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328B1 -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 Google Patents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328B1
KR100485328B1 KR10-2003-0011503A KR20030011503A KR100485328B1 KR 100485328 B1 KR100485328 B1 KR 100485328B1 KR 20030011503 A KR20030011503 A KR 20030011503A KR 100485328 B1 KR100485328 B1 KR 10048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plate portion
opening
automatic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154A (ko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03-001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3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는, 자동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받침판부(111)와, 받침판부(111)에서 수직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부(112a)가 길게 형성된 고정판부(112)로 구성되는 제1브라켓(110)과; 제1브라켓(110)의 개구부(112a)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 개구부(112a) 양측이 삽입되는 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브라켓(120)과; 중심축이 제2브라켓(120)의 상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설치되고 문틀내에 설치된 설치패널의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롤러(130)와; 제2브라켓(120)의 하부에 관통 설치되고 레일의 저면에 접면되어 슬라이딩롤러(130)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140); 및 제1브라켓(110)의 고정판부(112)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벨트와 결합되는 벨트결합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도어용 도어행거{DOOR HANGER FOR AUTO DOOR}
본 발명은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여닫기 위한 도어는 근래들어 자동개폐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개폐식 도어는 도어의 일측으로만 개폐되는 편개폐도어 및 양쪽으로 개폐되는 양개폐도어로 구분되며, 이들은 공히 자동개폐장치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도어 개폐장치중 양개폐도어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자동도어 개폐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도어 개폐장치는, 문틀(1) 내의 설치패널(2) 일측에 구동모터(3)를 장착하고, 구동모터(3)에 구동모터(3)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4)를 연결하며, 설치패널(2)의 타측에 종동풀리(5)를 설치하여 감속기(4)의 구동풀리(4a)와 종동풀리(5)를 벨트(6)로 연결하고, 자동도어(7)(7´)의 상부에 설치되고 설치패널(2)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도어행거(8)를 벨트(6)에 결합함으로써,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벨트(6)가 회전하면서 자동도어(7)(7´)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자동도어용 도어행거(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도어(7)(7´)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판부(81)와, 바닥판부(81)에서 수직 연장되는 고정판부(82)로 구성된 제1브라켓(83)과; 설치패널(2)의 레일(2a)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롤러(84)와 레일(2a)로부터 슬라이딩롤러(8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85)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브라켓(8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브라켓(86); 및 제2브라켓(86)의 일측에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벨트(6)와 결합되는 벨트결합구(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제1브라켓(83)의 고정판부(82) 양측에는 제2브라켓(86)에 고정판부(82)를 체결하는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장공(8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브라켓(83)과 고정판부(82)의 전면부에는 제2브라켓(86)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롤러(84)가 설치패널(2)의 레일(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브라켓(86)에 대하여 제1브라켓(83)을 상하 이동시켜 자동도어(7)(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구(88)가 관통되는 높낮이 조절판(89)(89´)이 각각 상하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2브라켓(83)(86)을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풀고 높낮이 조절구(88)를 회전시키면, 제1브라켓(83)은 제2브라켓(86)에 대하여 상하 이동된다. 이처럼, 높낮이 조절구(88)를 회전시켜 자동도어(7)(7´)가 어느정도 상하 이동되면 체결볼트를 조여줌으로써 제1브라켓(83)은 제2브라켓(86)에 고정되고 자동도어(7)(7´)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경우, 자동도어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2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풀어야 하며, 자동도어의 높낮이를 조정한 후에는 이를 다시 견고히 조여주어야 하므로 자동도어의 높낮이 조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체결부재를 구비하는데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된 장공의 폭이 체결볼트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격이 발생되므로, 제1,2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풀 때 제1브라켓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볼트를 구비하지 않고 높낮이 조절구의 회전만으로 제2브라켓에 대하여 제1브라켓을 상대 이동시켜 자동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브라켓에 대하여 제1브라켓이 상대 이동할 때 제1브라켓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는, 자동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받침판부와, 받침판부에서 수직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부가 길게 형성된 고정판부로 구성되는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개구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 개구부 양측이 삽입되는 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브라켓과; 중심축이 제2브라켓의 상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설치되고 문틀내에 설치된 설치패널의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롤러와; 제2브라켓의 하부에 관통 설치되고 레일의 저면에 접면되어 슬라이딩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 및 제1브라켓의 고정판부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벨트와 결합되는 벨트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는, 제1브라켓의 고정판부 상부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판부; 및 수평판부와 슬라이딩롤러의 중심축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제2브라켓에 대하여 제1브라켓을 상대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가 적용된 자동도어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과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기능을 부여키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100)(100´)는, 자동도어(7)(7´)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브라켓(110)과, 제1브라켓(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부에 슬라이딩롤러(130) 및 이탈방지볼트(140)가 장착된 제2브라켓(120)과, 제1브라켓(110)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벨트(6)와 결합되는 벨트결합구(150)(150´), 및 제2브라켓(120)에 대하여 제1브라켓(110)을 상대 이동시켜 자동도어(7)(7´)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브라켓(110)은 자동도어(7)(7´)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도어(7)(7´)의 상부에 장착되는 받침판부(111)와, 받침판부(111)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며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부(112a)가 길게 형성된 고정판부(112), 및 고정판부(112)의 상부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판부(113)로 이루어진다.
