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949B1 -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 Google Patents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949B1
KR100466949B1 KR10-2004-0002556A KR20040002556A KR100466949B1 KR 100466949 B1 KR100466949 B1 KR 100466949B1 KR 20040002556 A KR20040002556 A KR 20040002556A KR 100466949 B1 KR100466949 B1 KR 10046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rrow
target
buffer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819A (ko
Inventor
백창원
Original Assignee
백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원 filed Critical 백창원
Priority to KR10-2004-000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9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3/7017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gra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4Seagoing targ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6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granul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61Wooden frames
    • E06B2003/7067Wooden frames of layere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완충장치를 설치한 완충화살(007)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연결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완충화살발사장치(000)나, 또는 그외 종래 양궁이나 석궁 및 작살총포류 등의 사격 방식에 적용시켜 발사후 낚싯줄의 길이가 다할 때 완충화살의 관성충격력에 의한 줄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하고, 이를 다시 종래 릴(924) 등을 이용하여 무사히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일반적 육상사격과는 전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부표이송장치(150, 100)나, 그외 일정한 형태의 물에 뜨는 부표(116, 또는 표적)를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는 방식의 일정한 사격장치에 상기 완충화살을 적용시켜 각종 단체 수상사격경기나 게임 및 레저스포츠 등의 다용도로 적절히 활용하여 자유자재로 수상사격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완충화살(완충작살)을 이용하여 수륙양용(水陸兩用)으로 수렵(狩獵)이나 어렵(漁獵)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매력적인 효과가 있도록 구성된 수상사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The water-shooting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shoot on the water, taking advantage of buffer arrow}
본 발명은 종래 양궁이나 석궁 또는 작살총포류 등의 육상 또는 수상사격 방식과는 전혀 달리 일정한 완충장치(buffer, shock absorbing device)를 설치한 완충화살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연결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TBTDW, Thetarget andbuoy-transferringdevice on thewater)나, 그외 일정한 형태의 부표(116, 또는 표적)를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는 방식의 사격장치에 적용시켜 다양한 종목의 각종 단체 수상사격경기나 게임 등을 자유자재로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상기 완충화살(완충작살)을 이용하여 수륙양용(水陸兩用)으로 수렵(狩獵)이나 어렵(漁獵)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수상사격장치(WSD, thewater-shooting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화살을 이용한 수상사격장치의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종래 육상 활쏘기 방식에서 화살을 회수(回收)하는 방법과 관련, 종래 양궁이나 석궁 등의 화살 회수 방식은 오로지 여러 번 쏘아 맞힌 과녁으로 일일이 걸어가서 모든 화살을 한꺼번에 거둬들일 수밖에 없다. 한편 종래 국궁에서는, 두 산맥으로 이어지는 드넓은 계곡 골짜기 사이의 어느 한쪽 발사장과 맞은편 과녁쪽에 일정한 회수용장치{소위 권양기(倦揚機, winch, 일정한 롤러에 체인이나 로프를 감아 끌어당기는 기계)와 도르래에 화살을 담는 소위 운시대(運矢臺)를 매단 일정한 길이의 케이블(삼 또는 쇠밧줄)을 걸어서, 어느 한쪽 발사장에서 맞은편 과녁을 향해 쏘아 맞힌 화살들을 모두 운시대에 담아 다시 맞은편 발사장으로 되돌려보내는 방식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한꺼번에 다량의 화살을 회수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 그런데, 이는 엄청난 전기적 동력을 필요로 함은 물론이고, 인간의 힘만으로 회수할 경우에는 여간 힘들고 불편한 게 아니다.
더구나 육상 수렵(狩獵)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살을 쏜 방향으로 일일이 따라가서 회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때는 대부분의 경우 이리저리 찾아헤매느라 애를 쓰거나 이따금 운이 없으면 분실하기 일쑤이고, 일단 화살이 활시위로부터 떠나게 되면 목표물을 빗나가 전혀 생각치도 않은 엉뚱한 곳, 즉 바위 등의 어느 단단한 물체 등을 향해 곧장 날아간다 하더라도 그저 마냥 바라보기만 할 뿐 전혀 돌이킬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여지없이 화살을 부러뜨려 파손시키거나 심한 손상을 주게 됨은 물론이며, 이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번거로움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하물며 강가나 바닷가에서 수렵이나 어렵시에는 수상(水上) 물 위로 사격(활쏘기)을 하게 되면 육상에서와는 전혀 달리 일정한 줄을 매달지 않고 그대로는 도저히 쏜 화살을 무사히 회수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원활한 수상사격을 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고, 또 설령 가능하다 하더라도 아까운 화살을 분실하기 일쑤인 데다가, 그것도 명중시킨 사냥감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소형 나룻배 등을 타고가서 일일이 건져내오는 등의 또 다른 불편함이 뒤따르기 마련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멀리 강 건너 맞은편에서 뛰노는 뻔히 보이는 작은 들짐승이나 물오리 등의 사냥감 혹은 손에 닿을 듯한 물고기조차도 그냥 스쳐지나쳐보낼 수밖에 없는 경우가 허다(許多)한 실정이다. 때문에 수상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오로지 공기총이나 라이플총기류(발사된 탄알을 회수할 필요가 전혀 없는 방식)를 이용한 수렵만을 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때도 역시 마찬가지로 물 위를 떠돌아다니는 물오리 등의 사냥감을 명중시킨다 하더라도 달아날 기력이 없는 물오리들은 단지 물 위에 떠 있게 마련이기 때문에 이를 건져내오기 위해서는 직접 물에 뛰어들 수밖에 없고, 또 다른 수거(收去)수단으로서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사냥개 등을 이용하거나, 먼 거리의 경우에는 오직 소형 모터보트 등을 타고가서 일일이 건져내오는 수밖에 별다른 방도가 없기 때문에 사격 뒤에 뒤따르는 불편함이 여간 큰 게 아니다.
그래서 종래 일부 양궁의 컴파운드보우나 석궁에서는 발사된 화살을 한 자리에 서서 다시 회수가 가능케 하기 위해 핸들 손잡이나 받침대 밑 방아틀 부위에 종래 낚시용 릴과 같은 회수용 줄을 감는 기구를 설치한 다음, 일부 물고기잡이용 작살(fishgig) 총기류나 고래잡이용 작살 총포류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 나크 옆쪽에 일정한 길이의 줄을 매달아 회수가 가능케 함으로써 가능한 한 화살의 분실을 막으면서 수렵(狩獵) 및 어렵(漁獵)을 어느 정도 가능케 한 장치들이 일부 개발된 사례가 있긴 하다. 그런데, 이들 방식은 구조적으로 발사후 줄의 길이가 다할때 화살이나 작살의 관성충격력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그 화살이나 작살에 적용되는 줄의 직경이 가늘 경우에는 십중팔구 그 관성충격력에 의해 줄이 끊어지기 쉽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관성충격력에 충분히 견디는 비교적 아주 무겁고 직경이 굵은 줄을 매달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거의 대부분 그 무게 또한 무시할 수 없이 크게 작용하여 오직 가벼운 화살의 관성추진력만으로는 그 무거운 줄을 이끌고 먼 거리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이끌고 가기에는 힘에 버거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는 비행속도나 비거리 감소로 인한 적중률 저하는 물론, 아무리 정조준을 한다 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중력에 의해 크게 포물선을 그리게 되므로 마땅히 먼 거리의 목표물에 정확히 정통으로 명중시킬 확률도 그만큼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를 그대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수상사격에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무리이며 실용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현재 관성충격력에 충분히 견디는 굵은 줄을 매달아 엄청난 화약 폭발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방식의 일부 총포류(銃砲類, 작살총이나 다트-총기류 및 포경포 등)를 제외하고는 양궁이나 석궁 등 활과 현을 그 주 구성요소로 하는 종래 활쏘기(사격) 방식에다 직경이 가는 낚싯줄을 그대로 적용하여 원활한 수상사격을 즐기기란 더군다나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 아니할 수가 없다. 특히 총포류에 적용되는 화살의 경우에는 순간적인 화약 폭발력의 뒤에서 미는 충격력으로 발사되므로 발사체의 무게나 발사속도 등을 고려치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직경이 가늘고 가벼운 긴 낚싯줄을 화살이나 작살 뒤에 그대로 매달 경우, 발사후 줄의 길이가 다할 때에는 대부분 엄청난 세기의 관성충격력으로 인해 십중팔구 낚싯줄이 끊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일쑤이고, 또 설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의 인장강도가 아주 큰 굵은 줄을 매달아 수상사격을 할 수는 있을지언정 그 관성충격력을 완전히 흡수할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결국 종래의 방식 그대로 줄을 매달지 않고 물가에서 수상 목표물을 향해 사격할 경우에는 발사체(projectile), 즉 양궁이나 석궁 및 총포류와 같은 일정한 발사장치에 적용되는 화살이나 작살 등을 무사히 손쉽게 회수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길게 매달 경우에는 줄끊어짐현상이나 비행속도 및 비거리 감소 등의 여러 문제점에 봉착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현재 스포츠 또는 레저 스포츠용이나 중-단거리는 물론 장거리 사격용으로서 종래와는 전혀 달리 화살 끝에 가늘고 긴 낚싯줄을 연결하여 수상 목표물을 향해 사격후 실용적이고도 편리하게 무사히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具現)된 수상사격장치(裝置)는 지금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며, 스포츠 역사상으로도 전혀 그 유례(類例)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때문에 대부분 종래 육상 클레이(clay) 사격장 등에서와 같이 육상에 일정한 사격장을 설치하여 라이플(rifle)총기류 등을 이용한 각종 사격경기나 게임을 즐길 수는 있을지언정 종래 방식 그대로 수상사격을 별무리 없이 수행해낼 수는 없는 실정이다. 