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610B1 -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 Google Patents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610B1
KR100482610B1 KR10-2003-0054723A KR20030054723A KR100482610B1 KR 100482610 B1 KR100482610 B1 KR 100482610B1 KR 20030054723 A KR20030054723 A KR 20030054723A KR 100482610 B1 KR100482610 B1 KR 10048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ffer
time
withdrawal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5769A (en
Inventor
한승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10B1/en
Publication of KR2005001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7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작업 공정과 버퍼로 구성되는 공장 내에서 상기 버퍼의 합류 및 분기 제어를 각각의 공정에서 국부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공장 투입지점에 차량이 도착되었을 때, 기 투입된 차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된 각 버퍼의 가상 제공 상황을 작성하여 각 버퍼를 지나가는 경로, 각 버퍼에 인입되는 레인 및 시간, 인출되는 시간 등을 결정하여 차량 흐름 제어코드를 작성 및 튜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차량이 각각의 버퍼를 지나갈 때 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ocally manage the joining and branching control of the buffer in each process in a facto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rk processes and buffers, and uses the data of the pre-injected vehicle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factory input point. By creating a virtual provision situation of each predicted buffer, the vehicle flow control code is created and tuned by determining the path passing through each buffer, the lane and time to be entered into each buffer, and the time to be drawn out. It provides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to control the flow when passing each buffer.

Description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본 발명은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작업 공정과 버퍼로 구성되는 공장 내에서 상기 버퍼의 합류 및 분기 제어를 각각의 공정에서 국부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공장 투입지점에 차량이 도착되었을 때, 기 투입된 차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된 각 버퍼의 가상 제공 상황을 작성하여 각 버퍼를 지나가는 경로, 각 버퍼에 인입되는 레인(lane) 및 시간, 인출되는 시간 등을 결정하여 차량 흐름 제어코드를 작성 및 튜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차량이 각각의 버퍼를 지나갈 때 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tory without a plurality of work processes and a control of merging and branching control of the buffers locally in each factory.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injection point, the virtual data of each buffer is created by using the data of the vehicle, and the path passing through each buffer, the lane and time entering each buffer, the time taken out,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to create and tune a vehicle flow control code, and to control the flow when each vehicle passes each buffe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한 대의 완성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제품양산까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들은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맞추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동시에, 설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지원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oduce a finished car, automakers go through various processes from selection of materials to mass production, and these processes produce more products in a shorter time by adopting an autom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factory automation. Efforts are underway, and various efforts are under way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facility.

이러한 관점에서, 자동차 메이커의 도장공장은 수많은 공정과 버퍼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런 버퍼는 필요에 따라 분기되었다가 다시 합류되는 과정을 거쳐 각각의 공정에 필요한 사양의 차량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In this respect, the automaker's paint shop consists of a number of processes and buffers, which are branched and re-joined as needed to ensure that vehicles with the specifications required for each process are pulled in and out. .

이러한 각 공정 및 버퍼를 구성하는 도장공장의 차량 흐름 제어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공정의 작업장(W1)에 대한 제약조건을 먼저 설정하게 하고,(S10) 이어서 해당 공정 이전 버퍼1(B1)의 현재 제공된 차량상황을 검출하게 된다.(S20) Vehicle flow control of the paint shop constituting each of these processes and buffer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o first set the constraints for the workplace (W1) of the process (S10), then the process The currently provided vehicle situation of the previous buffer 1 B1 is detected (S20).

그리고 상기에서 해당 공정 이전 버퍼1(B1)상의 현재 검출된 차량상황에 따라 작업조건에 위배되지 않는 차량을 선정하여 상기 이전 버퍼1(B1)로부터 인출하게 되고,(S30) 상기 해당 공정의 작업장(W1)에서는 공정을 완료한 차량을 해당 공정 이후 버퍼2(B2)의 인입 지점(IP2)에 이동시킨다.(S40) Then, the vehicle that does not violate the working condi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urrently detected vehicle condition on the buffer 1 (B1) before the process and is withdrawn from the buffer 1 (B1) (S30). In step W1), the vehicle having completed the process is moved to the inlet point IP2 of the buffer 2 (B2) after the process (S40).

이어서 상기 해당 공정 이후 버퍼2(B2)에 상기 차량의 사양에 대한 지정 레인(즉, 통로)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S0),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지정 레인으로 인입하도록 설정하고,(S60)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공정 이후 버퍼2(B2)의 각 레인 중에서 차량의 제공 대수가 가장 적은 레인을 인입 레인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있다.(S70) Subsequently, after the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signated lane (i.e., a passage)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exists in the buffer 2 (B2) (S0), and if present, sets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into the designated lane, ( If it is not present, it is controlled to set the lane with the lowest number of vehicles provided among the lanes of the buffer 2 (B2) as the incoming lane after the process.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 흐름 제어는 각각의 공정에서 국부적인 차량 인입 및 인출을 제어(제어 범위가 해당 작업장(W1) 이전 또는 이후 버퍼(B1,B2)에 한정된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차량 인입제어는 차량이 각 버퍼(Buffer; 즉, B2)의 인입지점(IP2)에 도착되었을 때, 각 차량의 사양에 대한 지정된 레인(lane)이 있을 경우 지정된 레인에 입고하고, 지정된 레인이 없는 경우 차량의 제공 대수가 가장 적은 레인에 입고하도록 하고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vehicle flow control is made to control local vehicle intake and withdrawal in each process (control range limited to the buffers B1 and B2 before or after the corresponding workplace W1), and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entry point (IP2) of each buffer (ie, B2), the incoming control is put on the designated lane when there is a designated lane for each vehicle specification, and when there is no designated lane. The number of vehicles provided is to be stocked in the least lanes.

또한, 차량의 인출제어는 기 인출된 차량과 규제조건에 위배되지 않고, 버퍼에 존재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각 작업공정에 필요한 차량을 인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의 제어사양관리는 공장 전체의 흐름 제어 사양이 아닌 각 작업공정에 필요한 인출, 또는 인입조건만으로 국부적 관리가 이루어져 차량의 흐름을 바꾸려면 각 공정에서 각각 설정값을 변경하여 흐름을 바꾸어야 하고, 각 공정에서 흐름을 바꾸었다고는 하나, 공장의 전체적인 흐름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ithdrawal control of the vehicle does not violate the already drawn out vehicle and the regulatory conditions, and makes it possible to withdraw the vehicle necessary for each work process for the vehicle existing in the buffer, and the control specification management of the vehicle is the flow of the entire factory. In order to change the flow of the vehicle by locally managing only the withdrawal or inflow conditions required for each work process, not the control specification, the flow must be changed by changing the set values in each process. This implies that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overall flow of the system.

