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013B1 -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013B1
KR100466013B1 KR10-2002-0050602A KR20020050602A KR100466013B1 KR 100466013 B1 KR100466013 B1 KR 100466013B1 KR 20020050602 A KR20020050602 A KR 20020050602A KR 100466013 B1 KR100466013 B1 KR 10046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in body
partition plate
plat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683A (ko
Inventor
문동해
Original Assignee
문동해
이오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해, 이오묵 filed Critical 문동해
Priority to KR10-2002-005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0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어 상호나 제품을 광고하는 간판과 같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그림이나 사진 등을 순차적 또는 임의로 작동되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상호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전면 중앙에는 구획판이 세로와 가로로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는 중앙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 끝부분에 고정되는 측면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가로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의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세로이송수단과; 상기 세로이송수단과 가로이송수단의 일측에서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된 중앙고정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와; 상기 식별판작동구에 고정되어 식별판작동구에 의해서 회전하며, 표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는 식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장치{An equipment for advertising}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어 상호나 제품을 광고하는 간판과 같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그림이나 사진 등을 순차적 또는 임의로 작동되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상호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고장치로 사용되는 간판 등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어 상호나 제품의 홍보에 사용되고 있지만, 한번 건물에 설치된 간판은 한 개의 그림이나 사진 등으로 간판의 전면을 장식하면서 홍보하기 때문에 같은 간판으로 장시간 홍보를 하면 간판에 기재된 상호와 제품의 신미감이 떨어지면서 실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속하여 신미감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간판을 일정기간 마다 교체하여야 하지만 간판이 고가로 제작되기 때문에 간판을 단시간을 사용하고 폐기시킬 수 없어 영세한 상인 등은 상호나 제품의 홍보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V를 여러대 연결하여 차량 등에 싣고 다니면서 제품이나 상호를 홍보해주는 광고장치가 탑재된 홍보차량이 있지만, 사용료가 너무 많이 소요되며, 각각의 TV가 연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TV가 연결되는 부분은 장거리에서 표시가 나지 않지만, 원거리에서는 TV가 연결되는 부분이 벌어져 있어 광고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광고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네온사인 등으로 여러 개의 간판을 겹치게 형성하여 네온사인이 순차적으로 켜지거나 꺼지면서 다양한 그림이나 글씨 등을 형성하도록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영세한 상인 등은 설치할 수 없는 고가의 제품이면, 상기 제품은 네온사인으로 글씨나 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선명도가 떨어지며, 여러 개의 네온사인 중 어느 한 개라도 빛이 발산되지 않으면 광고가 조잡하게 되면서 광고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한 개 이상의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개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면서 간단한 동영상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보하는 대상의 그림이나 사진을 정교하게 표현하면서 제품의 신미감을 높일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전면 중앙에는 구획판이 세로와 가로로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로 형성되며, 배면의 구획판이 형성되지 않는 단부 부분에 배면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수평이동구삽입홈이 형성되고, 구획판과 밀착되는 단부 쪽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중앙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 끝부분에 고정되는 측면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가로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의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세로이송수단과;
상기 세로이송수단과 가로이송수단의 일측에서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된 중앙고정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에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금속편이 고정되고, 배면의 다른 일측에는 제1 자성체가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와;
상기 식별판작동구에 고정되어 식별판작동구에 의해서 회전하며, 표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는 식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화면을 변화시키는 가로이송수단와 세로이송수단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로이송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로이송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로이송수단와 가로이송수단에 형성되어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된 식별판을 작동시키는 식별판작동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 배면에 가로이송수단와 세로이송수단 및 식별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세로이송수단와 가로이송수단을 작동시키는 회전축과 종동기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어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된 식별판을 작동시키는 식별판작동구가 광고장치의 배면에 고정되는 중앙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로이송수단와 가로이송수단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로이송수단의 수평이동구가 일측으로 밀리는 상태에서 상부에 고정된 식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로이송수단의 수평이동구가 일측으로 당겨지는 상태에서 하부에 고정된 식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로이송수단의 수직이동구가 상부로 상승되는 상태에서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은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로이송수단의 수직이동구가 하부로 하강되는 상태에서 좌측에 고정된 식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렌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렌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광고장치 100 : 본체
