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207B1 -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207B1
KR100483207B1 KR10-2000-0042967A KR20000042967A KR100483207B1 KR 100483207 B1 KR100483207 B1 KR 100483207B1 KR 20000042967 A KR20000042967 A KR 20000042967A KR 100483207 B1 KR100483207 B1 KR 10048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electronic money
charging
supplementary
prev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654A (ko
Inventor
황성영
김종동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10-2000-004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2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207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할 때 충전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전 보충거래정보(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금액)를 이용하여 충전오류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화폐로부터 충전요청신호가 접수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전자화폐로부터 기 저장된 충전요청금액정보와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정보와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수신하고;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의 값과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충거래카운터 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보충거래카운터 값과 동일하면, 충전요청금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고; 비교 결과,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보충거래카운터 값보다 작은 값이면,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화폐에 기록된 이전 보충거래정보와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록된 보충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오류의 발생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재충전하도록 요청한 경우, 충전오류를 자동으로 복구하도록 함으로써, 전자화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Method for loading value to electronic purse}
본 발명은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할 때 충전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전 보충거래정보(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금액)를 이용하여 충전오류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거래에서 통용되는 화폐는 지폐와 동전 및 수표 등으로 한정되었으나, 이러한 화폐의 보유에 따른 불편함과 도난의 우려에 의해 새로운 화폐개념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실물거래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개념의 결제방식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결제방식에는 신용카드와 전자 칩(chip)을 내장한 전자화폐가 주목되고 있다.
즉, 정보화시대의 정착과 함께 각종 카드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자기 띠 카드와 같은 단순 기록매체에서 이제는 전자 칩을 내장하여 지능화한 전자화폐(IC 카드)까지 제공되고 있다.
전자화폐는 크게 접점단자와 칩에 의한 접촉식 카드와, RF방식의 비접촉식 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 카드의 대표적인 일 예로서 전자지갑을 들 수 있고, 비접촉식 카드의 대표적인 일 예로는 교통지갑을 들 수 있다.
접촉식 카드는 접촉단자와 접촉식 전자 칩이 하나의 카드 내에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촉단자가 카드판독기의 접점에 접촉됨에 따라, 카드판독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전자지갑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전자지갑에 일정 금액을 정산하여 충전하면, 전자지갑내의 접촉식 전자 칩에는 사용자가 정산한 금액이 충전된다. 이후, 사용자는 물품 구매 등의 상거래행위에 대응하여 전자지갑을 제시함에 따라 판매자가 전자지갑을 카드판독기에 투입한 후 정산금액을 입력하면, 카드판독기는 접촉식 전자 칩에 기 충전되어 있는 금액으로부터 상거래행위에서 발생한 정산금액만큼 감산하여 새로운 금액을 기록함으로서, 사용요금이 정산되도록 한다.
또한, 비접촉식 카드는 그 내부에 루프형 안테나와 비접촉식 전자 칩이 내장되어 있어, 버스 혹은 공중전화기 등에 설치되는 카드판독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요금이 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 충전방식과 인터넷을 이용한 충전방식이 있다. 직접 충전방식은 사용자가 금액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방문하여 전자화폐를 금액충전기에 투입하고 사용자가 일정금액을 충전하도록 요청하면, 충전금액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에게 자동 이체되고, 요청한 일정금액이 전자화폐에 충전되며, 충전이 완료되면 전자화폐가 배출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전자화폐는 금액충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야만 금액충전기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충전과정에 의한 오류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충전방식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 등에 부가 설치된 금액충전기를 통하여 금액을 충전하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금액을 충전하도록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전자화폐와 연동되어 있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충전금액을 인출한 후, 전자화폐에 해당 금액을 충전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서버와 금액충전기 사이에는 인터넷망을 통한 충전요청신호와 응답신호가 상호 교환된다.
