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554B1 -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554B1
KR100475554B1 KR10-2002-0028859A KR20020028859A KR100475554B1 KR 100475554 B1 KR100475554 B1 KR 100475554B1 KR 20020028859 A KR20020028859 A KR 20020028859A KR 100475554 B1 KR100475554 B1 KR 10047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drainage
blower
fermentation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963A (ko
Inventor
강윤식
Original Assignee
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식 filed Critical 강윤식
Priority to KR10-2002-002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5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 등의 오수 및 노폐물을 질 좋은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조건인 급기와 배수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얻기 위한 것인 바,
발효실의 저면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송풍기와 급기관과 배기관이 연통 배관된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강제송풍기와 배기관 끝단에 장착된 전자개폐변과; 상기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작동 전 또는 일정시간 후에 배기관을 자동개폐하도록 중앙제어부를 구성함으로 써,
송풍기의 공기 누수를 최대한 억제시켜 발효실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이 편리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배수로의 개폐변을 자동적으로 일괄제어함으로 서, 체계적인 배수관리와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본 발명은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 등의 오수 및 노폐물을 질 좋은 퇴비로 생성하기 위한 조건인 급기와 배수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퇴비발효촉진실은 단지 공기를 강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기 장치를 바닥에 깔러 강압식으로 공기를 공급하였다.
또한, 출입구 반대편에 주관을 가로로 설치하고 주관으로부터 출입구를 향하여 세로로 수개의 산기관의 연통되어 있으며 산기관의 말단은 폐쇄되어 있고 산기관의 둘레에는 다수의 산기공이 천공된 구조이나 이러한 종류의 배관구성은 시멘트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로에 안착되며 배수로 사이사이의 돌출블럭에 의하여 외압으로부터 보호받도록 구성되고, 특히 바닦에 홀(Hole)을 뚫어 배관구성을 보호하도록 철망덮개를 구성하여 운반기계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였으나, 산기장치가 퇴비 및 분순물에 의해 통기구가 막히거나, 수분에 의한 통기구의 이끼 등의 잡이끼에 의해 산소가 소모되는 것은 물론 공기의 공급조건을 악화시키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용신안 등록제 0007029호의 퇴비발효실의 급기,배수장치는 발효실의 경사진 저면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송풍기와 급기주관, 산기관이 연통배관된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에 있어서, 배수로의 저면을 측면으로 경사지게 하고 직경이 산기관의 2배에 달하는 급기주관에 수개의 산기관을 세로로 설치하되 산기관의 말단에 가로로 강제배수관을 연통되게 결합하는 한편, 송풍기의 흡기구에 통풍량 조절용 댐퍼를 설치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은 배수로의 내부에 별도의 관을 구성하되 급기주관에 수개의 산기관을 세로로 설치된 구성과 말단에 별도의 강제배수관을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퇴비발효실에는 일정한 수분을 유지하고 또한 많은 량의 수분이 생성 및 공급되므로 저면으로 배수되는 많은 량의 침출수를 배출시켜야 되는 장치가 필요하나, 상기 퇴비발효실의 급기,배수장치는 급기주관과 연결된 산기관내의 수분을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그 외의 배수로에 쌓인 침출수를 처리하지 못하여 산기관의 통기를 막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퇴비발효실의 급기, 배수장치 및 기존의 급기, 배수장치는 그 내부에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고인 물 또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배출밸브를 일일이 열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수분, 침출수 등의 배출주기를 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는 수분이 많은 퇴비나 축산분뇨를 톱밥과 함께 혼합한 후 자연배수와 통풍발효 및 건조에 의하여 축산분뇨와 퇴비를 발효퇴비로 재생산시에 필요한 적정량의 필요공기공급과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퇴비발효실의 자동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급기와 완벽한 배수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하는 목적은 발효실의 저면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송풍기와 급기관과 배기관이 연통 배관된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강제송풍기와 배기관 끝단에 장착된 전자개폐변과; 상기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작동 전 또는 일정시간후에 배기관을 자동개폐 하도록 중앙제어부를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발효실의 저면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송풍기와 급기관과 배기관이 연통 배관된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에 있어서,
발효실의 저면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송풍기와 급기관과 배기관이 연통 배관된 통풍식 퇴비발효촉진장치에 있어서,
지붕이 있는 구조의 발효실(150)과; 상기 발효실의 저면에 구성된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강제송풍기(10)와 배기관 끝단에 장착된 전자개폐변(20)과; 상기 급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작동 전 또는 일정시간 후에 배기관을 자동개폐하도록 중앙제어부(10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발효실의 저면에 급기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급기 및 배수로를 발효실(200)의 저면에 "∪"형(60) 급기 및 배수로(40)를 형성하되 일측부는 급기로의 송풍기(1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급기로 겸 배수로의 구조를 ""으로 구성하고, 그 상부에 급기 및 배수로의 상부면을 구성 장착된 철빔구조(50)와; 상기 상부에 적층 구성된 덮개철망(30)을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발효실에 많은 량의 공기를 공급하여 통기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발효작용을 유발토록되어 양질의 우수한 퇴비를 얻을 수 있도록됨과 동절기에는 주위온도변화에 관계없이 미생물의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도록 하였다.
