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102B1 -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102B1
KR100475102B1 KR10-2001-0078706A KR20010078706A KR100475102B1 KR 100475102 B1 KR100475102 B1 KR 100475102B1 KR 20010078706 A KR20010078706 A KR 20010078706A KR 100475102 B1 KR100475102 B1 KR 10047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opening
polyurethane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722A (ko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10-2001-007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1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41Clamping devices using means for straddling or interconnecting the mould halves, e.g. jaws, straps, l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금형의 형개 시간을 다르게 한 사출 금형 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개장치를 몰드의 외부 측면에 고정 설치하여 몰드를 일일이 열지 않고서도 관련 부품 교환 등의 유지보수 용이는 물론 금형의 내부 설계 폭을 확대 시킬 수 있도록 한 사출 금형 형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몰드를 구성하는 고정측 플레이트(100)와,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의 시차적인 형 개폐를 돕기 위한 형개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플레이트(100)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30)로 조립 고정되고, 폴리우레탄(12)이 구비된 인장봉(11)이 너트(13)로 체결 고정되는 형개용 상판(10); 및 상기 형개용 상판(10)과 대응되게 상기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30)로 조립 고정되고, 상기 인장봉(11)의 폴리우레탄(12)이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빠지도록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삽입공(21)이 관통 형성된 형개용 하판(20)을 포함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omitted}
본 발명은 사출 금형의 형개 시간을 다르게 한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개장치를 몰드의 외부 측면에 고정 설치하여 몰드를 일일이 열지 않고서도 관련 부품 교환 등의 유지보수 용이는 물론 금형의 내부 설계 폭을 확대 시킬 수 있도록 한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선행 기술들로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1-9835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11050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7-20972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12876호 등이 있다.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 중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1-9835호의 경우, 그 특징은 상 고정판과 인장부시 사이, 그리고 인장봉의 하단에도 우레탄 와셔를 설치하는 등의 기술적 사상을 갖고 있으나, 상기한 것은 금형의 내부에 장치되는 것인 바, 내구성 등에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의 형 개폐를 시차적으로 돕기 위한 형개장치를 몰드의 내부가 아니라 외부 측면에 고정 설치하여 종래 형개장치가 금형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 가능하도록 한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개장치는, 몰드를 구성하는 고정측 플레이트와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의 시차적인 형 개폐를 돕기 위한 형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플레이트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로 조립 고정되고, 폴리우레탄이 구비된 인장봉이 너트로 체결 고정되는 형개용 상판; 및 상기 형개용 상판과 대응되게 상기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로 조립 고정되고, 상기 인장봉의 폴리우레탄이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빠지도록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형개용 하판으로 이루어진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1 및 도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개장치(1)는 몰드의 외부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형개용 상판(10) 및 형개용 하판(20)을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한 형개용 상판(10)은 그 내부로 구멍을 뚫어 폴리우레탄(12)을 장착한 인장봉(11)을 삽입하고, 그 상단을 너트(13)로서 체결한 것이며, 상기한 형개용 하판(20)으로는 상기 형개용 상판(10)의 인장봉(11)에 구비된 폴리우레탄(12)이 탄성적으로 삽설 조작되는 폴리우레탄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형개용 상판(10) 및 형개용 하판(20)에는 그 형개용 상판(10) 및 형개용 하판(20)을 몰드의 외부 측면에 볼트(30)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14,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은 상태가 일 실시 예인데, 상기한 상태에서 사출성형기의 작동에 의해 형개가 되면, 1차로 고정측 플레이트(100)가 열리는 과정에서 인장봉(11)에 의해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가 함께 열리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는 고정측 플레이트(100)에 의해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와 주 가동측 플레이트(102)의 사이가 일정 간극 열리게 하는 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형폐가 되면 고정측 플레이트(100)가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에 접촉됨과 동시에 고정측 플레이트(100)에 고정 설치된 형개용 상판(10)의 인장봉(11)에 구비된 폴리우레탄(12)이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에 고정 설치된 형개용 하판(20)으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삽입공(21)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가 주 가동측 플레이트(102)에 닿아 완벽한 형폐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장봉(11)의 폴리우레탄(12)이 폴리우레탄 삽입공(21)에 삽입되는 것이 헐겁게 되면 인장봉(11)의 상단에 있는 너트(13)를 조이게 되면 폴리우레탄(12)의 외주가 부풀어 올라와 그 외경이 커지게되기 때문에 형개용 하판(20)의 폴리우레탄 삽입공(21)에 대한 헐거움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인장봉(11)은 그 길이를 자유스럽게 하여 다양한 플레이트를 당기고 밀어 형 개폐를 시킬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형개용상판(10) 및 형개용 하판(20)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들 형개용 상 하판(10,20)이 설치되는 몰드, 예컨대 고정측 플레이트(100)나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의 외부 측면에 용이하게 조립 고정되고, 그 설치 견고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몰드의 측면에 홈을 파고, 그 홈에 형개용 상 하판(10,20)의 단부의 일부가 삽입되게 한 후 볼트(30)로서 각각 체결하면 그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형개장치가 몰드의 외부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형개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몰드를 일일이 열지 않고서도 관련 장치 부품의 교환 등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개장치가 몰드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금형의 내부 설계 폭이 넓어진다는 특징도 아울러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개 장치의 분리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형개 장치의 조립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개 장치가 몰드의 외부 측면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조립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개장치 10 : 형개용 상판 11 : 인장봉
12 : 폴리우레탄 13 : 너트 14.22 : 구멍
20 : 형개용 하판 21 : 폴리우레탄 삽입공 30 : 볼트

