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259B1 -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259B1
KR100479259B1 KR10-2002-0062074A KR20020062074A KR100479259B1 KR 100479259 B1 KR100479259 B1 KR 100479259B1 KR 20020062074 A KR20020062074 A KR 20020062074A KR 100479259 B1 KR100479259 B1 KR 10047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nitoring light
monitoring
optical switch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56A (ko
Inventor
이왕주
김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2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 H04Q2011/0083Testing;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스위치의 오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사용하여 광 스위치의 오동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 스위치 오동작 발생여부 판단장치는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포트에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펄스 감시광 생성부; 상기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입력하는 합파수단; 상기 광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분파하는 분파수단; 상기 분파된 감시광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상기 광 스위치의 입출력포트에 관한 연결설정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오동작 여부 판단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광 스위치 오동작 발생여부 판단장치는 전송 품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스위치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필요한 광 모듈이나 전자회로가 간단하여 시스템에 실제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 및 장치{Optical switch faul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equential optical pulse input}
본 발명은 광 스위치의 오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사용하여 광 스위치의 오동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광 스위치는 차세대 전광통신망에 등장할 광회선 분배기(Optical Cross Connect, OXC)에서 광 신호의 스위칭을 담당할 소자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 스위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실제로 광 스위칭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광 신호 차원에서 광 경로의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광 신호 차원에서 광회선 분배기의 광경로 설정을 감시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광 스위치 각각의 입력포트에 수 kHz 내지 수 십 kHz 정도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톤(tone)을 가진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광과 함께 인가하고, 출력포트에서 출력된 광을 분기하여 분기된 광에서 톤(tone)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톤(tone) 정보를 스위칭 정보와 비교하여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톤을 가진 신호를 인가한다는 것은 입력된 신호광을 특정주파수로 진폭 변조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신 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5% 이내의 낮은 변조 지수를 사용하여 진폭 변조한다.
톤(tone)이란 일상적인 경우에는, 사람들의 음성이나 악기의 소리에서 고저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보통 하나의 주파수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각 건반은 각각 정해진 고유의 톤을 가지고 있다. 광통신에서 실제의 광 신호는 100 T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광 신호가 수 십 MHz 내지 수 GHz를 사용한 온/오프(on/off) 방식에 의해 진폭 변조된 것이며, 전체적으로는 자기 주파수(100 THz 이상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과 수 십 MHz 내지 수 GHz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 신호를 다시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를 가지고 진폭 변조하면 새로운 주파수(톤) 성분이 광 스위치에 인가되며, 이 주파수(톤) 성분은 스위칭 경로를 지난후에 검출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광신호의 진폭이 수 % 정도 변동하도록 저주파 진폭 변조하고, 후단부에서 이 톤을 검출함으로써 이 광신호가 지나는 경로를 판단한다. 이때,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정보는 수십 MHz 내지 수 GHz의 진폭 변조 부분에 실려서 전송된다.
그러나 톤을 사용하는 상술한 종래 기술은 스위치 종류에 상관없이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는 있지만, 하나의 광회선 분배기를 통과한 광 신호에, 인가된 톤 성분이 남아 있으면, 다음 광회선 분배기에서는 상술한 톤을 사용하는 오동작 검출 방법을 다시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남아있는 톤 성분은 최종 수신단에서 전송 에러 비율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사용한 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광 모듈이 추가되어야 하며, 이렇게 광 모듈을 추가한다고 하더라도 신호광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완벽히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스위치의 오동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광 스위치의 각 입력포트에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출력포트에서 이 감시광을 검출하여 검출된 감시광 출력세기 정보와 스위칭 정보를 비교하여 광 스위치의 오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광 스위치 감시용 광원을 별도로 사용하여, 광 스위치에 입력되는 신호광에 감시광을 합파하고, 광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에서 감시광을 분파시켜 감시광의 출력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톤을 인가하고 검출한 다음 톤을 제거하는 방법에 비해 광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 스위치의 오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는,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포트에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펄스 감시광 생성부; 상기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입력포트로 입력하는 합파수단;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출력포트별로 분파하는 분파수단; 상기 분파된 감시광을 출력포트별로 검출하는 복수의 광 검출기; 및 상기 광 스위치의 입출력포트에 관한 연결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오동작 여부 판단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은,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포트에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펄스 감시광 생성 단계; 상기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입력포트로 입력하는 감시광 입력 단계;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분파하여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광 스위치의 입출력포트에 관한 연결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오동작 여부 판단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1xN 스위치를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오동작 검출장치는 NxM 광 스위치(100), 감시광원 생성부(110), 1xN 광 스위치(120), 제1 WDM 커플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upler)(130), 제2 WDM 커플러(Coupler)(140), 광 검출기(150), 오동작 여부 판단부(160), 에러 신호 생성부(170) 및 광 스위치 제어장치(180)로 구성된다. 그리고, 펄스 감시광 생성부(190)는 감시광원 생성부(110)와 1xN 광 스위치(120)로 구성되어 있다.