한편, 해상(海上)에서의 상기 총포류를 이용한 사격의 경우는 종래 일부 군사적 해상사격훈련용 과녁으로서 대부분 소형 폐선박(廢船舶) 등을 목표물로 하여 발사체(포탄 등)를 회수할 필요가 전혀 없는 대함포사격(對艦砲射擊) 등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나, 또는 종래 소위 포경포(捕鯨砲)의 화약폭발력을 이용하여 포경용작살에 일정한 길이의 굵고 무거운 로프를 매단 발사체를 고래를 향해 발사하여 이를 포획(捕獲)하는 방식 이외에는 사실상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더구나 후자와 같은 원리를 응용하여 수상에 크기가 작은 부표 등의 목표물을 띄워 놓아 물가에서 이를 명중시켜 이끌어 내오며 즐길 수 있는 방식의 좀더 체계적인 수상사격장치는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종래 궁(弓)과 현(弦), 화살 및 낚싯줄과 관련된 사격의 경우에는 "활의 불량운동" 중 특히 아처리 파라독스(archery paradox) 현상으로 인한 적중률 저하나 화살 회전시의 줄꼬임 현상 및 화살 관성충격력에 의한 줄끊어짐 현상과 더불어 드로우랭스(draw length)와 드로우웨이트(draw weight, 활의 세기)의 구조적 한계로 인한 화살 스파인 강도와 무게의 제한 등과 같은 상호 동역학적 또는 구조적-방법적으로 여러 복합적이고 제한적인 문제로 말미암아 수상에 일정한 과녁을 설치하여 수상사격을 한다는 것은 전혀 실용적이지 못하고 무의미하며, 오히려 수상보다는 육상에 과녁을 설치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하고 바람직하기 때문에, 현재 스포츠 또는 레저 스포츠용도로서 발사체의 자유낙하시 물 밀도(密度)에 의한 충격완화 및 물 표면과의 빗면마찰저항의 원리를 이용한 수상사격을 즐길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지구상 전세계적으로 널리 산재(散在)해 있는 자연 그대로의 드넓은 강가나 바닷가 및 호수 또는 인위적(人爲的)인 실내외 풀장이나 조정경기장 등 도처(到處)에 널리 펼쳐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상사격을 즐기기 위한 보다 실용적(實用的)이고도 구체적(具體的)으로 체계(體系)화된 수상사격장치(WSD, thewater-shootingdevice)가 개발-실용화되어 실행된 적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양궁이나 석궁 또는 작살-총포류 등의 육상 또는 수상사격 방식과는 전혀 달리 충격완충용 완충장치(buffer, shock absorbing device)를 설치한 완충화살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연결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TBTDW, 150, 100)나, 그외 일정한 형태의 물에 뜨는 부표(116, 또는 표적)을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는 방식의 일정한 사격장치에 적용시켜 다양한 종목의 각종 단체 수상사격경기나 게임 및 레저스포츠 등의 다용도로 적절히 활용하여 자유자재로 수상사격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완충장치의 기능을 종래 양궁이나 석궁 또는 작살-총포류 등의 발사체에 적용시켜 수륙양용(水陸兩用)으로 수렵(狩獵)이나 어렵(漁獵)도 수행해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 상기 완충화살의 내부에는 충격완충용 완충장치로서 일정한 모양의 피스톤봉1과 압축스프링 또는 피스톤봉2와 인장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충화살발사장치나 그외 양궁이나 석궁 및 총포류 등의 일정한 발사장치에 적용시켜 발사후 줄의 길이가 다할때 완충화살의 관성충격력에 의한 줄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실내외 풀장이나 조정경기장 또는 강이나 호수 등 일정한 물위나 물가에 종래 부표나 부양체의 원리 및 도르래의 원리 등을 적용시킨 상기 수상과녁·부표이송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일정한 형태의 부표(혹은 표적) 등을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아, 상기 완충화살로 명중시킨 과녁이나 부표(또는 표적)를 종래의 릴을 이용하여 낚싯줄을 되감아들이면서 물가로 이끌어 내오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반대편에 있는 다음 과녁이나 부표가 사거리(射距離)의 위치로 이동하게 하거나 그대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수상사격경기나 게임 등을 전혀수질오염 없이 환경친화적으로 다양하고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더나아가 기존 스포츠 또는 여가 활용을 위한 레저스포츠용 활쏘기 문화에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색다른 수상사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독특하고 다양한 방식의 각종 수상사격경기나 게임 등을 자유자재로 폭넓게 활용하여 아주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흐르는 강물 한가운데에 본 발명에 따른 물오리형 부표를 떠내려 보내놓고 강가에서 이를 향해 수상-수평발사시 목표물 전방 바로 앞 지점에서 물수제비띄우는 모습을 보인 측면 예시도(A), 종래 실내외 수영경기장 등의 수상에 본 발명에 따른 수상(水上)부표(浮標)이송(移送)장치(C)를 설치한 사격장(射擊場)에서 완충화살발사장치(B)를 이용하여 부표를 향한 수상 경사-발사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 예시도{(A), (B), (C)의 도면 크기 비율 ☞ (A):(B)≒10:7, (B):(C)≒2:1}로서, 뒷회전판1의 일부를 절단해서 보인 부분 반단면도 및 이의 부력벨트1에 연결된 유동(遊動)막대와 부표의 각기 방향을 달리해서 보인 예시도(Ca), 뒷회전판1의 평면도와 유동막대 끝에 부표 대신 연결될 수 있는 부력과녁의 평면도(Cb) 및 방향을 달리해서 보인 유동막대 끝에 연결된 부력과녁의 정면도(Cc), 부력과녁에 물오리 모양의 과녁1을 부착해 보인 예시도(Ce), 유동막대에 연결된 물오리형 부표 밑에 또 다른 형태의 균형추1를 형성해 보인 측면 예시도(Cg), 부력벨트1의 확대 횡단면도(Ch)와 이의 연결부위인 커넥터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Ci).
도 2는 종래 수영경기장 등의 수상에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이송장치(B)를 설치한 사격장에서 완충화살발사장치(A)를 이용하여 과녁2를 향한 수상 경사-발사시의 측면 예시도{(A)와 (B)의 도면 크기 비율은 약 2:1}로서, 뒷회전판2의 일부를 절단해서 보인 부분 반단면도(Ba), 앞,뒷회전판2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부력벨트2에 접착되는 고정과녁의 정면도와 좌측면도(Bb) 및 우측 부력벨트2에 부착되는 고정과녁의 과녁2를 분해하여 보인 정면도와 결합시의 우측면도(Bc), 우측 부력벨트2에 부착되는 고정과녁의 키볼트와 결합너트를 일부 풀어보인 좌측면도와 완전히 분해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Bd), 수상과녁이송장치의 평면도(C).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화살(다트화살1,2와 화살1,2,3 및 완충작살)의 부분 반단면도로서, 다트화살1의 반단면도(A)와 배면도(Aa) 및 이의 화살촉을 분해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B)와 피스톤봉1에 낚싯줄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Ba) 및 피스톤봉1의 우측면도(Bb)와 L-L선 반단면도(Bc) 및 좌측면도(Bd), 압축스프링을 완전히 압축-완충시켜 보인 예시도(C), 다트화살2의 부분 반단면도(D)와 배면도(Da) 및 화살촉을 분해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E), 화살3(또는 완충작살) 길이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F)와 배면도(Fa), 화살1의 화살촉 분해시 부분 반단면도(G)와 배면도(Ga), 화살2의 화살꼬리를 분해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H)와 배면도(H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화살(다트화살3 과 화살4)의 또 다른 구성의 예를 보인 부분 반단면도로서, 다트화살3의 화살촉2와 인장스프링 및 피스톤봉2, 화살꼬리를 분해하여 보인 부분 반단면도(A), 피스톤봉2의 핀2를 일부 빼낸 상태의 정면도(Aa)와 우측면도(Ab), 핀1을 일부 빼낸 상태의 좌측면도(Ac)와 M-M선 부분 반단면도(Ad) 및 N-N선 부분 반단면도(Ae), 피스톤봉2의 핀2에 8자매듭진 낚싯줄 고리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Af), 다트화살3의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부분 반단면도(B), 인장스프링의 완전히 신장(伸張)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C), 화살4에 또 다른 크기의 인장스프링을 구성해 보인 분해 부분 반단면도(D).도 5는 도1의 부분확대도.도 6은 도2의 부분확대도.도 7은 도3과 도4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수상과녁·부표이송장치
☞ 100:수상부표이송장치{101:기둥1, 102:베어링축1, 103:앞회전판1, 104:뒷회전판1, 105:벨트홈1, 106:부력벨트1, 107:커넥터, 116:부표, 117:연결고리, 118:유동막대, 119:회전절, 120:부력과녁, 121:과녁1, 122:부양체1, 123:균형추1}
☞ 150:수상과녁이송장치{151:기둥2, 152:베어링축2, 153:뒷회전판2, 154:벨트홈2, 155:고정홈, 156:부력벨트2, 157:앞회전판2, 158:방탈(防脫)장치, 159:손잡이, 160:축1, 161:축2, 162:방탈키, 163:방탈기어, 164:고정과녁, 165:과녁2, 166:과녁고정부, 167:깔쭈기, 168:부양체2, 169:고정체, 170:균형추2, 171:카본막대, 172:결합너트, 173:키홈턱, 174:키볼트, 175:고정나사부, 176:경사조절나사}
♣007:완충화살(700:다트화살1, 701:다트화살2, 702,703,704:화살1,2,3, 705:화살촉1, 706:촉암나사부, 707:화살대, 708:앞수나사부, 710:꼬리암나사부, 711:화살꼬리, 712:꼬리수나사부, 713:날개, 714:줄활주구, 730:압축스프링, 731:피스톤봉1, 732:통기구1, 733:윤활홈1, 734:줄연결고리, 740:다트화살3, 741:화살촉2, 742:촉수나사부, 743:촉고리, 744:앞암나사부, 750:인장스프링, 751:스프링고리, 752:피스톤봉2, 753:통기구2, 754:윤활홈2, 755:핀1, 756:핀2, 757:화살4, 773:완충작살, etc.), 925:낚싯줄, 926:8자매듭
그럼 본 발명이 어떤 원리로 어떻게 구성되며 실행되는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각 해당(該當) 장치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화살은 크게 단위 부피당 질량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수륙양용(水陸兩用)으로 육상에서의 꿩과 같은 비교적 몸집이 작은 날짐승이나 들짐승, 또는 수상에서의 물오리나 숭어처럼 수면이나 수면 위에 근접한 목표물을 향해 수면 위 공기 중으로 비행하거나 수면을 따라 나란히 파도를 헤치며 나아갈 수 있게 한 완충화살 과, 수면 아래 수중으로 물의 저항을 견디며 헤치고 나아갈 수 있게 한 완충작살 로 구분 정의된다. 또한 이들은 화살대의 직경 크기나 화살 전체의 길이와 그 무게에 따라서도 다시도3,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트화살1,2(700, 701) 및 화살1,2,3(702, 703, 704)과 완충작살(773, buffer gig)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그런데, 특히 이들 내부에는 모두 공(共)히 관성(慣性)충격력에 의한 줄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화살대(707)의 직경 크기나 화살 전체의 무게 및 그 길이에 따라서 각기 그 관성충격력을 충분히 흡수 완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한 탄성계수와 길이로 된 용수철 모양의 압축스프링(730)이나 인장스프링(750)과 함께 피스톤봉1,2(731, 752) 등과 같은 일정한 형태의완충장치(buffer, shock absorbing device)가 설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완충화살이나 완충작살 모두를 통틀어완충화살(007, buffer arrow 또는 shock absorbing arrow)로 최종정의한다.