이 때, 고정판부(112)의 양측에는 벨트결합구(150)(15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114)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수평판부(113)에는 높낮이 조절구(160)의 상부를 탈거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삽입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120)은 제1브라켓(110)의 개구부(112a)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전면부에 제1브라켓(110)의 개구부(112a) 양측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21a)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슬라이딩롤러(130)의 중심축(131)과 이탈방지볼트(140)가 관통 설치되는 제1관통공(121b)(121b´)이 각각 형성된 후방패널(121); 및 제1브라켓(110)의 전방에서 후방패널(12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브라켓(110)의 개구부(112a) 양측이 후방패널(121)의 가이드홈(1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부에 후방패널(121)의 제1관통공(121b)(121b´)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122a)(122a´)이 각각 형성된 전방패널(122)로 구성된다.
이 때, 후방패널(121)과 전방패널(122)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롤러(130)의 중심축이 각 패널(121)(12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된 후 너트에 의해 견고히 체결될 때 이 체결에 의해서도 서로 고정된다.
상기 벨트결합구(150)(150´)의 하부 중심에는 제1브라켓(110)의 고정판부(112)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부(114)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150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가이드장공(150a) 양측으로는 벨트결합구(150)를 고정판부(11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고정장공(150b)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결합구(150)는 가이드돌부(114)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장공(150a) 및 고정장공(150b)의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결합구(150)(150´)는 서로 마주보는 두 자동도어(7)(7´)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브라켓(110)중 출입구의 중심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제1브라켓(110)에 장착되며, 이 중 어느 하나의 벨트결합구(150)는 벨트(6)의 상부에 결합되고 다른 벨트결합구(150´)는 벨트(6)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벨트(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도어(7)(7´)는 출입문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벨트(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도어(7)(7´)는 출입문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16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은 슬라이딩롤러(130)의 중심축(131) 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타단은 제1브라켓(110)의 수평판부(113)에 형성된 삽입홈(113a)을 관통하는 나사부(161)와, 나사부(161)의 타단에 형성되어 제1브라켓(110)의 수평판부(113) 상면에 접면되는 머리부(162), 및 나사부(161)의 타단부에 수평판부(113)의 두께 만큼 머리부(162)와 이격 형성되어 수평판부(113)의 저면에 접면되는 접면부(163)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제2브라켓(120)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130)가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구(160)를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120)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구(160)의 나사부(161)가 하강하면서 머리부(162)로 수평판부(113)를 밀어 하강시킴으로써, 자동도어(7)(7´)는 도 7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7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구(16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나사부(161)가 상승하면서 접면부(163)로 수평판부(113)를 밀어 상승시킴으로써, 자동도어(7)(7´)는 도 6과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100)(100´)는, 높낮이 조절구(160)의 회전만으로 제2브라켓(120)에 대하여 제1브라켓(110)을 상대 이동시켜 자동도어(7)(7´)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2브라켓(12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1a)에 제2브라켓(120)의 개구부(112a) 양측이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됨으로써 제2브라켓(120)의 승강시 제2브라켓(120)의 좌우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자동도어(7)(7´)를 올바르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에 따르면, 높낮이 조절구의 회전만으로 제2브라켓에 대하여 제1브라켓을 상대 이동시키고 제2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제2브라켓의 개구부 양측이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2브라켓을 서로 체결하는데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치 않으며 높낮이 조절구의 회전만으로 간편하게 자동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자동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 승강시 좌우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자동도어를 올바르게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도어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가 적용된 자동도어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분해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용 도어행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도어행거 110 : 제1브라켓
111 : 받침판부 112 : 고정판부
113 : 수평판부 114 : 가이드돌부
120 : 제2브라켓 121 : 후방패널
122 : 전방패널 130 : 슬라이딩롤러
140 : 이탈방지볼트 131 : 중심축
150 : 벨트결합구 160 : 높낮이 조절구
161 : 나사부 162 : 머리부
163 : 접면부

Claims (5)

