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771B1 -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771B1
KR100461771B1 KR1019970078207A KR19970078207A KR100461771B1 KR 100461771 B1 KR100461771 B1 KR 100461771B1 KR 1019970078207 A KR1019970078207 A KR 1019970078207A KR 19970078207 A KR19970078207 A KR 19970078207A KR 100461771 B1 KR100461771 B1 KR 10046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hose
inner core
extrusion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121A (ko
Inventor
최재호
김대환
서희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7007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을 제공한다.
그 압출금형은,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형성한 채, 케이스(52)내에서 압출기(54)에 의해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통해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50); 상기 가압장치(50)의 전방에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로 연결되는 압출실(63)을 지니며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 위치의 원주상에 내심(13') 공급통로인 중앙 관통공(74)이 형성된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삽입되는 베이스(62);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상기 베이스(62)의 전방에 상기 압출실(63)로 연통하여 압출실(63)로부터 폴리우레탄이 유동되고 상기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의 전방단부가 각각 돌출하는 다수의 내심삽입통로(70)를 원주상의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 채, 상기 베이스(62)에 고정되는 중간블럭(64); 그리고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로 상기 내심삽입통로(70)로부터 전방에 연장되어 인출실(68')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블럭(64)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 압출다이(68)와 외주 압출다이(66)를 지니는 인출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호스의 압출과 동시에 보강섬유의 내심을 진직(眞直)상태로 삽입시켜 내장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파탐지기 등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호스의 압출과정에 보강섬유를 직선상으로 삽입하여 함께 압출될 수 있는 구조의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 내심 삽입 압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음파탐지기는 도 1a에 개략적인 예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10~20m의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모듈이 선형으로 연결되어 전장이 약 200m 내외에 달한다.
그 단위모듈은 함상에서 보내오는 직류전원을 안정화시켜 후속 모듈에 전달하는 전원모듈(1), 수중의 음압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음향모듈(2)과, 음파탐지기의 깊이, 방위, 속도 등을 검출하는 비음향모듈(3)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각각의 단위모듈은 그 일단 및 타단에 암커넥터(11) 및 수커넥터(12)로 구성되는 커넥팅 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모듈을 선형적으로 연결하면 모두 전기적으로도 연결되고, 함상에서 인출되는 케이블(4)을 통하여 소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암커넥터(11)와 수커넥터(12)를 통하여 각각 선형으로 연결되는 단위모듈의 결합을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파탐지기의 커넥팅 장치는 상기 각각의 모듈의 양단부에 암커넥터(11) 및 수커넥터(12)가 설치되어 각각의 모듈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 암커넥터(11) 및 수커넥터(12)는 각각의 전원 및 신호선(25)이 암코아(16) 및 수코아(17)측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암코아(16) 및 수코아(17)는 코아홀더(18)에 의해 모듈의 단부 몸체(19)에 고정되고, 각각의 가이드핀(16')과 가이드부시(17')의 안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전원 및 신호선(25)이 손상 받지 않고 정확하게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암커넥터(11) 및 수커넥터(12)는, 폴리우레탄호스(13) 내부에 인장부재(21)를 전 길이에 배치하고, 외부에서 고정밴드(14)와 슬리브(15)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폴리우레탄호스(13)를 셀(20)에 압축, 압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셀(20)은 상기 모듈의 몸체(19)에 고정링(20')을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암,수커넥터(11,12)의 