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328B1 - Optical terminal box - Google Patents

Optical termina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28B1
KR100467328B1 KR10-2003-0015685A KR20030015685A KR100467328B1 KR 100467328 B1 KR100467328 B1 KR 100467328B1 KR 20030015685 A KR20030015685 A KR 20030015685A KR 100467328 B1 KR100467328 B1 KR 10046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door
terminal box
switch
optic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0728A (en
Inventor
김병성
고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1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328B1/en
Publication of KR2004008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옥내 광단자함은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은: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의 입력 광신호를 다른 옥내 광단자함 또는 외부 통신 장비에 연결시키는 광스위치; 상기 광스위치의 출력 광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광커플러; 상기 출력 광신호 중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 정보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집속하여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국이 상기 스위치 제어기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의 스위칭 상태를 일괄 제어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the input optical signal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o another indoor optical terminal box or external An optical switch for connecting to communication equipment; An optical coupl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ptical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A photodetector for detecting a switching state information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among the output optical signals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witch controller configured to focus the electrical signal to control a switching state of the optical switch, wherein a central control station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and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s. It is characterized by collective control of the switching state of the box.

Description

옥내 광단자함{Optical terminal box}Indoor terminal box {Optical terminal box}

본 발명은 옥내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분리/배치된 통신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광섬유다발의 수를 줄이고, 통신 장비의 추가와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재연결을 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연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옥내 광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number of optical fiber bundles that connect physically separated / arranged communication devices to each other, and to efficiently reconnect to add and move communication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having a function of efficiently manag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통신 대역폭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광통신망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IP 라우터, OXC(Optical Cross-Connect),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전송 플랫폼,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Frame Relay 스위치 등과 같은 많은 통신 장비들이 전송망에 포설되게 된다. 이러한 장비들은 같은 통신국사 내에 위치하며, 상호 연동을 위한 연결수단이 필요하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communication bandwidth, the demand for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increases, and as a result, IP routers, optical cross-connect (OX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transport platform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and asynchronous transfer (ATM) Mode), Frame Relay switch, etc., will be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network. These equipments are located in the same communication company and require connection means for interworking.

현재는 장비간 연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아 종단과 종단이 직접 연결되어 경로의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장비의 연동이 점차 많이 요구됨에 따라 장비간 연결수단이 많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Currently, there is not much interworking between devices, so many point-to-point connections are used that do not allow a change of the path because the end-to-end is directly connected, but the interworking of devices is increasingly required. Therefore, a lot of connection means between the equipment is required.

이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다채널 연결용 옥내 광단자함이 요구되고 있는데, 옥내 광단자함은 입력포트를 통하여 입력된 복수개의 광채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추출하여 광단자함의 광어댑터에 연결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통신 장비들에 연결시키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광섬유다발이 연결된 출력포트로 출력하여 다음 옥내 광단자함에 연결하거나 종단시키는 기능을 한다.Reflecting this situation,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for multi-channel connection is required, and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extracts some or all of a plurality of optical channels input through an input port and connects to the optical adapter of the optical terminal box to communicate with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equipment. It connects to the field, or outputs some or all to the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bundle to connect or terminate the next indoor optical terminal box.

도 1은 옥내 광단자함을 이용하여 옥내 각 층에 배치된 통신 장비를 N개의 광섬유다발을 이용하여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mmunication equipment disposed in each floor of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connected using N optical fiber bundles.

이 때 각 입력 또는 출력포트를 통한 광신호의 파장(wavelength)은 서로 같은 파장일 수도 있고 다른 파장일 수도 있다. 옥내 광단자함(10,20,30)은 건물내의 공간상 분리되어 있는 각 통신실이나 층 단위로 놓여질 수 있으며, 공간상 분리된 옥내 광단자함(10,20,30)은 상호 직렬로 연결되고 중앙 제어국(1)에서 각 옥내 광단자함(10,20,30)을 제어한다. 옥내 광단자함(10,20,30)은 광통신서비스 제공회사의 광통신장비가 밀집하여 연결되어 있는 통신실에서 공간상 분리되어 있는 광통신장비간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velength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each input or output port may be the same wavelength or different wavelengths.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0, 20, 30) can be placed in each communication room or floor unit separated in the space within the building,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0, 20, 30) separated in space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enter The control station 1 controls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20, 30.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0, 20, and 30 may be used for connection between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separated in space in a communication room in which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of an optical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densely connected.

옥내 광단자함(10,20,30)은 동일 건물내에서 공간상 분리/배치되어 있는 통신 장비(510,520,530)들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N개 광섬유다발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N개 광섬유다발은 분리된 물리적 공간을 관통하도록 포설되어지고, 각 공간의 통신 장비(510,520,530)가 옥내 광단자함(10,20,30)을 이용하여 N개 광섬유다발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0, 20, and 30 are us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510, 520, and 530 which are separated / arranged in space within the same building,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N fiber bundles. The N fiber bundles are installed to penetrate separate physical spaces,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510, 520, and 530 of each space can be connected to the N fiber bundles using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0, 20, and 30.