110 : 배면삽입홈 111 : 지지돌기
120 : 고정판삽입홈 130 : 구획판
131 : 수직이동구삽입홈 132: 경사면
140 : 렌즈삽입공간 200 : 세로이송수단
210 : 동력발생수단 220 : 고정판
221 : 회전축고정홈 230 : 회전축
231 : 연결축 232 : 연결홈
233 : 원동기어 240 : 작동부재
241 : 종동기어 250 : 수직이동구
251 : 돌출부 260 : 식별판작동구
261 : 금속편 262 : 제1 자성체
263 : 식별판고정돌기 270 : 식별판
280 : 연결부 290 : 제2 자성체
300 : 가로이송수단 310 : 수평이동구
400 : 중앙고정구 410 : 삽입홈
420 : 수평이동구삽입홈 500 : 측면고정구
600 : 렌즈 700 : 발광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장치(1)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 등으로 본체(100)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바람직하지만 원형이나 타원형 등 본체(100)의 외형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는 다수개의 구획판(130)이 등간격으로 세로와 가로로 교차되면서 형성되며 교차되지 않는 부분에는 렌즈삽입공간(14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가로와 세로로 교차되면서 렌즈삽입공간(140)을 형성하는 구획판(130)에서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배면에는 도 2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구삽입홈(131)을 형성한다.
상과 같이 형성되는 광고장치(1)의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과 모서리가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100)의 폭과 길이가 각 변의 길이에 따라 쉽게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전면에 구획판(130)이 가로와 세로로 교차되면서 형성되는 광고장치(1)의 본체(100) 배면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의 단부에 배면삽입홈(110)을 형성하며, 상기 배면삽입홈(1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판삽입홈(120)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배면에 고정판삽입홈(120)이 형성되는 배면삽입홈(110)과 구획판(130)의 배면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이송수단(300)과 세로이송수단(200)이 고정된다.
광고장치(1)의 본체(100) 배면에서 구획판(130)과 배면삽입홈(110)에 고정되는 세로이송수단(200)은 도 3및 도 6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210)을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 모서리에 고정한다.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 모서리에 동력발생수단(210)이 고정되면 상기 동력발생수단(210)에 회전축(230)을 연결하여 동력발생수단(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30)이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삽입홈(110)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되는 동력발생수단(210)과 연결되어 동력발생수단(2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0)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연결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32)의 반대쪽에는 연결홈(232)에 삽입되는 연결축(231)을 형성하며,중앙에는 피니언기어로 어루어지는 원동기어(233)를 형성한다.
회전축(23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232)과 연결축(231)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연결축(231)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연결축(231)과 연결홈(232)이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30)을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삽입홈(110)에 고정할 때는 도 3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회전축(230)이 삽입되는 회전축고정홈(221)이 형성된 고정판(220)에 회전축(230)을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판(220)을 광고장치(1)의 배면삽입홈(110)에 형성되는 고정판삽입홈(120)에 삽입하면서 회전축(230)이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에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면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에서 동력발생수단(210)과 연결되는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로 형성되는 원동기어(233)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랙크기어로 형성되는 종동기어(241)가 일측에 형성되며, 일측단부에는 연결부(280)가 형성되는 작동부재(240)를 고정한다.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와 연결되는 종동기어(241)가 형성된 작동부재(24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0)의 축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서 원동기어(233)와 연결되는 작동부재(240)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본체(100)의 배면에 지지돌기(111)를 형성한다.
광고장치(1)의 본체(100)에 형성된 배면삽입홈(110)에 고정판(220)으로 고정되는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와 연결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되는 작동부재(2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280)에는 상기 작동부재(240)의 연결부(28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부(28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80)가 형성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280)와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280)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돌출부(251)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이동구(250)를 고정한다.
