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310B1 -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310B1
KR100470310B1 KR10-2002-0007193A KR20020007193A KR100470310B1 KR 100470310 B1 KR100470310 B1 KR 100470310B1 KR 20020007193 A KR20020007193 A KR 20020007193A KR 100470310 B1 KR100470310 B1 KR 10047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ase
antifungal
spore
spores
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945A (ko
Inventor
박윤제
Original Assignee
대한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3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되는 효소 파이타아제의 항진균 활성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이타아제를 이용하여 진균(곰팡이)의 균사생장, 포자형성과 발아 및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는 것 및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이타아제는 생체와 환경에 무해한 효소이므로 항진균제의 주재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An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Phytase}
본 발명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되는 효소 파이타아제의 항진균 활성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이타아제를 이용하여 진균(곰팡이)의 균사 생장, 포자의 생성과 발아 및 부착기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는 것 및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이타아제(phytase; 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 EC 3.1.3.8)는 파이테이트(phytate;myo-inositol hexaphosphoric acid )를 이노시톨(myo-inositol)과 무기인산(free ortho-phosphate)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로서, 특히 식물의 중요한 유기인산 저장 화합물인 파이테이트를 분해한다.(참조: Reddy et al., Adv. Food Res., 28:1-92, 1982).
쌀과 밀겨에서 처음으로 파이타아제 효소활성이 발견(참조:Suzuki et al., Bull. Coll. Agric. Tokyo Imp. Univ. 7: 495-512)된 이후로 많은 다양한 생물체로부터 파이타아제 효소활성이 보고되었다.
세균에서는Aerobacter aerogenes(Enterobacter aerogenes) (Greaveset al., 1967),Bacillus subtilis(Powar and Jagannathan, 1982),Bacillus subtilisnatto N-77 (Shimizu, 1992),Escherichia coli(Greineret al., 1993),Klebsiella aerogenes(Tambeet al., 1994), andPseudomonassp. (Irving and Cosgrove, 1971),Klebsiella oxytoca(Jareonkitmongkolet al.,1997),Klebsiella terrigena(Grieneret al., 1997),Selenomonas ruminantium(Yanke et al., 1998), 다른Bacillus속의 특정 균주(Kimet al., 1998; Kerovuoet al., 1998) 및 유산균에서도(Shiraiet al.1994) 그 활성이 보고되었다. 곰팡이로는Aspergillus, Penicillium,Mucor(Howson and Davis (1983)),Saccharomyces cerevisiae(Nayini and Markakis, 1984),Candida tropicalis,Torulopsis candida,Debaryomyces castelii,Schwanniomyces castellii(Lambrechtset al, 1993) 등 에서 파이타아제가 발견되었다.
밀, 콩 등 식물에서도 에서 파이타아제 효소가 발견되었는데(Gibson and Ullah, 1988; Maitiet al., 1974, Mandalet al., 1972), 특히 발아 시에 효소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인산의 공급을 담당하는 식물의 내부 생리적 역할이 보고되었다(Nayni and Markakis, 1986). 또한 동물인 쥐 등에서 파이타아제 효소 활성이 나타나 생체내에서 중요한 생리적 역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yang et al, 1991).
종래 파이테이즈는 주로 사료첨가제로 이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동물용 배합사료는 주로 식물성인 곡류나 그 부산물 및 박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성 사료에 함유된 인은 총 인의 약 75%가 파이테이트(phytate)의 형태로 존재한다(참조:Cromwell et al., J. Anim. Sci., 71:1831-1840, 1993). 식물 유기인산의 저장 화합물인 파이테이트(myo-inositol 1,2,3,4,5,6,-hexakis hydrogen phosphate)는 식물성 사료의 주요성분으로 이노시톨(inositol)과 인산염(phosphate)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하며, 이에 대한 가축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참조: Maga, J. A., J. Agric. Food Chem., 30:1-9, 1982).
