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157B1 -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157B1
KR100462157B1 KR1020030063991A KR20030063991A KR100462157B1 KR 100462157 B1 KR100462157 B1 KR 100462157B1 KR 1020030063991 A KR1020030063991 A KR 1020030063991A KR 20030063991 A KR20030063991 A KR 20030063991A KR 100462157 B1 KR100462157 B1 KR 10046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otification
event
server
notif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6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받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제1 사용자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제2 사용자별로 수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는다. 다음,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던 경우에만, 현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알림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NOTIFYING HAPPENING OF EVENT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의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의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널리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친목을 쌓기도 하고, 질문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한다. 이러한 서비스로는 전자 메일 서비스 및, 인터넷을 이용하여 어떤 사용자의 질문에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답변을 할 수 있는 지식 공유 서비스 등이 있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식 공유 서비스로서 네이버(http://www.naver.com)의 지식iN 서비스가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메일이 송부되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등록되면 해당 사용자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LMS(Long Message Service)로 메일 송신 또는 답변 등록 여부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림 서비스는 통상 메일이 수신될때마다 또는 답변이 등록될때마다 무조건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메일 수신이나 답변 등록시마다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알림 메시지 발송에 따른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 알림 메시지(URL SMS)가 중복되어 쌓이거나, 사업자가 단위시간당 발송하는 알림 메시지 개수를 제한할 경우, 불필요한 스팸 메일이나 도움이 전혀 되지 않은 답변으로 인해 적절한 내용을 수신할 기회를 잃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 상의 이벤트 발생의 알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예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벤트 알림 방법은,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받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벤트 알림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접속 서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서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받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제공받은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실시간마다 수행하지 않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행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고 사용자에게 발생 여부를 통보할 필요가 있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메일 송수신, 지식 공유에서의 질문이나 답변의 등록,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한 다른 사용자의 활동 상태, 게시판상의 새 글 등록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 기술되는 실시 예는 메일 송수신과 지식 공유에 따른 질문 및 답변 등록을 알리는 것을 토대로 기술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0, 전화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1∼30n)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1∼30n)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이벤트 알림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 전화, 무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PC 통신,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벤트 알림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이벤트 알림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접속 서버(10,20), 알림 서버(3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메일 서버(50,60), 또는 지식 공유 서버(70)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1 접속 서버(10)는 유선 통신망(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등으로 제1 네트워크라고 명명될 수도 있음)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며, 일명, 웹(Web) 서버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2 접속 서버(20)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등으로 제2 네트워크라고 명명될 수도 있음)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며, 일명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버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1 메일 서버(5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명 웹 메일 서버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제2 메일 서버(60)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명 왑 메일 서버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지식 공유 서버(70)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질문자 및 답변자에 의한 질문 및 답변 등록 처리를 각각 수행한다.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메일 서버(50,60), 그리고 지식 공유 서버(70)는 발생된 이벤트를 처리하고 이를 알림 서버(30)로 통보하는 이벤트 처리 서버라고 통칭될 수 있다.
알림 서버(30)는 제1 및 제2 메일 서버(50,60) 또는 지식 공유 서버(70)에 의하여 발생되는 메일 송수신이나 질문 및 답변의 등록 등의 이벤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설정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려준다.
이를 위하여, 알림 서버(30)는 이벤트 발생 수신부(31), 메시지 생성부(32),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이벤트 발생 알림을 수행하는 이벤트 알림부(33)를 포함한다. 이벤트 발생 수신부(31)는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발생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각각 메시지 생성부(32)와 이벤트 알림부(33)로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32)는 이벤트 발생 정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벤트 알림부(33)는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확인한 이후에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해서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설정 조건).