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934B1 - 탄성 샤프트 커플링 - Google Patents

탄성 샤프트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934B1
KR100486934B1 KR10-2000-7012731A KR20007012731A KR100486934B1 KR 100486934 B1 KR100486934 B1 KR 100486934B1 KR 20007012731 A KR20007012731 A KR 20007012731A KR 100486934 B1 KR100486934 B1 KR 10048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ing
rubber body
elastic shaft
connecting flan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255A (ko
Inventor
위르겐 발터
울리히 팔츠
Original Assignee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16D3/7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the intermediate member or members being made of rubber or other rubber-like flexi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2Overheat protection, i.e.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overheating
    • F16D2300/021Cooling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2 or F16D25/123, e.g. heat transfer details
    • F16D2300/0212Ai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Gears, Cam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고무 바디(3)를 갖는 하나 이상의 토션 엘리먼트를 전동 부재(1)로 포함하고, 상기 고무 바디의 삽입 측면 및 인출 측면에 축 방향 연결 플랜지(2)가 고정되며, 상기 고무 바디(3)의 축 방향 폭이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증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고무 바디(3)내에서 다이내믹 부하가 작용시에 나타나는 국부적인 기계적 및 열적 부하를 줄이거나 더 유리하게 분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무 바디(3)의 축 방향 폭이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단면상으로 점차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탄성 샤프트 커플링{ELASTIC SHAFT COUPLING}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무 바디를 갖는 하나 이상의 토션 엘리먼트를 전동 부재로 포함하고, 상기 고무 바디의 삽입 측면 및 인출 측면에 축 방향 연결 플랜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샤프트 커플링에서는 전동 부재로서 기능하는 고무 바디의 축 방향 양면상에 연결 플랜지가 고정적으로 가황된다. 상기 연결 플랜지를 통해 샤프트 커플링이 드라이브 트레인(drive train) 내부로 삽입되며, 이 경우 토크의 전달은 전적으로 고무 바디를 제작하는 고무 재료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때 토크의 변동은 고무 바디의 탄성에 의해, 연결된 드라이브 트레인으로부터 제거된다.
동작 중에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부하 교체시에는 전동 부재의 다이내믹 부하가 상당하게 발생된다. 상기 다이내믹 부하는 한편으로는 연결 플랜지와 고무 바디의 결합에 상당한 팽창 부하로 나타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점성 효과, 즉 고무 제작 재료의 내부 마찰 효과에 의해서 기계 에너지로부터 열 에너지로의 변동이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고무 재료의 상당히 낮은 열전도성 때문에 국부적인 가열 피크, 소위 열 둥우리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재료 고유의 한계 온도가 초과되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국부적인 손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이하게 외부 커버면의 영역에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 커버면 영역에서 팽창이 최댓값을 취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고무-금속-결합의 변환부에서 매우 높은 부하가 나타나며, 물론 이것은 특히 외부 경계 에지에서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밖에 기계적 부하와 동반하여 나타나는 재료 표면의 가열도 예정된 한계값을 초과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재료 표면에서 나타나는 노화 과정이 점차로 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행 기술에서는 전술한 문제점들이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해결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무 커플링은 오래 전부터 바람직한 작동 특성을 갖는 매우 신뢰할만한 구성 부재로서 간주되었다. 선행 기술에서는 특히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서 국부적인 부하가 저해되지 않는 수치로 감소되었다. 더욱이 국부적인 기계적 부하 또는 열적 부하의 형성이 직접적으로 완화되고/완화되거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서 배려된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바람직한 조치들은 예를 들어 DE 37 10 390 C2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연결 플랜지가 원추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고무 바디는 외부로 부채와 같은 모양으로 확장되는 V-형태의 횡단면을 갖게 된다.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에 배치된 섬유는 더 큰 탄성 길이를 갖게 된다. 