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227B1 -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 Google Patents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227B1
KR100484227B1 KR10-2001-0027978A KR20010027978A KR100484227B1 KR 100484227 B1 KR100484227 B1 KR 100484227B1 KR 20010027978 A KR20010027978 A KR 20010027978A KR 100484227 B1 KR100484227 B1 KR 10048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vacuum tube
spima
honeycomb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907A (ko
Inventor
이균철
Original Assignee
이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균희 filed Critical 이균희
Priority to KR10-2001-002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227B1/ko
Priority to PCT/KR2002/000969 priority patent/WO2002100206A1/en
Publication of KR2002008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for use in minefields; protecting from landmine blast; preventing landmines from being 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매설된 대인(발목)지뢰의 피폭으로 부터 사람의 신변과 특히 발목 부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방탄 소재와 충격흡수 소재를 응용하여, 인체공학적 설계로서 2단계의 충격분산과, 2단계의 충격배척 흡수 하니캄 내장과, 3단계의 진공층으로 충격 흡수 및 파장의 진정구조를 형성하고, 7단계의 충격흡수 젤층과 총21층 단계의 각종 방탄과 충격흡수 소재를 역학적으로 배열하여, 피폭시 1차로 외겉창이 충격분산 흡수로서 파괴산화 되면서, 폭력을 약 50%를 감소시키고, 다음 진공층을 거쳐 내겉창에 도달한 폭력은 약 50%로서 또다시 충격분산과 흡수가 되므로, 3차 속겉창은 2차 겉창의 보호로 그 속에 있는 발을 적극보호하게 되는 구조로 발명된, 상시 착용이 가능한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safety combat shoes}
본 발명은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인지뢰의 피폭으로 발생하는 폭력으로 부터, 발목를 비롯한 신체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군 작전시 적군의 병력의 이동 지연과 적군이 자군의 부대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여러종의 지뢰중에서, 사람의 신체중 발목 이하 부분에 치명적인 상처를 가하도록 개발된 것이 대인(발목)지뢰인데, 이러한 대인(발목)지뢰의 피폭으로 야기되는 병력의 손실이나 군사작전지역 인근의 민간인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알게 모르게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거나, 또한 필요시 지뢰매설(지뢰밭) 지역에서 군사작전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항이 발생하기도 하여, 이러한 작업이나 작전시 지뢰를 밟아 발생하는 피폭에 대하여 안전한 신발을 필요로하고 있으나, 아직 상용하는 전투화가 개발되지 않아 재래식 전투화를 사용하거나, 또는 신발위에 또 신발을 이중으로 신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세계 도처의 분쟁지역이나 분쟁이 끝난 지역에서도 이미 매설되어 있는 대인(발목)지뢰를 제거할 수 없어 공포의 무기로 알려져 있으나 이 대인(발목)지뢰는 플라스틱 제품으로서 지뢰 탐지기로서는 탐지가 불가능 하고 눈으로 보고 찾아내거나, 터져(사고가 난 후)봐야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방폭 방탄이 되는 안전 전투화를 신지 않고는 분쟁이 끝났다 하더라도, 군사시설 근처와 대인지뢰 매설후 제거지역에는 갈 수 없는 형편에 있지만, 신발중에 가장 안전한 현재의 군 전투화는 가죽과 고무제품으로서 훈련이나 일반전투 수행에는 발이 일부분 보호 되지만 