우선 상기 압축스프링(730)이 설치된 완충화살 중 다트화살1,2(700, 701)의 구성은도3(A,B),도7(도3)맨 상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대(707, 샤프트)와 날개(713)는 일괄하여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하면서 화살대(707) 앞쪽 끝부분에는 화살촉1(705)에 형성된 촉암나사부(706)와 결합하는 앞수나사부(708)를 형성하여 서로 분해결합될 수 있게끔 형성하고, 화살대 내부에는 둥근 봉상(棒狀)형 피스톤 모양의 피스톤봉1(731)과 함께 일정한 길이의 압축스프링(730)이 내설된다. 다시 상기 화살대나 화살꼬리(711) 끝 한가운데에는 일정한 굵기의 나일론 단사(單絲)의 낚싯줄이 삽탈(揷脫)되거나 활주(滑走)하는 줄활주구(714)가 형성된다. 이의 구멍 크기(직경)는 완충화살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직경이 굵은 낚싯줄을 사용하는 것이 줄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하는 데 훨씬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적용되는 낚싯줄은 가능한 한 그 구멍 사이즈에 정확히 들어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상기 피스톤봉1(731)의 구성은도3(B,Ba,Bb,Bc,Bd),도7(도3)과 같이 그 윗면 한가운데를 관통하는 작은 핀홀(pinhole) 모양의 통기구1(732)의 형성과 함께 둥근 외곽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홈을 형성한 윤활홈1(733) 및 일정한 굵기의 나일론 단사의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줄연결고리(734)가 형성된다. 상기 윤활홈1은 이곳에 종래 그리스(grease) 등과 같은 윤활제(潤滑劑)를 채워넣어 화살대 내면 둘레에 윤활제가 엷게 도포(塗布)되게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봉1이 화살대 내면을 미끄러지면서 앞뒤로의 활주(滑走)가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다시 상기 피스톤봉1(731)의 통기구1의 구성원리와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마치 종래 주사기 끝에 부착된 주삿바늘의 구멍 사이즈에 따라서 주사기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때 그 구멍으로 유통(流通)되는 공기의 양이 내부 압력(壓力)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그 힘의 세기가 달라지는 것과 거의 흡사한 원리가 적용되는데, 그 구멍 크기는 적용되는 완충화살의 무게에 따라 그 적용되는 발사장치{완충화살발사장치(000)나 그외 양궁이나 석궁 및 총포류 등}로부터 발사직후 그 완충화살이 받는 최대 추진력(원심력과 탄성력 및 화약 폭발력 등)의 세기와 더불어, 비행중 낚싯줄의 길이가 다할때 완충화살 무게가 받는 최대 관성충격력(慣性力)이 화살대 내 피스톤봉1(731)의 줄연결고리(734)에 연결된 낚싯줄에 작용할 때의 그 인장력(引張力)에 의해 피스톤봉1이 화살대 내에 미치는 내부 감압력(減壓力) 및 상기 압축스프링(730)의 압축력(壓縮力) 등과 관련하여 줄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로 제한된다.덧붙여 완충화살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에는도3(F,G,H)과 같이 화살대(707)와 더불어 이와 직경이 같은 화살꼬리(711)에 각각 꼬리암나사부(710)와 꼬리수나사부(712)를 암수나사 모양으로 형성하여 서로 분해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살1,2,3(702, 703, 704)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한편, 적용되는 발사장치에 따라서 화살대에는 화살몸통1,2,3(717, 718, 758) 등을 형성치 않고 화살대와 화살꼬리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면서 화살대(707) 앞부분에 앞수나사부(708)만을 형성하여 화살촉1(705)의 촉암나사부(706)와 직접 분해결합되게 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또다시 언급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무게와 화살대 직경 크기를 달리 크게 한 완충작살(773)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가 있고, 이의 구성 원리는 앞으로 설명되는 모든 완충화살(완충작살)에 그대로 적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완충화살에 실제로 상기 압축스프링(730)을 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화살꼬리(711) 끝의 줄활주구(714)를 통해 화살 무게에 적합한 낚싯줄(925)을 삽입하여 빼낸 다음도3(Ba),도7(도3)과 같이 그 끝에 일정한 크기의 둥근 고리를 지닌 8자매듭(926)을 지어 다시 압축스프링 내부로 삽입하여 빼낸 뒤 상기 피스톤봉1의 줄연결고리(734)에 8자매듭(926)진 고리를 연결하고,도3(A,Aa,B,C,D,Da,E)과 같은 다트화살1,2의 경우에는 순서대로 화살대의 앞수나사부(708)를 통해 화살대 내부로 밀어넣은 다음 각각의 암수나사부로 결합하여 완전히 조여서 고정시키고,도3(F,Fa,G,Ga,H,Ha)과 같은 화살1,2,3의 경우에는 화살대의 꼬리암나사부(710)를 통해 화살대 내부로 순서대로 밀어넣은 다음 각각의 암수나사부로 결합하여 단단히 조여서 고정시킨다. 사격을 마친 다음에는 화살꼬리 뒷 부분의 낚싯줄을 절단하여 일정한 8자매듭진 고리를 형성한 뒤 별도로 보관하고, 다음 사격시 릴의 낚싯줄과 곧바로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의 압축스프링 대신 인장스프링(750)이 내설된 다트화살3(740) 등의 완충화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도4(A,B),도7(도4)과 같이 전술한 다트화살1,2의 구성처럼 화살대(707)의 날개(713)는 일괄하여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하되, 화살대의 앞쪽 끝 부분에는 전술한 구성과는 달리 앞암나사부(744)를 형성하여 화살촉2(741)에 형성된 촉수나사부(742)와 결합되게 하고, 또 그 뒤쪽 끝에는 꼬리암나사부(710)를 형성하여 화살꼬리(711)에 형성된 꼬리수나사부(712)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도면과 약간 달리 화살꼬리와 화살대 전체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상기 화살촉2에는 촉고리(743)가 촉수나사부(742)와 일괄하여 함께 성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양쪽 끝에는 스프링고리(751)가 각각 형성되어 이중 하나는 화살대 내에서 상기 촉고리(743)와, 또 나머지 하나는 피스톤봉2(752)의 핀1(755)과 함께 차례로 연결된다. 다시 상기 피스톤봉2는도4(Aa,Ab,Ac,Ad,Ae,Af) 같이 전술한 피스톤봉1의 통기구1과 윤활홈1의 구성원리와 같은 통기구2(753)와 윤활홈2(754)가 형성되며, 도면상 좌우 양쪽 끝부분에는 핀1(755)과 핀2(756)가 각각 삽탈(揷脫)되는 일정한 구멍을 형성하여, 핀1은 상기 스프링고리와, 또 이보다 직경이 약간 더 굵은 핀2는 낚싯줄(925) 끝의 8자매듭(926)지어진 고리에 각각 연결되게 한다. 이런 구성원리를 바탕으로도4(D)와 같이 화살4(757) 등이 또다른 다양한 무게와 길이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완충화살에 실제로 상기 인장스프링을 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장스프링의 한쪽 스프링고리(751)를도4(Ac,Ae),도7(도4)과 같이 밖으로 일부 빼낸 상기 피스톤봉2의 핀1(755)에 연결한 다음, 화살꼬리 끝의 줄활주구(714)를 통해 안에서 밖으로 빼낸 낚싯줄 끝에 일정한 8자매듭진 고리를 형성하여도4(Ab,Ad,Af) 같이 밖으로 일부 빼낸 핀2(756)에 연결한 뒤, 다시 이들을 차례로 화살대의 꼬리암나사부(710)를 통해 안으로 밀어넣어서 밖으로 빼낸 다음, 상기 인장스프링의 나머지 한쪽 스프링고리를 상기 화살촉2의 촉고리(743)와 연결하여 그대로 각각의 암수나사부로 결합-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사격을 마친 다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낚싯줄 끝에 8자매듭진 고리를 형성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다음 사격시 릴의 낚싯줄과 곧바로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발사후 목표물을 빗나가 릴에 감긴 낚싯줄의 길이가 다해 완충화살 그 자체의 관성충격력이 낚싯줄에 미치게 되면, 그 장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봉1(731) 또는 피스톤봉2(752)가 순간적으로 뒤로 잡아당겨지게 되고, 이순간 맨 처음 일차적으로는 이들 각각에 의한 순간적인 내부감압(減壓)으로 일부의 충격이 흡수 완충됨과 동시에, 그 다음 점차 이차적으로는 상기 통기구1(732) 또는 통기구2(753)를 통해 급속히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730)의 압축(壓縮)작용이나 인장스프링(750)의 인장(引張) 또는 신장(伸張)작용으로 말미암은 완충작용으로 관성력의 충격을 완전히 흡수 완충시킴으로써 줄끊어짐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적용되는 완충화살의 무게가 크고 발사 속도가 빨라서 관성충격력의 힘이 낚싯줄에 급속히 크게 작용하면 할수록 상기 통기구1,2(732, 753)의 압축 또는 감압에 의한 완충작용이 먼저 우세(優勢)하게 작용하게 되면서 그 다음으로 점차 압축스프링(730) 또는 인장스프링(750)의 완충작용으로 나머지 관성충격력을 줄이게 되고, 완충화살의 무게가 작아 관성의 힘이 약할수록 주로 상기 압축스프링(730) 또는 인장스프링(750)의 작용에 의해 완충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시 압축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통기구1,2를 통해 공기가 반대편 밖으로 서서히 빠져나오게 되고, 피스톤봉1,2가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면서 종래 실린더 내의 피스톤과 같은 왕복운동이 자연히 일어나게 되며, 발사대에 장착된 릴(924)을 이용하여 발사된 완충화살을 회수할 때는 물의 마찰저항으로 역시 조금씩 앞뒤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끌려오게 된다. 