한 공간에 있는 통신 장비(510,520,530)가 포설된 광섬유다발에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포설된 광섬유다발 수만큼의 광어댑터(16) 및 광커넥터(17)가 즉, 도 1에 의하면 N개의 광어댑터 및 광커넥터가 필요하다. 또한 일단 접속이 고정되면 장비의 층간 이동시 또는 추가 설치시에 광접속을 위하여 광섬유다발을 다시 포설하는 어려움이 있거나, 이동을 예상하여 그 위치에 미리 광섬유를 연결해 놓아야 하는 비효율점이 있다.In order fo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510, 520, and 530 in one space to be connected to the installed optical fiber bundles, as many optical fiber bundles 16 and optical connectors 17 as that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are installed, that is, N optical adapters and An optical connector is required. In addition, once the connection is fixed, there is a difficulty in re-installing the optical fiber bundle for the optical connection during the inter-layer movement 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equipment, or there is an inefficiency point in which the optical fiber must be connected in advance in anticipation of the movement.

예를 들어, I개의 물리적 공간에 J개씩의 통신 장비가 놓여 있고 각 통신 장비에는 K개의 광통신포트가 있다고 할 때, 각 통신 장비들을 서로 연결시키고자 할때에는 각 분리된 공간에는 (I-1)×J×K개의 광통신포트 즉, (I-1)×J×K개의 광섬유다발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For example, if there are J communication equipments in I physical spaces and each communication equipment has K optical communication ports, when connecting each communication equipments to each other (I-1) X J x K optical communication ports, i.e., (I-1) x J x K optical fiber bundles, should be prepared.

그러나, 각 공간에서 실제 사용되어지는 포트의 수는 최대 J×K개로 각 공간에서의 포트 이용률은 (J×K)/((I-1)×J×K) = 1/(I-1)이다. 따라서, 물리적 공간의 수가 증가할 때마다 포트 이용률은 물리적 공간의 수에 역비례하여 감소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 maximum number of ports actually used in each space is J × K, and the port utilization rate in each space is (J × K) / ((I-1) × J × K) = 1 / (I-1) to be. Therefore, each time the number of physical spaces increases, the port utilization rate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hysical spaces.

본 발명은 상기의 현실정에 부응하고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리적으로 분리/배치된 통신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광섬유다발의 수를 줄이고, 통신 장비의 추가와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재연결을 할 수 있고, 중앙 제어국의 제어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옥내 광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the above-mentioned reality and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s to reduce the number of optical fiber bundles connected to each other physically separated / arranged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having a function of efficiently reconnecting and adding and moving a terminal, and efficiently managing a connection state using a control of a central control station.

도 1은 옥내 광단자함을 이용하여 옥내 각 층에 배치된 통신 장비를 N개의 광섬유다발을 이용하여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mmunication equipment disposed in each floor of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connected using N optical fiber bundles.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N×N 광스위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N × N optical switch.

도 4는 다수의 옥내 광단자함이 광섬유다발로 상호 연결된 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are interconnected by a bundle of optical fiber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중앙 제어국 10,20,30: 옥내 광단자함1: central control station 10, 20, 30: indoor optical box

11: N×N 광스위치 13: 광커플러 14: 광검출기11: N × N optical switch 13: Optocoupler 14: Photodetector

15: 스위치 제어기 16: 광어댑터 17: 광커넥터15: switch controller 16: optical adapter 17: optical connector

110: 제어 접속부 111~11N: 1×2 스위치110: control connection 111 to 11N: 1 × 2 switch

510,520,530: 통신 장비510,520,530: communication equipment

이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옥내 광단자함은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이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은: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의 입력 광신호를 다른 옥내 광단자함 또는 외부 통신 장비에 연결시키는 광스위치; 상기 광스위치의 출력 광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광커플러; 상기 출력 광신호 중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 정보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집속하여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ndle of optical fibers, and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input optical signal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An optical switch for connecting to another indoor optical terminal box or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An optical coupl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ptical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A photodetector for detecting a switching state information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among the output optical signals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witch controller for focusing the electrical signal to control a switching state of the optical switch.

