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476B1 - 인버터 스탠드 - Google Patents

인버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476B1
KR100469476B1 KR10-2002-0034256A KR20020034256A KR100469476B1 KR 100469476 B1 KR100469476 B1 KR 100469476B1 KR 20020034256 A KR20020034256 A KR 20020034256A KR 100469476 B1 KR100469476 B1 KR 10046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ouch
melody
tim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092A (ko
Inventor
이남훈
Original Assignee
이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훈 filed Critical 이남훈
Priority to KR10-2002-003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4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램프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부, 램프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입력장치, 램프의 구동에 따라 대응하는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 터치입력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램프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버터 스탠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온·오프시에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단순히 램프가 점등 중에 터치입력장치를 일정시간 터치함으로써 취침모드로 전환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등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별도의 점등연장을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타이머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스탠드{Inverter stand}
본 발명은 인버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온·오프시에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인버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램프의 점등 중에 기설정된 일정주기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취침모드로 전환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인버터 스탠드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가 점등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등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별도의 점등연장을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인버터 스탠드에 관련된다.
최근 들어 인버터 스탠드는 단순한 조명장치의 차원을 벗어나 전자제품의 이종으로 간주되면서 사용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왔으며, 특히 전력의 소비를 줄이기 위한 대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그러한 대안 중의 하나로 램프가 점등될 때, 부저음이 울리도록 하는 구조가 제시되기는 하였지만,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램프가 점등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소등이 되지 않아 전력을 낭비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램프 자체를 자명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면 자동적으로 램프를 소등하는 기능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인버터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의 온·오프시에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인버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가 점등 중에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취침모드로전환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인버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가 점등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등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별도의 점등연장을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인버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스탠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부, 램프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입력장치, 램프의 구동에 따라 대응하는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 터치입력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램프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버터 스탠드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램프가 온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등용 멜로디를 출력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장치를 통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램프를 소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램프의 점등 중에 터치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인가되는 경우,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램프를 소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입력장치에 터치가 이루어졌는가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모듈, 터치감지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터치된 시간을 확인하는 터치시간 확인모듈, 터치입력장치에서 터치되는 시간, 취침모드에서 소등되기까지의 시간, 램프의 점등으로부터 자동소등까지의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정보 설정모듈, 해당되는 멜로디를 추출하여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모듈, 멜로디 발생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멜로디를 출력하는 멜로디 출력모듈 및 터치감지모듈과 터치시간 확인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고 시간정보 설정모듈에 의한 시간정보를 참고하여 멜로디 발생모듈, 멜로디 출력모듈 및 인버터 구동회로를 각각 제어하여 멜로디를 출력하고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멜로디는 MP3 음악 또는 음성메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회로부(30)는 램프, 예를 들어, 형광램프(50)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에 잘 알려진 노이즈 필터회로, 전압조정 및 안정화회로 등은 모두 인버터 회로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구동되는 램프로 형광램프를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냉음극형광램프나 고휘도 LED 어레이 등과 같은 다른 광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터치입력장치(20)는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신호를 인가하며, 짧게 터치하거나 길게 터치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스피커(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에 의해 추출된 멜로디를 출력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램프(70)가 설치되어 점멸되는 등의 동작으로 램프의 구동에 따른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다양한 멜로디를 내장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IC 칩 형태의 메모리(60)를 제공하여 MP3 음악이나 사용자 설정에 의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터치입력장치(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인버터회로부(30)를 제어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램프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멜로디를 스피커(40)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터치감지모듈(15)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입력장치(20)에 터치가 이루어졌는가를 감지한다.
터치시간 확인모듈(14)은 터치감지모듈(15)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경우, 터치된 시간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램프의 점등 중에 터치입력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주기를 통하여 터치되는 시간을 판단하여 제어모듈(12)에 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모듈(12)은 짧게 터치되는 경우에는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며, 길게 터치되는 경우에는 취침모드로 판단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 후에 소등한다.
멜로디 발생모듈(13)은 제어모듈(12)의 제어에 의해 해당하는 멜로디나 메모리(60)에 저장된 멜로디를 변환하여 발생한다.
멜로디 출력모듈(18)은 멜로디 발생모듈(13)에 의해 발생된 멜로디를 스피커(40)로 전달한다.
시간정보 설정모듈(16)은 터치입력장치(20)에서 터치되는 시간, 취침모드에서 소등되기까지의 시간, 점등으로부터 자동소등까지의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여 구비한다.
제어모듈(12)은 터치시간 감지모듈(14)과 시간정보 설정모듈(16)로부터의 전송되는 데이터를 참고하여 각 모듈들의 상호 연관된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스탠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터치감지모듈(15)은 터치입력장치(20)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0).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터치감지모듈(15)은 감지신호를 제어모듈(12)에 전달하고, 제어모듈(12)은 인버터 회로부(30)를 통하여 램프가 현재 소등되었음을 체크하고 멜로디 발생모듈(13)을 제어하여 점등용 멜로디를 발생시켜 멜로디 출력모듈(18)을 통하여 스피커(40)로 출력함과 동시에 인버터 회로부(30)를 제어하여 램프(50)를 점등시킨다(단계 S12).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점등 중에 두 가지의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먼저, 램프 점등 중에 터치입력장치(20)에 사용자의 의해 터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4)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터치시간 확인모듈(14)에 의해 터치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보다 더 긴지를 판단한다(단계 S16). 기준시간의 설정은 시간정보 설정모듈(16)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터치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모듈(12)은 멜로디 발생모듈(13)을 제어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발생시켜 멜로디 출력모듈(18)을 통하여 출력하고(단계 S18), 취침용 멜로디가 출력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0)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터치입력장치가 터치되지 않으면(단계 S21) 자동적으로 소등된다(단계 S23). 반면에 터치입력장치를 통해 터치가 되면, 취침모드가 취소되고 점등이 유지된다(단계 S22).
또한, 터치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모듈(12)은 멜로디 발생모듈(13)을 제어하여 소등용 멜로디를 발생시켜 멜로디 출력모듈(18)을 통하여 출력하고 램프를 소등한다(단계 S17).
따라서, 사용자가 취침을 위하여 일부러 램프를 소등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램프 점등 중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4) 경과한 경우에는 경고용 멜로디를 출력하고(단계 S25). 터치입력장치(20)를 통한사용자의 터치가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6)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램프를 소등한다(단계 S28).
이와 같이, 경고용 멜로디를 출력하는 경우는 인버터 스탠드를 자명종과 같은 타이머로 사용할 수 있어 학습자에게는 편리하게 응용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램프가 계속 점등되어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멜로디를 별도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음성을 저장하여 "취침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1분 후에 자동 소등됩니다" 또는 "램프가 점등됩니다", "램프가 소등됩니다" 등의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황에 대응하는 MP3 음악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기준시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설정하거나 사용자 임의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경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버터 스탠드는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우선 램프의 온·오프시에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램프가 점등 중에 터치입력장치를 일정시간 터치함으로써 취침모드로 전환하여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등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별도의 점등연장을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타이머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램프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부, 램프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입력장치, 램프의 구동에 따라 대응하는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터치입력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램프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멜로디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버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램프의 점등 중에 상기 터치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인가되는 경우, 취침용 멜로디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인버터 회로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입력장치에 터치가 이루어졌는가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모듈;
    상기 터치입력장치에서 터치되는 시간, 취침모드에서 소등되기까지의 시간, 램프의 점등으로부터 자동소등까지의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정보 설정모듈;
    상기 터치감지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터치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이내이지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터치시간 확인모듈을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상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취침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스탠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는 MP3 음악 또는 음성메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스탠드.
KR10-2002-0034256A 2002-06-19 2002-06-19 인버터 스탠드 KR10046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56A KR100469476B1 (ko) 2002-06-19 2002-06-19 인버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56A KR100469476B1 (ko) 2002-06-19 2002-06-19 인버터 스탠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07U Division KR200290442Y1 (ko) 2002-06-18 2002-06-18 인버터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92A KR20030097092A (ko) 2003-12-31
KR100469476B1 true KR100469476B1 (ko) 2005-02-02