지뢰의 피폭을 당하면 전투화 자체가 산산조각이 나고 발목부위는 잘라지거나 절골되어 발목을 잘라야 하는 중상 또는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전시에는 무한정 뿌려지는 침투 저지용 대인(발목)지뢰는, 공포의 무기로서 병력 손실이 지대하나, 이를 방지하는 전투화가 없어 신변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안전성을 가진 전투화의 개발이 시급하고, 또한 전세계 분쟁 지역에 보급되어야 하나 개발이 지연되어 군사적 손실과 인명의 사상이 년간 3만여명에 이르고 있으나, 두 컬레를 껴신고 불편한 거동으로, 단지 지뢰 탐지시에만 착용하는 신발은 상용이 불가능하여, 매설지역이 불명확한 대인지뢰에 대한 방호의 대안이 없어, 위험지역 군과 민간인은 언제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국제적인 매우 큰 문제점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발명을 개선한 것으로, 작전에 투입되는 완전 무장한 전투병이나 작업자의 지상하중을 100㎏로 설정하고, 대인지뢰(발목지뢰)인 M14류의 순간 폭력 약 5t에 대하여, 전투병이나 작업자의 발과 발목 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폭력분산기점을 기준으로 하여 1차 방호층, 2차 방호층, 3차 방호층으로 구별된 방호층을 형성하는 3중 방호겉창을 한컬레의 신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방탄판 방탄섬유 충격흡수 젤 등이 발을 감싸게 하고, 3중의 진공층 형성과 하니캄(벌집형 구조)으로 진공 내재 겉창을 이중으로 하여, 피폭시 1차 외창이 파손 또는 분리 되면서 폭력과 파장을 1차 분산 2차 흡수하여, 약 70~80%의 폭력을 감소할 수 있으며, 중간 진공층을 거친 잔량은 2차 내창이 나머지 폭력을 1차 외창과 같이 1차 분산 2차 흡수하여 방호하도록 구성하여, 2차 내창이 파손 또는 분리되어도 3차 방호벽 겉창에서 폭력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매설된 대인지뢰의 피폭으로 부터 인체의 보호와 하체의 발목 절단 및 절골을 방지함과 아울러 군의 인적소모방지 및 민간의 사상자 방지를 도모하고, 분쟁지역 국가의 국민에게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외창(13) 내부로 V자형 외창 고무바닥면(13-1) 양측으로 외창발(13-2)이 형성되고, 외창발(13-2) 상측으로 전후방으로 외창 하니캄집 뒷날개(14-1)와 외창 하니캄집 앞날개(1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창 진공관 기둥(16)과 외창 진공관(17)으로 구성된 V자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14)을 형성하여, ┏┓자 외창 진공관 캡(15)을 형성하여, 외창(13)의 속에 잠몰되게 하여 1차 피폭 외창을 완성하고, 그 상측으로 충격흡수 젤 SPIMA(29)층과 KAVEN 방탄판(28)을 형성하고, KAVEN 방탄판(28) 상측의 내창(12) 양측면에 내창발(12-2)과 진공층(30) 및 V자 내창 바닥면 고무(12-1)가 형성되고, 진공층(30) 상측으로 내창 하니캄집 뒷날개(18-1)와 내창 하니캄집 앞날개(18-2)가 형성되고, 그 내부로 내창 진공관 기둥(20)과 내창 진공관(21)로 형성된 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18)을 형성하여, ┏┓자 내창 진공관 캡(19)과 결합하고, 그 상측으로 내창(12) 고무가 연결되어 내창속에 잠몰되게 하여, 2차 피폭 내창구성을 완성하고, 그 위에는 SPIMA(26)와 KAVEN 방탄판(27)을 형성하여, 외피(1)와 하나의 방탄 방폭 신발의 겉창을 형성하고, 내부로 SPIMA(23)(25)와 전·후로 양분되어 스텐강 철사(24)로 연결된 TITANIUM 방호컵(5)(6)을 내입하고, TITANIUM 방호컵(5)(6) 상측으로 SPIMA(22)와 KAVEN 방탄판(11)을 내입하고, KAVEN방탄판(11) 상측으로 SPIMA(10)와 FELT(9), SPIMA(8), 무명원단 생지(7) 순으로 내입하고, 뒷면에는 발목의 보호를 위하여 충격흡수 젤 SPIMA(10-1)를 추가 삽입하며, 전·후 외피(1) 내측으로 KAFELT(2)와 KAVEN(3) 3겹 및 FIBER(4)를 형성하고, 착용시는 발목부위에는 깁스반도(34)를 반도 고리(35)를 이용하여 조여 매어, 피폭시 탈골의 발목 퍼짐을 방지케하고, 내창(12)를 외피(1)에 접착과 아리안스(봉재) 벽(31)으로 고정한 후, 외창(13)을 내창(12)에 부착하여, 3층(3중) 겉창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과 작용은 아래와 같다.
