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195B1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4195B1 KR100484195B1 KR10-2003-0003253A KR20030003253A KR100484195B1 KR 100484195 B1 KR100484195 B1 KR 100484195B1 KR 20030003253 A KR20030003253 A KR 20030003253A KR 100484195 B1 KR100484195 B1 KR 100484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roller
- feed
- sensor unit
- convey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는 픽업롤러에 의해서 픽업된 용지를 받아서 인쇄기 본체 내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대향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서 용지가 중송되면,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중송방지롤러에 접촉되게 중송된 용지의 이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롤러와, 상기 중송 방지 롤러에 의해서 이송이 방지된 용지가 용지이송경로에서 상기 중송 방지 롤러의 하부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의 작동시간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중송에 의한 잼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용지가 용지이송경로에 중송된 경우에도 중송된 용지가 용지이송경로로 재진입되는 시간을 딜레이 시킴으로써 중송에 의한 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a printing press.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disclosed printer receives a paper picked up by a pickup roller, and feeds the paper into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The anti-feed roller to prevent the conveyance of the paper conveyed in contact with the anti-feed roller, and the paper prevented from being fed by the anti-feed roller, are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prevention roller in the paper feed path. Sensor unit for sensing;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lay the operation time of the pick-up roller by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or unit, to prevent jams due to heavy feeding. According to this, even when the paper is reloaded in the paper conveying path,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jams due to feeding by delaying the time for reloaded paper to reenter the paper conveying path.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기의 급지 장치에 채용되어 용지가 두 장 이상 겹쳐서 공급되면서 잼(jam)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p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a printing press which is employed in the feeding device of the printing press to prevent jams from occurring while two or more sheets of paper are stacked.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인쇄기에는, 다수매의 용지를 수납하여서 그 수납된 용지를 인쇄기 본체 내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In general, a printer such as a printer or a copy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paper feed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and sequentially feeding the stored sheets into the printer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per feeder of a conventional printing press.
도 1을 참조하면, 다수매의 용지(P)를 수납하여 인쇄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카세트(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용지카세트(10) 내에는 그 위에 용지(P)를 적재하고 적재된 용지(P)를 들어올리는 노크업 플레이트(knock-up plate, 12)가 설치되어 있다. 노크업 플레이트(12)는 스프링(11)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기의 본체 내에는 픽업 롤러(pick-up roller, 1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노크업 플레이트(12)에 의해 들어올려진 용지(P) 중 최상단 용지의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 롤러(18)가 회전하게 되면, 최상단의 용지가 픽업 롤러(18)와의 마찰력에 의해 인쇄기의 본체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참조부호 16은 인쇄기의 본체 내부로 진입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이다. Referring to FIG. 1, a paper cassette 10 is provided which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P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printer main body. The paper cassette 10 is loaded with paper P thereon. A knock-up plate 12 for lifting the loaded paper P is provided. The knock-up plate 12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by the spring 11.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a pick-up roller 18 is rotatably installed to contact the leading end of the uppermost sheet of paper P lifted by the knock-up plate 12. Therefore, when the pickup roller 18 rotates, the uppermost sheet enters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pickup roller 18.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6 is a paper guide for guiding the paper entering the body of the printer.
