation to the end of rotation. In additi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drive plate 80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drive plate 80 and the stopper plate 96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ong groove 100. In addi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plate 80, the moving protrusion 98 may be at any position within the long groove 100, and the drive plate 80 may rotate about 510 degrees from the start of rotation to the end of rotation.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장치(1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webbing take-up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통상의 상태, 즉 웨빙 권취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의 감속도가 소정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성로크기구는 피로크편(50)을 로크하지 않는다. 베이스 카트리지(90)내의 가스 제너레이터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당겨지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스풀(18)(도1 ~ 도3 참조)은 자유롭게 회전하여 웨빙(20)의 인출, 감기가 가능하다.In a normal state, that is, when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webbing retractor 10 is attached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value, the inertial lock mechanism (not shown) does not lock the fatigue piece 50. Since the gas generator in the base cartridge 90 does not operate either, the wire 94 is not pulled into the cylinder 86. For this reason, the spool 18 (refer FIG. 1 thru | or 3) rotates freely, and the webbing 20 can be taken out and wound up.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관성로크기구가 피로크편(50)이 웨빙(20)의 인출방향(도5(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로크하기 때문에 토션부(22)와 함께 회전하는 스풀(18)도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로크되어 웨빙(20)을 그 이상 인출되지 않게 한다.When the deceleration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acts on the vehicle, the inertial locking mechanism locks the rotation of the fatigue piece 50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rrow B direction in Fig. 5A). The spool 18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spool 18 is also locked to rotate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webbing 20 so that the webbing 20 is no longer pulled out.

또 가스 제너레이터가 작동하여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88)을 실린더(86)의 안쪽을 향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급속하게 당겨진다. 여기서 드라이브 플레이트(80)는 세어핀(92)에 의하여 회전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위치결정돌기(73, 74)가 수용 오목부(106, 108)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드럼(64)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와이어(94)가 감겨져 있는 드럼(64)은 이 와이어에 의하여 급격하게 죄어지는 압축부(70)(도 4 참조)가 압축변형되어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66, 68)가 서로 접근하여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피협지부(28)를 협지한다. 이 때 와이어(94)는 도6(A)에 있어서 드럼(64)의 도면 상측 부분을 우선 죄기 때문에 드럼(64)의 축심(軸芯)은 피협지부(28)의 축심으로부터 벗어나 도6(A)의 대략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면 하측 부분보다도 먼저 도면 상측 부분이 피협지부(28)에 물린다. 이 이동으로 인하여 위치결정돌기(73, 74)도 수용 오목부(106, 108)에 대하여 도6(A)의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위치결정돌기(73, 74)가 파단된다. 도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더 당겨지면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4)의 하측부분도 피협지부(74)에 물리고 드럼(64)이 전 둘레에 걸쳐 피협지부(74)에 물리어 드럼(64)과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일체가 된다. 이 때 드럼(64)의 축심은 피협지부(74)의 축심과 재차 일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as generator operates to move the piston 88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86 as shown in Fig. 6B, the wire 94 is pulled into the cylinder 86 rapidly. Here, the drive plate 80 does not rotate because the rotation is stopped by the shear pin 92.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ing projections 73 and 74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recesses 106 and 108, the drum 64 does not rotate either. For this reason, in the drum 64 in which the wire 94 is wound, the compression part 70 (refer to FIG. 4) which is rapidly clamped by this wire compressively deforms, and the clamping part 66, as shown in FIG. 68 approaches and interposes the clamped portion 28 of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t this time, since the wire 94 first tightens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64 in FIG. 6A, the shaft center of the drum 64 deviates from the shaft center of the clamped portion 28. ),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is bitten by the clamped portion 28 before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Due to this movement, the positioning projections 73 and 74 also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recesses 106 and 108, so that the positioning projections 73 and 74 are broken. As shown in Fig. 7B, when the wire 94 is further pulled into the cylinder 86, as shown in Fig. 7A,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64 is also caught by the clamped portion 74 and the drum 64 The drum 64 and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re united by being pinched by the clamped portion 74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t this time, the shaft center of the drum 64 coincides with the shaft center of the clamped portion 74 again.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더 당겨지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오목부(101)가 세어핀(92)을 눌러 파단시킨다. 이렇게 되어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웨빙의 권취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럼(64)의 결합편(76)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있으며, 압력부(112)가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위치를 누르기 때문에 파단부(7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는 상당히 작아져 파단부(72)에는 실질적으로 전단력만이 작용한다. 파단부(72)의 강도는 이 전단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으므로, 파단부(72)가 파단되는 일 없이 드럼(64)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와 일체로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As the wire 94 is further pulled into the cylinder 86, a rotational force acts on the drive plate 80 such that the recess 101 presses and breaks the sewer pin 92. In this way, as shown to 8A, the drive plate 80 rotates to the winding direction (arrow A direction) of a webbing. The engaging piece 76 of the drum 64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drive plate 80, and the breaking part 72 because the pressure part 112 presses the position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76.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s) is considerably small so that only the shear force acts on the fracture portion 72 substantially. Since the strength of the breaking portion 72 is such that it is not broken by this shearing force, the drum 64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plate 80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ithout breaking the breaking portion 72. .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기어부(30)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기어 이(36)는 스풀(18) 내주의 내측 기어 이(38)와 결합하여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관성로크기구는 로크용 샤프트(40)가 웨빙(20)의 권취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로크하고 있지 않으므로 드럼(64)의 회전에 의하여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을 통하여 스풀(18)이 웨빙(20)의 권취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88)이 실린더(86)내를 구석까지 이동하여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로 가장 깊이 당겨지는 때에 도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초기상태에서 약 510 ˚ 회전하여 웨빙(20)을 가장 팽팽하게 당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웨빙(20) 장착자에 웨빙(20)이 꽉 장착된다.The outer gear teeth 36 formed in the gear portion 30 of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re engaged with the inner gear teeth 38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pool 18, and the inertial lock mechanism (not shown) Since the locking shaft 40 does not lock the rotation of the webbing 20 in the winding direction (arrow A direction), the spool 18 is moved through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by the rotation of the drum 64. It rotates in the winding direction (arrow A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B), when the piston 88 moves inside the cylinder 86 to the corner and the wire 94 is pulled deepest into the cylinder 86, as shown in Fig. 9A, the drive plate is shown. 80 rotates about 510 ° in its initial state to pull the webbing 20 most taut. In this way, the webbing 20 is tightly mounted to the webbing 20 mounter.

