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967B1 - Tape appl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Tape appl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967B1
KR100486967B1 KR10-2003-7004268A KR20037004268A KR100486967B1 KR 100486967 B1 KR100486967 B1 KR 100486967B1 KR 20037004268 A KR20037004268 A KR 20037004268A KR 100486967 B1 KR100486967 B1 KR 10048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ape
main body
guid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8766A (en
Inventor
마에다츠요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0/0066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26553A1/en
Publication of KR2003003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2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an edge face with strip material, e.g. a panel edge
    • B29C63/00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an edge face with strip material, e.g. a panel edge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29L2031/005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51Automobile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누름롤러(16)와, 상기 제 1 누름롤러(16) 보다도 점착 테이프의 점착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부착 위치가 전환되는 제 2 누름롤러(19)와, 제 1, 제 2 누름롤러(16, 19)와 평행하게 부착되는 한쌍의 제 1 안내롤러(26)의 회전축선 및 제 1, 제 2 누름롤러(16, 19)의 회전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제 2 안내롤러(27) 및 점착테이프의 부착 방향 상류측에 오프셋 상태로 부착 위치가 전환되는 제 3 안내롤러(29)와, 기단부가 회동자유롭게 지지된 테이프 안내판(34)과, 상기 테이프 안내판(34)의 회동 위치를 규정하는 유지수단(37, 38)을 구비하여, 좌우의 도어 섀시의 소정 위치에 점착 테이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정확히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applying apparatus, wherein a first pressing roller (16) and a second pressing roller (19) in which the attachment position is switch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adhesive direction down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than the first pressing roller (16).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pair of first guide rollers 26 attach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16 and 19 and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16 and 19. A second guide roller 27 rotatable about an axis to be rotated, and a third guide roller 29 in which the attachment position is switched in an offset state upstream of the attachment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ape guide plate 34 on which the proximal end is freely supported. And holding means (37, 38) for defi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tape guide plate 34,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and quickly accurately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door chassis.

Description

테이프 부착장치{TAPE APPLICATION DEVICE}Tape Attaching Device {TAPE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제품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띠형상의 점착 테이프를 박리재에서 박리하여 부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applying apparatus for peeling and attaching a band-shaped adhesive tape from a release material along a tape attaching surface formed on a product.

자동차 도어 섀시의 내측 및 외측을 광택이 없는 흑색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밖, 특히 차체의 측쪽에서 보았을 때의 도어 섀시의 광의 반사를 억제하고, 차실내뿐만 아니라 차체 전체의 깨끗한 경관을 확보하는데 바람직한 것이다.Glossy black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utomobile door chassis is desirable to suppress the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door chassis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particularly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o secure a clean view of the entire body as well a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 때문에 도어 섀시에 광택이 없는 흑색 도료를 분사 도장하는 것이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분사 도장은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대설비에 비용이 높아지고, 도료의 건조까지 시간이 드는 등의 여러가지 불합리함이 있다. 이 때문에 그 대체로서 내후성이나 내마모성 등이 양호한 광택이 없는 흑색 점착 테이프를 도어 섀시에 점착하는 것이 일본 특개소51-135015호 공보나 일본 특개소62-46780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자동차의 도어 섀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삼차원적인 곡면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점착장치는 매우 대형이 되어, 실제 생산라인에 조립할 경우, 생산라인의 설비 비용이 높아지고, 도어 섀시의 설계 변경에 대한 추종성이 나쁘며, 범용성이 부족했다.For this reason, spray coating of a gloss-free black paint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However, the spray coating is costly in auxiliary equipment for maintaining a good working environment, and there are various unreasonable reasons such as the time required to dry the paint. For this reason, it is proposed to apply a black adhesive tape having no gloss with good weather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the like to the door chassis in JP-A-51-135015 and JP-A-62-46780. In this case, since the three-dimensional curved portion occupies most of the door chassis of the automobile, the above-mentioned adhesive device becomes very large, and when assembled to the actual production lin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production line becomes high, and the design of the door chassis The change was poorly tracked and lacked versatility.

이 부착 작업을 작업자가 어떤 지그류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만으로 실시하고자 한 경우, 자동차의 제조라인에 대응한 속도로 이것을 정확히 실시하는 것은 매우 높은 작업 숙련도가 요구되게 된다. 상술한 작업을 숙련작업자뿐만 아니라 모두 용이하고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5-338627호 공보 등에 개시된 테이프 부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테이프 부착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숙련작업자뿐만 아니라 모두 용이하고 신속히 도어 섀시의 소정 위치에 점착 테이프를 정확히 부착할 수 있다.If the worker wants to carry out this attachment work by hand only without using any jig, it will require very high work proficiency to perform it correctly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A tape applying apparatu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First Publication No. 5-338627 is proposed so that not only the skilled worker but also all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By using this tape applying apparatus, not only skilled workers but all can easily and quickly adhere | attach an adhesive tape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a door chassis.

이외, 웨더 스트립을 도어 섀시에 자동적으로 부착하는 장치,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2-221582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3-166068호 공보 또는 일본 특공평5-65298호 공보에 개시된 것도 대응 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다.In addi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 weather strip to the door chassis, for exampl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22158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66068,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65298 i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It is done.

