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402B1 -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02B1
KR100459402B1 KR10-2002-0011019A KR20020011019A KR100459402B1 KR 100459402 B1 KR100459402 B1 KR 100459402B1 KR 20020011019 A KR20020011019 A KR 20020011019A KR 100459402 B1 KR100459402 B1 KR 10045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bluetooth
portable terminal
perso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354A (ko
Inventor
김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PDA)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기능이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그 입력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입력장치에 헤드셋 기능을 추가하여 입력장치와 개인휴대단말기본체간의 음성 송수신이 수행됨으로써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핸드폰 기능이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 및 입력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입력장치에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는 경우 별도의 헤드셋을 사용할 필요 없이 기존의 입력장치를 헤드셋으로 이용하여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PDA)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기능이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그 입력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입력장치에 헤드셋 기능을 추가하여 입력장치와 개인휴대단말기본체간의 음성 송수신이 수행됨으로써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 무선전화 기능을 추가하여 핸드폰처럼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핸드폰 기능을 갖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가지고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 개인휴대단말기본체를 일반 휴대폰과 같이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무선 헤드셋 등을 구비하여 송수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핸드폰 기능이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를 휴대폰처럼 한 손으로 사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 때문에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역시 무선 헤드셋을 별도로 구비하여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그 입력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입력장치에 헤드셋 기능을 추가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 없이도 통화가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그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와 입력장치간의 음성 송수신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 및 입력장치에서 지원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개인휴대단말기본체 20 : 입력장치(스타일러스)
21 : 마이크 22 : 스피커
23 : 블루투스 모듈 24 : 파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본체 및 입력장치로 구성된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는 핸드폰 기능 및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로 통화하는 경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상기 입력장치 상호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음성 송수신이 수행되면서, 상기 입력장치를 헤드셋으로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입력장치간의 음성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음성 통화를 시도할 때 입력장치가 헤드셋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장치가 헤드셋 모드에 있는 경우 입력장치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장치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경우 개인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입력장치와 개인휴대단말기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성공되는 경우 음성 송수신이 수행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의 하나로서 2.4GHz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m∼100m 내에서 1Mbps의 전송속도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칩이 현재 개발되어 PDA, 핸드폰, 노트북 등 각종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개인휴대단말기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 및 입력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엄격히 말해서 개인휴대단말기본체 및 입력장치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전체를 개인휴대단말기로 호칭하는 것이 원칙이나, 본 명세서 및 도면의 일부에서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를 개인휴대단말기와 혼용하여 쓰기도 함을 유의한다.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에는 핸드폰기능이 있어서 개인휴대단말기를 핸드폰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0)는 일반적으로 펜 형상의 스타일러스이다. 입력장치(20)의 양단에는 마이크(21) 및 스피커(22)가 설치되어 있다.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 및 입력장치(20)에는 각각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데,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도 3 참조)을 갖고 있다.
평상시 입력장치(20)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의 터치 스크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음성 통화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입력장치(20)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시켜서 입력장치(20)를 헤드셋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입력장치(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개인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20)는 본래의 기능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각종 정보를 검색하는 도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인휴대단말기가 핸드폰으로 사용될 때는 입력장치(20)가 헤드셋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입력장치(20)의 내부는 마이크(21), 블루투스모듈(23), 파워(24) 및 스피커(22)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입력장치(20)에 부착되어 있는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블루투스모듈(23)(블루투스모듈(23)은 파워(2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을 동작시키면 입력장치(20)와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지고 연결 후 사용자는 마이크(21)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22)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면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입력장치(20)와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수행되기 위해서 입력장치(20) 및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는 각각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지원하여야 한다.
도 3에서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개인휴대단말기본체(10)에서의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3b는 입력장치(20)에서의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의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상호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스타일러스(입력장치)와 개인휴대단말기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를 핸드폰으로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시도하면(S1)스타일러스가 헤드셋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스타일러스가 헤드셋모드에 있는 경우 스타일러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스타일러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타일러스와 개인휴대단말기간의 블루투스연결을 시도한다(S4). 만약, 연결이 성공되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나 연결이 실패할 경우에는 음성통화는 종료된다(S5∼S7).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 즉 PDA를 중심으로 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본체 및 입력장치간의 음성 송수신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 및 입력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입력장치를 헤드셋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헤드셋을 사용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인휴대단말기본체 및 입력장치로 구성된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는 핸드폰 기능 및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로 통화하는 경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상기 입력장치 상호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음성 송수신이 수행되면서, 상기 입력장치를 헤드셋으로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입력장치간의 음성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음성 통화를 시도할 때 상기 입력장치가 헤드셋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헤드셋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와 블루투스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본체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성공되는 경우 상호간에 음성 송수신이 수행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11019A 2002-02-28 2002-02-28 개인휴대단말기 KR100459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19A KR100459402B1 (ko) 2002-02-28 2002-02-28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19A KR100459402B1 (ko) 2002-02-28 2002-02-28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54A KR20030071354A (ko) 2003-09-03
KR100459402B1 true KR100459402B1 (ko) 2004-12-03

Family

ID=3222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019A KR100459402B1 (ko) 2002-02-28 2002-02-28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62B1 (ko) * 2005-12-27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입력구 및 그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772Y1 (ko) * 2000-04-03 2000-09-01 최진원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KR20010091968A (ko) * 2000-03-14 2001-10-23 윤종용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968A (ko) * 2000-03-14 2001-10-23 윤종용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KR200194772Y1 (ko) * 2000-04-03 2000-09-01 최진원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54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8967B1 (en) Controlling a wireless device with a wireless headset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US20070135185A1 (en) Modular multifunction speaker and headset
EP1335566A4 (en) MOBILE PHONE DISTRIBUTED FOR POSSIBLE USE AS A PDA IN A HAND APPARATUS AND A HOST-FERNSPRECHER, AND COMMUNICATION PROCESS THEREFOR
EP2469819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producing music file
CN103517170A (zh) 具有内置蜂窝电话模块的遥控耳机
KR10073521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장치
KR100459402B1 (ko) 개인휴대단말기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KR20040058592A (ko) 오디오 게이트웨이 겸용 블루투스방식의 무선 헤드셋
KR100663537B1 (ko) 블루투스 이동통신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0244227Y1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화시스템
KR200202208Y1 (ko)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335612Y1 (ko) 스타일러스 펜
KR20010110490A (ko) 손가락 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981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0267059Y1 (ko) 이동단말기
US20110135135A1 (en) Wireless Headsets Having an Intuitive Man Machine Interfa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241236Y1 (ko) 휴대형 무선전화기 모국
KR20030018952A (ko)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KR200222458Y1 (ko) 스피커 및 마이크 기능을 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전화기
KR200179810Y1 (ko) 송수화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20050110144A (ko) 무선 단말기의 충전 기능을 가진 가정용 핸즈프리 및 그구현 방법
KR20070051516A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신호감도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