특히 수상 수렵시 물오리 등의 사냥감을 맞춰 이끌어올 경우 그 무게가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낚싯줄은 피스톤봉1 또는 피스톤봉2를 이끌고도3(C),도4(C)와 같이 압축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이 더 이상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을 때까지 압축 또는 인장 및 원상태로의 복원을 반복함과 동시에, 화살대는 길이가 길면 길수록 명중된 물오리 등의 포획물이 벗어나려고 발버둥이치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 탄성(카본이나 티타늄합금 등으로 형성되는 그 물리적 특성)으로 옆으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적절히 대처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대로 포획물을 안전하게 물가로 이끌어내올 수가 있게 된다.이렇게 형성된 완충화살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전혀 불가능한 또 종래 석궁과 같이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전혀 실용적이지 못한 물가에서의 원활한 수상사격이 충분히 가능할 수가 있게 되는데, 종래 활에도 본 완충화살을 적용시키게 되면 수륙양용으로의 활쏘기가 미흡하나마 어느정도까지는 가능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기 위해 종래 각궁 또는 양궁의 베어보(bare bow)의 경우에는 활줌통 손잡이나 핸들의 어느 한쪽 측면 부위에 종래 낚시용 릴을 장착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들 적성에 맞게 상기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 등의 완충장치가 내설되어 또다른 형태로 새로이 구성된 완충화살에 낚싯줄을 연결하여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특히 상기 완충화살의 구성 중 화살꼬리의 화살대(shaft) 날개(713)를 종래와 같이 유연한 플라스틱 재료로 된 화살깃으로 부착해야 하며, 완충화살 전체의 길이를 종래 화살의 길이 정도로 형성하면서 화살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몸통을 형성치 않고 화살꼬리와 일체형으로 하여 화살촉과 바로 직접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완충장치(buffer)를 내설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화살꼬리(711) 끝에 4개로 균등분할된 꼬리턱(715)도 좌우대칭 2개로 하여 그 한가운데에 일정한 낚싯줄이 삽탈(揷脫)되는 줄활주구(714)를 형성하면서 그 꼬리턱과 연계하여 종래 활시위에 메길 수 있는 일정한 홈(오늬, notch)을 형성해야 한다.이렇게 하여 육상에서 다른 동물에 비해 비교적 크기가 작은 꿩이나 산토끼 등을 사냥할 경우, 목표물을 명중시에는 릴을 감거나 풀어 낚시를 하듯 힘조절을 하면서 물가로 이끌어 내올 수가 있으므로 종래 낚싯줄을 이용하지 않는 활이나 총포류의 사냥과는 전혀 달리 일단 명중된 목표물은 다른 먼 곳으로 달아나거나 작은 굴속으로 숨어들어가 완전히 놓치게 될 우려를 현저히 줄일 수가 있게 됨은 물론, 목표물을 벗어나게 되더라도 낚싯줄을 되감아들이면서 줄을 따라가기만 하면 완충화살을 분실할 우려도 거의 없게 된다. 또 목표물 뒤에 높은 나뭇가지나 단단한 바위 등의 장애물이 있어 완충화살이 목표물을 빗나가 똑바로 그곳을 향해 날아갈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그 즉시 릴 베일을 제껴올려 태클을 걸어서 낚싯줄이 더 이상 풀려나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완충화살이 높은 나뭇가지 등에 걸려 회수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단단한 바위 등에 화살촉이나 화살대가 맞부딪쳐 무뎌지거나 손상 또는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한편 수상에서는 드넓은 강가의 멀리 반대편에서 떠다니는 물오리 등의 사냥은 물론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황소개구리 등의 사냥도 할 수가 있게 되는데, 강이나 바다와 같은 물 위로 수상사격을 하게 되면 비행후 목표물을 빗나간 완충화살이 자유낙하(自由落下)시에는 육상에서와는 전혀 달리 자연적으로 물 밀도에 의한 충격완충 효과도 생기게 되며, 게다가 물의 부력과 마찰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위를 미끄러지듯이 이끌어 내올 수가 있으므로 완충화살을 전혀 파손시키지 않고 고스란히 무사히 회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수상 물오리 등의 수렵시 목표물을 명중시킬 경우에는 종래 총포류 사냥에서처럼 일일이 번거롭게 소형 모터보트 등을 타고 가서 건져내올 필요 없이 곧바로 직접 제자리에 서서 낚시를 하듯 이끌어내올 수가 있으므로 아주 재미있고 편리하게 즐길 수가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닷가 갯바위 등의 연안에서는 물 위로 뛰어오르는 습성이 있는 숭어 등의 어렵(漁獵)은 물론, 일정한 모양의 부표 밑에 여러 개의 낚싯밥을 매달고 이곳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길게 연결하여 이를 조류(潮流)에 떠밀려 내려보내 일정한 거리에서 물 위에 띄워놓게 되면 그 주변 밑으로 물고기들이 몰려들게 되므로 물의 굴절률(屈折率)을 감안하여 이들을 명중시켜 낚시를 하듯이 이끌어내오는 방식으로도 다양하게 즐길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드넓은 강가에서 물오리 등의 사냥은 각 개인에 따라서는 잔인하게 보일 수도 있고, 또 혐오감 등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으며, 자연보호 측면에서 보면 그리 썩 바람직하지 않게 보일 수도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공기소총 등의 총기류(銃器類)를 이용한 꿩이나 비둘기 등의 사냥을 대신하기 위해 육상에 별도의 일정한 클레이 사격장을 설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상 물오리 등의 사냥을 대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150, 100)를 실내외 풀장이나 조정경기장 또는 강이나 바다 호수 등 일정한 물 위나 물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물오리 사냥 등 각종 수렵(狩獵)에 견줄만한 다양한 종목의 각종 수상사격 경기나 게임 등을 아주 편리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밖에 종래 라이플(rifle)공기소총 등을 이용한 육상 클레이 사격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위 표적발사장치(trap)와 같이 전기적인 동력(動力) 등을 이용하여 물오리나 둥근 원반 등 일정한 형태의 물에 뜨는 저밀도(低密度) 표적(標的) 혹은 부표 등을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물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는 방식의 일정한 사격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본 완충화살을 이용함으로써 명중시 표적이나 부표를 전혀 격파시키지 않고 고스란히 수면 위에 뜬 채로 물가로 이끌어내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폐기치 않고 그대로 여러 번 다시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와는 아주 색다른환경친화적인각종 수상사격경기나 게임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게끔 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들은 종래 육상 클레이 사격장에 일반화되어 있는 표적발사장치나 그외 수상 선박 및 부양체의 원리 등을 적용시켜 얼마든지 새로이 형성될 수가 있으므로 여기서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그럼 우선 상기 수상부표이송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이는도1,도5와 같이 실내외 수영장 등의 물 밑 바닥 앞뒤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각기 콘크리트 기초를 토대로 하여 일정한 볼트와 너트 등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한 둥근 원주형 기둥1(101)을 세우고, 이들 앞뒤 기둥1 양쪽에 다 같이 수면과 연접(連接)하여 각기 종래의 고정도르래 즉, 풀리(pulley)의 원리를 응용한 원판형(圓板形)의 둥근 앞회전판1(103)과 뒷회전판1(104)을 일정한 크기로 각각의 베어링축1(102, 종래 볼베어링이나 미끄럼마찰베어링 등)에 똑같이 형성하고, 다시 이들 앞,뒷회전판1의 각기 둘레 측면 한가운데에 형성된 벨트홈1(105)에는 좌우 2개의 커넥터(107)로 접합-연결된 부력벨트1(106)를 걸어서 이 부력벨트1에 작용하는 일정한 외력(外力)에 의해 벨트홈1과의 그 표면마찰력으로 서로 맞물려 앞,뒷회전판1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좌우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키는 유동(遊動)막대(118)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그 나머지 한쪽 끝은 다시 부표(116)의 연결고리(117)에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부력과녁(120)의 회전절(119)에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본 완충화살발사장치(000) 등의 일정한 발사장치로 완충화살을 발사하여 상기 부력과녁의 과녁1(121)이나 부표(116)를 명중시킨 다음 각 해당 발사장치에 장착된 릴을 이용하여 이끌어오게 되면 반대편에 있는 부력과녁이나 부표가 사거리(射距離)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전혀 그 어떤 전기적 동력(動力)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다음 사격할 준비를 마무리할 수가 있게 된다.