일본 특개평5-338627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 및 좌측 도어에 대응하여 각각 오른쪽 모양 및 왼쪽 모양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세단형 승용 자동차에 대해서는 전후좌우, 즉 4종류의 테이프 부착 장치를 나눠 사용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잡하다. 또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점수가 많아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불합리함이 있다.The conventional tape apply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38627 has a right shape and a left shap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right door and the left door of an automobil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about a sedan type passenger car, it is necessary to use four types of tape applying apparatuses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and it is very complicated.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complex and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re is an unreasonabl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일본 특개평2-221582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3-166068호 공보 또는 일본 특공평5-65298호 공보에 개시된 웨더 스트립의 부착 장치를 테이프 부착 장치에 응용하고자 한 경우, 도어 패널의 유지나 위치 결정 장치외에 매니플레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자동차의 생산 라인을 변경하지 않으면 이에 대응할 수 없어지는 불합리함이 있다.When the apparatus for attaching the weather strip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2158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3-166068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65298 is applied to a tape attaching device, a door panel holding or positioning device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need for a space for installing the manifold, there is an unreasonable reason that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out changing the production line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 장치를 자동차의 도어 아우터 섀시에 응용한 일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tape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oor outer chassis of an automobil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broken;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2 중의 Ⅳ-Ⅳ화살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테이프 부착 지그를 도어 아우터 섀시에 연결한 상태의 외관도,5 is an exter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ape attachment jig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door outer chassi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tape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추출한 파단 정면도이다.FIG. 7 is a cutaway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작업자뿐만 아니라 모두 용이하고 신속하게 좌우의 도어 섀시의 소정 위치에 점착 테이프를 각각 정확히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부착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pe attach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attaching adhesive tapes to predetermined positions of right and left door chassis as well as skilled workers, all at low cost.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는 제품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제품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에 박리재가 박리된 점착 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 장치로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 사이에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점착 테이프가 감겨지는 제 1 누름롤러와, 상기 제 1 누름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누름롤러 보다도 점착 테이프의 부착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서브 바디에 대한 부착 위치가 전환 가능한 제 2 누름롤러와,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의 회전축선과 거의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안내롤러와, 상기 제 1 안내롤러의 회전축선 및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의 회전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축선 주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가 테이프 부착면에 눌려진 상태로 전동(轉動)하도록 상기 제 1 안내롤러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바디를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춰 유지하는 제 2 안내롤러와, 상기 제 2 안내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가 테이프 부착면에 눌려진 상태로 전동하도록, 상기 제 2 안내롤러 및 상기 제 1 안내롤러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바디를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춰 유지하고, 상기 제 1 누름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점착테이프의 점착 방향 상류측에 오프셋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한 부착 위치가 전환 가능한 제 3 안내롤러와, 기단부가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 및 상기 제 2, 제 3 안내롤러의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에 상기 서브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테이프 안내판과, 상기 테이프 안내판의 선단부와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롤러를 끼워 상기 제 2 안내롤러의 반대측에 상기 테이프 안내판과 상기 누름롤러로 박리재 부착 점착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간극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테이프 안내판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attaching device for attaching an adhesive tape detachably attached to a product and having a peeling material peeled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formed on the product, wherein the tape attaching device is spac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 sub body disposed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the first press roller on which the adhesive tape is wound, and the first press roller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ress roller. A second press roller whose switch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is switchable so as to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stick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rotatable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The first guide roller attached to the main body,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uide roller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rollers The main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guide roller so as to be rotat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respectively, around the axis crossing with respect to the axis, and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are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are pressed against a tape attaching surface. A second guide roller for movably engaging and holding the body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of the product,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are driven by pressi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In order to hold the main body movably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of the product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first guide roller, the adhesive tape upstream of the adhesive tape on the basis of the first press roller. A third guide roller whose switch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switchable so as to be disposed in an offset state on the side, and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And a tape guide plate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bbody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es of the second and third guide rollers,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ape guide plate and the main body, thereby interposing the push roller. And a holding means capable of holding the tape guide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to form a gap portion for guiding the adhesive tape with the release material to the tape guide plate and the push roller.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 장치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후, 점착 테이프가 제 1, 제 2 누름롤러에 의해 테이프 부착면에 눌려지도록, 제 1∼제 3 안내롤러에 의해 메인 바디를 제품에 걸어 맞춰 유지시킨다. 그리고, 점착테이프를 제 1 누름롤러에 감아 제 2 누름롤러로 통하게 한 후, 유지수단에 의해 메인 바디에 대해 테이프 안내판을 고정하고, 누름롤러와 테이프안내부의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고, 이 간극부에 박리재 부착 점착테이프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를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 박리재 부착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되는 점착 테이프가 제 1, 제 2 누름롤러에 의해 테이프부착면에 눌려지고,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되어 간다.In the tape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adhesive tap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pe attaching surface of the product, the adhesive tape is pressed against the tape attaching surface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rollers. The main body is held in line with the product by a third guide roller. Then, the adhesive tape is wound around the first pressing roller to pass through the second pressing roller, and then the tape guide plate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the holding means, and a gap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roller and the tape guide por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ith a release material is placed thereon. In this state, when the main body is moved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the adhesive tape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tape with release material is pressed on the tape attaching surface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rollers and adheres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본 발명의 테이프 부착장치에 의하면 점착테이프의 부착방향을 따라서 제 2 누름롤러 및 제 3 안내롤러의 부착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좌우 모양이 있는 제품의 어디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 3 안내롤러가 제 1 누름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점착테이프의 부착방향 상류측에 오프셋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착장치의 이동방향을 제품을 따라서 규제하기 쉽고, 제품에 대해 테이프 부착장치를 항상 흔들리지 않게 걸어 맞출 수 있다. 이 결과, 숙련작업자뿐만 아니라 모두 점착테이프를 정확히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할 수 있다. 특히, 테이프 부착장치를 정확히 제품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제 1 및 제 2 누름롤러나 제 1 및 제 2 안내롤러가 제품에 대해 전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테이프 부착 장치의 이동시의 마찰 저항이 적어지고, 테이프 부착작업을 작은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점착 테이프 표면의 마찰에 따른 손상도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tape appl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cond press roller and the third guide roller can be switched along the adhesion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it is possible to use it on any product having a left and right shape, for example. As a result, the device is simpl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Since the third guide roller is arranged in an offset state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relative to the first pressing roller, it is easy to regulat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along the product, and always I can hang it without shaking. As a result, not only the skilled worker but also all the adhesive tapes can be attached exactly to the tape attachment surface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when the tape attaching device moves exactly along the product, the frictional resistance during movement of the tape attach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product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or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are designed to be transmitted to the product. The number of tapes can be reduced, the tape attach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a small operating force, and no damage due to friction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occurs.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에 있어서, 메인 바디 및 서브 바디에 제 2 누름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2개의 부착 위치 중 어느 한곳에 제 2 누름롤러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누름롤러는 제 2 누름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tape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attachm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press roller may be set on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and the second press roller may be attached to any one of the two attachment positions. In this case, the first press roller may be located between two attachment positions to the second press roller.

