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519B1 -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519B1
KR100480519B1 KR20030007899A KR20030007899A KR100480519B1 KR 100480519 B1 KR100480519 B1 KR 100480519B1 KR 20030007899 A KR20030007899 A KR 20030007899A KR 20030007899 A KR20030007899 A KR 20030007899A KR 100480519 B1 KR100480519 B1 KR 10048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terminal
call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973A (ko
Inventor
안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3000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5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519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단말과 음성정보송신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에 서비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가 발생한 경우, 음성정보송신시스템의 호요청에 따라 호설정이 완료되면, 음성정보송신시스템이 음성정보를 수신단말로 송신하여 수신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 측의 응답과 무관하게 음성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rst voice ser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음성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CDMA 시스템은 무선 링크를 통해 디지털 패킷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CDMA시스템은 기능에 따라 제어메세지를 주고받기 위한 페이징채널과 엑세스채널, 및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트래픽채널로 구분된다. 이러한, CDMA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는 음성서비스와 비음성서비스인 데이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음성서비스의 경우,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는 샘플링과 양자화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디지털 음성신호인 PCM데이터를 음성부/복호화기를 사용해 압축하여 전송되었다. 또한, 비음성서비스는 국제표준규격인 IS-707에서 정의하는 IWF(inter-working function}과 연동하여 제공된다.
CDMA단말기와 기지국의 IWF시스템간 데이터통신을 위해서는 TCP/IP/PPP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CDMA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단말(11)은 통신망(12)을 통해 송신단말(13)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단말(11)과 송신단말(13) 각각은 수신 및 송신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포함하지만, 설명의 편이를 위해 수신 측과 송신 측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1에서, 송신단말(13)은 수신단말(11)과의 음성통화를 위하여 호시도를 통신망(12)에 요청한다(단계 101). 일반적으로, 송신측의 단말은 통화를 원하는 수신측의 단말이 위치한 통신망으로 호시도를 요청한다.
통신망(12)은 송신단말(13)로부터의 호시도에 의해 수신단말(1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파악이 완료되면 수신단말(11)에 페이지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103). 페이지메시지는 페이지를 시도하는 이유 즉, 호출에 의해 시작된 서비스를 알려주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별자는 서비스구분자 또는 서비스 옵션이라고도 한다. 도 1에서는 음성통화를 위한 것으로, 수신단말(11)은 페이지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통해 음성서비스임을 식별한다. 수신단말(11)은 음성서비스를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지메시지를 수신한 후, 음성통화를 위한 무선채널을 설정한다. 즉, 수신단말(11)은 송신단말(13)이 요청한 호를 설정하므로써 송신단말(13)에 응답하게 된다. 그러면, 수신단말(11)과 통신망(12)간의 호가 설정된다(단계 105).
통신망(12)은 호 설정이 완료되면 신호음메시지를 수신단말(11)로 전송한다(단계 107). 여기서 신호음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단말(11)은 이때부터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등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음성통화 요청상태를 알린다. 그러면, 사용자는 음성통화를 원하는 경우 수신단말(11)의 통화키를 조작한다(단계 109). 수신단말(11)의 통화키가 눌러지면, 수신단말(11)과 송신단말(13)은 통신망(12)을 통해 음성통화 가능상태로 연결되고, 상호간의 음성통화가 시작된다(단계 111).