상기 픽업롤러(18)에 의해서 픽업된 용지는 이송롤러(feed roller)(20) 및 중송방지 롤러(22) 사이로 진입된다. 이송롤러(20)와 중송방지롤러(22)를 통과한 용지는 정렬롤러(30)에 의해 그 선단이 정렬된 후 현상장치(미도시)로 이송된다. 한편, 정렬롤러(30)의 상부에는 아이들 롤러(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아이들 롤러(32)의 외주에는 그 일부를 감싸는 셔터(shutter)(34)와 이 셔터(34)의 회전을 감지하는 포토센서(3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롤러(32)는 정렬롤러(30)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서 소정의 탄성력을 상기 정렬롤러(30)에 가한다. 상기 이송롤러(20)로부터 공급된 용지는 선단부가 정렬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여 정렬롤러(30)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정렬롤러(30)에 닿지않은 선단부가 정렬롤러(30)에 닿으면서 정렬이 이루어진다. 이때 용지가 아이들롤러(32)를 밀치면서 정렬롤러(30)를 지나가고, 아이들 롤러(32)는 회전되어서 포토 센서(36)가 셔터(34)의 회전을 감지한다. 이 포토센서(36)는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서 전방의 현상장치에 인쇄용지가 인입되는 신호를 전달한다. 현상장치에서 그 전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배지롤러(미도시)에 의해 인쇄기 밖으로 배출된다. The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8 enters between the feed roller 20 and the anti-feed roller 22. The paper passing through the feed roller 20 and the anti-feed roller 22 is conveyed to a developing apparatus (not shown) after the front ends thereof are aligned by the alignment roller 30. On the other hand, an idle roller 32 is disposed above the alignment roller 30, and a shutter 34 surrounding a part of the idle roller 32 and a photo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shutter 34. The sensor 36 is arranged. The idle roller 32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the alignment roller 30 to appl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alignment roller 30. The paper fed from the feed roller 20 does not overcome the elastic force when the tip portion is not aligned, and thus the tip portion that does not touch the alignment roller 30 is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roller 30. Alignment is made while touching. At this time, the paper pushes the idle roller 32 and passes through the alignment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32 is rotated so that the photo sensor 36 detects the rotation of the shutter 34. The photosensor 36 transmits a signal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drawn to the developing device in front through a controller (not shown). In the developing apparatus, the paper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on its front surface is discharged out of the printing press by a delivery roller (not shown).
중송방지롤러(22)는 이송롤러(20)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픽업롤러(18)에 의해 용지가 중송되는 경우에 최상단의 용지(P)만이 계속 이송되고 그 아래쪽의 용지는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중송방지롤러(22)는 이송롤러(20)보다 작은 토크(torque)로 이송롤러(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중송방지롤러(22)는 이송롤러(20)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중송방지롤러(22)와 이송롤러(20) 사이에 용지(P)가 없거나 1매의 용지(P)만 있는 경우에는 중송방지롤러(22)는 보다 큰 토크를 가진 이송롤러(20)에 의해 용지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중송방지롤러(22)와 이송롤러(20) 사이로 2매 이상의 용지가 진입되는 경우에는 중송방지롤러(22)는 용지들 사이의 낮은 마찰력으로 인해 이송롤러(20)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지 진행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20)에 접촉되어 있는 최상단의 용지를 제외한 그 아래의 용지는 중송방지롤러(22)에 의해 용지 진행 방향으로의 이송이 저지된다. 따라서, 중송된 용지는 이송롤러(20)의 하부에서 머문다.The anti-feeding roller 2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20, so that only the uppermost sheet of paper P is continuously conveyed when the sheet is fed by the pickup roller 18, and the paper below the sheet does not proceed. In more detail, basically, the anti-feed roller 22 is installed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 roller 20 with a smaller torque than the feed roller 20. However, since the anti-feed roller 22 i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20, there is no paper P or only one sheet of paper P between the feed-feed prevention roller 22 and the feed roller 20. The anti-feed feed roller 22 is rotated in the paper advance direction by the feed roller 20 having a larger torque. However, when two or more sheets of paper enter between the anti-feed roller 22 and the feed roller 20, the anti-feed roller 22 is not affec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eed roller 20 due to the low friction force between the sheets. Without the paper advance direction. As a result, the paper below the sheet except the uppermost she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20 is blocked by the feed prevention roller 22 in the paper advance direction. Therefore, the conveyed paper stays at the bottom of the feed roller 20.
한편, 고속인쇄기에서는 공급하는 용지 사이의 마진(margin)이 매우 좁으므로, 중송방지롤러(22)에 의해서 중송이 방지된 용지가 픽업롤러(18)의 구동으로 설정된 마진보다 좁은 마진을 가지고 새로 인쇄경로에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 speed printing machine, since the margin between the paper to be fed is very narrow, the paper prevented by the feeding prevention roller 22 has a margin narrower than the margin set by the driving of the pickup roller 18. Supplied to the path.
