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925B1 -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25B1
KR100483925B1 KR10-2002-0070543A KR20020070543A KR100483925B1 KR 100483925 B1 KR100483925 B1 KR 100483925B1 KR 20020070543 A KR20020070543 A KR 20020070543A KR 100483925 B1 KR100483925 B1 KR 10048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service
authentication system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310A (ko
Inventor
심재희
윤성권
서민형
Original Assignee
(주)엔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텔스 filed Critical (주)엔텔스
Priority to KR10-2002-007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9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cross-charging network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04L12/1414Indication of costs in real-time
    • H04L12/1417Advice of charge with threshold, e.g. user indicating maximum co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2Low balance or limit rea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이동통신망에서 복수개의 빌링시스템, 인증시스템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장치로 구성되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장치와 인증시스템간의 인증과정과 접속을 허락하는 과정, 패킷 데이터 서법 노드 또는 접속장치, 인증시스템과 빌링시스템간의 전송과정과,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장치, 빌링시스템 및 인증시스템간의 종료과정과, 빌링시스템에서의 빌링과정으로 이루어진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적인 별도 시스템이 없이 한도 가입자에 대한 호제어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와, 한도가입자에 대한 과금 로그 정보를 분리하여 인증과 빌링을 처리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와,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작된 인증시스템과 빌링시스템이 함께 연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 마다 데이터 서비스의 로밍에 따르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함으로 인한 경제적 지출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uthenticating and billing method of data service of a limit subscriber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of a different kind, and th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데이터 서비스로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 Short Message Service) 가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무선통신환경이 급속도로 발전되어, 셀룰러 폰이나 PCS, CDMA, 개인 휴대단말기(PDA), 무선랜(Wireless LAN) 등의 무선 단말기는 왑 (WAP) 등의 인터넷 기능이 부가되어 점차 음악, 영화관람, 데이터 다운로드 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히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 되었다.
나아가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일정액을 선불식으로 지불하여 사용 가능한 가액의 범위내에서 특정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나, 또는 선불식이 아닌 경우에도 특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선불제 한도 가입자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모델로서 일부 종래기술이 개시되었는데 도 1 의 구성도가 그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불제 한도 가입자 처리를 도시하는 이동통신망 구성도로서,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예를 들어 영화관람) 를 이용하기 위해 기지국 (BTS) (1) 과 기지국 제어기 (BSC) (2) 를 통해 PDSN (Packing Data Serving Node) (3) 에 접속하면, PDSN (3) 은 인증시스템 (4) 으로 인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역으로 인증시스템 (4) 은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SAS (System Activation System) (8) 는 UDA (Usage Data Aggregator) (5) 에게 신규가입자 정보를 전달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BMS (Billing Mediation System) (9) 는 UDA (5) 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토대로 정산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인증시스템 (4) 은 접속중인 사용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과금 로그 메시지로 UDA (5) 로 전송하며, UDA (5) 는 SCP (Service Control Point) (6) 로부터 한도 요금 관련 정보 메시지를 받아서 한도 요금 계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한도가 초과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정보 메시지를 SCP (6) 로 전송하면, SCP (6) 는 MSC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7) 에게 한도 초과 사용자에 대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재의 연결중인 세션이 중단되도록 요청을 한다.
기지국 제어기 (2) 는 이동서비스 스위칭 센터 (7) 로부터 받은 호중단 요청에 대한 실제적인 제어 업무를 수행하여 호중단을 시킨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한도 초과 사용자에 대한 호중단 과정이 사용자가 접속한 인증시스템 (4) 을 거치지 않고 수행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한도 관리 시스템인 SCP (6) 를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단일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여도, 서로 다른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동통신사 마다 데이터 서비스의 로밍에 따르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함으로 인한 경제적 지출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종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이종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제1 통신 서비스 장치, 제1 인증 시스템 및 제1 빌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제2 통신 서비스 장치, 제2 인증 시스템 및 제2 빌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한도 가입자는 상기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가입자임-,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 장치임-;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제2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허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빌링 시스템으로부터 사용 한도 초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접속 허락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 차단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은 상기 과금 정보를 미리 설정된 과금 로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빌링 시스템 및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빌링 시스템은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과금 로그를 수신하여, 상기 한도 가입자에 상응하여 저장된 잔액 정보에서 상기 과금 로그에 상응하는 사용 요금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한도 가입자의 사용 한도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한도 가입자의 사용 한도가 초과된 경우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 한도 초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네트워크 억세스 아이디)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접속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서비스 종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제2 서비스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B사 또는 A사의 빌링시스템, 인증시스템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나 접속장치 중 2 개 이상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합체되는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는 단일의 네트워크에서 인증 및 빌링 시스템을 구성도로서, 빌링시스템 (100), 인증시스템 (200),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또는 접속장치 (Access Point) (300) 및 가입자 처리 시스템 (400) 이 도시되어 있다.