이들의 구성과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앞,뒷회전판1은 각기 일정한 형틀에 넣어 알루미늄 경합금(輕合金)이나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주형제작되는데, 이때 무게를 줄이기 위해도1(Ca,Cb),도5와 같이 위아래 서로 대칭을 이루는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한가운데 원판형(圓板形)의 얇은 판이 바깥 테두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하되, 회전시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종래 도르래 바퀴의 뼈대가 되는 살 형태와는 전혀 달리 원판 내에 그 어떤 구멍도 내지 않는다. 또, 측면 벨트홈1(105)의 크기는 적용되는 부력벨트1(106)의 직경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다음 상기 부력벨트1(106)은 중력에 의한 줄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고무류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이의 평균밀도를 적용되는 물의 밀도와 거의 같게 안팎 이중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러기 위해 이의 내부 한가운데에는 저밀도(低密度) 플라스틱 재료로도1(Ch,Ci)과 같이 스폰지 모양의 다공질성(多孔質性) 둥근 봉 모양으로 길게 성형하면서 다시 이 위에 질기고 인장력이 큰 합성고무류의 재료로 두껍게 피복하여 길게 뽑아 낸 다음 각 앞,뒷회전판1 사이의 거리에 맞춰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고, 다시도1,도5(Ca,Cb,Ci)와 같은 커넥터(107)로 연결하여 둥근 풀리용 벨트 모양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수중에서는 물의 부력을 받아 일정한 지점에 물 표면과 나란히 떠 있게 하고 일정한 외부 장력(張力)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앞,뒷회전판1(103, 104)의 일정한 거리에 맞춰 각각의 벨트홈1(105)에 걸게 되면 부력벨트1에 그리 큰 장력을 미치지 않고도 수면 일정한 지점에 떠서 거의 일직선으로 앞,뒷회전판1을 서로 맞물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중력에 의한 수직(垂直)항력(抗力)이 작으면서도 줄처짐현상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이에 연결된 상기 부표나 부력과녁을 완충화살로 명중시 거의 힘들이지 않고 아주 손쉽게 물가로 이끌어 내올 수가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유동막대(118)의 구성은 가볍고 인장강도가 크며 특히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poly-amide)계 나일론-66와 같은 휘기쉬운(flexible) 성질(직경을 굵게 하면 딱딱해지고 가늘게 하면 유연해지는 특성)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직경이 가는 둥근 봉상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유동(遊動)이 가능하되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거리를 유지-지탱할 수 있는 강도로 형성되며, 그 끝에는도1(Ca,Cb,Cc,Ci),도5(Ci)와 같이 일정한 리벳이나 나사로 각 해당(該當) 회전절(119)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그 한쪽 끝은 위아래 상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일정한 회전절(119)이 형성된 상기 커넥터(107)에 연결되고, 나머지 한쪽은 상기 부표의 연결고리(117)에 연결되는 일정한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부력과녁(120)의 회전절과 연결되게 한다. 덧붙여 도면과는 약간 달리 상기 커넥터의 회전부위와 연결된 회전절 사이의 막대를 유동막대로 형성하여 그 회전절에 바로 직접 상기 부력과녁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유동막대는 상기 부표나 부력과녁을 상기 뒷회전판1 부력벨트1(106)의 좌우 어느 한쪽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유지지탱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사격시의 실수로 완충화살이 과녁1을 빗나가더라도 뒷회전판1 등 본 장치에 맞부딪히게 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가 있게 되므로 화살촉이 서로 맞부딪혀 무뎌지거나 손상을 입힐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되고, 특히 부력과녁의 경우에는 파도나 물결의 움직임에 따라 단지 상하 한쪽 방향으로만 자유로이 움직이게 되면서 사격시 과녁1(121)을 거의 항상 정면으로만 향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부표와 부력과녁의 구성과 관련, 전자의 부표는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또 완충화살로 명중시 화살촉이 내부에 박힐 수 있고 다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스폰지 모양의 다공질성 저밀도 합성 고무류나 플라스틱 재료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공 모양이나 물오리 혹은 물고기 등과 같은 형상으로 일정한 형틀에 넣어 일정한 밀도로 성형될 수가 있는데, 특히도1(Cg),도5와 같이 물오리 등의 형상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밑 바닥 균형추1(123) 내에 일정한 무게의 연질(軟質) 납{화살촉 재질의 경도(硬度)보다는 훨씬 낮은 반면 그 밀도(密度)는 훨씬 큰 것으로서, 단, 수질오염을 방지키 위해서는 이에 준하는 밀도가 매우 높은 플라스틱류나 동(銅) 등의 금속 재료로 대체할 수도 있음} 등을 분산(分散)-부착-성형하여 무게중심이 아래에 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위에 자세를 바로 세워 밸런스를 유지해 가며 떠있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명중된 화살촉이 밑 바닥 납 부위에 맞부딪치더라도 촉 끝이 잘 무뎌지지 않게 하고, 물고기 형상의 경우에는 수중의 어느 일정한 지점에 잠수해 떠있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 후자의 상기 부력과녁(120)의 구성은도1(Cc,Ce),도5,도2(Bd),도6과 같이 일정한 물의 부력을 받는 부양체1(122)의 밑 부분에는 일정한 무게의 질량이 큰 납이나 동(銅)과 같은 물질로 채워진 균형추1(123)이 일괄하여 함께 성형되어 그 전체 무게중심을 맨 아래에 둠으로써 그 부양체1 위에 상기 과녁1(121)이 결합되더라도 물 위에서 밸런스를 잃지 않고 자세를 바로 세울 수 있게끔 형성된다. 상기 부양체1의 윗면에서 내부 한가운데로는도1(Cc),도2(Bb~Bd),도6과 같이 일정한 홈에 둥근 막대형의 카본막대(171)가 접합되고, 이의 나머지 끝 부분에는 결합너트(172)와 키홈턱(173) 및 키볼트(174)와 고정나사부(175)가 서로 분해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과녁1(121)이 결합되게 형성되는데, 이같은 연결부위는 차후에 다시 설명하게 될 수상과녁이송장치(150)의 고정과녁(164)의 구성과 상당부분 일치하므로 보다 자세한 것은 이의 구성에서 또다시 언급하고자 한다.
다시 상기 부력과녁의 구성과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부양체1은 다공질성(多孔質性) 저밀도의 합성 고무류나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일정한 형틀에 넣어 일정한 밀도의 둥근 원기둥 스폰지 모양으로 성형된다. 상기 과녁1은 완충화살로 명중시 부서지지 않고 화살촉이 그대로 꽂힐 수 있도록 재질이 연하면서도 보형성이 좋고 수분이 잘 흡습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되고, 과녁1 바로 밑에는 경사조절나사(176)를 형성하여 결합시 과녁1이 일정한 측면경사를 이룰 수도 있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부력과녁은 다시 상기 부력벨트1 커넥터의 유동막대 회전절(119)에 연결되고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균형추1(123)의 무게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그 무게에 따라 부양체1(122)의 윗면이 물 표면과 나란히 떠 있을 수도 있고, 물속으로 일부 잠수해 들어가 과녁1만을 물 표면 위에 내밀어 자세를 바로 세워 안정감을 갖고 균형을 유지하며 떠 있게 하거나, 또는 수중으로 완전히 들어가 어느 일정한 지점에서 자세를 바로 세워 떠 있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과녁1 대신도1(Ce),도5와 같이 상기 부표의 물오리나 물고기와 같은 일정한 동물 형상의 과녁1을 부착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때 물오리의 경우는 그 과녁1만이 물 위로 내밀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물고기의 경우에는 수중의 어느 일정한 지점에 잠수해 그 과녁1을 바로 세워 균형을 유지하며 떠 있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물오리의 경우에는 완충화살 중 특히 다트화살1,2(700, 701) 등을 물 표면에 나란히 혹은 약간 비스듬히 발사하게 되면, 과녁1 바로 앞에서 물 표면과의 빗면마찰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표면 위를 마치 물수제비띄우듯이 스치듯 돌진시키게 됨으로써 그만큼 명중률을 훨씬 더 높일 수도 있게 되는데, 이같은 사격방식은 상기 부표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수상부표이송장치에 연결된 부표나 부력과녁은 바람이나 그 외 여러 물리적 작용요인으로 인해 물결이 심하게 일 경우에는 이의 영향을 받아 과녁1도 상하좌우로 크게 움직이게 되므로 그만큼 사격시의 명중률이 떨어질 수가 있게 되는데, 그래서 좀더 정확한 사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또 다른 수상과녁이송장치(150)를 구성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수상부표이송장치(100)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물 위에 떠서 유동이 자유로운 부표(116) 또는 부력과녁(120)을 이송할 수 있게 한 장치를수상부표이송장치로, 또 물 위에 떠서 이동은 가능하나 단지 사격시에만 고정과녁(164)이 움직이지 않도록 일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장치를수상과녁이송장치정의한다. 즉 다 같이 공히 일정한 부력을 받는 부양체1,2(122, 168) 위에 같은 모양의 과녁1(121) 또는 과녁2(165)가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격 당시 물 위에서 이들의 고정-여부(與否)에 따라 수상과녁이송장치 또는 수상부표이송장치로 구분되는 셈이다.