돌출부(25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이동구(250)를 본체(100)의 구획판(130) 배면에 고정할 때 돌출부(251)는 구획판(130)이 교차되면서 만나는 교차점과 다른 교차점의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240)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구(250)의 돌출부(251)에는 제2 자성체(290)를 고정하며, 상기 제2 자성체(290)가 고정된 수직이동구(250)는 본체(100)의 구획판(130)중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 삽입하면서 제2 자성체(290)가 고정된 돌출부(251)만 수직이동구삽입홈(131)의 외부로 돌출되게 고정하면서 다수개의 수직이동구(250)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280)를 서로 연결하면서 수직이동구(250)가 연속되면서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세로로 형성되는 본체(100)의 구획판(130) 배면에 형성되는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 삽입되면서 다수개의 수직이동구(250)가 각각의 연결부(280)에 의해서 고정되는 수직이동구(250)는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고정된다.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 삽입되는 수직이동구(25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이동구(250)가 상.하로 이동될 때 구획판(130)의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과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이 만나는 교차점에 중앙고정구(400)를 고정하여 수직이동구(250)가 구획판(130)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획판(130)의 교차되는 교차점에서는 수직이동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고정구(400)로 형성하여 사용하지만, 단부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고정구(500)로 수직이동구(25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세로와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수직이동구(250)가 구획판(130)의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고정구(40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30)과 밀착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수직이동구(250)가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이동구삽입홈(420)이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구(250)의 돌출부(251)가 구획판(130)의 교차점과 다른 교차점 사이에 고정되면서 연결부(280)에 의해 다른 수직이동구(250)와 작동부재(240)가 연결되어 동력발생수단(210)과 회전축(230)에 의해서 구획판(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이동구(250)가 구획판(130)의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고정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10)에는, 식별판작동구(26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가로와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교차점에 고정되어 수직이동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고정구(400)의 삽입홈(410)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일측에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금속편(261)을 고정하고, 다른쪽 배면 일측에는 제1 자성체(262)를 고정한다.
식별판작동구(260)의 배면에 고정되는 금속편(261)과 제1 자성체(262)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262)는 식별판작동구(260)의 단부 쪽에 고정되고, 금속편(261)은 상기 제1 자성체(262)가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한 배면 전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에 금속편(261)과 제1 자성체(262)가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수직이동구(250)에 형성되는 제2 자성체(290)가 금속편(261)과 제1 자성체(262)에 근접될 때 제2 자성체(290)의 자력에 의해서 일측으로 회전하거나 원상 복귀된다.
즉, 식별판작동구(260)에 고정되는 제1 자성체(262)와 수직이동구(250)에고정되는 제2 자성체(290)를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게 고정하여, 수직이동구(250)가 이동하면서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수직이동구(250)의 제2 자성체(290)가 서로 근접되면 서로의 척력 때문에 서로 밀리면서 식별판작동구(260)가 일측으로 회전하고, 다시 수직이동구(250)를 이동시키면서 제1 자성체(262)와 멀어지면서 식별판작동구(260)의 배면에 형성된 금속편(261)과 제2 자성체(290)가 근접되면 제2 자성체(290)의 인력에 의해서 금속편(261)이 당겨지면서 식별판작동구(260)를 중앙고정구(400)에서 회전시키면서 다시 원상 복귀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수직이동구(250)의 제2 자성체(290)에 의해서 회전되는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금속편(261)이 고정되는 반대쪽에는 식별판고정돌기(263)를 형성한다.