전투화(32)에 형성된 착용 손잡이(33)를 이용하여, 발에 전투화(32)를 착용하고, 지뢰 매설지역에서 무장한 전투병이나 작업자가 작전이나 작업중 이동간에 대인(발목)지뢰를 사람이 밟아 폭발이 발생하면, 지뢰의 피폭시 발생하는 폭력의 힘을, 내창(12)에 뚜껑처럼 부착 고정된 외창(13)에 형성된 외창발(13-2)와 V자형 외창 고무바닥면(13-1)의 1차 폭력분산기점으로 하여, V자형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14)과 ┏┓자 외창 진공관 캡(15)에 의해 폭력을 1차 해소하고, SPIMA(29)와 KAVEN 방탄판(28)에 의해 상측 내창(12)에 전달되는 폭력을 최소한 감소시키며, 2차 폭력분산지점인 V자 내창 바닥면 고무(12-1) 및 진공층(30)과 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18)과 ┏┓자 내창 진공관 캡(19)에 내장되어 있는 내창 진공관 기둥(20)과 내창 진공관(21)과 충격흡수 젤 SPIMA(26) 및 KAVEN 방탄판(27)에 의해 폭력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V자형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14)과 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18)에 형성된 전. 후의 날개(14-1)(14-2)(18-1)(18-2)는 바닥에서 올라오는 폭력을 전투화(32)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며, 앞굼치와 뒷굼치에 형성된 TITANIUM 방호컵(5)(6)이 쪽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폭력을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와 발에 가해지는 폭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작용으로 의해 폭력이 완전히 해소하거나, 미세하게 잔류하는 폭력은 전투화(32) 내부에 충격흡수재질의 다수개의 SPIMA(8)(10)(10-1)(22)(23)(25)(26)(29)가 폭력을 흡수하여 충격으로 부터 신체와 발을 보호하는 것이며, 외피(1) 내부로 형성된 KAFELT(2), KAVEN(3), FIBER(4)가 전투화(32) 측면에서 가해지는 파편이나 주변의 장애요소로 부터 발을 보호하는 것이며, 무명 생지(7)가 최종으로 피부를 보호하고, FELT(9)는 SPIMA의 확장을 방지하여, KAVEN 방탄판(11), SPIMA 등이 최종적으로 발 바닥에 전달하는 폭력을 방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투화의 바닥면에서 발생한 지뢰의 폭력이 단계별로 형성된 방호층에 의해 해소될 수 있도록, 진공관 기둥(16)(20)과 진공관(17)((21)으로 구성된 하니캄집(14)(18)을 진공층(30)을 중심으로 구별된 2개의 방호층 겉창(12)(13)을 형성하므로, 1차 폭력분산기점인 V자형 외창 고무바닥면(13-1)과 외창 하니캄집(14)이 전투화에서 이탈되면 내창(12)의 내창발(12-2)이 지면에 접하면서, 겉창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2차 폭력분산기점을 통해, 처음 발생하는 폭력과 잔류하는 폭력의 감소를 단계적으로 수행하므로, 이러한 작용으로 의해 1차 방호층인 외창(13)의 하니캄집(14)이 전투화(32)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어도, 내창(12)의 하니캄집(18)과 진공층(30)이 바닥창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단계적인 폭력감소 작용으로 전투화(32) 내에 있는 발이 보호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겉창에서 "∨"의해 폭력을 분산하며, 외겉창에 내장된 하니캄으로 충격 및 폭력을 흡수하고, 외겉창이 폭력에 의하여 파손 분리되면서, 약50% 이상의 폭력이 감소되는 것이다.