상기 중앙제어부는 다수의 송풍기(10)와 전자개폐변(20)을 일괄제어하도록 구성하되 처음 송풍기를 작동시에 전자개폐변을 열어주거나 작동후 일정한 시간 후에 배수관을 열어 주어 내부의 습기와 물을 자동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전자개폐변(20)은 마이콤 또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제어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퇴비 발효실은 개나 돼지 등을 기르는 영세 농가에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보급 및 농가의 노동량을 증가를 최소화하도록, 배수관에 자동 전자개폐변을 구성하여 중앙제어부에서 수동으로 자동 및 일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수분 및 침출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자동개폐변을 각각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배수로를 형성하되 ""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출구와 배출구가 한 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그 배수로의 내에 급기관을 구성하여 다수의 통기구를 형성하여 산기역활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급기관의 끝단에는 전자개폐변을 구성하여 자동으로 일괄제어 하도록 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은 상기 발효실(150)은 그 상단부에 흡입팬이 내장된 집진기(130)와, 상기 집진기와 연결 구성된 다지관(140)이 송풍기(10)의 흡입부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겨울이 긴 우리나라에서는 발효실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의 효율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발효실의 발생열과 태양열로 인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며 그 열이 상부에 존재하므로 상부의 더운 공기를 흡입팬이 장착된 집진기(130)를 장착하여 하부에 구성된 각각의 송풍기 흡입부에 다지관(140)을 연결하여 공급함으로써, 열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송풍팬의 흡입부에 공급되도록 발효실 상부에 집진기를 구성하고 상기 집진기에서 집진된 더운 공기를 송풍팬의 흡입부에 공급하도록 다지관(140)을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은 발효실에 충분한 공기와 배수가 이루어짐은 물론 중장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구조의 배수로를 구성하되 배수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전자개폐변을 구성하여 일괄적으로 자동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는 겨울에 사용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발효실의 상부 즉 천장부분의 더운공기를 쓸 수 있도록 흡입팬을 장착하였다.