  1. 자동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에서 수직 연장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부가 길게 형성된 고정판부로 구성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개구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 상기 개구부 양측이 삽입되는 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브라켓과;
    중심축이 상기 제2브라켓의 상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설치되고 문틀내에 설치된 설치패널의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제2브라켓의 하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레일의 저면에 접면되어 상기 슬라이딩롤러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 및
    상기 제1브라켓의 고정판부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벨트와 결합되는 벨트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고정판부 상부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판부; 및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슬라이딩롤러의 중심축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제1브라켓을 상대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양측 전면부에 상기 제1브라켓의 개부구 양측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상기 슬라이딩롤러의 중심축 및 이탈방지볼트가 관통 설치되는 제1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후방패널;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패널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개구부 양측이 상기 후방브라켓의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부에 상기 후방패널의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전방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롤러의 중심축 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브라켓의 수평판부를 관통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수평판부 상면에 접면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나사부의 타단부에 상기 머리부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수평판부 저면에 접면되어, 상기 나사부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결합구의 하부에는 상하로 장공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고정판부 양측 전면에는 상기 벨트결합구의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벨트결합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KR10-2003-0011503A 2003-02-24 2003-02-24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KR10048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03A KR100485328B1 (ko) 2003-02-24 2003-02-24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03A KR100485328B1 (ko) 2003-02-24 2003-02-24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414U Division KR200316560Y1 (ko) 2003-02-24 2003-02-24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154A KR20040076154A (ko) 2004-08-31
KR100485328B1 true KR100485328B1 (ko) 2005-04-28

Family

ID=3736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503A KR100485328B1 (ko) 2003-02-24 2003-02-24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76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펜타포스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3088B (zh) * 2013-11-06 2016-04-20 宁波欧德意自动门有限公司 一种平移式医用门的自适应平衡吊架装置
KR102012129B1 (ko) * 2018-05-16 2019-08-19 현대제철 주식회사 탄화실용 도어 서비스카의 주행장치
EP3894347B1 (en) * 2018-12-12 2022-08-10 Inventio AG Elevator door arrangement with door panel adjustability in at least two dimensions
KR102186381B1 (ko) * 2020-07-03 2020-12-03 ㈜에이.티.아이 지하철 승강장 안전도어용 행거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76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펜타포스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154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3299B2 (en) Hinge for door or window
US4980947A (en) Casement window hinge
US20100269291A1 (en) Carriage for holding a separation element and separation element
US6643898B1 (en) Self-centering pivot door hinge system
US8375636B2 (en) Adjustable spindle arrangement for door operating apparatus retrofit kit
KR100485328B1 (ko)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KR100589631B1 (ko) 높낮이 조절 호차
KR200316560Y1 (ko) 자동도어용 도어행거
KR10102281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KR101952261B1 (ko)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200394260Y1 (ko) 행거도어의 높낮이 조정용 도어행거
US6321413B1 (en) Running carriage for a sliding door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KR200277264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US20030061682A1 (en) Cabinet Hinge
KR100530838B1 (ko)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KR101202504B1 (ko) 창호용 롤러
KR200288385Y1 (ko)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KR0140000Y1 (ko) 자동문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US20060010774A1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JP2795819B2 (ja) 折戸及び折戸用吊り金具
KR200277322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20010071648A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CN218815876U (zh) 一种侧部调节的升降滑动组件
CN217652563U (zh) 一种滑动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