상기 수상과녁이송장치(150)의 전반적인 구성은, 전술한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하여,도2(B)와 같이 물 밑 바닥 앞뒤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콘크리트 기초를 다져 이를 토대로 일정한 볼트와 너트 등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한 둥근 원주형 기둥2(151) 두개를 세우고, 이들 앞뒤 기둥2 윗부분 양쪽에 다 같이 수면과 연접(連接)하여 형성된 일정한 베어링축2(152)에 각기 종래 풀리(pulley)의 원리를 응용한 원판형(圓板形)의 앞회전판2(157)와 뒷회전판2(153)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한다. 다시 이들 앞,뒷회전판2는도2(Ba),도6과 같이 측면부의 높이를 전술한 앞,뒷회전판1보다 훨씬 더 두껍게 형성하면서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위아래 내부 안쪽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일정한 빈 공간의 홈을 두어 내부 한가운데 원판형의 얇은 판이 바깥 테두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하되, 회전시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판 내에 그 어떤 구멍도 내지 않는다. 또, 이들 측면 한가운데에는 각기 이중의 둥근 홈으로 된 벨트홈2(154)와 고정홈(155)을 형성하여 전자의 벨트홈2에는 부력벨트2(156)가 삽탈(揷脫)되도록 하고, 후자의 고정홈으로는도2(Bb,Bc,Bd)와 같이 상기 부력벨트2의 좌우 커넥터(107) 부위에 각각 접합된 부양체2(168)의 고정체(169)가 삽탈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부력벨트2에 작용하는 일정한 외력(外力) 혹은 장력(張力)에 의해 앞,뒷회전판2의 벨트홈2와 그 표면마찰로 서로 맞물고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다시 상기 앞회전판2(157)와 기둥2(151)에 형성되는 방탈(防脫)장치(158)의 구성원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도2(B,C),도6과 같이 상기 기둥2(151) 윗면에는 일정한 볼트로 고정되는 일정한 기어(gear) 모양의 방탈기어(163)가 앞회전판2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앞회전판2의 윗면 바깥 테두리의 축1(160) 밑 바닥에는 일정한 탄성계수의 판스프링이 설치되면서 그 축1에 다시 일정한 모양의 손잡이(159)가 연결되어 상기 축1을 중심축(받침점)으로 하여 빗면마찰 및 제1종지레의 원리를 바탕으로 상기 손잡이를 앞으로 당겨서 열고 뒤로 밀어서 닫을 수 있게 형성된다. 다시 이들 축1과 손잡이 사이 축2(161)에는 방탈키(162)가 연결되어 그 끝이 상하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되면서 중력의 작용으로 그 밑 바닥 면이 상기 축1과 연결된 막대형 바닥 윗면에 자연적으로 놓이게끔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손잡이를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방탈키도 함께 앞뒤로 미끄러지면서 직선 운동할 수 있게 되고, 이 방탈키의 끝이 상기 기둥2(151)에 고정된 방탈기어의 기어 홈에 들어가게 되면 그 앞회전판2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관련, 상기 부력벨트2의 커넥터에 연결된 고정과녁(164)이 상기 뒷회전판2(153)의 좌우 어느 한쪽 측면부에 가까이 위치할때, 상기 방탈장치의 손잡이(159)를 잡고 앞회전판2를 좌우로(시계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뒷회전판2가 부력벨트2와의 표면마찰로 함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양체2(168) 고정체(169)가 뒷회전판2의 고정홈(155)에 맞물려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부력벨트2에는 이전 보다 약간 더 강한 장력이 발생하여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부양체2가 뒷회전판2의 좌우 한쪽 측면부에 밀착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그대로 손잡이를 밀어서 상기 방탈키(162)를 방탈기어(163)의 홈 안에 삽입하여 닫게 되면 외부 그 어떠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앞회전판2는 좌우 그 어느 방향으로도 전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뒷회전판2도 함께 부력벨트2의 장력에 의해 그대로 고정되어 상기 부양체2를 상하좌우 그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결국 상기 고정과녁을 뒷회전판2 측면부에 일시적으로 밀착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고정과녁의 과녁2(165)를 완충화살로 명중시켜 상기 방탈장치를 풀어 종래의 릴을 이용하여 이끌어오게 되면 반대편에 있는 다음 고정과녁이 사거리(射距離)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상기 방탈장치로 그 부양체2를 뒷회전판2의 반대편 측면부에 일시 고정하게 됨으로써 편리하게 다음 사격할 준비가 마무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앞회전판2 주변에는 물가의 콘크리트 바닥면과 연계하여 물 안쪽 앞회전판2 좌우 일정한 지점으로 강화-플라스틱이나 강철판 등으로 된 일정한 발판을 형성하여 이를 밟고 물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방탈장치의 사용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이끌어온 고정과녁의 과녁2(165)로부터 완충화살의 회수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명중된 과녁2(165)로 부터 완충화살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판을 밟고 들어가 손잡이(159)를 바깥쪽으로 제끼면서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방탈키가 방탈기어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뒷회전판2의 고정홈에 맞물린 고정체도 그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빠져나오면서 부력벨트2를 다시 원래의 느슨한 상태로 복원시키게 되므로 그대로 상기 고정과녁을 종래의 릴을 이용해 손쉽게 이끌어 내올 수가 있게 되며, 다시 발판을 밟고 들어가 이끌어 온 그 과녁2(165)로부터 종래 장족(獐足) 모양의 일정한 화살 빼는 기구 등을 사용하여 박힌 화살촉을 빼내 완충화살을 회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고정과녁의 과녁2(165)는 전술한 부력과녁의 과녁1(121)과는 달리 그 부양체2로부터 비교적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 그 크기도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과녁2 그 자체 무게가 부양체2의 부력에 비해 훨씬 더 무거워져 그 부양체2의 부양축(浮揚軸)에 위치한 부력중심으로부터의 그 무게중심이 훨씬 더 위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게 마련이므로, 결국 고정과녁은 비록 그 부양체2의 부력에 대응하여 균형추2(170)의 무게가 작용한다 하더라도 그 과녁2(165)의 무게로 인해 스스로는 그 자세를 똑바로 세우지 못하고 물 표면 위에 약간 기울어져 놓일 수가 있게 되며, 또 이끌어 올때도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채로 이끌려올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다시 상기 고정과녁(164)을 뒷회전판2 측면부에 밀착시키게 되면 과녁2의 자세를 즉시 정면을 향해 똑바로 세울 수가 있게 되므로 상기 과녁2의 크기를 과녁1보다 어느정도 더 크게 형성한다 하더라도 거의 문제될 것이 없게 된다. 덧붙여 상기 부력벨트2에는 전술한 부력벨트1(106)보다 약간 더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의 구성은 가능한 한 고탄력성 합성고무 등의 재료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직경도 약간 더 굵게 형성함으로써 그 인장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음 상기 고정과녁(164)과 부력벨트2(156)의 구성과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부양체2(168)는 전술한 부력과녁과 같은 원리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형성하되, 이의 측면에는 상기 뒷회전판2의 고정홈(155)에 삽탈되는 고정체(169)가 일괄하여 함께 성형되며, 이는도2(Bb,Bc,Bd),도6과 같이 상기 부력벨트2 좌우 커넥터(107)에 연접(連接)한 일정 부위에 내수성 강력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체 대신 전술한 부력과녁의 부양체1(122)처럼 일정한 회전절을 형성하여 커넥터(107)의 회전부위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음을 아울러 명시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부양체2(168)는 부양체1(122)과 같이 다공질성의 합성고무류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일정한 모양의 형틀에 넣어 일정한 부력을 받을 수 있게 성형되고, 그 밑 부분에는 일정한 무게의 균형추2(170)가 형성된다. 상기 균형추2의 내부 한가운데에는 일정한 무게의 연질(軟質)납을 일괄하여 함께 성형접합하여 부양체2를 물 위에 자세를 똑바로 세워서 뜰 수 있게 하되, 상기 부양체2 고정체(169)의 위치는 수중에서 상기 뒷회전판2의 고정홈(155)과 거의 일치되는 지점에 있게끔 그 밀도를 적절히 조절-성형함으로써 부력벨트2의 움직임에 따라 그 고정체가 뒷회전판2의 고정홈에 손쉽게 맞물려 들어갈 수 있게끔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시 상기 부양체2의 윗면에서 내부 한가운데로는도2(Bb,Bc,Bd),도6과 같이 카본이나 유리섬유 소재 등으로 된 둥근 막대 형의 카본막대(171)를 내수성 강력접착제로 접합하고, 이 끝에는 다시 결합너트(172) 내에 삽탈(揷脫)되면서 키볼트(174)의 사각키에 들어맞는 키홈턱(173)을 형성한다. 상기 키볼트(174)는 알루미늄 경합금이나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과녁2의 과녁고정부(166)와 경사조절나사(176)로 결합되는 일정한 암나사를 형성한 고정나사부(175)가 일괄하여 함께 성형된다. 상기 과녁고정부에는 상기 경사조절나사가 관통하는 일정한 구멍을 형성하고 결합시 앞뒤로 회전하지 않고 단단히 밀착고정되도록 서로 맞닺는 접촉면에는 암수 요철(凹凸)형의 깔쭈기(167) 등을 형성함으로써 경사조절나사로 과녁2의 경사를 일정하게 조절-결합할 수 있게 한다. 덧붙여 상기 과녁2(165)는 전술한 과녁1(121)과 같은 원리로 화살촉이 박힐 수 있는 다공질성(多孔質性)의 합성고무류나 플라스틱류로 성형한다{도1(Cc),도2(B,C)참조}.