또 해당 공정의 이전 또는 이후에 작업공정이 존재하지 않는 버퍼(Buffer)의 제어도 불가능하게 되며, 차량이 각 버퍼의 통과 시간, 통과 경로 등은 각 차량이 해당 버퍼에 도착하여 존재해야만 결정이 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buffer in which the work process does not exist before or after the process, and the passing time and passage path of each buffer can be determined only when each vehicle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buffer. There is also a problem such a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작업 공정과 버퍼로 구성되는 공장 내에서 상기 버퍼의 합류 및 분기 제어를 각각의 공정에서 국부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공장 투입지점에 차량이 도착되었을 때, 기 투입된 차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된 각 버퍼의 가상 제공 상황을 작성하여 각 버퍼를 지나가는 경로, 각 버퍼에 인입되는 레인 및 시간, 인출되는 시간 등을 결정하여 차량 흐름 제어코드를 작성 및 튜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차량이 각각의 버퍼를 지나갈 때 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cally manage the joining and branching control of the buffers in each process in a facto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rk processes and buffers. Instead,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factory input point, the virtual data of each buffer is created by using the data of the vehicle, and the path passing through each buffer, the lane and time entering each buffer, and the time taken out. It is to provide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to determine and the like to create and tune the vehicle flow control code, and to control the flow when each vehicle passes each buffer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은,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해당 차량의 차체번호를 검출하여 사양테이블과 비교하여 그 사양을 결정하는 사양결정단계와;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입될 설정버퍼와 설정버퍼내의 지정레인을 결정하는 인입코드, 및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출될 설정버퍼에서 설정조건에 따라 인출되도록 그 인출조건을 결정하는 인출코드를 작성하는 인입 및 인출코드 작성단계와; 상기 해당 차량의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해당 차량의 각 설정버퍼 및 그 지정레인의 정보를 각 설정버퍼의 순서대로 해당 지정레인의 번호로 표시하는 해당 차량의 전체경로 설정단계와; 상기 해당 차량이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시간을 해당 버퍼의 인입지점으로부터의 인입시간으로 설정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시간 결정단계와; 상기 해당 버퍼내의 차량의 제공현황을 고려하여 그 인입지점을 통하여 인입될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재결정하여 투입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레인 결정단계와; 상기 해당 버퍼의 인출지점을 통하여 해당 공정으로 투입될 차량이 그 인출조건에 위배되지 않도록 그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인출하는 해당 버퍼의 인출시간 결정단계와; 다음 버퍼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다음 버퍼 판단단계와; 상기 해당 차량의 차량명, 인입코드, 인출코드, 설정버퍼, 인입레인,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의 정보를 인자로 하여 구성되는 흐름 제어테이블을 작성하는 흐름 제어테이블 작성단계와; 상기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의 흐름 제어테이블에 계산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과, 상기 해당 차량의 실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비교하여 실시간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튜닝하는 해당 차량의 인입 및 인출시간 튜닝단계를 포함한다.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pecific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vehicle body number of a corresponding vehicle arriving at a factory input point and comparing the specification with a specification table; An entry code for determining a setting buffer to be drawn i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a designated lane in the setting buffer, and a draw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drawing condition so that the vehicle is drawn out according to a setting condition in the setting buffer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 incoming and outgoing code preparation step of creating an outgoing code; A total path setting step of the vehicle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each setting buffer and the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ath set by the entry code of the vehicle by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lane in the order of each setting buffer; Determining an entry time of a corresponding buffer for setting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arrives at a factory entry point as an entry time from an entry point of the buffer; A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lan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for re-determining and injecting an entry lane of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entry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state of the vehicle in the buffer; Determining the withdrawal tim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to determine the withdrawal time so that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into the process through the withdrawal point of the buffer does not violate the withdrawal condition; A next buffer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next buffer exists; A flow control table creating step of creating a flow control table composed of information of a vehicle name, a pulling code, a drawing code, a setting buffer, a drawing lane, a drawing time, and a draw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uning in and out time of the vehicle to tune in and out tim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in and out time calculated in the flow control tabl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the actual in and out time of the vehicle Step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Hereinafter, preferred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공정도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to which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공장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버퍼(B1,B2,B3,B4,B5)와 4개의 공정 작업장(W1,W2,W3,W4)을 갖는 도장공장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A factory for applying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five buffers (B1, B2, B3, B4, B5) and four process workshops ( A painting factory having W1, W2, W3, and W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버퍼는 버퍼1에 5개의 레인을 구비하고, 버퍼2에는 3개의 레인을, 버퍼3에는 4개의 레인을, 버퍼4에 8개의 레인을, 버퍼5에 4개의 레인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buffer includes five lanes in buffer 1, three lanes in buffer 2, four lanes in buffer 3, eight lanes in buffer 4, and four lanes in buffer 5. d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장공장을 통하여 본 발명의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해당 차량의 차체번호를 검출하여 사양테이블과 비교함으로써, 그 사양을 결정하는 사양결정단계(S10)을 진행한다. In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aint sho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first, by detecting the body number of the vehicle arriving at the factory input point and comparing it with the specification table, The specification determination step (S10) of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s is carried out.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입될 설정버퍼와 설정버퍼내의 지정레인을 결정하는 인입코드, 및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출될 설정버퍼에서 설정조건에 따라 인출되도록 그 인출조건을 결정하는 인출코드를 작성하는 인입 및 인출코드 작성단계(S20)를 진행하는데, 상기에서 인입코드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이 각각의 옵션 항목(OPT_1,2,3,4,5)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경우에 "1"로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0"으로 적용하여 이진수화 한 것의 합으로 나타내며, 그 인자는 조건명(디젤,RHD,ABS..) 설정버퍼 및 지정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 entry code for determining a setting buffer to be drawn i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a designated lane in the setting buffer, and a draw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drawing condition so that the vehicle is drawn out according to a setting condition in the setting buffer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 draw-in and draw-out code preparation step (S20) of creating a draw-out code is performed. In the draw-in code, as shown in FIG. 8, the corresponding vehicle has an option item OPT_1, 2, 3, 4, 5. It is determined as whether or not it is applied to, and if it is not applicable, it is represented as the sum of the binary number applied by applying "0", and the factor is the condition name (diesel, RHD, ABS ..) It consists of a buffer and a designated lane.