수신단말(11) 또는 송신단말(13)중의 어느 한쪽에 의해 종료키가 눌러지면, 수신단말(11)과 송신단말(13)간의 통화가 완료된다. 수신단말(11)과 송신단말(13)간에 설정된 호가 해제되고(단계 113), 수신단말(11)은 통화의 내역을 기록한다. 즉, 수신단말(11)은 통화내역으로 송신단말(13)의 전화번호, 통화 시간, 통화 날짜 등을 별도로 마련된 메모리에 기록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송신측이 음성통화를 원하는 송신단말(13)인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광고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등을 위한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시스템 등이 송신측인 경우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의 경우를 간략히 살펴보면,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측 시스템은 호시도를 통신망(12)에 요청한다(단계 101). 여기서, 송신측 시스템은 음성정보를 원하는 수신단말(11)이 위치한 통신망(12)으로 호시도를 요청한다. 통신망(12)은 송신측 시스템으로부터의 호시도에 응답하여 수신단말(1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파악이 완료되면 수신단말(11)에 페이지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103). 수신단말(11)은 송신측 시스템이 요청한 호를 설정하므로써 호시도에 응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신단말(11)과 통신망(12)간의 호가 설정된다(단계 105).
통신망(12)은 호 설정이 완료되면 신호음메시지를 수신단말(11)로 전송한다(단계 107). 수신단말(11)은 통신망(12)으로부터 신호음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때부터 벨소리 모드, 진동모드 등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송신측 시스템의 요청상태를 알린다. 그러면, 사용자는 음성정보를 원하는 경우 자신의 수신단말(11)의 통화키를 조작한다(단계 109). 수신단말(11)의 통화키가 눌러지면, 수신단말(11)과 송신측 시스템은 통신망(12)을 통해 연결되고, 수신단말(11)은 송신측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11). 이 경우, 수신단말(11)의 사용자는 통화키를 조작하지 않음으로써 송신측 시스템으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수신단말(11)의 통화키가 눌러지지 않으면, 수신단말(11)과 송신측 시스템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송신측 시스템은 음성정보를 수신단말(11)로 전송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정보 송신은 수신측의 응답이 있어야만 송신측에서 전송하는 음성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음성정보가 광고인 경우, 광고제작사는 엄청난 비용을 투자해서 자신의 제품을 알리는 광고를 음성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그러나, 수신측에서 응답이 없으면 광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성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요청된 서비스인 경우, 수신측의 사용자는 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응답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일지라도 원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일일이 버튼을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송신측의 요청시에 착신벨소리와 수신측의 응답이 없더라도 자동 연결되어 송신측의 음성정보가 수신측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 및 음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불특정 시간에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성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음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원하는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응답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음성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음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에 대하여 음성 정보 서비스에 상응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고, 적어도 상기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는 단계와, 통화로를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단말(21)은 미리 요청한 서비스를 위한 음성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과 통신망(2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23)은 ARS서버(33)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와 SMS서버(53), 및 음성정보송신서버(63)를 포함한다. ARS서버(33)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 및 SMS서버(53)는 수신단말(21)과의 서비스설정을 위한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메모리(미도시)와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 및 음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수신단말(2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통신망(22)을 통해 음성 정보 송신시스템(23)에 접속한다. 수신단말(21)은 음성 정보 송신시스템(23)의 ARS서버(33)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 및 SMS서버(5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설정한다(단계 201). 예를 들면, 수신단말(21)은 교통정보의 경우 경부선에 대한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정하거나 증권정보의 경우 자신이 매수한 특정회사의 주식이 상한가를 친 경우 등의 음성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음성 정보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설정 과정에 대하여 하기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음성 정보 송신시스템(23)내의 음성 정보 송신서버(63)는 수신단말(21)이 설정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인식한 경우,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신호를 생성한다.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수신단말(21)로 음성정보의 전송을 원하는 경우 이를 위한 호시도를 통신망(22)에 요청한다(단계 203). 여기서,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음성정보를 전달할 대상이 되는 수신단말(21)이 위치한 통신망(22)으로 호시도를 요청한다.
통신망(22)은 음성정보송신서버(63)로부터의 호시도에 의해 수신단말(2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파악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에 페이지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205). 페이지메시지는 수신단말(21)과 기 설정된 서비스를 특정하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다. 수신단말(21)은 페이지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통해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임을 식별한다. 수신단말(21)은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지메시지를 수신받아 음성통화를 위한 무선채널을 설정한다. 즉,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송신서버(63)가 요청한 호를 설정하므로써 호시도에 응답한다. 그러면, 수신단말(21)과 통신망(22)간의 호 설정 상태가 된다(단계 207).