이렇게 형성된 상기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를 실내외 수영경기장(길이 50m×폭 25m)의 길이 50m 풀 내에서 사거리(射距離) 약 40m 정도로 설치한 사격장에서 수상사격할 경우, 낚싯줄의 길이는 약 45m 정도 되게 설정하여 릴의 라인홀더에 고정한 다음, 상기 과녁1이나 과녁2 또는 부표를 향해 완충화살을 발사하여 이들을 명중시키게 되면 제자리에 서서 곧바로 직접 이들을 물가로 이끌어 내올 수가 있게 되고, 자동으로 다음 과녁1이나 과녁2 또는 부표가 사거리의 위치로 이송되게 됨으로써 편리하게 다음 사격할 준비를 마무리할 수가 있게 된다. 발사후 목표물을 빗나간 완충화살은, 이미 일정한 사거리에 맞춰 종래 릴의 라인홀더에 낚싯줄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길이가 다하게 되면 완충화살은 더이상 앞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멈춰서게 되는데, 이때 완충화살이 받는 강력한 관성충격력을 그대로 본 완충장치가 완충시키게 되므로 낚싯줄이 전혀 끊어지거나 하지 않게 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고, 또 곧바로 물 위로 떨어질 때에는 물 밀도에 의한 완충효과도 저절로 생기게 되므로 종래 육상 활쏘기와는 전혀 달리 완충화살에 그 어떤 손상도 주지 않게 되면서도, 릴을 되감아 낚싯줄을 거둬들이게 되면 물 표면과의 빗면마찰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표면 위를 스치듯이 안전하게 이끌어내올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이때 본 장치의 유동막대(118) 등에 걸릴 우려 없이 무사히 완충화살을 회수할 수가 있는 데다가, 뒷회전판1(104)이나 뒷회전판2(153) 등의 그 어떤 부위에 걸릴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발사장치를 옆으로 돌려 이끌어오게 되면 별무리 없이 안전하게 완충화살을 회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는 전술한 부양체1,2(122, 168) 밑에 형성되는 균형추1,2(123, 170) 내의 납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重金屬)을 이에 준하는 다른 무해한 동이나 플라스틱류로 대체하거나, 또는 그 중금속이 그대로 물에 장기간 노출되어 녹아 들지 않게끔 형성하고, 다시 반드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히 관리조치하기만 한다면, 전혀 수질오염(水質汚染) 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얼마든지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으로 다양한 수상사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자연과 벗하는 강가는 물론 종래 조정(漕艇)경기장이나 실내 및 실외 수영(水泳)경기장에서도 종래 총포류사격장과 같이 본 장치를 옆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히 여러 개를 줄지어 설치하여 단체 수상사격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데, 특히 후자의 실내외 수영경기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물 밑 바닥 또는 물 표면에 접한 벽면이나 윗바닥면 앞뒤에 일정한 볼트와 너트 등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는 일정한 연결부위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그리 큰 비용이 들지도 않으며, 이렇게 하여 비수기 때는 본 장치를 조립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해 내게 되면 하나의 장소에서 수영은 물론 수상사격이나 게임을 번갈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그럼 끝으로 상기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를 설치한 사격장에서의 수상사격경기 방법의 예를 간단히 들어보고자 한다. 상기 고정과녁(164)의 경우 과녁2(165)를 명중시켜 물가로 이끌어올 때마다 과녁2의 정중앙으로부터의 부위별 명중도에 따라 점수가 추가 또는 감소되며, 과녁2를 명중시키더라도 이끌어내오는 도중 화살촉이 빠져 더이상 과녁2를 이끌어오지 못하게 되면 그 어떠한 점수도 인정하지 않는 등의 방식으로도 점수를 매겨 우승자를 가릴 수가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부력과녁(120)의 경우에는 상기 부양체1 밑에 부착되는 균형추1(123)의 납이나 동(銅)의 무게에 따라 수면 바로 아래 수중의 일정한 지점에 떠 있게 하거나 또는 물 표면 위에 과녁1을 내밀게 하여 상기의 방식대로 일정한 점수를 획득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부표(116)들 중 물오리나 물고기 등의 형상을 한 경우에도 그 밑에 부착되는 납이나 동(銅)의 무게에 따라 역시 수중 또는 수면 위로 잠수하거나 떠 있게 하여 이를 명중시켜 이끌어내올 때마다 일정한 점수를 획득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부표 주변에 물오리 모양을 한 풍선 등을 여러 개 매달 경우에는 우선 완충화살로 그 풍선을 모두 명중시켜 다 터뜰이고 난 다음 마지막으로 부표를 명중시켜 이끌어 오는 방식으로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다트의 게임 방식을 적용시킬 수도 있고, 완충화살의 길이나 무게를 달리함에 따라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단체 수상사격경기나 게임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 육상 사격방식과는 전혀 달리, 일정한 완충장치(Buffer)가 설치된 완충화살을 이용함으로써, 목표물을 빗나간 완충화살이 받는 강력한 관성충격력을 그대로 본 완충장치가 완충시켜 줄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낚싯줄을 연결하여 수상 물 위로 직접 사격을 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고, 또 완충화살이 곧바로 물 위로 낙하할 때에는 물 밀도에 의한 충격 완충효과도 저절로 생기므로 종래 육상 활쏘기와는 전혀 달리 완충화살에 그 어떤 손상도 주지 않으면서도, 릴을 되감아 낚싯줄을 거둬들이게 되면 물 표면과의 빗면마찰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가로 안전하게 이끌어내올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완충장치의 기능을 종래 양궁이나 석궁 및 총포류의 화살이나 작살 모양의 발사체 내에 적용시키게 되면 수륙양용(水陸兩用)으로 수렵(狩獵)이나 어렵(漁獵)도 즐길 수가 있음은 물론, 더나아가 대형작살을 이용한 포경(捕鯨)이나 이에 준하는 수상사격도 얼마든지 수행해낼 수가 있게 된다.자신의 취향과 역량에 맞는 발사장치(완충화살발사장치나 양궁과 석궁 및 총포류)와 이에 적용되는 완충화살에 적합한 굵기의 낚싯줄을 적절히 사용하기만 한다면, 전혀 낚싯줄이 끊어지지 않게 할 수가 있음은 물론, 릴의 라인홀더 등에 심한 손상을 준다거나 완충화살을 훼손 또는 분실할 염려도 거의 없게 된다. 설사 실수로 적용되는 발사장치 어느 한 부위에 낚싯줄이 걸려 완충화살의 비행이 급속히 정지된다손 치더라도 그 내부에 설치된 완충장치로 인해 그 순간의 관성충격력을 일부 흡수 완충시키게 되므로 종래처럼 낚싯줄에 미치는 장력과 탄성력으로 인해 완충화살이 그 즉시 사수한테로 되돌아와 안면 등 신체 일부위에 큰 부상을 입힐 우려도 거의 없게 된다.종래의 활쏘기 방식 그대로는 드넓은 강가나 바닷가에서 야생의 물오리 등을 사냥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본 발명 완충화살을 이용함으로써 적용되는 발사장치에 따라 수상으로의 단거리 장거리 사격은 물론, 소형 나룻배나 모터보트를 타고갈 수조차 없는 늪지대 등의 악조건 상황하에서도 명중된 목표물을 한자리에 서서 일정한 발사장치에 장착된 릴을 이용하여 마치 낚시를 하듯이 물가로 이끌어내올 수가 있게 되므로 아주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전혀 경험해 볼 수 없는 아주 색다른 손맛도 더불어 함께 만끽할 수가 있게 된다.한편, 물오리나 공 모양 및 둥근 원반 등 일정한 형태의 물에 뜨는 부표(116. 혹은 표적) 등을 흐르는 물이나 정지된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아 상기 완충화살로 명중시켜 물가로 이끌어내올 수 있게 한 일정한 사격장치 등을 실내외 풀장이나 조정경기장 및 강이나 호수 등의 일정한 물위나 물가에 설치함으로써 얼마든지수질오염 없이 환경친화적으로 여러 다양하고 독특한 각종 수상사격경기나 게임을 아주 재미있게 즐길 수가 있게 된다. 종래 라이플 총기류를 이용한 육상 클레이 사격에서는 접시 모양의 표적을 공중으로 날려보내 이를 격파하고 명중시키지 못한 것은 그대로 폐기처분할 수밖에 없으므로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環境汚染)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화약 폭발력으로 탄알을 발사하므로 그 소음이 너무 커서 사격장을 설치하는 데 있어 장소의 제한성이 있으며, 또 탄약(彈藥)에 추가적 비용이 많이 들어 일부 부유한 계층만이 즐길 수가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계층간의 위화감(違和感)을 조성하는 등 스포츠 본래의 목적에 반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완충화살발사장치나 그외 종래 양궁이나 석궁에 완충화살을 적용시키게 되면, 소음도 그리 크게 발생하지 않아 장소의 제한성이 거의 없을 뿐더러 발사체를 날려보내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 또한 거의 들지 않으며, 무엇보다 특히 물에 뜨는 표적을 일정한 수면 위로 발사하여 공중에서 이를 명중시키게 되면 자연적으로 완충화살이 표적과 함께 물 위로 낙하(落下)하기 때문에 물 밀도의 완충작용으로 이들을 전혀 파손시키지 않고 고스란히 물가로 이끌어 내올 수가 있고, 또 명중시키지 못한 것은 물 위에 띄워놓은 상태에서 그대로 다시 명중시켜 여러번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가 있으므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종래와는 아주 색다른 수상사격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더우기 자연과 벗하는 강가나 조정경기장은 물론 실내외 수영경기장에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그리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비수기 등 적절한 때에 언제든지 독특한 수상사격을 즐길 수가 있으며, 특히 물고기나 물오리 모양을 한 부표 또는 물오리 모양의 과녁1을 부착한 부력과녁을 수면 위나 그 바로 아래 수중의 일정한 지점에 떠 있게 하거나 잠수시켜 본 완충화살을 이용한 다양한 수상사격을 즐길 수가 있는 데다가, 고정과녁의 경우에는 과녁2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수상사격을 즐길 수도 있게 된다. 