다시 말해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가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명령을 전송한 후, 해당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응답신호를 요청하고, 금액충전기는 전자화폐의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서버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방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충전명령이 전자화폐로 전달되지 못하여 충전오류가 발생하거나 혹은 전자화폐에는 충전이 되었으나 응답신호가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되지 못하여 충전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가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인지 혹은 충전작업이 실패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이미 인출된 충전금액을 다시 사용자의 계좌로 재 입금하여야 할지 혹은 전자화폐에 충전금액이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여야 할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에 기록된 이전 보충거래정보와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록된 보충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오류의 발생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재충전하도록 요청한 경우, 충전오류를 복구하도록 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자화폐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되고, 서비스 제공서버와 전자화폐 사이에 교환되는 프로토콜에 의해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에 있어서: 전자화폐로부터 충전요청신호가 접수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전자화폐로부터 기 저장된 충전요청금액정보와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정보와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수신하고;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의 값과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충거래카운터 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보충거래카운터 값과 동일하거나 크면, 충전요청금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고; 비교 결과,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보충거래카운터 값보다 작은 값이면,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경우는, 충전요청금액과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과 동일하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별도의 금액을 출금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며; 비교 결과,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큰 값이면, 충전요청금액으로부터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고; 비교 결과,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작은 값이면, 이전 보충거래금액으로부터 충전요청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 재 입금한 후, 전자화폐에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작업에서 전자화폐와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록되는 정보 및 프로토콜의 교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전자화폐(100)를 소지한 사용자(200)는 인터넷망(3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전자화폐(100)는 인터넷망(300)과 금액충전기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과 서비스 제공서버(400)의 거래은행(600)은 상호 자금을 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화폐(100)에는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이전 보충거래금액 및 거래 카운터와 충전금액이 기록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400)에는 해당 전자화폐(100)에 대한 보충거래카운터와 보충거래금액이 기록된다. 여기서, 이전 보충거래카운터는 보충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전자화폐(100)에 기록되는 카운터의 값이고, 이전 보충거래금액은 보충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전자화폐(100)에 기록되는 잔액정보이며, 거래카운터는 현재 일반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 전자화폐(100)에 기록되는 카운터의 값이고, 충전금액은 현재 일반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 전자화폐(100)에 기록된 잔액정보이다. 또한, 보충거래카운터는 보충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기록되는 해당 전자화폐(100)의 카운터 값이고, 보충거래금액은 보충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기록되는 해당 전자화폐(100)의 잔액정보이다.
사용자(200)가 전자화폐(100)를 금액충전기(도시되지 않았음)에 투입한 상태에서 금액충전을 요청하면(S1), 금액충전기는 전자화폐(100)에 기록된 이전 보충거래정보(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이전 보충거래금액)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전 보충거래정보와 충전요청 금액정보를 인터넷망(3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충전요청 금액정보와 이전 보충거래정보를 수신하고(S2), 수신된 이전 보충거래정보 중 이전보충거래 카운터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등록된 보충거래 카운터를 비교한다(S3).
다시 말해서, 사용자(200)가 전자화폐(100)에 10,000원의 금액을 보충하도록 요청하면, 전자화폐(100)는 충전요청신호와 이전 보충거래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으로부터 충전금액을 인출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의 거래은행(600)으로 자금을 이체하고, 보충거래카운터에 '1'을 기록하며, 보충거래금액에 10,000원을 기록한 후, 충전신호를 전자화폐(100)로 출력한다. 이에, 전자화폐(100)에 해당 금액이 충전되면, 전자화폐(100)는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거래 카운터에 '1'이라는 카운터 값을 기록하고, 이전 보충거래금액과 충전금액에 10,000원을 기록한 후, 서비스 제공서버(400)로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200)가 전자화폐(100)를 이용하여 금융거래에 대한 지불을 행하면, 거래카운터는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반하여 충전금액을 금융거래에 대한 지불금액만큼 차감되어 감소된다.
