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465B1 -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465B1
KR100475465B1 KR1020040010762A KR20040010762A KR100475465B1 KR 100475465 B1 KR100475465 B1 KR 100475465B1 KR 1020040010762 A KR1020040010762 A KR 1020040010762A KR 20040010762 A KR20040010762 A KR 20040010762A KR 100475465 B1 KR100475465 B1 KR 10047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centration
sludge
neutraliza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구
Original Assignee
(주)동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기계 filed Critical (주)동양기계
Priority to KR102004001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 폐수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유입조, 중화반응조, 침전조로 구성되고, 화학약품으로는 소석회만을 사용하며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침전 슬러지(sludge)는 중화반응조로 반송하여 유입수와 혼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ACIDIC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BY MEANS OF SLUDGE FEEDBACK}
휴·폐광의 갱내 산성폐수(Acid Mine Drainage, AMD)는 주변의 암석층을 통과하면서 중금속을 용출함과 동시에 황산염과 같은 유해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주변 수계를 황갈색 침전물로 오염시켜 외관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 파괴, 상수원 및 지하수 오염, 지역 주민의 건강을 해치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 일부 폐광지역에서는 자연정화 공법으로, 가행 탄광에서는 수산화나트륨과 응집제를 첨가하여 갱내 산성폐수를 처리하고 있으나, 황산이온과 중금속 등의 제거효율에 문제점이 있고, 약품 가격이 고가이므로 처리 비용에도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휴·폐광지에서 발생된 산성폐수는 주변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 바닥에 적갈색 침전물과 백화현상을 유발하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갱내 산성폐수는 철(Fe),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망간(Mn), 황산염이온(SO4 -2) 등이 일반 지역의 지표수나 지하수에 비해 고농도이며, 이들 이온종들이 유입된 하천수는 탁도 뿐만 아니라, 적갈색 및 흰색의 침전물이 하천 외벽과 하상에 생성되어 자연경관을 훼손시킨다
산성의 갱내수가 유입되는 하천 상류는 수소이온농도(pH)가 3∼6 정도 되는데, 갱내수가 하천에 유입되면 산도가 증가하고 탁도의 발생으로 하천 생태계의 파괴와 동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받는다. 수소이온농도가 4 이하에서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물고기와 미생물의 생존이 어렵고, 하천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부식시키는 등 사회간접자본을 잠식하여 시설관리 유지비가 많이 든다.
강산성의 갱내수가 하천에 유입되면 주변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하천수를 농업 및 공업용수로 활용하기 어렵고, 하천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한 정수장에서도 정수처리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자연경관 잠식으로 관광객 유치에도 악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휴·폐광지의 갱내 유출수 처리는 중요하다.
갱내 산성폐수(Acid Mine Drainage; AMD)는 황화광물이 존재하여 공기 및 물에 노출될 경우에 어느 곳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AMD를 적절하게 처리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발생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효율적, 경제적 및 장기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수백개에 달하는 국내의 휴·폐광산에서 발생하는 AMD는 그 자체가 갖는 낮은 수소이온농도(pH)와 높은 철, 알루미늄 그리고 황산염의 농도로 인해 심각한 주변 오염을 야기하고 있어 이의 처리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발표되었다.
AMD의 처리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인위적인 물리화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적극적 처리방식(Active Treatment)과 자연적인 정화를 이용하는 소극적 처리방식(Passive Treatment)으로 나눌 수 있다.
적극적인 처리방식은 화공약품(중화제, 응집제)과 기계력을 사용하여 정화하는 기술로서 정화 효율성은 우수하나, 동력/인력/화공약품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며, 처리공정(집수조, 혼합조, 응집조, 침강조 및 여과조 등)이 필요하다.
소극적 처리방식은 화학물질의 첨가나 운영비 및 유지비가 필요하지 않고, 다만 토지 수용비 정도가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적극적 처리방식에 비해 오염물질의 제거 속도가 느린 편이며 처리 시간이 길고 오염물질의 방류 수준에 따라 토지사용 면적이 커질 수 있는 등 정화효율성 및 지속성이 불투명하다.
다음 표1은 AMD의 처리 방법과 장단점을 비교한 것이다.