제1 자성체(262)와 금속편(261)이 형성되는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식별판고정돌기(263)에는 다양한 그림이나 글씨가 인쇄되는 식별판(270)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그림이나 글씨가 인쇄되는 식별판(270)이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을 따라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수직이동구(250)의 좌.우에 같이 고정하며,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262)가 서로 반대방향에 고정되도록 대칭 되게 고정하여 수직이동구(250)를 이동시킬 때 한쪽 제1 자성체(262)는 제2 자성체(290)와 근접되고, 다른 쪽은 금속편(261)과 근접되게 형성하여 한 개의 식별판(270)만 전면 쪽으로 회전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세로이송수단(200)의 수직이동구(250)가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배면에 고정될 때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이송수단(300)을 고정한다.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에 고정되는 가로이송수단(300)은 세로이송수단(200)과 동일하게 동력발생수단(210)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30)을 고정판(220)의 회전축고정홈(221)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판(220)은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고정판(220)에 의해서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에 고정되는 회전축(230)의 일측에는 세로이송수단(200)과 같이 한쪽에는 연결홈(232)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연결축(231)이 형성되며, 중간에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되는 원동기어(233)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축(231)과 연결홈(232)이 단부에 형성되며, 중간에는 원동기어(233)가 형성되는 회전축(23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232)과 연결축(231)이 서로 연결되면서 연장된다.
본체(100)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연장되는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 하부에는 랙크기어로 형성되는 종동기어(241)가 형성된 작동부재(240)를고정하여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240)가 좌.우로 이동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발생수단(210)과 연결되는 회전축(230)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작동부재(240)의 일측단부에는 연결부(28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80)에는 양쪽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연결부(280)가 형성되는 수평이동구(310)를 고정한다.
작동부재(240)의 일측단부와 연결되는 수평이동구(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280)는 서로 연결되면서 수평이동구(310)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단부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수평이동구(310)의 중앙에는 제2 자성체(290)를 고정한다.
중앙에 제2 자성체(290)가 고정되어 본체(100)에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130)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평이동구(310)는 세로이송수단(200)의 수직이동구(250)를 구획판(130)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시키는 중앙고정구(400)에 형성된 수평이동구삽입홈(420)에 삽입하여 수평이동구(310)가 좌.우로 이동될 때 중앙고정구(400)의 수평이동구삽입홈(420)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구획판(130)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는 중앙고정구(400)의 수평이동구삽입홈(420)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수평이동구(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직이동구(250)와 같이 금속편(261)과 제1 자성체(262)가 배면에 고정되며, 반대쪽에는 식별판(270)이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를 중앙고정구(400)의 삽입홈(4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구(310)와 수직이동구(250)의 양쪽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의 식별판고정돌기(263)에 고정되는 식별판(270)에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 등을 인쇄하여 식별판(270)이 세로이송수단(200)과 가로이송수단(300)의 수직이동구(250)와 수평이동구(310)에 의해서 일측으로 회전되어 본체(100)의 구획판(130)이 교차되면서 형성되는 렌즈삽입공간(140)으로 넘어져 전면에서 식별판(270)에 인쇄된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식별판(270)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30)에 의해서 형성되는 렌즈삽입공간(140)의 각 변에 고정되며, 각 구획판(130)의 변에 고정되는 식별판(270)은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30)의 배면에 직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 등이 인쇄되는 식별판(270)은 구획판(130)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100)의 배면에는 본체(100)의 전면 쪽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700)를 고정한다.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식별판(270)이 고정되는 본체(100)의 전면 쪽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700)는 형광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배면에 발광체(700)가 고정되는 본체(100)의 전면에는 구획판(130)으로 구획되면서 형성되는 렌즈삽입공간(140)에 도 1 및 도 2입내지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600)를 삽입한다.