제 2 누름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을 메인 바디 및 서브 바디에 대한 제 2 누름롤러의 탈착에 의해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The switching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cond press roller may be performed by detaching the second press roller from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또는 제 2 누름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을 제 1 누름롤러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누름롤러의 선회동작에 의해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하고, 제 1 누름롤러를 관통하여 이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대해 기단부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선단부에 제 2 누름롤러가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선회암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축부재에 대한 선회암의 2개의 회동위치를 규정하는 2셋트의 스토퍼를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의 적어도 한쪽과 선회암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누름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 작업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cond press roller may be performed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econd press roller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press roller. In this case, the main body and the sub-body are connected, the shaft member for penetrating and supporting the first press roller to rotate freely, and the proximal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member, the second press roller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front e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dditional houndstones. In this case, two sets of stoppers defining two pivoting positions of the swing arm with respect to the shaft member can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and the swing rock. Therefore, the operation | work of switch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a 2nd press roller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제 3 안내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를 메인 바디에 설정하고, 상기 2개의 바디 위치 중 어느 한곳에 제 3 안내롤러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안내롤러는 제 3 안내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 3 안내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을 메인 바디에 대한 상기 제 3 안내롤러의 탈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wo attachment positions to the third guide roller may be set on the main body, and the third guide roller may be attached to any one of the two body positions.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roller can be positioned between two attachment positions to the third guide roller.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by detaching the third guide roller from the main body.

제 1 누름롤러의 회전방향 양측의 간극부에 각각 돌출된 돌기부를 테이프 안내판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돌기부가 제 1 누름롤러와 제 2 누름롤러의 사이로 돌출된 것이어서 좋다.The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gap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pressing roller may be provided on the tape guide plate. In this case, one of the protrusions may protrude between the first pressing roller and the second pressing roller.

제 1 및 제 2 누름롤러의 외주면을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여 점착 테이프를 테이프 부착면에 대해 균형있게 부착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may be formed of a rubbery elastic body. In this case, mixing of air can be prevented, and the adhesive tape can be attached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in a balanced manner.

제 2 안내롤러를 복수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A plurality of second guide rollers may be provided.

유지수단은 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수단은 소형이 되고, 테이프 안내판의 개폐 조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holding means may use magnetic force. In this case, the holding means becomes compac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ape guide plat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해 예로 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eff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give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를 승용 자동차의 프론트도어 아우터 섀시 또는 리어 도어 아우터 섀시에 대해 응용한 실시예에 대해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들을 추가로 조합하거나 동일한 과제를 내포하는 다른 분야의 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다.An embodiment in which the tape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ront door outer chassis or a rear door outer chassis of a passenger ca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but may be applied to other fields of technology that further combine these or include the same problem.

도 1은 테이프 안내판을 개방한 상태의 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2는 그 측면 형상을 나타내고, 도 3은 그 단면 구조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2중의 Ⅳ-Ⅳ화살표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도 5는 프론트 도어 아우터 섀시 또는 리어 도어 아우터 섀시(이하, 단지 도어 아우터 섀시라고 호칭한다)에 본 실시예의 테이프 부착 장치를 연결한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Fig. 1 shows the appearance of this embodiment with the tape guide plate open, Fig. 2 shows its side shape, Fig. 3 shows its cross-sectional structure, Fig. 4 shows the IV-IV arrow cross-sectional shape in Fig. 2, Fig. 5 shows an appearance of a state in which the tape apply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front door outer chassis or a rear door outer chassi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door outer chassis).

메인 바디(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에는 각각 3셋트의 볼트 관통구멍(13a, 13b, 13c)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의 중앙부의 볼트 관통구멍(13b)에는 한개의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가 끼워져 있다. 이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는 외주부가 고무상 탄성체(15)로 피복된 보조 누름롤러(제 1 누름롤러)(16)를 회전 자유롭게 관통하고, 그 양 선단부에 비틀어 박혀진 잠금 너트(17)에 의해 누름롤러 브래킷(11)과 서브 바디(12)가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 및 보조 누름롤러(16)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누름롤러 브래킷(11)과 서브 바디(12)의 간격은 보조 누름롤러(16)의 길이나 점착테이프(A)의 폭 치수에 맞춰 적정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의 중앙부, 즉 보조 누름롤러(16)와의 끼워 맞춤 부분은 볼트 관통구멍(13b)의 내부직경 보다도 크게 설정된 단부착으로 되어 있고, 누름롤러 브래킷(11)과 서브 바디(12)의 간격은 그 대직경 부분의 길이에 거의 대응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Three sets of bolt through-holes 13a, 13b, and 13c are arranged in the pressing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body 12 constituting a part of the main body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On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is fitted into the pressing roller bracket 11 and the bolt through hole 13b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 body 12.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rotates freely through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first pressing roller) 16 whos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covered with the rubber-like elastic body 15, and lock nut 17 which is screwed into both ends thereof. The press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 body 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and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 body 12 needs to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or the width dimension of the adhesive tape A. For this reason, the center part of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ie, the fitting portion with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has an end portion se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lt through hole 13b, and the pressing roller bracket 11 The space | interval of the sub body 12 is set to the space | interval corresponding substantially to the length of the large diameter part.

보조 누름롤러(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A)를 감는 것에 의해 박리재(B)로부터 점착테이프(A)가 박리되도록 하고 있다. 박리재(B)에 대한 점착테이프(A)의 박리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보조 누름롤러(16)의 외부직경을 가능한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winds up the adhesive tape A so that the adhesive tape A may peel from the peeling material B as mentioned lat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s small as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keeping the peelability of the adhesive tape A with respect to the release material B satisfactorily.