그러나, 곡류 및 박류에는 천연상태로 존재하는 인을 분해시키는 효소인 파이타아제(phytase)의 함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활성도가 낮아 단위 가축이 인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참조: Sutardi and K. A. Buckle, J. Food Biochem.,10:197-216, 1986). 또한,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파이테이트는 화학적으로 미오-이노시톨 헥사포스페이트(myo-inositol hexaphosphate)에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등이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것은 가축이 필요로 하는 중요한 무기이온을 흡착하는 항영양인자(anti-nutritional factor)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참조: Qian et al., J. Anim. Sci.,74:1288-1297, 1996), 단백질과 결합하여 소화율을 감소시키고 사료 이용율을 낮추므로, 사료 중에 존재하는 파이테이트의 분해는 사료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다(참조: Lei et al., J. Anim. Sci., 71:3368-3375, 1993). 그러나, 가금류나 돼지와 같은 단위 동물들은 소화기관 내에 파이테이트를 분해하여 인산을 유리시키는 효소인 파이타아제가 결여되어 있어 사료중의 유기인을 가용 유기인의 형태로 전환하지 못하므로, 파이테이트를 거의 이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분뇨로 배출하고 있다(참조: Yi et al., Poultry Sci., 75:240-249, 1996).
이와 같은 파아타아제는 사료첨가제로 사용시 사료내 유기태인의 이용성을 60% 이상 증가시키고, 무기질의 체내흡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이용률 및 소화흡수율 증진효과를 나타내어 사료의 영양가치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Denbow et al., Poultry Sci., 74:1831-1842, 1995). 또한, 사육 가축의 골 성장(bone mineralization)을 건실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칼슘, 아연 등 필수 무기염류의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부가적 기능도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미생물에서 분리하여 상업적으로 대량생산한 파이타아제(예; NatuphosR, BASF, Germany)를 첨가함으로써 사료에 첨가하는 무기인의 함량을 줄이고, 또한 이를 섭취한 가축의 배설물에서의 분비되는 유기인의 양을 감소시키고 있다(참조: Yi et al., Poultry Sci., 75:240-249, 1996).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극히 제한되어 있어 현재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파이타아제는 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로서 (Ullah, 1988) 그 기원은A. nigervar.ficuumNRRL3135이 대부분을 차지한다(Shiehet al.(1969)).
한편, 곰팡이는 농업뿐만 아니라 전 산업분야에서 막대한 손해를 끼치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특히,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것의 대부분이 곰팡이가 차지하고 있어 농업에서의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곰팡이는 균사 생장 및 포자생성, 포자의 발아후 식물체를 침입하는 기구인 부착기를 형성하고, 부착기를 도구로 하여 식물체에 침입함으로써 식물에 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기작을 저해하는 것이 곰팡이 생육억제와 식물병 방제에 크게 효과가 있다. 곰팡이에 의한 피해 때문에 최근농약을 비롯하여 많은 곰팡이 살균제 즉, 항진균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학적 항진균제는 독성이 강해서 식용이나 가축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의 안전과 환경보호의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인체 및 가축에 무해한 새로운 항진균 물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 및 가축에 무해한 안전한 항진균 물질을 탐색한 바, 파이타아제의 항진균 활성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파이타아제의 항진균 활성을 이용하여 파이타아제를 항진균 용도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타아제가 함유된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포자생성배지에서의 바실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M. grisea의균사생장과 포자생성의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바실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M. grisea의 균사 생장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M. grisea의 균사 생장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포자생성배지에서의 바실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C. orbiculare 균사생장과 포자생성의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바실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C. orbiculare의 균사 생장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른C. orbiculare의 균사 생장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에 의한M. grisea의 부착기 형성 저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파이테이트(phytate)를 이노시톨(inositol)과 무기인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로 알려진 파이타아제로부터 새로운 생화학적 특징 즉, 항진균 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실에 기초하여 파이타아제를 항진균의 용도로 이용하는방법 및 파이타아제가 함유된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파이타아제는 진균의 균사생장, 포자의 생성과 발아 및 부착기의 형성을 방해·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결과적으로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항진균 특성을 나타내는 파이타아제는 어떤 생물체로부터 기원한 것이라도 관계없다. 즉, 동물, 식물, 세균 또는 곰팡이로부터 유래된 어떤 유형의 파이타아제라도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생산 효율성 및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종래 상업적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는 바실러스 또는 아스퍼질러스로부터 유래된 파이타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항진균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파이타아제의 처리 농도는 0.001∼5000000U/㎖이다. 이 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항진균 효과가 발휘되지 못하며, 이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첨가량 대비 항진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파이타아제의 처리 농도는 1∼500000U/㎖인 것이 좋다.
파이타아제의 항진균 작용을 받는 대상이 되는 진균은 모든 진균류(곰팡이류)로서 조균, 자낭균, 담자균 및 불완전균류를 모두 포함한다.