도 2는 종래의 인쇄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중송이 방지된 용지가 픽업롤러 및 이송롤러 사이에 존재시 픽업과정에서의 용지 사이의 마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margin between papers in the pick-up process when a paper prevented from being fed between the pick-up roller and the feed roller in the paper feeder of the conventional printer.
도 2를 참조하면, 중송방지롤러(22)에 의해서 중송이 방지된 용지(P2)가 중송방지롤러(22)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인쇄기에 용지(P1)이 인쇄경로 상에서 진행된다. 고속 인쇄기는 용지 사이의 마진이 좁을수록 인쇄속도가 빠르게 설계되며, 이 마진의 최소길이 설계는 새로운 용지의 인입을 감지하는 센서들, 예컨대 포토센서(36)가 작동하여서 새로운 용지의 인입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발송하고, 제어부는 새로운 용지에 해당되는 인쇄를 준비하여서 인쇄를 실시하는 시간, 즉 용지의 마진 간격을 필요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aper P1 advances on the printing path in the printing machine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P2 which is prevented from being fed by the anti-feed roller 22 is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non-feed roller 22. High speed presses are designed for faster print speeds as the margins between papers become narrower, and the minimum length design of these margins allows the sensors to detect the entry of new paper, for example the photo sensor 36, to detect the entry of new pap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needs a time to prepare a print corresponding to a new sheet to perform printing, that is, a margin interval of the sheet.
예컨대, 용지 사이의 마진이 70 mm 이며, 픽업롤러(18)로부터 이송롤러(20) 사이의 인쇄경로상 거리가 50 mm 이며, 센서들의 새로운 용지 인식에 필요한 최소 마진이 30 mm인 경우, 도 2에서처럼 2매의 용지가 픽업되어서 1매(P1)는 용지경로를 따라 진행되고, 중송이 방지된 용지(P2)는 중송방지롤러(22)의 하부에 위치하면, 용지(P1)의 하단부가 이송롤러(20)로부터 20 mm 인쇄경로로 진입될 때, 픽업롤러(18)는 구동되어서 용지(P2)를 인쇄경로로 진입시킨다. 이때 용지들(P1,P2) 사이의 거리가 20 mm이며, 이 때문에 센서들은 새로운 용지의 진입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감지하더라도 제어부가 현상장치에 새로운 인쇄용지(P2)에 해당되는 인쇄명령을 주고, 새로운 인쇄가 실시되기 이전에 새로운 용지(P2)가 인쇄경로에 진입되면서 선행의 용지(P1)과 겹쳐져서 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생긴다. For example, when the margin between sheets is 70 mm, the distance on the printing path between the pickup roller 18 and the feed roller 20 is 50 mm, and the minimum margin required for new paper recognition by the sensors is 30 mm, Fig. 2 As the two sheets of paper are picked up, one sheet P1 proceeds along the paper path, and the sheet P2 that is prevented from being fed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heet feed prevention roller 22,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sheet of paper P1 is conveyed. When entering the 20 mm printing path from the roller 20, the pickup roller 18 is driven to enter the paper P2 into the printing path.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sheets (P1, P2) is 20 mm, so the sensors do not detect the entry of new sheets, or even if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rint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new printing sheet (P2) to the developing device. Before the new printing is performed, a new paper P2 enters the printing path and overlaps with the previous paper P1, causing a ja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중송된 용지를 감지하여 픽업롤러의 작동을 딜레이 시킴으로써 용지 사이의 마진을 확보하여 용지의 중송에 의한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detecting the conveyed paper and delay the operation of the pickup roller to secure the margin between the paper to prevent the jam caused by the paper transport of the paper It is to provide a paper jam prevention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는, 픽업롤러에 의해서 픽업된 용지를 받아서 인쇄기 본체 내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대향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서 용지가 중송되면,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중송방지롤러에 접촉되게 중송된 용지의 이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롤러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inting p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ed roller which receives the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and transfers the paper into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feed roller so that the paper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In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the paper jam prevention device of the printing machine having a non-feeding roller to prevent the conveying of the conveyed paper in contact with the anti-feeding roller whil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aper feed direction,