그에 의해 나타나는 비교적 적은 국부적 팽창은 열방출 및 고무-금속-경계면의 부하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발생되는 열 손실은 전동 부재의 세그먼트식 형성과 관통되는 냉각 윈도우의 제공과 같은 다른 조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더 작은 장치 공간과 더불어 더 높은 출력 밀도로의 경향은 선행 기술에 따라 공지된 고무 커플링의 지속적인 최상화를 요구하게 한다. US 특허 공보 2 742 769호에는, 2개의 연결 플랜지 사이에 하나의 고무 바디를 포함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의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서는, 정적으로 견딜만한 토크에 도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방식의 고무 바디가 특히 토크 변동시에 주로 외경이 급속하게 손상되는 사실이 나타났다.US 특허 공보 2 285 316호에도 마찬가지로, 크기가 더 작은 기계적 구동장치 내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무 바디를 갖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샤프트 단부 사이에 있는 고무 바디의 형상은 특히 고무-금속-경계면에서 국부적인 과부하로 인해 고무 바디의 파괴를 야기한다.선행 기술의 전술한 단점으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재료 고유의 부하 수용 능력, 고무의 낮은 열전도력 및 외부로 증가하는 고무 바디의 부하를 고려한 가운데 기본 팽창에 대한 피크 팽창의 비율이 낮음으로써 훨씬 더 긴 수명을 갖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을 제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전동 부재를 절단한 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전동 부재를 절단한 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재-모듈로 구성된 샤프트 커플링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적인 기계적 부하 및 열적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더욱 유리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을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단면상으로 점차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제안하며, 이 경우 축 방향 연결 플랜지는 고무-금속-경계면이 꺾이지 않고 서로 대칭하여 연속적으로 휘어진 컵 형태 또는 종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고무 바디의 횡단면은 내측 및 외측 방사 영역을 포함하며, 이 경우 반경이 증가되는 축 방향 폭은 내측 영역에서보다 외측 영역에서 더 급속하게 증대된다. 선행 기술에서는 고무 바디의 폭이 원추면 형태의 연결 플랜지에 의해서 전체 횡단면이 부채모양으로만, 즉 비례적으로만 증가되는 만면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작용하는 탄성 폭이 단면상으로 급속하게 증가된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무 바디의 횡단면을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종 형태로 확대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컵 형태 또는 튤립 형태로도 기술될 수 있는 종 형태의 실시예에 의해서, 개별 영역 사이에 연속적으로 휘어지고 라운딩 된 변환부가 형성되었다. 연결 플랜지의 연장부가 꺾여지는 것을 피함으로써 고무-금속-경계부의 균일한 부하가 야기된다. 이 경우 불연속은 최대로 피해진다.
본 발명은 물론 관통 방식 링형으로 형성된 고무 바디에서뿐만 아니라 세그먼트화된 고무 바디에서도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이한 장점은, 외측 영역에서의 탄성 길이가 반경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기계적 부하 및 열적 부하에 더 우수하게 매칭된다는 사실로부터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또한, 더 적은 국부적 팽창이 나타나는 동시에 주변 공기로의 더욱 우수한 열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고무 바다의 외부 표면이 확대된다. 그럼으로써, 서문에 언급한 노화 효과가 분명하게 감소된다. 고무 바디의 전체 횡단면의 값이 예정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부하가 얻어진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이미 인용된 DE 37 10 390 C2호 또는 DE 33 10 695 C호에서 사전 공지된 커플링의 구조적 형상에 비해 전달될 수 있는 출력 밀도가 증가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주어진 토크에 대해서 커플링의 고장이 더 적을 수 있고, 장치 공간을 더 적게 축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커플링의 치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응하게 더 높은 파워가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대안적인 실시예는 서문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동 부재가 하나 이상의 내부 고무 바디 및 하나 이상의 외부 고무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며, 이 경우 고무 바디는 커플링 축을 동축으로, 방사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삽입 측면 및 인출 측면에 공통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형상은 커플링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점차 외부로 확대되는 고무 바디 또한 서문에 언급된 선행 기술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전동 부재는 공지된 선행 기술과 달리 방사 방향으로 된 일체형 고무 바디뿐만 아니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링형 혹은 세그먼트 형태의, 서로 방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별도의 고무 바디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고무 바디들은 삽입 측면상에서 뿐만 아니라 인출 측면상에서도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통의 연결 플랜지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이것은 외측 고무 바디 및 내측 고무 바디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 채널이 형성되어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이한 장점은 둘레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냉각 채널이 축 방향으로 금속 연결 플랜지에 의해서 제한된다는 사실이다. 