상기 인출코드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이 각각의 옵션 항목(OPT_1,2,3,4,5)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경우에 "1"로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0"으로 적용하여 이진수화 한 것의 합으로 나타내며, 그 인자는 조건명(디젤,GK2.7,GK,ABS..), 설정조건(연속:3, 간격:2...) 및 설정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9, the withdrawal code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corresponds to each option item OPT_1, 2, 3, 4, 5, and does not correspond to “1” in this case. In this case, it is represented as the sum of the binary number applied by applying "0", and the factor is the condition name (diesel, GK2.7, GK, ABS ..), the setting condition (continuous: 3, interval: 2 ...)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tting buffer.

여기서, 상기 설정조건(인출조건)은 해당 차량의 해당 공정으로 연속투입 혹은, 각 차량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조건들로 이루어진다.Here, the setting conditions (draw-out conditions) are made of conditions that continuously input into the corresponding process of the vehicle or define an interval between the vehicles.

그리고 상기 해당 차량의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해당 차량의 각 설정버퍼 및 그 지정레인의 정보를 각 설정버퍼의 순서대로 해당 지정레인의 번호로 표시하는 해당 차량의 전체경로 설정단계(S30)를 진행하는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가 도시된 바와 같다면, 해당 차량의 경로값은 "32101"로 표시된다. And setting the entire path of the vehicle (S30)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each setting buffer and the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ath set by the entry code of the vehicle by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lane in the order of each setting buffer (S30). As shown in FIG. 10, if the route set by the entry code of the vehicle is as shown, the route value of the vehicle is displayed as “32101”.

여기서, 버퍼4의 지정레인의 번호가 "0"으로 표시되는 것은 상기 해당 차량은 버퍼4를 통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lane of the buffer 4 is displayed as "0" means that the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the buffer 4.

이와 같이, 상기 해당 차량의 전체 경로값이 설정되면, 상기 해당 차량은 초기 설정버퍼(Buffer N=1)를 통하여(SN1)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시간을 해당 버퍼의 인입지점으로부터의 인입시간으로 설정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시간 결정단계(S40)를 진행한다. As such, when the total path value of the vehicle is set, the vehicle sets the time of arrival at the factory input point (SN1) through the initial setting buffer (Buffer N = 1) as the entry time from the entry point of the buffer. In step S40 of determining the draw tim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이어서, 상기 해당 버퍼내의 차량의 제공현황을 고려하여 그 인입지점을 통하여 인입될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재결정하여 투입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레인 결정단계(S50)를 진행하게 된다. Subsequ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provided in the buff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let lan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for re-determining and injecting the inlet lan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int is performed.

상기 인입레인 결정단계(S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51)In the pulling lane determination step (S50), as shown in Figure 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is present in the entry code table (S51).

여기서,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제1순위(N=1) 지정레인을 적용하여(S52) 지정레인에 차량이 풀(Full)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S53) 이 때, 풀(Full)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해당 버퍼에서의 제1순위 지정레인으로 결정하여 다음단계(S60)로 진행하게 된다(S54).Here, when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exists in the entry code tab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in a full state by applying the first priority (N = 1)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S52).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not in the full state, the inflow lan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as the first priority designation lane in the buffer,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60 (S54).

그리고 상기 단계(S51)에서,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버퍼내의 인입레인을 차량이 가장 작은 레인으로 결정하여 다음단계(S60)로 진행하게 된다.(S55) In step S51, if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does not exist in the entry code table, the entry lane in the buffer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lane of the vehicle, and the flow proceeds to the next step S60.

또한, 상기 단계(S53)단계에서, 지정레인에 차량이 풀(Full) 상태인 경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해당 버퍼에서의 제2순위 지정레인으로 적용하여(S56), 상기 해당 버퍼에서 제2순위 지정레인(N=N+1)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S57) 여기서 제2순위 지정레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53)로 리턴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55)로 진행하게 된다. Further, in the step S53, when the vehicle is in a full state in the designated lane, the incoming lane of the vehicle is applied as the second priority designated lane in the buffer (S56), and the first buffer in the corresponding buffer is appli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priority designation lane (N = N + 1) exists (S57). If there is a second priority designation lane,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53. S55).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인입레인 결정단계(S50)가 완료되면, 상기 해당 버퍼의 인출지점을 통하여 해당 공정으로 투입될 차량이 그 인출조건에 위배되지 않도록 그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인출하는 해당 버퍼의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진행하게 된다.When the inlet lane determination step (S50)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the withdrawal of the buffer to be withdrawn by determining the withdrawal time so that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into the process does not violate the withdrawal condition through the withdrawal point of the corresponding buffer. The time decision step S60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인출레인 결정단계(S50)로부터 해당 버퍼내 각 차량의 인출시간을 이용하여 인출 리스트를 작성한다.(S61)In the drawing time determining step (S60), as shown in FIG. 6, a drawing list is prepared using the drawing time of each vehicle in the buffer from the drawing lane determining step (S50). (S61)

이어서,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는 사양이 있는가를 판단한다.(S62)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s to the drawing code table (S62).

상기 단계(S62)에서,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는 사양이면, 상기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을 적용하여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는가는 판단한다.(S63) In step S62, if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is a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code tab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violates the vehicle and the input ratio on the withdrawal list by applying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S63)

상기 단계(S63)에서,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는 경우, 해당 버퍼내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4)In the step S63, if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is in violation of the vehicle and the input ratio on the withdrawal li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ehicle with an undetermined withdrawal time in the buffer (S64).

상기 단계(S64)에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 경우,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해당 차량을 조합하여 투입비율에 위배되지 않는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가를 다시 판단한다.(S65)In the step (S64), if there is a vehicle with the undecided time, it is determined again by combining the withdrawal time undetermined vehicle and the corresponding vehicle to create a withdrawal list that does not violate the input ratio (S65).

상기 단계(S65)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 경우에는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해당 차량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S70)로 진행한다.(S66)In the step S65, if the withdrawal list can be created, the withdrawal time undecided vehicle and the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are determin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70.

그리고 상기 단계(S62)에서,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지 않는 사양이거나, 상기 단계(S63)에서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에서 인출 사이클 타임을 계산하여 인입시간과 인출 사이클 타임을 이용하여 상기 해당 차량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S70)로 진행하게 된다.(S67) If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withdrawal code table in step S62 or if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does not violate the ratio of the vehicle on the withdrawal list in step S63, The withdrawal cycle time is calculated in the intake lane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using the intake time and the withdrawal cycle time, and the flow proceeds to the next step (S70).