상기 중송 방지 롤러에 의해서 이송이 방지된 용지가 용지이송경로에서 상기 중송 방지 롤러의 하부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paper, which is prevented by the feed prevention roller, exist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prevention roller in a paper feed path; And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의 작동시간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중송에 의한 잼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for preventing a jam due to the feeding by delay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pick-up roller by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부는, 중송된 용지의 일측에 레이저 빔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레이저빔이 중송된 용지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온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광부는 반사되어서 돌아온 레이저 빔의 경로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중송된 용지가 픽업롤러 및 이송롤러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플렉트 센서이다. The sensor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a laser beam on one side of the conveyed paper,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aper conveyed by the laser beam,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has a path of the laser beam reflected and returned. It is a reflecting sensor that senses that the conveyed paper exists between the pickup roller and the conveying roller by measuring the distance of.
한편,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중송된 용지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어서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부가 검지하지 못하는 경우 픽업 롤러 및 이송롤러 사이에 중송된 용지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s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paper conveyed between the light receiving unit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paper transported between the pickup roller and the transfer roller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does not detect It may be configured as a photosensor.
상기 센서부는, 상기 중송된 용지 중 상기 이송롤러를 벗어난 용지의 하단부 및 상기 이송롤러 사이의 거리와,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센서부의 거리의 합이 상기 인쇄기의 용지간 최소 마진에 해당되도록 배치된다.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sum of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aper out of the conveying roller and the conveying roll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ying roller and the sensor part among the conveyed sheets corresponds to the minimum margin between the sheets of the printing pre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센서 사이에 용지가 감지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픽업롤러의 구동을 적어도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해당되는 시간을 지연시켜서 상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which the paper is detect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 and the sensor from the sensor unit, and delays the driving of the pickup roller by at leas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roller and the sensor unit. It is preferable to dri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aper jam prevention device of the printing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layers or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쇄기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구조의 물건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to which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a print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objec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용지 이송경로에 노크업 플레이트(112), 픽업롤러(118), 이송롤러(120) 및 정렬롤러(1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knock-up plate 112, the pickup roller 118, the transfer roller 120, and the alignment roller 130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paper feed path.
노크업 플레이트(112)는 인쇄기의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용지 카세트(110)에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11)에 의해서 그 위에 다수매의 용지를 지지하면서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노크업 플레이트(112)는 지지된 용지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The knock-up plate 112 is installed in the paper cassette 11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ing press, and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while supporting a plurality of sheets thereon by a spring 111 installed below. . Therefore, knock-up plate 112 lifts the supported paper upwards.
상기 픽업롤러(118)는 노크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된 최상단 용지의 선단부에 접촉되게 인쇄기의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118)가 회전하게 되면, 용지와 픽업롤러(118)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최상단의 용지(P) 1매가 픽업되어 용지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서 이송롤러(120)와 중송방지롤러(122)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The pickup roller 118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so as to contact the leading end of the uppermost sheet loaded on the knock-up plate 112. Therefore, when the pickup roller 118 is rotated, one sheet of the uppermost paper P is picked up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aper and the pickup roller 118, and the feed roller 120 is moved along the paper feed path formed by the paper guide. And enters between the anti-feed roller 122.