파이타아제를 항진균 물질로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로는 식물병원성 진균 억제용 농약, 항진균 도료, 식물 영양제 또는 그 첨가제, 방향제 또는 그 첨가제, 각종생활용품 또는 의류(내의, 양말 등)의 첨가제, 식품의 첨가제 등 그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다양한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 진균으로는 벼 도열병원균인Magnaporthe grisea70-15 및 수박썩음병원균인Colletotrichum orbiculare를 이용하였다.
Magnaporthe grisea70-15의 포자생성배지로는 oatmeal agar(oatmeal 50g/L, agar 22g/L)를, 완전배지로는 CM배지(sucrose 10g/L, yeast extract 6g/L, casein enzymatic hydrolysate 6g/L, agar 15g/L)가 적용되었다.
Colletotrichum orbiculare의 포자생성배지로는 bean media(bean 50g/L, agar 22g/L)를, 완전배지로는 Czapek-dox agar media(bacto saccharose 30g/L, NaNO3 3g/L, K2HPO4 1g/L, MgSO4 0.5g/L, KCl 0.5g/L, FeSO4 0.01g/L)를 이용하였다.
파이타아제로는 시중에서 구입한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에서 생산된 파이타아제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는 살균 중류수에 용해시킨 다음, microfiliter로 살균한 뒤 필요한 농도로 처리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파이타아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획득하여microfiliter로 살균한 뒤 필요한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같다.
파이테이즈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16-111(KFCC-11175) 균주를 Na-phytate 2g/L, NH4NO3 5g/L, MgSO4 0.5g/L, KCl 0.5g/L, FeSO4 0.01g/L, 글루코스 15g/L pH 6.5에 30℃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4℃, 6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배양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배제 분자량이 10,000인 한외여과막을 3차 증류수 50㎖로 2번 세척한 다음, 전기 배양 상층액 50㎖를 가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은 3.5 기압에서 교반하면서 수행하여 한외여과막 내부분획의 부피가 5㎖ 정도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바실러스 파이타아제로 하였다.
실시예 1: 파이타아제에 의한 균사 생장속도 및 포자생성 저해 효과
파이타아제가 실제 진균의 균사 생장을 얼마나 억제할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양 균주에 공통적으로, 파이타아제 효소가 배지에 10U/㎖ 의 농도로 첨가된 파이타아제 첨가배지와, 파이타아제 무첨가배지에 중앙에 지름 8mm의 크기의 곰팡이 균사체 덩어리를 올려 놓은 뒤 25℃ 항온기에서 배양하면서 매일 균사체의 지름을 관찰하였다.
(1)벼 도열병원균인Magnaporthe grisea70-15에 대한 효과
벼 도열병원균인Magnaporthe grisea70-15가 포자생성배지에서바실러스 파이타아제첨가에 따른 균사생장과 포자생성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a, b는 각각 파이타아제 무첨가배지의 전면과 후면을, c, d는 각각 파이타아제 첨가배지의 전면과 후면의 사진이다.
도에서 볼 수 있듯이, 도열병 병원균의 경우 포자생성배지에 바실러스 파이타아제가 존재하면 균사생장이 강하게 억제되며, 포자도 전혀 생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완전배지에서도 효소첨가 유무에 따라 균사생장속도가 유의성 있게 차이를 나타내었다(도 2). 도에서 A는 포자생성배지를, B는 완전배지를 나타낸다.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를 처리한 경우도 역시 포자생성배지에서 균사생장이 강하게 억제되고 포자생성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완전배지에서도 파이타아제 첨가에 따라 균사의 성장속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그 차이가 바실러스 파이타아제를 첨가하였을 때보다 크게 나타났다(그림 3). 도에서 A는 포자생성배지를, B는 완전배지를 나타낸다.
(2)수박썩음병원균인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효과
포자생성배지에서의바실러스 파이타아제첨가에 따른C. orbiculare의 균사생장과 포자생성을 관찰하였다(도 4). a, b는 파이타아제 무첨가배지의 전면과 후면, c, d는 파이타아제 첨가배지의 전면과 후면의 사진이다. 화살표 부분은 포자생성에 따른C. orbiculare의 자낭반(acervulus)을 나타낸다.
