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937B1 -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 Google Patents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937B1
KR100477937B1 KR10-2001-0079101A KR20010079101A KR100477937B1 KR 100477937 B1 KR100477937 B1 KR 100477937B1 KR 20010079101 A KR20010079101 A KR 20010079101A KR 100477937 B1 KR100477937 B1 KR 10047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synthetic resin
flooring material
convex port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296A (ko
Inventor
김영기
박성찬
장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B01822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290696C/zh
Priority to PCT/KR2001/002179 priority patent/WO2002047905A1/en
Priority to JP2002549463A priority patent/JP3933578B2/ja
Priority to US10/450,729 priority patent/US6865856B2/en
Publication of KR2002004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07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요부와 철부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합성수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바닥재는 요부와 철부 사이에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공간이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하여 바닥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가두어 이물질에 의한 바닥재의 틈 벌어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PLASTIC FLOORINGS US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본 발명은 요부와 철부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합성수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이물질이 바닥재 표면으로 밀고 올라오지 않도록 요부와 철부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 바닥재의 변형을 최소화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 시공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바닥재는 일정한 규격의 면적을 갖도록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시공시 다른 합성수지 바닥재와 함께 조립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구성한다. 통상의 합성수지 바닥재는 일정한 두께와 직각의 모서리를 갖는 사각 형태가 대부분이며, 각 바닥재의 측면에는 다른 바닥재와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한 조립 구조가 형성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로서, 개개의 합성수지 바닥재(1)는 다른 합성수지 바닥재(1')와 연결되는 측면에 계단 모양의 단차를 형성하여, 다수의 바닥재(1)(1')가 겹쳐잇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조립 구조는 바닥재들이 이음매 부분에서 견고하게 밀착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재가 시공되는 바닥면에 굴곡이 있을 경우, 이 굴곡에 의해 바닥재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로서 바닥재의 이음매 부분을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바닥재(3)의 측면에 요부(凹部)(5)와 철부(凸部)(7)를 형성한 합성수지 바닥재(3)가 제안되었다.
즉, 상기 합성수지 바닥재(3)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철부(7)를 형성하고, 우측면에 요부(5)를 형성하여, 상기 철부(7)가 다른 합성수지 바닥재(3')의 요부(5)에 삽입되고, 상기 요부(5)가 다른 합성수지 바닥재(3')의 철부(7)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바닥재(3)(3') 사이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바닥재(3)는 요부(5)와 철부(7)가 밀착 결합하기 때문에, 바닥면의 열이 합성수지 바닥재에 전달되면, 각각의 합성수지 바닥재는 인접한 다른 합성수지 바닥재를 향하여 열팽창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3)의 이음매 부분이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하여, 바닥재 품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합성수지 바닥재(3)가 시공되는 바닥면(9)에는 접착제와 같은 이물질이 다수 존재하는데, 바닥재 시공후 상기한 이물질이 바닥재(3)의 이음매 사이를 밀고 올라와 바닥재(3) 표면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질이 요부(5)와 철부(7)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바닥재 간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부와 철부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합성수지 바닥재에 있어서,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이물질이 바닥재 표면으로 밀고 올라오지 않도록 하여 합성수지 바닥재의 변형을 최소화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부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구비하는 제1 바닥재와, 철부가 형성된 제2 측면을 구비하여 상기 요부와 철부의 결합을 통해 제1 바닥재 측면에 조립되는 제2 바닥재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 및 철부가 서로간 접촉으로 밀착 결합하는 밀착면과, 서로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향면을 형성하여 상기 요부와 철부 사이에 열팽창 수용부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바닥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바닥재는 요부(2)가 형성된 제1 측면(4)을 구비하는 제1 바닥재(6)와, 철부(8)가 형성된 제2 측면(10)을 구비하여 상기 요부(2)와 철부(8)의 결합에 의해 제1 바닥재(6)와 조립되는 제2 바닥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요부(2)와 철부(8)는 서로간의 접촉으로 밀착 결합하는 밀착면(14a, 14b)을 형성하여 제1, 2 바닥재(6, 12)의 조립을 견고하게 하며, 서로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대향면(16a, 16b)(18a, 18b)을 형성하여 요부(2)와 철부(8) 사이에 열팽창 수용부(S)를 제공한다.