다음에 웨빙(20) 장착자의 관성력으로 웨빙(20)에 소정치 이상의 인출력이 작용하면 이 힘은 스풀(18)이 웨빙(20)의 인출방향(도10(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관성로크기구는 로크용 샤프트(40)가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로크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용 샤프트(40)의 삽입공(44)에 타단측의 삽입부(24B)가 삽입된 토션바(24)도 이 타단측에서 회전이 로크되고 있다. 한편, 토션바(24)의 일단측의 삽입부(24A)는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에 삽입되어 있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는 외측 기어 이(36)와 내측 기어 이(38)의 결합에 의하여 스풀(18)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스풀(18)의 회전력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를 통하여 토션바(24)에 전달되어 토션바(24)가 소성변형되어 뒤틀리기 시작하여 웨빙(20)에 소정치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포스리미터의 작용을 시작한다.Next, when the output force of the webbing 20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webbing 20 mounter, the force is applied by the spool 18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rrow B direction in Fig. 10 (A)). It acts as a turning force to rotate. The inertial lock mechanism not shown here locks the lock shaft 40 to rotate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webbing 2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4B of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 of the lock shaft 40. The rotation of the torsion bar 24 into which the) is inserted is also locked at the other end side. 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portion 24A of one end side of the torsion bar 24 is inserted into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so that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has the outer gear teeth 36 and the inner gear teeth 38. ) Rotates in unison with the spool 18 by engagemen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ool 18 is transmitted to the torsion bar 24 through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so that the torsion bar 24 is plastically deformed and starts to warp so that a tension forc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does not act on the webbing 20. Start the action of the force limiter to avoid.