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SMS, 또는 LMS 일 수 있으며, 또한, EMS(Enhanced Message), MMS(Multimedia Message 등 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알림 메시지는 발생된 이벤트(메일, 답변, 질문 등의 컨텐츠)를 소정의 왑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왑 페이지와 연관된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왑 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SMS가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시지가 URL LMS, URL EMS, URL MMS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이하, 무선 번호라고 명명함)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1), 플래그 데이터베이스(42)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1)에는 사용자의 ID 또는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무선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플래그 데이터베이스(41)에는 각 사용자별로 사용자의 알림 메시지 확인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일명,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플래그는 초기에 예를 들어 "T(true)"로 설정되어 있다가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면 "F(false)"로 설정되며, 이후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면 다시 "T"로 설정된다. 이벤트 알림부(33)는 이벤트 발생시 해당 사용자의 플래그 정보가 "T"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이러한 플래그 설정을 위하여, 알림 서버(30)는 사용자의 메시지 확인을 인지한 후 사용자의 플래그 정보를 가변시키는 상태 설정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알림 시스템에서, 각 서버(10∼70)들은 그 기능상 분류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알림 서버의 각 구성 요소들도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61∼62)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알림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알림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림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일을 전송하거나 어떤 사항에 대한 것을 질문하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고자 하는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유선 단말기 예를 들어 PC 등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이벤트 알림 시스템(100)으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된 다음에 인터넷(유선 인터넷)을 통하여 이벤트 알림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서버(10)가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전송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상에 윈도우 상태로 변환 및 표시되어, 단말기의 웹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URL 정보가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된 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이 URL 정보에 따라 질문자의 무선 단말기를 이벤트 알림 시스템(100)의 제2 접속 서버(20)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접속 서버(20)는 상기 URL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를 생성 및 제공하여 수신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S100∼S11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이벤트 알림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이루어진 다음에, 사용자는 메일을 보내거나 아니면 특정 사항에 대한 질문을 올리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올리거나, 게시판에 새로운 글을 등록시키는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소정 메일 주소로 메일 보내기를 요청하면, 제1 또는 제2 메일 서버(50 또는 60)가 해당 메일을 상기 메일 주소로 송신한 후 알림 서버(30)로 메일 송신 즉, 이벤트 발생을 통보한다. 통보시, 이벤트 발생 정보(메일 송신 완료) 및 수신 사용자 정보(메일 수신자의 ID 또는 메일 주소)를 알림 서버(30)로 제공한다(S120∼S130).
또한,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 사항에 대한 질문을 입력하면, 지식 공유 서버(70)가 해당 질문을 등록한 후 알림 서버(30)로 질문 등록 즉, 이벤트 발생을 통보한다. 통보시, 이벤트 발생 정보(질문 등록) 및 수신 사용자 정보(여기서, 수신 사용자는 상기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전문가들이거나 해당 카테고리에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면 이를 알려주기를 요청한 답변 예정자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신 사용자들의 ID등이 제공됨)를 알림 서버(30)로 제공한다(S140∼S150).
또한,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면, 지식 공유 서버(70)가 해당 답변을 등록한 후 알림 서버(30)로 답변 등록 즉, 이벤트 발생을 통보한다. 통보시, 이벤트 발생 정보(답변 등록) 및 사용자 정보(여기서, 수신 사용자는 상기 답변에 해당하는 질문을 등록한 사용자이며, 이러한 수신 사용자들의 ID가 제공됨)를 알림 서버(30)로 제공한다(S160∼S17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가 수행된 후 이벤트 처리 완료가 통보되면, 알림 서버(30)의 이벤트 발생 수신부(31)는 제공되는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수신 사용자 정보를 이벤트 알림부(33)로 전달한다(S180).
이벤트 알림부(33)는 이벤트 발생이 통보되면, 먼저, 수신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플래그 데이터베이스(62)를 검색하여 현재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확인 상태를 판단한다(S19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ID를 토대로 플래그 데이터베이스(62)를 검색하여, 수신 사용자의 ID에 대응된 플래그가 "T"로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즉, 수신 사용자가 이전에 발생된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 알림을 수행하고, 플래그가 "F"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알림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이벤트 발생을 대기한다(S200∼S210).
단계(S200)에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알림부(33)는 수신 사용자의 ID(또는 메일 주소)를 토대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1)를 검색하여 수신 사용자의 무선 번호를 추출하고, 메시지 생성부(32)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 예를 들어 메일이 송신된 경우에는 메일 송신 알림 메시지, 질문이 등록된 경우에는 질문 등록 알림 메시지, 답변이 등록된 경우에는 답변 등록 알림 메시지 등을 생성한다(S220∼S230).
다음에, 이벤트 알림부(33)는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해당 수신 사용자의 무선 번호를 가지는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신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을 알 수 있도록 한다(S240). 그리고, 수신 사용자의 플래그를 "F"로 설정하여 비활성화시켜, 이후에 발생되는 이벤트는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확인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250).
여기서, 수신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메시지는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메일 컨텐츠 제공 페이지, 질문 제공 페이지, 답변 제공 페이지 등)에 대한 파라미터 즉, URL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후 수신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시지를 토대로 콜백(call back)하여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수신 사용자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하면, 즉, 수신된 메일을 확인하거나, 질문을 확인하거나, 답변을 확인하면, 알림 서버(30)의 상태 설정부(34)는 수신 사용자의 플래그 정보를 "T"로 설정하여, 이후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수신 사용자에게 통보되도록 한다.
도 4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이벤트 발생 알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웹 지식인)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면, 초기에는 플래그가 "T"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답변 등록에 대한 메시지가 즉, URL SMS 1이 질문자에게 송신된다(A). 이 때, 플래그는 "T"에서 "F"로 변경된다.
