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475B1 -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 Google Patents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475B1
KR100481475B1 KR10-2002-0070507A KR20020070507A KR100481475B1 KR 100481475 B1 KR100481475 B1 KR 100481475B1 KR 20020070507 A KR20020070507 A KR 20020070507A KR 100481475 B1 KR100481475 B1 KR 10048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stop
stop protrusion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292A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4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 개방시 폴더와 접촉함으로써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상기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돌기 및 스톱돌기수용홈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스톱돌기가 내삽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폴더의 열림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FOLDER STOPPER ADJUSTING OPEN ANGLE OF FOLDER}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 폴더 개방시 휴대폰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폴더스톱퍼( folder stopper)에 관한 것이다.가 구비된 휴대폰 폴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더스톱퍼( folder stopper)에 관한 것으로는 도1에 도시된 스톱퍼(stopper)가 구비된 휴대폰 폴더 힌지장치가 있었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발명은 홀더(12)와 힌지(20)와 홀더지지대(30L, 30R) 및 스톱돌기(40)를 포함한다.
홀더(12)는 폴더(10)와 함께 회전하여 휴대폰 본체를 열고 닫도록 휴대폰 폴더(10)에 고정·연결된다. 홀더(12)의 일측부에는 힌지(20) 일측부가 삽입되도록 힌지삽입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본체에는 홀더지지대(30L, 30R)가 형성된다. 홀더지지대(30L, 30R)는 홀더(12)가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12)의 타측부 및 힌지(20)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좌측홀더지지대(30L) 및 우측홀더지지대(30R)로 구성된다.
특히,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은 폴더(10) 개방시 폴더(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더(10)의 좌측 및/또는 우측 상단에 폴더(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좌측홀더지지대(30L) 및/또는 우측홀더지지대(30R)의 상단에 접촉하는 스톱돌기(4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은 폴더(10) 개방시 폴더(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폴더(10)의 좌측 및/또는 우측 상단에 형성된 스톱돌기(40)가 좌측홀더지지대(30L) 및/또는 우측홀더지지대(30R)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폴더(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스톱퍼(stopper)가 폴더(10)의 좌측 및/또는 우측 상단에 고정·형성되어 휴대폰을 귀에 대고 통화하기 쉬운 각도인 약 150도∼155도 사이에 존재하는 특정각도로 고정·개방하므로 휴대폰을 책상이나 탁자 등에 놓고 화면을 보면서 게임을 하거나 화상통화를 하는 경우 원하는 각도로 개방할 수가 없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스톱돌기가 내삽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폴더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폴더 개방시 폴더와 접촉함으로써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며 일측부에 상하로 탄성운동 가능한 판스프링이 포함되는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소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구와,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 내부에 요설되는 2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판스프링에 연결되어 판스프링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에 삽탈 가능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 개방시 폴더와 접촉함으로써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의 소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삭제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있어서 스톱돌기의 평면도를, 도3b는 도3a에 스톱돌기의 우측면도를,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이 장착된 휴대폰의 사시도를,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이 장착된 휴대폰의 정면도를, 도5a는 폴더 개방시에 있어서 도4b의 AA′의 부분 단면도를, 도5b는 도5a에 있어서 본체와 스톱돌기의 평면도를, 도6은 폴더 개방시에 있어서 도4b의 BB′의 부분 단면도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시도를, 도8은 도7의 CC′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은 스톱돌기(200), 스톱돌기수용홈(300), 그리고 스톱돌기(200)의 돌출 길이 조절을 위한 개방구(310), 2 이상의 걸림홈(320), 걸림돌기(212) 등을 포함한다.
스톱돌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4a를 참조하면 스톱돌기(200)는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100) 상단부에 설치된다.
도3a, 도3b를 참조하면 스톱돌기(200)의 일측부는 상하로 탄성운동 가능한 판스프링(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스프링(210)에는 판스프링(21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판스프링(210)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는 걸림돌기(212)가 연결된다. 걸림돌기(212)는 휴대폰의 두께를 고려할 때 판스프링(21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 도3b, 도4a를 참조하면 판스프링(210)에는 압박돌기(214)가 연결된다. 압박돌기(214)는 상부로부터 외력을 가하여 판스프링(210)을 하부로 탄성변형 시키며 스톱돌기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판스프링(210) 상부로 돌출·형성된다.
도3a, 도3b를 참조하면 스톱돌기(200)의 타측부에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부재(22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톱돌기수용홈(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4a, 도5a, 도6을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300)은 본체(100) 상단부에 형성된다. 스톱돌기수용홈(300)은 스톱돌기(200)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4a, 도5a, 도5b를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300)의 상측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310)가 형성된다. 개방구(310)는 압박돌기(214)가 삽입되어 전후로 유격됨으로써 스톱돌기(20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300)에는 상측 내부에는 2 이상의 걸림홈(320)이 요설된다. 걸림홈(320)은 스톱돌기(200)가 전후로 이동할 때 스톱돌기(2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가 삽탈되어 스톱돌기(200)의 본체(100) 전면으로의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톱돌기(2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스톱돌기(2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개방구(310), 걸림홈(320), 압박돌기(214), 걸림돌기(2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개방구(310)를 통하여 돌설되는 압박돌기(214)에 힘을 가하여 판스프링(210)을 하부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걸림돌기(212)를 걸림홈(32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스톱돌기(200)를 이동시켜 걸림돌기(212)를 이웃한 걸림홈(320)에 삽착시키고, 따라서 스톱돌기(200)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a, 도6을 참조하여 스톱돌기(200)의 돌출길이 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방구(310)를 통하여 돌설되는 압박돌기(214)에 힘을 가하면 판스프링(210)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며 하부로 탄성 변형된다. 판스프링(210)이 하부로 탄성 변형되면 판스프링(210)에 연결된 걸림돌기(212)가 판스프링(210)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기(212)가 걸림홈(320)으로부터 이탈된다. 걸림돌기(212)가 이탈되면 압박돌기(214)를 밀거나 당겨 스톱돌기(200)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압박돌기(214)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판스프링(210)이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걸림돌기(212)가 이웃한 다른 걸림홈(320)에 삽착되어 스톱돌기(200)가 스톱돌기수용홈(300)에 다시 고정된다. 따라서, 폴더 개방시 폴더의 열림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1은 압박돌기(214)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는 압박돌기(214)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개방구(214)를 통하여 판스프링(210)에 직접 외력을 가하여야 한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는 스톱돌기(1200), 스톱돌기수용홈(1300), 스톱돌기(12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나사부(1212), 암나사부(1320), 개방구(1310) 등을 포함한다.
스톱돌기(1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을 참조하면 스톱돌기(1200)는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1100) 상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스톱돌기(1200)의 일측부에는 수나사부(1212)와 회전돌기(1214)가 형성된다. 회전돌기(1214)는 수나사부(1212)의 바깥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스톱돌기(1200)의 타측부에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부재(122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톱돌기수용홈(1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7, 도8을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1300)은 본체(1100) 상단부에 형성된다. 스톱돌기수용홈(1300)은 스톱돌기(200)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7, 도8을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1300)의 상측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1310)가 형성된다. 개방구(1310)는 회전돌기(1214)가 삽입되어 전후로 유격됨으로써 스톱돌기(20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스톱돌기수용홈(1300)의 내부에는 암나사부(1320)가 형성된다. 암나사부(1320)는 수나사부(1212)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회전돌기(1214)에 회전력을 가한 경우 수나사부(1212)가 암나사부(1320)에 대해 회전하며 직선운동함으로써 스톱돌기(1200)의 본체(1100) 전면으로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스톱돌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개방구(1310), 암나사부(1320), 회전돌기(1214), 수나사부(12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개방구(1310)를 통하여 돌설된 회전돌기(1214)에 회전력을 가하여 수나사부(1212)가 암나사부(1320)에 대해 회전하며 직선운동하게 함으로써 스톱돌기(1200)의 본체(1100) 전면으로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폴더 개방시 폴더의 열림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 실시예2는 회전돌기(1214)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는 회전돌기(1214)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스톱돌기가 내삽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톱돌기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폴더의 열림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발명의 개략적 횡단면도.
도2는 종래의 발명의 작동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톱돌기의 평면도.
도3b는 도3a에 스톱돌기의 우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가 장착된 휴대폰의 정면도.
도5a는 폴더 개방시에 있어서 도4의 AA′의 부분 단면도.
도5b는 도5a에 있어서 본체와 스톱돌기의 평면도.
도6은 폴더 개방시에 있어서 도4의 BB′의 부분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CC′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100: 휴대폰 본체
200, 1200: 스톱돌기 210: 판스프링
212: 걸림돌기 1212: 수나사부
214: 압박돌기 1214: 회전돌기
300, 1300: 스톱돌기수용홈 310, 1310: 개방구
320: 걸림홈 1320: 암나사부