또한, 상기 단계(S64)에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없는 경우이거나, 상기 단계(S65)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없는 경우, 상기 해당 차량을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으로 등록함으로써(S68)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S64, when there is no vehicle with an undecided time or when the withdrawal list cannot be made in the step S65, the withdrawal time is determined by registering the vehicle as a vehicle with an undetermined withdrawal time (S68). Step S60 is achieved.

이러한 해당 차량의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완료하면, 해당 차량이 통과할 다음 버퍼(Buffer N=N+1)을 설정버퍼로 하여(SN2) 다음 설정버퍼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다음 버퍼 판단단계(S70)를 진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해당 차량이 통과할 다음 버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버퍼의 인입시간을 결정하는 인입시간 결정단계(S40)로 다시 리턴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해당 차량의 차량명, 인입코드, 인출코드, 설정버퍼, 인입레인,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의 정보를 인자로 하여 구성되는 흐름 제어테이블을 작성하는 흐름 제어테이블 작성단계(S80)를 진행하게 된다. When the drawing time determination step (S60) of the vehicle is completed, the next buffer determin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next setting buffer exists by using the next buffer (Buffer N = N + 1) as the setting buffer (SN2) to pass the vehicle. In step S70, if there is a next buffer for the vehicle to pass through, the process returns to the inlet time determining step S40 for determining the inlet tim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As shown in Fig. 11, a flow control table creation step of creating a flow control table composed of information of a vehicle name, an entry code, an extraction code, a setting buffer, an entry lane, an entry time, and an extrac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s parameters; S80).

그리고 상기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의 흐름 제어테이블에 계산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과, 상기 해당 차량의 실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비교하여 실시간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튜닝하는 해당 차량의 인입 및 인출시간 튜닝단계(S90)를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And a drawing time and a withdrawal time of a corresponding vehicle for tuning real-time drawing time and drawing time by comparing the drawing time and the drawing time calculated in the flow control tabl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actual drawing time and draw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he tuning step (S90) is made to proce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을 차량A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5개의 버퍼(B1,B2,B3,B4,B5)와 4개의 공정 작업장(W1,W2,W3,W4)을 갖는 도장공장을 예로 하며, 상기 버퍼는 버퍼1(B1)에 5개의 레인을 구비하고, 버퍼2(B2)에는 3개의 레인을, 버퍼3(B3)에는 4개의 레인을, 버퍼4(B4)에 8개의 레인을, 버퍼5(B5)에 4개의 레인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버퍼1(B1)과 버퍼2(B2)를 부분적으로 게시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describe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rough the vehicle A, as shown in FIG. 3, five buffers B1, B2, B3, B4, and B5. An example is a paint shop with four process workshops (W1, W2, W3, W4), the buffer having five lanes in buffer 1 (B1), three lanes in buffer 2 (B2), and a buffer. 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assuming that 3 (B3) has four lanes, buffer 4 (B4) has eight lanes, and buffer 5 (B5) has four lanes, as shown in FIG. Partially post 1 (B1) and buffer 2 (B2).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버퍼1(B1)에는 차량B부터 차량H까지 7대의 차량(B,C,D,E,F,G,H)이 각 레인을 통하여 먼저 제공된 상태이고, 버퍼2(B2)에는 차량K부터 차량N까지 4대의 차량(K,L,M,N)이 각 레인를 통하여 제공된 상태이며, 작업장1(W1)에는 차량I(I)가 투입되어 공정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설정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7, the buffer 1 (B1) seven vehicles (B, C, D, E, F, G, H) from the vehicle B to the vehicle H is provided first through each lane, the buffer 4 (K, L, M, N) from the vehicle K to the vehicle N is provided in each lane 2 (B2), and the vehicle I (I) is put into the workshop 1 (W1) and is in the process of working. Set it.

즉, 공장투입지점에 차량A(A)가 도착하면, 먼저, 차량의 차체번호를 검출하여 사양테이블과 비교함으로써, 차량A의 사양을 결정한다.(S10) That is, when the vehicle A (A) arrives at the factory input point, the vehicle body number of the vehicle is first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specification table to determine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S10)

그 다음 상기 차량A(A)가 그 사양에 따라 인입될 설정버퍼와 설정버퍼내의 지정레인을 결정하는 인입코드, 및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출될 설정버퍼에서 설정조건에 따라 인출되도록 그 인출조건을 결정하는 인출코드를 작성하게 된다.(S20)Then, the vehicle A (A) determines a setting buffer to be drawn i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an entry code for determining a designated lane in the setting buffer, and the vehicle is drawn out according to the setting condition in the setting buffer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 withdrawal code for determining a withdrawal condition is prepared. (S20)

여기서, 상기 차량A(A)의 인입코드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고 하면, 차량A(A)는 조건명 "디젤"과 "ABS"항목의 옵션에 해당되어 인입코드"5"로 설정된다. Here, if the incoming code of the vehicle A (A) is as shown in Fig. 8, the vehicle A (A) is set to the entry code "5" corresponding to the options of the condition name "diesel" and "ABS" items. do.

이 때, 상기 차량A(A)에 대한 인입코드 상의 설정버퍼는 버퍼1(B1), 버퍼2(B2), 버퍼3(B3), 버퍼5(B5)로 지정되어 이를 통과하며, 지정레인은 버퍼1(B1)에서 레인3이 되고, 버퍼2(B2)에서는 레인2가 되며, 버퍼3(B3)에서는 레인1이 되며, 버퍼5(B5)에서는 레인1이 된다.At this time, the setting buffer on the entry code for the vehicle A (A) is designated as buffer 1 (B1), buffer 2 (B2), buffer 3 (B3), buffer 5 (B5) and passes through the designated lane. It becomes lane 3 in buffer 1 (B1), becomes lane 2 in buffer 2 (B2), becomes lane 1 in buffer 3 (B3), and lane 1 in buffer 5 (B5).

그리고 상기 차량A(A)의 인출코드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면, 차량A(A)에 대한 인출코드는, 상기 인입코드의 조건명과 설정버퍼는 동일하며, 그 설정조건(인출조건)은 조건명 "디젤"인 경우, "연속3"으로 설정되며, 조건명 "ABS"인 경우, "간격2"로 설정된다. If the withdrawal code of the vehicle A (A) is as shown in Fig. 9, the withdrawal code for the vehicle A (A) has the same condition name and setting buffer as that of the withdrawal code, and the setting condition (withdrawal condition). ) Is set to "Continuous 3" for the condition name "Diesel" and to "Interval 2" for the condition name "ABS".