그리고, 질문자가 SMS를 확인하면(B), 플래그가 "F"에서 "T"로 변경됨으로써, 이후 다른 웹 지식인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올리면, 답변 등록 알림메시지(URL SMS 2)가 또 질문자에게 전송된다(C).
그러나, C 단계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질문자가 확인을 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서 새로운 답변이 등록되어도 메시지(URL SMS 3)를 질문자에게 전송하지 않는다(D). 이후 질문자가 이전에 송신하였던 메시지(URL SMS2)를 확인하고(E) 새로운 답변이 등록되면 다시 메시지(URL SMS 4)를 질문자에게 전송한다(F).
이와 같이,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만 이벤트 발생에 따른 메시지가 다시 전송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하지도 않는 불필요한 메시지가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설정 조건은 사용자가 이전에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의 여부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조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조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가 설정 수 이상 발생된 경우에만 메시지를 보내거나, 설정 시간마다 발생된 이벤트에 대해서만 메시지를 보내는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메시지 확인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콜백하는 것을 토대로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유선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이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1)에는 ID 등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유선 단말기의 번호(예를 들어, 메신저 메일 주소, 전자 메일 주소, 유선 전화 번호 등)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전송 받는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유무선 번호)를 수신 번호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메일 송신 발생시 이를 메일 수신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로 통보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메일 송신이 아니라, 소정 사용자에게 메일이 수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서, 제1 및 제2 접속 서버와 제1 및 제2 메일 서버가 한 시스템에 포함된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서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또는/및 제2 접속 서버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고, 제1 또는/및 제2 메일 서버가 제2 시스템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제1 시스템에 접속한 다음에 제2 시스템의 메일 서버를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벤트 알림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벤트 알림은 제1 시스템 또는 제2 시스템에 포함된 알림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이 설정 조건에 따라 수행됨으로써, 이벤트 발생 알림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스템 측면에서는 메시지 송부에 따른 부하 감소, 및 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 알림 메시지(URL SMS)가 중복되어 쌓이거나, 사업자가 단위시간당 발송하는 알림 메시지 개수를 제한할 경우 불필요한 스팸 메일이나 도움이 전혀 되지 않은 답변으로 인해 적절한 내용을 수신할 기회를 잃어버리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에 있어서,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받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알림 서버가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서버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이용하여 콜백(call back)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접속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번호는 제2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의 번호인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8.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접속 서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서버; 및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이벤트 처리 결과가 통보되면,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받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 서버
    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9.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접속 서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서버;
    사용자별로 수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찾은 다음, 상기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송부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 서버
    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는 제1 및 제2 사용자간에 메일을 송수신하는 메일 서버인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는 제1 및 제2 사용자간에 질문 및 답변을 제공하는 지식 공유 서버인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서버는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발생 수신부;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상태 설정부;
    상기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획득한 다음,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던 경우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벤트 알림부
    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별로 이전에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제2 사용자가 이전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 또는 제2 사용자가 이전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이벤트 알림부는 상기 플래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전에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접속 서버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이용하여 콜백한 것으로 통보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1 상태로 설정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알림 서버는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수신 번호를 획득하는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KR1020030063991A 2003-09-16 2003-09-16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991A KR100462157B1 (ko) 2003-09-16 2003-09-16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991A KR100462157B1 (ko) 2003-09-16 2003-09-16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221A Division KR20050027898A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157B1 true KR100462157B1 (ko) 2004-12-18

Family

ID=373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991A KR100462157B1 (ko) 2003-09-16 2003-09-16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1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920B2 (en) Service authorizer
US7249160B2 (en) Electronic mail processing system and mail server
US7293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semantic binding in networks
US200400065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transactions for wireless devices
EP1958401B1 (en) Message mod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83828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47483A1 (en) Messaging system
CN101075987B (zh) 一种传送消息的装置和方法
KR101461056B1 (ko)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의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장치
US20040153547A1 (en) Service provision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2045365A1 (fr) Systeme de courrier electronique, serveur de courrier electronique et dispositif d'emission/de reception de courrier electronique
KR100779012B1 (ko)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84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communication by mobile phone
RU2432715C2 (ru) Отчет о доставке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0046215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발생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5146B1 (ko) 웹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10061989A (ko) 전화번호를 인스턴트 메신저 주소로서 사용한 인스턴트메신저 시스템 및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US20070118629A1 (en) Method and server for coordination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424061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050027898A (ko)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6393B1 (ko) 개방형 api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정보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73169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61515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JP2002215536A (ja) 電子メール不達通知システムおよび方法、サーバ、プログラム
KR100643639B1 (ko) 메시지 콜을 이용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