나머지 2셋트의 볼트 관통구멍(13a, 13c) 중, 보조 누름롤러(16)를 기준으로 하여 점착테이프(A)의 부착 방향 하류측의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바디(12)의 볼트 관통구멍(13c)에도 롤러 지지용 연결볼트(14)가 끼워진다. 이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는 외주부가 고무상 탄성체(15)로 피복된 주 누름롤러(제 2 누름롤러)(19)를 회전 자유롭게 관통하고, 그 양 선단부에 비틀어 박혀진 잠금 너트(17)에 의해 누름롤러 브래킷(11)과 서브 바디(12)가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 및 주 누름롤러(19)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주 누름롤러(19)는 기본적인 구성이 보조 누름롤러(16)와 동일하지만, 그 외부직경을 보조 누름롤러(16)의 외부직경 보다도 다소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에 대한 압력이 보조 누름롤러(16) 보다도 커지고,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이 상기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대향방향으로 다수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점착테이프(A)를 확실히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에 밀착시키는 효과를 갖는다.Out of the remaining two sets of bolt through holes 13a and 13c, the bolt rollers of the press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body 1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A are attached to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s a reference. The roller support coupling bolt 14 is also fitted into the hole 13c.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rotates freely through the main pressing roller (second pressing roller) 19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covered with the rubber-like elastic body 15, and is locked with nuts at both ends thereof. The press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 body 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and the main press roller 19. Although the basic structure of the main press roller 19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the outer diameter is set rath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becomes larger than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becomes the said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Even when a large number of curvatures ar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press roller 19, the adhesive tape A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테이프부착장치(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점착테이프(A)는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에 대해 접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보조 누름롤러(16)의 거의 반둘레에 걸쳐 감겨진다. 이에 대해 점착테이프(A)를 유지하는 박리재(B)는 도어아우터 섀시(20)를 따라서 테이프 부착장치(1)로부터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of use of the tape attaching apparatus 1, the adhesive tape A has an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faces outward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It is wound over almost half of the). On the other hand, the peeling material B which hold | maintains the adhesive tape A becomes the state which is taken out from the tape sticking apparatus 1 along the door outer chassis 20. FIG.

누름롤러 브래킷(11)에는 메인 바디(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내롤러 브래킷(23)이 연결용 나사(24)를 통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롤러 브래킷(23)과 누름롤러 브래킷(11)의 사이에는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로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을 구성하는 패널부재를 끼워 넣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누름판(25)이 끼워져 있다. 안내롤러 브래킷(23)에는 도어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과 반대의 내측 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제 1 안내롤러(26)와,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웨더 스트립 부착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제 2 안내롤러(27)가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The guide roller bracket 23 constituting a part of the main body 10 is integrally fixed to the push roller bracket 11 through a connection screw 24. Between the guide roller bracket 23 and the press roller bracket 11, the panel member constituti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is formed by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main press roller 19. A pressing plate 25 having flexibility for fitting is fitted. The guide roller bracket 23 has a pair of first guide rollers 26 which can contact the inner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and a weather strip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A plurality of second guide rollers 27 (3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at can engage with the attachment portion are rotatably attached.

제 2 안내롤러(27)의 배열방향을 따르는 안내롤러 브래킷(23)의 양측에는 보조 브래킷(28a, 28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브래킷(28a, 28c)에는 제 2 안내롤러(27)와 평행하게 배열하는 제 3 안내롤러(29)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안내롤러(29)는 점착테이프(A)의 부착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보조 브래킷(28a)의 나사구멍(30)에 부착 나사(31)를 통해 교환 가능하게 고정된다.Auxiliary brackets 28a and 28c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oller bracket 23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oller 27, respectively. The auxiliary brackets 28a and 28c are formed with a screw hole 30 for attaching a third guide roller 29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27. The third guide roller 29 is interchangeably fixed to the screw hole 30 of the auxiliary bracket 28a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A via the attachment screw 31.

안내롤러(26, 27, 29)는 도어 아우터 섀시(20)에 대한 테이프 부착장치(1)의 이동에 따른 회전 마모를 저감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고, 또 베어링(도 3 참조)(32)이 각각 조립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롤러 브래킷(11), 안내롤러 브래킷(23), 보조 브래킷(28a, 28c)이 본 발명의 메인 바디(10)를 구성한다(도 4 참조).The guide rollers 26, 27, 29 are formed of a polymer resin material or the like to reduce rotational wear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tape attaching device 1 with respect to the door outer chassis 20, and bearings (see Fig. 3) ( 32 are assembled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roller bracket 11, the guide roller bracket 23, the auxiliary brackets 28a, 28c constitute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4).

제 1 안내롤러(26)의 회전축선은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회전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안내롤러(27)의 회전축선은 제 1 안내롤러(26) 및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회전축선에 대해 거의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설정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차종의 상위 등에 따라서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폭이나 형상이 다른 경우에는 제 1 안내롤러(26)나 제 2 안내롤러(27)를 다른 형상이나 다른 치수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정도의 범용성을 갖게 할 수 있다.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uide roller 26 is set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guide roller 27 is set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uide roller 26 and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However,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hange the above sett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Alternatively, when the width or shape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differ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the vehicle model or the like, the first guide roller 26 or the second guide roller 27 may be replaced with one having a different shape or different dimension. It can be made versatile.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부착장치(1)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른 상태로 도어 아우터 섀시(20)에 설정된 경우, 도어 아우터 섀시(20)가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와 제 1 안내롤러(26)에 끼워지고, 또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을 구성하는 패널부재가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와 누름판(25)에 끼워지고,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가 테이프 부착면(21)에 눌려진 상태가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ape attaching apparatus 1 is set to the door outer chassis 20 in a correct state as shown in FIG. 2, the door outer chassis 20 is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main press roller 19. ) And a panel member fitted to the first guide roller 26 and constituti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are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nd the pressing plate 25. ), And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re pressed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상기 서브 바디(12)에는 롤러 지지용 연결볼트(14)에 대해 직교하고, 또 테이프 부착면(21)과 거의 평행한 회전 지지축(33)의 양단부가 회전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 회전 지지축(33)이 기단부에 관통 상태로 고정된 테이프안내판(34)은 서브 바디(12)에 대해 회전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개방 위치와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테이프 안내판(34)은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를 사이에 끼워 제 2 안내롤러(27)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안내판(34)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사이에 박리재 부착 점착테이프(C)를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부(35)가 형성된다. 이 테이프 부착장치(1)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른 상태로 도어 아우터 섀시(2)에 설정된 경우, 테이프 안내판(34)은 테이프 부착면(21)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가 결정된다.Both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shaft 33 which are orthogonal to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and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are fitted to the sub-body 12 freely. The tape guide plate 34 on which the rotary support shaft 33 is fixed in a penetrating state to the proximal end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b body 12 about the rotary support shaft 33, and is shown in FIG. 1. It can open and close to a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The tape guide plate 34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27 with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tape guide plate 34, a gap portion 35 for passing the adhesive tape C with a release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s shown in FIG. When the tape attaching device 1 is set to the door outer chassis 2 in a correct state as shown in Fig. 2, the tape guide plate 34 is positioned almost in parallel with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As shown in Figs.