이 때, 상기 "연속3"의 의미는 이 조건 속하는 차량은 연속 3대 이상 투입 시 비율 위반이라는 의미이며, 상기 "간격2"의 의미는 이 조건에 속하는 차량이 투입되면 이 조건에 속하지 않는 차량이 2대 이상 투입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비율 위반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term "continuous 3" means that a vehicle under this condition is a rate violation when three or more vehicles are inserted in succession, and the meaning of "interval 2" means a vehicle that does not belong to this condition when a vehicle belonging to this condition is inserted. At least two of these must be committed, otherwise it means a rate violation.

이어서, 상기 차량A(A)의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차량A(A)의 각 설정버퍼 및 그 지정레인의 정보를 각 설정버퍼의 순서대로 해당 지정레인의 번호로 표시하는 해당 차량의 전체경로를 설정하게 된다.(S30) 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route set by the entry code of the vehicle A (A), the information of each setting buffer and the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A (A)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lane in the order of each setting buffer. The entire path is set (S30).

즉,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A(A)가 그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값은 "32101"로 표시되며, 상기 차량A(A)가 버퍼1(B1)에서는 레인3, 버퍼2(B2)에서는 레인2, 버퍼3(B3)에서는 레인1, 버퍼5(B5)에서는 레인1을 통과하며, 버퍼4(B4)는 통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route value set by the vehicle A (A) by the entry code is displayed as “32101”, and the vehicle A (A) is the lane 3 and the buffer in the buffer 1 (B1). This means that lane 2 passes through lane 2 in buffer line 2 (B2), lane 1 passes through buffer 1 (B3), and lane 1 passes through buffer 5 (B5), and buffer 4 (B4) does not pass through.

이와 같이, 전체 경로값이 "32101"로 설정된 상기 차량A(A)의 해당 버퍼에서의 인입 및 인출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 상기 해당 버퍼를 버퍼1(B1)과 버퍼2(B2)로 한정하여 살펴본다.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is limited to buffer 1 (B1) and buffer 2 (B2) in order to calculate the inlet and out time in the corresponding buffer of the vehicle A (A) having the total path value set to "32101". see.

여기서, 각 버퍼에 대한 차량A(A)의 인입 및 인출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버퍼1(B1)에서의 인입시간이 먼저 정해져야 한다.(S40) Here, in order to calculate the in and out time of the vehicle A (A) for each buffer, the intake time in the buffer 1 (B1) must be determined first (S40).

즉, 상기 차량A(A)는 버퍼1(Buffer N=1)을 초기 설정버퍼로 하여(SN1)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시간을 버퍼1(B1)의 인입지점(IP1)으로부터의 인입시간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을"09시30분00초"That is, the vehicle A (A) sets the time of arrival at the factory input point of the buffer 1 (Buffer N = 1) as the initial setting buffer (SN1) as the entry time from the entry point IP1 of the buffer 1 (B1). That is, as shown in Figure 7, the current time is "09:30:00"

라고 가정하고, 버퍼1(B1)의 인입시간은 "10시00분00초"라고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drawing time of the buffer 1 (B1) is "10:00 minutes 00 seconds".

이어서, 상기 버퍼1(B1)내의 전체 차량(B,C,D,E,F,G,H)의 제공현황을 고려하여 그 인입지점(IP1)을 통하여 인입될 차량A(A)의 인입레인을 재결정하여 투입하게 되는데(S50),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차량A(A)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는가를 먼저 판단한 후,(S51) 존재하는 경우, 차량A(A)의 버퍼1(B1)에서의 지정레인(레인3)에(S52) 다른 차량이 풀(Full)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53) Subsequ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status of all vehicles B, C, D, E, F, G and H in the buffer 1 B1, the inlet lane of the vehicle A (A)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int IP1 is considered. In order to re-determine (S5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A) exists in the incoming code table (S51), if present, the buffer of the vehicle A (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vehicle is in a full state at the designated lane (lane 3) at 1 (B1) (S52).

여기서, 현재 버퍼1(B1)의 레인3이 풀(Full)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차량A(A)의 버퍼1(B1)에서의 인입레인은 레인3으로 결정된다.(S54)Here, since lane 3 of the current buffer 1 (B1) is not in a full state, an incoming lane of the buffer 1 (B1) of the vehicle A (A) is determined as lane 3 (S54).

물론, 상기 단계(S51)에서, 차량A(A)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퍼1(B1)내의 인입레인을 차량이 가장 작은 레인으로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S55) 또한, 상기 단계(S53)단계에서, 지정레인인 레인3에 차량이 풀(Full) 상태인 경우, 차량A(A)의 인입레인을 버퍼1(B1)에서의 제2순위 지정레인으로 적용하여(S56), 상기 버퍼1(B1)에서 제2순위 지정레인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S57) 여기서 제2순위 지정레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A(A)의 버퍼1(B1)에서의 제2순위 지정레인에 다른 차량이 풀(Full)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3)로 리턴되며, 상기 제2순위 지정레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1(B1)내의 인입레인을 차량이 가장 작은 레인으로 결정하는 단계(S55)로 진해하게 되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A(A)에는 해당 사항이 없어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Of course, if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A) does not exist in the entry code table in step S51, the entry lane in the buffer 1 (B1) is determined as the lane where the vehicle is the smallest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In operation S53, when the vehicle is in a full lane in the designated lane lane 3, the incoming lane of the vehicle A (A) is assigned to the second priority designated lane in the buffer 1 (B1). In operation S56,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priority designation lane exists in the buffer 1 (B1). In operation S57, if the second priority designation lane exists, the buffer 1 of the vehicle A (A) is used. In step S53, it is determined whether another vehicle is in a full state in the second priority designated lane in (B1), and if the second priority designated lane does not exist, the buffer 1 (B1) is stored. In step S55, the incoming lane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lane of the vehicle, but the vehicle A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no solution. Since there is no poin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A(A)가 인입레인 결정단계(S50)를 통하여 버퍼1(B1)의 레인3을 통하여 인입된 후에는, 상기 버퍼1(B1)의 인출지점(OP1)을 통하여 공정 작업실1(W1)로 투입되기 위해 그 인출조건에 위배되지 않도록 그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인출하는 버퍼1(B1)에서의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존의 상기 버퍼1(B1)내 각 차량(B,C,D,E,F,G,H)의 인출시간을 이용하여 인출 리스트를 작성한다.(S61)As described above, after the vehicle A (A) is introduced through lane 3 of the buffer 1 B1 through the inlet lane determination step S50, the process workshop is performed through the outgoing point OP1 of the buffer 1 B1.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1 (W1), the withdrawal time determination step (S60) is performed in the buffer 1 (B1) to determine the withdrawal time so as not to violate the withdrawal conditions. A withdrawal list is created using the withdrawal times of each vehicle B, C, D, E, F, G, H in buffer 1 (B1) (S61).