AMD처리 방법과 장단점 비교
정화방법 정화대상/기능 장 점 단 점 적용가능 비 고
물리화학적 처리 산도, Fe, Mn,Al 등 제거 정화효율우수함 지속적인운영비 소요 가행 탄광 동력/인력소요
ALD(AnoxicLimestoneDrainage) 산도 제거(알카리도 증가) 유지관리비저렴 보조 수단 휴·폐광 유지관리비용 최소
인(P)함유물질(인회석) Fe 제거 유지관리비저렴 철 등 일부성분 제거,산성수중화필요 휴·폐광
갱구 밀폐(산소차단) 산화방지 시공 간편,폐수유출량감소 산성배수발생 억제불확실,기술적 어려움 휴·폐광
소택지 산도, Fe, Mn,Al 등 제거 유지관리비저렴 정화효율불확실, 토지소요량 과다 휴·폐광
근래 외국에서는 Oxic Limestone Drains, Anoxic Limestone Drains, Diversion Well,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tion System) 및 장기적인 자연 정화식 처리인 소택지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 등의 일부 폐탄광을 대상으로 소택지를 이용한 자연적화 처리법에 의한 AMD를 처리하고 있으나, 각 지역의 지형, AMD의 수질 성상, 유출량 등이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설치된 처리공정이 큰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이 정선의 동원탄좌, 태백의 성원탄좌 등에 소택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공법으로 갱내 산성폐수 처리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 자연정화 공법은 철 성분이 자연상에서 산화되여 생성된 적갈색 침전물 등은 유량이 적은 갈수기 때에 소택지 유출수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으나, 황산이온과 중금속 등의 제거 효율에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갱내수의 유량이 많을 때에는 처리에 문제점이 많다.
이외에도 태백 석공 금천갱과 삼척 도계 흥전갱은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산성 갱내수를 중화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 처리된 방류수에서 황산이온과 중금속 등의 농도가 높고, 특히 수산화나트륨의 가격이 비싸서 처리비용에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석회[Ca(OH)2]를 처리약품으로 사용하여 원수유입조, 중화반응조, 침전조의 3단계 시설만으로 갱내 산성폐수를 처리하고, 처리된 침전 슬러지를 중화조로 반송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약품비의 절감 및 슬러지의 함수율 감소, 시설 운영비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지는 산성폐수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유입조, 중화반응조, 침전조의 3단계 처리 공법으로서, 화학약품으로는 소석회만을 사용하고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침전 슬러지(sludge)는 중화반응조로 반송하여 유입수와 혼합 처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중화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말하나, pH7로 한다는 의미보다는 pH조정의 의미를 띤다. 산성폐수는 광산의 갱내수, 제련소, 금속표면처리공장 등의 폐수이고, 알칼리성 폐수는 제지공장, 피혁공장, 석유정제공장 등의 폐수가 있다. 폐수의 중화를 위해 중화제를 사용하며, 중화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용, 중화능력, 중화속도, 중화생성물의 저장 및 처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산성폐수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석회석층(limestone bed)을 통과시키거나 Ca(OH)2, NaOH 및 Na2CO3 등을 첨가함으로써 중화시킬 수 있다. 석회석층을 통과시킬 때는 일반적으로 상향류 상태를 유지한다. 석회석층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중화시킬 때에는 H2SO4의 함유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H2SO4의 함유율이 0.6% 이상인 폐수에서는 CaSO4가 생성되어 침전되므로 효과적인 중화를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경우로 Al3+, Fe3+와 같은 금속이온이 많이 존재하는 폐수의 경우에서도 수산화물 침전이 생성되어 중화능력을 저감시킨다. 일반적으로 산성인 폐수에 금속이온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알칼리 중화제를 가하면 금속의 수산화물이 형성되어 침전이 일어난다.
중화처리로 금속이온을 제거하는데는 필요한 최적의 pH조건이 있으며, 특히 Al, Zn, Cr 등은 pH가 높아지면 수산화물 침전이 재용해 되는 성질이 있어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성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기술을 수처리 공정으로 구현한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소석회 용해설비(1)는 소석회를 용해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용해설비에서 용해된 소석회는 약액주입 펌프(2)를 통하여 약품탱크(3)로 이송된다. 약품탱크(3)에는 소석회 용액 외에도 희석액(4)이 유입되며 이 두 용액은 교반기(5)로 교반되어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때 소석회 용액과 희석액의 혼합 비율은 공정상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대로 조절 한다. 희석액과 혼합된 소석회 용액은 약액주입펌프(6)를 통하여 중화반응조(7)로 유입된다.