냉각 채널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흡수된 열을 열전도성이 우수한 연결 플랜지로 직접 방출함으로써, 열전도성이 나쁜 고무 재료로 된 고무 바디의 경우에도 내부에서 다이내믹 부하 작용할 때 발생되는 열이 매우 우수하게 방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재료 내에서의 임계적이고 국부적인 열적 피크 부하의 형성이 특히 부하를 강하게 받은 외측 고무 바디가 더 적은 방사 방향 치수를 가짐으로써 추가로 저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국부적 열부하에 최상으로 매칭되는 냉각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고무 바디의 바람직하고 매우 균일한 부하가 형성된다. 그 결과 전달될 수 있는 출력 밀도뿐만 아니라 수명도 증가될 수 있다는 특이한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무 바디가 공통의 일체형 연결 플랜지에 설치된다. 이것은 다수의 내측 고무 바디 및 외측 고무 바디가 각각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 플랜지에 직접 가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플링의 구조적 형상에 따라 연결 플랜지는 링형-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링형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는 각개 고무 바디들이 동일하게 링형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커플링의 특히 바람직한 대안은, 전동 부재-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해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연결 플랜지-모듈을 내측 및 외측 고무 바디에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실시예의 특이한 장점은, 규격화된 모듈로 이루어진 상이한 크기의 샤프트 커플링이 쌓아 올리는 나무 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연결 플랜지-모듈의 둘레면에는 대응 연결 부재, 예컨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 보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동 부재-모듈은 방사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통의 전체 연결 플랜지는 서로 결합된 각각의 연결 플랜지-모듈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모듈 방식 구성은 제조시에 상이한 반경의 전동 부재-모듈을 계단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상이한 파워 등급의 샤프트 커플링을 복잡하고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수 제작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작동시 마모된 전동 부재-모듈을 적은 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손상된 커플링의 사용 가능성이 단기간에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동 부재-모듈의 연결 플랜지-모듈은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으로 서로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 플랜지-모듈이 각각 방사 방향으로 고무 바디 위로 돌출된다. 이때 내측 모듈 및 외측 모듈은, 각개의 연결 플랜지들이 내측 혹은 외측로 연속되는 다음 모듈의 연결 플랜지들 사이로 방사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매칭된다. 해체 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연결 플랜지-모듈들은 방사 방향 에지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는 축 방향 플랜지 보어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고, 플랜지 보어에 의해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전동 부재-모듈은 대안적으로 세그먼트 방식 혹은 관통되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된 실시예에서는 조립을 위한 외측 모듈의 연결 플랜지-세그먼트들이 아무 문제없이 방사 방향으로 계단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플랜지-모듈들이 폐쇄-링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모듈들은 동축 조립을 위해서 먼저 축 방향으로 조성되어야 하고, 그 다음에는 적합한 연결 부재에 의해서, 예컨대 나사 결합에 의해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더욱이 플랜지 링 등과 같이 나중에 세팅될 수 있는 고정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추가 부재 없이 충분하게 대칭으로 삽입되는 구조적 형상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바람직한 변형예는, 연결 플랜지-모듈을 총검(bayonet)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에는 연결 플랜지들이 방사형 리세스 및 돌출부를 갖는 대응 내측 총검 및 외측 총검을 포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립 위치에서 처음 플랜지 링이 크기가 다음으로 작은 연결 플랜지 위에 축 방향으로 위치 되고, 그 다음에 상대 회전에 의해서 동축의 내장 위치에 축 방향으로 로킹되며, 그 다음에 상기 제동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된 돌출부가 서로 나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고무 바디가 내측 고무 바디보다 축 방향으로 더 넓다. 그와 함께 전단 공칭 응력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일정한 상황이 고려된다.