중송방지롤러(122)는 이송롤러(120)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픽업롤러(118)에 의해 용지가 중송되는 경우에 최상단의 용지(P)만이 계속 이송되고 그 아래쪽의 용지는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중송방지롤러(122)는 이송롤러(120)보다 작은 토크(torque)로 이송롤러(1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중송방지롤러(122)는 이송롤러(120)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중송방지롤러(122)와 이송롤러(120) 사이에 용지(P)가 없거나 1매의 용지(P)만 있는 경우에는 중송방지롤러(122)는 보다 큰 토크를 가진 이송롤러(120)에 의해 용지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중송방지롤러(122)와 이송롤러(120) 사이로 2매 이상의 용지가 진입되는 경우에는 중송방지롤러(122)는 용지들 사이의 낮은 마찰력으로 인해 이송롤러(120)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지 진행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120)에 접촉되어 있는 최상단의 용지를 제외한 그 아래의 용지는 중송방지롤러(122)에 의해 용지 진행 방향으로의 이송이 저지된다. The anti-feeding roller 12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120, so that only the uppermost paper P continues to be conveyed when the paper is fed by the pickup roller 118, and the paper below the paper does not proceed. In more detail, basically, the anti-feed roller 122 is installed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 roller 120 with a smaller torque than the feed roller 120. However, since the anti-feed roller 122 i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120, there is no paper P or only one sheet of paper P between the anti-feed roller 122 and the feed roller 120. The anti-feeding roller 122 is rotated in the paper advancing direction by the feed roller 120 having a larger torque. However, when two or more sheets of paper enter between the anti-feed roller 122 and the feed roller 120, the anti-feed roller 122 is not affec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eed roller 120 due to the low friction force between the sheets. Without the paper advance direction. Accordingly, the paper below the sheet except the uppermost she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eed roller 120 is prevented from being conveyed in the paper advance direction by the anti-feed roller 122.
이송롤러(120)와 중송방지롤러(122)를 통과한 용지(P)는 정렬롤러(130)로 이송된다. 정렬롤러(130)의 상부에는 아이들 롤러(1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아이들 롤러(132)의 외주에는 그 일부를 감싸는 셔터(shutter)(134)와 이 셔터(134)의 회전을 감지하는 포토센서(13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롤러(132)는 정렬롤러(130)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서 소정의 탄성력을 상기 정렬롤러(130)에 가한다. 상기 이송롤러(120)로부터 공급된 용지는 선단부가 정렬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여 정렬롤러(130)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정렬롤러(130)에 닿지않은 선단부가 정렬롤러(130)에 닿으면서 정렬이 이루어진다. 이때 용지가 아이들롤러(132)를 밀치면서 정렬롤러(130)를 지나가고, 아이들 롤러(132)는 회전되어서 포토 센서(136)가 셔터(134)의 회전을 감지한다. 이 포토센서(136)는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서 전방의 현상장치에 인쇄용지가 인입되는 신호를 전달한다. 현상장치에서 그 전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배지롤러(미도시)에 의해 인쇄기 밖으로 배출된다. The paper P passing through the feed roller 120 and the anti-feed roller 122 is transferred to the alignment roller 130. An idle roller 132 is disposed above the alignment roller 130, and a shutter 134 surrounding a part of the idle roller 132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shutter 134. 136 is disposed. The idle roller 132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the alignment roller 130 to appl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alignment roller 130. The paper fed from the feed roller 120 does not overcome the elastic force when the front end is not aligned, and thus the front end does not touch the alignment roller 130 while the front end does not touch the alignment roller 130. Alignment is made while touching. At this time, the paper pushes the idle roller 132 and passes through the alignment roller 130, the idle roller 132 is rotated so that the photo sensor 136 detects the rotation of the shutter 134. The photosensor 136 transmits a signal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drawn to the developing device in front through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developing apparatus, the paper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on its front surface is discharged out of the printing press by a delivery roller (not shown).
한편, 이송롤러(120) 및 중송방지롤러(122)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송된 용지가 중송방지롤러(122)에 의해서 중송이 방지된 용지를 감지하는 센서부(140)가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roller 120 and the anti-feed roller 122 is disposed in the sensor unit 140 for detecting the paper sheet is prevented by the feed-feeding roller 122, as described above.
상기 센서부(140)는, 리플렉트 센서(reflect sensor) 또는 포토 센서를 사용한다. The sensor unit 140 uses a reflect sensor or a photo sensor.