먼저, 상기 제1, 2 바닥재(6, 12)는 평평한 상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요부(2)와 철부(8)에 형성되는 밀착면(14a, 14b)은 제1, 2 바닥재(6, 12)의 상부 표면과 평행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부(2)의 밀착면(14a)은 도면의 A지점에서 시작하여 B지점에 이르며, 철부(8)의 밀착면(14b)은 도면의 A 지점에서 시작하여 B 지점에 이르는 면으로 정의된다.
이 때, 제1, 2 바닥재(6, 12)의 조립시, 요부(2)의 밀착면(14a) 위에 철부(8)의 밀착면(14b)이 접촉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제1, 2 바닥재(6, 12)의 하부 표면에 대한 철부(8) 밀착면(14b) 높이가 제1, 2 바닥재(6, 12)의 하부 표면에 대한 요부(2) 밀착면(14a)의 높이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로서 상기 제1, 2 바닥재(6, 12)는 요부(2)와 철부(8)에 제공된 밀착면(14a, 14b)에 의해 이음매가 견고하게 밀착하여, 도시하지 않은 바닥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굴곡에 의한 제1, 2 바닥재(6, 12) 사이의 단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2)와 철부(8)에 형성되는 대향면은 제1, 2 바닥재(6, 12)의 상부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경사면(16a, 16b)과, 상기 경사면(16a, 16b)과 각자의 밀착면(14a, 14b)을 연결하는 수직면(18a, 18b)으로 이루어지며, 요부(2)에 형성된 경사면(16a)과 수직면(18a)은 철부(8)에 형성된 경사면(16b) 및 수직면(18b)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요부(2)와 철부(8)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부(2)의 경사면(16a)은 도면의 C지점에서 시작하여 D지점에 이르며, 철부(8)의 경사면(16b)은 도면의 C 지점에서 시작하여 D 지점에 이르는 면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요부(2)의 수직면(18a)은 도면의 D지점에서 시작하여 A지점에 이르며, 철부(8)의 수직면(18b)은 도면의 D 지점에서 시작하여 A 지점에 이르는 면으로 정의된다.
특히, 요부(2)와 철부(8)의 수직면(18a, 18b)은 d1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요부(2)와 철부(8)의 경사면(16a, 16b)은 제1, 2 바닥재(6, 12)의 상부 표면과 수직한 가상 법선(점선으로 도시)에 대하여 각각 α와 β의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α와 β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α= 65∼75°, β= 65∼75°, α≥β
상기한 조건은 요부(2)와 철부(8)가 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 α가 75°를 넘거나, α가 β보다 작게 설정되면, 요부(2)에 대한 철부(8)의 삽입이 원활하지 못하여 제1, 2 바닥재(6, 12)를 조립할 때, 철부(8)가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 2 바닥재(6, 12)는 전술한 요부(2) 및 철부(8)의 구성에 의해 요부(2)와 철부(8) 사이에 공간, 즉 열팽창 수용부(S)를 형성한다. 상기 열팽창 수용부(S)는 바닥면의 열에 의해 제1, 2 바닥재(6, 12)가 열팽창 할 때, 제1, 2 바닥재(6, 12)의 열팽창을 흡수하여, 조립된 바닥재가 평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바닥재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열팽창 수용부(S)는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특히 접착제 등을 그 내부에 가두어, 상기 이물질이 제1, 2 바닥재(6, 12)의 표면으로 밀려 올라오는 현상과, 이물질에 의한 제1, 2 바닥재(6, 12)의 틈 벌어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제1, 2 바닥재(6, 12)는 요부(2) 및 철부(8)에 의한 열팽창 수용부(S) 이외에 요부(2)가 형성된 제1 측면(4)과 철부(8)가 형성된 제2 측면(10) 사이에 추가의 열팽창 수용부(S')를 형성하여, 바닥재의 열팽창 흡수 기능과 틈 벌어짐 방지 기능을 보강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측면(4)은 제1 바닥재(6)의 상부 표면에서 제1 바닥재(6)의 내부를 향하여 요부(2)의 경사면(16a)과 연결되는 보조 경사면(20a), 제2 측면(10)은 제2 바닥재(12)의 상부 표면에서 제2 바닥재(12)의 내부를 향하여 철부(8)의 경사면(16b)과 연결되는 보조 경사면(20b)을 형성한다. 이로서 상기 보조 경사면(20a, 20b) 사이에 추가의 공간, 즉 열팽창 수용부(S')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4)의 보조 경사면(20a)은 가상 법선에 대해 χ의 각도를 가지면서 도면의 E지점에서 시작하여 C지점에 이르며, 제2 측면(10)의 보조 경사면(20b)은 가상 법선에 대해 δ의 각도를 가지면서 도면의 E지점에서 시작하여 C 지점에 이르는 면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χ와 δ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χ= 0∼8°, δ= 0∼8°, χ≥δ, χ+δ = 0∼16°
상기한 조건은 제1 측면(4)과 제2 측면(10) 사이에 충분한 열팽창 수용부(S')를 형성하여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함과 동시에, 바닥면의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χ+δ 가 0°이하로 설정되면, 열팽창 수용부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χ+δ가 16°도 이상으로 설정되면, 과도한 열팽창 수용부에 의해 제1, 2 바닥재(6, 12)의 강도가 저하되어 바닥재 눌림시, 모서리가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측면(4)은 제1 바닥재(6)의 하부 표면에서 요부(2)의 밀착면(14a)과 연결되는 수직면(22a)을 형성하고, 제2 측면(10)은 제2 바닥재(12)의 하부 표면에서 철부(8)의 밀착면(14b)과 연결되는 수직면(22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2 측면(4, 10)의 수직면(22a, 22b)은 서로간에 d2의 간격을 유지하여 열팽창 수용부(S")를 형성한다.