Claims (6)

  1. 몰드를 구성하는 고정측 플레이트(100)와,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의 시차적인 형 개폐를 돕기 위한 형개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플레이트(100)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30)로 조립 고정되고, 폴리우레탄(12)이 구비된 인장봉(11)이 너트(13)로 체결 고정되는 형개용 상판(10); 및
    상기 형개용 상판(10)과 대응되게 상기 중간 가동측 플레이트(101)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볼트(30)로 조립 고정되고, 상기 인장봉(11)의 폴리우레탄(12)이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빠지도록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삽입공(21)이 관통 형성된 형개용 하판(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개용 상판(10)의 인장봉(11)에 구비된 폴리우레탄(12)은 그 상단의 너트(13)를 풀고 죄는 것에 의해 그 외경이 차이가 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KR10-2001-0078706A 2001-12-06 2001-12-06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KR10047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706A KR100475102B1 (ko) 2001-12-06 2001-12-06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706A KR100475102B1 (ko) 2001-12-06 2001-12-06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722A KR20020023722A (ko) 2002-03-29
KR100475102B1 true KR100475102B1 (ko) 2005-03-10

Family

ID=197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706A KR100475102B1 (ko) 2001-12-06 2001-12-06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10A (ko) 2018-11-23 2020-06-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 형개 위치 보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6Y1 (ko) * 1987-10-13 1990-06-28 제일정공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형판 개폐용 클램프 장치
JPH0574820U (ja) * 1992-03-13 1993-10-12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ダイプレートの取付構造
KR0119923Y1 (ko) * 1994-12-13 1998-07-15 김광호 사출금형
JPH11320635A (ja) * 1998-05-15 1999-11-24 Taichi Fuji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の中間ロック装置
JP2000043109A (ja) * 1998-07-31 2000-02-15 Taichi Fuji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の中間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6Y1 (ko) * 1987-10-13 1990-06-28 제일정공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형판 개폐용 클램프 장치
JPH0574820U (ja) * 1992-03-13 1993-10-12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ダイプレートの取付構造
KR0119923Y1 (ko) * 1994-12-13 1998-07-15 김광호 사출금형
JPH11320635A (ja) * 1998-05-15 1999-11-24 Taichi Fuji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の中間ロック装置
JP2000043109A (ja) * 1998-07-31 2000-02-15 Taichi Fuji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の中間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722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102B1 (ko) 사출 금형의 형개장치
WO2002016712A3 (en) Cylinder lock
KR940004171A (ko) 데드볼트용 유니버설 어댑터
KR20040291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US6494300B1 (en) Method for making friction damper for linen washing machine, and the friction damper made thereby
EP1031733A3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n actuator and a base
EP0799926B1 (en) Subjection system for washing machine counterweight
KR960009255Y1 (ko) 사출성형금형의 교환 코어착탈장치
KR200202611Y1 (ko) 도어용 힌지장치의 힌지축 체결장치
KR200208524Y1 (ko) 배전반 도어 경첩
KR0137704Y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의 쇄정장치
KR970020385A (ko) 보스형상의 코어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사출금형
KR960006736Y1 (ko) 도어록용 고정플레이트
KR200227853Y1 (ko) 에어필터용 가스켓 금형장치
KR200152565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920008471Y1 (ko) 샷터문의 권취로울러
KR20030005572A (ko) 세탁기의 케이스 구조
KR19990030444A (ko) 설비함용 체결장치
KR200298108Y1 (ko) 세파타이가 이용되는 건축용 거푸집
JPS607890Y2 (ja) 成形機のトツグル装置
KR200151091Y1 (ko) 3차 커넥터
EP0832792A2 (de) Gassack-Abdeckung
ITMI20001875A1 (it) Gruppo di supporto, ceppo del freno e freno a tamburo
KR200185260Y1 (ko) 커플링의 분해조립장치
RU205787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