외겉창과 내겉창 사이의 진공층이 충격 흡수 후 외겉창에서 약해진 폭력을 2차적으로 내겉창에서 한번 더 폭력 분산이 "∨"형으로 발생하며, 내겉창에 내장된 하니캄으로 충격 흡수 및 폭력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의 단계로 폭력이 분산되고 약화된 잔량 폭력은, KAVEN 2개층과 TITANIUM 쪽자형 1개층으로 구성된 3개의 방탄층이 발과 신체를 보호하며, SPIMA 6개층과 섬유 FELT 1개층으로 구성된 7개층의 충격 흡수 장치로, 폭력으로 부터 발과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앞(발가락 쪽)과 뒤(발뒤꿈치 쪽)은 쪽자형의 철판(TITANIUM) 으로 방호하며, 발목 부위는 경질 레오라이트와 KAVEN으로 방탄화 하고, 발목 부위의 탈골(옆으로 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과 발목을 반도로서 깁스되도록 조여 매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폭력시 1차 분산(외겉창 V 지점), 2차 흡수-파괴분리 시 폭력감소, 3차 분산(내겉창), 4차 흡수-파괴 또는 분리 시, 5차 흡수 SPIMA와, 6차 방탄 KAVEN 층이 발을 보호하고, 7차 발의 상처를 보호하기 위하여, TITANIUM 철판이 앞과 뒤를 방호하며, 8차 SPIMA의 충격흡수 판이 발을 보호하여, 대인지뢰로 부터 발과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소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KAFELT(고분자 섬유)(2)는 Kevlar로 만든 Felt(미국 듀폰사의 방탄용 섬유(Aramid)를 이용한 방탄용 자재이다.KAVEN(3)은 상기의 Kevlar 원단을 특수본드를 이용하여 방탄용 특수 합판(Veneer)를 만드는 자재이다.SPIMA(8)은 고탄성 E.V.A 스펀지로서 특수배합되어 충격의 반발이 적고(스폰지 위에 1.5M 높이의 골프공을 낙하시켜도 공디 튀지 않음) 충격을 흡수하는 자재이다.깁스반도(34)는 지뢰를 밟아서 터지면 위로치는 충격에 발목뼈들이 옆으로 퍼저 날아가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목모양과 같이 만든 깁스에 밴드를 달아서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본 발명에서 ┏┓자 외창 진공관 캡(CAP)(15)과 외창 진공관 기둥(16)과 ┏┓자 내창 진공관 캡(19) 및 내창 진공관 기둥(20)은, 충격 흡수를 흡수하고 그 파장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 벌집형태(honeycomb)로 구성된 것이며, 외창 진공관(17)과 내창 진공관(21)은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 전투화(32)는, 작전이나 지뢰제거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지뢰의 피폭으로 발생하는 폭력을, 외창(13)의 하니캄집(14)과 내창(12)의 하니캄집(18)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폭력을 해소하여 발과 신변을 보호하여 주므로, 미세하게 전달되는 폭력을 TITANIUM 방호컵(5)(6)과 다수개의 충격흡수 젤 SPIMA 및 방탄재질로 구성된 방탄층이 폭력을 해소하며, 지뢰의 피폭으로 인한 사상자의 발생으로 야기되는 병력의 이동 지연과 인력 손실을 감소할 수 있어, 원활한 작전과 전력증강은 물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인지뢰 방호형 일체형 전투화(32)의 무게를 최첨단 소재로서 경량화 하여 지뢰제거를 위한 구별된 작업 뿐 아니라, 일반적인 군의 작전이나 훈련 등 보행간에도 본 전투화(32)를 착용할 수 있어, 본전투화(32)의 활용 범위를 증대시켜 병사들을 공포의 대인(발목)지뢰로 부터 해방 시키고 작전지역(비무장지대)과 군사보호지역 등에 민간 출입시 피폭의 사고를 방지하며, 분쟁지역 국가의 국민에게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닥창의 구성을 표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를 표시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나)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다)선 단면도
도5는 도1의 (라)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1차 겉창이 분리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전투화의 외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외피 2;KAFELT(고분자 섬유) 3;KAVEN 4;FIBER
5,6;TITANIUM 방호컵
7;무명(면사원단) 생지 8;SPIMA 9;FELT
10;SPIMA 10-1;SPIMA 11;KAVEN 방탄판 12; 내창
12-1;V자형 내창 바닥면 고무 12-2;내창발
13;외창 13-1;V자형 외창 고무바닥면 13-2;외창발
14;V자형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 14-1;외창
14-2;외창 하니캄집 앞날개