호설정과 동시에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 수신을 위한 음성정보 출력모드로 전환하여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과 연결된다. 이에 응답하여,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은 수신단말(21)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송신한다(단계 209) 따라서,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으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정보가 수신단말(2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하여,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으로부터의 음성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이를 인식하여 통신망(22)으로 호해제를 요청한다. 그러면, 수신단말(21)과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간에 설정된 호가 해제된다(단계 211).
전술한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 제공 방법을 도 3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방법에 따른 ARS를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의 설정을 원하는 수신단말(21)과 서비스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에 연결된 ARS서버(33)가 통신망(2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신단말(21)은 ARS서버(33)로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통신망(22)을 통해 ARS서버(33)와의 접속을 요청한다(단계 301). 통신망(22)은 상기 접속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ARS서버(33)로 접속을 시도한다(단계 303). 통신망(22)은 ARS서버(33)로부터 접속시도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단계 305), 수신단말(21)과 ARS서버(33)를 연결한다(단계 307). 그 후, ARS서버(33)는 서비스메뉴얼에 대한 정보를 수신단말(21)로 음성으로 제공한다(단계 309). 수신단말(21)에 상응하는 사용자는 제공된 서비스메뉴얼을 바탕으로 키패드의 선택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서비스메뉴얼을 선택한다. 수신단말(21)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서비스메뉴얼 선택신호를 ARS서버(33)로 전송한다(단계 311). 그러면, ARS서버(33)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다(단계 313). 상기의 과정의 수행을 통하여 수신단말(21)과 ARS서버(33)간의 서비스설정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은 키패드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ARS서버(33)와의 접속을 해제한다(단계 315).
도 4는 도 2방법에 따른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의 설정을 원하는 수신단말(21)과 서비스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에 연결된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가 통신망(2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신단말(21)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로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통신망(22)을 통해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와의 무선인터넷 접속을 요청한다(단계401). 그러면 통신망(22)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로 접속을 시도한다(단계 403).
통신망(22)은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로부터 접속시도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단계 405), 수신단말(21)과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를 연결한다(단계 407). 그 후,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는 서비스메뉴얼에 대한 정보를 수신단말(21)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409). 수신단말(21)에 상응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서비스메뉴얼을 확인한 후, 키패드의 선택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서비스메뉴얼을 선택한다. 수신단말(21)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서비스 매뉴얼 선택신호를 무선데이터 제공 서버(43)으로 전송한다(단계 411). 그러면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다(단계 413). 상기의 과정의 수행을 통하여 수신단말(21)과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간의 서비스설정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은 키패드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무선데이터제공서버(43)와의 접속을 해제한다(단계 415).
도 5는 도 2방법에 따른 SMS발신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의 설정을 원하는 수신단말(21)과 서비스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에 연결된 SMS서버(53)가 통신망(2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신단말(21)은 SMS서버(53)로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통신망(22)을 통해 SMS서버(53)와의 접속을 요청한다(단계 501). 그러면 통신망(22)은 SMS서버(53)로 접속을 시도한다(단계 503). 통신망(22)은 SMS서버(53)로부터 접속시도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단계 505), 수신단말(21)과 SMS서버(53)를 연결한다(단계507). 그 후, SMS서버(53)는 서비스메뉴얼에 대한 정보를 수신단말(21)의 디스플레이부에 문자로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509). 수신단말(21)에 상응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서비스메뉴얼을 확인한 후, 키패드의 선택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서비스메뉴얼을 선택한다. 수신단말(21)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서비스 매뉴얼 선택 신호를 SMS서버(53)로 전송한다(단계 511). 그러면 SMS서버(53)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다(단계 513). 상기의 과정의 수행을 통하여 수신단말(21)과 SMS서버(53)간의 서비스설정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은 키패드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SMS서버(53)와의 접속을 해제한다(단계 515).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말(21)은 ARS서버, 무선데이터제공서버, 및 SMS서버중 적어도 하나에 서비스설정을 완료한다. 서비스설정 완료 후, 수신단말(21)과 음성정보 송신시스템(23)간의 호설정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도 2방법에 따른 음성호 설정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수신단말(2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601). 판단결과,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음성정보 송신서버(63)는 기 설정된 서비스를 특정하는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신호를 생성한다(단계 603).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수신단말(21)로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호시도를 통신망(22)에 요청하게 된다(단계 605).