실제로 나타나는 부하에 대한 매칭을 여러 차례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내측 및 외측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단면상으로 점차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사형 고무 바디의 횡단면은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종 형태 혹은 컵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것은 모든 각개 고무 바디뿐만 아니라 샤프트 커플링내에 있는 전체 고무 바디에도 관련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국부적 부하가 균일화되고 그에 상응하게 수명도 증가된다.
냉각을 개선시키기 위해 각각의 전동 부재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고무 바디 내에 냉각 부재들이 해체 불가능하게 매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무 중에서 열 방출이 최대인 코어 영역 및 그에 비해 더 차가운 외부 영역을 통과하여 흐르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부품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은 임계 영역으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한다. 토션 엘리먼트내에서 상기 냉각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축 방향 냉각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각개 고무 바디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부재들이 외부로 돌출되면 제조 기술적으로 장점이 있는데, 그 장점은 상기 부재들이 가황 공정 동안 고무를 분사할 때 돌출하는 영역에서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고의 부하를 위해 연결 플랜지와 고무 바디의 결합을 최상화하기 위해서는, 연결 플랜지가 축 방향 및/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무 바디에 의해서 둘러싸인 지지 쇼울더를 포함하는 것이 장점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쇼울더가 라운딩 횡단면을 갖는 링형 쇼울더로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특이하게 부하를 받는 에지 영역에서 가황 커넥터가 더 우수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재를 방사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는 도면에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기되어 있다. 커플링 축(K)은 도시한 시각에서 볼 때 도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전동 부재(1)는 링형뿐만 아니라 세그먼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동 부재(1)는 강철로 이루어진 축 방향 연결 플랜지(2)를 포함하며, 이 플랜지는 모든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에서 축 방향으로 가황된다.
연결 플랜지(2)는 방사방향으로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 위로 돌출되며, 상기 영역에는 축 방향 플랜지 보어(4)가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 보어(4)를 관통하여 박혀진, 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나사 볼트에 의해서 전동 부재(1)가 드라이브 트레인 내부로 삽입될 수 있거나 - 또는 -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전동 부재(1)가 방사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2)의 내부 영역은 V-형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연결 플랜지(2) 사이에 있는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의 축 방향 폭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균일하게 증가한다. 연결 플랜지(2)의 외부 영역은 서로 대칭으로 휘어져서 외부로 확장되어 있고, 그 결과 전체 고무 바디(3)의 축 방향 폭이 점차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그럼으로써,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로 형성된 전체 고무-커플링 바디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형태 또는 종 형태로 이루어진다.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및 3d)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 채널(5)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플랜지(2)에는 냉각 윈도우(6)가 제공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재(1)가 도 1에서와 동일한 시각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2에서는 모든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가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컵 형태 또는 종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이 단면상으로 외부로 점차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추가적으로는 내측 고무 바디 보다 외측 고무 바디의 두께가 방사방향으로 점차 감소됨으로써, 각각의 국부적 부하에 더 우수하게 매칭되는 냉각이 실현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시각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샤프트 커플링의 단면을 보여주며,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3의 모든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에는 각기 별도의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제공됨으로써,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이 형성된다. 또한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와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은 각각 독립적으로 고리모양인 링형으로 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연결 플랜지-모듈(2a) 사이에 고무 바디(3a), 연결 플랜지-모듈(2b) 사이에 고무 바디(3b), 연결 플랜지-모듈(2c) 사이에 고무 바디(3c)가 위치된다.