가입자 처리 시스템 (400) 은 무선랜, PCS, CDMA, PDA, 셀룰러론 등의 무선단말기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신규가입, 가입해제, 가입자 정보 변경 등의 작업을 요청 받아서 빌링시스템 (100) 과 인증시스템 (200) 에 전체 가입자 정보나 한도 가입자 정보, 또는 가입자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달한다.
그 다음 무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장치 (300) 에 접속한다. 무선랜이 접속할 때에는 접속장치(Access Point) 에 접속하게 되고 기타 이동단말기(CDMA 등)가 접속할 때에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접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이하 'PDSN' 이라 칭함) (300) 는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하겠다.
무선 단말기가 PDSN (300) 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다이어미터 프로토콜 (Diameter protocol) 메시지 형태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시스템 (200) 에 전송한다.
인증시스템 (200) 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해서 인증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 가입자 (사용자) 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가입자가 사용중인 동안에 인증시스템 (200) 은 해당 서비스의 과금 정보를 저장 하고 빌링시스템 (100) 으로 과금 정보를 전송한다.
빌링시스템 (100) 은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연산하면서 한도가 초과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한도 초과 정보 메시지를 인증시스템 (200) 으로 전달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시스템 (200) 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인증시스템 (200) 은 4 개의 테이블, 즉 피어 (Peer), 세션 (Session), 라우팅 (Routing) 및 어카운트 세션 (Account Session) 테이블 (210) 과, 이에피-티엘에스 (EAP-TLS) 인증과 기존 인증 프로토콜과의 호환성 기능을 위한 나스레큐 (NASREQ) 어플리케이션 (207) 및 핸드오프 (hand-off) 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아이피 (MobileIP) 어플리케이션 (208) 과, 가입자 DB (206) 및 현 사용자 과금로그 DB (212) 와, 과금처리모듈, 피어처리모듈, 세션처리모듈 및 응용처리모듈 (201~204)과, 이벤트 핸들러 (Event Handler) (205) 및 프리페이드 와치 매니저 (Prepaid Watch Manager) (211) 로 구성된다.
인증시스템 (200) 과 PDSN (300) 간의 인증 메시지는 다이어미터 (Diameter)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참고로, 다이어미터는 AAA 관련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서 기존의 RADIUS 가 가지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확장하여 피어 투 피어 (Peer-To-Peer)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말하며, AAA 란 인증(Authentication), 권한 검증 (Authorization) 및 과금 (Accounting) 을 뜻하는 용어로서 이동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이동 가입자의 인터넷 사용시 인증, 권한검증 및 과금 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도메인 영역간 로밍 서비스도 지원한다. AAA 를 지원하는 방식에는 단일 네트워크에서는 RADIUS (Remote Access Dial-In User Service) 가 있고, 다중 네트워크에서는 Diameter 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 있는데 후자가 표준화로 가고 있다.
인증시스템 (200) 에 있어서 모듈간 통신은 큐 (Queue) 기반의 이벤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며, 피어처리모듈 (202) 은 티씨피 또는 에스씨티피 레이어 (TCP 또는 SCTP layer) 에 가장 인접한 모듈로서 메시지 송수신 및 에러 메시지 재전송들을 담당하며, 세션처리모듈 (203) 은 인증을 통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세션을 관리하는 모듈이며, 어카운트처리모듈 (201) 은 자체 어카운트 에프에스엠 (FSM : Finite State Machine) 에 따라서 현재 사용자의 과금 정보를 얻고 과금 로그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특히 어카운트 처리 모듈 (201) 의 어카운트 매니저 (Account Manager) 는 어카운트큐 (AccountQ) 를 검색하여 이벤트 (Event) 가 입력되어 있으면, 이벤트를 분석해서 처리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처리 가능하다면 해당 명령을 수행하면서 다음 상태로 이전하고 그렇지 않으면 어카운트큐를 다시 체크하도록 한다. 어카운트 매니저가 어카운트큐를 분석해서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은 어카운트 에프에스엠 (Account FSM) 을 참조하면서 수행된다.