통신망(22)은 음성정보송신서버(63)로부터의 호시도에 의해 수신단말(2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파악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에 페이지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607). 페이지메시지는 수신단말(21)과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특정하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다. 수신단말(21)은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지메시지를 수신하며 음성 정보 제공을 위한 무선채널을 설정한다. 즉,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송신서버(63)가 요청한 호를 설정하므로써 호요청에 응답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수신단말(21)과 통신망(22)간의 호가 설정된다(단계 609).
호설정과 동시에 수신단말(21)은 페이지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가 검출되면(단계 611),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임을 식별한다. 그리고, 수신단말(21)은 현재 통화모드인가를 판단한다(단계 613). 즉, 수신단말(21)은 외부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통화모드인지를 알 수 있다. 판단결과, 통화모드인 경우 수신단말(21)은 일정시간 대기한 후(단계 615), 통화가 완료되었나를 판단한다(단계 617). 예를 들어, 통화중인 경우에 다른 전화가 걸려오는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통화키를 누른다. 그러면, 새로 걸려온 전화의 상대방과 통화하게 되며, 이전 통화자는 통화대기모드가 된다. 그리고, 통화가 완료되면, 다시 이전 통화자와 통화모드로 전환되는 이치와 같다.
상기의 판단결과, 통화가 완료된 경우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출력모드로 전환한다(단계 619). 또한, 단계 613의 판단결과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출력모드로 전환한다(단계 619).
음성정보출력모드로 전환된 후, 음성정보송신시스템(23)이 수신단말(21)로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도 2방법에 따른 음성정보 제공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출력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단계 701).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음성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발신자표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03). 여기서, 발신자표시는 현재 발신되는 음성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문자나 도형등의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해주는 서비스이다. 이는 수신단말(21)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판단결과,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발신자표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음성정보만을 수신단말(21)로 전송한다(단계 705). 그러면, 수신단말(21)은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한다(단계 707).
한편,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발신자표시가 설정된 경우 음성정보와 함께 컨텐츠정보를 수신단말(21)로 전송한다(단계 709). 그러면,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하고, 컨텐츠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단계711). 여기서, 음성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정보인 경우 현재 경부선 상행 및 하행의 교통상황을 알려주며, 컨텐츠정보는 "교통정보(경부선)"으로 문자등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음성정보는 증권정보인 경우는 현재 **주식회사의 주가가 ***포인트임을 알려주며, 컨텐츠정보는 "**주식회사(상한가)"로 문자로 디스플레이 된다. 수신단말(21)을 통해 음성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음성정보송신서버(63)는 정보송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713), 완료된 경우는 수신단말(21)로 호해제를 요청한다(단계715). 그러면,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출력모드를 해제한다(단계 71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측이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 수신단말과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간의 기 설정된 서비스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나, 발신측을 발신단말로 대체하여도 구현가능하다. 즉, 발신측이 발신단말인 경우는 기 설정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발신단말이 수신단말로 전하고자 하는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23)을 발신단말로 하면, 수신단말(21)과의 서비스설정단계가 생략된다. 그리고, 발신단말은 자신의 키패드상의 특정키가 입력되면, 수신단말(21)로 음성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로 인식한다. 여기서 특정키는 발신단말의 사용자가 수신단말로 음성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모드 전환키이다. 발신단말은 이러한 특정키의 입력에 따라 음성정보 송신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여 통신망(22)으로 호시도를 요청한다.