이후, 사용자(200)가 전자화폐(100)에 10,000원의 금액을 보충하도록 요청하면, 전자화폐(100)는 충전요청신호와 이전 보충거래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이전 보충거래정보 중 이전 보충거래카운터('1')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저장된 보충거래카운터('1')를 비교한다.
여기서,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이전 보충거래정보 중 이전 보충거래카운터('1')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저장된 보충거래카운터('1')가 같거나 크면(S4),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이전 보충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으로부터 사용자(200)가 요청한 충전금액을 인출한다(S5).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보충거래카운터에 거래카운터의 최종 값에 '1'을 더한 값(도 2에서는 '11')을 기록하며, 보충거래금액에 10,000원을 기록한 후, 충전신호를 전자화폐(100)로 출력한다. 이때, 통신상의 에러 혹은 전자화폐(100) 자체의 에러 등으로 인하여 전자화폐(100)에 해당 금액이 충전되지 못하면, 전자화폐(100)로부터 응답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자화폐(100)는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와 거래 카운터 및 이전 보충거래금액과 충전금액에 새로운 값을 기록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으로부터 충전금액을 인출한 상태이고, 전자화폐(100)에는 해당 금액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200)가 소정의 충전금액(도 2에서는 10,000원)을 충전하도록 요청하면(S1), 전자화폐(100)는 충전요청신호와 이전 보충거래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400)로 전송하고(S2),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이전 보충거래정보 중 이전 보충거래카운터('1')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저장된 보충거래카운터('11')를 비교한다(S3).
만약, 이 단계(S3)에서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이전 보충거래카운터('1')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저장된 보충거래카운터('11')보다 작은 값이면,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이전의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 계좌로부터 충전금액이 인출된 것으로 판정하고,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충전요청금액과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비교한다(S6).
여기서,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과 같으면(S7),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 계좌로부터 별도의 출금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전자화폐(100)에 해당 금액을 충전한다(S8).
만약,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큰 값이면(S9), 충전요청금액으로부터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사용자(200)가 요청한 충전요청금액만큼 해당 전자화폐(100)에 해당 금액을 충전한다(S10).
만약, 전자화폐(100)로부터 전송된 충전요청금액이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큰 값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 보충거래금액으로부터 충전요청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200)의 거래은행(500) 계좌로 재 입금한 후, 사용자(200)가 요청한 충전요청금액만큼 해당 전자화폐(100)에 해당 금액을 충전한다(S11).
따라서, 이전의 보충작업에서 발생한 충전오류를 극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자화폐(100)의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전자화폐에 기록된 이전 보충거래정보와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록된 보충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오류의 발생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재충전하도록 요청한 경우, 충전오류를 자동으로 복구하도록 함으로써, 전자화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작업에서 전자화폐와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록되는 정보 및 프로토콜의 교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화폐 200: 사용자
300: 인터넷망 400: 서비스 제공서버
500, 600: 은행

Claims (2)

  1. 전자화폐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와 상기 전자화폐 사이에 교환되는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전자화폐 금액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로부터 충전요청신호가 접수되면, 상기 전자화폐로부터 기 저장된 충전요청금액정보와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정보와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전 보충거래카운터의 값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기 저장된 상기 전자화폐의 보충거래카운터의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상기 보충거래카운터 값과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충전요청금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보충거래카운터 값이 상기 보충거래카운터 값보다 작은 값이면,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금액 충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요청금액과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충전요청금액이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과 동일하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별도의 금액을 출금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충전요청금액이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큰 값이면, 상기 충전요청금액으로부터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후,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충전요청금액이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보다 작은 값이면, 상기 이전 보충거래금액으로부터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차감한 차액만큼 사용자의 계좌로 재 입금한 후, 상기 전자화폐에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금액 충전 방법.