이같은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는 전혀 수질오염 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얼마든지환경친화적으로 설치-관리할 수가 있음은 물론, 본 완충화살발사장치를 이용한 물오리 등의 사냥을 대신할 수가 있어 자연보호 측면에서도 이로우며, 하나의 장소에서 다양한 수상사격경기나 게임을 즐길 수가 있어 여러모로 아주 효과적일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일일이 과녁을 빗나간 화살을 회수하러 이리저리 찾아다닐 필요 없이 제자리에 서서 완충화살의 회수가 가능한 데다가, 회수와 동시에 반대편에 있는 부력과녁이나 부표 또는 고정과녁이 사거리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송하게 됨으로써 다음 사격할 준비가 거의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게 수상사격을 자유자재로 즐길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실외 수영장이나 조정경기장에 상기 수상부표이송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비록 사거리가 일정하게 정해진다 하더라도 파도가 있는 곳에서는 물의 출렁거림 등 주변 여러 물리적 작용요인에 따른 변수가 많으므로 부력과녁의 과녁1이나 부표 등에 완충화살을 명중시키는 결과를 끝까지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이같은 점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보다 더 도전하고싶은 욕망을 불러일으켜 더한층 재미와 흥미를 느끼게 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는 종래 골프(golf)에서 필드에 바람이 불거나 지형이 러프(rough)하고 모래 벙커가 있는 등 주변의 여러 환경적 변수에 따라 결과를 끝까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골퍼들로 하여금 보다 더 재미를 느끼고 도전하고싶은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원리와 거의 흡사다고 볼 수가 있다. 이같은 수상부표이송장치를 설치한 사격장에 완충화살을 적용시킨 사격방식은 종래 육상 사격방식으로는 도저히 흉내낼 수조차 없는 아주 매력적인 효과를 낼 수가 있으며, 각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는 나름대로 종래와는 사뭇 색다른 아주 재미있고 멋진 장면을 아주 다양하게 연출(演出)해 보임으로써 또 다른 독특한수상사격 문화를 창출(創出)해 낼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양궁이나 석궁 등의 전형(典刑)적인 육상 활쏘기 방식으로부터 탈피, 일정한 길이의 가벼운 낚싯줄을 완충화살에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과녁ㆍ부표이송장치 등을 설치한 수상사격장에 적용시킴으로써 보다 독특하고 폭넓은 차원의 각종 단체 수상사격 경기나 게임 등을 다양하게 자유자재로 즐길 수 있게 하는 등 그 외 전술한 바의 여러 특장점과 기능 및 다양하고 아주 매력적인 효과를 지닌 것으로서, 종래 양궁이나 석궁 및 총포류 등의 육상 사격방식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 매우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레저 스포츠로서의 개발(開發)-육성(育成)할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 참고문헌 ♣
1)康徐文 등 공저, 대학물리학, 형설출판사, 1987.2)吳世榮, 유체역학(건설·기계 기사 2급 문제지), 태일출판사, 1994.3)韓咸潤 등 공저, 일반물리학, 형설출판사, 1999.4)李完浩 등 공저, 일반물리학, 교문사, 1999.5)물리교재편찬위원회 옮김, 대학물리학, 청문각, 1999.6)박이동, 기초 유체역학, 보성각, 1998.7)朴鍾鎬 등 공저, 기본 유체역학, 동명사, 1998.8)李熙穆, 응용역학, 구미서관, 1999.9)윤종호 등 공저, 동역학, 반도출판사, 1999.10)이택식 등 공저, 유체역학, 汎韓書籍株式會社, 1997.11)洪明雄 編譯, 플라스틱원재료입문, 弘益齋, 1992.12)柳炳烈 編譯, 플라스틱금형, 성안당, 1998.13)全在根, 식품공학, 개문사, 1985.14)한국체육과학연구원, 양궁경기훈련지도서, 서울:21세기교육사,p.17~48, 1992.15)장용수외 2인 공저, 양궁 Archery, 서울:대경북스, 2000.16)인터넷 홈페이지(http://www.win-archery.com/).

Claims (3)

  1. 화살이나 작살 모양의 발사체 내에 완충장치로서 압축스프링(730)과 피스톤봉1(731) 및 인장스프링(750)과 피스톤봉2(752)가 내설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양 끝단 스프링고리(751)는 각각 화살촉2의 촉고리(743)와 상기 피스톤봉2의 핀1(755)에 연결하여 형성된 완충화살(007, 완충작살)과,
    일정한 형태의 물에 뜨는 표적(116)을 수면 위로 발사하거나 띄워놓을 수 있게 형성된 일정한 사격장치와,
    일정한 베어링축1(102)이 형성된 원판형의 앞,뒷회전판1(103,104)을 각각 수상 앞뒤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면에 위치시켜 이들 벨트홈1(105)에 좌우 2개의 커넥터(107)로 연결된 부력벨트1(106)을 걸어서, 그 커넥터에 유동막대(118)로 부표(116)와 부력과녁(120)을 연결하여 형성된 수상부표이송장치(100)와,
    물 밑 바닥 앞뒤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세운 기둥2(151)에 결합된 일정한 베어링축2(152)가 형성된 원판형의 앞,뒷회전판2(157,153)를 각각 수면에 위치시켜 이들 벨트홈2(154)에 부력벨트2(156)를 걸어서 그 좌우 커넥터(107)에는 고정과녁(164)이 연결되고, 이를 상기 뒷회전판2 좌우 한쪽 측면부에 일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기둥2와 앞회전판2에는 방탈장치(158)로서 각기 방탈기어(163)와 방탈키(162) 및 손잡이(159) 등이 형성된 수상과녁이송장치(150)로 구성된 수상사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화살의 피스톤봉1,2에 공기가 유통되는 통기구1,2(732,753) 및 일정한 줄이 연결되는 줄연결고리(734)와 핀2(756)가 형성되고, 화살꼬리(711) 끝에 일정한 줄이 삽탈되는 줄활주구(714)가 형성된 수상사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과녁과 고정과녁에는 각기 일정한 부력을 받는 부양체1,2(122,168)의 위아래에 각기 일정한 모양의 과녁1,2(121,165)와 일정한 무게의 균형추1,2(123,170)가 형성된 수상사격장치.
KR10-2004-0002556A 2004-01-14 2004-01-14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KR10046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556A KR100466949B1 (ko) 2004-01-14 2004-01-14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556A KR100466949B1 (ko) 2004-01-14 2004-01-14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699A Division KR100451032B1 (ko) 2000-11-01 2000-11-01 원심력과 탄성력을 이용한 수륙양용 다기능 완충화살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819A KR20040028819A (ko) 2004-04-03
KR100466949B1 true KR100466949B1 (ko) 2005-01-24

Family

ID=3733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556A KR100466949B1 (ko) 2004-01-14 2004-01-14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7997A1 (zh) * 2019-11-18 2021-05-27 王蓓 一种影视特效射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7997A1 (zh) * 2019-11-18 2021-05-27 王蓓 一种影视特效射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819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491B2 (en) Gaming system using projectile and target
CN101226043A (zh) 交叉立体鱼雷拦截网
RU2316712C2 (ru) Акватир (варианты)
US20110163503A1 (en) Reactive Target shooting system
Dohrenwend The Sling.
KR100466949B1 (ko) 완충화살을 이용하여 수상사격을 할 수 있게 한 수상사격장치
US9441926B1 (en) Golf course-compatible modified golf game and safety equipment
Denny Their arrows will darken the sun: the evolution and science of ballistics
US9545553B2 (en) Projectile launching device
Johnson Ricochet of non-spinning projectiles, mainly from water Part I: Some historical contributions
US3415239A (en) Launcher with adjustable-tension elastic bands
RU49970U1 (ru) Акватир (варианты)
KR100451032B1 (ko) 원심력과 탄성력을 이용한 수륙양용 다기능 완충화살발사장치
Denny Ingenium: five machines that changed the world
Payne-Gallwey A Summary of the History, Construction and Effects in Warfare of the Projectile-throwing Engines of the Ancients with a Treatise on the Structure, Power and Management of Turkish and Other Oriental Bows of Mediaeval and Later Times
RU81793U1 (ru) Ме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итации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и метательный снаряд для имитации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US10724833B1 (en) Dismemberable target assembly
Payne-Gallwey The crossbow: its military and sporting history, construction and use
CN1219561C (zh) 枪在水面射击游戏中的用途及使用的子弹
RU2130796C1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переправы через реку
RU2632638C1 (ru) Тир на воде
Stinner Physics and the Dambusters
BOZDAL et al. PIECE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IN THE OTTOMAN STATE
Goleński et al. Smoothbore weapons and ammunition in shooting sports
RU2121642C1 (ru) Выстрел для подводной спортивной стрель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