이 테이프안내판(34)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보조 누름롤러(16)의 회전방향 양측의 간극부(35)에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36a, 36c)가 테이프 안내판(34)에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돌기부(36c)를 보조 누름롤러(16)와 주 누름롤러(19)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점착 테이프(A)에 대해서는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tape guide plate 34, a pair of projections 36a and 36c protruding from the gaps 35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tape guide plate 34. As shown in FIG. By placing one projection part 36c between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ppropriate tension can be given to the adhesive tape A. FIG.

도 2에 도시한 테이프 안내판(34)의 폐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테이프 안내판(34)의 선단부에는 영구자석(37)이 매설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테이프 안내판(34)과 대향하도록 연강판(38)이 누름롤러 브래킷(11)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37)과 연강판(38)으로 본 발명의 유지수단이 구성된다. 이것들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한 흡인력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다. 유지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자력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테이프안내판(34)의 폐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유지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In order to mainta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tape guide plate 34 shown in FIG. 2, a permanent magnet 37 is embedded at the tip of the tape guide plate 34 (see FIG. 3). A mild steel plate 38 is embedded in the push roller bracket 11 so as to face the tape guide plate 34. The permanent magnet 37 and the mild steel plate 38 constitute the hold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action force by the magnetic force acting between these is enough to be easily opened by the operator. As a retaining means, in addition to using magnetic forc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aturally possible to employ other retaining means capable of retaining the closed position of the tape guide plate 34.

실제의 작업시에는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에 대한 테이프 부착장치(1)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주 누름롤러(19) 및 제 3 안내롤러(29)의 부착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에 대해 테이프 부착장치(1)를 바로 앞측(도 5중,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술한 설정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잠금 너트(17)(도 3 참조)를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로부터 박리하고, 또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로부터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 및 주 누름롤러(19)를 박리하고, 주 누름롤러(19)가 부착된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a)를 사용하지 않은 볼트 관통구멍(13a)에 끼워 넣고, 잠금 너트(17)로 다시 고정한다. 동시에 제 3 안내롤러(29)(도 4 참조)가 부착된 보조 브래킷(28a)으로부터 부착 나사(31)를 제 3 안내롤러(29)과 함께 박리하고, 이것을 제 3 안내롤러(29)가 부착되지 않은 쪽의 보조 브래킷(28c)에 장착한다.In actual work,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main push roller 19 and the third guide roller 29 ar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pe attaching device 1 with respect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do. For example, in the state shown in FIG. 5, when the tape attaching apparatus 1 is moved to the front side immediately (in arrow F direction in FIG. 5) with respect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One setting can be used as it is. If it is necessary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ock nut 17 (see Fig. 3) is peeled off from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and the roller support connection from the push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 body 12 is carried out. The bolt 14 and the main press roller 19 are peeled off,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a with the main press roller 19 is inserted into the unused bolt through hole 13a, and the lock nut 17 Fix it again). At the same time, the attachment screw 31 is peeled off together with the third guide roller 29 from the auxiliary bracket 28a to which the third guide roller 29 (see FIG. 4) is attached, and the third guide roller 29 is attached. To the side bracket (28c).

박리재 부착 점착테이프(C)로부터 박리재(B)의 선단부를 떼고, 점착테이프(A)의 선단부를 도어아우터 섀시(20)의 평탄한 테이프 부착면(21)의 소정 위치(일반적으로는 탈착 개시 위치)에 부착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위치를 전환한 테이프 부착장치(1)의 테이프 안내판(34)을 도 1에 도시한 개방 상태로 하고, 그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가 점착테이프(A)의 선단부를 테이프 부착면(21)에 누르도록 제 1 안내롤러(26) 및 제 2 안내롤러(27)를 도어 아우터 섀시(20)에 걸어 맞춘다.Remove the tip of the peeling material (B) from the adhesive tape (C) with the release material, and the front end of the adhesive tape (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at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normally starting to be detached). Position). Thereafter, the tape guide plate 34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1, which has been previously switched as described above, is brought into the open state shown in Fig. 1, and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re The first guide roller 26 and the second guide roller 27 are engaged with the door outer chassis 20 so as to press the tip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 onto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계속해서, 점착테이프(A)를 보조 누름롤러(16)에 반둘레 감아 박리재(B)가 테이프 부착면(21)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에 누르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판(34)을 폐쇄 위치에 고정한다.Subsequently, the adhesive tape A is wound around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halfway, and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are placed so that the release member B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2, and 5, the tape guide plate 34 is fixed to a closed position.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지지축(33)을 서브 바디(12)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의 테이프 안내판(34)이 서브 바디(12)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지도록 하고, 점착테이프(A)를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에 부착할 때 작업자가 테이프 안내판(34)을 개방 위치로 유지할 필요성을 없애고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n this embodiment, the tape guide plate 34 in the open position is stretched downward from the sub body 12 by attaching the rotary support shaft 33 to the sub body 12, and the adhesive tape A ) Is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keep the tape guide plate 34 in the open position when attaching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main press roller 19. It is thereby possible to maintain the above-mentioned workability satisfactorily.