인증시스템 (200) 의 어카운트 에프에스엠은 아이들 (idle) 과 오픈 (open) 두 가지 상태를 가진다. 상태 전이의 과정을 한 예로 설명하면 아이들에서 받을 수 있는 이벤트는 3개 (RECV_ACR_START, RECV_ACR_EVENT 및 RECV_ACR_NO_SPACE) 가 있다. 만약 RECV_ACR_START 이벤트를 만나게 되면, 과금 로그 저장, 어카운트 응답 메시지 전송 (Send accounting start answer), 그리고 타임 이벤트 (Time Event)의 액션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과금 로그 DB (212) 는 어카운트처리모듈 (201) 에 의해서 생성되며 이는 일반 가입자 및 한도 가입자로 분리되어서 저장된다.
저장된 과금 로그 DB (212) 는 과금로그 전송 프로세스 (Account-Log Transfer Process) (209) 에 의해 과금로그를 빌링시스템 (100) 으로 전송한다. 인증시스템 (200) 에서 빌링시스템 (100) 으로 전송되는 과금 로그는 그 일예로서 도 10 에 도시하였다. 과금 로그는 무선랜 및 이동통신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한도 가입자와 일반 가입자가 분리되어 저장되므로 한도 가입자에 대한 실시간 처리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빌링시스템 (100) 은 한도 초과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NAI 등) 를 과금 로그 DB (212) 의 프리페이드 체크 프로세스 (Prepaid Check Process) (213) 로 전송하여 하여 가입자 DB (206) 에 한도 초과 사용자임을 기록한다. 여기서 NAI (Network Access Identifier) 란 이메일 주소로 사용하고 있는 아이디와 유사한 형태의 식별자로서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 라우팅과 가입자 인증 및 권한 검증 등을 위해 활용된다. 가압지가 가지고 있는 번호체계를 도메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이 제시된다.
한편, 프리페이드 와치 매니저 (Prepaid Watch Manager) (211) 는 현재 사용중인 어카운트 세션 테이블 (210) 을 검색하여 현 사용자 레코드가 있으면 가입자 DB (206) 를 검색한다. DB (206) 를 검색한 결과 현 사용자가 한도 가입자인지와 한도가 초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초과되었다면 세션처리모듈 (203) 에 세션 중단 요청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이벤트를 전송한다.
또한 이벤트 핸들러 (Event Handler) (205) 는 전체 모듈을 관리하는 이벤트성메시지를 각각 이벤트 큐 (Event Queue) 에 전송한다. 여기서 어카운트 세션테이블 (210) 은 도 6 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 을 보면, 어카운트 세션 테이블 (210) 은 NAI 를 기본키로 한다. sessionID 는 NAI 와 함께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는 보조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든 세션들은 별개의 서로 다른 세션키를 가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MultiSessionID 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hand-off 기능과 MobileIP 환경에서 참조키가 될 수 있는 세션 키로서, sessionID 가 달라도 multiSessionID 가 동일하면 하나의 연결된 세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이다.
lastAccountingRecordType 은 최근에 마지막으로 들어간 어카운트 레코도 (account record) 타입을 지칭하는 것이며, lastAccountingRecordNumber 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어카운트 레코드의 마지막 시퀀스 (sequence) 번호를 명시한 것이다.
AcctInterimInterval 은 인증시스템 (200) 이 PDSN(300) 에게 초기에 지시하는 값으로서, PDSN (300) 이 과금 메시지를 인증시스템 (200) 에게 전송하는 주기를 명시한 것이다.
AccountingRealtimeRequired 는 다이어미터 규격에 준한 요소로서, 인증시스템 (200) 에 대한 PDSN (300) 의 행동 양식을 명시한 것이며, DELIVER_AND_GRANT, GRANT_AND_STORE, GRANT_AND_LOSE 등의 값을 가질 수 있다.