도에서 볼 수 있듯이, 수박썩음병원균의 경우에도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의 처리에의해 균사 생장이 매우 저해되었다. 포자생성배지에서 생성된 포자의 수는 무첨가배지에서는 25.6 ± 1.7 x 106 conidia/㎖인데 반해 파이타아제 첨가배지에서는 5.9 ± 2.3 x 106 conidia/㎖로서 4배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포자생성배지에서의 균사생장은 효소첨가여부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없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있었고, 완전배지에서는 효소첨가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도 5). 도에서 A는 포자생성배지를, B는 완전배지를 나타낸다.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를 처리한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포자생성배지에서 생성된 포자의 수는 파이타아제 무첨가배지에서는 22.7 ± 0.9 x 106 conidia/㎖, 파이타아제 첨가배지에서는 3.6 ± 0.7 x 106 conidia/㎖로 6배정도의 포자생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사생장속도도 파이타아제 첨가 여부에 따라 2배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전배지에서도 역시 바실러스 파이타아제 첨가시와 마찬가지로 아스퍼질러스 효소첨가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도 6). 도에서 A는 포자생성배지를, B는 완전배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와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 모두 진균(곰팡이)의 균사의 생장을 억제하고 포자생성을 저해함으로써 진균의 생육을 매우 강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파이타아제에 의한 진균의 포자발아와 부착기 형성 저해 효과
파이타아제가 진균의 포자 발아와 부착기 형성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하였다.
M. grisea70-15 및C. orbiculare균주의 포자생성을 위하여 각각 포자생성배지인 oatmeal agar 와 bean agar 배지에 포자와 균사를 도말한 후 형광등을 계속 조사하면서 25℃에서 배양하였다. 7∼10일 정도 배양 후 살균한 증류수를 배지에 부어 긁은 후 4겹의 여과포로 여과하여 포자를 분리하였다.
포자발아와 부착기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104 포자/㎖ 농도의 포자 현탁액 36 ㎕와, 각각 최종농도가 100, 10, 1, 0.1 U/㎖이 되도록 조정된 파이타아제 수용액 4 ㎕를 GelBond(FMC, ME) film 의 소수성 표면에 떨어뜨린 뒤 습도가 충분한 상자 안에 두었다. 25℃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 반복당 100개이상의 포자가 관찰된 것을 대상으로 3회 반복으로 현미경으로 직접 포자 및 부착기를 관찰하고 계수하였다. 부착기형성율은 [부착기 형성 포자수 ÷ 관찰 포자 총수 x 100]으로, 포자발아율은 [발아포자수 ÷ 관찰포자 총수 × 100]으로 계산하였다.
(1)실험결과(표 1)M. grisea의 부착기 형성은바실러스 파이타아제의 경우 100 및 10 U/㎖ 농도에서 전혀 발생되지 않았으며, 농도가 희석될수록 점차 저해능력을 잃어 1U/㎖일 때는 91.2%, 0.1U/m일 때는 98.4%의 부착기 형성율을 보였다. 포자발아율은10 U/㎖이하의 파이타아제 농도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U/㎖의 농도에서는 41.3%의 포자만이 발아하였다.
a 각 농도의 파이타아제를 포함한 3x104 포자/㎖ 의 포자현탁액을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올려놓은 후 25℃에서 배양한 결과
b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파이타아제를 첨가하지 않은 포자현탁액을 올려놓음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에 의한M. grisea의 부착기 형성 저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을 도 7에 첨부하였다. 도에서 a는 control을, b는 10 U/㎖ 파이타아제 농도의 현탁액을 나타낸다. 사진에서 보이듯이, 파이타아제가 함유되지 않은 것(a)에서는 포자에서 생성된 부착기(사진 중 균사 끝의 검은 원형의 모양)가 다수 발견되지만, 파이타아제가 함유된 현탁액(b)에서는 부착기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파이타아제가 진균의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를 첨가한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표 2). 부착기 형성은, 배양 초기 100 및 10 U/㎖ 파이타아제를 첨가하면 완전히 저해되었고, 농도가 희석될수록 점차 저해능력을 잃어 1U/㎖일 때는 87.4%, 0.1U/m일 때는 95.1%의 부착기 형성율을 보였다. 포자발아율은10 U/㎖이하의 파이타아제 농도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U/㎖의 농도에서는 32.1%의 포자만이 발아하였고, 10U/㎖에서는 86.4 %의 포자가 발아하였다.