리플렉트 센서는 중송된 용지의 일측에 레이저 빔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레이저빔이 중송된 용지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온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광부는 반사되어서 돌아온 레이저 빔의 경로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중송된 용지가 픽업롤러(118) 및 이송 롤러(120)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한다. The reflecting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for emitting a laser beam on one side of the conveyed paper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laser beam from the conveyed paper. By measuring the distance, the conveyed paper is detected to exist between the pickup roller 118 and the transfer roller 120.
한편, 포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중송된 용지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어서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부가 검지하지 못하는 경우 픽업 롤러(118) 및 이송롤러(120) 사이에 중송된 용지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hotosensor is disposed opposit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receiving unit sandwiched between the paper, the paper conveyed between the pickup roller 118 and the transfer roller 120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does not detect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etect what exists.
도 4는 본 발명의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drive of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inting machine of this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부인 센서부(140)는 픽업롤러(118) 및 이송롤러(120)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에서 소정의 위치, 예견대 이송롤러(120)의 하부에서 용지이송경로에서 10 mm 이격된 점(D)을 감지하게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unit 14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per feed path between the pickup roller 118 and the feed roller 120, and the paper fe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ok-ahead feed roller 120. It is installed to detect the point D 10 mm apart from the path.
상기 센서부(140)는 용지가 상기 점(D)에서 감지되는 경우, 즉 용지(P2)가 상기 점(D) 및 이송롤러(120) 사이에 있는 경우 용지의 존재를 검출한다. 센서부(140)는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50)에 송신한다. The sensor unit 140 detects the presence of the paper when the paper is detected at the point D, that is, when the paper P2 is between the point D and the feed roller 120. The sensor unit 140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40)로부터의 정보를 받아서 픽업롤러(118)를 구동하는 시간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다. 예컨대, 용지 사이의 설계 마진이 70 mm 이며, 픽업롤러(18)로부터 이송롤러(20) 사이의 인쇄경로상 거리가 50 mm 이며, 센서들의 새로운 용지 인식에 필요한 최소 마진이 30 mm인 경우, 도 4에서처럼 2매의 용지가 픽업되어서 1매(P1)는 용지경로를 따라 진행되고, 중송이 방지된 용지(P2)가 중송방지롤러(22)의 하부 및 상기 점(D) 사이에 위치하면, 제어부(150)는 용지(P1)의 하단부가 이송롤러(20)로부터 20 mm 벗어난 경우, 즉 노크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된 용지로부터 설계 마진인 70 mm 이격된 상태에서 픽업롤러(118)의 구동하는 대신에 소정의 시간, 예컨대 센서들이 새로운 용지 인식에 필요한 최소 시간에 해당되는 용지의 마진이 30 mm를 확보하도록 픽업롤러(118)의 구동을 지연시킨다.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delays a time for driving the pickup roller 118 by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f the design margin between the sheets is 70 mm, the distance on the printing path between the pick-up rollers 18 and the feed rollers 20 is 50 mm, and the minimum margin required for new paper recognition by the sensors is 30 mm, FIG. When 2 sheets of paper are picked up as in 4, and one sheet P1 proceeds along the paper path, and the sheet P2 prevented from feeding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prevention roller 22 and the point 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pick-up roller 118 when the lower end of the paper P1 is 20 mm away from the feed roller 20, that is, 70 mm away from the paper loaded on the knock-up plate 112, which is a design margin. Instead of driving, the driving of the pickup roller 118 is delayed so that the margin of the pape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the new paper recognition, is 30 mm.