StatefullOrStateless 는 현재 세션에 대한 스테이트 머쉰 (State Machine) 의 상태, 예컨대 Stateful 또는 Stateless 를 지정하는 요소이며, nowState 는 스테이트 머쉰상에서 현재 스테이트를 명시한 값이다.
도 4 는 PDSN (300) 을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인증시스템 (200) 과 유사하면서 다이어미터 규격에 준한다.
PDSN (300) 은 4 개의 모듈을 가지는 데, 티씨피 레이어 (TCP layer) 와 직접 인터페이스 하는 피어처리모듈 (302), 현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세션처리모듈 (303), 어플리케이션 (307, 308) 들을 상대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듈 (304), 그리고 과금 정보를 담당하는 어카운트모듈 (301) 이 있다. 특히, 어카운트모듈 (301) 은 모든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현 사용자에 대한 모든 과금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며, 자체 어카운트 에프에스엠 (FSM : Finite State Machine) 으로 하여금 전체적인 이벤트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이벤트 핸들러 (305) 는 모듈들을 관리하는 이벤트성의 메시지를 각각의 이벤트 큐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NASREQ 응용(307), MobileIP 응용(308) 역시 다이어미터 규격에 준하면서 각각의 응용에 맞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링시스템 (100) 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빌링시스템 (100) 은 5 개의 모듈, 즉 인증시스템 (200) 과 SCTP 또는 TCP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필터매니저 (Filter Manager) (101), 한도 가입자에 대한 한도 체크를 담당하는 프리페이드 매니저 (Prepaid Manager) (103), 모든 과금 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합산역할을 담당하는 어그리게이션 매니저 (Aggregation Manager) (102), 현 사용자에 대한 정산작업을 수행하는 빌링매니저 (Billing Manager) (104) 및 가입자 정보의 생성/삭제/변경을 담당하는 가입자 데이터 매니저 (Customer Data Manager) (105) 로 구성된다.
필터매니저 (101) 는 인증시스템 (200) 으로부터 과금 정보를 받아서 빌링시스템 (100) 이 빌링을 처리하는 형태의 자료로 구조를 변경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 데이터 레코드 (UDR : Usage Data Record) 형태의 과금 정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과금 정보들은 필터매니저 (101) 내의 필터큐 (FilterQ) 에 저장되어 하나의 메시지 (과금 정보) 에 대한 역할은 끝나게 된다.
어그리게이션 매니저 (102) 는 필터매니저 (101) 의 필터큐에서 과금 정보를 읽어서 예를 들어 전자우편주소 등의 NAI 를 기본키로 하여 과금 정보를 정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사용자 중에 한도 가입자에 대해서는 해당 정보를 프리페이드 매니저 (103) 내의 프리페이트큐 (prepaidQ) 에 전송함으로써 한도 체크가 수행토록 하며, 모든 과금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 (106) 에 저장시킨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입자 DB, 한도 및 일반 가입자 사용 데이터 레코드 (UDR) DB 등이 저장된다.
프리페이드 매니저 (103) 는 프리페이드큐와 데이터 베이스 (106) 를 검색하여 현재 한도 사용자의 한도 초과 여부를 검사하고 초과시에는 인증시스템 (200) 으로 한도 초과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NAI 를 전송한다.