a 각 농도의 파이타아제를 포함한 3x104 포자/㎖ 의 포자현탁액을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올려놓은 후 25℃에서 배양한 결과
b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파이타아제를 첨가하지 않은 포자현탁액을 올려놓음
(2)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은바실러스 파이타아제의 경우 100 U/㎖ 농도의 파이타아제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다. 그러나, 10 U/㎖ 농도에서는 약간의 부착기를 형성하였고, 농도가 희석될수록 농도에 비례하여 점차 그 저해효과를 상실하여 1 U/㎖ 에서는 부착기 형성율이 82.3%, 0.1U/㎖에서는 96.2%에 이르렀다.C. orbiculare의 포자발아 역시 10 U/㎖ 이상의 파이타아제 농도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어 100 U/㎖ 농도에서는 0.4%, 10 U/㎖ 농도에서는 11.2%의 포자만이 발아하였다(표 3).
a 각 농도의 파이타아제를 포함한 3x104 포자/㎖ 의 포자현탁액을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올려놓은 후 25℃에서 배양한 결과
b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파이타아제를 첨가하지 않은 포자현탁액을 올려놓음
C. orbiculare에 대한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의 효과를 살펴본 경우 100 U/㎖ 농도의 파이타아제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고, 10 U/㎖농도에서도 3.2%만이 부착기를 형성하였다. 이것 역시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와 유사하게 농도가 희석될수록 농도에 비례하여 점차 그 저해효과를 상실하여 1 U/㎖에서는 부착기 형성율이 46.5%, 0.1U/㎖에서는 88.7%로 증가하였다.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에 의한C. orbiculare의 포자발아 역시 10 U/㎖ 이상의 파이타아제 농도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어 100 U/㎖ 농도에서는 0.8%, 10 U/㎖ 에서는 9.2%의 포자만이 발아하였으나 1U/㎖ 농도에서는 83.6%의 포자발아율을 보였다(표4).
a 각 농도의 파이타아제를 포함한 3x104 포자/㎖ 의 포자현탁액을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올려놓은 후 25℃에서 배양한 결과
b GelBond film 의 소수성 표면위에 파이타아제를 첨가하지 않은 포자현탁액을 올려놓음
이러한 결과는 바실러스 파이타아제와 아스퍼질러스 파이타아제 모두 일정농도 이상에서는 진균(곰팡이)의 포자발아와 부착기 형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이타아제를 항진균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정실시예 :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제
상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파이타아제가 진균의 균사생장, 포자의 생성과 발아를 억제하고 부착기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비록 실제 제조실험까지 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종류 및 양의 부형제, 첨가제, 발색제, 향미제 등과 적절한 양의 파이타아제가 함유된 조성물은 항진균제로 기능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인이라면 당연하게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타아제가 함유된 조성물은, 식물병원성 진균 억제용 조성물과 같은 농약으로 개발될 수도 있으며, 건축물 내외벽에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하는 항진균 도료 또는 도료 첨가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곰팡이 서식을 방지하는 기능성 벽지의 첨가물로, 방향제 또는 방향제의 첨가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파이타아제가 인체 및 동물에 무해하므로 이를 식품보존제 또는 사료보존제 등으로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실험하고 분석하였듯이, 파이타아제는 진균의 균사생장, 포자생성, 포자발아 및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므로 파이타아제를 진균억제용 농약 등 다양한 항진균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이타아제는 생체와 환경에 무해한 효소이므로 항진균제의 주재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파이타아제를 0.001~5,000,000 U/㎖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타아제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타아제는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타아제를 1~500,000 U/㎖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식물병원성 진균 억제용 농약, 항진균 도료, 식물 영양제 또는 그 첨가제, 방향제 또는 그 첨가제, 각종 생활용품 또는 의류의 첨가제, 식품의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002-0007193A 2002-02-07 2002-02-07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047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93A KR100470310B1 (ko) 2002-02-07 2002-02-07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93A KR100470310B1 (ko) 2002-02-07 2002-02-07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945A KR20020019945A (ko) 2002-03-13
KR100470310B1 true KR100470310B1 (ko) 2005-02-05

Family

ID=1971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193A KR100470310B1 (ko) 2002-02-07 2002-02-07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31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8380A (ja) * 1989-03-20 1990-10-04 Taki Chem Co Ltd 微生物によるフィチン酸塩の分解方法
KR970021288A (ko) * 1995-10-24 1997-05-28 김은영 신균주 페니실리움속(Penicillum sp.) AM30 1 (KCTC 8688P) 및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파이타아제(Phytase)
KR970065705A (ko) * 1996-03-14 1997-10-13 김은영 신균주 바실러스속(Bacillus sp.) DS11(KCTC 0231BP)과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파이타아제(Phytase)
JPH11164A (ja) * 1997-06-13 1999-01-06 Godo Shiyusei Kk 新規フィターゼ及びその製造法
KR19990048017A (ko) * 1997-12-08 1999-07-05 김무진 효소제재