각개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의 방사 방향 외부는 각각 계단 방식으로 내부로 끼워져 있으며, 이 경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은 각각 플랜지 보어(4)의 영역에서 중첩되고, 그곳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플랜지 보어에 의해서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각개 고무 바디(3a, 3b, 3c)는 전동 부재-모듈(1a, 1b, 1c)를 위해서 - 도 3에서와 같이 - 횡단면이 각각 컵 형태 또는 종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쌓아 올리는 나무 상자 형태로 해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전동 부재-모듈(1a, 1b, 1c)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 채널(5)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될 파워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전동 부재-모듈(1a, 1b, 1c)로 정렬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이 계단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커플링이 전동될 토크에 최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의 규격화를 통해 매우 경제적인 제조가 이루어진다.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은 대안적으로 폐쇄 링형 또는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 및 각개 고무 바디(3a, 3b, 3c)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따로따로 형성된다. 링형 실시예에서는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에 바람직하게는 총검 형태로, 방사형 돌출부 및 리세스가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전동 부재-모듈(1a, 1b, 1c)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 부재(1)에서와 같이 냉각 윈도우(6) 또는 추가의 냉각 채널(5)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은 - 냉각 부재가 전체 고무 바디(3)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무 바디를 갖는 하나 이상의 토션 엘리멘트를 전동 부재와 전동 부재-모듈 중의 하나로 포함하고, 상기 고무 바디의 삽입 측면과 인출 측면에 축 방향 연결 플랜지가 고정되며, 고무 바디의 축 방향 폭이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방사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고무 바디(3)의 축 방향 폭이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볼 때 단면상으로 점차 증가하며, 2개의 축 방향 연결 플랜지(2)와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중의 하나가 고무-금속-경계면이 꺾이지 않고 서로 대칭하여 연속적으로 휘어진 컵 형태와 종 형태 중의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1)와 전동 부재-모듈(1a, 1b, 1c)중의 하나는 하나 이상의 내측 고무 바디(3a) 및 하나 이상의 외측 고무 바디(3b)를 포함하며,
    고무바디(3)를 구성하는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는 커플링 축(K)을 동축으로 하여서 방사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삽입 측면과 인출 측면에 연결 플랜지(2)와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 중의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개 고무 바디(3a, 3b, 3c, 3d)가 공통의 일체형 연결 플랜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4. 제 2항에 있어서,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에 별도의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은 방사 방향으로 연속되면서 해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모듈(1a, 1b, 1c)의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방사 방향으로 인접 연결 플랜지-모듈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방사 방향 에지 영역에서 인접 연결 플랜지-모듈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축 방향 플랜지 보어(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세그먼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총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0. 제 2항에 있어서,
    외측 고무 바디(3b)가 내측 고무 바디(3a)보다 축 방향으로 더 넓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개 고무 바디(3a, 3b, 3c)가 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개 고무 바디(3a, 3b, 3c)가 세그먼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1)가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 윈도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의 내부로 냉각 부재가 해체 불가능하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가 축 방향 냉각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가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의 외부 표면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모듈(2a, 2b, 2c)이 축 방향과 방사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쇼울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쇼울더는 각개 고무 바디(3a, 3b, 3c)에 의해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샤프트 커플링.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0-7012731A 1998-05-15 1999-05-17 탄성 샤프트 커플링 KR100486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1948.2 1998-05-15
DE19821948A DE19821948C2 (de) 1998-05-15 1998-05-15 Elastische Wellen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255A KR20010071255A (ko) 2001-07-28
KR100486934B1 true KR100486934B1 (ko) 2005-05-03

Family

ID=786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731A KR100486934B1 (ko) 1998-05-15 1999-05-17 탄성 샤프트 커플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23362B1 (ko)
EP (1) EP1078174B1 (ko)