이 때에 스풀(18)이 로크용 샤프트(40)에 대하여 회전하면 반환링(54)의 단면(54A)이 돌편(56)에 눌려 반환링(54)이 회전하여 원판(48)을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한다.At this time, if the spool 18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ock shaft 40, the end surface 54A of the return ring 54 is pressed against the projection 56 and the return ring 54 rotates to move toward the disc 48. To start.

또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피협지부(28)에 물린 드럼(64)도 웨빙(20)의 인출방향(도9(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플레이트(80)도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94)가 실린더(86)내에서 당겨져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88)이 실린더(86)내를 도면 좌측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since the drum 64 bitten by the clamped portion 28 of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lso rotates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rrow B direction in Fig. 9 (A)), the drive plate 80 also The wire 94 is pulled in the cylinder 86 by rotating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nd the piston 88 moves in the cylinder 86 to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10B.

이 때에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4)이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압력부(112)를 누르기 때문에 드럼(64)과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일체로 웨빙의 인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긴홈(100)에 이동돌기(98)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브 플레이트(80)는 스톱퍼 플레이트(96)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웨빙(20)의 인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A, the drum 64 and the drive plate are pressed because the drum 64 presses the pressure part 112 of the drive plate 80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76. 80 integrally rotates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arrow B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moving projection 98 is accommodated in the elongate groove 100, the drive plate 80 also rotates relative to the stopper plate 96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rrow B direction).

도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거의 초기 상태(도5(A)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은 상태)와 같은 상태까지 회전하여 이동돌기(98)가 스톱퍼 돌기(104)에 닿으면 스톱퍼 플레이트(96)의 회전이 멈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스풀(18)에 웨빙(20)의 인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력이 더 작용하면 드럼(64)이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기 때문에 결합편(76)의 선단부분이 압력편(114)의 선단에 눌린다. 이렇게 됨으로써 결합편(76)의 파단부(72)에 전단력이 가해져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도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편(76)이 파단부(72)에서 파단된다.As shown in Fig. 11A, the drive plate 80 is rotated to the same state as the initial state (the same state as shown in Fig. 5A) so that the moving protrusion 98 touches the stopper protrusion 104. The rotation of the surface stopper plate 96 is stopped. In this state, if the rotational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spool 18 in the drawing direction (arrow B direction) of the webbing 20, the drum 64 attempts to rotate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The part is pressed to the tip of the pressure piece 114. As a result, a shear force is applied to the fracture portion 72 of the engagement piece 76 and a large bending moment acts, so that the engagement piece 76 fractures at the fracture portion 72 as shown in FIG.

이렇게 됨으로써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드라이브 플레이트(80)로부터 분리되어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토션바(24)가 더욱 뒤틀리어 포스리미터의 동작을 계속하여 스풀(18)이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웨빙(20)의 인출에 의하여 스풀(18)을 통하여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에 작용하는 회전력과 토션바(24)의 뒤틀림 힘이 균형을 이를 때까지 토션바(24)가 뒤틀림 변형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can be separated from the drive plate 80 and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plate 80, so that the torsion bar 24 is further twisted. Operation continues and the spool 18 rotates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webbing 20. The torsion bar 24 is distorted and deformed until the torsion force of the torsion bar 24 is balanced by the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shaft 26 for pretension through the spool 18 by the withdrawal of the webbing 20. do.