구획판(130)에 의해서 형성되는 렌즈삽입공간(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렌즈(6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넓어지는 경사면(132)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렌즈(600)의 단부와 구획판(130)의 경사면(132)이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렌즈삽입공간(140)에 삽입되는 렌즈(600)는 도 21 및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투명체가 방사상으로 고정되면서 경사지게 형성하며, 렌즈(600)를 형성하는 투명체는 사각의 광섬유(610)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아크릴판이나 유리등도 가능하며, 모양도 사각이 아닌 원형이나 다각형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광고장치(1)의 본체(100) 배면에 형성된 배면삽입홈(110)에 고정되어 외부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세로이송수단(200)과 가로이송수단(300) 중의 어느 한쪽 동력발생수단(210)을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동력발생수단(210)중 가로이송수단(300)의 동력발생수단(210)이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에 고정되는 가로이송수단(300)의 동력발생수단(210)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동력발생수단(210)과 연결되어 고정판(220)의 회전축고정홈(221)에 삽입되며, 본체(100)의 배면삽입홈(110)의 고정판삽입홈(120)에 고정되는 회전축(230)이 동력발생수단(210)에 의해서 일측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가로이송수단(300)의 회전축(230)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와 맞물려있는 작동부재(240)의 종동기어(241)가 이동하면서 작동부재(24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만약, 회전축(230)이 회전하면서 작동부재(240)를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밀면 상기 작동부재(240)의 연결부(280)와 연결된 수평이동구(310)가 일측으로 밀린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이동구(310)가 일측으로 밀리면 상기 수평이동구(310)의 양쪽에서 식별판(270)을 고정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 되면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은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와 식별판(270)을 고정하는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근접되며, 다른 한쪽은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와 식별판작동구(260)의 금속편(261)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와 식별판작동구(260)의 배면에 형성된 제1 자성체(262)가 서로 근접되면 서로의 척력에 의해서 제1 자성체(262)가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가 반발하면서 구획판(130)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수평이동구(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고정구(400)의 삽입홈(4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본체(100)의 구획판(130)에 의해서 형성된 렌즈삽입공간(140)으로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식별판(270)이 렌즈삽입공간(140) 쪽으로 회전되면 식별판(270)이 발광체(700)의 빛이 투과되면서 본체(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렌즈(600)를 통해 외부로 빛이 발산되면서 식별판(270)에 인쇄된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 등이 외부로 표출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이송수단(300)의 수평이동구(310)를 밀면서 회전된 식별판(270)을 원상 복귀시킬 때는 동력발생수단(210)과 회전축(230)을 회전시켜 수평이동구(310)의 중간에 고정된 제2 자성체(290)가 식별판작동구(260)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가 식별판작동구(260)의 중간에 위치되면 제2 자성체(290)의 인력에 의해서 식별판작동구(260)의 배면에 형성된 금속편(261)과 반응하면서 식별판작동구(260)가 회전되면서 다시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가로이송수단(300)의 동력발생수단(210)과 회전축(230)을 회전시켜 작동부재(240)와 상기 작동부재(240)와 연결부(280)로 연결된 수평이동구(310)를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당긴다.
수평이동구(310)를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당기면 상기 수평이동구(310)에 형성되는 제2 자성체(290)가 하부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근접되며,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는 상부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의 금속편(261)과 밀착되면서 하부에 고정된 식별판(270)이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와 반응하면서 척력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되는 식별판(270)에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가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체(700)에 의해서 광고장치(1)의 본체(100) 전면으로 표출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이송수단(300)의 수평이동구(310)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이동구(31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를 회전시켜 식별판(270)에 인쇄된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씨 등을 광고장치(1)의 전면으로 표출시키면서 다른그림이나 글씨 등을 광고장치(1)의 전면으로 표출시킬 때는 가로이송수단(300)의 수평이동구(310)의 제2 자성체(290)를 식별판작동구(260)의 중간에 위치시켜 식별판(270)이 본체(100)와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세로이송수단(200)을 작동시킨다.
가로이송수단(300)의 식별판(270)을 본체(100)와 수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세로이송수단(200)의 동력발생수단(210)와 연결되는 회전축(23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230)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동기어(233)와 연결되는 종동기어(241)가 형성된 작동부재(240)를 상승시키면서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세로로 형성된 구획판(130)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이동구삽입홈(131)에 형성된 수직이동구(250)를 상승시킨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이송수단(200)의 회전축(230)이 회전되면서 작동부재(240)와 상기 작동부재(240)와 연결부(280)로 연결된 수직이동구(250)가 상승되면 수직이동구(250)의 양쪽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 중에서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의 배면에 고정된 제1 자성체(262)와 수직이동구(250)가 제2 자성체(290)가 근접되며, 좌측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금속편(261)과 수직이동구(250)의 제2 자성체(290)가 근접되면서 수직이동구(250)의 좌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제2 자성체(290)와 인력으로 당겨지면서 고정되고,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수직이동구(250)의 제2자성체(290)가 척력에 의해서 반발하면서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구(250)의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가 수직이동구(250)의 상승에 의해서 척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식별판작동구(260)에 고정되는 식별판(270)이 회전하면서 광고장치(1)의 전면으로 발광체(700)에 의해 식별판(270)에 인쇄된 그림이나 글씨 등이 표출된다.