이 상태에서 점착테이프(A)를 박리재 부착 점착테이프(C)로부터 떼어내면서 테이프 부착장치(1)를 테이프 부착면(21)을 따라서 도 5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간극부(35)에 의해 테이프부착면(21)에 대한 오차가 구속(拘束)된 점착 테이프(A)는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테이프 부착면(21)에 눌려져, 테이프 부착면(21)에 부착되어 간다. 동시에 사용 완료의 박리재(B)가 테이프 부착장치(1)의 이동 방향 앞쪽으로 눌려져 간다.In this state, while removing the adhesive tape A from the adhesive tape with a peeling material, the tape sticking apparatus 1 is moved along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to the left direction in FIG. The adhesive tape A, in which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is constrained by the gap portion 35, has a tape attaching surface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and the main pressing roller 19). 21 is pressed and adheres to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At the same time, the finished release material B is presse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1.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누름롤러(16)의 외부직경 치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재(B)로부터 점착테이프(A)를 확실히 박리할 수 있다. 또, 주 누름롤러(19)의 외부직경 치수를 보조 누름롤러(16)의 외형 치수 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이 보조 누름롤러(16) 및 주 누름롤러(19)의 대향방향으로 다수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조 누름롤러(16)로 점착테이프(A)를 테이프 부착면(21)에 대해 정확히 위치 결정한 상태로 부착시키고, 계속해서 주 누름롤러(19)에 의해 이 점착테이프(A)를 테이프 부착면(21)에 강력하고 확실히 누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is suppressed to the minimum necessary, the adhesive tape A can be reliably peeled from the peeling material B. FIG.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main press roller 19 is set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has the auxiliary press roller 16 and the main press. Even when a plurality of curved roller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ing roller 19 are attached, the adhesive tape A is attached with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in a precisely positio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and then the main pressing roller ( 19), this adhesive tape A can be pressed firmly and firmly against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주 누름롤러(19)가 부착되는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용 볼트 관통구멍(13a, 13c)의 위치를 보조 누름롤러(16)용 볼트 관통구멍(13b) 보다도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측에 가깝게 한 경우, 주 누름롤러(19)의 외부직경을 보조 누름롤러(16)의 외부직경 보다도 작게 설정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bolt through-holes 13a and 13c for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 14 to which the main push roller 19 is attached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rather than the bolt through-hole 13b for the auxiliary push-roller 16. In the case of bringing it closer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sid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pressing roller 19 is se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 16.

메인 바디(10)는 제 1 안내롤러(26)와 제 2 안내롤러(27) 및 제 3 안내롤러(29)에 의해 도어 아우터 섀시(20)에 추종하여 흔들리지 않게 걸어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 안내롤러(26, 27, 29)가 저마찰계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을 따라서 테이프 부착장치(1)를 이동시켰을 때의 마찰 저항이 적어지고, 이 부착 조작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제 3 안내롤러(29)의 존재에 의해 테이프 부착장치(1)의 이동 방향이 테이프 부착면(21)을 따라서 규제되기 쉬워지고, 테이프 부착장치(1)의 이동 작업성이 좋아진다.The main body 10 follows the door outer chassis 20 by the first guide roller 26, the second guide roller 27, and the third guide roller 29,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without being shaken. Moreover, since the said guide rollers 26, 27, and 29 are comprised by the member of the low friction coefficient, the friction at the time of moving the tape attachment apparatus 1 along the tape attachment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is carried out. The resistance decreases, and this attach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the third guide roller 29 makes it easier to regulat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1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and the movement workability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1 is improved.

이와 같이 하여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테이프 부착면(21)에 점착 테이프(A)를 부착한 후, 도어 아우터 섀시(20)로부터 테이프 부착장치(1)를 박리하고, 도시하지 않은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점착테이프(A)의 폭방향 양 단부를 도어 아우터 섀시(20)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어 아우터 섀시(20)에 대해 이미 점착 테이프(A)가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혀 문제없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After attaching the adhesive tape A to the tape attaching surface 21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in this manner, the tape attaching apparatus 1 is peeled off from the door outer chassis 20, and a crimping device (not shown) is attached. Both ends of the adhesive tape A in the width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rest of the door outer chassis 20. In this state, since the adhesive tape A is alread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door outer chassis 20,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a problem at all.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잠금 너트(17)의 박리 작업을 실시하여 주 누름롤러(19)의 부착 위치를 변하도록 했지만, 원터치로 주 누름롤러(19)의 부착 위치를 바꾸는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ocking nut 17 is peeled off to chang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ain press roller 19, but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ain press roller 19 by one touch.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을 도 6에 도시하고, 또 그 주요부의 파단 구조를 도 7에 도시한다. 단,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의 부재에는 이것과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 누름롤러(16)의 길이 방향 양단부와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 사이의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에는 한쌍의 선회암(39)의 기단부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주 누름롤러(19)는 한쌍의 선회암(39)의 선단부에 양단부가 연결된 핀(40)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The appearan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ape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6, and the breaking structure of the main part thereof is shown in FIG. However, the same code | symbol as this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of the same func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bas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pivot arms 39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longitudinally end portions of the auxiliary pressing rollers 16 and the roller support connecting bolts 14 between the pressing roller brackets 11 and the sub-body 12. The main push roller 19 is rotatably fitted with respect to the pin 40 with which both ends were connected to the front-end | tip of a pair of turning arm 39. As shown in FIG.