이어서, 상기 차량A(A)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는 사양이 있는가를 판단한다.(S62)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A) corresponds to the drawing code table.

상기 단계(S62)에서, 상기 차량A(A)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는 사양이면, 상기 차량A(A)의 인출조건인 "연속3","간격2"를 적용하여 차량A(A)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는가는 판단한다.(S63) In the step S62, if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A) corresponds to the drawing code table, the vehicle A ("continuous 3", "interval 2") is applied by applying the withdrawal conditions of the vehicle A (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thdrawal condition of A) violates the vehicle and the input ratio on the withdrawal list.

상기 단계(S63)에서, 차량A(A)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는 경우, 버퍼1(B1)내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가를 판단하며, (S64) 여기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 경우,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차량A(A)을 조합하여 투입비율에 위배되지 않는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가를 다시 판단한다.(S65)In the step S63, if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A (A) violates the vehicle and the input ratio of the withdrawal li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ehicle with no withdrawal time in the buffer 1 (B1), and (S64) where withdrawal time is not determined If there is a vehicle, it is determined again by combining the vehicle with the undetermined withdrawal time and vehicle A (A) to create a withdrawal list that does not violate the input ratio (S65).

상기 단계(S65)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 경우에는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차량A(A)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S70)로 진행한다.(S66)If the withdrawal list can be created in step S65, the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with the undecided withdrawal time is determin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70.

그리고 상기 단계(S62)에서, 상기 차량A(A)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지 않는 사양이거나, 상기 단계(S63)에서 차량A(A)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A(A)의 인입레인에서 인출 사이클 타임을 계산하여 인입시간과 인출 사이클 타임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A(a)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게 된다.(S67) In step S62,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A (A) does not correspond to the withdrawal code table, or in step S63, the withdrawal condition of the vehicle A (A) is determined by the vehicle and the input ratio on the withdrawal list. If not in violation, the withdrawal cycle time is calculated in the inlet lane of the vehicle A (A), and the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A (a) is determined using the inlet time and the withdrawal cycle time to proceed to the next step. S67)

또한, 상기 단계(S64)에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없는 경우이거나, 상기 단계(S65)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없는 경우, 상기 차량A(A)를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으로 등록함으로써(S68)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S64, when there is no vehicle with an undetermined withdrawal time or when the withdrawal list cannot be made in the step S65, the vehicle A (A) is registered as the withdrawal time with undetermined vehicle (S68). Withdrawal time determination step (S60) is achieved.

이러한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통하여, 상기 차량A(A)는 공장투입지점(IP1;버퍼1의 인입지점)에 도달했을 때, 버퍼1(B1)에서의 레인3의 사이클 타임이 00시45분14초라고 하면, 차량A(A)의 버퍼1(B1)의 인출시간은 "10시45분 14초"로 설정된다.When the vehicle A (A) reaches the factory input point IP1 (the input point of the buffer 1) through the drawing time determining step S60, the cycle time of the lane 3 in the buffer 1 B1 is 00 o'clock. If it is 45 minutes and 14 seconds, the withdrawal time of the buffer 1 (B1) of the vehicle A (A) is set to "10:45 minutes and 14 seconds".

따라서 차량A(A)에 대한 각 버퍼(B1~B5)의 인입 및 인출시간을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계산하게 되는데. 상기한 차량A(A)의 버퍼1(B1)에서의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완료하면, 차량A(A)가 통과할 다음 버퍼인 버퍼2(Buffer N=N+1)을 설정버퍼로 하여(SN2) 다음 설정버퍼(B2)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다음 버퍼 판단단계(S70)를 진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차량A(A)가 통과할 다음 버퍼인 버퍼2(B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2(B2)의 인입시간을 결정하는 인입시간 결정단계(S40)로 다시 리턴되어 차량A(A)의 버퍼2(B2)에서의 인입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Therefore, the entry and withdrawal times of each buffer B1 to B5 for the vehicle A (A) ar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When the withdrawal time determination step S60 of the buffer A (B1) of the vehicle A (A) is completed, the buffer 2 (Buffer N = N + 1), which is the next buffer to be passed by the vehicle A (A), is set as the buffer. In step (SN2), a next buffer determination step (S70) of determining whether a next setting buffer B2 exists is performed, where buffer 2 (B2), which is the next buffer to be passed by the vehicle A (A), exists. In this case, the flow returns to the entry time determination step S40 for determining the entry time of the buffer 2 (B2) to calculate the entry time in the buffer 2 (B2) of the vehicle A (A).

즉, 상기 차량A(A)의 버퍼1(B1)의 인입시간은 "10시00분00초", 버퍼1(B1)의 인출시간은 "10시45분14초"인 경우, 상기 차량A(A)의 버퍼2(B2)에서의 인입시간은 버퍼1(B1)의 인출시간(10:45:14) + 버퍼1(B1)에서의 인출에서 버퍼2(B2)로 인입되는 사이의 공정 작업실1(W1)에서의 사이클 타임(00:02:35)으로 "10시47분49초"가 된다.That is, when the drawing time of the buffer 1 (B1) of the vehicle A (A) is "10:00 minutes 00 seconds" and the drawing time of the buffer 1 (B1) is "10:45:14 seconds", the vehicle A The pull-in time in buffer 2 (B2) of (A) is a step between the pull-in time (10:45:14) of the buffer 1 (B1) + the pull-in from the buffer 1 (B1) into the buffer 2 (B2). The cycle time (00:02:35) in the work room 1 (W1) becomes "10:47:49".

여기서, 상기 차량A(A)가 통과할 다음 버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모든 버퍼(B1~B5)에 대한 차량A(A)의 인입시간 결정단계(S40)와 인입레인 결정단계(S50) 및 인출시간 결정단계(S60)를 모두 마친 것을 의미하게 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A의 차량명, 인입코드, 인출코드, 설정버퍼, 인입레인,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의 정보를 인자로 하여 구성되는 흐름 제어테이블을 작성하게 된다.(S80) Here, when there is no next buffer for the vehicle A (A) to pass through, that is, the entry time determination step (S40) and the entry lane determination step (S50) of the vehicle A (A) for all the buffers (B1 ~ B5). ) And the withdrawal time determination step (S6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1, information on the vehicle name, the entry code, the withdrawal code, the setting buffer, the entry lane, the withdrawal time and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A is shown. A flow control table composed of arguments is created (S80).