상기 스위칭 상태의 제어는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국이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의 스위치 제어기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의 스위칭 상태를 일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control station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receive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o collectively control the switch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상기 광스위치는 1x2 스위치를 상기 광스위치의 입력 채널의 수에 일대일 대응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optical switch is preferably configured by providing a 1x2 switch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input channels of the optical switch.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에 근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the optim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given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may be cited if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옥내 광단자함(10)은 N×N 광스위치(11), 광스위치(11) 출력 신호 중 데이터 광신호를 외부 통신 장비(510)에 전송하는 광커플러(13), 광스위치(11)의 출력 광신호 중 스위칭 상태 정보 광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Photo Detector(PD), 14), 광스위치(11)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고 광검출기(14)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집속하는 스위치 제어기(15), 옥내 광단자함(10)을 외부 통신장비(510)에 연결시키는 광어댑터(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국(1)은 옥내 광단자함(10)의 스위치 제어기(15)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된 스위칭 상태 정보를 보고 받아 각 옥내 광단자함(10)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N은 입력 채널과 출력 채널의 개수를 의미하며 이하 마찬가지이다.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shown in FIG. 2 includes an optical coupler 13 and an optical switch for transmitting data optical signals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N × N optical switch 11 and the optical switch 11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510. The photo detector (PD) 14 which detects the switching state information optical signal among the output optical signals of 11)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controls the switching state of the optical switch 11, The switch controller 15 for foc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and the optical adapter 16 for connecting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510.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receives the switching state information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15 of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and controls the switching state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Here, N denotes the number of input channels and output channels,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N×N 광스위치(11)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N개의 1x2 스위치(111~11N)를 N개의 광 입력에 일대일 대응 설치하여 구성된다. 광스위치(11)의 스위칭 상태는 중앙 제어국(1)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 제어기(15)의 제어를 받아 결정되는데, 그 상태의 제어는 국부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중앙 제어국(1)과 연결된 경우는 중앙 제어국(1)이 직접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광스위치(11)에 입력된 N개의 광 입력은 스위칭 상태에 따라 광 출력 A 또는 광 출력 B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3, the N × N optical switch 11 is configured by providing N 1 × 2 switches 111 to 11N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N optical inputs. The switching state of the optical switch 11 is determined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 controller 15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and the control of the state is performed locally or when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This is achieved by direct control by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The N light inputs input to the optical switch 11 are output to the light output A or the light output B depending on the switching state.

광 입력에 연결된 각 1×2 광스위치(111~11N)는 제어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중앙 제어국(1)의 제어를 받는다. 광 출력 A는 옥내 광단자함(10)의 출력으로 연결되어 외부 통신 장비(510)에 연결되고, 광 출력 B는 광섬유 다발로 연결된다.Each 1x2 optical switch 111 to 11N connected to the optical inpu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onnecting unit 110 and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The light output A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510, and the light output B is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bundle.

N×N 광스위치(11)의 광 출력 A를 통한 출력 광신호들은 각각 N개의 1x2 광커플러(13)에 연결된다. 광커플러(13)를 통하여 대부분의 빛(데이터 흐름에 해당하는 광신호)은 옥내 광단자함(10)의 외부 출력인 광어댑터(16)로 연결되며 나머지 소량의 빛(스위칭 상태 정보 신호)은 광검출기(14)에 의해 검출되는데 스위칭 상태 정보 신호는 광검출기(14)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며, 이 전기 신호는 스위치 제어기(15)에 인가되며 스위치 제어기(15)는 스위칭 상태 정보를 중앙 제어국(1)으로 보고한다.The output optical signals through the optical output A of the N × N optical switch 11 are connected to N 1 × 2 optical couplers 13, respectively. Through the optical coupler 13, most of the light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flow) is connected to the optical adapter 16, which is an external output of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and the remaining small amount of light (switching state information signal) is optical. Detected by the detector 14, the switching state informa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photodetector 14, which is applied to the switch controller 15, which switches the switching state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station. Report as (1).

도 4는 다수의 옥내 광단자함이 광섬유다발로 상호 연결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are interconnected by an optical fiber bundle.

공간상으로 분리된 옥내 광단자함 1(10), 옥내 광단자함 2(20), 옥내 광단자함 3(30)은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제어국(1)은 각 옥내 광단자함(10,20,30)의 스위칭 제어기(15)를 제어하고 표시부를 관측한다.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 (10),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2 (20), and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3 (30) separated in space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controls the switching controller 15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20, 30 and observes the display unit.

도 4에 의하면, 옥내 광단자함 1, 2, 3(10,20,30)은 1번부터 7번까지의 광섬유다발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옥내 광단자함 1(10)과 옥내 광단자함 2(20)는 2번 광섬유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B-B'), 옥내 광단자함 1(10)과 옥내 광단자함 3(30)은 7번 광섬유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고(A-A'), 옥내 광단자함 2(20)와 옥내 광단자함 3(30)은 5번 광섬유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C-C').According to Figure 4,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1, 2, 3 (10, 20, 30)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bundles 1 to 7.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 (10) and indoor optical terminal box 2 (20) are connected using optical fiber No. 2 (B-B '), and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 (10) and indoor optical terminal box 3 (30) are number 7 The optical fiber terminal box 2 (20) and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3 (30) are connected by using the optical fiber No. 5 (C-C ').