선회암(39)을 통해 주 누름롤러(19)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탄성력으로 출몰 가능한 볼트(41)를 조립한 2셋트의 볼플런저(42a, 42c)가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에 각각 매설되어 있다. 볼플런저(42a, 42c)의 선단부의 볼(41)이 상기 누름롤러 브래킷(11) 및 서브 바디(12)의 표면에서 돌출 상태로 힘이 가해져 있다. 상기 볼플런저(42a, 42c)에 대응하여 선회암(39)에는 볼 플런저(42a, 42c)의 선단부의 볼(41)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한쌍의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main push roller 19 through the swivel arm 39, two sets of ball plungers 42a and 42c assembled with an elastic force bolt 41 are push roller bracket 11 and sub It is embedded in the body 12, respectively. A force is applied to the ball 41 at the tip end of the ball plungers 42a and 42c in a protruding state from the surfaces of the push roller bracket 11 and the sub body 12. Corresponding to the ball plungers 42a and 42c, the pivot arm 39 is provided with a pair of recesses 43 which can hold and fix the balls 41 of the tip ends of the ball plungers 42a and 42c.

상기 2셋트의 볼플런저(42a, 42c) 및 한쌍의 오목부(43)는 본 발명의 2셋트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즉, 주 누름롤러(19)의 위치를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주 누름롤러(19)를 선회암(39)과 함께 롤러 지지용 연결 볼트(14)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선회하고, 선회암(39)의 오목부(43)에 대해 다른쪽 볼 플런저(42a)의 선단부를 걸어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매우 용이하고 신속히 주 누름롤러(19)의 부착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The two sets of ball plungers 42a and 42c and the pair of recessed portions 43 function as two sets of stopp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when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position of the main pressing roller 19, the main pressing roller 19 in the state shown in FIG. It rotates 180 degrees, and hangs the front end part of the other ball plunger 42a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art 43 of the turning arm 39. Thereby,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ain push roller 19 can be switched very easily and quickly.

상술한 2개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보조 브래킷(28a, 28c)에 대한 제 3 안내롤러(29)의 부착 위치를 전환하도록 했다. 그러나, 제 2 안내롤러(27) 및 제 3 안내롤러(29) 전체를 그 배열방향을 따라서 편위시키는 것에 의해 점착테이프(A)의 탈착방향의 변경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요컨대, 각 롤러(19, 29)의 부착 위치의 변경 방법은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two embodiment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29 to the pair of auxiliary brackets 28a and 28c is switch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detachable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 by shifting the 2nd guide roller 27 and the 3rd guide roller 29 whole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That is, the method of chang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each roller 19 and 29 can employ | adopt an arbitrary structure.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변경이나 수정이 본 발명에서 이탈하지 않고, 그 보다 넓은 해석에 있어서 가능한 것은 해당 분야에서의 숙련기술자에 있어 상기로부터 명백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귀속되는 모든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하는 것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from the abov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a broader interpretation is possible from the abo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invention of the appended claims that include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belonging to the idea.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장치는 자동차의 도어 섀시 등에 띠형상의 점착테이프를 박리재로부터 박리하여 부착하는 경우, 용이하고 신속히 부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tape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ip-shaped adhesive tape is peeled off from the release material and attached to a door chassis of an automobile, the tape attaching device can be easily and quickly attached.

Claims (15)

제품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품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에 박리재가 박리된 점착 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 장치에 있어서,In the tape sticking apparatus for bonding the adhesive tape which peeled with respect to a product, and peeled off the peeling material to the tape sticking surface formed in the said product, 메인바디;Main body;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서브바디; Sub-bodies dispos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 사이에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점착 테이프가 감겨지는 제 1 누름롤러;A first press roller rotatably suppor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and wound with an adhesive tape; 상기 제 1 누름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누름롤러 보다도 점착 테이프의 부착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서브 바디에 대한 부착 위치가 전환 가능한 제 2 누름롤러;A second press roll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ress roller, and having a switch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so as to be positioned downstream from the first press roller in an attachment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안내롤러;A first guide roller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상기 제 1 안내롤러의 회전축선 및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의 회전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축선 주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가 테이프 부착면에 눌려진 상태로 전동하도록 상기 제 1 안내롤러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바디를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춰 유지하는 제 2 안내롤러;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are rotat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respectively, around the axes intersec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uide roller and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and the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are attached to the tape. A second guide roller cooperating with the first guide roller so as to be driven in a pressed state, the second guide roller movably holding the main body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of the product; 상기 제 2 안내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가 테이프 부착면에 눌려진 상태로 전동하도록, 상기 제 2 안내롤러 및 상기 제 1 안내롤러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바디를 제품의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춰 유지하고, 상기 제 1 누름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점착테이프의 점착 방향 상류측에 오프셋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한 부착 위치가 전환 가능한 제 3 안내롤러;The main body is co-operated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first guide roller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guide roll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are pressed against the tape attaching surface. A third guide roller which is movable to be held along the tape attaching surface, and which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offset at an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relative to the first pressing roller; 기단부가 상기 제 1, 제 2 누름롤러 및 상기 제 2, 제 3 안내롤러의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에 상기 서브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테이프 안내판; 및A tape guide plate whose proximal end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bbody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push rollers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rollers; And 상기 테이프 안내판의 선단부와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롤러를 끼워 상기 제 2 안내롤러의 반대측에 상기 테이프 안내판과 상기 누름롤러로 박리재 부착 점착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간극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테이프 안내판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he tape is installed between the leading end of the tape guide plate and the main body, and the press roller is inserted to form a gap portion for guiding the adhesive tape with the release material to the tape guide plate and the push roll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Tape attachment device comprising a holding means for holding a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에는 상기 제 2 누름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2개의 부착 위치 중 어느 한곳에 상기 제 2 누름롤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two attachm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press roller are set on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and the second press roller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two attachment positio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누름롤러는 상기 제 2 누름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said first press roller is located between two attachment positions to said second press roll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2 누름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은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누름롤러의 탈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the switching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cond press roller is performed by detaching the second press roller from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2 누름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은 상기 제 1 누름롤러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 2 누름롤러의 선회동작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he change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aid 2nd press roller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2nd press roller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of the said 1st press roller. The tape stick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를 연결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대해 기단부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선회암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 1 누름롤러를 관통하여 이것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제 2 누름롤러는 이 선회암의 선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a shaft membe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ub body, and a swivel arm having a proximal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member, wherein the shaft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push roller. And said second press roller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pivotal roc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서브 바디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선회암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에 대한 상기 선회암의 2개의 회동 위치를 규정하는 2셋트의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ape s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sub-body and the pivotal rock, and further provided with two sets of stoppers defining two pivoting positions of the pivotal rock with respect to the shaft member.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제 3 안내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2개의 부착 위치 중 어느 한곳에 상기 제 3 안내롤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he main body is a tap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o attachment positions are set to the third guide roller, the third guide roller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two attachment position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안내롤러는 상기 제 3 안내롤러에 대한 2개의 부착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the second guide roller is located between two attachment positions to the third guide roll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3 안내롤러의 부착 위치의 전환은 메인 바디에 대한 상기 제 3 안내롤러의 탈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he tape attac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is performed by detaching the third guide roller from the main bod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테이프 안내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누름롤러의 회전방향 양측의 상기 간극부에 각각 돌출된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a proj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tape guide plate and protruding from each of the gap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first pressing roll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한쪽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 1 누름롤러와 상기 제 2 누름롤러의 사이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he tape attaching device, wherein one of the protrusions protrudes between the first pressing roller and the second pressing roll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1 및 제 2 누름롤러는 상기 외주면이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sai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f a rubber-like elastic body in said first and second press roller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2 안내롤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rollers are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유지수단은 자력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Tap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means using a magnetic force.
KR10-2003-7004268A 2000-09-26 2000-09-26 Tape application device KR1004869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6607 WO2002026553A1 (en) 1997-11-17 2000-09-26 Tape appl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766A KR20030038766A (en) 2003-05-16
KR100486967B1 true KR100486967B1 (en) 2005-05-04