처리 대상 산성폐수는 일차적으로 원수유입조(8)에 포집된 후 원수펌프(9)를 통하여 중화반응조(7)로 이송된다. 중화반응조(7)는 용해된 소석회가 산성폐수와 반응하는 곳이며 교반기(10)가 구비되어 있다.
중화반응조(7)를 거친 산성폐수는 침전조(11)에서 침전처리된다. 침전조(11)에서는 슬러지가 발생되며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펌프(12)를 통하여 슬러지 저장탱크(13)로 이송되고 일부는 중화반응조(7)로 반송된다. 슬러지의 반송은 소석회를 재활용하는 의미가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슬러지가 침전된 산성폐수는 처리수(14)로서 하천에 방류된다.
본 발명의 산성 폐수 처리 공정은 수산화나트륨(NaOH)과 응집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처리 방법에 비하여 매우 저렴하게 운영가능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이 가격이 저렴한 소석회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이로써 다른 화학적 처리방법에 대비하여 유지관리비와 시설비를 각각 30% 정도 절감 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시설의 단순하여 인하여 인건비도 적게 소요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처리 대상 산성 폐수의 성상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갱내 폐수의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각 오염원의 농도는 8회씩 측정하여 그 평균 값으로 표시하였다.
산성폐수에 존재하는 오염원의 농도
pH COD SS Mn Fe Al Cu Zn SO4 -2 Cr Cd As Ni Pb
평균 3.02 25.75 62.09 6.89 156.72 31.29 0.19 1.24 1178.9 0.010 0.036 ND 0.65 ND
[실시예2] 소석회 용액 투입량에 따른 중화반응조의 수소이온 농도 변화
산성폐수(AMD)를 원수유입조에 저장하고 수중 유량펌프(pump)을 이용하여 중화반응조에 공급하였다. 도 3은 이때 중화반응조의 pH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에 약품투입량은 0.450g/L이고 pH11.0일 때의 약품투입량은 0.800g/L 임을 알 수 있다. pH8.0까지는 투입량이 0.475g/L로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pH8.5부터 0.510g/L약품투입량이 매우 증가하였다. 또한, 소석회 주입율이 0.550g/L,일 때 pH9.0이었으며, pH9.5∼11.0까지 소석회 주입율이 상승하였다.
[실시예 3] 중화반응조의 pH에 따른 산성 폐수 처리 효율
중화반응조에서 수소이온농도(pH)를 7.0∼11.0까지 0.5단위로 변화 시키면서 약품을 투입하고, 급속교반(180rpm)과 완속교반(90rpm)을 약 15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침전조 설계 체류시간인 약 4시간 경과 후 침전조 상등수(배출수)를 채수하여 부유물질, 마그네슘, 망간, 철, 황산염 등을 분석하였다.
도 4는 중화반응조에서 pH변화에 따른 침전조 배출수의 부유물질농도(SS)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때 배출수의 SS는 30.0mg/L이고, pH가 8.5일때 SS는 20.0mg/L로 약품투입량의 증가에 따라 배출수의 SS도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pH9.0부터 pH10.0에서는 각각 23.0mg/L∼30.0mg/L로 점점 높게 나타났으며, pH10.5에서는 32mg/L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9.0이하에서는 갱내 폐수 중에 용존된 이온성분이 수산화물 형태로 침전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pH 9.0이상에서는 약간의 미세 floc이 부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5는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의 마그네슘(Mg)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pH 7.0에서 62.87mg/L이고 pH 10.5에서 8.21mg/L로 pH가 높아질수록 마그네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이는 pH 조절용 소석회의 마그네슘 활성 반응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망간(Mn)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배출수의 Mn 농도는 5.12mg/L이고, pH가 10.5까지 Mn 농도가 0.13mg/L으로 배출수의 Mn 농도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pH가 8.0에서 1.40mg/L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치 "청정지역" 기준치 값 2.0mg/L 이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중금속류의 pH에 따른 Mn의 용해도적을 보면 pH8.0이상의 알칼리에서 급격히 Mn 농도가 감소하는데,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철(Fe)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배출수의 Fe는 36.81mg/L로 나타났으며, pH가 7.5이상에서는 4.17mg/L부터 pH 9.0일 때 1.12mg/L로 낮아졌다. pH 9.5일 때에 2.53mg/L로 나타났으며, pH 10.5일 때에 3.82mg/L로 점점 농도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핵심 제어목표인 철 농도가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치 "청정지역" 기준치 값 2.0mg/L이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pH가 8.0∼9.0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8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황산염이온( SO4 -2)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배출수의 SO4 -2 농도는 1.177mg/L이고, pH10.5일 때 배출수의 SO4 -2 농도는 1093mg/L이다. SO4 -2 농도는 약품주입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로 낮아지고 있으나, 소석회의 주입으로 인하여 황산염이온( SO4 -2 )이 Ca+2과 반응하여 CaSO4로 침전되면서 황산염이온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큰 영향이 없었다. 