이 경우 옥내 광단자함 1(10)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장비(510)가 옥내 광단자함 3(30)이 관할하는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새로운 광섬유의 포설없이 옥내 단자함 2(20)와 옥내 단자함 3(30) 사이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광섬유(도 4에서는 1번, 3번, 4번, 6번 광섬유) 또는 사용하던 광섬유(도 4에서는 2번 광섬유)를 이용하여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N×N 광스위치(11)를 N개의 1x2 스위치(111~11N)를 N개의 광 입력에 일대일로 대응 설치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510 connected to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 (10) moves to the space controlled by the indoor optical terminal box 3 (30), indoor terminal box 2 (20) and indoor terminal box 3 ( The connection can be made by using an optical fiber (fiber 1, 3, 4, 6 in Fig. 4) or the optical fiber (fiber 2 in Fig. 4) that is not used between the 30.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N × N optical switch 11 is configured by correspondingly installing N 1 × 2 switches 111 to 11N to N optical inputs one-to-one as shown in FIG. 3.

중앙 제어국(1)은 각 옥내 광단자함(10,20,30)으로부터 스위칭 상태의 변경 정보를 받아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각 옥내 광단자함(10,20,30)의 스위칭 상태를 일괄 제어하게 된다.The central control station 1 receiv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witching state from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20, 30 and collectively controls the switching state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10, 20, 30 in response to the change information. .

결국, 본 발명은 모든 I개의 공간에 대하여 포트 이용률이 1 이고, 장비와 장비간의 연결상태의 해재와 재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내 광단자함을 제안하고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hat has a port utilization rate of 1 for all I spaces and can easily disassociate and reconnec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quipment and the equipmen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가 삽입된 옥내 광단자함을 사용함으로써 연결 광섬유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통신 장비의 추가 또는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재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중앙 제어국의 제어를 이용함으로써 옥내 광단자함의 연결 상태를 통합적 그리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connection optical fibers by using the indoor terminal box with the switch inserted and can be efficiently reconnected to the addition or movement of communication equipment.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sta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nd efficiently manag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door optical box.

Claims (3)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은:A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is: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의 입력 광신호를 다른 옥내 광단자함 또는 외부 통신 장비에 연결시키는 광스위치;An optical switch connecting the input optical signal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o another indoor optical terminal box or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상기 광스위치의 출력 광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광커플러;An optical coupl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ptical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equipment; 상기 출력 광신호 중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 정보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 및A photodetector for detecting a switching state information signal of the optical switch among the output optical signals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상기 전기 신호를 집속하여 상기 광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옥내 광단자함.And a switch controller for focusing the electrical signal to control a switching state of the optical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국이 상기 각 옥내 광단자함의 스위치 제어기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개의 옥내 광단자함의 스위칭 상태를 일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광단자함.And a central control station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receives an electric signal from a switch controller of each indoor optical terminal box to collectively control the switch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optical terminal box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스위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switch 1x2 스위치를 상기 광스위치의 입력 채널의 수에 일대일 대응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광단자함.An indoor optical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1x2 switch is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number of input channels of the optical switch.
KR10-2003-0015685A 2003-03-13 2003-03-13 Optical terminal box KR100467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85A KR100467328B1 (en) 2003-03-13 2003-03-13 Optical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85A KR100467328B1 (en) 2003-03-13 2003-03-13 Optical terminal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728A KR20040080728A (en) 2004-09-20
KR100467328B1 true KR100467328B1 (en) 2005-01-24

Family

ID=3736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685A KR100467328B1 (en) 2003-03-13 2003-03-13 Optical termina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32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728A (en)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6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WDM signals between different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in an optically transparent manner
US8275268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US9014562B2 (en) Optical line terminal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s
US7574080B2 (en) Technique for photonic switching
JP5127707B2 (en) Modular adaptation and configuration of network node architecture
JP5073826B2 (en) Fail-safe optical splitter and method for isolating faults in passive optical networks
US201400504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13674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network
US6643463B1 (en)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network system using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es having 2-input and 2-output optical path switching elements
KR100467328B1 (en) Optical terminal box
JP5704694B2 (en) Optical access system
US6643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e and roll in a photonic switch
JP2009088785A (en)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KR100869906B1 (en) Multi-interface optical network unit for gigabit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passive optical network and matching module for the optical network unit
KR100889912B1 (en) Optical access network architecture
WO2023005658A1 (en) Optical cross-connec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4029036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Lane et al. Managing fiber connections in NGN and applications
KR100684610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Passive Optical Splitter therefor
JP2002164849A (en) Wavelength multiplexing transmission equipment
JP2011129970A (en) Subscriber side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witch,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