도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바(24)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회전각에 대응하여 협지부(66, 68),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 및 스풀(18)(도1 ~ 도3 참조)도 회전하여 웨빙(20)이 인출되어 웨빙(20)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하는 포스리미터의 작용을 한다.As shown in Fig. 14A, the gripping portions 66 and 68,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and the spool 18 (Figs. 1 to Fig. 1) correspond to the rotation angles of the torsion bar 24 due to the twisting deformation. 3) is also rotated to act as a force limiter so that the webbing 20 is drawn out so that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20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또 스풀(18)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큰 경우에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판(48)을 향하여 이동하는 반환링(54)이 원판(48)에 닿아 반환링(54)은 그 이상 이동 및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풀(18)의 회전도 멈추어지므로 토션바(24)의 과도한 뒤틀림 변형이 저지되어 토션바(24)가 뒤틀려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와 같이 반환링(54)이 회전하여 원판(48)에 닿음으로써 스풀(18)의 회전을 멈출 수 있으므로 반환링(54)의 초기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로크용 샤프트(40)에 대한 스풀(18)의 상대적인 회전량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션바(24)의 뒤틀림량을 조정하여 포스 리미터의 작동시의 웨빙(20)의 인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spool 18 is large, as shown in FIG. 3, the return ring 54 moving toward the disk 48 touches the disk 48, and the return ring 54 moves and rotates further. You will not. By doing so,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is also stopp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twisting deformation of the torsion bar 24 and preventing the torsion bar 24 from being twisted. In addition, since the return ring 54 rotates to contact the disc 48 to stop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the spool 18 with respect to the lock shaft 4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eturn ring 54. You can change the relative rotation of). In this way, the amount of twisting of the torsion bar 24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drawing of the webbing 20 during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장치(10)에서는 드럼(64)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를 협지한 후에 웨빙(20) 인출방향의 회전력이 스풀(18)에 작용하면 드럼(64)의 파단부(76A)가 파단되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프리텐셔너의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토션바(24)를 충분히 뒤틀림 변형시켜 포스리미터의 작용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us, in the webbing retractor 10 of this embodiment, when the drum 64 clamps the pre-tension shaft part 26,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ebbing 20 pull out direction acts on the spool 18, the drum 64 will be carried out. 76A of the breaks are broken so that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can rotate relative to the drive plate 80 of the pretensioner, so that the torsion bar 24 is sufficiently twisted and deformed to act as a force limiter. It is possible.

또한 프리텐션 동작에 있어서는 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이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압력을 크게 하여도 파단부(72)에 작용되는 휨 모멘트는 작아져 파단부(72)가 파단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 반하여 포스리미터의 동작에 있어서는 결합편(76)의 선단이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작은 압력으로 파단부(72)에 큰 휨 모멘트를 작용시켜 파단부(72)를 파단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리텐셔너 작동시 웨빙(20)에 대한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인장하중(해제하중)만을 작게 할 수 있다.In the pretensioning operatio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engaging piece 76 is pressed, so that even if the pressure is increased,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fracture portion 72 becomes small, so that the fracture portion 72 does not break. 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of the force limiter, the tip of the engaging piece 76 is pressed, so that the break 72 can be broken by applying a large bending moment to the break 72 with a small pressure. For this reason, only the tensile load (release load) at the time of a force limiter operation can be made small, without reducing the tens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webbing 20 at the time of pretensioner operation.

또한 해제부로서는 상기한 파단부(76A)에 한정되지 않고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20) 인출방향의 회전 하중에서는 프리텐셔너와 스풀(18)을 일체로 하고 웨빙(20) 인출방향의 하중에서는 스풀(18)을 프리텐셔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부(72)를 대신하여 소성변형 혹은 탄성변형하는 변형부를 형성하고 결합편(76)에 작용하는 전단력이나 굴곡력 등에 의하여 이 변형부가 변형되어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20)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시키고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가 프리텐셔너의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 결합편(76)을 대신하여 드럼(64)의 외주와 드라이브 플레이트(80)의 삽입공(82)의 내주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형성하고 이 기어가 망가짐으로써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를 드라이브 플레이트(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또한 클러치나 마찰판 등이라도 좋다.The release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breaking portion 76A, but the pretensioner and the spool 18 are integrated in the rotational load of the webbing 20 withdrawal direction by the pretensioner, and the spool 18 with the load in the webbing 20 withdrawal direction. )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pretensioner can tak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For example, instead of the fracture portion 72, a deformation portion for plastic deformation or elastic deformation is formed, and the deformation portion is deformed by a shear force or a bending force acting on the coupling piece 76, so that the webbing 20 is pulled out by the pretensioner. It is sufficient to release the rotation stop and allow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to rotate relative to the drive plate 80 of the pretensioner. In addition, instead of the engaging piece 76, a gear that engages with each oth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um 64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82 of the drive plate 80, and the gear is broken, thereby causing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to break.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drive plate 80. In addition, a clutch, a friction plate, etc. may be sufficient.