이것은 반응조건(수온, 이온친화력)에도 약간은 원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상수도 원수는 대부분 하천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수도에서 SO4 -2의 정수기준치가 200mg/L이하이기 때문에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상수처리에서 SO4 -2를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실시예 4] 반송률에 따른 산성 폐수 처리 효율
슬러지를 유입원수 대비 각각 10%, 30%, 50%의 반송율로 중화반응조로 반송하였으며, 반송슬러지의 농도는 60,000mg/L∼70,000mg/L이다. 침전조에서 약 6시간동안 체류 후 배출 방류수 중의 오염물질(SS, Fe, Mn, SO4 -2)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결과 중화반응조에서 pH가 8.0∼9.0을 유지될 때 철의 청정지역 배출허용 기준치 2.0mg/L이하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pH 7.0∼9.5 까지만 분석하였다. 또한 반송비율이 50%가 넘으면 반송설비의 동력비용이 과다해져 경제성이 떨어졌다.
도 9는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 상등수의 부유물질(SS)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반송율 10%, 20%, 30%에서 배출수의 SS는 각각 26.7mg/L, 45mg/L 및 22mg/L이고, pH8.5에서 배출수 SS가 9mg/L, 5mg/L, 10mg/L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 부근에서 이온성 물질과 중화약품 의한 화합물 형성으로 floc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침전조에서 침강속도가 빨라서 부유물질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pH 9.0 이상에서 배출수의 SS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반송된 슬러지가 침전조에서 이미 형성된 floc이 파괴되어 부유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은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 상등수의 철(Fe)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반송율 10%, 20%, 30%에서 각각 배출수의 Fe은 60.12mg/L, 55.72mg/L 및 51.89mg/L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 pH 8.0부터는 2.34mg/L, 1.50mg/L 및 1.68mg/L로 현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30% 반송율은 pH 9.0까지 철농도가 감소하다가 pH 9.5에서 다시 상승하였다. 또한 반송율 10%와 50%는 pH 8.5이상에서는 철농도가 계속 상승하였다. 철농도의 상승 원인은 철이온이 1차 석회석에 의해서 응결되여 침전된 슬러지가 반송과 혼화과정에서 응결이 파괴되어 농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 결과 중화반응조에서 pH가 8.0∼9.0에서 철의 청정지역 배출허용기준치 2.0mg/L이하를 유지하기 때문에 반송에 의하여 pH가 8.0이하에서 철농도가 2.0mg/L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반송에 의한 제거효율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가지역” 기준치 값 10.0mg/L은 pH가 7.5 정도에서도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1은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 상등수 망간(Mn)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 7.0일 때 반송율 10%, 20%, 30%에서 각각 배출수의 Mn 농도는 8.35mg/L, 6.33mg/L 및 7.87mg/L로 나타났으며, pH 8.0에서는 0.55mg/L, 0.48mg/L 및 1.08mg/L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Mn의 경우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이 2.0mg/L로 pH 8.0 이상에서는 반송율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2는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수의 황산염이온(SO4 -2)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화반응조 pH가 7.0일 때 반송율 10%, 20%, 30%에서 각각 배출수의 SO4-2 농도는 1,185mg/L, 1,235mg/L 및 1,248mg/L으로 나타났으며, pH 9.5일 때에는 각각 1,179.5mg/L, 1,188mg/L, 1,162.5mg/L로 미소하게나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SO4 -2이 중화약품 의한 화합물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초기 소석회 주입으로 급속교반에서는 CaSO4 상태가 약간 형성되었다가 시간이 경과되고 반송으로 인하여 응결 상태가 파괴되어서 침전조에 유입되기 때문에 배출수의 SO4 -2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3 ∼ 도 16은 30% 반송시와 반송 전의 농도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13은 pH에 따른 수소이온농도, 도 14는 pH에 따른 철농도, 도 15는 pH에 따른 망간농도 및 도 16은 pH에 따른 황산염이온의 농도를 분석한 그림으로 이때의 유량은 13m3/day로 분석하였다.