가입자 데이터 매니저 (105) 는 가입자 정보의 생성, 삭제, 변경 등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가입자 처리 시스템 (400) 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 (106) 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빌링 매니저 (104) 는 후불 가입자에 대해서는 월말 정산을 하고, 로밍 사용자에 대해서는 다른 서비스사의 업체의 빌링 서버와의 정산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을 선불 가입자 한도 사용자임을 예로 들어서, 로그인 하는 과정과, 과금 정보 전달 과정과, 세션 종료 과정을 시스템들 (100, 200, 300) 이 어떤 상호 관련을 가지고 이루어 지는지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우선 로그인 하는 과정을 보면, 무선 단말기를 통해 특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PDSN (300) 에 로그인 접속을 한다. 그러면 PDSN (300) 은 인증요구 메시지 (DER) 를 인증시스템 (200) 으로 전달한다. 피어처리 모듈 (202)은 인증 요구 메시지를 인식하여 세션처리 모듈 (203) 로 전달하고, 계속해서 응용처리 모듈 (204) 과 나스레큐 어플리케이션 (207) 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확인하여 PDSN (300) 에 전송하고, PDSN (300) 은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
다음은 과금 정보 전달 과정과 세션종료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로그인 과정을 거치면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된다. 이때 과금 정보가 주기적으로 전송되어 해당 무선 단말기의 사용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PDSN (300) 은 주기적으로 과금 요청 (ACR) 메시지를 인증시스템 (200) 에 전달하게 된다. 피어처리 모듈 (202) 은 과금 요청 메시지를 판단하여 어카운트 처리 모듈 (201) 로 전송하고, 어카운트 처리 모듈 (201) 은 해당 세션 ID 와 어카운트 에프에스엠 (FSM) 에 따라서 현재 상태를 정의하고 과금로그를 생성한다. 생성된 과금 로그는 현 사용자 과금 로그 데이터 베이스 (212) 에 저장되고, 어카운트 로그 트랜스퍼 프로세스 (209) 에 의해 빌링시스템 (100) 으로 전달된다.
빌링시스템 (100) 이 과금로그를 전송받으면, 필터 매니저 (101) 와 어그리게이션 매니저 (102) 에 의해 해당 과금 로그가 데이터 베이스 (106) 에 저장되고, 어그리게이션 매니저 (102) 는 해당 과금 로그의 사용자가 선불제 사용자임을 판단하여 프리페이드 매니저 (103) 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프리페이드 매니저 (103) 는 해당 선불 사용자의 한도를 체크하여 한도 초과시에는 한도 초과 정보를 인증시스템 (200) 의 프리페이드 체크 프로세스 (213) 로 전달한다.
인증시스템 (200) 의 프리페이드 체크 프로세스 (213) 가 빌링시스템 (100) 으로부터 한도 초과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인터페이스 (API) 를 경유하여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206) 에 한도 초과 정보를 저장한다.
프리페이드 와치 매니저 (211) 는 주기적으로 가입자 DB (206) 와 어카운트 세션 테이블 (210) 을 검색하여 세션테이블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가입자 DB (206) 에 한도 초과 정보가 가입된 사용자를 발견하면 세션처리 모듈 (203) 이 세션중단요청 (ASR)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이벤트를 전송한다.
세션처리 모듈 (203) 은 PDSN (300) 에게 세션중단요청 (STR) 메시지를 전송하고, PDSN (300) 은 그 응답으로서 세션중단응답 (ASA) 메시지를 보내면서 무선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PDSN (300) 이 인증시스템 (200) 으로부터 세션종료응답 (STA) 메시지를 받으면, 마지막으로 과금 요청 (ACR) 정지 메시지를 인증시스템 (200) 에 전송하고, 피어처리 모듈 (202), 어카운트처리 모듈 (201) 및 어카운트 로그 트랜스퍼 프로세스 (209) 를 통해 빌링시스템 (100) 에 과금 로그가 전달된다.
또 어카운트처리 모듈 (201) 은 ACA-STOP 메시지를 생성하여 PDSN (300) 에 전달한다. PDSN (300) 이 마지막으로 ACA-STOP 메시지를 받으면 서비스를 중단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그 과정, 과금 정보 전달 과정 및 세션종료 과정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그러나 서비스 중단은 PDSN (300) 은 경고 메시지 또는 세션종료응답 (STA) 메시지가 있을 때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PDSN (300), 인증시스템 (200) 및 빌링시스템 (100) 각각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다음은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인증과 빌링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겠다.
다음은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한도 선불제 가입자와 일반 후불제 가입자에 대한 과금 시나리오를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7 은 이종의 이동통신망의 인증 및 빌링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7 에는 A 사 및 B 사의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에 빌링시스템 (100a, 100b), 인증시스템 (200a, 200b) 및 PDSN (300a)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시스템은 서로 호접속 또는 제어를 위해 연결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한도 및 일반 가입자에 대한 과금 시나리오를 도시한 선도로서, A 사의 무선 단말기를 가지고 B 사의 PDSN (300b) 에 접속하는 것을 일예로서 도시한 선도이다.