또 에너지 흡수부재로서도 상기한 토션바(24)에 한정되지 않고 웨빙(20) 인출방향으로의 스풀(18)의 회전으로 변형하거나 마찰을 생성시켜 점성유체(粘性流體)를 유동시키거나 하여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웨빙(20)의 장력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라면 좋다. 예를 들어 스풀(18)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18)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이 변형이나 마찰 등으로 저항을 받음으로써 웨빙(20)의 장력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이들의 에너지 흡수부재는 스풀(18)과 동축이 아니라도 좋다.Also, the energy absorb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torsion bar 24 described above, but is deformed by rotation of the spool 18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or generates friction to flow viscous fluid so as to cause kinetic energy.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bsorb and to prevent the tension increase of the webbing 20. For example, the tension of the webbing 20 may be prevented by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8 by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and receiving this resistance by deformation or friction. These energy absorbing members may not be coaxial with the spool 18.

또 상기 설명에서는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를 감지하면 스풀(18)이 웨빙(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로크하고 웨빙(20)의 권취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부가 스풀(18)의 타단에 설치되는 경우을 들었으나 이 로크부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감속도의 대소에 관계없이 웨빙(20)의 장착후는 인출방향의 스풀(18)의 회전을 로크하고 웨빙(20)의 권취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스풀(18)의 회전을 로크할 수 있다면 스풀(18)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에너지 흡수부재를 통하여 스풀(18)에 부착되는 것이라면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a deceler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sensed, the lock portion for locking the spool 18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and allowing only the rotation of the webbing 20 in the winding direction is rotated. Although the lock par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the lock par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example, after mounting the webbing 20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deceleration,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in the drawing direction is locked and the webbing 20 is locked. The rotation may be allowed only in the winding direction. If the rotation of the spool 18 can be locked, it is not necessary to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pool 18, and may be attached to the spool 18 through an energy absorbing member.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토션바(24)가 스풀(18)의 일단측에 부착되는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을 통하여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토션바(24), 스풀(18) 및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의 연결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풀(18)에 프리텐션용 샤프트부(26) 또는 프리텐셔너가 연결됨과 아울러 이것과는 별도로 스풀(18)에 토션바(24)가 부착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토션바(24)가 스풀(18)의 타단측에 부착되어 있어 스풀(18)과 함께 회전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torsion bar 24 rotates with the spool through the pre-tension shaft part 26 attached to one end side of the spool 18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rsion bar 24 and the spool 18 are shown. )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tension shaft portion 26 or the pretensioner is connected to the spool 18, and the torsion bar ( 24) should be attached. For example, the torsion bar 24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pool 18 and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pool 18.

또한 차량의 급감속시의 프리텐션 동작에 있어서 웨빙(20)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드라이브 플레이트(80)가 드럼(64)을 누르는 위치나 포스리미터가 동작하는 도중에 있어서 스톱퍼 플레이트(96)가 결합편(76)을 누르는 위치는 반드시 상기한 위치(결합편(76)의 하단측 근방 및 선단 근방)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위치는 상대적인 관계에서 결정된다. 즉 프리텐션 동작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드럼(64)을 누르는 위치가 포스리미터가 동작하는 도중에서 스톱퍼 플레이트(96)가 결합편(76)을 누르는 위치보다도 파단부(72)에 가깝다면 프리텐션 동작에서 파단부(7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포스리미터 동작 도중에 파단부(7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단부(72)의 강도를 프리텐션 동작에서 작용하는 휨 모멘트로는 파단되지 않고 포스리미터 동작 도중에서 작용하는 휨 모멘트로는 파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킨다면 결합편(76)의 돌출방향도 드럼(64)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한정짓지 않으며, 예를 들어 드럼(64)의 축방향으로 돌출시켜도 좋다.Further, the stopper plate 96 is engaged with the stopper plate 96 while the drive plate 80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0 in the pretension operation during sudden deceleration of the vehicle presses the drum 64 or the force limiter is in opera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76 is press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positions (near the lower end side and the tip end vicinity of the engaging piece 76), and these positions are determined in a relative relationship. That is, if the position where the drive plate presses the drum 64 in the pretension operation is closer to the breaker 72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plate 96 presses the engaging piece 76 while the force limiter is operating, the pretension operation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break 72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break 72 during the force limiter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strength of the breaking part 72 can be set so that it may not be broken by the bending moment which acts in a pretension operation | movement, but by the bending moment which acts during a force limiter operation | movement. In addition, if such a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piece 76 is not limited to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um 64, but may be protru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um 64, for example.