KR10-2000-0042967A 2000-07-26 2000-07-26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KR10048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967A KR100483207B1 (ko) 2000-07-26 2000-07-26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967A KR100483207B1 (ko) 2000-07-26 2000-07-26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654A KR20020009654A (ko) 2002-02-02
KR100483207B1 true KR100483207B1 (ko) 2005-04-15

Family

ID=1967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967A KR100483207B1 (ko) 2000-07-26 2000-07-26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77A (ko) * 2001-01-29 2002-08-03 주식회사 마이비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방법
KR20030086780A (ko) * 2002-05-07 2003-11-12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충전리스트 전송방식의 전자화폐 자동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278A (ja) * 1995-12-19 1997-06-24 N T T Data Tsushin Kk 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及び入金機
JPH09212565A (ja) * 1996-02-07 1997-08-15 Nec Corp 無線携帯端末システム
KR19990014809A (ko) * 1995-05-15 1999-02-25 로버트 카플레혼 가치 전송 시스템에서의 전송 복구
JPH11154183A (ja) * 1997-11-25 1999-06-08 Hitachi Ltd サービス給付を取り扱う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00019684A (ko) * 1998-09-15 2000-04-15 안민구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00034126A (ko) * 1998-11-27 2000-06-15 최무용 금액 충전시 보안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809A (ko) * 1995-05-15 1999-02-25 로버트 카플레혼 가치 전송 시스템에서의 전송 복구
JPH09167278A (ja) * 1995-12-19 1997-06-24 N T T Data Tsushin Kk 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及び入金機
JPH09212565A (ja) * 1996-02-07 1997-08-15 Nec Corp 無線携帯端末システム
JPH11154183A (ja) * 1997-11-25 1999-06-08 Hitachi Ltd サービス給付を取り扱う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00019684A (ko) * 1998-09-15 2000-04-15 안민구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00034126A (ko) * 1998-11-27 2000-06-15 최무용 금액 충전시 보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654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01863C2 (nl) Werkwijze voor het beveiligd afwaarderen van een elektronisch betaalmid- del, alsmede betaalmiddel voor het ten uitvoer leggen van de werkwijze.
RU96117523A (ru) Расчетная карточка, терминал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езналичных расчетов
EP1528513A1 (en) Electronic money charger
EP0637004B1 (en) Method for recording usage data of card operated devices
EP1512125B1 (en) Method to pay with a smart card
CN106096954B (zh) 非联网数据处理装置、非联网数据交互系统及方法
KR20000050374A (ko) 전자지갑 자동 충전 및 징수장치와 그 처리방법
JP2000099603A (ja) Icカードによる取引情報の確認方法とそのシステム
SI9620027A (en) Card apparatus and cashless transaction system
KR100483207B1 (ko) 전자화폐의 금액 충전방법
EP1189179A2 (en) A method for loading money, an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JP3579365B2 (ja) 利用料金支払い方法および利用料金支払いシステム
KR20020066828A (ko) 비접촉식 알에프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전자결제 시스템의제어방법
KR100470731B1 (ko) 다종의 비접촉형 전자화폐용 ic카드를 이용한 통행요금및 주차요금 통합 지불 시스템 및 방법
JP3577567B2 (ja) 電子マネーチャージ端末装置及び電子マネーチャージシステム
KR101566018B1 (ko) 비호환 멀티인프라에서 충전 가능한 통합선불형 전자화폐 카드 시스템
KR2002006337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방법
KR20020066829A (ko) 무선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비접촉식 알에프카드 리더기
KR20010025504A (ko) 카드아이시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결제및 충전 시스템
KR100363204B1 (ko) 자동판매기의 거래내역 정산시스템 및 그것의 정산방법
KR100373404B1 (ko) 전자지갑과 교통지갑의 금액정보 정산방법
KR100796972B1 (ko) 전자지갑 위탁 관리 시스템
KR20040001114A (ko) 전자화폐 단말기
KR20040017396A (ko) 선불/후불형 겸용 전자화폐 지불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4096A (ko)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828

Effective date: 200412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