15;자 외창 진공관 캡(CAP)
16;외창 진공관 기둥 17;외창 진공관
18;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 18-1;내창
18-2;내창 하니캄집 앞날개
19;┏┓자 내창 진공관 캡(CAP)
20;내창 진공관 기둥 21;내창 진공관
22,23;SPIMA 24;스테인레스 강선 25,26;SPIMA
27,28;KAVEN 방탄판 29;SPIMA 30;진공층
31;아리안스(봉재) 벽 32;전투화 33;착용 손잡이
34;깁스반도 35;깁스반도 고리

Claims (1)

  1. 외창(13) 내부로 V자형 외창 고무바닥면(13-1) 양측으로 외창발(13-2)이 형성되고, 외창발(13-2) 상측 전후방으로 외창 하니캄집 뒷날개(14-1)와 외창 하니캄집 앞날개(1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창 진공관 기둥(16)과 외창 진공관(17)로 구성된 V자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14)을, V자형 외창 진공관 하니캄집(14) 속에 삽입하고, ┏┓자 외창 진공관 캡(15)로 덮어 일체화하여, 외창(13)의 고무 속에 잠몰되게 하여 1차 피폭 외창을 완성하고;
    그 상측으로 충격흡수 젤 SPIMA(29)층과 KAVEN 방탄판(28)을 형성하고, KAVEN 방탄판(28) 상측의 내창(12) 양측면에 내창발(12-2)과 진공층(30) 및 V자 내창 바닥면 고무(12-1)가 형성되고, 진공층(30) 상측으로 내창 하니캄집 뒷날개(18-1)와 내창 하니캄집 앞날개(18-2)가 형성된 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18)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내창 진공관 기둥(20)과 내창 진공관(21)로 형성된 V자형 내창 진공관 하니캄집(18)을 삽입하고, 그 상측에 ┏┓자 내창 진공관 캡(19)을 덮어 일체화하여, 내창(12)의 고무속에 잠몰되게 하여 2차 피폭 내창을 완성하고;
    그 위에는 SPIMA(26)와 KAVEN 방탄판(27)을 형성하여, 외피(1)와 하나의 방탄 방폭 신발의 3차 피폭 겉창을 형성하고, 내부로 SPIMA(23)(25)와 전·후로 양분되어 스테인레스 강선(24)로 연결된 TITANIUM 방호컵(5)(6)을 내입하고, TITANIUM 방호컵(5)(6) 상측으로 SPIMA(22)와 KAVEN 방탄판(11)을 내입하고, KAVEN방탄판(11) 상측으로 SPIMA(10)와 FELT(9), SPIMA(8), 무명 생지(7) 순으로 내입하고, 뒷면에는 발목의 보호를 위하여 충격흡수 젤 SPIMA(10-1)를 추가 삽입하고;
    전·후 외피(1) 내측으로 KAFELT(2)와 KAVEN(3) 3겹 및 FIBER(4)를 형성하고, 착용시는 발목부에는 깁스반도(34)를 반도 고리(35)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내창(12)를 외피(1)에 접착과 아리안스(봉재) 벽(31)으로 고정한 후, 외창(13)을 내창(12)에 부착하여, 3층(3중) 겉창을 형성하여서 된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KR10-2001-0027978A 2001-05-22 2001-05-22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KR10048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978A KR100484227B1 (ko) 2001-05-22 2001-05-22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PCT/KR2002/000969 WO2002100206A1 (en) 2001-05-22 2002-05-22 Safety combat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978A KR100484227B1 (ko) 2001-05-22 2001-05-22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907A KR20020088907A (ko) 2002-11-29
KR100484227B1 true KR100484227B1 (ko) 2005-05-23

Family

ID=1970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978A KR100484227B1 (ko) 2001-05-22 2001-05-22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4227B1 (ko)
WO (1) WO2002100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G65337B1 (bg) * 2003-12-02 2008-02-29 Институт по металознание при БАН Средство за индивидуална защита от противопехотнимини
WO2015061436A1 (en) * 2013-10-22 2015-04-30 Wilfredo Ganuza Flexible shoe so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4675A1 (en) * 1995-08-01 1997-02-13 Guy Andrew Vaz Improved blast and fragment resistant safety boot footwear
