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219B1 - 수납함 구조 - Google Patents

수납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219B1
KR100472219B1 KR10-2003-0023394A KR20030023394A KR100472219B1 KR 100472219 B1 KR100472219 B1 KR 100472219B1 KR 20030023394 A KR20030023394 A KR 20030023394A KR 100472219 B1 KR100472219 B1 KR 10047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tating body
elastic
jewelr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946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화인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엠티 filed Critical (주)화인엠티
Priority to KR10-2003-002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2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 공간을 이용하여 다종의 보석, 귀금속, 미세함 부품(낚시바늘이나 반도체 칩 등) 및 고가의 부품(이하, 보석이라 통칭함)을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 보관·진열함과 동시에 텐션부에 의해 개구공이 형성된 회전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분할 회전되도록 하여 보석의 진열·보관을 위한 수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수납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되, 통공의 하단부에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수납홈이 격판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단부 일측부위에는 절개홈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저면 중앙부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하향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일정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가 돌출되며, 상면 일측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이 형성된 회전체가 구비됨에 따라, 각종 보석을 분류하여 일목요연하게 구획·분리 보관함과 동시에 보석의 보관·진열 및 취급·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함 구조{STRUCTURE OF KEEPING BOX}
본 발명은 수납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 공간을 이용하여 다종의 보석, 귀금속, 미세함 부품 및 고가의 부품(이하, 보석이라 통칭함)을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 보관·진열함과 동시에 텐션부에 의해 개구공이 형성된 회전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분할 회전되도록 하여 보석의 진열·보관을 위한 수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수납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함이라 함은 각종 금, 은, 다이아몬드 등의 귀금속품, 미세함 부품(낚시바늘 등과 같이 작은 부품) 및 고가의 부품(이하, 보석이라 통칭함)을을 넣어 보관하거나 진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 다양한 형태의 수납함이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수납함은 도난방지 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어져 사용되거나, 또는 보석상이나 각종 전시회 등에서 진열을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함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가 요구되므로 수납함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 보석의 진열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납함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위에서와 같이, 종래의 보석 진열을 위한 수납함의 경우에는 보석의 진열을 위한 보석 수납, 즉, 수납함에 진열하고자 하는 보석을 수납하는 과정이 난해하고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납함에 보석을 진열·보관함에 있어서 각종 보석을 분류하여 일목요연하게 구획·분리 보관함과 동시에 보석의 보관·진열 및 취급에 따른 수납함의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하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석을 진열·보관하기 위한 수납함 구조를 간편화하여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하고 수납함의 미려함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보석을 보관·진열하기 위한 수납함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되, 통공의 하단부에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수납홈이 격판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단부 일측부위에는 절개홈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저면 중앙부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하향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일정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가 돌출되며, 상면 일측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이 형성된 회전체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와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체결후크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의 몸체부(10)는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수납홈(14)이 격판(16)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단부 일측부위에는 절개홈(17)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편(18)이 형성된 것이고, 회전체(20)는 상기 몸체부(10)와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저면 중앙부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후크(22)가 하향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일정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24)가 돌출되며, 상면 일측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26)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중앙에 관통되는 통공(12)의 하단부에는 고정단(1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와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1, 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18)과 상기 탄성돌기(24)가 상기 수납공(26)과 상기 탄성편(18)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서로 맞물릴 때에 소정의 체결음이 나면서 맞물린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몸체부(10)는 중앙에 형성된 통공(12)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수납홈(14)이 격판(16)에 의해 등분·구획 형성되되, 일측부위의 외주면에는 절개홈(17)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탄성편(18)이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공(12)의 하단부에는 고정단(1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사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1)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회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회전체(20) 중앙부위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후크(22)가 절개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주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24)가 돌출되며, 상면 일측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26)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후크(22)의 하단부에는 쐐기 형태의 걸림턱(23)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수납함(1)의 몸체부(10)와 회전체(2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와 회전체(20)의 결합은 몸체부(10)에 형성된 통공(12)으로 회전체(20)의 체결후크(2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20)의 체결후크(22)가 몸체부(10)의 통공(12)으로 끼워져 결합된 후, 체결후크(2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이 통공(12)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단(13)에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몸체부(10)의 일측부위의 외주면에 해당되는 부위에 절개홈(17)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된 탄성편(18)에는 회전체(20)의 내주면에 돌출된 탄성돌기(24)가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탄성편(18)과 탄성돌기(24)가 수납공(26)과 탄성편(18)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서로 맞물릴 때에 소정의 체결음이 나면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8의 A부에 대한 확대도로서, 몸체부(10)에 회전체(20)가 결합되어 탄성편(18)과 탄성돌기(24)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체(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탄성돌기(24)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돌기(24)에 의해 탄성편(18)이 탄성변화(도면에 표기된 일점쇄선 참조)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12)이 형성되고 이를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격판(16)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홈(14)이 형성되고, 일측부위에는 절개홈(17)에 의해 텐션이 부여되도록 텐션편(18)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부(10)와, 저면 중앙으로부터 다수개의 체결후크(22)가 하향 돌출되고 일측부위에는 수납공(26)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24)가 형성된 회전체(20)가 구비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수납홈(14)에 보석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수납함(1)을 완성하려면, 먼저, 몸체부(10)에 회전체(2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상방으로부터 회전체(20)를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회전체(20)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체결후크(22)가 몸체부(10) 중앙에 형성된 통공(12)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통공(12)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후크(22)는 각각 절개되어져 단일구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질(합성수지)특성상 부여되는 텐션력에 의해 통공(12)으로 삽입·관통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통공(12)으로 관통된 체결후크(22)의 하단부에는 쐐기 형태의 걸림턱(23)이 형성되어져 있어 삽입·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23)이 통공(12)의 고정단(13)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몸체부(10)에 회전체(20)가 결합되면, 회전체(20)는 몸체부(10)의 통공(12)에 끼워져 결합된 체결후크(22)를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설정범위는 탄성돌기(24)에 의해 임의적인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즉, 회전체(20)에 형성된 탄성돌기(24) 상호간의 간격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수납홈(14) 상호간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게 되며, 상기 회전체(20)에 형성된 수납공(26)의 위치 또한, 몸체부(10)에 형성된 다수의 수납홈(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0)가 몸체부(10)의 통공(12)을 기점으로 회전[탄성돌기(24) 상호간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회전범위]하게 되면, 수납공(26)이 몸체부(10)에 형성된 수납홈(14)과 일치되어 수납공(26)을 통해 수납홈(14)이 개방된다.
한편, 위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에 회전체(20)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수납공(26)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납홈(14)이 개방됨에 있어, 회전체(20)의 정위치 회전설정은 몸체부(10)에 형성된 탄성편(18)과 회전체(20)에 형성된 탄성돌기(24)에 의해 정위치 회전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에 회전체(2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20)에 형성된 탄성돌기(24)가 몸체부(10)에 형성되 탄성편(18)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회전체(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돌기(24)가 이동되되, 이와 접촉된 탄성편(18)이 탄성변화(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됨)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탄성편(18)과 회전체(20)에 형성된 탄성돌기(24)는 접촉된 상태로 탄성편(18)에 의해 탄성돌기(24)가 일시적인 구속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회전체(20)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쉽게 회전되지 않고 정위치상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회전체(20)는 탄성편(18)과 탄성돌기(24)에 의해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체(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만 회전되어 수납공(26)과 개방하고자 하는 수납홈(14)이 일치되어 보석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을 휴대·보관을 위해 각종 보석이 삽입된 몸체부(10)의 수납홈(14) 전체를 폐쇄시킬 경우에는 회전체(20)에 형성된 수납공(26)이 몸체부(10)의 탄성편(18)이 형성된 부위에 위치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은 상기 체결후크(22)에 의해 회전체(20)가 몸체부(10)로부터 회전되는 것과,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탄성편(18)과 회전체(20)에 형성된 탄성돌기(24)에 의해 회전위치가 설정되는 것은 별도의 모양이나 형상을 갖는 수납함이라 할지라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은 보석류 뿐만 아니라, 귀금속이나 낚시바늘 등과 같이 작고 취급시 주의가 요구되는 부품이나 미세함 부품 및 고가의 부품 즉, 반도체 칩 등과 같은 요주의가 요구되는 부품의 진열·보관을 위한 수납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을 이용함에 따라, 보석을 진열·보관함에 있어서, 각종 보석을 분류하여 일목요연하게 구획·분리 보관함과 동시에 보석의 보관·진열 및 취급·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석을 진열·보관하기 위한 수납함 구조를 간편화하여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하고 수납함의 미려함을 한층 더 향상시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회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회전체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회전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납함 10:몸체부
11, 21:요철부 12:통공
14:수납홈 16:격판
17:절개홈 18:탄성편
20:회전체 22:체결후크
24:탄성돌기 26:수납공