청구항1의 발명에서는, 웨빙이 감겨지는 스풀과, 차량의 급감속시에 상기 스풀에 상기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풀에 의하여 변형되어 웨빙의 장력 증대를 방지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와,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웨빙 궈취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스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회전부재에 의하여 하단측 근방이 눌려지고, 연결부재가 상기 스풀의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지는 결합편을 갖춘 프리텐셔너와,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변형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편의 상기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진 경우에 이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가지므로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인장하중만을 작게 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spool in which the webbing is wound, an energy absorbing member deformed by the spool when a rotational force acts on the spool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during the sudden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prevents an increase in the tension of the webbing; A rotation member that rotates in the webbing hook direction when the decele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pool when the decele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connect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sid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and the lower end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of the spool, A pretensioner having a joining piece to which the portion on the tip side is pressed, and an energy absorbing portion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s deformed to have a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rotation stop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by the pretensioner when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hen the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by the rotary member near the lower end side of the coupling piece. Only the tensile load during the force limiter operation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tensile force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가, 상기 결합편의 하단측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편의 하단측 근방이 눌려졌을 때에는 파단되지 않고,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졌을 때에는 파단되는 강도를 지니는 파단부이므로, 회전부재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파단부의 파단을 회피하고, 연결부재가 스풀의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파단부를 파단시킴으로써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인장력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포스리미터 작동시의 인장하중만을 작게 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claim 2,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release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and is not broken when the lower end side vicinity of the coupling piec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the tip side is closer than the lower end side vicinity. When the part is pressed, it is a breaking part that has a breaking strength. Therefor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the breaking part is avoided,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ool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t is broken. By breaking the part, only the tensile load during the force limiter operation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tensile force dur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웨빙 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bbing retr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웨빙 권취장치를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시킨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bbing take-up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 plane including an axis;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웨빙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bbing is drawn out in the state shown in FIG. 2;

도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장치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um of the webbing take-up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장치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5A is a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webbing take-up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sectional view of a cylinder of the webbing take-up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는 도5(A)에서 드럼이 프리텐션용 샤프트부에 의하여 파여 들어간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6(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6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rum is indented by the pretension shaft in Fig. 5A, and Fig. 6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7(A)는 도6(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7(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7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ive plate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in Fig. 6A,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8(A)는 도7(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8(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8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plate is rotated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in Fig. 7 (A), and Fig. 8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9(A)는 도8(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9(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9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ive plate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in Fig. 8A, and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0(A)는 도9(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9(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10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ive plat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n Fig. 9A, and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1(A)는 도10(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10(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11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ive plat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n Fig. 10A, and Fig. 10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2(A)는 도11(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편의 파단부가 파단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11(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12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plate is rotated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n Fig. 11 (A) to break the breaking portion of the engaging piece, and Fig. 11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3(A)는 도12(A)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편의 파단부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12(B)는 이 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13 (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plate is rotated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n Fig. 12 (A) so that the broken portion of the joining piece is broken, Fig. 12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4(A)는 도13(A)에서 드럼의 협지부 및 프리텐션용 사프트부가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13(B)는 이때의 실린더의 단면도,Fig. 14A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in the state where the clamping part of the drum and the pretension shaft part are rotated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in Fig. 13A, and Fig. 1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도15는 종래의 웨빙 권취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conventional webbing retractor.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the main symbols used in the drawings ***

10 : 웨빙 권취장치 18 : 스풀(spool)10: webbing retractor 18: spool

22 : 토션부(torsion部)22: torsion part

24 : 토션바(torsion bar)(에너지 흡수부재)24: torsion bar (energy absorbing member)