Family

ID=3238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56A KR100469476B1 (ko) 2002-06-19 2002-06-19 인버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4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84U (ko) * 1990-06-22 1992-01-28 오영식 취침 음향 실내조명등
KR920000985U (ko) * 1990-06-22 1992-01-28 오영식 침실의 조명장치용 음향 발생유니트
KR950010709A (ko) * 1993-09-28 1995-04-28 이근모 예약 시간을 이용한 온/오프 인버터 스탠드
KR20000034463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멜로디 기능을 갖는 자동켜짐램프
KR20000043611A (ko) * 1998-12-29 2000-07-15 채도상 Tv나 pc 모니터 전원의 온/오프시 특정 동작 수행 및 음성을 출력하는 장난감 완구
KR200269353Y1 (ko) * 2001-12-19 2002-03-21 엔프라라이트(주) 멜로디 구동 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84U (ko) * 1990-06-22 1992-01-28 오영식 취침 음향 실내조명등
KR920000985U (ko) * 1990-06-22 1992-01-28 오영식 침실의 조명장치용 음향 발생유니트
KR950010709A (ko) * 1993-09-28 1995-04-28 이근모 예약 시간을 이용한 온/오프 인버터 스탠드
KR20000034463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멜로디 기능을 갖는 자동켜짐램프
KR20000043611A (ko) * 1998-12-29 2000-07-15 채도상 Tv나 pc 모니터 전원의 온/오프시 특정 동작 수행 및 음성을 출력하는 장난감 완구
KR200269353Y1 (ko) * 2001-12-19 2002-03-21 엔프라라이트(주) 멜로디 구동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92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181B1 (ko) 휴대용 기기의 절전방법
KR100626359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관리 방법
GB2270397A (en) Alarm clock.
KR100469476B1 (ko) 인버터 스탠드
KR200290442Y1 (ko) 인버터 스탠드
KR101594036B1 (ko) 램프 연동 알람시계 및 그에 의한 램프 동작 제어 방법
KR20170031577A (ko) Usb 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0970B1 (ko) 최적의 조도를 유지하는 인버터 스탠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190969B1 (ko) 인버터 스탠드의 시간대별 조도 세팅방법과 조도 변환방법
KR20080057822A (ko)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액자
JP2018136111A (ja) 給湯器の表示装置
KR100190968B1 (ko) 인버터 스탠드의 시간대별 조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JPH0831390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28553A (ja) 火災警報器
JPS58111790A (ja) 電子時計用回路
KR19980040036A (ko) 인버터 스탠드의 조도 표시장치
JP2010134626A (ja) 報知音出力方法
KR960006620Y1 (ko) 작동시간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스탠드
KR19980040029A (ko) 인버터 스탠드의 터치음 시간대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190971B1 (ko) 상용전압 변동에 의한 인버터 스탠드의 조도 조절방법
KR200289756Y1 (ko) 조도감지를 이용한 음악의 선택 출력장치
KR19980040018A (ko) 인버터 스탠드의 소비전력 감소장치와 그 방법
JP2008203481A (ja) 調律装置
KR19980040030A (ko) 사용시각 표시기능을 갖는 인버터 스탠드와 그 동작제어방법
JP2008298953A (ja) 照明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