Family

ID=1173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268A KR100486967B1 (en) 2000-09-26 2000-09-26 Tape appl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86967B1 (en)
CN (1) CN1248898C (en)
DE (1) DE10085486B4 (en)
GB (1) GB23832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4487B4 (en) * 2003-02-05 2008-09-25 Audi Ag Pressing device for pressing a bead of adhesive
GB2420570B (en) * 2004-11-26 2010-03-24 Epwin Group Plc Rafter mounting assembly
ITTO20050513A1 (en) * 2005-07-25 2007-01-26 Comau Spa CELL FOR THE AUTOMATED ASSEMBLY OF COMPONENTS AND / OR THE PERFORMANCE OF OPERATIONS ON A PIECE IN AN INDUSTRIAL PRODUCTION LINE, AND A MANIPULATOR ROBOT USED IN THAT CELL.
KR101347697B1 (en) * 2012-11-21 2014-01-03 주식회사 화인알텍 Protection tape attaching jig of the display cabinet
CN106931013B (en) * 2017-03-09 2022-09-16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Tape attaching device
CN108327382B (en) * 2018-02-08 2023-05-09 河南英凯科技发展有限公司 Multifunctional lamina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5015A (en) * 1975-05-17 1976-11-22 Nissan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tape-like material onto the body structure of a car
JPH0631030B2 (en) * 1985-08-27 1994-04-27 ダイハツ車体株式会社 Waterproof rubber sticking device for window frame
US4760636A (en) * 1986-07-18 1988-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Apparatus of a robot for installing weather stripping in a door or like opening
CA2004418C (en) * 1988-12-20 2000-10-10 Dieter Goedderz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a flexible strip
GB2238339B (en) * 1989-11-22 1993-10-13 Draftex Ind Ltd Apparatus for fitting flexible strips
JP2829191B2 (en) * 1992-06-05 1998-11-2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Adhesive tape application device
JP3459345B2 (en) * 1997-11-17 2003-10-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Tape application device
JP2000118322A (en) * 1998-10-19 2000-04-25 Ougi Shokai:Kk Adhesive tape sticking jig
JP4098904B2 (en) * 1998-11-26 2008-06-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Tape sticking device and sticking method thereof
JP4339957B2 (en) * 1999-05-13 2009-10-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Tape applicator
JP2001123127A (en) * 1999-10-26 2001-05-08 Kansai Paint Co Ltd Adhesive tape sticking j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898C (en) 2006-04-05
CN1501873A (en) 2004-06-02
KR20030038766A (en) 2003-05-16
GB2383293B (en) 2004-03-17
GB2383293A (en) 2003-06-25
GB0306825D0 (en) 2003-04-30
DE10085486B4 (en) 2012-07-05
DE10085486T5 (en)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26553A1 (en) Tape application device
EP1211136B1 (en) Tape application apparatus
US8356571B2 (en) Applicator and application method for applying a sealant to a flanged seam
KR100486967B1 (en) Tape application device
KR20080102564A (en) Wiper blade
CA2134742A1 (en) Swell Latch Assembly
US6796351B1 (en) Tape application device
JP4339957B2 (en) Tape applicator
KR20010040566A (en) Vehicle door prop clip and removal method thereof
US5820725A (en) Tape application device
KR100463320B1 (en) A wiper bla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per blade
JP4219531B2 (en) Tape sticking method and apparatus
JP4295835B2 (en) Tape applicator
CN216063858U (en) A door isolation fixture for car application
JPS6154379A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212947833U (en) Quick disassembly and assembly mechanism and tunnel inspection robot
KR100625924B1 (en) Tape attaching device of car door sash
JP5151360B2 (en) Painting equipment
EP1723062A1 (en) Locator tool assembly for paint replacement films
CN116834374A (en) Gluing device and full-automatic box gluing machine
JP2005186725A (en) Door holding device to be used in manufacturing process of automobile
JP4037013B2 (en) Plate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KR200238024Y1 (en) Tape adhe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door chassis tapeing
KR200304004Y1 (en) Cover fixing device
KR100457290B1 (en) Cover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