다시, 세로이송수단(200)의 동력발생수단(210)을 회전시켜 회전축(230)의 원동기어(233)와 연결된 작동부재(240)와 상기 작동부재(240)의 연결부(280)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구(250)를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시키면 제2 자성체(290)가 중간에 고정된 수직이동구(250)가 하강하면서 수직이동구(250)의 좌측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의 제1 자성체(262)와 근접되며, 수직이동구(250)의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금속편(261)과 제1 자성체(262)가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구(250)의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금속편(261)과 밀착되고, 좌측에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260)는 제1 자성체(262)와 제2 자성체(290)가 근접되기 때문에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구(250)의 우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제2 자성체(290)의 인력에 의해서본체(100)와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이동구(250)의 좌측에 고정된 식별판작동구(260)는 제2 자성체(290)와 척력에 의해서 밀려지면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식별판작동구(260)에는 또 다른 식별판(270)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식별판(270)에 인쇄된 그림이나 글씨 등이 광고장치(1)의 전면으로 발광체(700)에 의해서 표출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로이송수단(200)과 가로이송수단(300)으로 작동되는 4개의 식별판(270)에는 서로 다른 그림이나 글씨 등을 인쇄하여 주간과 야간에 다른 광고를 할 수 있으며, 4개의 식별판(27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4개의 그림이 서로 연결되는 동영상으로 광고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으로 가로이송수단(300)과 세로이송수단(200)을 작동시켜 일정한 주기 또는 광고문구나 사진의 신미감이 떨어질 때 광고사진이나 문구를 별도의 비용 없이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배면에 식별판(270)을 고정하지 않고 광고차량의 TV전면에 설치하여 TV가 연결되는 이음새 없이 다수개의 광섬유(610)로 연결되는 렌즈(600)에 의해서 깔끔하고 선명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전면에 구획판으로 구획된 부분의 배면에 다수개의 식별판을 고정하여 여러 개의 그림이나 글씨 등을 작동시키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한 개 이상의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구획된 부분의 배면에 고정되는 식별판으로 한 개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면서 간단한 동영상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제품의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식별판이 작동되는 본체의 전면에 렌즈를 고정하여 전면에 이음새를 없애 홍보하는 대상의 그림이나 사진이 렌즈를 투과하면서 전면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홍보대상을 정교하게 표현하여 제품의 신미감과 함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전면 중앙에는 구획판이 세로와 가로로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로 형성되며, 배면의 구획판이 형성되지 않는 단부 부분에 배면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수평이동구삽입홈이 형성되고, 구획판과 밀착되는 단부쪽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중앙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구획판 끝부분에 고정되는 측면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가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가로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의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세로이송수단과;
    상기 세로이송수단과 가로이송수단의 일측에서 구획판이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된 중앙고정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에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금속편이 고정되고, 배면의 다른일측에는 제1 자성체가 고정되는 식별판작동구와;
    상기 식별판작동구에 고정되어 식별판작동구에 의해서 회전하며, 표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는 식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와 각 변은 격자무늬가 연결되면서 본체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구획판 단면은 전면이 뾰족하고 배면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구획판이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는 빛이 투과되는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본체의 배면에 발광체를 고정하여 발광체에서 발산되는 빛이 식별판과 렌즈를 투과하여 본체의 전면으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다수개의 광섬유가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삽입홈에는 다수개의 고정판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이송수단은,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삽입홈에 고정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연결되는 연결홈이 단부에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축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원동기어가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면서 본체의 배면삽입홈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고정홈이 전면에 형성되어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판삽입홈에 