상기 d2 간격으로 정의되는 열팽창 수용부(S")는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바닥면의 열에 의해 제1, 2 바닥재(6, 12)의 하부 표면이 열팽창 할 때, 이 열팽창을 흡수함과 아울러,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직접 수용하여 상기 이물질이 요부(2)와 철부(8)의 밀착면(14a, 14b)을 밀고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열팽창 수용부(S")는 바닥재에 가해지는 열과, 바닥재가 시공되는 바닥면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d1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d2가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도 3에 도시하였다.
d2 = 2 ×d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는 요부(2)와 철부(8)의 밀착면(14a, 14b) 결합에 의해 제1, 2 바닥재(6, 12)의 이음매를 견고하게 밀착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열팽창 수용부(S)(S')(S")에 의해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하고 바닥면의 이물질을 수용하여, 상기 열팽창과 이물질에 의한 바닥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 때, 합성수지 바닥재의 두께를 1로 가정하였을 때, 제1, 2 바닥재(6, 12)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요부(2)와 철부(8)의 경사면(14a, 14b)에 이르는 두께가 1/4, 요부(2)와 철부(8)의 경사면(16a, 16b) 두께가 1/4, 요부(2)와 철부(8)의 수직면(18a, 18b) 두께가 1/4, 요부(2)와 철부(8)의 밀착면(14a, 14b)에서부터 제1, 2 바닥재(6, 12)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두께가 1/4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는 전술한 요부(2)와 철부(8)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합성수지 바닥재는 인접한 2개의 측면에 요부(2)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철부(8)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제1 바닥재(22)의 요부(2)에 제2 바닥재(24)의 철부(8)를 끼워 조립하고, 제3 바닥재(26)의 철부(8)를 제1, 2 바닥재(22, 24)의 요부(2)에 끼워 조립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군의 합성수지 바닥재(28a, 28b)는 인접한 3개의 측면에 요부(2)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 철부(8)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군의 합성수지 바닥재(30)는 인접한 3개의 측면에 철부(8)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 요부(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제1 군에 속하는 제1 바닥재(28a)의 요부(2)에 제2 바닥재(28b)의 철부(8)를 끼워 한 방향으로 조립하고, 상기 제1 군에 속하는 합성수지 바닥재(28a, 28b)의 측면에 제2 군의 합성수지 바닥재(30)를 연결하여 서로 조립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군의 합성수지 바닥재(32)는 4개의 측면 모두에 요부(2)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2 군의 합성수지 바닥재(34)는 4개의 측면 모두에 철부(8)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제1 군에 속하는 합성수지 바닥재(32)의 4개 측면 모두에 제2 군에 속하는 합성수지 바닥재(34)를 연결하여 서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는 합성수지 바닥재는 그 전체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36)과, 기재층(36)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여 바닥재에 무늬를 부여하는 표면층(38)과, 기재층(36)의 하부 표면에 위치하여 바닥재의 수축과 팽창을 방지하면서 평탄도를 유지시키는 발란스층(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표면층(38)은 천연 소재인 무늬목층, 발란스층(40)은 글래스 파이버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바닥재는 발란스층(40)에 의해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면층(38)과 발란스층(40)은 모서리가 모따기(beveling)되어, 상기 모따기 부분이 열팽창 수용부(S)와 더불어 바닥면의 열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함으로써 바닥재 사이의 단차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요부와 철부 사이에 열팽창 흡수부를 형성함에 따라, 바닥재의 열팽창을 흡수하고, 바닥면의 이물질이 바닥재 표면으로 밀고 올라오지 않도록 하여 합성수지 바닥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
도 4∼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의한 합성수지 바닥재의 단면도.