NxM 광 스위치(100)는 입력포트의 개수가 N 이고 출력포트의 개수가 M 인 광 스위치를 말한다. 감시 광원 생성부(110)는 NxM 광 스위치(100)의 오동작을 감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감시광을 생성하는데, 생성된 감시광은 광 스위치(100)의 입력 신호광과는 다른 파장을 가진 광 신호이다. 감시광원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감시광은 1xN 광 스위치(120)의 입력포트로 입력된다. 1xN 광 스위치(120)는 입력된 감시광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각 포트별로 시간차이가 있는 펄스 형태의 광신호가 되도록 만들어 출력한다. 그리고, 1xN 광 스위치(120)의 N 개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된 감시광은 N 개의 제1 WDM 커플러(Coupler)(130)를 통하여 N 개의 NxM 광 스위치(100) 입력 광섬유에 각각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다.
NxM 광 스위치(100)의 출력포트에 연결된 광 섬유에는 M 개의 제2 WDM 커플러(Coupler)(140)가 있어 입력된 감시광을 각각 분파시키고, 분파된 감시광은 광 검출기(150)에서 검출된다. 오동작 여부 판단부(160)는 이렇게 검출된 감시광과 광 스위치 제어장치(180)로부터 수신한 광 스위치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광 스위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광 스위치(10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광 스위치 제어장치(180)가 광 스위치(100)에서 1번 입력포트가 3번 출력포트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경로를 설정하였는데, 1번 입력포트에 입력된 감시광이 3번 출력포트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광 스위치(100)가 오동작하는 것이다. 에러신호 생성부(170)는 광 스위치(100)가 오동작하는 경우,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도 2는 도 1의 오동작 검출장치에서 사용되는 감시광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감시광원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감시광은 1xN 광 스위치(120)에 의해서 포트별로 순차적으로 스위칭 되므로, 1xN 광 스위치(120)의 N 개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되는 감시광의 형태는 도 2와 같이 된다. 즉, 도 2와 같은 펄스 형태의 감시광이 NxM 광 스위치(100)의 첫번째 입력포트에서부터 N 번째 입력포트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1xN 광 스위치(120)가 동작된다.
NxM 광 스위치(100)의 각 입력포트에 입력된 감시광은 광 스위치(100)를 통과한 후 출력포트로 출력되고, 출력된 감시광은 광 검출기(150)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리고, 오동작 여부 판단부(160)에서는 검출된 감시광의 세기정보와 광 스위치 제어장치(180)로부터의 스위치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광 스위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광 스위치(10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신호 생성부(170)에서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NxM 광 스위치(100)의 I 번째 입력포트가 J 번째 출력포트와 연결되도록 광 스위치 제어장치(180)가 광 스위치(100)를 설정했을 때, NxM 광 스위치(100)의 I 번째 입력포트에 입력된 펄스 형태의 감시광이, J 번째 출력포트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다른 출력포트에서 검출되면 광 스위치(100)가 오동작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신호 생성부(170)에서 에러 신호를 발생시킨다. 1xN 광 스위치(12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스위칭되어 생성된 감시광이 N 번째 입력포트에 입력될 때까지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첫번째 입력포트에 다시 감시광이 입력되고 상술한 오동작 검출 과정이 반복된다.
도 3은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를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광 감쇠기를 사용한 오동작 검출장치는 도 1의 오동작 검출장치에서의 1xN 광 스위치(120) 대신에 광 분기기(310)와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320) 및 광 감쇠기 제어부(330)를 사용하였다. 즉 펄스 감시광 생성부(190)를 달리 구성한 것이다.