그리고 상기 차량A(A)에 대한 차량의 흐름 제어테이블에 계산된 해당 버퍼에서의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과, 상기 차량A(A)의 각 버퍼(B1~B5)에서의 실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비교하여 실시간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튜닝할 수 있게 된다.(S90) And a drawing time and a drawing time in the corresponding buffer calculated in the flow control table of the vehicle for the vehicle A (A), and an actual drawing time and drawing time in each of the buffers B1 to B5 of the vehicle A (A). It is possible to tune the real-time pull time and withdrawal time by comparing the (S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 공정과 버퍼로 구성되는 공장 내에서 상기 버퍼의 합류 및 분기 제어를 각각의 공정에서 국부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공장 투입지점에 차량이 도착되었을 때, 기 투입된 차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된 각 버퍼의 가상 제공 상황을 작성하여 각 버퍼를 지나가는 경로, 각 버퍼에 인입되는 레인 및 시간, 인출되는 시간 등을 결정하여 차량 흐름 제어코드를 작성 및 튜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차량이 각각의 버퍼를 지나갈 때 그 인입레인 및 인입, 인출 시간의 통합적 관리로 차량 흐름 제어를 이루어 차량의 흐름을 예측가능하며, 각 공정간의 제어 호환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factory consisting of a number of working processes and buffers, the merging and branching control of the buffer in the factory without locally managing each process,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input point, the virtual data of each buffer is prepared by using the data of the vehicle that has been input, and the path passing through each buffer, the lane and time entering each buffer, and the time taken out are determined. The vehicle flow control code can be created and tuned, and the vehicle flow control can be predict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inlet lane, the inlet and the outgoing time as each vehicle passes each buffer, and predict the flow of the vehicle. Control compatibility can be achieved.

또한, 차량의 사양 변경시에도 전체 차량의 흐름 제어가 가능하며, 통합적인 차량의 사양관리로 각 공정의 차량 오투입을 방지하며, 각 버퍼의 만량 및 바디 부족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전후 버퍼 간의 상호 연결성을 높여 공정투입 차량의 선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the entire vehicle even when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prevent the vehicle mis-input of each process by the integrated vehicle specification management, prevent the full amount and body shortage of each buffer in advance, and the front and rear buffer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can be optimized to optimize the selection of process input vehicles.