26 : 프리텐션(pretension)용 샤프트부26: shaft portion for pretension

40 : 로크용 샤프트부 64 : 드럼(연결부재, 프리텐셔너)40: shaft portion for locking 64: drum (connection member, pretensioner)

76 : 결합편(프리텐셔너) 76A : 파단부(해제부)76: engaging piece (pretensioner) 76A: breaking part (release part)

80 : 드라이브 플레이트(drive plate)(회전부재, 프리텐셔너)80: drive plate (rotating member, pretensioner)

86 : 실린더(프리텐셔너) 88 : 피스톤(프리텐셔너)86: cylinder (pretensioner) 88: piston (pretensioner)

94 : 와이어(프리텐셔너)94: wire (pretensioner)

96 : 스톱퍼 플레이트(stopper plate)(회전부재, 프리텐셔너)96: stopper plate (rotating member, pretensioner)

Claims (2)

웨빙이 감겨지는 스풀과,The spool on which webbing is wound, 차량의 급감속시에 상기 스풀에 상기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풀에 의하여 변형되어 웨빙의 장력(張力) 증대를 방지하는 에너지 흡수부재와,An energy absorbing member that is deformed by the spool to prevent an increase in tension of the webbing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spool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during rapi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웨빙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상기 스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회전부재에 의하여 하단측 근방이 눌려지고, 연결부재가 상기 스풀의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 경우에는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지는 결합편을 갖춘 프리텐셔너를A rotation member that rotates in the webbing winding direction when a deceler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cts as a unit;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pool when a deceler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cts;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sid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ebbing, and the lower end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of the spool, Pretensioner with joining piece that part of tip side is pressed 구비하는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In the webbing retractor provided, 상기 결합편은, 상기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변형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진 경우에 이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 인출방향의 회전저지를 해제하는 해제부로서 작용하는 것을The coupling piece receives the webbing pulled out by the pretensioner when the energy absorbing member is deformed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in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when the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rather than near the lower end side. Acting as a release for releasing the rotation stop in the direction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Webbing t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편이,The coupling piece,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하단측 근방이 눌려졌을 때에는 파단되지 않고, 하단측 근방보다도 선단측의 부위가 눌려졌을 때에는 상기 하단측 근방이 파단되는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A webbing t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break whe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is press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has a strength that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breaks when the portion of the tip side is pressed more tha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side.
KR10-1998-0005239A 1997-11-14 1998-02-20 Webbing Winding Device KR1004873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389797A JP3432725B2 (en) 1997-11-14 1997-11-14 Webbing take-up device
JP9-313897 199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72A KR19990043972A (en) 1999-06-25
KR100487350B1 true KR100487350B1 (en) 2005-09-02

Family

ID=1804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239A KR100487350B1 (en) 1997-11-14 1998-02-20 Webbing Wind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32725B2 (en)
KR (1) KR1004873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25B1 (en) * 2002-12-13 2005-02-0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etensioner of seat belt retractor
US8387907B2 (en) 2009-03-18 2013-03-05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72A (en) 1999-06-25
JP3432725B2 (en) 2003-08-04
JPH11139248A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482B1 (en) Webbing Winding Device
KR100517193B1 (en) Rotation limiting device and webbing take-up device
JP2002356141A (en) Seat belt retractor
EP0962365A2 (en) Seat belt retractor and its spool
JP2002220027A (en) Seatbelt force limiter
JPS62110547A (en) Safety device winder
KR100299273B1 (en) Skid mechanism of a safety seat belt retractor
US6029924A (en) Retractor for a seat belt
JPH10310026A (en) Retractor for seat belt
US6276626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487350B1 (en) Webbing Winding Device
US5895002A (en) Webbing retractor
KR100451961B1 (en) Webbing take-up device
JP4642982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5203881B2 (en) Webbing take-up device
KR100449114B1 (en) Seat belt retractor
JPH0492748A (en) Preload device
JP3627883B2 (en) Seat belt retractor
JP5210115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5155135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H1095309A (en) Webbing rolling device
JP4528536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H1071930A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pretensioner
JP3714655B2 (en) Seat belt retractor
JP4153929B2 (en) Seat belt re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