도 10은 합성수지 바닥재의 뒤틀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Claims (17)

  1.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및 요부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구비하는 제1 바닥재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및 철부가 형성된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철부가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닥재 측면에 조립되는 제2 바닥재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 및 철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바닥재의 상부 표면을 향한 상기 요부 및 철부의 상부면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바닥재의 상부 표면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경사면과;
    상기 제1 및 제2 바닥재의 하부 표면을 향한 상기 요부 및 철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바닥재의 상부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밀착면과;
    상기 경사면과 밀착면을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부와 철부에 형성된 밀착면이 서로간 접촉에 의해 밀착 결합하고,
    상기 요부와 철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수직면이 각각 서로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요부와 철부 사이에 열팽창 수용부를 제공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 대한 상기 철부 밀착면의 높이가 상기 하부 표면에 대한 요부 밀착면의 높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요부의 밀착면 위에 철부의 밀착면이 접하도록 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의 경사면이 제1 바닥재의 상부 표면과 수직한 법선에 대해 α의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철부의 경사면이 상기 법선에 대해 β의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α와 β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α= 65∼75°, β= 65∼75°, α≥β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이 제1 바닥재의 상부 표면에서 제1 바닥재의 내부를 향하여 상기 요부의 경사면과 연결되는 보조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면이 제2 바닥재의 상부 표면에서 제2 바닥재의 내부를 향하여 상기 철부의 경사면과 연결되는 보조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2 측면의 보조 경사면 사이에 추가의 열팽창 수용부를 제공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의 보조 경사면이 제1 바닥재의 상부 표면과 수직한 법선에 대해 χ의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측면의 보조 경사면이 상기 법선에 대해 δ의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χ와 δ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χ= 0∼8°, δ= 0∼8°, χ≥δ, χ+δ = 0∼16°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이 제1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요부의 밀착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형하고, 상기 제2 측면이 제2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철부의 밀착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2 측면의 수직면 사이에 추가의 열팽창 수용부를 제공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측면에 형성된 수직면 사이의 간격(d1)이 상기 요부와 철부에 형성된 수직면 사이의 간격(d2)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바닥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측면에 형성된 수직면 사이의 간격(d1)이 상기 요부와 철부에 형성된 수직면 사이 간격(d2)의 2배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바닥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닥재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상기 요부와 철부의 경사면에 이르는 두께와, 상기 요부와 철부의 경사면 두께와, 상기 요부와 철부의 수직면 두께와, 상기 요부와 철부의 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제1, 2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두께가 상기 제1, 2 바닥재 전체 두께의 1/4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바닥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바닥재가 인접한 2개의 측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철부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바닥재가 인접한 3개의 측면과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 각각 요부와 철부를 형성한 제1 군의 바닥재와, 인접한 3개의 측면과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 각각 철부와 요부를 형성한 제2 군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바닥재가 4개의 측면 모두에 요부를 형성한 제1 군의 바닥재와, 4개의 측면 모두에 철부를 형성한 제2 군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닥재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여 무늬를 부여하는 표면층; 및
    상기 기재의 하부 표면에 위치하여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발란스층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바닥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발란스층이 모따기(beveling)되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바닥재.