예컨대,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색상, 재질 등은 얼마든지 치환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은 송풍기의 공기 누수(다지관)를 최대한 억제시켜 송풍기 한대에 직관을 연결하여 발효실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뛰어난 급기 및 배기의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로의 개폐변을 자동적으로 일괄제어함으로 서, 체계적인 배수관리와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농촌산업개발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도시한 급기 및 배수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풍기 20 : 자동개폐변
30 : 덮개철망 40 : 급기 및 배수로
50 : 철빔구조부 60 : "∪" 형
100 : 중앙제어부
130 : 집진기 140 : 다지관
150 : 발효실

Claims (3)

  1. 발효실의 저면에 배수로와 강제 송풍기와 급기관과 배기관이 연통 배관된 유기질 폐물을 퇴적시키는 고정 바닥판의 부근에 송풍관의 말단에 전자개폐변을 구성한 배기통풍 수단을 설치한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단부에 흡입팬이 내장된 집진기(130)와 연결 구성된 다지관(140)이 송풍기(10)의 흡입부에 연결 구성되도록 구성된 지붕이 있는 구조의 발효실(150)과; 상기 발효실의 저면에 "∪"형(60) 급기 및 배수로(40)를 형성하되 일측부는 급기로의 송풍기(1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급기로 겸 배수로의 구조로 연속 직관으로 배열된 형태의 ""으로 구성하고, 급기 및 배수로의 상부면으로 급기되도록 구성된 철빔구조(50)와 상기 철빔구조의 상부에 적층 구성된 덮개철망(30)으로 구성된 급기관과; 배수로 끝단에 전자개폐변(20)을 구성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작동 전 또는 일정시간 후에 배수로를 자동개폐하도록 중앙제어부(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2-0028859A 2002-05-24 2002-05-24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KR10047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59A KR100475554B1 (ko) 2002-05-24 2002-05-24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59A KR100475554B1 (ko) 2002-05-24 2002-05-24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62U Division KR200289142Y1 (ko) 2002-06-03 2002-06-03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63A KR20030090963A (ko) 2003-12-01
KR100475554B1 true KR100475554B1 (ko) 2005-03-16

Family

ID=3238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59A KR100475554B1 (ko) 2002-05-24 2002-05-24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96B1 (ko) 2007-04-13 2008-09-08 김영진 침출수의 배출이 가능한 컴포스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3983A (en) * 1976-12-14 1978-06-30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JPS5596137A (en) * 1979-01-17 1980-07-22 Olympus Optical Co Film cassette for endoscope
JPH07184635A (ja) * 1993-12-27 1995-07-25 Niigata Eng Co Ltd 有機質廃物の発酵方法および発酵装置
KR19980015665U (ko) * 1996-09-11 1998-06-25 현미자 퇴비발효실 송풍관의 막힘방지장치
KR20030065768A (ko) * 2002-01-31 2003-08-09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교반식 발효조의 급기 겸용 침출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3983A (en) * 1976-12-14 1978-06-30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JPS5596137A (en) * 1979-01-17 1980-07-22 Olympus Optical Co Film cassette for endoscope
JPH07184635A (ja) * 1993-12-27 1995-07-25 Niigata Eng Co Ltd 有機質廃物の発酵方法および発酵装置
KR19980015665U (ko) * 1996-09-11 1998-06-25 현미자 퇴비발효실 송풍관의 막힘방지장치
KR20030065768A (ko) * 2002-01-31 2003-08-09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교반식 발효조의 급기 겸용 침출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96B1 (ko) 2007-04-13 2008-09-08 김영진 침출수의 배출이 가능한 컴포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63A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7701B (zh) 一种堆肥的堆垛通风、废气和渗滤液收集的系统和方法
CN102986541B (zh) 带气垫层的可控养殖发酵床的建立方法及其发酵床
CN101629777A (zh) 太阳能辅助热泵就仓干燥处理装置
CN208402868U (zh) 一种土鸡饲养用的降温装置
KR20080088376A (ko) 지열과 지습을 이용한 공조순환장치
KR20070028508A (ko) 지중온과 우수활용장치
CN109678576A (zh) 一种连续好氧堆肥装置
KR100475554B1 (ko)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KR200289142Y1 (ko) 퇴비발효실의 자동 급기 및 배수 시스템
CN107522380A (zh) 污泥干化机系统
KR100852429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발효교반실과 축사의 악취가스제거장치
CN110734307A (zh) 一种玻璃顶易腐烂有机垃圾阳光堆肥设备
CN215327822U (zh) 一种用于有机固废肥热联产的料堆通风取热一体化装置
CN202680177U (zh) 架空式带气垫层可控养殖发酵床
CN210641856U (zh) 一种猪舍全自动地沟通风系统
CN213343832U (zh) 一种养殖场的内设式通风装置
CN210929043U (zh) 养殖舍空调系统
CN210915855U (zh) 一种玻璃顶易腐烂有机垃圾阳光堆肥设备
CN208250184U (zh) 用于污泥堆肥工程的环保节能型通风系统
JP3975293B2 (ja) 生ごみの処理システム
CN112385549A (zh) 一种用于生猪和种猪健康养殖的环保型节能猪舍
CN208273829U (zh) 一种应用于养殖场的水帘降温系统
KR100302120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CN112042544A (zh) 一种养殖场内空间的空气净化系统
CN215559973U (zh) 覆膜堆肥用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