KR19980702053A (ko) * 1995-03-01 1998-07-15 구이 앤드류 바즈 폭발 및 파편화에 저항성을 갖는 안전화용의 폴리우레탄 신발창
WO2000050837A1 (fr) * 1999-02-22 2000-08-31 Anonymate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effets d'engins explosifs
WO2001032042A1 (en) * 1999-11-04 2001-05-10 Lee Kyun Chul The mine bombproof, bulletproof safety combat boo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338A (en) * 1988-05-18 1989-08-22 Orthopedic Design Kinetic energy returning shoe
KR100514902B1 (ko) * 1996-05-21 2005-12-12 비에프알 홀딩스 리미티드 개선된폭발저항성신발
JP3776173B2 (ja) * 1996-07-26 2006-05-17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安全靴
US5992056A (en) * 1998-01-13 1999-11-30 Lohrmann; Richard H. Anti-personnel mine protective footpad
KR100372082B1 (ko) * 2000-03-21 2003-02-11 주식회사 에어리산업 방탄용 군화
KR200204774Y1 (ko) * 2000-06-24 2000-12-01 주식회사익산하이테크 대인지뢰용 전투화의 밑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053A (ko) * 1995-03-01 1998-07-15 구이 앤드류 바즈 폭발 및 파편화에 저항성을 갖는 안전화용의 폴리우레탄 신발창
WO1997004675A1 (en) * 1995-08-01 1997-02-13 Guy Andrew Vaz Improved blast and fragment resistant safety boot footwear
WO2000050837A1 (fr) * 1999-02-22 2000-08-31 Anonymate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effets d'engins explosifs
WO2001032042A1 (en) * 1999-11-04 2001-05-10 Lee Kyun Chul The mine bombproof, bulletproof safety combat bo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907A (ko) 2002-11-29
WO2002100206A1 (en) 200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673B1 (en) Protective boot and sole structure
US5926977A (en) Protective footgear
US20090090024A1 (en) Boots for minimizing injury from explosives
US3061951A (en) Blast attenuating footwear
US20030180517A1 (en) Material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for protecting parts of the body
US6006646A (en) Anti-personnel mine foot protection systems
US6725572B1 (en) Protective footwear against landmine
US3032894A (en) Anti-personnel mine protective shank
KR100320671B1 (ko) 방폭 방탄 안전 전투화
US5937543A (en) Footwear having a variable sized interior
KR100484227B1 (ko) 대인지뢰 방호용 일체형 전투화
US9127914B2 (en) Mine resistant combat boot, blast mitigating
KR200403327Y1 (ko) 발등 보호용 덮개를 가지는 안전화
CN214372037U (zh) 扫雷防护装具
KR200389404Y1 (ko) 초기능성 전투화
US20030009906A1 (en) Blast protective boot and overboot construction
US20060059718A1 (en) Protective footwear
KR100372082B1 (ko) 방탄용 군화
KR20240056304A (ko) 방호덧신을 구비한 지뢰보호용 방호 전투화
KR200344539Y1 (ko) 대인지뢰용 전투화의 안전덧신
CN214340434U (zh) 扫雷防护靴
RU74701U1 (ru) Защитная противомин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ношения поверх обуви
RU79758U1 (ru) Защитная противомин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ношения поверх обуви
KR101478005B1 (ko) 전투화와의 밀착력을 개선시킨 대인지뢰용 전투화 안전덧신
RU2050806C1 (ru) Защитная обув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