Claims (4)

  1. 각종 보석을 보관·진열하기 위한 수납함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통공(12)이 관통되되, 통공(12)의 하단부에는 고정단(13)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수납홈(14)이 격판(16)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단부 일측부위에는 절개홈(17)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편(18)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와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저면 중앙부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후크(22)가 하향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일정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탄성돌기(24)가 돌출되며, 상면 일측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26)이 형성된 회전체(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의 체결후크(22) 하단부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요철부(11, 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8)과 상기 탄성돌기(24)가 상기 수납공(26)과 상기 탄성편(18)이 형성된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서로 맞물릴 때에 소정의 체결음이 나면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 구조.
KR10-2003-0023394A 2003-04-14 2003-04-14 수납함 구조 KR10047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394A KR100472219B1 (ko) 2003-04-14 2003-04-14 수납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394A KR100472219B1 (ko) 2003-04-14 2003-04-14 수납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946A KR20040088946A (ko) 2004-10-20
KR100472219B1 true KR100472219B1 (ko) 2005-03-10

Family

ID=373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394A KR100472219B1 (ko) 2003-04-14 2003-04-14 수납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775B1 (ko) * 2004-06-24 2006-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애완동물용 브러쉬 조립체의 보조 집진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946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092B2 (en) Case for holding a hand tool
US10932534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A2043988A1 (en) Jewelry storage case
US20060214083A1 (en) Hand tool suspension device
CN105164066A (zh) 生产具有附着物体的瓶的方法以及由此生产的瓶
US5176263A (en) Jewelry support
KR100472219B1 (ko) 수납함 구조
US5803251A (en) Case, tray and method for holding compact discs
US5683086A (en) Sculpture puzzle
US2975887A (en) Dispensing container
US20040100790A1 (en) Connecting device
US6715609B1 (en) Case for storing and displaying articles
US2501425A (en) Fishhook holder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US20050183983A1 (en) Jewelry display and storage box with removable jewelry holding members and magnetic closure and magnetic stacking arrangement
US4314467A (en) Key ring with positive locking member
US3844410A (en) Mounting of coins in the pages of coin albums
CN214800226U (zh) 一种防丢保护壳
AU2004100466B4 (en) A jewellry holder
US3025580A (en) Purse lining supported key holder
JP6901225B2 (ja) 係止具
KR200396224Y1 (ko) 필기구 꽂이함
JP3194147U (ja) アクセサリーケース
JPH0142513Y2 (ko)
JP2005041489A (ja) 連結可能な陳列兼用収納カプセ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