A 사의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B 사의 PDSN (300b) 에 로그인 즉 접속을 시도한다. B 사의 PDSN (300b) 은 인증시스템 (200b) 에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시스템 (200b) 은 A 사의 인증시스템 (200a) 에 인증을 요청한다. 그러면 A 사의 인증시스템 (200a) 은 인증과정을 거쳐 인증결과를 B 사의 인증시스템 (200b) 에 인증결과를 전송하여 PDSN (300b) 을 경유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로그인 (접속) 을 허락한다. 접속이 되면 A 사의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게 된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실시간으로 PDSN (300b) 이 사용자 정보 (가입자 정보) 를 인증시스템 (200b) 에 전송하고 인증시스템 (200b) 은 사용자의 해당 서비스의 과금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과금 정보 (사용자 과금 로그) 를 과금 로그 형태로 빌링시스템 (100b)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B 사의 인증시스템 (200b) 은 사용자 정보를 A 사의 인증시스템 (200a) 에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 과금 로그를 A 사의 빌링시스템 (100a) 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와 과금 정보 로그는 실시간으로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중에 실시간으로 전송됨은 당연하다.
그 다음 빌링시스템 (100a) 은 현재 사용자중에 한도 사용자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한도 초과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NAI) 를 인증시스템 (200a) 에 전송하고, 인증시스템 (200a) 은 B 사의 인증시스템 (200b) 에 현 사용자 사용중지 요청 (세션중지 요청) 을 전송한다.
인증시스템 (200b) 이 한도 초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사용 중지 요청 (세션중단 요청) 을 PDSN (300b) 에 전송하여 경고 메시지를 A 사의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중단요청에 의해 사용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중단시키거나 또는 세션중단요청 후 일정 시간 경과후 중단시킬 수 있으며, 경고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로그아웃 (사용 종료 요청) 을 시도하고 그 요청이 승락된 후에 서비스를 중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로그 아웃 (사용종료 요청) 의 경우에도 인증시스템 (200a, 200b) 간에 서로 요청신호를 송수신하고, 또 서비스 종료 후에도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과금 로그가 A 사 및 B 사의 인증시스템 (200a, 200b) 과 빌링시스템 (100a, 100b) 에 전송됨은 당연하다.
일반 후불제 가입자에 대한 과금 시나리오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링시스템 (100a) 이 한도 초과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세션중단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고 인증결과를 전송하여 서비스가 사용중에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과금 로그가 실시간으로 전송됨은 도 8 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따라서 일반 후불제 가입자에 대한 과금은 소정의 정산시기 (예를 들어 월말) 에 정산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부가적인 별도 시스템이 없이 인증시스템이 한도 가입자에 대한 호제어를 직접 제어 전송토록 하여 한도 가입자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도 가입자와 일반 가입자에 대한 과금 로그 정보를 분리하여 인증과 빌링을 처리함으로써, 한도 가입자에 대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종의 인증시스템과 빌링시스템이 함께 연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불제 한도 가입자 처리의 이동통신망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 는 단일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 및 빌링 시스템의 이동 통신망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 은 인증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 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 는 빌링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 은 어카운트 세션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 은 이종의 이동통신망의 인증 및 빌링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8 은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도 선불제 가입자에 대한 과금 시나리오를 도시한 선도이다.
도 9 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후불제 가입자에 대한 과금 시나리오를 도시한 선도이다.