10 mm 의 이송거리에 해당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구동된 픽업롤러(118)에 의해서 픽업된 용지(P2)는 선행 용지(P1)으로부터 30 mm ~ 40 mm 마진으로 이격되어서 정렬롤러(130)로 인입되며, 이때 포토센서(136)는 새로운 용지가 인입된 것을 감지하고 제어부(150)로 그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50)는 이어지는 인쇄과정을 제어함으로써 잼이 발생되지 않게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The paper P2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18 driven with a delay corresponding to the feeding distance of 10 mm is pulled into the alignment roller 130 by being separated by a 30 mm to 40 mm margin from the preceding paper P1. At this time, the photosensor 136 detects that the new paper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so that jam does not occur by controlling a subsequent printing proces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는 용지가 용지이송경로에 중송된 경우에도 중송된 용지가 용지이송경로로 재진입되는 시간을 딜레이 시킴으로써 중송에 의한 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inting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jams due to heavy feeding by delaying the time for reloaded paper to reenter the paper feed path even when the paper is fed back into the paper feed path. .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per feeder of a conventional printing press.
도 2는 도 1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중송이 방지된 용지가 픽업롤러 및 이송롤러 사이에 존재시 픽업과정에서의 용지 사이의 마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margin between papers in the pickup process when the sheet prevented from being fed between the pick-up roller and the feed roller in the paper feeding device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ing press to which a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inting pres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의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drive of the paper jam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inting machine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10: 용지 카세트 111: 스프링110: paper cassette 111: spring
112: 노크업 플레이트 118: 픽업롤러112: knock-up plate 118: pickup roller
120: 이송롤러 122: 중송방지롤러120: feed roller 122: heavy feed prevention roller
130: 정렬롤러 132: 아이들 롤러130: alignment roller 132: idle roller
134: 셔터 136: 포토 센서134: shutter 136: photo sensor
140: 센서부 150: 제어부140: sensor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3253A KR100484195B1 (en) | 2003-01-17 | 2003-01-17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3253A KR100484195B1 (en) | 2003-01-17 | 2003-01-17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6252A KR20040066252A (en) | 2004-07-27 |
KR100484195B1 true KR100484195B1 (en) | 2005-04-20 |
Family
ID=3735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3253A KR100484195B1 (en) | 2003-01-17 | 2003-01-17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41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07725B2 (en) | 2005-03-22 | 2011-01-05 | 株式会社東芝 |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
KR101406030B1 (en) | 2007-06-27 | 2014-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rin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print error according to multi feed and method thereof |
-
2003
- 2003-01-17 KR KR10-2003-0003253A patent/KR10048419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6252A (en) | 2004-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9736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feeding method for the same | |
JP7559899B2 (en) | Media fee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 |
US6547235B2 (en) | Sheet sorting apparatus and automatic document feed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H08244297A (en) | Subsystem which substantially eliminates pick skew in device for detection of medium trailing edge and medium control subsystem | |
JPH0281845A (en) | Paper feeding apparatus | |
US20090295067A1 (en) | Medium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 |
US20100219578A1 (en) | Medium delivery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with dual pressing members | |
JP2008230759A (en) | Sheet material feeder | |
US6969065B2 (en) | Sheet transfer apparatus and sheet supply apparatus | |
KR100293739B1 (en) | Paper feeding device for printer | |
KR100428545B1 (en) | Image forming device having differentiating varieties of printing medium and driving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 |
JP2008044708A (en) | Paper sheet separation and delivery mechanism | |
KR100484195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paper double feeding of printer | |
KR20060063202A (en) | Registr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JP5472599B2 (en) | Medium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device | |
JP2000313536A (en) | Paper feeding device | |
KR100425333B1 (en) | Paper aligning method for duplex printer | |
KR100381595B1 (en) | Apparatus for sensing a printing media of printer and sensing method | |
KR100548152B1 (en) | anti-skew apparatus for use in image forming device for duplex printing | |
KR200327090Y1 (en) | Structure for transferring paper of image forming device | |
KR100465239B1 (en) | manual paper feeder for office machine | |
KR100377368B1 (en) | Apparatus for sensing a feeding paper of printer | |
JP2024024580A (en) |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 |
JP2774572B2 (en) | Drive control device for paper feeder | |
KR20040024261A (en) | Image forming machine having automatic jam removing function and method for removing jam automatical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