KR10-2001-0079101A 2000-12-14 2001-12-13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KR10047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B018222439A CN1290696C (zh) 2000-12-14 2001-12-14 使用凹入部分和凸出部分的塑料地板
PCT/KR2001/002179 WO2002047905A1 (en) 2000-12-14 2001-12-14 Plastic floorings us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JP2002549463A JP3933578B2 (ja) 2000-12-14 2001-12-14 凹部と凸部を利用した合成樹脂床材
US10/450,729 US6865856B2 (en) 2000-12-14 2001-12-14 Plastic floorings us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54A KR20010016486A (ko) 2000-12-14 2000-12-14 요부(凹部)가 형성된 측면과 철부(凸部)가 형성된 측면을가진 합성수지 바닥재
KR1020000076354 2000-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96A KR20020048296A (ko) 2002-06-22
KR100477937B1 true KR100477937B1 (ko) 2005-03-18

Family

ID=19703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354A KR20010016486A (ko) 2000-12-14 2000-12-14 요부(凹部)가 형성된 측면과 철부(凸部)가 형성된 측면을가진 합성수지 바닥재
KR10-2001-0079101A KR100477937B1 (ko) 2000-12-14 2001-12-13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354A KR20010016486A (ko) 2000-12-14 2000-12-14 요부(凹部)가 형성된 측면과 철부(凸部)가 형성된 측면을가진 합성수지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164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924A3 (en) * 2021-04-29 2022-12-22 Ponera Group Sagl Pallet modules and toggle latc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7719A1 (en) * 1995-03-07 1996-09-12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panel or wall panel
JPH10219975A (ja) * 1997-02-07 1998-08-18 Juken Sangyo Co Ltd 置き敷き床材の設置構造
KR19990078737A (ko) * 1999-08-03 1999-11-0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 복합블럭
WO2000020706A1 (en) * 1998-10-06 2000-04-13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board shaped floor elements which are joined vertically by means of separate assembly profiles
WO2000047841A1 (en) * 1999-02-10 2000-08-17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board shaped floor elements which are intended to be joined vertical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7719A1 (en) * 1995-03-07 1996-09-12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panel or wall panel
JPH10219975A (ja) * 1997-02-07 1998-08-18 Juken Sangyo Co Ltd 置き敷き床材の設置構造
WO2000020706A1 (en) * 1998-10-06 2000-04-13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board shaped floor elements which are joined vertically by means of separate assembly profiles
WO2000047841A1 (en) * 1999-02-10 2000-08-17 Perstorp Flooring Ab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board shaped floor elements which are intended to be joined vertically
KR19990078737A (ko) * 1999-08-03 1999-11-0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 복합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924A3 (en) * 2021-04-29 2022-12-22 Ponera Group Sagl Pallet modules and toggle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96A (ko) 2002-06-22
KR20010016486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943B1 (ko) 결합구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및 이의 조립 방법
RU2521262C2 (ru) Систем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из двух панелей
KR100898652B1 (ko) 마루판과 잠금 시스템
JP3933578B2 (ja) 凹部と凸部を利用した合成樹脂床材
KR100566083B1 (ko) 조립식 바닥재
US4807416A (en) Tongue and groove profile
US20080216435A1 (en) Interlocking Member
KR100687592B1 (ko) 조립식 바닥재
US20210381256A1 (en) Panel for producing a free-lying floor covering
KR100477937B1 (ko) 요부와 철부를 이용한 합성수지 바닥재
JPH1144084A (ja) 床板材の敷設構造
KR200447269Y1 (ko) 마루 판자
KR930004840Y1 (ko) 건축용 블록
KR100572338B1 (ko) 조립식 바닥재
CN213868721U (zh) 地板块或墙面板
JPH0544440Y2 (ko)
EA044206B1 (ru) Половая панель и пол
EP1067252A2 (en) A process and means for laying tiles
JP3310560B2 (ja) 床材の接続構造
JP2002004551A (ja) 板材の接合部材及び板材の接合構造
JPH0617949Y2 (ja) 床 材
JPS61183557A (ja) 床構造
JPH0624521Y2 (ja) 直貼り床材
JPS62172115A (ja) 床暖房装置
KR101459209B1 (ko) 조립식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