도 10 은 인증시스템에서 빌링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과금 로그의 일예를 도시한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기지국 2 : 기지국 제어기
3, 300, 300a, 300b :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장치
4, 200, 200a, 200b : 인증시스템 5 : 사용 데이터 어그리게이터
6 : 서비스 제어 포인트 7 : 이동서비스 스위칭 센터
8 : 시스템 액티베이션 시스템 9 : 빌링 중계시스템
100, 100a, 100b : 빌링시스템 400 : 가입자 처리 시스템

Claims (7)

  1. 이종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이종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제1 통신 서비스 장치, 제1 인증 시스템 및 제1 빌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제2 통신 서비스 장치, 제2 인증 시스템 및 제2 빌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한도 가입자는 상기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가입자임-,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 장치임-;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제2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허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빌링 시스템으로부터 사용 한도 초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접속 허락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 차단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은 상기 과금 정보를 미리 설정된 과금 로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빌링 시스템 및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빌링 시스템은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과금 로그를 수신하여, 상기 한도 가입자에 상응하여 저장된 잔액 정보에서 상기 과금 로그에 상응하는 사용 요금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한도 가입자의 사용 한도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한도 가입자의 사용 한도가 초과된 경우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 한도 초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네트워크 억세스 아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접속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서비스 종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인증 시스템으로 제2 서비스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이동 통신망에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6.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이종의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된 한도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제1 인증 시스템 및 제1 빌링 시스템을 포함함-,
    상기 제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서비스 장치-여기서,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또는 접속 장치임-;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 제2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허락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과금 정보를 미리 설정된 과금 로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빌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증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빌링 시스템으로부터 사용 한도 초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로 접속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인증 시스템-여기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인증 시스템에 의해 변환된 상기 과금 로그를 저장하는 제2 빌링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접속 허락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 차단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네트워크 억세스 아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10-2002-0070543A 2002-11-13 2002-11-13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48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43A KR100483925B1 (ko) 2002-11-13 2002-11-13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43A KR100483925B1 (ko) 2002-11-13 2002-11-13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310A KR20040042310A (ko) 2004-05-20
KR100483925B1 true KR100483925B1 (ko) 2005-04-18

Family

ID=3733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43A KR100483925B1 (ko) 2002-11-13 2002-11-13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14B1 (ko) * 2007-02-0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인 바운드 로머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로밍게이트웨이 장치
KR100882942B1 (ko) * 2007-07-23 2009-0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제 로밍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 과금 처리 방법및 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70A (ko) * 1999-12-10 2001-07-04 서평원 다른 통신 서비스 업체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법
KR20010064799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이기종 이동통신시스템간의 가입자 인증 서비스 방법
KR20020006985A (ko) * 2000-07-14 2002-01-26 정재윤 인증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이 기종 인증시스템의 인증서비스 방법
KR20020020144A (ko) * 2000-09-08 2002-03-14 정장호 이종 통신사업자망간의 무선 인터넷 컨텐츠 제공 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KR20020058559A (ko)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통합 과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30052567A (ko) * 2001-12-21 200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패킷 데이터망에서 인증 허가 계산 서버의 선불과금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70A (ko) * 1999-12-10 2001-07-04 서평원 다른 통신 서비스 업체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법
KR20010064799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이기종 이동통신시스템간의 가입자 인증 서비스 방법
KR20020006985A (ko) * 2000-07-14 2002-01-26 정재윤 인증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이 기종 인증시스템의 인증서비스 방법
KR20020020144A (ko) * 2000-09-08 2002-03-14 정장호 이종 통신사업자망간의 무선 인터넷 컨텐츠 제공 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KR20020058559A (ko)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통합 과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30052567A (ko) * 2001-12-21 200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패킷 데이터망에서 인증 허가 계산 서버의 선불과금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310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1578C (en) Real-time tiered rating of communication services
US66940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long distance call connections using electronic text messages
US7720960B2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prepaid billing for network services using explicit service authorization in an access server
US8498391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supporting prepaid service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1492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essions in a wireless network
RU2388179C2 (ru) Система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и способ отправк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EP1584179B1 (en) Charging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37176A1 (en) Method, apparatus and software program f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elements
EP1452050A1 (en) A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ervice quality and an accoun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77332A1 (en) Management of pre-paid bill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02067498A1 (en) Prepaid access to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JP2004538685A (ja) 無線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方法
KR100434431B1 (ko)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통합 과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30100258A (ko) 통신을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483925B1 (ko)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483923B1 (ko)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일반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478258B1 (ko) 패킷 이동 화상전화 서비스의 과금 방법
KR20030052567A (ko) 이동 통신 패킷 데이터망에서 인증 허가 계산 서버의 선불과금 처리방법
KR100483926B1 (ko) 일반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0621203B1 (ko) 선불 및 한도 가입자를 위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2308A (ko) 한도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 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20030049655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선불과금 서비스 방법
KR101452413B1 (ko) 패킷 한도 만료 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685789B (zh) 基于网络电话的通信方法及系统
GB2383230A (en) Telecommunication pay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