삽입되면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의해서 고정되는 회전축의 원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양쪽 단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 자성체가 고정되어 중앙고정구의 수평이동구삽입홈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서로 연속으로 연결되면서 연장되는 수평이동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구획판 중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배면에는 수직이동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이송수단은,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삽입홈에 고정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연결되는 연결홈이 단부에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축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원동기어가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면서 본체의 배면삽입홈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고정홈이 전면에 형성되어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판삽입홈에 삽입되면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의해서 고정되는 회전축의 원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양쪽 단부에 형성되며, 중앙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에 제2 자성체가 고정되고, 세로로 형성되는 구획판의 수직이동구삽입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서로 연속으로 연결되면서 연장되는 수직이동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KR10-2002-0050602A 2002-08-26 2002-08-26 광고장치 KR10046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602A KR100466013B1 (ko) 2002-08-26 2002-08-26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602A KR100466013B1 (ko) 2002-08-26 2002-08-26 광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400U Division KR200295146Y1 (ko) 2002-08-26 2002-08-26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83A KR20040018683A (ko) 2004-03-04
KR100466013B1 true KR100466013B1 (ko) 2005-01-13

Family

ID=3732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602A KR100466013B1 (ko) 2002-08-26 2002-08-26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80B1 (ko) * 2006-03-28 2007-12-07 양경호 엘이디를 이용한 동영상 전광판의 코너부분에서 동영상의광고내용이 끊어짐 없이 표현되게 하는 엘이디 모듈
KR101452110B1 (ko) * 2013-05-10 2014-10-16 황원선 자석부착식 전광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377A (en) * 1976-03-29 1977-12-20 Hukill Marlin E Changeable display device
US4163332A (en) * 1976-10-05 1979-08-07 Salam Hassan P A Matrix display device
US5184116A (en) * 1990-10-01 1993-02-02 Mediatronics, Inc. Back-lightable diffusive display sign
KR0158858B1 (ko) * 1995-04-27 1998-12-01 김일기 조명이 내설된 광고용 간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377A (en) * 1976-03-29 1977-12-20 Hukill Marlin E Changeable display device
US4163332A (en) * 1976-10-05 1979-08-07 Salam Hassan P A Matrix display device
US4163332B1 (en) * 1976-10-05 1995-04-04 Uniplay S A Matrix display device
US4163332B2 (en) * 1976-10-05 1995-09-05 Unisplay Sa Matrix display device
US5184116A (en) * 1990-10-01 1993-02-02 Mediatronics, Inc. Back-lightable diffusive display sign
KR0158858B1 (ko) * 1995-04-27 1998-12-01 김일기 조명이 내설된 광고용 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83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013B1 (ko) 광고장치
KR200295146Y1 (ko) 광고장치
KR101066169B1 (ko)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KR100223516B1 (ko) 광고용 간판의 연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908826B1 (ko) 간판
KR100521890B1 (ko) 벨트타입의 게시부가 구비된 광고장치
TWM611293U (zh) 廣告燈箱
KR101066171B1 (ko) 양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100814120B1 (ko) 측광 및 후광을 이용한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KR100814118B1 (ko)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US20050073469A1 (en) Multimedia advertising billboard
KR200236745Y1 (ko) 주.야 겸용 광고간판
KR200251673Y1 (ko) 광고 디스플레이 사인 보드
KR200450592Y1 (ko) 후광 효과를 가지는 면발광 채널 간판
KR200269092Y1 (ko) 벨트타입의 게시부가 구비된 광고장치
KR100366365B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329639Y1 (ko) 광고간판
KR20060012352A (ko) 회전구조를 갖는 천정용 광고간판
KR200338084Y1 (ko) 멀티미디어 광고판
KR100598036B1 (ko) 다중 인쇄지의 디스플레이 장치
CN221057113U (zh) 一种悬挂式广告牌
KR200492871Y1 (ko) 건축물용 입체 간판 구조체
KR200374146Y1 (ko) 광고판의 발광창구조물
KR100889705B1 (ko) 가변속 회전식 돌출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