수소이온농도의 변화는 pH 8.00∼pH 8.93까지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철농도는 pH 7.5에서 8.67mg/L로 나타났고, pH 8.0에서 1.5mg/L로 높게 나타났으며 pH 8.5에서 1.29mg/L로 제일 낮게 났는데, 이는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에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망간의 농도는 pH 9.5에서 0.25mg/L로 제일 낮게 나타났으며, pH 가 상승하면서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배출허용기준치의 이하를 보이고 있다. 황산염이온은 약품투입량을 증가할수록 농도가 1235mg/L에서 1188mg/L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반송전보다 황산염이온의 농도가 상승하였다. 이는 슬러지를 반송함으로써 황산염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7은 pH 8.5, 반송율 30%일 때의 제거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pH 8.5, 30% 반송일 때 COD는 2.0mg/L, Mn은 0.52mg/L, Fe는 1.29mg/L, SO4-2는 1189.5mg/L로 조사되었으며, 이 때에 제거효율은 COD : 92.2%, Mn : 92.45%, Fe : 99.17%, SO4 -2 : -0.89%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반응 체류 시간 별 수질
갱내산성폐수를 1시간 간격으로 4시간∼10시간 체류시간을 변화하여, 상등수를 실험하여 pH, 마그네슘, 망간, 철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때 유량의 변동으로 체류시간을 조정하였다.
도 18은 침전조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상등수의 pH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등수의 pH 변화는 pH 7.8 ∼ 8.48까지로 체류시간 10시간일 때도 비교적 높았지만 체류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도 19는 침전조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상등수의 마그네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등수의 마그네슘 농도는 52.16mg/L ∼ 19.77mg/L까지로 체류시간이 경과되면서 마그네슘 농도가 점점 낮아졌다.
도 20은 침전조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상등수의 망간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등수의 망간농도는 체류시간 10시간까지 4.23mg/L ∼ 0.18mg/L로 점점 낮아졌다.
도 21은 침전조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상등수의 철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침전조 체류시간에 따른 철의 농도변화는 4시간에서 10시간까지 8,23mg/L ∼ 0.89mg/L로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에서 목표수질로 한 철의 농도 2.0mg/L에 비교할 때, 상등수는 6시간 이상이면 목표수질에 만족하였다.
[실시예 6] 황산염 이온의 제거
본 발명에서 화학적 처리법으로 소석회만을 사용했을 때 황산염이온은 소석회와 반응하여 석고(CaSO4)로 침전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수질 분석 결과 황산염이온의 제거효율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슬러지 반송으로 인하여 황산염이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D의 황산염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 처리 약품인 소석회와 BaCl2, Ba(NO3)2의 약품을 첨가하여 처리한 후에 황산염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2에 나타냈다.
BaCl2는 AMD에서 황산염이온과 반응하여 황산바륨(BaSO4)으로 안정한 침전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황산염이온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황산염이온의 제거에는 BaCl2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나, 바륨은 유독성 물질이기 때문에 황산염이온 이외의 사용에는 매우 주의해야만 한다. 또한 하천에 황산염이온은 200mg/L이하 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황산염이온 제거에 BaCl2가 과부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운전 경과일수에 따른 슬러지농도 측정
본 발명에서 슬러지 반송을 실시할 때의 농도는 매우 중요하다. 슬러지 생성은 AMD의 용존성분, 성분농도, 침전물량, 약품투입량, 반응시간, pH 등에 영향을 받는다. 도 23은 운전 경과일수에 따른 반송슬러지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경과일수 5일째의 반송슬러지 농도는 13,500mg/L이고, 경과일수 11일에서의 반송슬러지 농도는 34,100mg/L이다. 또한 경과일수 29일까지 77,500mg/L이다.
본 발명의 실시 결과 폐광에서 배출되는 폐수 속 오염원의 절대 농도를 감소시켜 방출할 수 있었으며, 침전 슬러지를 중화조로 반송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약품비의 절감 및 슬러지의 함수율 감소, 시설 운영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었다.
