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207B1 -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 Google Patents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207B1
KR100465207B1 KR10-2000-0065438A KR20000065438A KR100465207B1 KR 100465207 B1 KR100465207 B1 KR 100465207B1 KR 20000065438 A KR20000065438 A KR 20000065438A KR 100465207 B1 KR100465207 B1 KR 10046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nstruction
product
synthetic resin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235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to KR10-2000-006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2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발명은 합성수지제 전선관으로서 토목 건축 공사에서 주로 전선 배관에 용이하며 보호되도록 구성된 제품이다.
2. 발명의 목적
합성수지제 전선관에서 내구성, 작업성, 외압강도를 보강시켜 주면서 현장시공에 용이하도록 내측면이 평활하면서 현장시공에 적절한 가요성 제공토록 구성된 제품 제공에 있다.
3.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전선관 중에서 내측면과 외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와 돌출부가 교호상으로 구성된 제품의 요홈부에 외압강도 및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호형 보강대(2)를 삽설시켜준 본인의 선고안 출원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93-15674호에 제공된 제품에 내구성 및 시공현장에서 전선 삽입이 용이하도록 내측면에 내측 보강벽(6)을 삽설시켜 평활하게 구성시켜준 제품과 또 현장시공에 안정성 및 전선의 고압용 전자용 통신용으로 구분되도록하고 보강재료(15)(예:PS-HI, ABS 등)의 삽설로 외압강도 삽설로서 시공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되도록 제공된 발명이며 이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전선 삽설 작업이 용이하면서 가요성이 제공되며 또전선용, 통신용 등과 같이 사용목적에 따라 구별시켜 주도록 외측면에 삽설된 보강재료(15)를 색상으로 차별화 시켜 주도록 구성된 발명으로 누구나 쉽게 현장 사용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PEINFORCED STRUCTION POLY ETHYLENE OF ELECTRONIC PIPE}
본 발명은 통신관, 전선관 및 배수관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선관의 내,외측 요홈에 다수의 원호형 보강제를 형성하면서 내측면이 평활면으로 이루어진 내측 보강벽을 형성하여 강도 및 견고성이 유지되도록 한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제 재료분야에서 고찰하면 내,외측이 평활한 민자형 파이프 및 파형 구조의 파형 전선관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의 보강을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3-15674호에 의하여 내측면의 요홈 및 외측면의 요홈에 다수개의 원호형 보강재료를 구성시켜 외토압 보강 및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면서 가요성이 제공되도록 하여 실용화되었으나, 이에 대하여 더 안전성 견고성 및 내구성을 더 제공하는 전선관의 제공이 요구되어 왔다.상기의 파형 전선관은 내측면이 원호형 요홈부와 돌출부가 교호상으로 연속 반복되어 있어서, 건축 공사에서 철근 등의 사이사이에 삽입 설치하여 배관한 다음, 전선을 파형 전선관에 삽입공정이 내측면의 요홈 등으로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외압 강도가 약하여 건축 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도중에 파형 전선관이 눌려져서 전선 삽입 공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며,또한 내,외측면이 평활한 전선관은 사요성이 어려워서 현장시공에 어려운 현실이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서 시공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의 전선관에서 내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원주형 보강대 사이에 원주형 보강대와 원호형 내측 요홈이 교호상으로 원주 방향에 따라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요홈에 내측 보강벽을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공정에서 외부와 차단되는 내측 요홈의 내부 공기가 냉각되면서 수축으로 전선관의 성형공정에서 불량의 발생 원인으로 제공하는 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는 경우가 높은 현실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파형전선관의 요홈에 다수개의 보강재를 성형한 상태에서도 시공 현장에서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관의 내,외측 요홈에 다수의 원호형 보강재를 형성하면서 내측면이 평활면으로 이루어진 내측 보강벽을 형성하여 강도 및 견고성이 유지되도록 한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상가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외측면의 외측 요홈과 내측면의 내측요홈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되,상기의 내,외측면에 다수의 원호형 보강재를 형성하고,상기 내측면의 평활면에 내측 보강벽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1의 (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
도2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2의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
도3는 도1의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전선관 2. 원호형 보강대
3. 원주형 보강대 4. 외측요홈
6. 내측 보강벽 6'. 평활면
7. 중공구 8. 관통구
9. 외측면 10. 내측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 공사 및 지하에서 매몰시켜 사용되는 전선관의 용도에 따라 외토압, 전선 삽입성, 견고성 및 견고성이 제공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진 합성수지 전선관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원호형 요홈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합성수지 전선관(1)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면(10)과 외측면(9)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 전선관(1)의 외측면(9)에 길이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원주형 보강대(3)와 다수개의 원호형 보강대(2)를 형성하면서 그 사이에 외측요홈(4)이 교호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면(10)에 내측 보강벽(6)을 일체화 시켜 줌으로써 단면이 원형구조의 중공구(7)가 원형 구조로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은 전체 구조가 외측면(9)은 일정간격으로 외측요홈(4)이 교호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 전선관(1)으로서 원주형 보강대(3)와 원호형 보강대(2)의 역할로 종래의 파형관 구조 보다 내구성이 보강되고, 또 시공 현장의 악조건에 따른 파손 강도 보강 및 가요성 등의 작업성 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도2는 원호형 요홈부와 원주형 보강대를 외측면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합성수지 전선관(1)의 길이 방향으로 평활한 내측면(6)과 외측면(9)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상기 합성수지 전선관(1)의 외측면(9)에 길이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원주형 보강대(3)와 다수개의 원호형 보강대(2)를 형성하여서 그 사이에 외측 요홈(4)이 교호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상기 내측면(10)에 내측 보강벽(6)을 평범한 평활면(6')으로 일체화로 형성함으로써 단면이 원형 구조의 중공구(7)가 밀폐된 공간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서는 전체구조가 내측면(6)은 평활한 평활면(6')을 유지하면서 외측면(9)은 일정간격으로 외측요홈(4)이 교호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 전선관(1)으로서, 원주형 보강대(3)와 원호형 보강대(2)의 역할로 종래의 파형관 구조보다 내구성이 보강되고 또 시공 현장의 악조건에 따른 파손강도 보강 및 가요성 등의 작업성 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또,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의 중공구(7)가 형성된 내측면(10)에 내측 보강벽(6)의 사이에 관통구(8)를 형성하여 중공구(7)의 사이사이에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외관이 매끈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사용 할 경우 여건에 따라 전선관이 눌려져서 전선의 삽입이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바, 이의 보강을 위하고 또 건축공사에서 철근사이에 매설하여 시멘트 몰탈 타설을 작업할 경우 전선관의 불량 발생 현상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제품이다.