또한, 각 공정별 제어 시스템 구축 대비 통합 제어 시스템으로 인한 원가절감 및 공장의 라인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ine management of the plant due to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compared to the control system for each proces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흐름 제어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공정도의 일부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process diagram for applying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흐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2 is a flow chart of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공정도이다.3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to which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내에서 인입레인 결정을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for determining an inlet lane in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내에서 인출순서 결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awing order in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공정도이다. 7 is a partial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의한 인입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coming code by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의한 인출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ithdrawal code by the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의한 경로값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route value by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에 의한 차량이 흐름 제어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hicle flow control table using a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buffering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해당 차량의 차체번호를 검출하여 사양테이블과 비교하여 그 사양을 결정하는 사양결정단계와;A specific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vehicle body number of the vehicle arriving at the factory input point and comparing the specification with a specification table to determine the specification;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입될 설정버퍼와 설정버퍼내의 지정레인을 결정하는 인입코드, 및 상기 해당 차량이 그 사양에 따라 인출될 설정버퍼에서 설정조건에 따라 인출되도록 그 인출조건을 결정하는 인출코드를 작성하는 인입 및 인출코드 작성단계와;An entry code for determining a setting buffer to be drawn i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a designated lane in the setting buffer, and a draw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drawing condition so that the vehicle is drawn out according to a setting condition in the setting buffer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 incoming and outgoing code preparation step of creating an outgoing code; 상기 해당 차량의 인입코드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해당 차량의 각 설정버퍼 및 그 지정레인의 정보를 각 설정버퍼의 순서대로 해당 지정레인의 번호로 표시하는 해당 차량의 전체경로 설정단계와;A total path setting step of the vehicle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each setting buffer and the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ath set by the entry code of the vehicle by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lane in the order of each setting buffer; 상기 해당 차량이 공장투입지점에 도착한 시간을 해당 버퍼의 인입지점으로부터의 인입시간으로 설정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시간 결정단계와;Determining an entry time of a corresponding buffer for setting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arrives at a factory entry point as an entry time from an entry point of the buffer; 상기 해당 버퍼내의 차량의 제공현황을 고려하여 그 인입지점을 통하여 인입될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재결정하여 투입하는 해당 버퍼의 인입레인 결정단계와;A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lan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for re-determining and injecting an entry lane of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entry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state of the vehicle in the buffer; 상기 해당 버퍼의 인출지점을 통하여 해당 공정으로 투입될 차량이 그 인출조건에 위배되지 않도록 그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인출하는 해당 버퍼의 인출시간 결정단계와;Determining the withdrawal time of the corresponding buffer to determine the withdrawal time so that the vehicle to be introduced into the process through the withdrawal point of the buffer does not violate the withdrawal condition; 다음 버퍼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다음 버퍼 판단단계와;A next buffer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next buffer exists; 상기 해당 차량의 흐름 제어테이블을 작성하는 흐름 제어테이블 작성단계와;A flow control table creating step of creating a flow control table of the vehicle; 상기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의 흐름 제어테이블에 계산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과, 상기 해당 차량의 실제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비교하여 실시간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을 튜닝하는 해당 차량의 인입 및 인출시간 튜닝단계;Tuning in and out time of the vehicle to tune in and out tim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in and out time calculated in the flow control tabl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the actual in and out time of the vehicle step; 를 포함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코드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oming code 해당 차량이 각각의 옵션 항목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경우에 "1"로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0"으로 적용하여 이진수화 한 것의 합으로 나타내며, 그 인자는 조건명, 설정버퍼 및 지정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applicable to each option item, and if it is not applicable to "1", it is represented as the sum of the binary number applied by applying "0" and the factor is the condition name and setting buffer. And 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ignated l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코드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thdrawal code 해당 차량이 각각의 옵션 항목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경우에 "1"로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0"으로 적용하여 이진수화 한 것의 합으로 나타내며, 그 인자는 조건명, 설정조건 및 설정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applicable to each option item, and if it is not applicable to "1", it is represented as the sum of binarized by applying "0" and the factor is the condition name and setting condition.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tting buff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tting condition 해당 차량의 해당 공정으로 연속투입 혹은, 각 차량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로부터 차량 인출 방법.A method for withdrawing a vehicle from a ware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process of the vehicle or provided to define a space between the veh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레인 결정단계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oming lane determination step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입코드 테이블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제51단계와;A 51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exists in an incoming code table; 상기 제51단계에서,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우선순위(N) 지정레인을 적용하는 제52단계와;In the 51st step, if present, applying a priority (N) designated lane of the vehicle; 상기 제52단계에서의 지정레인에 차량이 풀(Full)인가를 판단하는 제53단계와;A 53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full at the designated lane in step 52; 상기 제53단계에서, 풀(Full)이 아닌 경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해당 버퍼에서의 우선순위 지정레인으로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제54단계와;In step 53, if it is not full, step 54 in which the incoming lan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as the priority designation lane in the buffer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상기 제51단계에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버퍼내의 인입레인을 차량이 가장 작은 레인으로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제55단계와; In step 51, if it is not present, step 55 where the vehicle determines the incoming lane as the smallest lane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상기 제53단계에서, 풀(Full)인 경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을 해당 버퍼에서의 다음순위(N=N+1) 지정레인으로 적용하는 제56단계와;In the step 53, in the case of full, applying the incoming lane of the vehicle as the next priority (N = N + 1) designated lane in the buffer; 상기 제56단계에 이어, 상기 해당 버퍼에서 다음순위 지정레인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53단계로 리턴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55단계로 진행하는 제57단계;Following the fifty-sixth step, judging whether a next priority designated lane exists in the corresponding buffer, if there exists, returning to the fifty-third step; and if not, the fifty-seventh step proceeds to the fifty-fifth step;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시간 결정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awing time determining step 상기 인출레인 결정단계로부터 해당 버퍼내 각 차량의 인출시간을 이용하여 인출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61단계와;A step 61 of creating a withdrawal list using the withdrawal time of each vehicle in the buffer from the withdrawal lane determination step; 상기 해당 차량의 사양이 인출코드 테이블에 해당하는 사양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62단계와;A sixty-six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corresponds to a drawing code table; 상기 제62단계에서, 해당하는 사양이면, 상기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을 적용하여 해당 차량의 인출조건이 인출 리스트 상의 차량과 투입비율에 위배되는가는 판단하는 제63단계와; In step 62, if it is a corresponding specification, step 63 of determining whether a drawing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violates a vehicle and an input ratio on the drawing list by applying the drawing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상기 제63단계에서, 위배되는 경우, 해당 버퍼내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64단계와;In step 63,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vehicle with an indeterminate drawing time in the buffer if it is in violation; 상기 제64단계에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있는 경우,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해당 차량을 조합하여 투입비율에 위배되지 않는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65단계와;In the step 64,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vehicle having an undecided time, judging whether the withdrawal time undecided vehicle and the vehicle can be combined to create a withdrawal list that does not violate the input ratio; 상기 제65단계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 경우,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과 해당 차량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제66단계와;In step 65, when the withdrawal list may be generated, step 66 for determining the withdrawal time undecided vehicle and withdrawal time of the vehicle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ep; 상기 제62단계에서, 해당하지 않는 사양이거나, 상기 제63단계에서 위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차량의 인입레인에서 인출 사이클 타임을 계산하여 인입시간과 인출 사이클 타임을 이용하여 상기 해당 차량의 인출시간을 결정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제67단계와; In step 62, if the specification is not applicable or does not violate step 63, the withdrawal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calculated by using the withdrawal time and withdrawal cycle time by calculating the withdrawal cycle time in the inlet lane of the vehicle. A 67th step of determining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ep; 상기 제64단계에서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이 없는 경우이거나, 상기 제65단계에서, 인출 리스트를 만들 수 없는 경우, 상기 해당 차량을 인출시간 미결정 차량으로 등록하는 제68단계;In step 68, when there is no vehicle having an undetermined drawing time or in step 65, when the drawing list cannot be created, registering the vehicle as a drawing time undecided vehicle;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a buffer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테이블의 인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ctor of the flow control table is 상기 해당 차량의 차량명, 인입코드, 인출코드, 설정버퍼, 인입레인, 인입시간 및 인출시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Vehicle flow control method using the buffer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name, the draw code, the draw code, the setting buffer, the draw lane, the draw time and the draw time of the vehicle.
KR10-2003-0054723A 2003-08-07 2003-08-07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KR100482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723A KR100482610B1 (en) 2003-08-07 2003-08-07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723A KR100482610B1 (en) 2003-08-07 2003-08-07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769A KR20050015769A (en) 2005-02-21
KR100482610B1 true KR100482610B1 (en) 2005-04-14

Family

ID=3722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723A KR100482610B1 (en) 2003-08-07 2003-08-07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1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769A (en)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ssandras et al. Optimal control of a class of hybrid systems
US5229948A (en) Method of optimizing a serial manufacturing system
Bes et al. Concepts of forecast and decision horizons: Applications to dynamic stochastic optimization problems
Becker Lean manufacturing and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Lee et al. Integrated scheduling of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employing automated guided vehicles
Lavoie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ull control mechanisms for unreliable homogenous transfer lines
US4967386A (en) Simulation method for modifiable simulation model
Kapuscinski et al. Optimal policies and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for capacitated production inventory systems
Bonvik Performance analysis of manufacturing systems under hybrid control policies
JP2008189272A (en) Operation arranging/assisting system and method
CN101877136A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for processing graphic object
KR100482610B1 (en) A control method for flowing of vehicles using buffer
US20130096894A1 (en) Automatic insertion point identification in model merging operations
Gastermann et al. Implementation of a software prototype with conwip characteristics for production planning and stock management
Malik et al. Modular synthesis of discrete controllers
Korf et al. Interface controller synthesis from requirement specifications
Ang A performance comparison of single product kanban control systems
Gokbayrak et al. Constrained optimal control for multistage hybrid manufacturing system models
Fry et al. Bi-criterion single-machine scheduling with forbidden early shipments
Abdelkrim et al. Performance analysis for multi-aisle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s using visual Petri net developer
KR100460900B1 (en) Method for taking out vehicles from storage
Golovan Knowledge-oriented approach to the automation of the main pipeline complex
Mashaei et al. Optimal design of a decoupled multiple-loop pallet system for cyclic flexible manufacturing plants
Kamach et al. Forbidden and preforbidden states in the multi-model approach
Shenoy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Lean Construction and an Operations Science Approach to Project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