KR20010073764A (ko) * 2000-01-20 2001-08-03 우종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에서 분리한 신규 파이타아제및 그의 유전자
KR20020008893A (ko) * 2000-07-21 2002-02-01 한동혁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16-111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파이타아제
KR20020026013A (ko) * 2000-09-30 2002-04-06 한동혁 슈도모나스 시린게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한 파이타아제
KR20020026012A (ko) * 2000-09-30 2002-04-06 한동혁 페니실리움 옥살리컴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한파이타아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8380A (ja) * 1989-03-20 1990-10-04 Taki Chem Co Ltd 微生物によるフィチン酸塩の分解方法
KR970021288A (ko) * 1995-10-24 1997-05-28 김은영 신균주 페니실리움속(Penicillum sp.) AM30 1 (KCTC 8688P) 및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파이타아제(Phytase)
KR970065705A (ko) * 1996-03-14 1997-10-13 김은영 신균주 바실러스속(Bacillus sp.) DS11(KCTC 0231BP)과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파이타아제(Phytase)
JPH11164A (ja) * 1997-06-13 1999-01-06 Godo Shiyusei Kk 新規フィターゼ及びその製造法
KR19990048017A (ko) * 1997-12-08 1999-07-05 김무진 효소제재
KR20010073764A (ko) * 2000-01-20 2001-08-03 우종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에서 분리한 신규 파이타아제및 그의 유전자
KR20020008893A (ko) * 2000-07-21 2002-02-01 한동혁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16-111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파이타아제
KR20020026013A (ko) * 2000-09-30 2002-04-06 한동혁 슈도모나스 시린게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한 파이타아제
KR20020026012A (ko) * 2000-09-30 2002-04-06 한동혁 페니실리움 옥살리컴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한파이타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945A (ko)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sumaningtyas et al. Reduction of aflatoxin B1 in chicken feed by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Rhizopus oligosporus and their combination
Sinha Detoxification of mycotoxins and food safety
EP2524597A1 (en) Potentiator of disease resistance of cucurbitaceae family plant, and plant disease control method using same
El-Sayed et al. L-Amino acid oxidase from filamentous fungi: screening and optimization
CN110996667A (zh) 毕赤酵母的高效生产及其在促进植物和动物健康中的用途
WO2009032696A3 (en) A water dispersible formulation for delivery of biocontrol fungi to reduce aflatoxin
US11832611B2 (en) Methods of pest control
Adetunji et a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richoderma: A powerful fungal isolate with diverse potentials for the attain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of pest and diseases, healthy plane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Kong Marine microorganisms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fungal phytopathogens and mycotoxins
Lamid et al. Characterization of phytase enzymes as feed additive for poultry and feed
Lamid et al. Potential of phytase enzymes as biocatalysts for improved nutritional value of rice bran for broiler feed
KR100470310B1 (ko) 파이타아제를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CN105255795A (zh) 一株杨树烂皮病生防菌
Huang et al. Phytase production by Grifola frondosa and its application in inositol-enriched solid-state fermentation brown rice
Ruiqian et al. Biocontrol of Aspergillus flavus and aflatoxin production
Kolapo et al. Detoxification and nutritional enrichment of cassava waste pulp using Rhizopus oligosporus and Aspergillus niger
Esakkiraj et al. Preliminary optimization of solid-state phytase production by moderately halophilic Pseudomonas AP-MSU 2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Olaniyi Effect of beta-mannanase treatment on nutritive quality of palm kernel meal
US6033897A (en) Phytase-producing bacteria
Tewari et al. Phytostimulating mechanisms and bioactive molecules of Trichoderma speci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Alghandour et al. The antifungal efficacy of pre-harvest spraying with organic compounds and nanoparticles on aflatoxins Production on stored soybean seeds
Du et al. Influencing Factors and Biological Control of Aflatoxin Contamination in Peanuts.
KR20030034693A (ko) 미생물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Avelar Actinobacteria for the control of phytopathogenic and/or mycotoxinogenic fungi of cereals
Busari et al. Effect of natural and combined fungal fermentation on phytate, tannin and some mineral contents of corn co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