통신망(22)은 발신단말로부터의 호시도에 의해 수신단말(2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파악이 완료되면 수신단말(21)로 페이지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205). 페이지메시지는 수신단말(21)과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다. 수신단말(21)은 페이지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제공 식별자를 통해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임을 식별한다. 수신단말(21)은 정보 제공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지메시지를 수신받아 음성통화를 위한 무선채널을 설정한다. 즉, 수신단말(21)은 발신단말이 요청한 호를 설정하므로써 호시도에 응답한다. 그러면, 수신단말(21)과 통신망(22)간의 호 설정 상태가 된다(단계 207).
호설정과 동시에 수신단말(21)은 음성정보 수신을 위한 음성정보 출력모드로 전환하여 발신단말과 연결된다. 이에 응답하여, 발신단말은 수신단말(21)로 음성정보를 송신한다(단계 209) 따라서, 발신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정보가 수신단말(2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렇게 하여, 발신단말로부터의 음성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발신단말은 이를 인식하여 통신망(22)으로 호해제를 요청한다. 그러면, 수신단말(21)과 발신단말간에 설정된 호가 해제된다(단계 211).
예를 들어 발신단말의 사용자가 2시 업무회의가 취소됨을 알리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특정키를 누르고 전술한 과정을 거쳐 통화로가 설정되면, "2시 업무회의 취소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입력함과 동시에 수신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발신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정보가 수신단말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측의 요청시에 착신벨소리와 수신측의 응답이 없더라도 자동 연결되어 송신측의 음성정보가 수신 측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불특정 시간에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성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응답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음성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신자표시가 가능하여 현재 제공되는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방법에 따른 ARS를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방법에 따른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방법에 따른 SMS발신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설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방법에 따른 음성호 설정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방법에 따른 음성정보 제공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수신단말 22 : 통신망
23 : 음성정보송신시스템 33 : ARS서버
43 : 무선데이터제공서버 53 : SMS서버
63 : 음성정보송신서버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는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에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음성 정보 서비스에 상응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ARS 방식, 무선 인터넷 방식 및 SMS 발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통화 모드인 지를 판단한 후, 통화 모드가 아닌 경우, 음성 정보 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통화 모드인 지를 판단한 후, 통화 모드인 경우, 일정 시간을 대기하여 통화 완료를 인식한 후, 음성 정보 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발신자 표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여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 정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적어도 상기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는 수단;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송신 장치.
  8.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여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에 상응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고, 적어도 상기 서비스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미리 마련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송신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된 발신단말이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정보 송신을 위한 키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음성 정보 송신을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수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의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결과,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를 별도의 조작없이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KR20030007899A 2003-02-07 2003-02-07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8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899A KR100480519B1 (ko) 2003-02-07 2003-02-07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899A KR100480519B1 (ko) 2003-02-07 2003-02-07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973A KR20040071973A (ko) 2004-08-16
KR100480519B1 true KR100480519B1 (ko) 2005-04-07

Family

ID=373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7899A KR100480519B1 (ko) 2003-02-07 2003-02-07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00B1 (ko) * 2008-12-23 2011-07-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973A (ko)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406B1 (en) Credit information in a mobile phone
US74063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identifying and indicating short message types using indicator icons and method thereof
KR20020086199A (ko) 휴대 전화기 및 그 기지국
KR2001001978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및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EP1231798B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100480519B1 (ko)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24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486532B1 (ko) 휴대폰의 어넌시에이터 정보 표시 장치
KR1002608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JPH08139680A (ja) 携帯情報通信装置
KR10083625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87204A (ko) 멀티미디어 자동응답 시스템
KR100464557B1 (ko) 입력조건에 따라 출력신호의 변환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101172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611118B1 (ko)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059566B1 (en) Voice recognition push to message (PTM)
KR100974133B1 (ko)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137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600630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이용 방법
KR10101611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EP1191773A2 (en) Internet phone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