결합은, 상기 암커넥터(11)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링(23)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수커넥터(12)의 외측에 체결너트부(24)가 형성되어 상술한 가이드핀(16')과 가이드부시(17')의 가이드에 따라 암코아(16) 및 수코아(17)를 가조립 상태로 연결하고, 외부에서 체결링(23)을 돌려 기계적, 전기적으로 각각의 모듈이 선형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음파탐지기는 수중에서 예인할 때, 수중에서 소정의 깊이에서 운용됨으로써 소기의 기능을 달성하게 되는데, 상기 음파탐지기가 수중에서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고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의 전체 밀도를 상기 음파탐지기가 이동되는 수심에서의 해수의 밀도와 동일하게 제작한다. 이때, 상기 모듈의 밀도는 상기 각각의 모듈에 소정의 비중을 지니는 오일(26)을 주입하여 조정하게 된다. 즉, 그 수심에서의 해수의 밀도보다 큰 모듈의 밀도를 그 해수의 밀도보다 적은 밀도를 가지는 오일(26) 성분으로 상쇄시킴으로써 그 수심에서의 해수의 밀도와 상기 모듈의 전체 밀도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이동되게 되어 소정의 수심을 유지하면서 이동되게 되어 소기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오일(26)에 의하여 상기 암코아(16) 및 수코아(17)에 연결된 전원 및 신호선(2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탐지기가 심해에서의 압력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모듈을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음파탐지기는 상기 암코아(16) 및 수코아(17)에 연결된 전원 및 신호선(25)이 절단되지 않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도록 폴리우레탄호스(13)외에도 인장부재(21)가 설치된다. 즉, 상기 폴리우레탄호스(13)는 케블러(Kevlar) 보강섬유로 된 내심(13')를 지니고 있어, 그 내심(13')의 단부를 풀어 헤쳐 몰딩단(13")을 형성하고, 상기 몰딩단(13")을 각각의 셀(2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심(13')에 의해 폴리우레탄호스(13)가 직각 방향으로 신축되는 운동을 최소화하여, 연동운동에 따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인장부재(21)는, 스틸 와이어를 모듈의 전장에 걸쳐 상하로 배치하고, 각각의 몸체(19) 단부에서 나사공(21")이 형성되는 로프고정구(21')로 스틸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몸체(19)의 후부에 고정볼트(22)를 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호스(13)에 삽입되는 내심(13')은 그 폴리우레탄호스(13)의 압출시에 동시에 형성되지만, 종래의 금형으로는 양호한 진직(眞直)상태를 얻을 수 없어 강도가 균일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약하게 되기 때문에 그 폴리우레탄호스(13)의 두께를 크게 해야 하거나, 인장부재(21)를 굵게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섬유의 내심을 진직(眞直)상태로 폴리우레탄호스의 압출과 동시에 삽입, 내장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은, 음파탐지기의 폴리우레탄호스와 같이 보강섬유의 내심이 내장되는 폴리우레탄호스로 압출시키기 위한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공급통로를 형성한 채, 케이스내에서 압출기에 의해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 상기 가압장치의 전방에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확대되는 압출실을 지니며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 위치의 원주상에 내심 공급통로인 중앙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삽입되는 베이스;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상기 압출실로 연통하여 압출실로부터 폴리우레탄이 유동되고 상기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의 전방단부가 각각 돌출하는 다수의 내심삽입통로를 원주상의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 채,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중간블럭; 그리고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로 상기 내심삽입통로로부터 전방에 연장되어 인출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블럭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 압출다이와 외주 압출다이를 지니는 인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주 압출다이를 그 전방 외주에서 둘러싸서 중간블럭의 외주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주 압출다이를 교체하여 폴리우레탄호스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이 단면도와 좌측면도로서 도시된다.
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은, 가압장치(50), 베이스(62), 중간블럭(64) 및 인출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에서는 고정블럭(66')을 추가로 구비하는 예가 도시된다.