광 분기기(310)는 감시광원 생성부(110)에서 출력된 하나의 감시광을 N 개로 분기시킨다.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320)는 N 개로 분기된 감시광을 입력받아 펄스 형태 만들어 NxM 광 스위치(100)에 순차적으로 입력시킨다. 펄스 형태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320)는 N 개로 분기되어 입력되는 각 감시광에 대해 광 손실을 최대로 만들어 광 출력이 나오지 않게 하고 있다가, 광 감쇠기 제어부(33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순차적으로 하나씩 입력 감시광에 대해서 손실을 최소로 만들어 도 2와 같은 펄스 형태의 감시광이 출력되도록 한다.
즉, 광 분기기(310)로부터 입력되는 동일한 감시광을 각각의 광 감쇠기(320)가 수신하는데, 시간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자기 순서가 될 때까지는 감시광을 출력하지 않다가 자기 순서가 되었을 때만 감시광을 출력시켜 도 2와 같은 펄스형태의 감시광을 만드는 것이다. 광 감쇠기 제어부(330)는 이렇게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320)를 제어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에서의 구성요소와 기능이 동일하다.
도 4는 N 개의 감시광원을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N 개의 감식광원을 사용한 오동작 검출장치는 도 1의 오동작 검출장치에서의 감시광원 생성부(110)와 1xN 광 스위치(120) 대신에, N 개의 감시광원 생성부(410)와 감시광원 제어부(420)를 가지고 있다. 감시광원 제어부(420)는 N 개의 감시광원 생성부(410)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on)시킴으로써, 펄스 형태의 감시광으로 만든다. 이렇게 하여 도 2와 같이 펄스 형태로 만들어진 감시광이 광 스위치(100)의 각 입력포트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때 펄스 형태의 감시광은 제1 WDM 커플러(Coupler)(130)를 통하여 NxM 광 스위치(100)의 입력포트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에서의 구성요소와 기능이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 스위치 오동작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 포트에 순차적으로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한다(S510). 그리고, 상기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입력한다(S520).
그리고 나서, 상기 광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분파하여 검출한다(S530). 마지막으로,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광 스위치 설정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540).
펄스 형태의 감시광 생성단계(S5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감시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시광을 1xN 광 스위치를 사용하여 순차적인 펄스 형태의 감시광으로 만들 수도 있고, 광 분기기와 가변 광 감쇠기 및 광 감쇠기 제어부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감시 광원을 온/오프 스위칭 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만들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광 회선 분배시스템의 광 스위치 감시 방법에서 톤(tone)을 사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전송 품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스위치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필요한 광 모듈이나 전자회로가 간단하여 시스템에 실제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1xN 스위치를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동작 검출장치에서 사용되는 감시광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N 개의 가변 광 감쇠기를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N 개의 감시광원을 사용한 NxM 광 스위치(100) 오동작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 스위치 오동작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포트에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펄스 감시광 생성부;
    상기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입력포트로 입력하는 합파수단;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출력포트별로 분파하는 분파수단;
    상기 분파된 감시광을 출력포트별로 검출하는 복수의 광 검출기; 및
    상기 광 스위치의 입출력포트에 관한 연결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오동작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여부 판단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동작 판단 신호에 대응되는 에러 신호를 발생하는 에러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파수단 및 분파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WDM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부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다른 파장을 가진 감시광을 생성하는 감시 광원 생성부; 및
    상기 감시광을 스위칭하여 시간에 따라 위상차이가 있는 펄스 형태로 만들어, 복수의 포트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1xN 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부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다른 파장을 가진 감시광을 생성하는 감시 광원 생성부;
    상기 감시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감시광을 복수개로 분기시키는 광 분기기;
    상기 분기된 감시광을 입력받아 펄스 형태로 만들어 출력하는 복수개의 가변 광 감쇠기; 및
    상기 가변 광 감쇠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광 감쇠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광 감쇠기는
    초기에 입력된 감시광을 광 손실이 최대가 되도록 하여 광 출력을 차단하며, 상기 광 감쇠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분기된 감시광의 광 손실을 순차적으로 최소로 만들어 펄스 형태의 감시광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부는
    광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감시광원 생성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감시광원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온시켜, 펄스 형태의 상기 감시광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감시광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장치.