JP (1) JP4416099B2 (ko)
KR (1) KR100486934B1 (ko)
CN (1) CN1120945C (ko)
DE (2) DE19821948C2 (ko)
ES (1) ES2217820T3 (ko)
WO (1) WO1999060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6651A1 (de) * 2006-04-08 2007-10-11 Hackforth Gmbh Elastische Wellenkupplung mit ungleichen Gummikörpern
DE102006044109A1 (de) 2006-09-20 2008-03-27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 eines ersten mit einem zweiten zylindrischen Bauteil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ersten und des zweiten Bauteiles
DE102008016700A1 (de) 2008-03-31 2009-10-01 Hackforth Gmbh Elastische Wellenkupplung
US8162762B2 (en) 2009-07-01 2012-04-2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Generator flexible drive coupling
DE102011117154A1 (de) * 2011-10-28 2013-05-02 Hackfort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astischen Wellenkupplung
CN102654164A (zh) * 2012-05-10 2012-09-05 横店集团联宜电机有限公司 联轴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0516A (en) * 1931-01-27 Alfeed o
DE675155C (de) * 1936-02-15 1939-05-02 Getefo Ges Fuer Tech Fortschri Drehmomentuebertragende elastische Kupplung mittels Gummimetallbauteils
US2295316A (en) * 1939-05-06 1942-09-08 Lord Mfg Co Joint
US2742769A (en) * 1953-02-16 1956-04-24 Baldwin Lima Hamilton Corp Coupling
FR1267022A (fr) * 1960-09-09 1961-07-17 Metzeler Gummiwerke Ag Accouplement flexible et libérable pour mécanismes de transmission subissant des accélérations non uniformes
US3545231A (en) * 1969-02-07 1970-12-08 Reliance Electric Co Multiple flexible element coupling
SU571637A1 (ru) * 1975-09-29 1977-09-05 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Высшее Техническое Училище Им. Н.Э.Баумана Упруго-компенсационна муфта
US4094520A (en) * 1977-05-02 1978-06-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lf centering flange gasket assembly
DE3109388A1 (de) * 1981-03-12 1982-09-30 Hackforth GmbH & Co KG, 4690 Herne "hochelastische wellenkupplung"
DE3310695A1 (de) * 1983-03-24 1984-09-27 Hackforth GmbH & Co KG, 4690 Herne Hochelastische wellenkupplung
FR2583486B1 (fr) * 1985-06-14 1989-03-31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a amortissement au moins partiellement du a un element elastomere
DE3710390C2 (de) * 1987-03-28 1996-07-18 Hackforth Gmbh & Co Kg Elastische Wellenkupplung
DE19703936A1 (de) * 1997-02-04 1998-08-06 Hackforth Gmbh & Co Kg Wellenkupplung
DE29716048U1 (de) * 1997-09-08 1997-12-04 Deschler Gerhard Dipl Ing Elastische Kupplung zum Übertragen von Drehmomenten bei Antriebseinheiten, insbesondere solchen eines Antriebs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21948C2 (de) 2003-11-27
JP2002515572A (ja) 2002-05-28
KR20010071255A (ko) 2001-07-28
ES2217820T3 (es) 2004-11-01
CN1120945C (zh) 2003-09-10
WO1999060283A1 (de) 1999-11-25
CN1305567A (zh) 2001-07-25
US6623362B1 (en) 2003-09-23
EP1078174A1 (de) 2001-02-28
DE19821948A1 (de) 1999-12-02
JP4416099B2 (ja) 2010-02-17
EP1078174B1 (de) 2004-02-25
DE59908655D1 (de)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17B1 (ko) 탄성 조인트 바디
US5719457A (en) Squirrel-cage rotor for an asynchronous machine
KR920009818B1 (ko) 탄성 축 커플링
US8124874B2 (en) Insulator disk for supporting a linear conductor, and an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such a disk
KR100486934B1 (ko) 탄성 샤프트 커플링
CN111788759B (zh) 转子、异步电机和压盘的应用
KR20080065601A (ko) 휠 볼트를 위한 구멍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 홈을 구비한 휠허브
US20110162926A1 (en) Brake disk having a brake disk pot
US20140308112A1 (en) Slide ring seal arrangement with tesla pump
KR880002566B1 (ko) 샤프트 커플링
US6234903B1 (en) Shaft coupling with cooling elements
US4598463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ommutator
US10508699B2 (en) Floating rotor disc brake with marcel expander ring attachment
US7141908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20110044568A1 (en) Bearing arrangement
GB2291686A (en) Bend stiffeners
US20060028074A1 (en)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19502877A (ja) 車両のためのブレーキロータ
US6101701A (en) Reinforcement ring for rotating bod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9823545U (zh) 电机壳体
US4526556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shafts
US6582148B1 (en) Elastic shaft coupling having a torsion element
KR100496755B1 (ko) 탄성 샤프트 커플링
CN115076247B (zh) 一种风电高速轴联轴器
US9683609B1 (en) Flexible couplings with improved torque transmitt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