상기 가압장치(50)는,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형성한 채, 케이스(52)내에서 압출기(54)에 의해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통해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스크류식이 예시되지만, 이러한 가압장치(50)에 의해 본 발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왕복 플런저형 등 여러가지 가압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50)의 케이스(52)에 고정되는 베이스(62)는, 상기 가압장치(50)의 전방에 후방의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확대되는 압출실(63)을 지니며,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 위치의 원주상에 내심(13') 공급통로인 중앙 관통공(74)이 형성된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과 동일한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중간블럭(64)은, 상기 베이스(62)에 고정되고,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상기 베이스(62)의 전방에 상기 압출실(63)로 연통하여 압출실(63)로부터 폴리우레탄이 유동되도록 다수의 내심삽입통로(70)를 지니며, 또한, 그 다수의 내심삽입통로(70)는, 상기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의 전방단부가 각각 돌출하여 내심(13')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과 동일한 원주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인출장치(60)는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로 상기 내심삽입통로(7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원주상으로 연통된 인출실(68')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블럭(64)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 압출다이(68)와 외주 압출다이(66)를 지닌다. 그 외주 압출다이(66)는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중간블럭(64)의 외주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압출다이(66)의 전방 외주를 둘러싸서 중간블럭(64)의 외주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블럭(66')을 개재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외주 압출다이(66)의 외주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하고 내경이 다른 외주 압출다이(66)를 다수 준비하여 교체시킴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여 용이하게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음파탐지기의 폴리우레탄호스(13)와 같이 보강섬유의 내심(13')이 내장되는 폴리우레탄호스로 압출시킴에 있어서, 통상의 압출금형에서와 같이 가압장치(50)에 의해 폴리우레탄이 연화되고 소정의 압력으로 전방으로 유동되게 되면, 압출실(63) 및 전방의 내심삽입통로(70)을 거쳐 외주 압출다이(66)와 중앙압출다이(68)사이에서 형성되는 인출실(68')을 통해 전방으로 폴리우레탄호스(13)가 압출되어 인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압출개시 직전에 상기 내심삽입통로(70)로 내심삽입 실린더(72)의 각각을 통해 보강섬유인 내심(13')을 도시가 생락된 보빈 및 그 공급가이드장치로부터 인출하여 돌출시켜 놓는다.
그 후, 압출장치(50)를 작동시키면 연화되고 가압된 폴리우레탄이 내심삽입통로(70)에 돌출된 내심(13')을 인출하여 인출실(68')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심(13')이 보강된 폴리우레탄호스(13)가 압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심삽입통로(70)로 공급되는 내심(13')은 내심 삽입 실린더(72)에 의해 소정의 원주상의 간격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직선상으로 가이드 되게 되어 폴리우레탄에 의해 인출되는 내심(13')은 균일한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되게 될 뿐만 아니라 진직(眞直)도가 높은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단위모듈을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음파탐지기와 같은 장치에 사용될 때, 인장강도와 측면의 휨력에 의한 휨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표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되어 그 두께를 감소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인장부재(21)의 굵기를 감소시켜 경량화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각 모듈의 기능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오동작없이 소기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삽입 압출금형의 구성과 작용에 따르면, 상기 동시에 공급되는 내심(13')을 내심삽입통로(70)로 돌출되는 내심 삽입 실린더(72)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압출되는 폴리우레탄호스(13)내에서의 내심(13')의 등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진직(眞直)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인장강도와 벤딩강도를 균일화하면서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음파탐지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예시도,
도 1b는 도 1a의 단위모듈의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전원모듈 2: 음향모듈
3: 비음향모듈 11: 암커넥터
12: 수커넥터 13: 폴리우레탄 호스
19: 몸체 20: 셀
20': 고정링 21 : 인장부재
22: 고정볼트 23: 체결링
24: 체결너트부 25: 전원 및 신호선
26: 오일 50: 가압장치
52: 케이스 54: 압출기
56: 폴리우레탄 공급통로 60: 인출장치
62: 베이스 63: 압출실
64: 중간블럭 66: 외주 압출다이
66': 고정블럭 68: 중앙압출다이
70: 내심삽입통로 72: 내심 삽입 실린더
74: 중앙 관통공

Claims (2)