  8.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는 별개로 광 스위치의 복수의 입력포트에 입력될 복수의 펄스 형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펄스 감시광 생성 단계;
    상기 감시광을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광학적으로 합파하여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입력포트로 입력하는 감시광 입력 단계;
    상기 광 스위치의 각각의 출력포트에서 출력되는 출력 광신호에서 상기 감시광을 분파하여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광 스위치의 입출력포트에 관한 연결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감시광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서 상기 광 스위치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오동작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여부 판단 단계를 수행한 후, 오동작 판단 신호에 대응되는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에러 신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광을 합파하거나 분파하는 것은 WDM 커플러를 사용하여 합파하거나 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단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다른 파장을 가진 감시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광을 스위칭하여 시간에 따라 위상차이가 있는 펄스 형태로 만들어, 복수의 포트로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단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실려있는 신호광과 다른 파장을 가진 감시광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감시광을 복수개로 분기시키는 단계;
    상기 분기된 감시광을 펄스 형태로 만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분기된 감시광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펄스 형태로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펄스 형태로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는
    초기에 입력된 감시광을 광 손실이 최대가 되도록 하여 광 출력을 차단하며, 상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분기된 감시광의 광 손실을 순차적으로 최소로 만들어 펄스 형태의 감시광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감시광 생성단계는
    감시광원 생성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시켜, 펄스 형태의 감시광으로 만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감시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감시광원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오동작 감시방법.
KR10-2002-0062074A 2002-10-11 2002-10-11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KR10047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74A KR100479259B1 (ko) 2002-10-11 2002-10-11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74A KR100479259B1 (ko) 2002-10-11 2002-10-11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56A KR20040033156A (ko) 2004-04-21
KR100479259B1 true KR100479259B1 (ko) 2005-03-31

Family

ID=3733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74A KR100479259B1 (ko) 2002-10-11 2002-10-11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130B1 (ko) 2005-04-04 2006-08-31 한국과학기술원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광선로 장애위치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975B1 (ko) * 2002-10-24 2005-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스위치의 출력변화를 감지하여 광 스위치의 오동작을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843A (ja) * 1981-10-06 1983-04-11 Natl Aerospace Lab 故障判断回路
KR20000065349A (ko) * 1999-04-02 2000-11-15 윤덕용 광 회선분배 시스템의 입력단자 판별에 의한 광 경로 감시 장치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843A (ja) * 1981-10-06 1983-04-11 Natl Aerospace Lab 故障判断回路
KR20000065349A (ko) * 1999-04-02 2000-11-15 윤덕용 광 회선분배 시스템의 입력단자 판별에 의한 광 경로 감시 장치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130B1 (ko) 2005-04-04 2006-08-31 한국과학기술원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광선로 장애위치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56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562A (en) Wavelength aligning apparatus u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US7518711B2 (en) Optical waveform measurement apparatus and optical waveform measurement method
EP0580316B1 (en) Performance monitoring and fault location for optical equipment, systems and networks
US20090162052A1 (en) Latency measurement in optical networks
US4809256A (en) Optical demultiplexer
US6687044B2 (en) Connection discovery for optical amplifier systems
US72748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hannel and optical signal-to-noise ratio monitoring
KR100491975B1 (ko) 광 스위치의 출력변화를 감지하여 광 스위치의 오동작을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9259B1 (ko) 순차적 펄스 입력에 의한 광 스위치의 오동작 감시 방법및 장치
US5825530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testing an optical device
US65774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zatio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optical tributary signals
US6459826B1 (en) Programmable optical switch apparatus
CN109075868A (zh) 为光通信系统生成导频音
US72188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ptical signal monitor
JPH10173634A (ja) 光時分割多重伝送用光送信装置および光受信装置
EP3311511B1 (en) Verifying configuration in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node
Cardakli et al. Variable-bit-rate header recognition for reconfigurable networks using tunable fiber-Bragg-gratings as optical correlators
JP2004080462A (ja) 時分割多重信号光の分離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受信装置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US6751416B2 (en) Reconfigurable optical recognition of bit information in a digital data stream with different bit rates
US20070274726A1 (en) Cross-connector for optical signals in time-division multiplex technology
US11982849B2 (en) System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ring resonator operating points
JPH09281537A (ja) 偏光制御回路
EP0716515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testing an optical device
US20240184063A1 (en) System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ring resonator operating points
JPH1065615A (ja) スイッチング素子確認システムおよび信号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