Claims (5)

  1. 삭제
  2.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 개방시 폴더와 접촉함으로써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며, 일측부에 상하로 탄성운동 가능한 판스프링이 포함되는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소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구와,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 내부에 요설되는 2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판스프링에 연결되어 판스프링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에 삽탈 가능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판스프링을 하부로 탄성변형 시키며 상기 스톱돌기를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돌설되는 압박돌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4.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 개방시 폴더와 접촉함으로써 폴더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돌출되는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가 내삽되고 타측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톱돌기수용홈과,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스톱돌기수용홈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의 소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돌기의 일측부에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스톱돌기를 회전시키며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돌설되는 회전돌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KR10-2002-0070507A 2002-11-13 2002-11-13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KR10048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07A KR100481475B1 (ko) 2002-11-13 2002-11-13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07A KR100481475B1 (ko) 2002-11-13 2002-11-13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92A KR20040042292A (ko) 2004-05-20
KR100481475B1 true KR100481475B1 (ko) 2005-04-07

Family

ID=3733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07A KR100481475B1 (ko) 2002-11-13 2002-11-13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4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739A (ja) * 1997-03-07 1998-09-22 Sutoroberii Corp:Kk ヒンジ装置
KR19990026978U (ko) * 1997-12-22 1999-07-15 구자홍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214723Y1 (ko) * 2000-09-08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의 멈춤 장치
KR20010047677A (ko) * 1999-11-22 2001-06-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용 벨트클립 장치
KR20020080086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739A (ja) * 1997-03-07 1998-09-22 Sutoroberii Corp:Kk ヒンジ装置
KR19990026978U (ko) * 1997-12-22 1999-07-15 구자홍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10047677A (ko) * 1999-11-22 2001-06-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용 벨트클립 장치
KR200214723Y1 (ko) * 2000-09-08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의 멈춤 장치
KR20020080086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92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9717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カバー開閉装置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US7242975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48041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with hinge mechanism
US20080055829A1 (en)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9990026978U (ko)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100481475B1 (ko) 열림각도조절 폴더스톱퍼
US20060084466A1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nge unit
KR20080107267A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557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휴대폰 폴더 힌지장치
KR101003419B1 (ko) 폴더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CN220511225U (zh) 耳机充电盒
KR200165505Y1 (ko) 전화기의 플립 힌지장치
KR100353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힌지모듈
CN216820045U (zh) 稳定开合的充电盒及蓝牙耳机
EP1897234B1 (en) Portable terminal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KR20020072828A (ko) 힌지장치
JP2001182421A (ja)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の係嵌組成体
KR200353381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100641325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84535B1 (ko) 가로보기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