도 1은 산성 폐수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수처리 방법의 상세 공정도
도 3은 약품투입량에 따른 중화반응조 pH 변화
도 4는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부유물질 농도 변화
도 5는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마그네슘 농도 변화
도 6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망간 농도 변화
도 7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철 농도 변화
도 8은 중화반응조 pH 변화에 따른 배출 상등수 황산염 이온 농도 변화
도 9는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수의 부유물질 농도 변화
도 10은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수의 철 농도 변화
도 11은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수의 망간 농도 변화
도 12는 반송율별 중화반응조 pH에 따른 배출수 황산염이온 농도의 변화
도 13은 30% 반송시 반응조 pH에 따른 유출수 pH의 변화
도 14는 30% 반송시 pH에 따른 철 농도의 변화
도 15는 30% 반송시 pH에 따른 망간 농도의 변화
도 16은 30% 반송시 pH에 따른 황산염이온 농도의 변화
도 17은 제거효율(pH 8.5, 30% 반송)
도 18은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pH 변화
도 19는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마그네슘의 농도 변화
도 20은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망간의 농도 변화
도 21은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철의 농도 변화
도 22는 바륨염투입량에 따른 황산염이온 농도변화
도 23은 경과일수에 따른 반송슬러지 농도변화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 : 소석회 용해설비, 2 : 약액주입 펌프, 3 : 약품탱크,
4 : 희석액, 5 : 교반기, 6 : 약액주입펌프,
7 : 중화반응조, 8 : 원수유입조, 9 : 원수펌프,
10 : 교반기, 11 : 침전조, 12 : 슬러지펌프,
13 : 슬러지저장탱크, 14 : 처리수

Claims (6)

  1. 중화반응조(7), 원수유입조(8), 침전조(11)로 구성되며, 중화반응조(7)에 산성폐수를 중화시키는 약품을 투입하여 처리하는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성폐수를 중화시키는 약품이 바륨염 또는 소석회용해설비(1)에서 소석회를 미리 용해된 상태로 중화반응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침전조(11)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침전 슬러지를 중화반응조로, 슬러지 반송률 10% 내지 50%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40010762A 2004-02-18 2004-02-18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KR10047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62A KR100475465B1 (ko) 2004-02-18 2004-02-18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62A KR100475465B1 (ko) 2004-02-18 2004-02-18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465B1 true KR100475465B1 (ko) 2005-03-14

Family

ID=3722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762A KR100475465B1 (ko) 2004-02-18 2004-02-18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9283A (zh) * 2021-04-28 2021-07-23 张秋梅 一种矿山化验室用化学废液处理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9283A (zh) * 2021-04-28 2021-07-23 张秋梅 一种矿山化验室用化学废液处理池
CN113149283B (zh) * 2021-04-28 2022-11-08 张秋梅 一种矿山化验室用化学废液处理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909B2 (en) Method of treating mine drainage
Semerjian et al. High-pH–magnesium coagulation–floccul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US20170190600A1 (en) Chemical treatment process of sewage water
KR20120088224A (ko) 오존산화와 슬러지 반송에 의한 광산배수 처리 시스템
KR101278230B1 (ko) 급속 응집ㆍ응결 침강제를 이용한 오폐수 중의 총인/총질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5314629A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drinking water
US4606829A (en) Removal of complexed zinc-cyanide from wastewater with improved sludge stability
KR100968272B1 (ko) 광산폐수 처리장치
Kuyucak Mining, the environment and the treatment of mine effluents
US4543189A (en) Removal of complexed zinc-cyanide from wastewater
KR100332674B1 (ko) 생물학적 공정에 의한 중금속 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US20170260066A1 (en) Struvite formation by precipitation of ammonia in electrocoagulation process
CN102139973A (zh) 一种利用共沉淀法处理微污染和富营养化水体的方法
KR100475465B1 (ko)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방법
KR200357173Y1 (ko) 산성 폐수 고농도 반송 처리 장치
CN109761446A (zh) 一种危废处置中心综合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KR101898801B1 (ko) 고농도 망간을 포함하는 광산배수의 자연정화 처리시스템
Maree et al. Underground neutralisation of mine water with limestone
Elkarrach et al. Combin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tannery effluent of Fez city in Morocco
CN104478166B (zh) 一种皮革废水中含硫废水的处理工艺与处理系统
Thomas Phosphate removal by recirculating iron sludge
US20050077251A1 (en) Method for control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odors
KR0184385B1 (ko) 오폐수로부터 중금속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3849B1 (ko) 자력에 의한 철과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Zaman et al. Pharmaceutical waste water treatment and the efficiency of ETP in context of Banglade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