  1. 음파탐지기의 폴리우레탄호스(13)와 같이 보강섬유의 내심(13')이 내장되는 폴리우레탄호스로 압출시키기 위한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형성한 채, 케이스(52)내에서 압출기(54)에 의해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를 통해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50);
    상기 가압장치(50)의 전방에 그 폴리우레탄 공급통로(56)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확대되는 압출실(63)을 지니며, 압출되는 호스의 중심직경 위치의 원주상에 내심(13') 공급통로인 중앙 관통공(74)이 형성된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삽입되는 베이스(62);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상기 베이스(62)의 전방에 상기 압출실(63)로 연통하여 압출실(63)로부터 폴리우레탄이 유동되고 상기 다수의 내심 삽입 실린더(72)의 전방단부가 각각 돌출하는 다수의 내심삽입통로(70)를 원주상의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 채, 상기 베이스(62)에 고정되는 중간블럭(64); 그리고
    압출되는 호스의 두께로 상기 내심삽입통로(70)로부터 전방에 연장되어 인출실(68')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블럭(64)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각각 고정되는 중앙 압출다이(68)와 외주 압출다이(66)를 지니는 인출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압출다이(66)를 그 전방 외주에서 둘러싸서 중간블럭(64)의 외주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블럭(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KR1019970078207A 1997-12-30 1997-12-30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KR10046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07A KR100461771B1 (ko) 1997-12-30 1997-12-30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07A KR100461771B1 (ko) 1997-12-30 1997-12-30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21A KR19990058121A (ko) 1999-07-15
KR100461771B1 true KR100461771B1 (ko) 2005-04-06

Family

ID=3730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207A KR100461771B1 (ko) 1997-12-30 1997-12-30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717A (ja) * 1983-10-05 1985-05-04 Dainichi Nippon Cables Ltd 線材埋設パイプ用ダイ
KR880000728A (ko) * 1986-06-30 1988-03-29 네모또 마사오 보강호스의 제조장치
KR920002300Y1 (ko) * 1989-08-31 1992-04-09 이혜경 냉풍장치가 형성된 쌀통
KR19980021273A (ko) * 1996-09-12 1998-06-25 이종용 송수용 호-스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717A (ja) * 1983-10-05 1985-05-04 Dainichi Nippon Cables Ltd 線材埋設パイプ用ダイ
KR880000728A (ko) * 1986-06-30 1988-03-29 네모또 마사오 보강호스의 제조장치
KR920002300Y1 (ko) * 1989-08-31 1992-04-09 이혜경 냉풍장치가 형성된 쌀통
KR19980021273A (ko) * 1996-09-12 1998-06-25 이종용 송수용 호-스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2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902E1 (en) Transition housing and cap for fiber breakout assembly
US44091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tertight optical fiber cable
US68196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oil-filled towed array with a novel hydrophone design and uniform buoyancy technique
NZ501461A (en) Optical fibre cable core with strength members partially embedded in and gripped by buffer tube wall
EP0665993A1 (en) METHOD FOR INSERTING CABLES INTO A PIPE.
US4132756A (en) Process for extruding plastomeric or elastomeric material on filaments
KR100461771B1 (ko) 폴리우레탄 호스의 보강섬유내심 삽입 압출금형
KR20190127777A (ko) 섬유 보강식 플라스틱 프로파일들, 특히 플라스틱 로드들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 성형 시스템을 위한 사출 박스
ES8302917A1 (es) Mejora en el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cables elementales con fibras opticas.
KR100964005B1 (ko) 8자형 광케이블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217425766U (zh) 一种扁平式光缆及其注塑模具
KR101774571B1 (ko) 케이블견인선 내설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안내관 압출기
CN210243920U (zh) 光缆预接端布线拉杆装置
CN212737002U (zh) 一种蝶形光缆生产模具
CN214646054U (zh) 一种型材拉挤模具
CN213635524U (zh) 铝塑复合带纵包成型模具
US5089666A (en)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757485B1 (ko)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합성수지관
CN216672544U (zh) 一种双孔可变径馈线卡具
CN219715805U (zh) 一种组合式的光缆交接箱
CN201698062U (zh) 一种便于穿光纤和加强件的光缆挤塑模具
CN217061608U (zh) 一种生产防火电缆绕包用模具
CN218826401U (zh) 用于汽车线护套的挤出装置
CN216488853U (zh) 一种带有辅助定位的射频连接器的夹紧结构
CN215242751U (zh) 一种改善低烟无卤电子线分层的挤压式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