Claims (5)

  1. 합성수지 전선관(1)의 길이방향으로 외측면(9)의 외측요홈(4)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의 외측요홈(4)에 다수의 원호형 보강대(2)와 원주형 보강대(3)를 형성한 공지의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10)에 내측 보강벽(6)을 일체화 시켜 주어 단면이 원형 구조의 중공구(7)가 원형 구조로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의 중공구(7)가 형성된 내측면(10)에 내측 보강벽(6)의 사이에 관통구(8)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면(10)에 내측보강벽(6)을 평활한 평활면(6')으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65438A 2000-11-04 2000-11-04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KR10046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438A KR100465207B1 (ko) 2000-11-04 2000-11-04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438A KR100465207B1 (ko) 2000-11-04 2000-11-04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56U Division KR200242739Y1 (ko) 2000-12-30 2000-12-30 Pe 구조 보강된 전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35A KR20020035235A (ko) 2002-05-11
KR100465207B1 true KR100465207B1 (ko) 2005-01-13

Family

ID=1969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438A KR100465207B1 (ko) 2000-11-04 2000-11-04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2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35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9654B2 (en) Building component
AU2008336523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KR100465207B1 (ko) Pe 구조 보강형 전선관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19990081227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200242739Y1 (ko) Pe 구조 보강된 전선관
KR200209193Y1 (ko) 가요 및 외압보강된 합성수지제 파이프
KR200210569Y1 (ko) 철근 스페이서
KR100522572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서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KR940007413A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및 그의 제조 장치
KR20000006799U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100557419B1 (ko) 아파트 건축용 콘크리트 거푸집 스페이서
KR100314833B1 (ko) 배수로관
AU2018100935B4 (en) Building Component
KR100445112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KR100447354B1 (ko) 맨홀용 거푸집과 그의 제품
KR19990081124A (ko) 합성수지제 나선 보강 파이프(배수로관) 및 연결기구
KR20010053351A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EP2092133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100518464B1 (ko) 배수로관용 거푸집
KR100594398B1 (ko) 건축 및 도로에서 만곡성 보강 상하수관 연결용 거푸집
KR200216052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용 거푸집
KR960002107Y1 (ko) 콘크리트용 철근 심체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